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음챙김(mindfulness) 기반 교육: 기본 설계와 방향

        황금중 한국교육철학학회 2019 교육철학연구 Vol.41 No.3

        This article first notes that 'mindfulness' may be the most basic inner force that learners must acquire and maintain in the process of learning for holistic growth across the realms of intelligence, virtue, and body. Subsequently it claims that education needs to be “mindfulness-based.” “Mindfulness-based education” does not mean that mindfulness is merely a subject of learning but that education should lead the work of learning on the basis of mindfulness. Mindfulness here is a particular state of mind, which is not swept away by the flow of inner thoughts and emotions that flow like noises, but rather the attention, nod-judgmental awareness, and now-here immersion. It is also based on the elements of deep wisdom about the reality of the subject and the world. This conception of mindfulness can be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goes beyond simple inner management, as a mechanism that leads to the horizon of ‘being’, freeing and defending the mind from desires and discernment that has no substance and blurs the senses. Intelligence, morality, creativity, thinking, criticality, and relationship, often referred to as the goal of education, can be fully embodied from this ‘being’, so mindfulness should be the basis of education, which is the way to lead the learners to the horizon of 'being'. Thoughtful treasury on mindfulness is especially held by Buddhism, and is widely reinterpreted and used in the light of modern Buddhism, psychology, and medicine(especially by Nyanaponika, N.H.Thich, J.Kabat-Zinn, etc.). Mindfulness, however, is universal in connection with the original inclinations and abilities of mind, and thus is not the legacy of Buddhism exclusively, and the trajectory of deep discussions and practices can be confirmed in other traditions of thoughts such as Confucianism and Taoism. In particular, the gyeong of the neo-Confucianism is captured as a model of mindfulness along with the Buddhist sati, which also shows the reason for the “gyeong-based elementary learning and great learning”, a neo-Confucian version of “mindfulness-based education.” (Especially by Zhu xi or Yi Hwang). In order to realize “mindfulness-based education” at the school level in modern society, there are two dimensions: that of “education about mindfulness” and that of “creating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facilitates mindfulness”. Some directions on these two are reviewed in this article. 이 글은 우선 ‘마음챙김(mindfulness)’이 지·덕·체의 영역을 아우르는 전인적 성장을 위한 배움의 과정에서 그 주체들이 획득하고 견지해야 할 가장 기본적인 내면의 힘일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면서, 교육은 곧 “마음챙김 기반 교육(mindfulness-based education)”일 필요가 있음을 주장했다. “마음챙김 기반 교육”은 마음챙김을 단지 배움의 한 주제로 삼는 교육이 아니라, 배움의 일 자체가 마음챙김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도록 이끄는 교육을 의미한다. 여기서 ‘마음챙김(mindfulness)’은 특정한 마음상태인데, 소음처럼 떠도는 내면의 생각과 감정의 흐름에 휩쓸리거나 자동반응하지 않고 오롯이 모아져 있는 주의(attention), 비판단적인 알아차림(awareness), 그리고 지금-여기 몰입의 상태를 그 기본 형식으로 하며, 여기에 마음챙김은 나와 세계의 실상에 대한 깊은 지혜의 요소가 배경을 이루는 구조를 지닌다. 이 마음챙김은 간단한 내면의 관리 차원을 넘어, 실체가 없고 감각을 흐리는 욕망과 분별상으로부터 마음을 자유롭게 하고 지켜내면서, ‘존재(being)’의 지평으로 이끄는 기제라는 점에 큰 의의를 부여할 수 있다. 흔히 교육의 목표로서 종종 얘기되는 지성, 도덕성, 창의성, 사고력, 비판력, 관계력 등은 이 ‘존재하기’로부터 온전하게 구현될 수 있으니, 이것이 주체를 존재 지평으로 이끌 수 있는 방법인 마음챙김이 교육의 근간이 될 만한 주요 이유다. 마음챙김에 대한 사상적 보고(寶庫)는 특히 불교가 보유하고 있으며, 현대불교와 심리학, 의학의 관점에서 재해석되어 널리 활용되고 있다(특히 냐나포니카, 틱낫한, 카밧진 등에 의해). 그런데 마음챙김은 마음의 본래적 성향 및 능력과 연계된 보편적인 것으로, 결코 불교의 전유물이 아니고, 유가와 도가 등의 다른 사상 전통에서도 이에 대한 깊은 논의와 실천의 궤적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성리학의 경(敬)이 불교의 사띠(sati)와 함께 마음챙김의 전형으로 포착되기도 하는데, 성리학에서는 “마음챙김 기반 교육”의 성리학적 버전인 “경 기반 소학·대학”의 사유를 보여주기도 했다(특히 주희나 이황에 의해). 현대 사회에서 “마음챙김 기반 교육”을 학교 단위에서 현실화하기 위해 “마음챙김에 대한 교육”과 “마음챙김이 원활히 이루어지는 교육환경 조성”의 두 차원으로 나누어 접근할 수 있으며 이 글에서는 이와 관련한 몇 가지 방향이 검토되었다.

