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마음챙김(mindfulness) 기반 교육: 기본 설계와 방향
황금중 한국교육철학학회 2019 교육철학연구 Vol.41 No.3
This article first notes that 'mindfulness' may be the most basic inner force that learners must acquire and maintain in the process of learning for holistic growth across the realms of intelligence, virtue, and body. Subsequently it claims that education needs to be “mindfulness-based.” “Mindfulness-based education” does not mean that mindfulness is merely a subject of learning but that education should lead the work of learning on the basis of mindfulness. Mindfulness here is a particular state of mind, which is not swept away by the flow of inner thoughts and emotions that flow like noises, but rather the attention, nod-judgmental awareness, and now-here immersion. It is also based on the elements of deep wisdom about the reality of the subject and the world. This conception of mindfulness can be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goes beyond simple inner management, as a mechanism that leads to the horizon of ‘being’, freeing and defending the mind from desires and discernment that has no substance and blurs the senses. Intelligence, morality, creativity, thinking, criticality, and relationship, often referred to as the goal of education, can be fully embodied from this ‘being’, so mindfulness should be the basis of education, which is the way to lead the learners to the horizon of 'being'. Thoughtful treasury on mindfulness is especially held by Buddhism, and is widely reinterpreted and used in the light of modern Buddhism, psychology, and medicine(especially by Nyanaponika, N.H.Thich, J.Kabat-Zinn, etc.). Mindfulness, however, is universal in connection with the original inclinations and abilities of mind, and thus is not the legacy of Buddhism exclusively, and the trajectory of deep discussions and practices can be confirmed in other traditions of thoughts such as Confucianism and Taoism. In particular, the gyeong of the neo-Confucianism is captured as a model of mindfulness along with the Buddhist sati, which also shows the reason for the “gyeong-based elementary learning and great learning”, a neo-Confucian version of “mindfulness-based education.” (Especially by Zhu xi or Yi Hwang). In order to realize “mindfulness-based education” at the school level in modern society, there are two dimensions: that of “education about mindfulness” and that of “creating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facilitates mindfulness”. Some directions on these two are reviewed in this article. 이 글은 우선 ‘마음챙김(mindfulness)’이 지·덕·체의 영역을 아우르는 전인적 성장을 위한 배움의 과정에서 그 주체들이 획득하고 견지해야 할 가장 기본적인 내면의 힘일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면서, 교육은 곧 “마음챙김 기반 교육(mindfulness-based education)”일 필요가 있음을 주장했다. “마음챙김 기반 교육”은 마음챙김을 단지 배움의 한 주제로 삼는 교육이 아니라, 배움의 일 자체가 마음챙김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도록 이끄는 교육을 의미한다. 여기서 ‘마음챙김(mindfulness)’은 특정한 마음상태인데, 소음처럼 떠도는 내면의 생각과 감정의 흐름에 휩쓸리거나 자동반응하지 않고 오롯이 모아져 있는 주의(attention), 비판단적인 알아차림(awareness), 그리고 지금-여기 몰입의 상태를 그 기본 형식으로 하며, 여기에 마음챙김은 나와 세계의 실상에 대한 깊은 지혜의 요소가 배경을 이루는 구조를 지닌다. 이 마음챙김은 간단한 내면의 관리 차원을 넘어, 실체가 없고 감각을 흐리는 욕망과 분별상으로부터 마음을 자유롭게 하고 지켜내면서, ‘존재(being)’의 지평으로 이끄는 기제라는 점에 큰 의의를 부여할 수 있다. 흔히 교육의 목표로서 종종 얘기되는 지성, 도덕성, 창의성, 사고력, 비판력, 관계력 등은 이 ‘존재하기’로부터 온전하게 구현될 수 있으니, 이것이 주체를 존재 지평으로 이끌 수 있는 방법인 마음챙김이 교육의 근간이 될 만한 주요 이유다. 마음챙김에 대한 사상적 보고(寶庫)는 특히 불교가 보유하고 있으며, 현대불교와 심리학, 의학의 관점에서 재해석되어 널리 활용되고 있다(특히 냐나포니카, 틱낫한, 카밧진 등에 의해). 그런데 마음챙김은 마음의 본래적 성향 및 능력과 연계된 보편적인 것으로, 결코 불교의 전유물이 아니고, 유가와 도가 등의 다른 사상 전통에서도 이에 대한 깊은 논의와 실천의 궤적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성리학의 경(敬)이 불교의 사띠(sati)와 함께 마음챙김의 전형으로 포착되기도 하는데, 성리학에서는 “마음챙김 기반 교육”의 성리학적 버전인 “경 기반 소학·대학”의 사유를 보여주기도 했다(특히 주희나 이황에 의해). 현대 사회에서 “마음챙김 기반 교육”을 학교 단위에서 현실화하기 위해 “마음챙김에 대한 교육”과 “마음챙김이 원활히 이루어지는 교육환경 조성”의 두 차원으로 나누어 접근할 수 있으며 이 글에서는 이와 관련한 몇 가지 방향이 검토되었다.
