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中國의 주택보장정책에 대한 평가

        백승기(Paik Sung Ki) 동아인문학회 2012 동아인문학 Vol.23 No.-

        중국의 주택 시장이 시장경제화하면서 중ㆍ저소득계층의 주택문제는 날로 심각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주택부족에 따른 사회병리적 문제들을 보면 이제 중국에서 주택은 단순한 경제적 문제에 그치지 않고 정치적ㆍ사회적 문제로 다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다. 중국 정부는 최근 사회보장적 성격을 지니는 공공주택인 경제적용방(經濟適用房)과 염조방(廉租房) 정책을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사회보장적 성격의 주택정책은 실시 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무엇보다 사회보장성 주택의 공급이 수요에 비해 매우 부족한 실정인데, 그 이유는 재원 조달의 어려움, 주택보장에 관한 법률제도의 미비 그리고 주택보장정책의 집행에 있어서 지방정부의 비협조 등을 들 수 있다. 업적(政績)평가체제 아래에서, 경제발전과 재정수입의 증가가 지방정부의 가장 중요한 임무였고, 상급정부가 하급정부를 평가하는 주요 지표가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효과가 나타나기까지 장기간이 필요한 주택복지 같은 것은 차 순위로 밀려 날 수밖에 없었다. 본 연구는 서론에 이어 제2장에서는 중국 주택정책에서 시장지향성과 사회보장성 간 갈등을 살펴보고, 선행연구와 연구 분석틀을 소개한다. 제3장에서는 중국 주택보장정책의 진행 과정과 주요 내용을 살펴보는데, 먼저 사회보장성 주택정책의 진행 과정을 개관한 뒤, 경제적 용방과 염조방으로 나누어 실시 현황을 분석한다. 제4장에서는 중국주택보장정책의 사회정책적 분석을 행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가치비평적 정책분석방법(value-critical policy analysis)을 활용하고자 한다. 이 방법은 다시 사회문제분석과 사회정책요소분석으로 구분하여 사회보장성 주택정책을 분석하게 된다. 제5장에서는 중국의 주택보장제도의 향후 정책적 과제를 살펴본다. 주택보장 관련 입법이 현실의 수요에 맞게 정비되어야 한다는 점과 중앙정부와 지방정부를 연결하는 집행조직의 강화 등을 언급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결론을 내리는 순으로 진행된다. Since the deepening of the housing reform-the transition from plan to market-, a housing security system featured by Economical Affordable House, Low-Cost Rental housing is established in China. This paper reviews the progress made in the 1980-90s and the outlook for new housing policies being proposed and implemented in china today. While the Chinese housing reform programme has been rigorously implemented along the direction of marketization and commodification, this paper argues that the reform process has generally neglected its side effect. The uncertainty and risks are emerging at a number of levels and areas. This article looks at the uncertainty and equity problem of the chinese housing market. This paper considers that marketization is the basic cause of prosperity in real estate, and to stabilize the real estate market is still the fundamental way to solve the housing problem. However, to solve the housing problem can not solely rely on the market, housing for low-income group has to rely on the security housing, and the construction of security housing is needed to step up. This article examines housing policy for low-income group from a social security perspective and provides some suggestions for future reform of affordable housing and low-cost rental housing.

      • Analysi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during the pre-colonial era

