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판커뮤니케이션 연구 100년, 성찰과 전망: 지성사적 관점

        이상길 한국언론학회 2024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20 No.3

        이 시론은 한국 비판커뮤니케이션 연구의 발전 과정과 특성을 지성사적 관점에서 조망하고, 향후의 주요 과제를 제시하려는 목적을 지닌다. 지성사적 관점에서 우리는 비판커뮤니케이션 연구에 대한 기존의 역사 서술이 간과해온 세 가지 문제를 새롭게 제기하였다. 첫째, 일제 강점기에 다양한 근대 미디어가 도입되고 관련 산업과 문화가 형성됨에 따라 이를 마르크스주의에 기초해 비판적으로 조명하는 지식 역시 등장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시각에서 카프의 미디어·문화 비평과 1930년대 잡지 <비판>이 생산한 담론들은 1980년대 이후 나타난 비판커뮤니케이션 연구와의 형태론적 유사성에 비추어 주목을 요한다. 둘째, 한국의 비판커뮤니케이션 연구사는 서구 연구 경향의 단순한 수입이나 이식이 아닌, 국내 지식 장 행위자들의 적극적인 전유와 혼종화의 산물로서 해석될 필요가 있다. 셋째, 1970년대 이후 국내 인문사회학계에 부상한 ‘대중문화 담론’은 커뮤니케이션학 내부에 거시적인 인문사회과학 담론을 유입시키고 비판커뮤니케이션 연구의 발전을 자극하는 의미 있는 역할을 했다. 이러한 새로운 논점들을 중심으로 국내 비판커뮤니케이션 연구사의 다시 쓰기를 시도한 이후, 우리는 비판커뮤니케이션 연구의 몇 가지 과제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정치경제학과 문화연구의 타성적인 이분법을 지양할 수 있는 통합적 이론과 경험 연구를 적극적으로 활성화해야 한다. 둘째, 1980년대 국내 인문사회과학의 ‘마르크스주의적 전환’ 아래 출현한 비판커뮤니케이션 연구가 1990년대의 ‘문화적 전환’에 뒤이어 2000년대 이후 새롭게 맞고 있는 ‘물질적 전환’에 인식론과 방법론의 차원에서 적절히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비판커뮤니케이션 내부에서 꾸준히 발전해온 ‘성찰적 담론’이 실제 연구 작업에 효과적으로 되먹임될 수 있도록 연구자들의 태도와 제도적 변화가 요구된다. 앞으로 비판커뮤니케이션 연구는 현재의 역사적 자본주의 체제 아래서 미디어와 기술이 지니는 존재론적 위상과 정치경제적 효과를 새롭게 이론화하고, 그것을 다른 현상들과의 관계 속에서 경험적으로 탐구할 수 있는 대안적 문제 틀을 구축하는 작업에 본격적으로 나서야 할 것이다. 이러한 작업은 다른 분과학문들과의 지속적인 대화는 물론, 현실의 다양한 과제들과의 구체적인 대면을 통해 한층 적절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This essay aims to explore the development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critical communication studies from an intellectual history perspective and to suggest major tasks for the future. From an intellectual history perspective, it introduces three key issues that have been overlooked in the existing history of critical communication studies. Firs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various modern media were introduced into Korea,and media industries and culture were shaped. At that time, a certain body of knowledge for critically reviewing media in Korea was formed based on Marxism.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ay attention to KAPF’s media-cultural criticism and the discourses produced by the journal Criticism in the 1930s, considering their morphological similarities with critical communication studies that emerged after the 1980s. Second, Korean critical communication studies should be viewed as a product of active appropriation and hybridization by agents within the national intellectual field, rather than as a simple import or transplantation of Western research trends. Third, since its emergence in the Korean intellectual field in the 1970s, the ‘Mass culture discourse’ ha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introducing humanities and sociological discourses into communication studies and in fostering the development of critical communication research. Focusing on these three issues, this essay rewrites the history of Korean critical communication studies and presents three goals for the future. First, we must actively promote holistic theories and empirical studies beyond the inertial dichotomy between ‘political economy’ and ‘cultural studies.’Second, critical communication research, which emerged under the ‘Marxist turn’ in Korea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n the 1980s, should respond epistemologically and methodologically to the ‘material turn’ that has emerged since the 2000s, following the ‘cultural turn’ of the 1990s. Third, we need changes in researchers’ attitudes and institutions to ensure that our studies reflect the ‘reflexive discourse’ that has been steadily developing within Korean critical communication studies. In the future, critical communication studies should re-examine and newly theorize the ontological status and political economic effects of media and technology within the current historical capitalist system. We should build alternative theoretical and empirical frameworks that allow us to explore media and technology in association with other social phenomena. This agenda can be accomplished through ongoing dialogue with other disciplines and addressing various real-world challenges.

