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把’구문의 분류 문제 재고-‘사동성’을 중심으로-

        이윤경,최재영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23 中國硏究 Vol.97 No.-

        본고에서는 현대중국어 ‘把’구문의 문법의미를 규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의미 분류를 시도하였다. ‘把’구문의 문법의미를 규정하기 위해 먼저 기존의 견해를 ①처치설, ②사동설, ③처치설과 사동설의 이원론 등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본 후, 이를 통해 기존 견해인 처치설과 사동설은 ‘사동성’이라는 공통된 문법의미에 기반하고 있으며, 단지 사동자의 행위자성에 차이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어서 ‘把’구문을 사동범주를 구성하는 하나의 구성원으로 보고, 사동자의 행위자성 측면에서 ‘의도성 사동 把구문’과 ‘비의도성 사동 把구문’으로 나누어 세부적인 통사구조와 특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다음은 BCC코퍼스 문학영역에서 추출한 예문 416개를 대상으로 고찰한 결과이다. 첫째, 주어의 행위자성에 기반하면 ‘의도성 사동 把구문’은 [+의도성]을, ‘비의도성 把구문’은 [-의도성]의 의미자질을 가진다. 둘째, ‘의도성 사동 把구문’은 의도를 가지고 실행한 결과에 따라서 ‘타동성의 강화’ 유형과 ‘위치이동·속성변화’ 유형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셋째, '타동성의 강화'유형은 다시 8개의 하위 문형으로 분류할 수 있고, '위치이동·속성변화’ 유형은 다시 3개의 하위 문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넷째, '비의도성 사동 把구문’은 주어의 의미역이 '원인자'인 문형과 '경험자'인 문형 2개로 분류할 수 있는데, 주어의 의미역과 무관하게 모두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나타내므로 '원인/경험자-의도치 않은 결과' 유형으로 귀납할 수 있다. 다섯째, ‘의도성 사동 把구문’과 ‘비의도성 사동 把구문’은 각각의 구조, 주어의 유정성, 목적어의 한정성, 행위자성, 타동성 등에서 상이한 특징을 갖는다. This paper aimed to define the grammatical meaning of the ‘BA(把)’ construction in Modern Chinese and based on this, attempted a new semantic classification. To define the grammatical meaning of the ‘BA(把)’ construction, this paper examined three existing perspectives: ① the disposal perspective, ② the causative perspective, ③ the dual perspective of disposal and causative. Through this examination, it was suggested that both the disposal and causative perspectives are grounded in a common grammatical meaning of ‘causative’ with the only difference being the agentivity of the causer. In light of this, the paper regarded the ‘BA(把)’ construction as one constituent of the causative category and divided it into two categories based on the agentivity of the causer: ‘intentional causative BA(把) construction’ and ‘unintentional causative BA(把) construction’. The analysis is based on 416 examples extracted from the BCC corpus in the literary domai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agentivity of the subject, ‘intentional causative BA(把) construction’ has the semantic feature [+intentionality], while ‘unintentional causative BA(把) construction’ has the semantic feature [-intentionality]. Second, ‘intentional causative BA(把) construction’ can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transitivity reinforcement’ type and ‘location shift/attribute change’ type, depending on the intended outcome of the action. Third, ‘unintentional causative BA(把) construction’ can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those with the semantic role of ‘causer’ and those with the semantic role of ‘experiencer’, as they all indicate an unintended result regardless of the semantic role of the subject, so they can be reduced as ‘cause/experience-unintended result’ types. Fourth, the paper analyzes the structures, frequency, animacy of the subject, definity of the object, agentivity, transitivity, and occurrence of an event of the two types, as shown in the table below.