        이동배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2010 한어문교육 Vol.22 No.-

        이 논문은 개화기 초등학교에서 사용된 국어 교과서 3권 (유년필독, 국민소학독본, 고등소학독본)를 비평적 담론으로 분석한 것이다. 기존의 학자들이 교과서를 분석할때 주로 주제 분석이나 개화기 교육정책등을 많이 연구하였으나 교과서에 있는 텍스트를 직접 분석한 연구가 거의 없었다. 그래서 이 연구에서 개화기 교과서 3권에 있는 텍스트를 비평적 관점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특히 교과서에 나타난 텍스트 내용을 주제에 따라서 크게 네가지(역사, 지리성, 도덕성, 과학과 자연)로 분류하였으며 각 주제를 대표하는 이야기를 이야기 문법과 비평적 담론으로 분석한 것이다. 또한 개화기(식민 이전시대)의 담론을 본석하기 위해 서양의 비평이론이나 탈 식민주의 이론을 사용하고 있다. 이 논고에서 저자는 개화기 당시의 교과서가 어떤 이념을 포함하고 있는지 그리고 어떤 계층의 이익을 대변하는지?를 살펴보았으며 아울러 텍스트가 누구의 이익을 위해 구성되어 졌는가? 또 아동들의 세계는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가? 또 일관성 있게 제외된 이미지는 무엇이 있으며 그 제외된 이미지는 무엇을 암시하는가? 하는 것을 다루고 있다. 분석결과는 정부나 상류층의 이념이 전반적으로 반영되었으며 아동들에게 국가 사랑과 민족주의와 친서방 정서를 심는 이념이 주도적으로 제시되고 있음을 발견했다. 아울러 아동들의 세계는 어른들의 세계로 제한되었고 그 세계도 아동들이 체험하는 진정한 세계라기보다는 이상적, 상상의 세계가 많이 제시되었다. 또한 식민주의자나, 한국을 식민지화하려고 준비하던 일본에 대한 언급을 의도적으로 피한 것을 발견할 수 있었고 문명이 발달한 서구 나라들의 부정적인 면은 모두 빠져있음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중국을 멀리하고 암시적으로 일본에 대해 좋은 호감을 갖도록 하는 내용이 텍스트의 기저에 들어 있음을 볼 수 있었다.

      • Critical Analysis of Japanese ideology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1913·1938

        Dong Bae Lee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2012 한어문교육 Vol.27 No.-

        1913-1938년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일제 이념의 비평적 분석 이동배 이 논문은 일제 식민지 시기의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이념을 분석한 것이다. 주제나 제목, 정책 등을 중심으로 연구했던 기존의 방식과는 달 리 이 연구에서는 비평적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교과서에 있는 텍스트를 직접 분석하였다. 4권의 고과서에 나타난 큰 주제가 역사, 지리, 경제의 의존성, 도덕, 과학 등으로 나뉘어줘 있어 각 주제별로 분석한 것이다. 그 분석 결과는 한국의 역사적 인물이나 위인들은 거의 사라지고 언급이 되어도 어린 시절이나 평범한 인간의 모습으로 축소되어 나오고 있었다. 특이하게 석탈해가 언급되었는데 이것은 그들이 주장하는 내선일체의 이론을 합리화 시키려는 의도로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반면에 일본 황제와 일장기에 대한 충성이 강조하는 것이 언급되고 일본의 위인들이 등장하고 있었다. 대체로 교과서에 나타난 한국 인물들 은 자신감으로 가득 찬 모습은 보기 힘들고 수동적이지만 친절해야 하고 권위자에 대해 순종적인 모습으로 등장하고 있었다. 또한 아동들에게 황제에 대한 충성심, 복종을 주입하는 내용들이 많이 나타나 있었다. 한 국 인물들은 어린이부터 어른까지 모두가 항상 뭔가를 열심히 해야 하는 모습으로 등장하고 있는데 이것은 일본이 한국인들을 그들을 섬기는 이 등국민으로 양성해나가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는 것이라 하겠다. 그러나 노인이나 병자, 가정의 여러 가지 일들을 돌보는 모든 책임은 한국인들 140·한어문교육 제27집 (심지어는 5살짜리 어린이)에게 지우는 것을 볼 수 있다. 지리에서 일본은 중국이나 러시아보다는 탁월한 세계의 중심이자 중 국을 개방시키는 강대국으로 등장하고 있었다. 또한 그들의 식민 수탈경 제를 위해 철도를 개발하고 기차로 물건을 실어 나르는 것을 미화하고 있었으며 과학기술은 개화기보다도 적게 묘사되어 있었다. 이것은 일본 이 한국을 개발 발전시키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그들의 식민지로 수탈하 는 데 목적이 있었기 때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교과서를 통해 어린이 들을 일본 식민지 이념에 합당한 인물로 만들어 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Enhancing Criticality in EFL Learners through Active Critical Writing Program