초기불교의 사띠(sati)와 현대심리학의 마음챙김(mindfulness): 마음챙김 구성개념 정립을 위한 제언
정준영,박성현 한국상담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2 No.1
Recently, Researchers have realized the importance of mindfulness and began applying the mindfulness in counselling and psychotherapy programs. However, the most challenging is inconsistent definitions of mindfulness. This paper was designed to describe, compare, and contrast sati in early buddhism and other definitions of the mindfulness in current psychology. The scriptures and arguments of early buddhism conceptualize the inner process of mindfulness much more in detail than works in current psychology do. Due to psychological understanding of mindfulness as an essential of human condition in early buddhism, researchers in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may appreciate better the nature of mindfulness through understanding of sati. Additionally, we provided suggestions for mindfulness research in the current psychology by discussing findings of sati research in early buddhism. 최근 마음챙김을 상담과 심리치료에 적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마음챙김의 구성 개념에 대한 합의된 정의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마음챙김에 대한 초기 불교의 이해와 현대 심리학에서 정의하고 있는 마음챙김의 다양한 구성 개념들을 정리하고 비교하였다. 초기 불교의 경전과 논서에서는 사띠(sati)의 내적 과정을 현대 심리학에서 조명하는 마음챙김보다 훨씬 세분화하여 개념화하고 있다. 반면, 현대 심리학에서는 마음챙김을 임상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초기 불교에서 정의하는 사띠 개념을 포괄하는 광의적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불교는 괴로움을 인간 조건의 본질적 요소로 보는 철학적 관점을 가지고 있다. 초기 불교의 사띠에 대한 연구는 괴로움을 치유하는 마음챙김의 내적 기제에 대한 불교 심리학적 이해를 제공함으로써 마음챙김의 성격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이밖에 초기 불교의 사띠의 개념이 현대 심리학의 마음챙김 연구에 주는 시사점들을 제시하고, 마음챙김의 구성개념을 정립하는데 있어 몇 가지 새로운 제언을 하였다.
일상수행과 마음챙김공부 -사띠수행과 유념공부의 비교를 중심으로-
장진영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3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58 No.-
현대불교는 재가와 출가의 제도적 차별이 없는 불교, 생활과수행이 둘이 아닌 불교, 개인적 수행과 사회적 참여가 함께 이루어지는 불교를 지향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근대기를 거치면서 ‘대승적 면모’를 갖춘 상좌부불교의 공부법과 근대기 조선불교에 대한 혁신운동을 거쳐 불교계 독자교단을 갖춘 원불교의공부법이 지역과 시대를 초월하여 비슷한 지향을 가지게 된 점을 주목하고 싶다. 이에 두 전통의 공부법 중 마음챙김을 중시하는 사띠수행과 유념공부를 비교함으로써 이 시대가 요청하는일상생활수행으로서 마음챙김공부의 일면을 드러내고자 한다. 불교수행은 마음챙김이 없이는 불가능하다. 그 가운데 초기불교의 사띠수행과 원불교의 유념공부는 모두 마음챙김을 중시하고 있다. 이 점에서 두 공부법의 특징을 몇 가지로 비교해 보았다. 먼저 공부의 ‘대상’이다. 사띠수행은 심신간의 모든 현상(신, 수, 심, 법)을 마음으로 챙기는 공부대상으로 한다. 즉 유위법(有爲法)인 일체의 존재현상을 다 그 대상으로 한다. 유념공부는 ‘하기로 한 일’, ‘안 하기로 한 일’ 등 구체적인 ‘실행 조목’[유념 조목]을 정하고 이를 경우에 따라 잊어버리지 않고 챙기도록 한다는 점에서 사띠수행과 차이가 있는데, 챙기는 대상도 존재현상[法]에 한정되지 않고, 구체적인 ‘실행 조목’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다음은 공부의 ‘의도’에 관한 것이다. 사띠수행을 통한 위빠사나는 원칙적으로 어떤 의도도 들어가지 않는 ‘순수한 주의(bare attention)’를 요구한다. 하지만 초보자의 경우는 처음부터 의도가 들어가지 않는 마음챙김은 쉽지 않다. 그러므로 ‘의도적인 마음챙김’과 ‘의도가 들어가지 않은 마음챙김’의 구분이 가능하다. 유념공부도 초입자와 숙련자의 차이가 있는데, 초입자는 ‘유념 조목’에 대한 실행 의지(의도), 공부(수행)에 대한동기부여 등을 필요로 한다. 반면에 숙련자는 제법실상과 본성에 대한 자각에 의지하여 모든 분별을 떠난 본성(공적영지의 자성)의 측면에서 무심(無心)으로 챙기는 공부가 가능하다. 이처럼 사띠수행의 경우 숙련자가 되어 의도가 들어가지 않는 ‘순수한 주의’가 가능한 것이지만, 유념공부에서는 오히려 공부인의청정한 실행 의지(의도)를 더욱 중시한다. 