      • KCI등재

        목적어 수반 척도류⋅색채류 형용사에 대한 통시적 고찰 -사동⋅비대격구문 분석을 중심으로-

        서지은 중국학연구회 2023 중국학연구 Vol.- No.103

        형용사가 목적어를 수반하는 구문은 크게 사동구문(causative construction)과 비대격구문(unaccusative construction) 두 가지 유형이 있다. 두 구문은 목적어가 대상자(theme)이고 상태변화 사건을 가진다는 점에서 같으나, 사동구문은 사동자(causer)라는 외재논항을 도입하여 사동이라는 또 한 가지 사건을 가진다는 점에서 다르다. 본 논문은 이 두 가지 구문을 대상으로 척도류(scale) 및 색채류(color) 형용사 구문에 대한 통시적인 분석을 진행하였다. 척도류 형용사와 색채류 형용사 모두 주로 신체 부위와 관련된 성분을 목적어로 취한다. 다만 척도류 형용사 구문은 대체로 六朝시기 이전에 이미 출현한 반면, 색채류 형용사 구문은 이보다 늦은 시기인 宋代에 출현하기 시작한다. 척도류 형용사 구문은 사동구문 위주로 사용되는 반면, 색채류 형용사 구문은 비대격구문 위주로 사용된다. 明代 이후, 척도류 형용사 구문은 사동구문 외에 비대격구문으로도 사용되기 시작한다. 비대격구문은 형용사가 기존 사동용법일 때와는 다른 새로운 종류의 목적어 성분과 결합함으로써 출현하기도 하고(예: ‘低头’(고개를 낮추다)→‘低了声名’(명성이 낮아지다)), 목적어 성분은 변함이 없는 상태에서 오직 주어 자리의 사동자가 경험자로 의미가 변화되어 출현하기도 한다(예: ‘(S사동자)+大胆’(대담하게 굴다)→‘(S경험자)+大了胆’(대담해지다)). 중국어의 형용사로 이루어진 비대격구문은 기존 형용사의 사동용법이 약화됨에 따라 출현했을 가능성이 크다. 형용사의 사동용법이 약해질수록 이는 비대격 특성에 가까워지므로, 형용사의 기존 사동용법이 점차 비대격용법으로 변천되는 과정에서 구문상으로도 비대격구문이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장형 사동 구문의 수용성에 대한 양적 연구 — 한국어 장형 사동 구문의 피사동주 격 교체를 중심으로

        김철균(Kim, Chulkyun),엄홍준(Um, Hongjoon) 중앙어문학회 2020 語文論集 Vol.82 No.-

        이 논문은 한국어의 장형 사동 구문에서 발생하는 피사동주 격 교체(case alternation) 현상에 대한 수용성을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일반적으로 ‘-게하다’의 형식으로 이루어진 장형 사동 구문의 피사동주는 주격, 대격 그리고 여격의 세 가지 격 형태를 지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세 사동 구문이 언어 현실에서는 어떻게 받아들여지는지를 관측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 논문은 동사 유형에 따른 장형 사동 구문의 격 교체 수용 실태에 대한 양적연구를 통해 이들 세 구문의 수용성을 비교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장형 사동 구문의 피사동주의 격 교체 구문은 수용성에 있어 그 차이를 보이는데 이것은 기존 연구와 현실 언어 간의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acceptability of the case alternation phenomenon that occurs in Korean long-form causative constructions. It is generally known that the causees in the form of “-ke ha-” have the forms of three types: nominative, accusative, and dative cases. This paper attempts to compare the acceptability of these three forms in the constructions according to the verb types: accusative verbs, unergative verbs, and unaccusative verbs. As a result, it is revealed that there is a gap between existing studies and the research we have conducted on the acceptability of the case alternations of long-form causative constructions in Korean.