        Kim, Eunjeo(김언조)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2018 영미연구 Vol.42 No.-

        오늘날 비평성은 개발되고 성숙될 수 있는 체험적 능력(Barnett, 1997)이라고 인식된다. 비평적 담화 연구의 영역에서 발표된 의미 있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비평적 인식이 적극적인 비평성 매개 프로그램을 통해서 개발되고 향상될 수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15주간 시행된 영어작문 집중 프로그램에 참여한 19세에서 28세이 이르는 134명의 대학생 학습자를 실험대상으로 적극적 비평성 매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영어작문 수업에서 실시된 적극적 비평성 매개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적극적인 비평적 참여를 유도하기 위하여 일상적 비평성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도록 구성하였다. 예를 들어 비평적 관점 취하기, 매일의 삶에서 비평적 단서 분석하기 등과 같은 독특한 과제를 포함하고 있다. 특히 연구자는 4단계의 비평성 훈련을 디자인하여 학습자가 자유 시간에 만날 수 있는 일상적 문제들에 비평적인 증거를 탐색하고 비평적 관점을 취하도록 과제를 줌으로서 학습자 매일의 삶에서 비평성 훈련이 스며들 수 있도록 디자인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비평성 향상을 위한 이 프로그램이 고등교육 경험으로서 비평적 사고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보고, WGCTA평가 테스트를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결과에서 프로그램에 참석했던 대학 학습자들이 WGCTA에서 뛰어난 점수를 내었고, 특히 비평성 항목의 추론, 추정의 인식, 연역, 해석, 논쟁의 평가 등이 전체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된 비평성 매개 프로그램을 통해서 향상될 수 있다. Criticality is acknowledged today as a heuristic faculty (Barnett, 1997) that can be developed and maturated. Meaningful research in the area of critical discourse studies exhibits that critical awareness can be developed and enhanced through an active criticality mediating program. The current study sampled 134 university learners, ranging in age from 19 to 28, who participated in a writing intensive program that took place over a period of 15 weeks. The writing intensive program included a series of unique assignments inspired by active-daily criticality frameworks such as taking critical perspective and analyzing critical clues in everyday life. Especially the researcher designed four criticality training steps to permeate into learners’ everyday life by assigning tasks required learners to take critical perspectives as they explored current issues in their free tim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in enhancing critical thinking ability as measured by Watson-Glaser Critical Thinking Appraisal (WGCTA). The result demonstrates that university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scored incomparably higher in WGCTA at the end of the program. The study indicates that critical thinking abilities, such as inferences, recognition of assumption, deduction, interpretation, and evaluation of arguments can be enhanced through the criticality mediating programs focusing on critical perspective taking and analyzing critical clues in everyday life in particular that is suggested in the current study.

      • KCI등재

        중국 조선족 소학교 한글 교과서의 비평적 분석 -50년초 모택동하의 조선족-

        이동배 ( Dong Bae Lee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4 청람어문교육 Vol.49 No.-