      • KCI등재

        ‘비판성’의 새로운 탐색: 비판적 존재론과 브리콜라주 연구활동의 관점에서

        신동일(Dongil Shin) 한국질적탐구학회 2023 질적탐구 Vol.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 지식사회에 출현한 다양한 전환적(예: 서사적, 비판적, 담론적, 기호적, 미학적, 공간적, 문화적) 사유로부터 비판연구의 필요와 비판성의 진원지를 새롭게 모색하는 것이다. 우선 나는 비판성을 개념적으로 확장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로 ‘비판적 존재론’과 ‘브리콜라주 연구’에 관한 문헌을 정리했다. 아울러 서로 다른 연구환경, 연구자로서 가용할 수 있는 자원, 현장에서 요구되는 구체적인 필요 등을 고려해서 ‘자서전적 사례’로부터 ‘비판연구’와 ‘비판연구자’가 보다 맥락적이면서도 실존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본 논문은 자서전적 연구자료를 본격적으로 수집하고 분석하기에 앞서 비판연구자로 분투하는 삶을 살았던 내가 지난 23년 동안 발간한 국내외 학술문헌 140여 편을 네가지 전환적 지식체계로부터 구분한 것이다. 예비적 단계에서나마 나 자신의 비판연구에 관한 ‘메타의식’을 탐색하는 중에 나는 지금까지 브리콜라주 비판연구자로서 실존적 주체성을 획득하고 있음을 발견했다. 비판연구는 개인 연구자에게 개별적이고 윤리적인 실천이면서 또 한편으로 정치적이고 저항적인 실존으로 살아가는 주체화 과정이다. 앞으로 연구자들의 자서전적 서술과 논증이 비판적 존재론과 브리콜라주 연구의 가치를 확인할 수 있는 문헌으로 참조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investigate conceptual foundations for critical research, so called, ‘critical ontology’ and ‘bricolage’ research activities, in the perspectives of a critical applied linguist. The critique, as reinterpreted as the arts of existence or critical ontology of ourselves, is placed in the on-going inquiry for the critical and qualitative researchers in this study. Critical understanding of ourselves is also suited with bricolage research. The concept of bricolage can be illustrated in a praxis of interpretation and understanding with getting together of rigorousness, complexity, and criticality. In this study, the combined characteristics of critical ontology and bricolage were to be discussed in the construction of a critical reseacher’ biographical growth. In the preliminary stage for the autobiographical research to find out the combined meaningfulness of the critical ontology and bricolage, I mapped out the prominent and turning knowledges which made myself identified as ‘critical researcher’ in my research career. My research trajectory, based on the published research papers and books of mine, were reflected and divided into the four (narrative, critical, discursive, cultural) major turns. It turned out that I have developed my identity of ‘a critical researcher’ through the perspectives of critical ontology and bricolage. It is hoped that the further writing of autobiographies plays as a autonomous channel for developing the sense of being a critical researcher. Possible areas of research are discussed. This article concluded with some suggestions for future directions of methodological development.