      • KCI등재

        'V得' 결과구문과 사동구문의 상호교체 및 의미 분석에 관한 小考

        이소림 한국중국학회 2017 중국학보 Vol.7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de' construction of 'V-de'Resultatives and 'V-de'Causatives. It is said that some 'V-de'Resultatives can be changed into 'V-de'Causatives through the moving of its 'acient/experiencer' argument, and simultaneously the active voice into the causative voice. This paper examined the semantic differences between 'V-de'Resultatives and 'V-de'Causatives, and clarified that 'external component' acting as a 'causer' is the critical factor in determining 'V-de' constructions. There also occurs an semantic changes between two 'V-de' constructions of Resultatives and Causatives, with the intervention of 'External Causer': 'Passive Occurrence of an Event' and 'Passing and Avoiding Responsibility'. 결과성을 가지는 'V得' 구문 중에서 결과부(구 구조)가 행위·상태변화의 주체를 서술하는 'V得'결과구문은 그 주체 논항이 'V得' 뒤에 위치하는 'V得' 사동구문(‘后指’형)과 상호교체가 가능하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에 본고는 인과관계로 결합된 사건이 두 가지 형식의 'V得' 자 구문으로 표현되는 언어현상에 주목하여, 주체 논항이 'V得' 앞에서 주어로 쓰이는 결과구문과 행위주가 'V得' 뒤에서 목적어로 쓰이는 사동구문의 의미적 특징과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중에서 ‘외부요인’의 개입여부는 이 두 구문을 구분 짓는 결정적 요소로, 이로 인해 'V得'사동구문(‘后指’형)은 사건발생이 주체논항의 자주적 의지에서가 아니라 어쩔 수 없이 발생된 것이고(사건발생의 수동성), 그 발생의 책임을 주체 논항 자신에게 두는 것이 아닌 외부요인에게 돌리고 있다(책임전가 및 회피)는 의미적 특징을 갖게 된다.

      • KCI등재

        `V득(得)` 결과구문과 사동구문의 상호교체 및 의미 분석에 관한 소고(小考)

        이소임 한국중국학회 2017 중국학보 Vol.79 No.-

        결과성을 가지는 `V得` 구문 중에서 결과부(구 구조)가 행위·상태변화의 주체를 서술하는 `V得` 결과구문은 그 주체 논항이 `V得` 뒤에 위치하는 `V得`사동구문(`后指`형)과 상호교체가 가능하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에 본고는 인과관계로 결합된 사건이 두 가지 형식의 `V得` 구문으로 표현되는 언어현상에 주목하여, 주체 논항이 `V得` 앞에서 주어로 쓰이는 결과구문과 행위주가 `V得` 뒤에서 목적어로 쓰이는 사동구문의 의미적 특징과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중에서 `외부요인`의 개입여부는 이 두 구문을 구분 짓는 결정적 요소로, 이로 인해 `V得`사동구문(`后指`형)은 사건발생이 주체논항의 자주적 의지에서가 아니라 어쩔 수 없이 발생된 것이고(사건발생의 수동성), 그 발생의 책임을 주체 논항 자신에게 두는 것이 아닌 외부요인에게 돌리고 있다(책임전가 및 회피)는 의미적 특징을 갖게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de` construction of `V-de` Resultatives and `V-de` Causatives. It is said that some `V-de` Resultatives can be changed into `V-de` Causatives through the moving of its `acient/experiencer` argument, and simultaneously the active voice into the causative voice. This paper examined the semantic differences between `V-de` Resultatives and `V-de` Causatives, and clarified that `external component` acting as a `causer` is the critical factor in determining `V-de` constructions. There also occurs an semantic changes between two `V-de` constructions of Resultatives and Causatives, with the intervention of `External Causer`: `Passive Occurrence of an Event` and `Passing and Avoiding Responsibility`.

