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동문학에 나타난 비인간 캐릭터의 알레고리적 기능 연구 - 마해송 동화를 중심으로

        최미경 ( Choi Mikioung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9 동화와 번역 Vol.37 No.-

        이 글은 아동문학에 나타난 비인간 캐릭터의 가치와 의미를 확인하는 작업의 일환으로 비인간 캐릭터의 알레고리적 기능을 밝히고자 마해송의 동화 속 비인간 캐릭터들을 분석한 것이다. 비인간 캐릭터는 비인간이라는 표면 형상에 인간적 속성이라는 이면의 의미가 부여된 서사 주체다. 이 논문은 비인간 캐릭터가 지닌 ‘알레고리의 심연’, 즉 표면의 형상과 이면 의미 사이의 간격에 주목하여, 이를 실제 인간과 인간적 속성 사이의 간격(간격ⓐ), 인간적 속성과 비인간 형상 사이의 간격(간격ⓑ), 실제 인간과 비인간 형상 사이의 간격(간격ⓒ)로 구분하여 마해송 동화속 비인간 캐릭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아동문학에서 비인간 캐릭터의 알레고리적 기능은 낯설게 하기, 전복, 안전감, 단순화로 확인되었다. 둘째, 이 기능들 가운데 낯설게 하기와 전복은 간격ⓑ가, 안전감과 단순화는 간격ⓒ가 확보될 때 두드러졌으며 간격이 커질수록 더 강하게 나타났다. 셋째, 각각의 기능을 세부적으로 살피자면, ‘낯설게 하기’는 아동 독자의 시선을 끌고, 아동의 상상을 북돋우며, 아동이 알던 기존 정보를 환기하게 하고, ‘전복’은 기존 역학 관계에 의문을 제기하고 아동에게 통쾌감을 준다. ‘안전감’은 독자가 이야기를 관조적으로 바라보게 하고 심리적 보호막을 만들어 주고, ‘단순화’는 캐릭터에 대한 확실한 상을 제시하고 선명한 메시지를 전달하고 고정관념을 덜어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알레고리는 비인간 캐릭터 형상화의 기본 조건이자 아동문학의 특성과도 이어지는 주요 장치다. 이를 분석한 본 논문은 아동문학에 나타난 비인간 캐릭터의 기능을 밝히기 위한 기본 작업으로, 아동문학에서 비인간 캐릭터가 여전히 환영받는 까닭은 무엇인가, 비인간 캐릭터를 형상화하거나 평가할 때 고려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 등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s an analysis of the nonhuman characters in Ma Haesong's works to reveal the allegoric function of nonhuman characters as part of the work to identify the value and meaning of the nonhuman characters shown in children's literature. The nonhuman character is an epic subject with the meaning behind human property to the surface shape of nonhuman. This study notes ‘the abyss of allegory’, the gap between the surface and the two-sided meaning of the nonhuman character, which is the gap between the real human and the human nature (interval ⓐ), the gap between the human attribute and the actual human shape (intervalⓑ) and the gap between actual human form and nonhuman form(intervalⓒ). As a result, the allegoric function of nonhuman characters in children's literature was identified by their defamiliarization, subversion, sense of safety and simplicity. Second, among these functions, defamiliarization and subversion were apparent when intervalⓑ is established, psychological safety and simplification were apparent when intervalⓒ established. And the greater the gap, the stronger it was. Third, to look at each function in detail. 'defamiliarization' attracts child readers' attention, encourages children's imagination, evokes child-knowledge existing information, and 'subversion' questions existing dynamics and gives children satisfaction. 'Sense of safety' makes the reader look at the story in an orchestration manner and creates psychological protection, while "simplification" performs the function of presenting a clear image of the character, delivering vivid messages and removing stereotypes. Allegory is a basic condition for impersonating nonhuman characters and a major device that also connect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literature. This study, which analyzed this, is a basic work to shed light on the functions of nonhuman characters shown in children's literature, and may help to ask for answers to questions such as why nonhuman beings are still welcome in children's literature and what needs to be considered when shaping or evaluating nonhuman characters.