      • KCI우수등재

        프랑크푸르트학파의 비(非)하버마스적 비판이론: 현대사회연구에서 분석적 장점과 연구전략

        권오용(Ohyong Kwon) 한국사회학회 2020 韓國社會學 Vol.54 No.1

        이 연구는 비판이론을 하버마스의 의사소통행위이론과는 다른 독립적인 이론으로 규정한 바탕위에서 비판이론의 핵심특성이 현대사회를 분석하는 데 있어 갖는 강점을 탐색하고, 비판이론의 실제 사회연구사례들을 살펴봄으로써 오늘날에도 유의미한 구체적인 연구전략을 도출해보고자 했다. 비판이론은 유럽 시민사회의 자기파괴와 사회주의적 대안의 실패를 경험하면서도 과거와 단절된 새로운 인식을 추구하거나, 과거에 매달려 현실의 변화를 등한시하지 않았다. 대신 인간의 해방이라는 목표를 견지하면서, 현실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을 통해 철학과 구체적 사회연구의 결합을 지향했다. 그 결과 비판이론은 주체/대상 변증법 속에서 구체적 시간개념에 의해 제한된 비초월적 진실개념을 갖게 되었으며, 특수 속에 보편이 재인식 가능하게 등장한다는 원칙을 세우게 되었다. 이러한 원칙은 현재의 사회 분석에서 여러 장점이 있다. 첫째, 비판이론은 시대적 전환기에 확립된 것으로서 급격한 변화 속에 놓인 현대사회 연구에서 분석적 장점을 갖는다. 둘째, 이론과 실천의 전통적인 결합방식에 얽매이지 않고 유연한 방식으로 더 나은 사회를 고민할 수 있게 한다. 셋째, 주체-대상에 대한 변증법적 인식은 기존의 서구식 이분법에 대한 훌륭한 대안을 제시해준다. 넷째, 보편이 특수한 대상 속에서 재인식 가능하다는 관점은 다양한 개별 사회연구들이 전체에 대한 인식을 놓치지 않도록 해준다. 독일 하노버에서 최근 행해진 일련의 비판이론적 사회연구는 비판이론이 갖는 이러한 장점들을 잘 보여주는 구체적인 사례로 주목할 만하다. 그곳에 모인 일군의 지식인들은 비판이론의 정체성에 대해 탐구하는 동시에 당대의 구체적인 현실분석을 통해 노동, 반유대주의, 민족주의, 정체성, 반미주의 등 새로운 비판이론의 연구영역을 개척하였다. 비판이론의 주요 가치를 계승하고 문제의식을 공유하면서 비판이론적 사회연구의 외연을 넓히려는 이 ‘핵심의 보존과 영역의 확장’이라는 이중의 연구전략은 우리가 비판이론의 현재적 적용을 고민할 때 진지하게 고려할 가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strength of Critical Theory’s core features in analyzing modern society and its concrete research strategies that still resonate with us even to this day by examining the actual cases of social studies based on Critical Theory. Although Critical Theory had seen the self-destruction of European bourgeois civil society and the failure of the socialist alternative, it has not pursued a new perception that was severed from the past, nor has it ignored the change of present reality of “bourgeois civil society” lingering in the past. Instead, without compromising the objective of human emancipation, it has sought the combination of philosophy and concrete social research by attempts to develop new approaches towards reality. As a result, Critical Theory has got the concept of non-transcendental truth limited by the concept of concrete time within the subject-object-dialectics and, and has established the principle that the universal can be found in the specific. These characteristics have several advantages in the analysis of our current society. First, since Critical Theory has been established at the turn of an era, it has analytical merits in modern social studies, which is undergoing rapid changes. Second, we can think of a better society in a more flexible way, away from the traditional relation of theory and practice. Third, its dialectical perception of the subject and the object can be a good alternative to the existing dichotomic view of them. Finally, its perception that the universal should be recognized in the specific object makes the social research in various fields, without missing the recognition of the social entity.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a trend of social studies from Critical Theory in Hannover, Germany. A group of scholars there tried to scratch out the misunderstandings of Critical Theory, while continued Specific reality analysis and pioneered new research fields of Critical Theory such as nationalism, labor, identity and anti-Americanism. Their dual research strategy, so-called, ‘preserving the core and expanding the realm’ as an effort to broaden the scope of concrete research while inheriting the main values of Critical Theory will be helpful to make a current application of Critical Theory possible.