      • KCI등재

        마음챙김(mindfulness) 담론의 전개 맥락과 과제 - 교육적 활용을 지향하며 -

        지우섭 ( Ji¸ Woosub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20 교육철학연구 Vol.42 No.4

        마음챙김(mindfulness)은 다양한 맥락에서 논의된다. 그럼에도 맥락에 대한 세심한 검토 없이 논의가 종종 진행된다. 이런 까닭에 마음챙김의 정의, 목적, 방법, 활용방안 등에 대한 이해가 복잡하고, 그 논의가 파생적, 분산적, 산발적으로 이루어지곤 한다. 이를 해결하려면 담론의 주요 맥락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마음챙김 담론의 주요 맥락별 전개 과정과 주요 논의 및 쟁점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 마음챙김 담론의 발전 과제와 마음챙김의 교육적 활용을 검토한다. 주요 맥락은 불교의 사띠, 재맥락화된 마음챙김, 랭어의 마음챙김, 성리학의 경 등 네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그 발전 과제로는 주요 맥락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기존 논의 분석하기와, 마음챙김의 통합적 논의를 위한 새로운 맥락 창출하기를 꼽을 수 있다. 새로운 맥락은 ‘존재하기’를 기반으로 삼을 것을 제안한다. 마음챙김의 교육적 활용을 위해서는 먼저 마음챙김에 대한 기존 논의를 정리하고, 마음챙김을 통합적으로 논의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교육은 ‘존재하기’를 기반으로 하는 마음챙김을 다룰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마음챙김 기반 교육’을 활용해볼 수 있다. 나아가, 종교적 중립성에 대해 재고해보고, 존재에 대한 종교적 지혜를 활용할 방법을 모색해볼 필요가 있다. 좋은 교재와 우수한 지도자를 확보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 Mindfulness is discussed in various contexts, yet a careful consideration of these contexts is often lacking. The understanding of the definition, purpose, method, and application of mindfulness is confusing and complicated. Discussions on mindfulness are typically derivative, decentralized, and sporadic. The study of the main context of mindfulness is necessary for deeper and more meaningful conversations about the implications of mindfulness and the application to education. This article examines the main contexts in the discourse regarding mindfulness and its relevant issues in various fields. Mindfulness discourse can be classified into four basic contexts: Buddhism, recontextualized mindfulness, Langer, and Neo-Confucianism. This article argues that analyzing discussions on mindfulness in four basic contexts and integrating discussions in a new context based on ‘being’ are needed for advanced discourse. The following matters may be considered for the educational application of mindfulness: First, it is essential to analyze preceding studies on mindfulness and to integrate discussions on mindfulness. Second, for education, a ‘being-based’ mindfulness approach is significant. To this end, ‘mindfulness-based education’ may be utilized. Third, religious problems on mindfulness should be considered. Fourth, methods of writing good textbooks and training excellent teachers should be established.