      • KCI등재

        아동문학에 나타난 비인간캐릭터의 포스트휴먼적 기능 연구 - 마해송 동화를 중심으로 -

        최미경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9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24

        As part of the work to ascertain the value and meaning of the nonhuman character shown in children's literature, the goal of this article is in revealing the function of the nonhuman character from a posthuman perspective, and for this purpose, the nonhuman characters in the works of Ma Haesong were analyzed. In this abstract, nonhuman characters are nonhuman beings who feel, speak and act like humans in the epic, and based on how nonhuman characters lie between humans and nonhuman characters, the nonhuman characters in children's literature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nonhuman speaking as human beings,’ ‘nonhuman speaking as nonhuman beings,’ and ‘objectively described nonhuman beings.’ As a result, the nonhuman character’s posthuman functions identified through the Ma Haesong’s works are as follows. First, expand the perception of nonhumanity, second, to reflect on human beings, third, to suggest humannonhuman relationships, fourth, it highlights children as a lost link between humans and nonhuman beings. At this time, the last function has an important meaning, especially in children’s literature. In children’s literature, nonhuman characters are displayed in front of children, along with their children’s representations. This is because child readers identify themselves as children’s representations, and children as ‘lost links between the world and humans’ can connect with themselves as actors, not as reactors. Nonhuman characters are epic devices that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nonhuman and nonhuman beings. Now that modern belief that humans have an edge over other creatures is greatly challenged, the nonhuman character in the posthumans ecosystem itself creates a new perspectiv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other objects. From a posthumanitarian perspective, the task of examining the functions of nonhuman characters in children’s literature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serve the needs of our society, where issues such as animal rights and robot rights are emerging at the forefront, and as an experience to foster children’s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sensibilities, it can be a process to find meaning in children’s literature. 이 글은 아동문학에 나타난 비인간캐릭터의 가치와 의미를 확인하는 작업의 일환으로 포스트휴먼적 관점에서 비인간캐릭터의 기능을 밝히고자 마해송의 동화 속 비인간캐릭터들을 분석한 것이다. 비인간캐릭터는 서사 속에서 인간처럼 느끼고 말하고 행동하는 인간 아닌 개체로, 이 논문에서는 이들이 인간과 비인간 사이에 어떻게 놓여있는가를 기준으로, ‘인간으로서 말하는 비인간’, ‘비인간으로서 말하는 비인간’, ‘객관적으로 서술된 비인간’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마해송 동화를 통해 확인한 비인간캐릭터의 포스트휴먼적 기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인간에 대한 인식을 확장한다. 둘째, 인간을 성찰하게 한다. 셋째, 인간-비인간의 관계를 제시한다. 넷째, 인간과 비인간의 잃어버린 연결고리로서 아동을 부각한다. 이때 마지막 기능은 특히 아동문학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아동문학에서 비인간캐릭터는 아동의 표상과 함께 아동 앞에 전시되고, 아동 독자는 아동의 표상을 통해 비인간캐릭터와 자신을 동일시함으로써, 대상이 아닌 행동 주체가 되어 세계와 인간의 ‘잃어버린 연결고리’로서 역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비인간캐릭터는 비인간과 인간 아닌 존재의 관계를 드러내는 서사 장치이다. 인간이 다른 생물․사물보다 우위에 있다는 근대적 믿음이 크게 도전받고 있는 지금, 포스트휴먼 생태계에서 비인간캐릭터는 그 자체로 인간과 다른 대상 간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마련한다. 포스트휴먼적 관점에서 아동문학 속 비인간캐릭터의 기능을 살피는 작업은 동물권, 로봇권 등의 문제가 전면에 부상하는 우리 사회의 시대적 요구에 응하는 일이자, 아동의 환경․생태적 감수성을 키우게 되는 경험으로서 아동문학의 의미를 찾는 과정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겠다.