      • KCI우수등재

        비판적 실재론의 역행추론을 적용한 교육학 연구 설계의 실제: 관계적 교사행위자성 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이성회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detailed processes of applying the social science philosophy of critical realism (CR) to educational research design in practice. For this, this study explores the key ontological concepts of CR, and then relates them to the purpose of critical realism studies, that is, to explain unobservable transfactual structure and generative mechanisms underlying certain educational phenomena. Accordingly, CR argues for retroduction as a main inference mode, which in turn informs the design of empirical studies. Lastly, this article illustrates hands-on practices of research design applying (abduction and) retroduction to the study of developing a conceptual model of relational teacher agency based on CR (Lee et al., 2021). This study contributes to highlighting the inextricable links between ontology, research aims, inference modes, and research design, which is a neglected scholarly issue in educational research methodologies. In particular, this study highlights the distinctions between critical realism and pragmatism. 본 연구는 비판적 실재론이란 사회과학철학의 관점을 어떻게 연구방법론적 측면에서 교육학 연구 설계에 실제적으로 적용하였는지에 대한 실천적 과정을 면밀하게 보여주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비판적 실재론의 존재론적 가정을 담은 핵심 개념들을 살펴봄으로써, 비판적 실재론에 기반한 연구의 목적이 교육 현상이 어떻게, 어떠한 조건에서 일어났는지에 대한 눈에 보이지 않는 초사실적 구조와 발생기제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는 것에 있음을 밝힌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비판적 실재론의 대표적 추론양식인 역행추론의 원리를 제시하고, 이것이 교육학 연구 설계에 주는 함의를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연구자가 비판적 실재론의 관점을 연구방법론에 직접 적용한 관계적 교사행위자성 개념모형 개발연구(이성회 외, 2021) 사례를 중심으로, (가추와) 역행추론을 적용한 연구 설계 과정의 실제를 보여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지금까지 교육학 연구방법론에서 도외시되어온, 비판적 실재론과 같은 사회과학철학의 존재론에 대한 논의가 어떻게 연구 목적의 설정,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추론 양식, 이에 따른 연구 설계 과정과 불가분한 관계에 놓여 있는지를 드러내고자 했다. 특히, 이 연구는 비판적 실재론과 실용주의의 차별성에 초점을 두어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동의에 지향된 담론적 정치 참여자로서의 공중 개념과 한국의 비판적 커뮤니케이션 연구

        김정호(Jeongho K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15 한국언론정보학보 Vol.70 No.2

        이 논문이 살피고자 하는 것은 공중이라는 용어의 다양한 의미들이 아니라 이 말로 표현되어 온 특정한 한 의미다. 이 의미란 ‘공적 문제에 대해서 동료 시민들과의 공유된 이해와 동의된 판단을 형성하기 위해 대화와 토론에 참여하는 시민’이라는 개념이다. 이 개념은 존 듀이나 한나 아렌트, 위르겐 하버마스 그리고 제임스 케리 등과 같은 학자들의 주장의 핵심적 요소로 사회와 언론에 대한 서구의 비판적 연구와 민주주의에 대한 탐구에 중요한 이론적 토대였다. 이 논문의 목적은 이러한 공중 개념이 한국의 비판적 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 어떻게 수용되어 왔는가를 살피는 것이다. 여기서 ‘비판적 커뮤니케이션 연구’는 전통적으로 비판 커뮤니케이션 연구라 불려 왔던 연구뿐만 아니라 커뮤니케이션 현상의 사회적 의미를 탐구하고 평가하려는 연구들을 총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이 논문은 한국의 비판적 커뮤니케이션 연구가 동의에 지향된 담론적 정치 참여 행위에 의해서 규정되는 이러한 공중 개념을 분석적 범주로서 사용해 오지 않았다는 것을 주장한다. 이 개념에 기반하고 있는 서구 학계의 많은 주장들이 한국의 비판적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주요한 이론적 자원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개념이 분석적 범주로서 무시되어왔다는 사실은 한국의 비판적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성격과 한계를 드러내 준다. This article examines not the term “the public” or “publics”-which has various meanings -but its particular meaning, which is a group of citizens who engage in political discussion and debate with fellow citizens in order to form shared understandings and common judgments with regard to contemporary affairs and public issues. The goal of this article is to show the importance of this concept in critical studies of media and society and to analyze how this concept has been accepted in South Korean critical communication studies. In this article, critical communication studies refer to communication studies that aim to explore social meanings of communication phenomena. This article argues that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concept of the public as agreement-oriented discursive political participants in South Korean critical communication studies.

