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빅데이터 활용 탐구 수업의 설계와 적용 효과 :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를 중심으로

        윤한나(Han Nah Yoon),김현진(Hyeonjin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4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빅데이터 활용을 기반으로 탐구 수업을 설계하고 적용하여 학습자의 빅데이터 활용 역량과 학습만족도에 효과가 있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방법 과학고등학교 학생 80명을 대상으로 지구과학 I에서 빅데이터 활용 탐구 수업을 진행하였다. 빅데이터 활용 역량을 측정하기 위해 시나리오 기반 빅데이터 활용 역량 사전·사후 검사와 학생 산출물(최종 보고서)를 수행평가 기준표로 평가하여 활용하였다. 학습만족도를 확인하기 위해 설문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t-검정, 신뢰도 계수 도출 및 내용 분석을 하였다. 결과 첫째, 빅데이터 활용 역량 사전·사후 검사의 대응표본 t-검정 결과 빅데이터 활용 수업 전후에 학습자의 빅데이터 활용 역량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학생 산출물(최종 보고서) 평가 결과 학습자의 문제 인식 역량과 프로그래밍 역량에서 높은 점수가 나타났다. 둘째, 학습만족도 설문 검사 결과 학습자는 빅데이터 활용 수업에 높은 학습만족도를 보였다. 이는 빅데이터 활용의 중요성을 인식한 상황에서 새로운 경험을 통해 흥미와 자신감을 얻고 융합적 사고와 협력적 활동이 가능했기 때문이라고 답하였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빅데이터 활용 탐구 수업이 학습자의 빅데이터 활용 역량 함양과 학습만족도 향상에 효과적일 수 있음을 논의하고 교육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learner competency of using big data and learning satisfaction by designing through the big data-applied inquiry instruction. Methods The big data-applied inquiry-based instruction was designed and implemented for 80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The pre- and post-tests were implemented to measure students’ big data utilization competencies. Student final reports were also evaluated based on performance evaluation criteria.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learning satisfac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test and content analysis. Result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ers big data utilization competencies before and after the big data utilization class as a result of the pre- and post-test.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student output (final reports), high scores were found in the area of learner s problem recognition competency and programming competency. Second, as a result of the learning satisfaction survey, learners showed high learning satisfaction in classes. They answered that this was because they gained interest and confidence through new experiences and that convergent thinking, and cooperative activities were possible in a situation where the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using big data.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discussed that big data utilization inquiry classes can be effective in cultivating learners competencies to use big data and improving learning satisfaction.

      • 경기도 주택·부동산 빅데이터 분석 및 활용체계 연구

        옥진아,조무상 경기연구원 2015 정책연구 Vol.- No.-

        Big Data is a technology that creates new value that can address the challenges and issues of the future society. There are introduced for Big Data are reviewed for troubleshooting issues in various fields. The real estate market are related to all fields, including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In order to solve a variety of real estate problems it must be analyzed in real-time massive data. Big Data of a real estate is growing for use cases and business models i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data accumulated by the big real estate portal Real Estate Gyeonggi Provinc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Gyeonggi-do"s looking for real estate demand patterns, and to support the real estate policy of the custom demand. Real estate data for big data analysis was utilized the actual real estate transaction volume, transaction price, the log data, and SNS data. The data broken down by regional level is needed in order to analyze Gyeonggi-do real estate big data. In addition, for increase the utilization of Big Data in real estate policy it is important to build time-series data. The usage model for real estate policy support and service through analysis study is proposed. In the short term, it is necessary to advancement of the current Gyeonggi-do real estate portal in order to take advantage of operating the proposed model. To monitor the trading price trends and changes in the real estate market should be able to navigate the changes in the local housing market and to service. In the long term, Gyeonggi-do real estate requires a platform that can take advantage of the real estate market information. Utilization of big data platform will be able to help present a new paradigm for realizing real estate policy. In order to take advantage of Gyeonggi Real Estate big data should be established Real Estate Big Data governance.