      • KCI등재

        초기불교의 사띠(sati)와 현대심리학의 마음챙김(mindfulness): 마음챙김 구성개념 정립을 위한 제언

        정준영,박성현 한국상담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2 No.1

        Recently, Researchers have realized the importance of mindfulness and began applying the mindfulness in counselling and psychotherapy programs. However, the most challenging is inconsistent definitions of mindfulness. This paper was designed to describe, compare, and contrast sati in early buddhism and other definitions of the mindfulness in current psychology. The scriptures and arguments of early buddhism conceptualize the inner process of mindfulness much more in detail than works in current psychology do. Due to psychological understanding of mindfulness as an essential of human condition in early buddhism, researchers in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may appreciate better the nature of mindfulness through understanding of sati. Additionally, we provided suggestions for mindfulness research in the current psychology by discussing findings of sati research in early buddhism. 최근 마음챙김을 상담과 심리치료에 적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마음챙김의 구성 개념에 대한 합의된 정의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마음챙김에 대한 초기 불교의 이해와 현대 심리학에서 정의하고 있는 마음챙김의 다양한 구성 개념들을 정리하고 비교하였다. 초기 불교의 경전과 논서에서는 사띠(sati)의 내적 과정을 현대 심리학에서 조명하는 마음챙김보다 훨씬 세분화하여 개념화하고 있다. 반면, 현대 심리학에서는 마음챙김을 임상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초기 불교에서 정의하는 사띠 개념을 포괄하는 광의적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불교는 괴로움을 인간 조건의 본질적 요소로 보는 철학적 관점을 가지고 있다. 초기 불교의 사띠에 대한 연구는 괴로움을 치유하는 마음챙김의 내적 기제에 대한 불교 심리학적 이해를 제공함으로써 마음챙김의 성격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이밖에 초기 불교의 사띠의 개념이 현대 심리학의 마음챙김 연구에 주는 시사점들을 제시하고, 마음챙김의 구성개념을 정립하는데 있어 몇 가지 새로운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일상수행과 마음챙김공부 -사띠수행과 유념공부의 비교를 중심으로-

        장진영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3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58 No.-