        이 논문은 비평적인 담론 분석을 통하여 중국 건국초(1951-1952) 소학교 조선족 교과서 4권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보면 중국이 조선족 아동들에게 요구하는 것은 국가에 절대 충성하고 투철한 중국 국가 정체성을 가지며 혼신의 힘으로 공부하여 국가가 필요로 하는 공산주의 형 인간이 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먼저 교과서에서는 학교 교육과 교사를 미화하고 교사를 통해서 공산주의 이념을 주입하고 학생들을 공산주의 사회에 맞게 규범화 시켜 나간다. 또 조국이 중국이라는 분명한 국가정체성을 주입시키고 중국의 영도자인 모택동을 아동들이 한마음으로 모시고 받들어 나가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국가를 위해 온몸으로 헌신하고 희생한 로동영웅, 인민해방군 아저씨들을 흠모하고 본받아야 함을 깨우쳐주고 국가를 위해서는 목숨을 아끼지 말고 희생하는 인물이 되어야 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리고 미국, 소련, 북한을 묘사할 때는 중국 국가가 가진 냉전이데올로기의 관점으로 바라 보도록 하고 있다. 즉 소련은 사회주의가 이상적으로 실현되는 본받을 나라로 나라이며, 전세계의 평화를 위해 싸우는 나라요 미국은 전세계 인민의 적이요 침략자로 묘사되고 조선은 미 제국주의자들로부터 침략을 당하고 있어서 도와야 할 공산국가라고 묘사한다. 건국초 중국이 조선족에게 민족 교육을 많이 허용했다고 하지만 분석한 교과서에서는 나타난 민족적인 것은 한글 배우기, 한복 입는 것, 그리고 조선 지리를 소개할 때 장백산이 아니라 한반도에서 사용하는 백두산이라고 부르는 것 등이었다. 우리민족만이 공유해온 민족 문화나 습관, 전래동화나 전통적인 영웅들에 대한 언급은 없는 것으로 보아 조선족 아동으로서 가질 수 있는 민족관이나 민족의식은 억압되고 아동들의 이상적인 세계관은 철저히 무시되고 어른들의 관점으로 묘사되었다. Using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his article analysed four Korean language textbooks in China from (1951-1952). Findings indicate that the ideal Chosunjok children are patriotic communists. Not to mention they display strong PRC-centred identity and the potential to become extremely valuable citizens of China. As a result, schools and teachers are depicted favourably in textbooks, for indoctrinating and succeeding in conforming students based on communist ethics, social norms, and standards. Therefore, children must serve and follow Mao wholeheartedly as textbooks clearly portray that their nation is the PRC (People`s Republic of China). Textbooks deliberately introduce labourer heroes and PRC (People`s Republic of China) soldiers that sacrificed themselves for the country, to enhance the level of loyalty and patriotism towards China. This is a way to encourage students to learn and be willing to sacrifice their own lives if they have to. Additionally, textbooks display USA, USSR, and North Korea with Cold War ideological viewpoints; USSR is depicted as a role model of socialism and fighters for world peace. But as opposed to USSR, America is portrayed as invaders and an enemy to the rest of the world. North Korea is depicted as another communist country that requires China`s help to defeat American imperialists. Although China allowed their minorities to have their own ethnic education, the analysed textbooks show that there are limited ethnic elements introduced in the text such as learning Korean, traditional Korean costumes, and facts about Mt. Baekdu (also known as Mt Changbaek in China). However, Korean traditional fairy tales, unique ethnic Korean culture and customs which Korean people inherited from their ancestors were omitted. Korean national heroes, Korean pride and elements indicating their racial identity were also ignored. Furthermore, the ideal world of children was essentially eliminated and then constructed from the adults` point of view.