      • KCI등재

        비판적 HRD 연구동향 분석 : AHRD 발행 학술지 게재논문(2005~2019)을 중심으로

        심은비 ( Sim Eun-bi ),현영섭 ( Hyun Young-sup ) 한국인력개발학회 2020 HRD연구 Vol.2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비판적 인적자원개발(Critical HRD) 연구 동향을 탐색하여 비판적 인적자원개발 연구의 현 주소와 앞으로의 방향성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AHRD에서 발행하는 HRD분야 전문 국제학술지(ADHR, HRDI, HRDQ, HRDR)에 지난 15년간 게재된 비판적 인적자원개발 관련 논문의 4가지 주요 특성(연구물, 연구자, 연구방법, 연구주제)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판적 인적자원개발 연구의 주요 특성을 빈도 분석한 결과, 게재논문 수는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였으나 특정한 학술지, 소속지역, 연구방법 및 주제에 편중되어있는 특징을 보였다. 둘째, 게재연도에 따른 비판적 인적자원개발연구의 주요 특성을 교차 분석한 결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러한 주요 특성이 편중되어있는 양상이 더욱 지속 및 강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연구주제에 따른 비판적 인적자원개발 연구의 주요 특성을 교차분석한 결과, 게재학술지, 소속지역 및 활용되는 연구방법의 양상이 연구주제의 특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이상의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 및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explore the current state and the future direction of critical human resource development(Critical HRD) research. Four major characteristics (papers, researchers,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topics) of the critical HRD have been analyzed by examining critical HRD papers published over the past 15 years in AHRD journals(ADHR, HRDI, HRDQ, and HRDR).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frequency analysis revealed that the number of published papers has been on the rise overall, but they were biased towards specific journals, regions, research methods and topics. Second, according to the year of publication, cross-analysis showed that the biased state tended to continue or strengthen over time. Third, cross-analysis according to the research topics found that the aspect of the journals, regions to which researchers belong, and the research method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topics. At last,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regarding research results were provided.

      • KCI등재

        비판적 사고에 대한 국내 학술지 논문의 주요 연구 주제 탐색

        백평구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방대한 학문 영역에 걸쳐 논의되어온 비판적 사고에 대한 연구의 흐름을 정리하여 지식의 지형을 살피고 나아가 학제간 소통을 강화하면서 비판적 사고의 의의를 강화하는데 있다. 이에 비판적 사고를 다룬 국내 학술지 논문의 종합적 분석을 위해 텍스트마이닝에 의한 키워드 빈도 분석과 토픽모델링을 실시하였다.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의 논문검색 메뉴와 KCI의 오픈 API 코드를 발급 받아 논문의 제목, 연구자 등록 키워드, 논문의 초록을 합성하여 하나의 문서로 결합하고, 데이터 수집, 키워드의 전처리, 토픽모델링의 흐름으로 2002년부터 2021년까지 게재된 총 718편의 논문을 분석하였 다. 분석 결과로서 첫째, 키워드 분석에서는 대학생, 글쓰기, 시뮬레이션이라는 키워드가 단순 빈도(TF) 와 문서-역문서 빈도(TF-IDF) 모두에서 상위 키워드에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토픽모델링을 통해 잠재적인 12개의 연구주제를 도출하였다. 이들 연구주제는 (1) 분야별 교육, (2) 학습, (3) 온라인 (4) 학령기 학생, (5) 미디어와 의사소통, (6) 간호교육, (7) 교과목 개발, (8) 글쓰기, (9) 교육 프로그램과 리더십, (10) 철학상담과 텍스트 비평, (11) 간호대학생 자신감, 민감성, 윤리의식, (12) 간호사 대상 실증분석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비판적 사고를 바라보는 학술 연구의 다양한 관점을 조망하였으며, 분석 결과로부터 비판적 사고가 교육과 맺는 다양한 관계 양상, 창의성과 비판적 사고의 연계, 그리고 간호학 분야에서 두드러진 변인 간 관계 중심의 실증분석과 결합된 비판적 사고 성향 연구의 의미를 논의하였다. 아울러 향후 비판적 사고의 연구 방향으로 일터 맥락의 비판적 사고에 대한 관심 제고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비판적 문식성 교육을 통한 결혼이주여성의 주체성 형성에 관한 실행연구

        김효숙(金孝淑),이경화(李慶和)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아시아교육연구 Vol.19 No.2