      • KCI등재

        Kausativ in Variationen : eine typologisch-vergleichende Studie 유형적-대조 연구

        Ogawa, Akio 한국독어독문학회 2003 獨逸文學 Vol.86 No.-

        본 연구는 사동구문을 언어유형학적인 관점에서 고찰한다. 사동구문과 관련하여 한편으로 형태 내지 구조, 다른 한편으로 의미 내지 기능간의 관계를 결정하는 요인들은 다음과 같이 다양하다: (1) ㄱ. 사동형태소의 어휘적인 의미 ㄴ. 사동형태소의 문법화정도 ㄷ. 사동주-초점 대 피동주-초점 대 대상역-초점 ㄹ. 주어의 “외부”-영역 대 “내부”-영역 ㅁ. 단일-사건 대 복합-사건 ㅂ. 종합적 대 분석적 위의 (1)(ㄱ)부터 (1)(ㅂ)에 제시된 매개변수들에 대해 본문에서 논의가 이루어지는데, 마지막에 언급된 변수 (1)(ㅁ)과 (1)(ㅂ)은 관련 문헌에서 상대적으로 자주 논의가 되는 편에 속한다 (시바타니 1976, 콤리/폴린스키 1993, 팔머 1994). 특히 매개변수 (1)(ㅁ)은 일본어와 한국어간의 비교를 통해 극명하게 예시될 수가 있다. 이에 대한 예로는 다음과 같은 문장들이 있다 (쯔카모토 1997: 192): (2) 일본어, 한국어 ㄱ. Taro-wa Hanako-ni jibun-no keya-de hon-o yoma-se-ta. 타로-는 Hanako-에게 자기-의 방-에서 책-을 읽-히-었다. ㄴ. 타로는 하나코에게 자기의 방에서 책을 읽혔다. (2)(ㄱ)의 일본어 예문에서 주문장의 주어인 Taro 뿐만 아니라 내포절의 주어인 Hanako도 재귀대명사 jibun을 결속할 수 있는 반면, 한국어, 곧 (2)(ㄴ)에서는 주문장의 주어만이 재귀대명사를 결속할 수 있다. 이러한 언어자료의 상이성은 일본어 사동구문의 경우에 복합사건을 나타내지만, 한국어의 경우 단순사건을 나타낸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또한 두 언어간의 이러한 대조성은 해당 사태가 어느 정도까지 (주문장) 주어의 외부영역이나 내부영역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가 하는 정도의 차이에 기인하기도 한다. 격형태소가 복합술어를 어떤 정도로 종합적이나 분석적으로 형성하는가 하는 형식적인 기준도, 곧 매개변수 (20)(ㅂ)도 또한 이와 상관관계를 갖는다. 본 연구는 다양한 형태와 의미로 실현되는 사동구문의 특성을 구명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위의 (1)에 열거된 매개변수들과 혹은 또 다른 몇 가지 변수들이 서로간에 상호작용하여 형태적이나 구조적인 혹은 의미적이나 기능적인 관점에서 보아 다양한 유형의 사동구문을 생성할 것이라고 예측된다. 본 연구를 통해 최소한, 그린버그의 “개별화된 유형론”이라는 개념에서 여러 언어들을 개별적으로 유형화하는 시도의 일단을 보인 것으로 필자는 기대한다.