      • KCI등재

        소비자분야 공공 빅데이터 활용 현황과 고도화 방안

        나종연,이진명,구혜경,김효정,남영운 한국소비자원 2024 消費者問題硏究 Vol.55 No.1

        빅데이터 활용 능력이 국가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중요 항목으로 대두되고 있다. 소비자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정부·민간에서 소비자 관련 개선된 서비스 창출이 가능하나 현재 소비자 공공 빅데이터는 행정자료로서의 의미가 크며, 데이터가 가지고 있는 실질적인 가치를 극대화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소비자분야 공공 빅데이터의 활용 현황을 파악하고, 정책, 행정의 효율성과 성과 개선을 위해 빅데이터 활용도를 높이는 고도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소비자 공공 빅데이터의 유형과 공정거래위원회와 한국소비자원에서 보유 및 관리하는 데이터 현황을 조사하는 것을 통해 빅데이터 활용 실태를 파악하였고, 문헌고찰, 실무자 심층면접, 브레인스토밍, 전문가 자문을 통해 빅데이터 활용 고도화를 위한 제안점을 도출하고 그 타당성과 실효성을 검토하였다. 소비자분야 공공 빅데이터를 보다 체계적으로 축적하고 활용함으로써 소비자 관련 정책을 고도화하기 위해서는 공정거래위원회 내부에 존재하는 데이터들을 통합하고 분석 가능한 형태로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작업과 한국소비자원에서 관리하는 데이터를 체계화하고 품질을 개선하여 활용도를 높이는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두 기관의 DB를 상호 연계하기 위한 법적 근거 확립 및 표준화 가이드라인 마련도 필요하다. 또한, 공정거래위원회와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 빅데이터에 관한 총체적인 이해를 기반으로, 소비자분야 데이터 생산자와 수요자 등 협력 가능한 이해관계자를 명확하게 정의하고, 소비자 빅데이터의 헤게모니를 가지고 실질적인 컨트롤타워로서의 역할을 확고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기반으로 소비자분야 맞춤형 데이터 어젠다를 구축하는 하향식 접근과 소비자 빅데이터 활용 협의체를 구축하는 상향식 접근을 병행하고, 데이터 기반 문화에 대한 리더십과 지원, 데이터 자산에 대한 가치 인정 및 기술 투자 등 데이터 활용 조직문화를 확산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ability to utilize big data is emerging as an important element to increase national competitiveness. Based on consumer big data analysis, the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 can improve consumer-related services. However, currently consumer big data is only meaningful as a statistical object and is not maximizing the actual value of the data.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public big data use in the consumer sector and to propose advanced measures to increase the use of public big data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performance of policy and administration. The status of big data utilization was identified by investigating the types of consumer big data and the status of public data held and managed by the Korea Consumer Agency. Through literature review, in-depth interviews with practitioners, and expert consultation, we derived suggestions for advancing the use of big data and reviewed their feasibility and effectiveness. In order to advance consumer-related policies through the use of public big data in the consumer field, the data existing within the Fair Trade Commission must be integrated and converted into a database in an analyzable form, and the database managed by the Consumer Agency must be systematized and its quality improved to increase usability. It is also necessary to establish a legal basis and prepare standardization guidelines to interconnect the databases of various organizations. In addition, based on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consumer big data, the Fair Trade Commission and the Korea Consumer Agency must clearly define stakeholders who can cooperate, such as data producers and consumers in the consumer field, and solidify their role as a practical control tower with the hegemony of consumer big data. Based on this, a top-down approach to establish a data agenda tailored to the consumer sector and a bottom-up approach to establish a consultative body for utilizing consumer big data must be taken in parallel.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spread an organizational culture that utilizes data, including leadership and support for a data-based culture, recognition of the value of data assets, and investment in technology.