마지막으로 공부의 ‘지향’이다. 사띠수행은 위빠사나를 통해통찰(반야)을 얻고, 열반에 드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반면에유념공부는 구체적인 실행 조목을 정하여 그것을 잊지 아니하고 ‘온전한 생각으로 취사’하는지 여부를 중시함으로써 일상경계 속에서 ‘바른 취사’, ‘바른 실행’[正義實行]을 하자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The direction of contemporary Buddhism is moving towardsBuddhism that emphasizes the role of the laity, collapses thedistinction between clergy and laity, is not restrained by tradition,and actualizes those processes. This paper will investigate thepractice theories of Theravāda Buddhism that possesses Mahāyānistaspects during modernization, and Won-Buddhism which establishedan independent order on the basis of modern Korean Buddhism. The core practice of Theravāda Buddhism is sati practice. It sharessimilarities with the mindfulness practice of Won-Buddhism, andboth will be investigated as continual mind practices in daily life. Sati practice also possesses the meaning of core practice thatmakes all practices possible, including Samatha and Vipassana. Inthis context, both practices are comparable for their cultivationprocesses of the threefold study. When we experience variousobjects and situations in daily life, we can practice the threefold study in the functioning of our mind and body. And the actualapplications of the threefold study are specifically mentioned in theEssential Dharmas of Daily practice. And it mentions to recover themind nature and not to lose the originally free mind ground. Sati practice and Won-Buddhist mindfulness (Yu-nyeom) can becompared in several ways. First is regarding the object of practice. The objects of sati practice which is based on the MahāsatipaṭṭhānaSutta, are confined as body, perception, mind and dharma. However, it includes dharma-satipaṭṭhāna, so that all saṃskāradharmas are contained therein. Sati practice also does not limit on itsobject. Sati begins by concentrating on an object and then graduallyexpanding to other objects of mindfulness. In this way, when thescope of mindful observation expands, then the division of the foursatipaṭṭhāna would be meaningless, and choiceless mindfulness canbe conducted to all phenomena coming to the sensory organs. On the contrary, the practitioner himself chooses the items ofWon-Buddhist mindfulness practice, and is not limited to thenumber of items to be mindful of. In terms of the items ofmindfulness, it aims at a specific action of things to do, or not to do. According to observing the breath, which is very important amongSati practice, the process of concentrating on the movement of thelower abdomen can be compared with the practice of removingdiscrimination and attachment of mind by cultivating the spirit asabiding on a single object of the elixir field, in fixed term training. Sati is always centered by vipassana which is observing every object,whereas Won-Buddhist mindfulness practice focuses on executionor conduct, then emphasizes on “choice with sound thought” on executing items without forgetting them.