        현대불교는 재가와 출가의 제도적 차별이 없는 불교, 생활과수행이 둘이 아닌 불교, 개인적 수행과 사회적 참여가 함께 이루어지는 불교를 지향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근대기를 거치면서 ‘대승적 면모’를 갖춘 상좌부불교의 공부법과 근대기 조선불교에 대한 혁신운동을 거쳐 불교계 독자교단을 갖춘 원불교의공부법이 지역과 시대를 초월하여 비슷한 지향을 가지게 된 점을 주목하고 싶다. 이에 두 전통의 공부법 중 마음챙김을 중시하는 사띠수행과 유념공부를 비교함으로써 이 시대가 요청하는일상생활수행으로서 마음챙김공부의 일면을 드러내고자 한다. 불교수행은 마음챙김이 없이는 불가능하다. 그 가운데 초기불교의 사띠수행과 원불교의 유념공부는 모두 마음챙김을 중시하고 있다. 이 점에서 두 공부법의 특징을 몇 가지로 비교해 보았다. 먼저 공부의 ‘대상’이다. 사띠수행은 심신간의 모든 현상(신, 수, 심, 법)을 마음으로 챙기는 공부대상으로 한다. 즉 유위법(有爲法)인 일체의 존재현상을 다 그 대상으로 한다. 유념공부는 ‘하기로 한 일’, ‘안 하기로 한 일’ 등 구체적인 ‘실행 조목’[유념 조목]을 정하고 이를 경우에 따라 잊어버리지 않고 챙기도록 한다는 점에서 사띠수행과 차이가 있는데, 챙기는 대상도 존재현상[法]에 한정되지 않고, 구체적인 ‘실행 조목’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다음은 공부의 ‘의도’에 관한 것이다. 사띠수행을 통한 위빠사나는 원칙적으로 어떤 의도도 들어가지 않는 ‘순수한 주의(bare attention)’를 요구한다. 하지만 초보자의 경우는 처음부터 의도가 들어가지 않는 마음챙김은 쉽지 않다. 그러므로 ‘의도적인 마음챙김’과 ‘의도가 들어가지 않은 마음챙김’의 구분이 가능하다. 유념공부도 초입자와 숙련자의 차이가 있는데, 초입자는 ‘유념 조목’에 대한 실행 의지(의도), 공부(수행)에 대한동기부여 등을 필요로 한다. 반면에 숙련자는 제법실상과 본성에 대한 자각에 의지하여 모든 분별을 떠난 본성(공적영지의 자성)의 측면에서 무심(無心)으로 챙기는 공부가 가능하다. 이처럼 사띠수행의 경우 숙련자가 되어 의도가 들어가지 않는 ‘순수한 주의’가 가능한 것이지만, 유념공부에서는 오히려 공부인의청정한 실행 의지(의도)를 더욱 중시한다. 마지막으로 공부의 ‘지향’이다. 사띠수행은 위빠사나를 통해통찰(반야)을 얻고, 열반에 드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반면에유념공부는 구체적인 실행 조목을 정하여 그것을 잊지 아니하고 ‘온전한 생각으로 취사’하는지 여부를 중시함으로써 일상경계 속에서 ‘바른 취사’, ‘바른 실행’[正義實行]을 하자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The direction of contemporary Buddhism is moving towardsBuddhism that emphasizes the role of the laity, collapses thedistinction between clergy and laity, is not restrained by tradition,and actualizes those processes. This paper will investigate thepractice theories of Theravāda Buddhism that possesses Mahāyānistaspects during modernization, and Won-Buddhism which establishedan independent order on the basis of modern Korean Buddhism. The core practice of Theravāda Buddhism is sati practice. It sharessimilarities with the mindfulness practice of Won-Buddhism, andboth will be investigated as continual mind practices in daily life. Sati practice also possesses the meaning of core practice thatmakes all practices possible, including Samatha and Vipassana. Inthis context, both practices are comparable for their cultivationprocesses of the threefold study. When we experience variousobjects and situations in daily life, we can practice the threefold study in the functioning of our mind and body. And the actualapplications of the threefold study are specifically mentioned in theEssential Dharmas of Daily practice. And it mentions to recover themind nature and not to lose the originally free mind ground. Sati practice and Won-Buddhist mindfulness (Yu-nyeom) can becompared in several ways. First is regarding the object of practice. The objects of sati practice which is based on the MahāsatipaṭṭhānaSutta, are confined as body, perception, mind and dharma. However, it includes dharma-satipaṭṭhāna, so that all saṃskāradharmas are contained therein. Sati practice also does not limit on itsobject. Sati begins by concentrating on an object and then graduallyexpanding to other objects of mindfulness. In this way, when thescope of mindful observation expands, then the division of the foursatipaṭṭhāna would be meaningless, and choiceless mindfulness canbe conducted to all phenomena coming to the sensory organs. On the contrary, the practitioner himself chooses the items ofWon-Buddhist mindfulness practice, and is not limited to thenumber of items to be mindful of. In terms of the items ofmindfulness, it aims at a specific action of things to do, or not to do. According to observing the breath, which is very important amongSati practice, the process of concentrating on the movement of thelower abdomen can be compared with the practice of removingdiscrimination and attachment of mind by cultivating the spirit asabiding on a single object of the elixir field, in fixed term training. Sati is always centered by vipassana which is observing every object,whereas Won-Buddhist mindfulness practice focuses on executionor conduct, then emphasizes on “choice with sound thought” on executing items without forgetting them.