      • KCI등재

        한국소설의 비인간 전환과 탈인간중심주의

        이양숙(Lee, Yang-sook)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0 한국문학과 예술 Vol.34 No.-

        이 글에서는 김보영과 김초엽의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과학소설에 나타난 비인간전환의 양상을 고찰하였다. 비인간전환이란 인간과 비인간의 결합 혹은 연계를 전제하는 제반 학문경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근대의 구성 원리인 인간중심주의에 대한 비판적 문제의식을 공유한다. 이들 작품에서 인간과 비인간은 모두 기술에 의해 확장되는 존재이다. 「관내분실」에서 마인드 접속기는 어머니의 마인드를 현재로 연장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촉각의 경험」에 등장하는 복제인간은 ‘뇌파공명기’를 이용해 감각의 확충과 의식의 확대를 경험한다. 「얼마나 닮았는가」의 인공지능 로봇은 여성의체를 경험함으로써 인공지능 프로그램에서 누락되었던 젠더인식을 획득하고 이를 이용해 자신의 임무를 완수한다. 이들과 공존하는 인간 역시 기술을 신체의 일부로 수용하거나 기술과 결합하여 자신의 감각과 사유를 확장하는 사람들이다. 작품에 등장하는 비인간은 마인드 프로그램(「관내분실」), 복제인간(「촉각의 경험」), 로봇과 사이보그(「얼마나 닮았는가」) 등으로 비인간은 인간과 마찬가지로 작품의 중심에서 서사를 추동하는 행위자로 등장한다. 인간과 비인간의 관계는 주체와 객체로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으며 서로가 서로에게서 영향을 주고받는 수평적인 관계로 그려진다. 「광장」에 등장하는 네트워크 접속기 ‘플루이드’는 비정상인의 치료를 위해 개발되었지만 정상/비정상의 경계를 해체하는 계기를 제공한다. 「촉각의경험」의 복제인간이 원본인간의 욕망을 이끌어 가는 낯선 존재로 드러나고, 「얼마나 닮았는가」의 로봇이 인간의 감정을 이용해 자신의 임무를 완수하는 것처럼 이들은 인간에 의해 일방적으로 통제되지 않는다. 인간과 비인간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수평적인 관계일 뿐이다. 이처럼 인간과 비인간이 접속하여 소통하고 경험의 확장을 이루어나가는 세계는 현재를 구성하고 있는 인간중심의 질서가 단지 인간이 유지하고 싶어 하는 관념에 불과한 것임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In this article, the aspects of non-human turn in Korean science fiction were examined, focusing on the works of Kim, Bo-young and Kim, Cho-yeop. Non-human turn refers to all academic trends that presuppose human or non-human association or connection, and shares a critical problem consciousness of human-centeredism, the principle of modern construction. In these works, both human and non-human are beings that are expanded by technology. In the Internal loss, the mind connecter plays a role of extending the mother"s mind to the present, and the cloned human who appears in Tactile experience uses “EEG Resonator” to experience the expansion of sensation and the expansion of consciousness. The AI robot of Howsimilar acquires the gender recognition that is missing from the AI program by experiencing the female body and uses it to complete its mission. Humans who coexist with them are also people who accept technology as part of the body or expand their senses and thinking by combining it with technology. The non-humans appearing in the work include the Mind Program (Internal loss), the Replicant (Tactile experience), Robots and Cyborgs (How similar) .In these works, non-humans, like humans, appear as actors driving the narrative at the center of the work. Humans who coexist with them are also people who accept technology as part of their body or expand their senses and thinking by combining it with technology.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non-human is not clearly divided into subject and object, and is drawn as a horizontal relationship in which each other influences each other. Also, nonhumans are not easily humanized and intervene in human life in a way that unfamiliarly reveals the average human life. The"fluid", a network connector that appears in the square, was developed for the treatment of abnormal people, but it provides an opportunity to break the normal/abnormal boundary. They are not controlled unilaterally by humans, as the cloned humans of Tactile experience appear to be strangers that drive the desires of the original humans, and how robots of How similar fulfill their missions using human emotions. Humans and non-humans are only horizontal relationships that influence each other. In this way, the world in which humans and non-humans connect to communicate and expand experiences is also showing that the human-centered order constituting the present is merely a concept that humans want to maintain.