사띠(sati)의 실재와 특징 이해 - 빠알리 계본(paṭimokkha)을 중심으로-
이준호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23 불교문예연구 Vol.- No.21
Various Buddhist practices are known in Korea, and meditation is also becoming popular. Various psychological healing method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usefully by scientificizing Buddhist practice methods. In this stream, i paid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sati, one of the basic concepts of Buddhism. Korean translations corresponding to mindfulness are presented as “mindfulness” and “awareness”, but no clear consensus has been reached. This suggests the complexity of the sati concept. This is a meaningful study that connects the literature research with real-life of sati. In the domestic research situation where it is difficult to observe practice cases of sati, investigating and discussing how Thai monks practice the items specified in the Pali Paṭimokkha, i try to explore the connection between sīla practice and sati training. I hope to provide a good resource for domestic sati research and increase the possibility of practicing sati in practicing and daily life. 다양한 불교 수행법들이 국내에 알려지고, 명상 또한 대중화되고 있다. 불교 수행방법을 과학화하여 다양한 심리치유법이 개발되어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연구자는 불교의 기본 개념 중 하나인 사띠(sati)의 중요성에 주목했다. 사띠에 대응하는 한글 번역어는 ‘마음챙김’, ‘알아차림’ 등으로 제시되지만, 명료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것은 사띠 개념의 복잡성을 시사한다. 본 논문은 문헌연구와 함께 사띠에 관한 실제 사례를 연결하는 의미 있는 연구다. 본 논문의 목적은 사띠의 실천 사례를 관찰하기 어려운 국내의 연구 상황에서 계율 실천과 사띠 훈련의 연관성을 파악하고자 했다. 태국의 승려들이 빠알리어 계본에 명시된 항목을 어떻게 실천하는지 조사하여, 논의함으로 국내의 사띠 연구에 좋은 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수행 및 일상에서의 사띠 실천 가능성을 높이고자 한다.
사띠(sati)의 현대적 수용법 연구- ‘-구나’ 행법의 도입 -
김성식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4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65
본 논문은 21세기 현대 정신문화로 확산되는 명상에 관한 사띠 수행의 현대적 행법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오늘날은 물질문화의 급속한 팽창이 초래한 경쟁주의, 이기주의, 허무주의, 고립주의에 따른 각종 심리적 장애, 사회적 갈등 등으로 개인과 사회는 올바른 각성을 요구하고 있다. 이처럼 반성의 시대에서 명상은 점차 사회적 호응과 함께 대중화되는 추세이며, 그 중심에는 사띠(sati)가 있다. 그것은 불교 수행의 핵심적인 요소로서 순간순간 몸과 마음의 집착을 끊게 함으로써 스트레스 감소, 면역력의 증가, 만족과 수용 그리고 종교적 완성을 성취하게 한다. 이에 사띠의 중요성만큼이나 수행법의 이해와 저변 확대를 위한 ‘-구나’ 행법은 사띠 함의(수동적 주의집중, 마음챙김, 새김, 주시, 알아차림, 정념 등)에 관한 현대적 수용이며, 그 상관성은 매우 크다. 따라서 이 행법은 한국사회의 각성을 돕는 유용한 도구가 될 것이라 기대된다. 이것은 지금 이 순간 몸과 마음의 명상 주제에 대한 현상(法)의 유무와 상황을 향한 ‘있는 그대로’의 관찰을 의미하며, 말미에서 ‘-구나’를 통해 반조하는 자각을 나타낸다. 이러한 ‘-구나’ 행법의 도입과 활용의 의미는 이것이 한국인에게 보편화된 생활용어이며, 사띠의 기능과 역할에 있어 가장 근접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그것의 특징은 보임, 들림, 느껴짐 등 인지하는 대상에 대해 있는 그대로 바라보는 ‘관찰자의 위치성’, ‘수동적인 관찰’, ‘순간순간의 비판단적 자각’ 등에 있다. 따라서 몸과 마음의 일어나는 현상에 대해 ‘-구나’가 일어나는 순간만큼은 분명한 사띠가 존재한다. 이 행법은 오염원의 입장에서 관찰자의 위치성으로 이동을 의미하며, 대상과의 동일시에 벗어나 괴로움의 소멸과 함께 통찰의 토대가 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modern application of Sati practice, which has spread as a contemporary spiritual culture in the 21st century. In today's world, the rapid expansion of material culture has led to competition, selfishness, nihilism, and isolationism, resulting in various psychological disorders and social conflicts and demanding proper awareness both individually and collectively. In this era of reflection, meditation is gradually becoming more popular with social support, and Sati is the major form of meditation. Sati is a key element of Buddhist practice, enabling individuals to break free from the obsession of body and mind to reduce stress, increase immunity, and achieve contentment, tolerance, and ultimately, religious fulfillment. Given the importance of Sati, the “-guna” practice, which aims to deepen understanding and expand application of Sati, is a modern interpretation of the implications of Sati—passive attention, mindfulness, recollection, observation, awareness, and right mindfulness.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is significant. Therefore, this practice is expected to be a valuable tool in aiding the awakening of Korean society. This refers to the observation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phenomena (dharma) regarding the target of meditation of body and mind at this moment, and the observation of progression “as is,” culminating in self-reflection through “-guna”. The significance of introducing and applying the “-guna” practice lies in the fact that it is a commonly used Korean term in everyday language and is closely aligned with the function and role of Sati. Additionally, its characteristic features include the “observer's position,” “passive observation,” and “non-judgmental awareness of moments,” all of which involve observing perceived objects—such as seeing, hearing, and feeling—exactly as they are. Therefore, at every moment when “-guna” arises in response to the phenomena occurring in the body and mind, true Sati is present. This practice signifies a shift from the standpoint of contaminant to the position of observer to deviate from identification with the object and to lay the foundation of insight with the cessation of suffering.