      • KCI등재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마음교육

        황금중 ( Keumjoong Hwang ) 한국교육철학학회 2010 교육철학연구 Vol.49 No.-

        지속가능성이 의심되는 문명의 위기를 초래하는 원인의 하나로, ‘소유’, ‘분리’, ‘결핍’, ‘두려움’으로 특징지어질 수 있는 뿌리의식에 지배되는 인류의 집단의식을 꼽을 수 있다. 이를 성찰적으로 변화시키는 교육의 길을 모색할 필요가 있으며, 이 길에서는 인간의 마음의 심층, 즉 존재, 본성, 도심, 영혼의 지평을 일깨워서 마음의 주재적 위치에 서도록 하는 일이 긴요하다. 이것은 곧 ‘마음교육’의 요체이기도 하다. 마음교육의 실천의 핵심은 특히 유가의 ‘경(敬)’이나 불가의 ‘사띠(sati)’의 수행법과 같은 맥락의 ‘마음챙김(mindfulness)’의 공부이다. ‘경’과 ‘사띠’와 같은 마음챙김의 공부는 마음의 몰입, 각성, 보호 등을 특징으로 하면서 마음의 심층 지평의 발현을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마음챙김의 공부를 근간으로 한 마음교육은 궁극적으로 인간에게 내재된 존재적, 본성적 지혜(wisdom)를 끌어내고자 하며, 이것이야말로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 요청되는 새로운 의식지평 창조의 열쇠가 될 수 있다. In this article, I seek for the educational way to change the root-consciousness of mankind that is characterized as 'having', 'separation', 'want', 'fear', and that have been main cause of the global crisis in the sustainability of mankind living system. In this way of education, it is important that awaken and realize the deep level of maum, which can be expressed as 'being', 'human nature', 'heaven based mind', 'soul'. This is, namely, the way of maum education. The practical axis of maum education is 'mindfulness' gongbu, like as jing in confucianism and sati in buddhism. 'Mindfulness' gongbu like as jing and sati, bringing out the awakening, immersing, being careful, preserving of maum, promotes the realization of deep level of maum. Maum education eventually focused on the eruption of the immanent wisdom from deep level of maum rather the acquisition of exterior knowledge, and this wisdom should be the key of the creation of new paradigm of global consciousness requested for the sustainable future.

      • KCI등재

        사띠(sati)의 실재와 특징 이해 - 빠알리 계본(paṭimokkha)을 중심으로-

        이준호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23 불교문예연구 Vol.- No.21

        Various Buddhist practices are known in Korea, and meditation is also becoming popular. Various psychological healing method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usefully by scientificizing Buddhist practice methods. In this stream, i paid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sati, one of the basic concepts of Buddhism. Korean translations corresponding to mindfulness are presented as “mindfulness” and “awareness”, but no clear consensus has been reached. This suggests the complexity of the sati concept. This is a meaningful study that connects the literature research with real-life of sati. In the domestic research situation where it is difficult to observe practice cases of sati, investigating and discussing how Thai monks practice the items specified in the Pali Paṭimokkha, i try to explore the connection between sīla practice and sati training. I hope to provide a good resource for domestic sati research and increase the possibility of practicing sati in practicing and daily life. 다양한 불교 수행법들이 국내에 알려지고, 명상 또한 대중화되고 있다. 불교 수행방법을 과학화하여 다양한 심리치유법이 개발되어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연구자는 불교의 기본 개념 중 하나인 사띠(sati)의 중요성에 주목했다. 사띠에 대응하는 한글 번역어는 ‘마음챙김’, ‘알아차림’ 등으로 제시되지만, 명료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것은 사띠 개념의 복잡성을 시사한다. 본 논문은 문헌연구와 함께 사띠에 관한 실제 사례를 연결하는 의미 있는 연구다. 본 논문의 목적은 사띠의 실천 사례를 관찰하기 어려운 국내의 연구 상황에서 계율 실천과 사띠 훈련의 연관성을 파악하고자 했다. 태국의 승려들이 빠알리어 계본에 명시된 항목을 어떻게 실천하는지 조사하여, 논의함으로 국내의 사띠 연구에 좋은 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수행 및 일상에서의 사띠 실천 가능성을 높이고자 한다.