      • KCI등재

        재산권의 관점에서 본 개인정보와 빅데이터의 관계

        김성연 경북대학교 IT와 법연구소 2023 IT와 법 연구 Vol.- No.26

        빅데이터는 관련 기술의 발달로 바이오, 의료, 소셜미디어, 광고, 금융, 통신, 사물인터넷(IoT), 자율주행차 등 많은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그런데 빅데이터를 활용한 산업의 발전으로 막대한 부가 창출되고 있는 반면에 빅데이터의 기반이 된 개인정보의 제공 주체들이 소외될 우려도 점점 커지고 있다. 즉 빅데이터 기반 산업의 발전이 빅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소수의 업체들에 독점됨으로 인해서 신규진입장벽을 형성하기도 하고 관련산업의 발전으로 개인의 일자리가 줄어들 우려도 커지고 있다. 이러한 산업이 의도하는 장밋빛 미래인 인간은 일을 덜하고 문화생활을 향유하는 행복한 삶이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일자리가 없어 극빈층으로 전락할 우려를 낳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데이터 경제에서 개인정보 주체들이 보다 능동적인 지위를 획득 하여야 빅데이터 산업이 꿈꾸는 인간들의 행복한 미래가 올 것이다. 즉 개인정보주체들에게 개인정보와 빅데이터에 대한 보다 능동적인 지위를 부여할 필요성이 있다. 데이터 경제에 대한 지나친 낙관론을 경계하고 재산적 가치를 창출하는 개인정보의 과실이 정보주체인 개인에게 돌아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그렇다면 개인정보에 대한 재산적 가치는 어떤 형태로 데이터 생산자인 개인에게 보전될 수 있을 것인가? 우선 개인정보 내지 데이터는 데이터 경제의 범위에 들어가기 전과 후로 나누어 구분되어야 할 것이다. 데이터 경제의 범위에 들어가기 전에는 기존의 개인정보 내지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기존의 법체계로 수용하여야 할 것이다. 개인정보내지 데이터가 데이터 경제의 범위에 들어가면 기존의 물권이나 지식재산권과는 다른 유형인 데이터재산권이 성립하는 것으로 하여야 할 것이다. 데이터재산권은 배타적 지배권의 성격도 가지지 않고 사후적 수익권에 중점을 두는 권리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여기서 데이터재산권이 성립하게 되는 요건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것이 개인정보 활용에 대한 동의이다. 따라서 개인정보주체에게 사후적 수익을 부여하는 개인정보 활용 동의의 의미가 중요해진다. 현재의 개인정보활용 동의는 개인이 그 내용을 정확하게 파악하기도 힘들 뿐만 아니라 그 효과도 개인이 정확하게 판단하기 힘들다. 그리고 이 부분에 대한 과도한 제약은 빅데이터를 활용하려는 기업에게도 장애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동의의 의미를 개인정보의 활용에 대한 허락의 의미 이외에도 재산적 권리를 창출하는 사회적 합의 내지 계약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 그것은 개인정보 활용을 통해 발생하는 데이터재산권의 사후적 이익을 국가나 사회에 양도하는 계약으로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 활용으로 생기는 이익은 개별적인 개인정보 주체에게 돌려주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국가와 사회의 관리하에 기본소득 등의 재원으로 활용하는 거나 복지재원으로 활용하는 방안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빅데이터 회사들에게 개인정보 활용의 가능성을 더 넓게 열어주어 데이터 경제의 활성화를 추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사회과교육에 있어서 빅데이터의 활용방안

        황홍섭(Hong-Seop Hwang)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6 사회과교육 Vol.5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 교육에 있어서 빅데이터의 활용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먼저, 빅데이터와 관련된 개념, 처리 기술 및 기법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빅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한 전제로서 빅데이터 인프라 구축방안을 검토한 후 그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빅데이터 인프라 구축방안으로서 2가지 즉 첫째, 교육빅데이터 인프라구축과 교육관리분석 시스템 구축, 둘째, 학습분석시스템을 통한 거꾸로 교실 수업 모델 을 제시하였다. 빅데이터 활용방안으로서 3가지 첫째, 사회과 빅데이터 인프라 구축을 통한 체계적인 사회과 교육과정 개발과 내용선정, 둘째,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사회과 교수내용지식(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구성의 적합성 검토, 셋째, 웹기반 및 웹GIS기반 빅데이터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미래 사회과 수업에서 테크놀로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빅데이터 교육자 양성을 위한 강좌 신설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ways to build big data Infrastructure and utilize big data in social studies. To do this, first check the concept of big data, analytical skills. Next, present how to build big data infrastructure and utilize big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re are two ways to build big data Infrastructure. First, build the educational big data infrastructure, management and analysis system in education. Second, present the flipped classroom model through the learning analysis system. And there are three ways to utilize big data. First, to develop and select systematic social studies curricula and content by building big data Infrastructure in social studies. Second, to reconstruct classes by examining the Conformity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construction through analysing big data. Third, to present elaboration of PCK by actively combining pedagogical content and method knowledge while utilizing web-based and web-GIS-based big data analysis techniques.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s a new training course to create big data educators who will utilize this technology in future social studies classes.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시대에서 공공부문의 빅데이터 활용사례에 관한 연구