옥장숙,이거룡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4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25 No.2
본 논문의 목적은 요가수뜨라(Yogasūtra)의 스므리띠(smṛti)를 고찰함으로써, 요가의 마음챙김(mindfulness)을 검토하고, 현대요가에서 마음챙김요가(Mindfulness Yoga)의 적용 가능성을 모색해 보는 것이다. 요가수뜨라에서 스므리띠는 마음작용(1.6, 1.11)으로 제시되기도 하고, 방편(1.20)으로 제시되기도 한다. 마음작용(1.6, 1.11)의 스므리띠를 '기억(memory)'으로 해석하는 것에는 큰 이견이 없어 보인다. 반면에 요가수뜨라 1.20의 스므리띠에 대해서는 크게 기억(memory), 선정(dhyāna), 사띠(sati) 등의 견해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요가수뜨라 1.20의 스므리띠에 대한 이러한 해석들도 또한 모두가 사띠와 무관하지 않음을 살펴 봄으로써 1.20의 스므리띠가 불교수행의 사띠처럼 ‘마음챙김’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음을 알아 본다. 아사나는 신체수련으로 이해되는 것이 일반적인 현대 하타요가의 흐름에서 하타요가의 대표적인 큰 스승인 아이엥가르(B.K.S. Iyengar)가 그의 요가수뜨라 해설에서 아사나를 명상의 과정으로 설명하는 부분은 본 논문의 주제와 관련하여 주목할 만하다. 특히 3.1에서 “응념(dhāraṇā)에 의해 외적 수련이 내적 성찰로 전환된다”고 설명한다. 응념의 이러한 성격은 고엔까 위빳사나의 아나빠나사띠에 관한 설명에서 “한 대상에 계속 머물러 집중 유지하기”와 “잡생각 물리치기”라는 집중의 중요한 두 가지 자질을 계발할 수 있다고 설명하는 부분과 상통한다. 이는 ‘응념’이 아사나에서 사띠와 유사한 성격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위 논의들을 토대로 볼 때, 아사나 중심의 현대 요가에서 ‘마음챙김요가’는 적용 가능하다고 보여진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mindfulness in yoga by examining the concept of smṛti in the Yogasūtra, and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mindfulness yoga in contemporary yoga. In the Yogasutra, smriti is presented both as an action of the mind (1.6, 1.11) and as a method (1.20). There seems to be little disagreement with interpreting smriti as “memory” in the mind-action (1.6, 1.11). On the other hand, there are three main views of smriti in Yogasūtra 1.20: memory, dhyāna, and sati. This paper will show that these interpretations of smriti in Yogasūtra 1.20 are not all unrelated to sati, leaving room for smriti in 1.20 to be interpreted as “mindfulness,” like sati in Buddhist practice. In the modern stream of hatha yoga, where it is common for asana to be understood as a physical practice, it is noteworthy in relation to the topic of this paper that B.K.S. Iyengar, the greatest teacher of hatha yoga, describes asana as a process of meditation in his commentary on the Yogasūtra. In particular, in 3.1, he explains that “by dhāraṇā, external practice is transformed into inner reflection.” This characterization of dhāraṇā resonates with the description of anapanasati in the Goenka Vipassana, where it is explained that it enables us to develop two important qualities of concentration: “maintaining concentration by staying on one object” and “eliminating distractions.” This shows that dhāraṇā is of a similar nature to sati in asana.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it seems that mindfulness yoga is applicable in modern asana-centered yoga.