      • KCI등재

        요가와 위빠사나의 스므리띠(smṛti) / 사띠(sati) - 심리치료의 중요 개념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조준호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9 禪文化硏究 Vol.27 No.-

        Currently, the term ’mindfulness yoga‘ is used in Korea. It is a translation of the Western ‘Mindful Yoga’ or ‘Mindfulness Yoga’. Here is the background of Vipassana. This term is a translation used in relation to Vipassana practices. Vipassana's key word is smṛti / sati, and the widely used English translation is mindfulness. At present, mindfulness is used in various ways such as psychotherapy, healing or counseling. Likewise, yoga is combined with the words mindful or mindfulness to represent a kind of new yoga practice. In Western psychotherapy, a combination of Vipassana and yoga is underway. By the way, the smṛti of yoga is mindfulness? This paper examines the mindfulness of ‘mindfulness yoga’ that has been progressed without academic review. It is asking the applicability of the mindfulness of yoga. For this purpose, I first critically examine the context of smṛti, which is explained in Yoga Sutra and the commentaries on it. It raises the fundamental question of whether mindfulness is applicable to yoga, as in “Mindfulness Yoga.” In conclusion, it is difficult to find a case where smṛti is used in the classical yoga tradition as a perceptual or practice method of meditation such as Vipassana's mindfulness. In classical yoga, smṛti means that the meaning of memory is central, but it is difficult to see it as mindfulness. Furthermore, it was suggested that the applicability of mindfulness would also be difficult in the current movement and posture-based yoga practiced in the contemporary world. It is clear that modern yoga adopts and uses the mindfulness used in modes of Vipassana. In this regard,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elucidate the practice of yoga practice that can be used in the same meaning and content as Vipassana's mindfulness. In doing so, research on the therapeutic functions and effects of yoga based on Yoga Sutra and the yoga tradition will take a new step. 현재 한국에서 ‘마음챙김 요가’라는 말이 사용된다. 서구의 ‘Mindful Yoga’ 또는‘Mindfulness Yoga’의 번역어이다. 여기에는 위빠사나의 배경이 있다. 이 용어는위빠사나 수행과 관련하여 사용된 번역어이다. 위빠사나의 핵심어는 smṛti / sati 이고 널리 사용되는 영역은 mindfulness이다. 현재 mindfulness는 심리치료와 힐링 또는 상담 등 다양하게 적용되어 사용된다. 마찬가지로 요가도 mindful 또는mindfulness라는 말과 결합되어 새로운 요가 수행의 한 종류를 보여주고 있다. 서구의 심리치료 입장에서 위빠사나와 요가의 결합이 진행되고 있다. 그런데 요가의 스므리띠는 mindfulness / 마음챙김인가? 본고는 그동안 학문적 검토없이 진행되어 왔던 마음챙김 요가의 mindfulness를 검토한다. 요가의 mindfulness에 대한 적용가능성을 묻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먼저 『요가 수뜨라』와 이에 대한주석서에서 설명되는 smṛti의 맥락을 비판적으로 검토해 본다. 요가에서 ‘마음챙김 요가(Mindfulness Yoga)’처럼 mindfulness를 요가에 적용가능한지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을 제기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고전요가 전통에서 위빠사나의 mindfulness과 같은 지각 방식이나 수행 방식으로 smṛti가 사용된 사례를 찾기는 어렵다. 고전요가에서 smṛti는 기억(memory)의 의미가 중심이지 mindfulness의 의미로 보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나아가 현재 세계에서 행해지고 있는 동작과 체위 중심의 요가에서 mindfulness에 대한 적용가능성 또한 어려울 것이라는 의견을 제시해 보았다. 분명 현대요가가 위빠사나에서 사용하는mindfulness를 채택하여 사용했음이 분명하다. 그러한 점에서 위빠사나의mindfulness와 같은 의미와 내용으로 쓸 수 있는 요가 수행의 행법을 구명해 낼후속연구가 필요하다. 그렇게 될 때 『요가 수뜨라』와 요가 전통에 근거한 요가의치료적 기능과 효과에 대한 연구가 새로운 단계로 나아갈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사띠(sati)와 사마디(samadhi)의 중도적 구조에 대한 연구 -초기불교와 현대심리학을 중심으로-