        이 연구는 비판적 문식성 교육을 통해 결혼이주여성이 자신이 처한 문제 상황을 인식하고 비판적으로 성찰함으로써 사회적 불평등을 변혁하기 위한 주체성을 형성해나가는 과정을 밝히는데 목적을 둔 실행연구이다. 먼저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Freire의 비판적 문식성 교육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에 근거한 문제 제기, 대화와 토론, 실천, 성찰의 단계적 순환과정을 개발하여, 법무부 산하 글로벌 센터의 결혼이주여성 중 한국어 중급이상의 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문제 제기 단계에서는 결혼이주여성이 침묵문화로부터 벗어나기 시작하였으며, 경청해주지 않는 주변의 태도에 대한 문제를 인식하였다. 대화와 토론의 단계에서는 개인의 문제를 사회적 차원으로 연계시켜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면서 비판적 사고와 다양한 관점, 공감능력을 나타냈다. 실천단계에서는 작은 실천과 공유를 통해 불평등한 관계와 소외극복을 위한 노력으로 자신의 삶에 대한 자율권을 위해 노력하였다. 성찰단계에서는 상호작용과정을 통해 편견, 차별에 대한 저항 방법을 공유하고, 저널 쓰기를 통한 비판적 성찰의 과정이 활발하였으며 의존적인 삶에서 조금씩 벗어나려 노력하면서 미래에 대해 계획을 설립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근거하여, 앞으로 이주민을 위한 한국어교육이 실시될 경우에는 이들이 당당한 삶의 주체로서 주체성을 형성할 수 있도록 비판적 문식성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subjectivity of marriage migrant women to transform social inequalities by recognizing and critically reflecting their problems through critical literacy education. We conducted a step-by-step process of problem-posing, dialogue, discussion, praxis, and reflection based on Freire’s critical literacy education for six married immigrant women of the global center under the Ministry of Justice. The result was that the married immigrant women began to escape from a silent culture, recognizing the problem that people don’t listen. In the stage of dialogue and debate, critical thinking, diverse perspectives, and empathy were demonstrated while linking personal problems to social dimension and identifying the causes. In the practice stage, we focused on efforts to acquire autonomy for life and overcome unequal relationship and alienation through small practice and sharing. In the reflection stage, critical reflection through journal writing was activated, planning for the future while escaping from dependent life.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immigrants should be to form the subjectivity as the subject of the dignified life by executing critical literacy education beyond functional literacy education.

      • KCI등재

        새로운 관점의 혼합연구 방법론 활성화 방안 탐색: 실용적 질적 연구와 비판적 실재론에기반한 혼합연구를 중심으로

        변기용,손다운,신유진,이승희,이현주 한국교육행정학회 2022 敎育行政學硏究 Vol.40 No.4

        This study examined activation plan of mixed methods methodology from a new perspective, focusing on pragmatic qualitative research and mixed methods research based on critical realism. The rigid thinking based on the dichotomous paradigms, positivism (empiricism) vs. constructivism (interpretivism), caused problems such as the incommensurability of quantitative vs. qualitative research and the rigidity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However, depending on a more flexible perspective to the mixture of paradigms, this study suggests that not only (1) physical combinations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conventional mixed research) but also (2) chemical combinations (pragmatic qualitative research) would be possible. Analyzing qualitative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Research from 2010 to June 2022, the researchers pointed out that in our academic community (1) pragmatic qualitative research as well as intrinsic qualitative research has already been actively conducted, and (2) there were limitations to the conducting method of mixed research. In order to improve them, it is necessary to revitalize mixed methods research from a new perspective based on critical realism and change the direction of educa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hereafter. Finally, in order for a new perspective on mixed methods research to spread out to the field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t was proposed that a place for an open and critical debate in our community should be systematically prepared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실용적 질적 연구와 비판적 실재론에 기반한 혼합연구를 중심으로 새로운 관점의 혼합연구 방법론 활성화 방안을 살펴보았다. 실증(경험)주의 vs. 구성(해석)주의 패러다임에 기반한 경직된 이분법적 사고는 우리 학계에 여전히 존재하는 양적 vs. 질적 연구의 공약불가능성과 질적 연구 수행방식의 경직성이라는 문제점을 초래해 왔다. 하지만 패러다임의 혼합을 바라보는 보다 유연한 관점에 따르면 (1) 양적 + 질적 연구의 물리적 결합(기존의 혼합연구)뿐만 아니라 (2) 화학적 결합(실용적 질적 연구)까지도 가능함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교육행정학연구」에 2010~2022년 6월에 게재된 질적 연구 논문 분석을 통해 교육행정학계에서는 (1) 본질적 질적 연구뿐만 아니라 실용적 질적 연구가 이미 광범위하게 수행되고 있으며, (2) 혼합연구를 수행하는 방식에 다양한 한계가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향후 비판적 실재론에 입각한 새로운 관점의 혼합연구의 활성화, 질적 연구 방법론 교육의 방향 전환이 필요함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혼합연구에 대한 새로운 관점이 교육행정학 분야에 확산되기 위해서는 향후 학문공동체 내 개방적이고 비판적인 토론의 장이 체계적으로 마련되어야 함을 결론을 대신하여 제안하였다.