      • KCI등재

        Japanese Language Textbooks used in Korea and Japan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김해숙(Kim Haisuk)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7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일제시대 1910-1945) 한국에서 사용 되었던 국어 일본어) 교과서와 같은 시기에 발행된 일본에서 사용 되었던 국어 일본어) 교과서의 비교 연구를 통해 일제시대 의 교육적 목적과 교육적 이데올로기의 의미를 교과서 삽화의 시각적 이미지 분석과 텍스트 분석을 통해 살펴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비판적 담화 분석 법 Critical Discourse Analysis)을 사용하여 텍스트와 시각적 이미지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에서 사용된 국어 교과서 ‘국어 독본’과 일본에서 사용된 ‘소학 독본’을 비교 분석하였다. 일본과 한국에서 쓰여 진 교과서 에서 어떠한 시각적 이미지와 텍스트를 주로 사용 되었는지 살펴보고, 강조 되었거나 혹은 주가 되는 이데올로기적 의미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더 나아가, 식민지 교육이 추구하는 이상적 아동 상을 비교 분석을 통해 밝히는데 그 의의가 있겠다. 두 교과서를 분석하여 비교하여 본 결과, 같은 주제나 제목아래 내용이 다르거나 강조하는 내용이 각각 다르게 표현되어 있었으며 ‘국어독본’ 에서 추구하는 이상적인 아동상은 ‘소학독본’에서 추구하는 아동상과는 서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 This study will explore and describe the impact of Japanese colonial policy, as seen in the content of Korean and Japanese primary school textbooks published in the years between 1910 and 1945. The aim of this project is to compare and contrast the political and educational ideologies projected in the primary school Japanese language textbooks published and used in Korea and Japan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1910 - 1945). This study utilises critical curriculum theory. Critical Discourse Analysis CDA) is used for analysing the texts, whilst visual grammar analysis, primarily based on Kress & van Leeuwen’s 1996, 2006) theory, is adopted for the visual images. When Korea was colonised, Japanese was imposed as the national language, and Japanese textbooks were used in Korean schools. In order to examine the Japanese language curriculum and textbooks issued under the Japanese educational reform called Chosun Education Ordinance ), three data sets were chosen, based on year, level, appropriateness and publisher. The data for analysis consists of the language textbooks Kokugotokuhon levels 2 and 3) that were published by Chosunchongdogbu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of Korea) to be used for Korean students, and the Shougakutokuhon levels 2 and 3) that were published by the Monbusho the Ministry of Education) for Japanese students. By comparing the texts and images in Kokugotokuhon and Shougakutokuhon, this study verifies how the Japanese colonisers projected different subjectivities onto both groups, and promoted their different visions of ideal worlds and ideal citizens, that is, how the colonisers conveyed the Japanese government s ideologies in both Japan and Korea.