        강정묵(Kang Jung muk) 한국정책개발학회 2021 정책개발연구 Vol.21 No.1

        현재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정부, 지자체 등 공공부문에서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빅데이터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책을 추진할 수 있기 때문에 공공부문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부문의 빅데이터 활용사례를 분석하여 성공요인을 도출하고 공공부문에서 빅데이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정책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빅데이터 전담조직 신설 및 운영, 빅데이터 관련 조례 제개정, 빅데이터 전문인력 확보, 빅데이터 전문기관과의 협력 등이 성공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도출된 성공요인을 기반으로 빅데이터 활용정책을 추진할 경우, 복잡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새로운 가치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정책적 시사점은 빅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한 기본적인 환경을 조성해야 하고 빅데이터를 지속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협력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Currently, the interest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es such as big data, IoT,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s increasing. Recently, the public sector like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is making efforts to utilize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es. Especially, in case of big data, the policies could be carried out based on data, so it could be usefully utilized in the public sector. Thu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raw the factors of success by analyzing the cases of utilizing big data in the public sector, and also to present the policy measures for actively utilizing big data in the public sector.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establishment/operation of organization in charge of big data, enactment/revision of ordinances related to big data, securement of manpower specialized in big data, and cooperation with big data institutions were drawn as the factors of success. In case when carrying out the big data utilization policies based on the drawn factors of success, it would be helpful for solving such complex social problems, and also draw new values by utilizing big data in various areas. As the policy-level implications of this study, it would be necessary to build the basic environment for utilizing big data, and also to establish the cooperation system for the continuous utilization of big data.

      • KCI등재

        빅데이터의 정책적 활용과 과제 : 빅데이터 추진 현황과 정책적 적용 쟁점을 중심으로

        김성우,정건섭 한국비교정부학회 2014 한국비교정부학보 Vol.18 No.3

        The study is concerned with policy implementation and alternative policy options of big data which has characteristics such as volume, velocity, and variability. Nowadays, what is so called, the issue of big data is ubiquitous in recent years, such as openness public data, solving alternatives of social problems using big data, etc. Especially, the role and issue of government will be focused on the application of big data. It is evident that scientific policy implementation and citizens’ administrative convenience should be improved by way of using big data technology in government. Unfortunately, there is no rule out that the gathering and analysis of unreliable big data will cause the error or noise of the policy. In order to reduce the error or noise of the big data related policy, it is necessary to have the expert or specialized person of big data more than anything else. There is no doubt that the number of experts of big data are equal to the regional competitive power in the near future. Notwithstanding, the infrastructure of Information Technology is inferior to the national capital regions; accordingly, the regional governments have to dependent on the central government in terms of the structure in system establishment, analysis, application of big data. This kind of disparity will cause the regional inequality in the era of big data. Therefore, the regional government should foster and support the IT or big data experts with the relation of the regional universities.

      • KCI등재

        지방정부의 빅데이터 활용에 관한 영향요인 분석: 서울시 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강정묵 ( Jungmuk Kang )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2017 국정관리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빅데이터 활용에 기본적인 환경을 제시해보고 빅데이터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빅데이터 활용의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법제도 요인, 기술 요인, 데이터 요인이 매개변수인 행태 요인에 영향을 주었으며, 법제도 요인을 제외한 모든 요인이 빅데이터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을 살펴보면, 빅데이터 활용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빅데이터에 관한 기본적인 이해를 높이고 전문성을 갖춘 인력을 지속적으로 양성할 수 있는 교육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또한 빅데이터 기술을 기반으로 공공데이터를 보다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데이터 관리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한 기본적인 환경을 구성해보고 빅데이터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해보았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미를 두고자 한다.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basic environment for Big Data and empirically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big data utilization. Factors influencing big data utilization were analyzed and as a result, legal system factors, technology factors and data factors influenced behavioral factors, which are parameters, and all the factors except the legal system factors were found to influence the utilization of big data. Based 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educational system that can raise a basic understanding of big data and continuously train professional manpower in order to increase the big data utilization level. It is also necessary to build a data management system that can operate public data more accurately and objectively based on Big Data Technolog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we created a basic environment for utilizing Big Data and derived the factors that affect Big Data.