요가와 위빠사나의 스므리띠(smṛti) / 사띠(sati) - 심리치료의 중요 개념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조준호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9 선문화연구 Vol.27 No.-
Currently, the term ’mindfulness yoga‘ is used in Korea. It is a translation of the Western ‘Mindful Yoga’ or ‘Mindfulness Yoga’. Here is the background of Vipassana. This term is a translation used in relation to Vipassana practices. Vipassana's key word is smṛti / sati, and the widely used English translation is mindfulness. At present, mindfulness is used in various ways such as psychotherapy, healing or counseling. Likewise, yoga is combined with the words mindful or mindfulness to represent a kind of new yoga practice. In Western psychotherapy, a combination of Vipassana and yoga is underway. By the way, the smṛti of yoga is mindfulness? This paper examines the mindfulness of ‘mindfulness yoga’ that has been progressed without academic review. It is asking the applicability of the mindfulness of yoga. For this purpose, I first critically examine the context of smṛti, which is explained in Yoga Sutra and the commentaries on it. It raises the fundamental question of whether mindfulness is applicable to yoga, as in “Mindfulness Yoga.” In conclusion, it is difficult to find a case where smṛti is used in the classical yoga tradition as a perceptual or practice method of meditation such as Vipassana's mindfulness. In classical yoga, smṛti means that the meaning of memory is central, but it is difficult to see it as mindfulness. Furthermore, it was suggested that the applicability of mindfulness would also be difficult in the current movement and posture-based yoga practiced in the contemporary world. It is clear that modern yoga adopts and uses the mindfulness used in modes of Vipassana. In this regard,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elucidate the practice of yoga practice that can be used in the same meaning and content as Vipassana's mindfulness. In doing so, research on the therapeutic functions and effects of yoga based on Yoga Sutra and the yoga tradition will take a new step. 현재 한국에서 ‘마음챙김 요가’라는 말이 사용된다. 서구의 ‘Mindful Yoga’ 또는‘Mindfulness Yoga’의 번역어이다. 여기에는 위빠사나의 배경이 있다. 이 용어는위빠사나 수행과 관련하여 사용된 번역어이다. 위빠사나의 핵심어는 smṛti / sati 이고 널리 사용되는 영역은 mindfulness이다. 현재 mindfulness는 심리치료와 힐링 또는 상담 등 다양하게 적용되어 사용된다. 마찬가지로 요가도 mindful 또는mindfulness라는 말과 결합되어 새로운 요가 수행의 한 종류를 보여주고 있다. 서구의 심리치료 입장에서 위빠사나와 요가의 결합이 진행되고 있다. 그런데 요가의 스므리띠는 mindfulness / 마음챙김인가? 본고는 그동안 학문적 검토없이 진행되어 왔던 마음챙김 요가의 mindfulness를 검토한다. 요가의 mindfulness에 대한 적용가능성을 묻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먼저 『요가 수뜨라』와 이에 대한주석서에서 설명되는 smṛti의 맥락을 비판적으로 검토해 본다. 요가에서 ‘마음챙김 요가(Mindfulness Yoga)’처럼 mindfulness를 요가에 적용가능한지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을 제기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고전요가 전통에서 위빠사나의 mindfulness과 같은 지각 방식이나 수행 방식으로 smṛti가 사용된 사례를 찾기는 어렵다. 고전요가에서 smṛti는 기억(memory)의 의미가 중심이지 mindfulness의 의미로 보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나아가 현재 세계에서 행해지고 있는 동작과 체위 중심의 요가에서 mindfulness에 대한 적용가능성 또한 어려울 것이라는 의견을 제시해 보았다. 분명 현대요가가 위빠사나에서 사용하는mindfulness를 채택하여 사용했음이 분명하다. 그러한 점에서 위빠사나의mindfulness와 같은 의미와 내용으로 쓸 수 있는 요가 수행의 행법을 구명해 낼후속연구가 필요하다. 그렇게 될 때 『요가 수뜨라』와 요가 전통에 근거한 요가의치료적 기능과 효과에 대한 연구가 새로운 단계로 나아갈 것이다.