      • KCI등재

        가치비평적 접근을 적용한 학교 밖 청소년 정책 분석 및 혁신방안 연구

        문성호,노지혜 한국청소년학회 2020 청소년학연구 Vol.2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out-of-school youth policy and to suggest an innovative measures through the use of a value-based elements―the goals and objectives, forms of benefits and services, eligibility rules, administration and service delivery, and financing―suggested by Chambers and Bonk(2018). In result, the main problems were the ambiguity of the policy's purpose and goal, a limited service offered by the K-dream, an exclusion of the policy target group, a dependent operational system, an inequality of financing, a dearth and unbalance of budget, and more. Based on this results, innovative measures for the out-of-school youth policy were proposed in the conclusion like this: system reform and reinforcement for an independent operation of the K-dream, an all-out diversification of services, a cash welfare benefit with basic income guarantee, a policy enforcement for excluded out-of-school youth, and a flexible administration to increase operational autonomy of the K-dream. For out-of-school policy to settle successfully, it is necessary to conduct further studies on analysing out-of-school policy and devising creative measures. 본 연구의 목적은 가치비평적 접근을 적용하여 Chambers와 Bonk(2018)가 제시한 분석틀에 따라 핵심 정책요소를 목적 및 목표, 서비스 형태, 자격요건, 전달체계, 재원으로 구분하여 학교 밖 청소년 정책을 분석하고 혁신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도출된 주요 문제점은 정책목적 및 목표의 모호성, 제한적이고 불평등한 서비스 제공, 배제된 정책대상의 발생, 독립성 없는 조직운영, 재원 투입의 차별성, 예산의 부족 및 불균형 등이었다. 이러한 결과에 기반하여 결론에서 정책의 혁신방안으로 꿈드림센터의 독자적 조직운영을 위한 체제 개편 및 인력 충원, 지원서비스의 전면적 다변화, 기본소득 성격의 복지수당 도입 검토, 배제된 학교 밖 청소년을 위한 핀셋 정책의 시행, 그리고 센터 운영의 자율성 증진을 위한 제도의 탄력적 적용을 제안하였다. 학교 밖 청소년 정책이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앞으로도 이러한 통합적 관점에서의 정책 진단과 창의적 방안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가치비평적 접근을 적용한 방과후아카데미 사업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김청렴,노지혜,문성호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2022 청소년 문화포럼 Vol.- No.7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youth after-school academy and to suggest its improvement plan. For this purpose, the youth after-school academy was analysed through a value-critical approach using a value-based elements presented by Chambers and Bonk(2018): the goals and objectives, forms of benefits and services, eligibility rules, administration and service delivery, and financing. The results are as below: first, the goals of the youth after-school academy didn't evolve along with the policy paradigm changes and its objectives were unclear. Second, the academy’s services were insufficient in needs of the youth. Third, although the target was expanded due to the abolition of eligibility requirements for support, the problem of stigma and blind spots remained. Fourth, the spaces were not enough to operate the program, and the number of workers was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number of participating youths. Lastly, the financial resources had a limit in terms of using the budget efficiently, and also securing and organizing the system of the academy. Based on the results, the improvement plan for the youth after-school academy were proposed as follow: 1) to legislate after-school academy as a center; 2) to be strengthened as one of the all-day care systems in community; 3) to expand the operating institutions and reinforce the workforce; 4) to operate the central government's advisory committee and provincial support group; and 5) to reconsider the matching fund ratio and organize the fund from the general accounting. Findings from this study support the need for improvements and further policy discussions in regard to the youth after-school academy as it plays a key role in local welfare system.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정책사업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가치비평적 접근을 적용하여 Chambers와 Bonk(2018)가 제시한 목적과 목표, 서비스 형태, 자격요건, 전달체계, 재원을 중심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정책의 패러다임이 변화했지만 여전히 목적에는 시혜적 성격이 남아 있었고 구체적인 목표가 부재하였다. 둘째, 수요자 중심 관점에서 자기주도성이 제대로 실현되지 못한 서비스 형태가 드러났다. 셋째, 지원의 자격요건이 폐지되었음에도 해소되지 못한 낙인감과 사각지대 발생 문제가 있었다. 넷째, 프로그램을 운영할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지 못하였고 참여청소년의 수에 비해 종사자 인력이 부족하였다. 마지막으로 효율적인 예산 사용의 어려움과 재원확보의 불안정성 및 재원조달 방식에서의 한계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기반하여 개선방안으로는 방과후아카데미의 센터화, 온종일 돌봄체계의 한 축으로서 위상 강화, 지자체 및 학교와의 협업 확대와 종사자 처우개선, 방과후아카데미 자문위원단과 시도별 운영지원단 운영, 매칭펀드 비율 재고 및 일반회계 편성을 제안하였다.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가 지역사회의 복지체계 내에서 핵심적 기능을 수행하려면 앞으로도 확실한 개선을 위한 정책적 논의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Rhetorical Analysis as Analytical Technique for Critical Thinking

        김언조(Kim, Eun-Jeo)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2020 영미연구 Vol.48 No.-