      • KCI우수등재

        More-than-human Geographies of Nature

        Myung-Ae Choi(최명애) 대한지리학회 2016 대한지리학회지 Vol.51 No.5

        ‘인류세’라는 새로운 지질학적 연대가 도래했다는 최근 지질학계의 주장은 인간 사회와 자연을 분리된 것으로 여겨온 기존의 대중적 인식에 균열을 가져오고 있다. 인문지리학자들은 인류세 논의가 시작되기 오래전부터 이같은 이분법적 인식을 해체하고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새롭게 이해하기 위한 이론들을 개발해 왔다. 본 논문은 이같은 이론적 논의의 최전선에 있는 ‘비인간지리학(more-than-human geography)’의 주요 개념, 논쟁, 연구 성과를 소개, 국내 정치생태학 논의의 이론적 지평을 넓히고자 한다. 최근 영미 정치생태학계에서 비인간지리학은 인간-자연 관계를 이해하고 형성하는 데 있어 그간 소외돼 온 비인간 행위자의 활약에 주목함으로써, 인간 행위자 중심의 기존 연구를 발전시킬 수 있는 새로운 이론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 이론은 2000년대 전후 지리학계에서 발생한 ‘물질적, 수행적 전환’에서 출발, 인간과 자연의 물질성에 주목하고, 이를 통해 자연에 대한 구조주의적 이해와 생산주의적 이해를 넘어서고자 한다. 비인간지리학자들은 행위자-연결망 이론, 비재현 이론, 생기철학에 이론적 기반을 두고, 비인간 행위성(nonhuman agency)과 감응(affect) 등의 개념을 통해 인간-자연 관계를 분석한다. 비인간지리학에서 자연은 다양하고 이질적인 인간 및 비인간 행위자들의 수행(performance)에 따른 결과물로 인식되며, 네트워크 행위자들의 다양한 수행에 따라 끊임없이 새롭게 만들어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같은 혼종적, 과정적, 내재적 존재론에 기반을 두고, 비인간지리학은 비인간 행위자와 비재현적 소통이 인간-자연 관계의 이해와 형성에 깊이 개입돼 있다고 보고, 자연에 대한 정치적, 윤리적 결정에 있어 비인간 행위자를 적극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한다. The recent diagnosis of the Anthropocene challenges public understanding of nature as a pure and singular entity removed from society, as the diagnosis confirms the earth-changing force of humans. In geography, the nature-society divide has been critically interrogated long before the diagnosis of the Anthropocene, developing several ways of theorizing nature-society relations. This paper introduces a new frontier for such theoretical endeavors: more-than-human geography. Inspired by the material and performative turn in geography and the social sciences around the 2000s, more-than-human geographers have sought to re-engage with the livingness of the world in the study of nature-society relations. Drawing on actor-network theory, nonrepresentational theory (NRT) and vitalism, they have developed innovative ways of thinking about and relating to nature through the key concepts of ‘nonhuman agency’ and ‘affect’. While more-than-human geography has been extensively debated and developed in recent Euro-American scholarship on cultural and economic geography, it has so far received limited attention in Korean geographical studies on nature. This paper aims to address this gap by discussing the key concepts and seminal work of more-than-human geography. I first outline four theoretical strands through which nature-society relations are perceived in geography. I then offer an overview of more-than-human geography, discussing its theoretical foundations and considering ontologies, epistemologies, politics and ethics associated with nature-society relations. Then, I compare more-than-human geography with political ecology, which is the mainstream critical approach in contemporary environmental social sciences. I would argue that more-than-human geography further challenges and develops political ecology through its heightened attention to the affective capacity of nonhumans and the methodological ethos of doing a careful political ecology. I conclude by reflecting on the implications of more-than-human geography for Korean studies on nature-society relations.