사띠(sati)와 사마디(samadhi)의 중도적 구조에 대한 연구 -초기불교와 현대심리학을 중심으로-
김범진 ( Bum Jin Kim ) 인도철학회 2012 印度哲學 Vol.0 No.35
붓다 가르침의 방식은 중도로 요약될 수 있다. 중도적 구조가 계정혜삼학에서 집중(定)인 사마디와 사띠에도 적용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초기 불교의 집중(定)에 관해서는 많은 연구가 있어왔지만 사띠와 사마디를 대립되는 양변으로 보고 이를 통합하고 초월하는 중도적 관점에서 본 연구는 아직 없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의미가 있다. 본고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있다. 첫째, 사띠가 ``거리두기``를 중요한 요소로 가지는 집중임이며 이 거리두기의 요소가 현대심리학에서 마음챙김의 요소로 활용되고 있다. 둘째, 사마디는 밀착의 요소를 가진 집중이다. 셋째, 사띠와 사마디가 처음에는 ``거리두기``와 ``밀착``의 상반된 힘을 가지지만 ``올바른`` 차원 그리고 중도적 차원으로 갈수록 서로상입되고 통합된다. 요약하자면, 붓다가 지향했던 집중은 사띠와 사마디, 이 둘을 포괄하고 넘어선 중도적 집중이다. The Middle Path is the way how Buddha taught the dhammas. We can find this middle-way structure in many of Buddha`s teachings: Middle-way between asceticism and hedonism, between eternalism and annihilationism, and between being and non-being. This study shows that such middle-path structure is not only restricted to those mentioned above, but also can be seen in the relations between sati and samadhi. Precept(Sila), Concentration(Samadhi), and Wisdom(Panna) are the three supreme principles of Buddha`s teaching. Given that Precept is the prerequisite of Concentration and wisdom is the result of Concentration, we assume that Concentration is at the center of Buddha`s teaching and practice. Concentration consists of right samadhi and right sati. This indicates that clarifyng the meaning of samadhi and sati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are very critical in Buddhist practice. The study examines that samadhi and sati have opposing factors to each other: sati has ``distancing`` factor while samadhi has ``adhering`` factor. In early Buddhism, Concentration has middle-way structure that combines and transcends these two contrary factors. Much research has been done on the topics of samadhi and sati, but most consider sati and samadhi as complimentary, not as contrary. None has taken the approach of seeing these two as contrary factors which later synthesized into concentration within a middle-path structure. This study consists of four parts: First part shows that sati is unique concentration which has ``distancing`` force in it and such distancing factor plays a key role in mindfulness induced psychotherapy, which scholars and researchers adopted from vipassana practice in western and psychotherapeutic context. Second is about samadhi. Samadhi is concentration with ``adhering`` force in both the Yoga and Buddhist practices. Third part is about the dimension of concentration. In the general dimension, sati and samadhi have contradictory forces, but when entering into ``right`` dimension, these two begin to penetrate into each other. And ultimately in the middle-path dimension they are combined and transcended within Concentration. This indicates that the concentration that Buddha sought is not either sati or samadhi only, but the middle-path Concentration that embraces and transcends both of them.
마음챙김(mindfulness) 담론의 전개 맥락과 과제 - 교육적 활용을 지향하며 -
지우섭 ( Ji¸ Woosub ) 한국교육철학학회 2020 교육철학연구 Vol.42 No.4
Mindfulness is discussed in various contexts, yet a careful consideration of these contexts is often lacking. The understanding of the definition, purpose, method, and application of mindfulness is confusing and complicated. Discussions on mindfulness are typically derivative, decentralized, and sporadic. The study of the main context of mindfulness is necessary for deeper and more meaningful conversations about the implications of mindfulness and the application to education. This article examines the main contexts in the discourse regarding mindfulness and its relevant issues in various fields. Mindfulness discourse can be classified into four basic contexts: Buddhism, recontextualized mindfulness, Langer, and Neo-Confucianism. This article argues that analyzing discussions on mindfulness in four basic contexts and integrating discussions in a new context based on ‘being’ are needed for advanced discourse. The following matters may be considered for the educational application of mindfulness: First, it is essential to analyze preceding studies on mindfulness and to integrate discussions on mindfulness. Second, for education, a ‘being-based’ mindfulness approach is significant. To this end, ‘mindfulness-based education’ may be utilized. Third, religious problems on mindfulness should be considered. Fourth, methods of writing good textbooks and training excellent teachers should be establish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