      • KCI등재

        빅데이터 분석 도구 개발기술 동향

        임철수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2014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논문지 Vol.10 No.5

        스마트폰과 태블릿 PC와 같은 디바이스 보급과 이동통신 기술 발전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는 폭증하고 이를 저 장하고 분석하며 처리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하게 되었다. 이전에 경험하지 못한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빅데이터의 관련 기술은 산업적으로도 각광받는 분야가 되었고 다양한 응용분야들에 적용되고 있다. 빅데이 터 분석 툴은 현재 현황을 확인하는 능력을 제공하며, 데이터의 패턴을 분석하고 활용가능한 방대한 데이터들로부 터 가치 있는 사실을 얻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빅데이터 분석 기술들을 파악 하고 빅데이터 활용 범위와 목적에 가장 부합하는 효율적인 방식을 제공하기 위하여 전망과 향후 방향들을 제시하 고자 하였다. Due to the advances in device technology such as smartphones and tablet PCs and mobile technology, the amount of the generated data is increasing rapidly. In order to analyze such a huge amount of data, big data-related technology has become an enthusiastic area and is desired in many applications. Big data analysis tools provide the ability to identify trends, detect patterns and glean other valuable findings from the sea of data available. In this study, to provide an overall view of the currently available big data analytics and their utilization, we presented a detailed survey on state-of-the-art big data analysis techniques and their future prospects.

      • KCI등재

        빅데이터 환경에서의 개인정보 활용에 대한 소비자인식

        김인혜 ( Kim Inhye ),여정성 ( Yeo Jungsung ) 한국소비자학회 2017 소비자학연구 Vol.28 No.6

        빅데이터 활용 기술이 발전하면서 온라인에서 소비자가 적극적으로 생산하거나, 기록되는 개인과 관련된 정보들이 사업자에 의해 수집·분석되고 있다. 본 연구는 빅데이터 환경에서 생산되는 정보를 소비자가 개인정보로 인식하는 수준을 알아보고, 사업자의 개인정보 활용에 대한 소비자의 동의정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10대에서 50대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패널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도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개된 정보와 이용내역정보를 포함한 빅데이터 환경에서 생산되는 정보를 소비자가 자신의 개인정보라고 높게 인식하였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여성이, 50대가 아닌 연령대가, 개인정보 보호 행동 점수가 높고, 개인정보 유출 경험이 있거나 유출된 적이 없음을 확신하지 못하는 소비자가 빅데이터 환경에서의 정보를 자신의 개인정보라고 높게 인식하였다. 또한 공개된 정보보다 이용내역정보를 개인정보로 더 높게 인식하였다. 소비자는 사업자가 개인정보를 비식별화한다는 사실을 인지하더라도 사업자의 개인정보 활용에 전반적으로 동의하지 않았다. 또한 사업자가 개인정보를 활용하여 일부 혜택을 제공할 때에도 소비자의 동의정도가 낮았다. 단, 사업자가 개인정보 활용에 대해 고지하거나 동의를 받는 등 적극적 조치를 취하는 경우 소극적 조치를 취할 때보다 소비자의 동의정도가 높았다. 또한 개인정보가 활용되는 과정과 범위에 자신의 의사가 반영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소비자일수록 사업자의 개인정보 활용에 동의하는 정도가 높아졌다. 본 연구는 빅데이터 환경에서의 개인정보와 개인정보 활용에 대해 정보주체인 소비자의 입장을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 사업자가 개인정보를 활용할 때 정보주체인 소비자의 동의를 얻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함을 밝혀내었다. 또한 사업자가 소비자에게 정보 활용의 과정과 범위에 대한 사실을 명확하게 전달하고, 개인정보를 활용할 때 소비자의 의사를 반영할 수 있는 통로를 마련하는 등 정보주체인 소비자를 존중하며 빅데이터 산업의 활성화를 달성하는 것이 중요함을 제안한다.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established Big data Guideline which allows operators to use consumer information. Korean society calls for amending the guideline a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nvasion of privacy occurs during the process of operators’ using such inform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which information consumers perceive as their own personal information and how they think about the usage of information by operators in big data environment. This study reveals the consumers’ perception on personal information and its usage in big data environment. In this study, an online panel survey was conducted with 574 consumers in their teens to 50s. The main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nsumers highly perceive as their personal information all the information produced in big data environment,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which they make public and online behavior information. This result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we need to expand the scope of personal information in related studies. Second, most consumers do not give consent to the operators’ usage of personal information. While consumers do not accept the usage when operators do not inform on it well, they consent a little more when operators inform on it and get consumers’ consent directly. This result reveals that usage of personal information in big data environment should be careful. Lastly, consumers give their consent to operators’ using personal information when they perceive that their opinion is reflected throughout the process of information usage. That is why we need to hear the voice of consumers when amending Big data Guideline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