      • KCI등재

        막스 베버의 사회학과 비인간들

        서이종(Suh, Yi-Jong) 한국이론사회학회 2011 사회와 이론 Vol.19 No.-

        본 논문은 현대사회학에 중요한 고전사회학자인 막스 베버의 사회학에서 오늘날 이론적 쟁점이 되고 있는 비인간(행위체)들을 어떻게 자리매김 하고 있는지를 밝히고 그 이론적 함의를 추적한 글이다. 2절에서 비인간의 문제 의식에서 비판적으로 주장되는 인간중심주의와 자연과학과 문화과학의 이분법을 서술하고, 3절에서는 베버의 주관적인 의미 이해의 강조가 어떻게 비인간 행위체를 논외로 만드는지 그리고 4절에서는 그의 자연과학적 방법론에 대한 경계와 문화학적 방법으로의 경도가 비인간 행위체를 어떻게 간과하게 하고 인간과 비인간의 상호작용을 무시하게 하는지를 밝히고 5절에서는 그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인간과 비인간의 상호작용으로서 사회현실을 설명할 때 기여할 수 있는 베버 사회학의 함의를 추론한다. This paper is aimed to explor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non-humans in sociological theory through a theoretical review of Max Weber’s sociology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current identity of sociology. Based on a review of non-human-based critical arguments about Max Weber’s Sociology in chapter 2, I examine how his focus on subjective meaning, his criticism on natural scientific methodology and his devotion to cultural science led to passing over the role of non-humans and ignoring the relation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in his theory in chapter 3 and 4. In chapter 5 I find out theoretical implications of Weber’s sociology in explaining the relations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despite the near or complete absence of theoretical position of non-humans in his sociology.

      • KCI등재

        순정과 SF의 조우 - 1990년대 SF 순정만화 속 비인간 타자들

        김은정 대중서사학회 2023 대중서사연구 Vol.29 No.3

        이 글은 1990년대 여성 만화작가들이 생산한 SF 작품을 주요 분석대상으로 삼아 순정만화가 구축해온 장르적 관습과 SF가 만나 이룬 서사적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당대 작품을 살펴본 결과 비인간 타자라는 이질적인 존재와의 조우를 서사화하는 경향이 두드러진다는 점을 발견하고 SF 순정만화 속 외계인, 로봇, 안드로이드, 유전자 변이체 등 비인간이 재현되는 양상과 이들과의 관계를 풀어내는 서사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했다. SF 순정만화 속 비인간의 형상은 인간과 크게 다르지 않다. 이는 기본적으로 순정만화의 장르 법칙인 미형의 그림체 때문이다. 숨겨진 감정을 포착하는 데 주력하는 순정만화의 도상으로 인해 인간‘처럼’ 생긴 순정만화 속 비인간은 인간사회에 자연스럽게 녹아들어 종적 이질감이 갈등요소로 작동하지 않는다. 더불어 ‘순정만화식’ 서사라고 여겨진 멜로드라마적 감정 과잉과 타자와의 합일을 꿈꾸는 로맨스는 비인간을 인간으로 받아들이는 토대가 된다. 우선 SF 순정만화의 비극적 낭만성은 비인간에 대한 학대와 착취와 같은 사회 갈등 및 부조리를 폭로한다. 또한 타인의 고통을 나로 확장하는 사랑이라는 감수성은 비인간을 유일한 존재로 받아들인다. 즉, SF 순정만화는 비인간을 애도할 수 있는 대상이자 애도할 수 있는 죽음으로 상정하고 이들 존재의 위태로움을 미학적으로 표출함으로써 비인간 타자에 대한 포용과 애도의 정치학을 발휘했다. 그러나 순정과 SF의 만남은 비인간과 다양한 연대를 구체화하지 못하였으며 비인간도 ‘인간임’을 증명하는 서사에 치중한다는 점에서 한계를 보였다. 즉, 인간(종)중심주의의 휴먼드라마로 귀결되거나 타자와의 차이를 긍정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30여 년 전에 출간된 여성 만화작가의 작품이 인간/기계/생명에 대하여 도구적 관계를 넘어선다는 측면에서는 포스트휴머니즘으로 나아갈 선제적 가능성을 제시했다고도 볼 수 있다. 이러한 평가는 한국에서 SF라는 특정 장르가 형성되는 데 있어서 90년대 순정만화의 역할과 자장을 찾는 단서가 될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SF comics produced by female cartoonists in the 1990s to uncover the narrative features at the intersection of Sun-jeong manhwa and SF. A common theme among these comics is their portrayal of encounters with nonhuman entities. Therefore, this paper focuses on how nonhumans such as aliens, robots, androids and genetic mutants, were represented and plotted in SF Sun-jeong manhwa. Nonhumans are often depicted in human-like forms. This is primarily a result of the genre’s emphasis on aesthetics of capturing the characters’ hidden emotions. Due to this emphasis, nonhuman characters tend to resemble humans and seamlessly integrate into human society, thus avoiding typical sources of conflict. In addition, the melodramatic expression of emotions and the romanticism associated with yearning for unity with the other, which are considered essential narrative elements of Sun-jeong manhwa, provide a foundation for accepting nonhumans as akin to humans. The tragic romanticism found in SF Sun-jeong manhwa exposes social conflicts and injustices such as the abuse and exploitation of nonhumans. The sentiment of love, which extends one’s own suffering to encompass that of others, fosters acceptance of nonhumans as valid entities. In other words, SF Sun-jeong manhwa envision nonhumans as beings worthy of mourning and portray their deaths as mournable, so they advocate for a politics of inclusion and mourning for nonhuman entities through aesthetic expressions that highlight the precariousness of their existence. However, the encounter between Sun-jeong manhwa and SF has its limitations in that it does not lead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solidarities with nonhumans. Instead, it often focuses on narratives that demonstrate nonhuman’s humanness, ultimately reducing the genre to a form of human drama or failing to affirm differences with the other. Nonetheless, it can be argued that the SF Sun-jeong manhwa presented a preemptive possibility of moving towards posthumanism by transcending the instrumental relationship between humans, machines, and life. Such an assessment may offer insights into the role and influence of 1990s women’s comics in shaping a distinct genre of SF in South Korea.