      • KCI등재

        釋讀口訣의 被動 表現

        金星周(Kim Seong-ju) 구결학회 2006 구결연구 Vol.16 No.-

        이 글은 고려시대 석독구결에서 피동이 어떻게 표현되었는가를 연구한 글이다. 사동은 자토석독구결에서 그에 해당하는 구결자가 있고, 점토석독구결에서도 그에 해당하는 점토가 있다. 그러나 피동을 표현하는 고유한 구결자나 점토는 없다. 이 글에서는 구결이 고전중국어의 원문을 우리말로 해석하는 과정에서 필요했다는 점에 착안하여 구결 원문에 사용된 가장 전형적이고 생산적인 고전중국어의 소위 ‘爲A所B’ 피동문을 대상으로 석독구결에서 현토된 양상을 고찰하였다. ‘爲A所B’ 피동문은 화엄경 계열에서는 ‘-???????-’로 현토된다. 그러나 ‘-???????-’ 구문은 ‘爲A所B’ 피동문의 현토에는 물론 ‘되다’로 해석되는 구문에도 현토되므로 피동문을 위한 전형적인 구문은 아니다. 유가사지론 계열에서 구결 원문의 ‘爲A所B’ 구문은 반드시 ‘爲??-’ 구문으로 현토되었다. 이는 화엄경 계열의 ‘-???????-’ 구문과는 사뭇 다른 양상이다. ‘-???????-’ 구문은 피동문은 물론 ‘되다’ 구문에도 사용되었지만, ‘爲??-’ 구문은 항상 피동문의 해석에만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爲??-’ 구문을 피동문을 위한 고유한 형식인 것으로 보는 데에는 다소 유보적이다. 이 구문을 전형적인 피동문으로 보는 데에는 무엇보다도 이 구문이 유가사지론 계열에서만 쓰였다는 사실이 주목된다. 전형적인 구문으로 정착되었다면 어떤 구결 체계를 사용하는가에 관계없이 보편적으로 사용될 것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고려시대 국어에서 전형적인 피동문의 존재에 유보적인 태도를 취하는 데에는 이 이외에도 피동문으로 사용된 다른 구문에서는 ‘爲??-’ 구문이 사용되지 않았다는 점과 15세기 국어에서 ‘爲A所B’ 구문의 언해에 사용된 표현은 문법적으로 ‘爲??-’ 구문보다는 ‘-???????-’ 구문에 가깝다는 점도 그 방증이 된다. 한편 유가사지론 계열에는 피동과 관련되어 보이는 ‘爲一??-’ 구문도 있는데, 이 구문은 그 예가 얼마 있지 않지만, 그 예들이 모두 지배하는 목적어 논항을 ‘障?’로 가진다는 사실이 주목된다. 이 구문은 ‘되다’로 해석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따라서 지금까지 연구된 결과로는 고려시대 국어의 피동문은 적어도 석독구결 자료에 기대어서는 확인하기 어렵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비록 유가사지론 계열의 ‘爲?-’ 구문이 고전중국어의 전형적인 피동문인 ‘爲A所B’ 구문의 해석에 專用된 것으로 보이지만 이러한 사실만으로 고려시대 국어에 피동 범주가 문법 범주로 존재했는지에 대해서는 결론을 유보할 수밖에 없다. It is in Seokdok-Kugyol(釋讀口訣; henceforth, SK) that a causative markers are a kugyolja(口訣字) hai(?) or a jeomto(點吐) '24(ㆍ)/42(ㆍ)'. There was, however, not any passive marker whether kugyolja(口訣字) or a jeomto(點吐) in SK. I have a question how the classical chinese passive construction was translated in SK. And if it was translated into some constructions, what is their characteristics? The Classical Chinese has several passive constructions i.e. yu(于) or or yu(於), wei(爲), jian(見), meng(蒙), and su?(所) passive constructions. Among them, however, so called wei... su?... (爲... 所...) constructions are generally and productively used in SK. Therefore they are good examples for us to investigate the passive expressions in SK because it has a clear passive markers i.e. its passive agent and original verb. To say, in a wei... su?... (爲... 所...) constructions, we can easily discern the passive agent marked by of wei(爲), passive verb phrase including 'su?(所)'. So called wei... su?... (爲... 所...) constructions is translated into two types in SK. One type is ildalha(???????) and the other type weigi(爲?) construction. The former is used in so called Avatamsaka series including Tafangkuangfohuayenchingsu(大方廣佛華嚴經疏) vol. 35th. and Buddh?vatamsaka-mah?vaipulya-s?tra(大方廣佛華嚴經) vol. 14th. as Jato-Seokdok-Kugyeol(字吐釋讀口訣) data and, Buddh?vatamsaka-mah?vaipulya-s?tra(大方廣佛華嚴經) vol. 20th. translated by ?iks?nanda(實叉難陀) and vol. 6th, 22th, 36th, and 57th and Buddh?vatamsaka-mah?vaipulya-s?tra(大方廣佛華嚴經) translated by Buddhabhadra(佛馱跋陀羅) vol 20th as Jeomto-Seokdok-Kugyeol(點吐釋讀口訣) data. The latter is used in so called Yogac?rab?mmi series including Hopuchinkuangrningching(合部金光明經) vol. 3rd. and Yogac?rab?mmi(瑜伽師地論) vol. 20th as Jato-Seokdok-Kugyeol data and Yogac?rab?mmi(瑜伽師地論) vol. 5th and 8th as Jeomto- Seokdok- Kugyeol(點吐釋讀口訣) data. But the ildalha(???????) construction in Avatamsaka Series is not only used to be translated as passive construction but also as lexical verb doeda 'to become'. This construction is, therefore, not typical grammatical passive construction. But the aspect of the weigi(爲??) construction is very different from the ildalha(???????) constructions. It is because the former are used only to translate the wei... su?... (爲... 所...) constructions. We can, however, reach a consequence in which the weigi(爲?) constructions is not a typical passive construction in Goryo Age Korean. If it is a typical passive, it should be in Yogac?rab?mmi series and needless to say in Avatamsaka series We have another type of construction, i.e. weiili(爲一??) which seems to have a relation to passive meaning. Regretfully, we have only three examples of it and they were used in a fairly limited context, i.e. 障? meaning obstacle as their governed object argument. And we can translate the '障?? 爲一??' into 'to become an obstacle', which is not a passive construction. In conclusion, there are no genuine passive constructions as a grammatical construction in Goryeo Age Korean.