        본 연구의 목표는 수사 분석과 비평적 사고가 상호작용하는 과정을 논의하는 것이다. 즉 고대의 수사적 기술에 대한 이해와 적용이 어떻게 비평적으로 사고하는데 강력한 도움이 될 수 있는지를 논의하고자 한다. 수사 분석과 상관관계가 높은 비평적 사고는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성차별기반의 논쟁이 어떻게 수사적으로 구축되어 있는지, 그리고 특정한 상황에서 어떻게 언어적, 수사적 선택이 이루어졌는지에 대해서 자각할 수 있게 한다. 본 연구의 가장 근본적인 인식론적인 입장은 언어의 수사적인 유산이 이해가능한 체계적 틀 안에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언어 사용자는 언어의 수사적 유산을 이용하여 쓰여진 텍스트이거나, 말해진 텍스트이거나, 시각적 텍스트이거나 혹은 세 가지의 방식을 모두 종합한 다중 기호적 텍스트에서 전달되는 복잡한 메시지를 평가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중 기호적 문서를 분석하기 위해서 챔 패럴만의 새로운 수사학과 케니스 벌크의 드라마주의를 채택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llustrate how rhetorical analysis can support critical thinking (CT) as an analytical technique; how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the ancient art of rhetoric is a powerful aid to thinking critically. CT coupled with rhetorical analysis can create awareness of how social, political, cultural, and gender-based debates are rhetorically forged and how linguistic and rhetorical choices are made in particular situations. One of the fundamental epistemological positions of this study is that the rhetorical heritage of a language is within a comprehensible systematic framework. With its assistance, language users evaluate the complicated message conveyed by a text, be it written, spoken, visual, or intersemiotic one that blends the three modes. As a discriminative value of this study, Chaïm Perelman’s New Rhetoric and Kenneth Burke’s dramatism are adopted to analyze a multi-semiotic document. The study implies that rhetorical analysis is a persuasive technique to reveal a kind of truth which at first seems contradictory.

      • KCI등재

        담화/담론연구의 이론적 토대 탐색 : 학제간/통합적 연구방법론으로 확장하며

        신동일(Dongil Shin) 한국질적탐구학회 2020 질적탐구 Vol.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학제간/통합적 ‘연구방법론’으로서 담화/담론연구의 이론적 토대를 탐색하고 구체적인 ‘연구방법’으로 갖는 확장가능성과 한계점을 (비판적) 응용언어학자의 시선과 관련 연구문헌으로 논의해보는 것이다. 지금까지 담화/담론연구는 언어와 사회, 텍스트와 콘텍스트, 이론과 현장, 사회적 현실과 담론의 매개, 미시적 언어 장치와 거시적 권력관계 등의 이항 중 한편에 갇혀 있었기에, 다양한 인문사회 학술 분야에서 서로 다른 이론적 토대를 탐색하면서 보다 다층적이면서도 통합적인 학제간 연구방법론으로 다시 타당화시킬 필요가 있다. 담화/담론연구의 이론적 토대를 점검하기 위해 본 연구는 형태/구조, 기능/사용, 사회적 실천에 관심을 둔 서로 다른 접근방식을 먼저 구분한다. 그런 다음에 담화/담론이 매개하는 네 가지 연구방법(비판적 담론연구, 비평적 텍스트분석, 사회적 구성 텍스트분석, 사회적 구성 담론연구)을 비판적-구성주의적, 콘텍스트-텍스트 지향성의 이항 축으로부터 조합하여, 국내 응용언어학/언어교육 연구사례와 함께 부연하도록 한다. 아울러 담화/담론연구의 확장가능성과 한계점을 간략하게 열거하고 관련 연구자들이 앞으로 감당해야 할 역량과 역할 역시 다뤄보기로 한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theoretical foundations of discourse analysis as an interdisciplinary research methodology in the eye of a (critical) applied linguistics. It focuses on the status as a research methodology, rather than just one of the methods to analyze qualitative data. The historically categorized foundations will be discussed on different approaches to discourse studies: formal, functional, social. The four major research perspectives, elaborated with empirical studies of mostly applied linguistics and language education in Korea, will then be divided into (1) critical discourse analysis, (2) critical linguistic analysis, (3) social linguistic analysis, (4) interpretive structuralism. The strengths as well as the limitations of discourse analysis (methodology) will also be discussed. This article will conclude with some suggestions for future directions of methodological development.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fills the gap between linguistics and social approaches to discourse analysis, by providing a systematic frame for embracing a strong social constructivist view of social wor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