      • KCI등재

        포스트휴먼 시대 비인간 담론으로 다시 읽는 여성시―김승희·김혜순·최승자의 시를 중심으로

        황선희 한국시학회 2024 한국시학연구 Vol.- No.77

        포스트휴먼 개념이 이 시대를 이해하는 열쇠로서 중요하게 호명되는 가운데, 비인간 담론은 새롭게 (재)발견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 현대시를 읽는 데 있어 충분히 다루어지지 못했던 비인간 담론을 바탕으로 삼아 여성시를 재독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생기적 유물론을 주창한 제인 베넷의 비인간 사유, 전통 철학의 이분법적 구도에 반대하며 포스트휴먼과 성차(性差) 개념에 집중해 온 로지 브라이도티의 이론 등을 중심으로 하여 한국 현대 여성시를 새롭게 읽어 보고자 하였다. 검토 대상 텍스트로는 비인간-사물을 다루었거나 비인간 담론의 관점에서 재독 가능한 김승희, 김혜순, 최승자의 시를 선정하였다. 사물들에게 생기적 물질성을 부여한 ‘배치’의 시편에서 김승희, 김혜순, 최승자는 끊임없는 전환의 과정에 놓여 있는 살아 있는 연합을 보여준다. 시적 주체 ‘나’를 인간에만 한정하지 않고 읽는다면 비인간 담론의 측면에서 새로운 독해의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다. 비인간의 신체들이 배열됨으로써 나타나는 ‘유목’의 시편에서 세 시인은 비동일성, 분열, 틈, 환유에 대한 확장된 상상을 보여준다. 어떠한 정체성도 완전하거나 고정되어 있지 않다는 포스트휴먼 담론의 관점은 유목적 사유를 보여주는 세 시인의 시에서 선취되고 있음을 확인하게 된다. 비인간-사물이나 그와 어우러지는 인간 존재의 역능을 보여주는 ‘생성’의 시편에서 세 시인은 ‘객체’ 개념을 대신할 수 있는 ‘기계’ 개념의 적용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는 인간중심주의의 수직적 사고 체계와 변별되는 것으로, 포스트휴먼의 비인간 담론에 내재한 수평적 환대의 감각을 일깨운다고 할 수 있다. While the concept of posthuman is being called importantly as the key to understanding this era, non-human discourse is being newly discovered. In this paper, I tried to reread women's poetry based on non-human discourse that was not sufficiently dealt with in reading Korean modern poetry. In particular, I tried to read a new Korean modern women's poetry, focusing on Jane Bennett's non-human thinking, who advocated vital materialism, and Rosi Braidotti's theory, which has focused on the concept of posthuman and gender difference, opposing the dichotomous structure of traditional philosophy. As the text to be reviewed, poems by Kim Seung-hee, Kim Hye-soon, and Choi Seung-ja that dealt with non-human-thing or can be read again from the perspective of non-human discourse were selected. In the specimen of 'assemblage', which gives objects a vital materiality, Kim Seung-hee, Kim Hye-soon, and Choi Seung-ja show a living union that is in the process of constant transformation. If you read the poetic subject 'I' without limiting it to humans, you can discover a new possibility of reading in terms of non-human discourse. In the specimen of 'nomadic' that appears by arranging non-human bodies, the three poets show an expanded imagination of non-identity, division, gap, and metamorphosis. It is confirmed that the posthuman discourse's perspective that no identity is complete or fixed is taken first in the poems of the three poets who show nomadic thinking. In the specimen of 'creation', which shows the ability of non-human-thing or human beings to harmonize with it, the three poets show the applicability of the concept of 'machine' that can replace the concept of 'object'. This is differentiated from the vertical thinking system of anthropocentrism, and it can be said that it awakens the sense of horizontal hospitality inherent in posthuman non-human discourse.