      • KCI등재

        심미적인, 너무나 심미적인 자본주의

        서동진(Dong-Jin, Seo) 비판사회학회 2011 경제와 사회 Vol.- No.92

        문화연구는 최근 학술적으로 제도화되며 가장 주목할 만한 신생 분과 학문이 되었다. 그러나 문화연구는 또한 그것의 이론적 시효를 위협하는 질문 앞에서 위협을 받고 있다 나는 문화연구가 직면한 위기적인 상황이 다름 아닌 문화연구에 내재한 근본적인 전제이자 질문에서 비롯되었다고 생각한다. ‘문화적인 것’과 ‘경제적인 것’의 관계란 질문은 문화연구를 끊임없이 괴롭혀 온 쟁점이다. 이 과정에서 주류 문화연구는 경제적인 것과는 ‘다른 것’으로서의 문화적인 것, 혹은 경제적인 것의 규정이나 영향으로부터 벗어난 문화적인 것을 획정하고 이를 자신의 연구대상으로 구성하려 애써왔다. 그렇지만 경제적인 것이 문화화되고 또 문화적인 것이 경제화 되었다는, 근년 폭증하는 담론을 어떻게 바라보아야 할까. 그러한 ‘심미적인 자본주의’가 새로운 단계 혹은 국면의 역사적 자본주의임을 인정하여야 할까. 경제가 심미화·문화화되었음을 단언하는 다양한 문화경제 담론은, 문화연구의 이론적 기획 자체를 위협하는 것은 아닐까. 우리는 이 글에서 그 같은 추이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이를 위해 이 글은 문화와 경제의 관계라는 쟁점을 통해 문화연구의 역사를 간략히 재구성한다. 그리고 이를 최근 부상하는 문화경제론의 접근과 대조할 것이다. 이로부터 경제적인 것과 문화적인 것의 관계를 확정적으로 규정하려는 어떤 시도도 결국은 자유주의의 한계에서 벗어날 수 없음을 밝혀보려 할 것이다. 그리고 결론으로 이를 문화연구의 아포리아로 규정하며 이런 아포리아를 해결하려는 시도는 곧 자유주의와의 비판적인 대결이 될 것임을 주장할 것이다. 따라서 이글은 문화연구는 과연 자유주의 비판의 기획이 될 수 있는 가란 물음을 던지며 그간의 문화연구의 이론적?정치적 가정을 검토하고 또 이를 재정식화는 데 주요한 관심을 갖는다. Over decades, cultural studies has had roots in the academic arrangement and drawn attention as a newborn discipline. Yet it nowadays faces the inquiry challenged from theoretical prescription. In this article, I am trying to re-articulate the problematic constitutive of cultural studies that could make it possible. Cultural studies has been troubled with the question w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ltural and the economic is. To construe itself as a coherent and autonomous academic discipline, cultural studies strived for demarcating the cultural independent from the economic and build it as a relevant object of study. Meanwhile, how could we deal with the approach that the cultural has become the economic and the economic has become the cultural, which is pervasive on all sides. A wide range of discourses known as cultural economy appears to raise an unescapable question, asking us to reexamine the underlying assumption of cultural studies. We have to approve that aesthetical capitalism is emerging as the new stage or phase of historical capitalism? If it is the case, we should break away from the premise that divides the cultural and economic and maintains a distance between two? Here, I make an attempt to look over the moves of cultural studies in oder to construct its object of study in short and then compare with ‘cultural economy’ discourses. And I will try to reveal whatever step to answer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nd economy will result in being caught in liberal political imaginary. In conclusion, I will argue that such a problem is the aporia of cultural studies and any attempt to solve that aporia requires to confront liber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