        김범진 ( Bum Jin Kim ) 인도철학회 2012 印度哲學 Vol.0 No.35

        붓다 가르침의 방식은 중도로 요약될 수 있다. 중도적 구조가 계정혜삼학에서 집중(定)인 사마디와 사띠에도 적용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초기 불교의 집중(定)에 관해서는 많은 연구가 있어왔지만 사띠와 사마디를 대립되는 양변으로 보고 이를 통합하고 초월하는 중도적 관점에서 본 연구는 아직 없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의미가 있다. 본고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있다. 첫째, 사띠가 ``거리두기``를 중요한 요소로 가지는 집중임이며 이 거리두기의 요소가 현대심리학에서 마음챙김의 요소로 활용되고 있다. 둘째, 사마디는 밀착의 요소를 가진 집중이다. 셋째, 사띠와 사마디가 처음에는 ``거리두기``와 ``밀착``의 상반된 힘을 가지지만 ``올바른`` 차원 그리고 중도적 차원으로 갈수록 서로상입되고 통합된다. 요약하자면, 붓다가 지향했던 집중은 사띠와 사마디, 이 둘을 포괄하고 넘어선 중도적 집중이다. The Middle Path is the way how Buddha taught the dhammas. We can find this middle-way structure in many of Buddha`s teachings: Middle-way between asceticism and hedonism, between eternalism and annihilationism, and between being and non-being. This study shows that such middle-path structure is not only restricted to those mentioned above, but also can be seen in the relations between sati and samadhi. Precept(Sila), Concentration(Samadhi), and Wisdom(Panna) are the three supreme principles of Buddha`s teaching. Given that Precept is the prerequisite of Concentration and wisdom is the result of Concentration, we assume that Concentration is at the center of Buddha`s teaching and practice. Concentration consists of right samadhi and right sati. This indicates that clarifyng the meaning of samadhi and sati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are very critical in Buddhist practice. The study examines that samadhi and sati have opposing factors to each other: sati has ``distancing`` factor while samadhi has ``adhering`` factor. In early Buddhism, Concentration has middle-way structure that combines and transcends these two contrary factors. Much research has been done on the topics of samadhi and sati, but most consider sati and samadhi as complimentary, not as contrary. None has taken the approach of seeing these two as contrary factors which later synthesized into concentration within a middle-path structure. This study consists of four parts: First part shows that sati is unique concentration which has ``distancing`` force in it and such distancing factor plays a key role in mindfulness induced psychotherapy, which scholars and researchers adopted from vipassana practice in western and psychotherapeutic context. Second is about samadhi. Samadhi is concentration with ``adhering`` force in both the Yoga and Buddhist practices. Third part is about the dimension of concentration. In the general dimension, sati and samadhi have contradictory forces, but when entering into ``right`` dimension, these two begin to penetrate into each other. And ultimately in the middle-path dimension they are combined and transcended within Concentration. This indicates that the concentration that Buddha sought is not either sati or samadhi only, but the middle-path Concentration that embraces and transcends both of them.

      • KCI등재

        불교의 사띠와 심리학의 마음챙김과 원불교의 유념과 비교

        이경열(Kyoung-Youl Lee) 한국종교학회 2013 宗敎硏究 Vol.71 No.-

        This study made clear in the same and diffenence among sati in buddhism and mindfulness in psychology and Yoonoum in won -buddhism, after analyzed the meaning, purpose, object of sati in early buddhism and mindfulness in psychology and Yoonoum in won -buddhism. So, I explained the same and diffenence and suggestions among sati in early buddhism and mindfulness in psychology and yoonoum in won-buddhism, by noticing that they are closely related. The same is english translate and meaning, The diffenence is purpose, application object. The suggestions as sati in buddhism is that it is necessary to an active role in clinical aspects and social aspects. The suggestions as yoonoum in won-buddhism is that it is necessary to do cretization in stages of yoonoum study and diversification of yoonoum application object` range. The suggestions as mindfulness in psychology is that connects with object of mindfulness by original dimension and focus on change and reform of the outside world. In conclusion, I wish that present new therapy modelby unitying the east religion of the sati in early buddhism and Yoonoum in won-buddhism and the west psychology. In future study, I hope that create a new therapy model as hamonizing with tradition pratice of the east and psychology of the we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