      • KCI등재

        ‘—게 하—’ 사동 의미 교육의 인지언어학적 연구

        김억조 한국어문학회 2019 語文學 Vol.0 No.144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resent method of teaching the meaning of ‘-gye ha-’ and suggest improvements to the method from a cognitive linguistic point of view. Currently in Korean grammar lessons, the causative construction, ‘-gye ha-’ is taught to have the meaning with an indirect causative verb as a long-form (syntactic) causative verb, and there has been much debate on this causative construction. Based on this, therefore, the suggested corrections to school grammar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from a cognitive linguistic point of view, ‘-gye ha-’ is a single meaning construction. It has semantic dependency and recalls the causative frame, and its preceding combined roots (verb/adjective) have semantic independency. Secondly, in school Korean grammar, ‘-gye ha-’ has not been taught as a polysemous construction. In particular, in this causative construction, the causer may actually do the action, so its causative definition should also be changed. Thirdly, the meaning of ‘-gye ha-’ can be interpreted as an energy-chain problem based on the mechanical force, and in such a causative construction its meaning differs according to the degree of wight put on the causer, the causee, and the action/state. In terms of traditional Korean grammar, the meaning of ‘-gye ha-’ is separated from the meaning of ‘-gye’ and ‘ha-’. Since ‘-gye ha-’ is a single construction with polysemy in the cognitive linguistic view, its teaching should be modified in school Korean grammar based on the discussion so far. 이 연구는 ‘-게 하-’의 의미 교육 현황을 살펴보고 인지언어학적인 관점에 기초하여 의미교육 개선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게 하-’ 사동 구문은 학교문법에서 장형사동(통사적 사동)으로 간접 사동의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교육되고 있다. 지금까지의 논의를 토대로 학교문법에서 수정되어야 할 부분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언어학적인 관점에서 ‘-게 하-’는 하나의 의미 구성체를 이루는 구문으로, 의미적 의존성을 가지는데 사역 틀을 환기시키고 선행 결합어근(동사/형용사)은 의미적 자립성을 가진다. 둘째, 지금까지의 학교문법에서는 ‘-게 하-’의가 다의성을 가진 존재로 파악하여 교육하지 않았는데 ‘-게 하-’는 다의성을 가지는 구문으로, 행위자가 직접 행위를 한다는 점에서 사동의 정의 또한 바뀌어야 한다. 셋째, ‘-게 하-’의 의미는 힘 역학에 기반한 에너지 연쇄의 문제로 해석할 수 있으며 사역 구문의 행위자, 피행위자, 행위/상태가 부각되는 정도에 따라 의미가 달라진다. 전통문법에서 ‘-게 하-’의 의미는 ‘-게’의 의미와 ‘하-’의 의미를 따로 떼어서 논의하였는데 인지언어학적인 견해에서는 ‘-게 하-’는 다의성을 가진 하나의 구문으로, 지금까지의 논의를 토대로 학교문법에서 수정되어야 한다.

      • KCI등재

        한국어의 ‘시키다’ 사동 구문

        최정진(Choi, Jeong-jin) 한국어문학회 2016 語文學 Vol.0 No.134

        Although it has been accepted that the verb ‘siki-’ is a representative causative verb, there has been some misunderstandings on the syntactic features of siki- constructions. A significant misunderstanding is in analysing siki- constructions only as a kind of lexical causative constructions. However, there are at least three kinds of constructions, which can be described from the prototypical perspectives on the constructions. In this context, this paper suggests three types of causatives for (X)siki- constructions; syntactic, psuedo-syntactic, and lexical causatives.

      • KCI등재

        한국어에서의 장형 사동 구문에 대한 통사 구조

        엄홍준(Hong Joon Um) 현대문법학회 2017 현대문법연구 Vol.92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that the syntactic structures of long-from causative constructions should be derived within the same clause projected by ‘-ke ha-.’ The previous studies suggest that the syntactic structures of long-from causative constructions be divided into two types: one is that the causees are positioned in the main clause and the other is that the causees are positioned in the embedded clause. However, in this paper it is pointed out that there are some problems with the studies and the causees in the constructions should be placed in the embedded clau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