      • KCI등재

        우리도 그들처럼: 토마스 사라세노와 조안 조나스의 작품에서 보는 비인간 존재와의 조우

        이지은(Rhee, Jieun) 서양미술사학회 2021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55 No.-

        지난 수십년 동안 우리에게 닥쳐온 급격한 기후변화와 생태계의 멸종위기, 그리고 최근 인류가 직면한 코로나 바이러스의 창궐은 이제껏 환경과 비인간 존재들을 지식의 대상이나 자원으로 보아왔던 우리의 인식에 대한 통렬한 반성을 불러왔고 이를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계기가 되었다. 인류세라 불리는 이런 시대의 변화에 반응하여 일군의 동시대 미술가들 역시 인간중심주의에 대해 비판하며 인간과 비인간의 경계를 묻는 작업을 선보이고 있다. 본 논문은 2019년 베니스 비엔날레 기간 동안 비인간 존재에 대한 사유를 풀어낸 두 작가, 토마스 사라세노와 조안 조나스의 작품을 살펴보고, 이들 미술 작품이 보여주는 인간과 비인간 존재와의 조우와 이를 통해 작품이 시사하는 인간중심주의에 대한 도전을 드러내려 한다. 사라세노는 각 나라를 대표하는 국가관이 들어선 자르디니 공원에 거미/거미줄 파빌리온을 세워 인간과 거미가 함께 만들어가는 작품을 선보였다. 조나스는 다양한 해양생물이 등장하는 비디오와 퍼포먼스 작업을 통해 문명과 자연, 인간과 비인간의 이분법에 대항했다. 논문은 인간과 비인간이 교류하고, 의인화된 허구를 통해 관계를 확장하는 이들 작가들의 작품을 분석해보고, 최근 인류세 논의를 이끄는 저자들 중 캐롤라인 존스, 도나 헤러웨이, 자크 데리다의 비인간에 대한 논의들을 통해 이들 작품의 의미를 추적하고자 한다. 이들의 작업은 우리에게 인간과 비인간 존재를 가르는 경계가 허물어질 때에서야 비로소 우리가 갖고 있는 인간중심주의의 편협한 시각을 와해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For decades we saw an unprecedented surge of environmental troubles from climate change to the depletion of biodiversity, and now we are facing the threat of Covid virus. Living in the age of the Anthropocene, we are forced to examine the way in which humans have been incessantly turning the planet into an object of knowledge and exploitation. Among the noteworthy practices of criticism is the challenge of the distinction between human and nonhuman carried out by a group of contemporary artists. This paper examines the works of two artists who presented during the 2019 Venice Biennale, Tomás Saraceno and Joan Jonas. Saraceno opened the Spider/Web pavilion at the Giardini in marked contrast to other pavilions representing respective nation states. He provided works that both humans and spiders can participate. Jonas invited marine creatures in her works, challenging the binary opposition of human and nonhuman. This paper will explore their works in the light of the recent anthropocene discourses of major authors such as Caroline Jones, Dona Haraway, and Jacques Derrida. The works of Saraceno and Jonas provide insights that we could overcome the narrow perspectives of anthropocentrism only through the deconstruction of the binary opposition of human and nonhuman.

      • KCI등재

        AI 로봇과 비인간 역할의 역설 - 영국 드라마 < Humans >를 중심으로

        추미선,유승호 한국영상학회 2018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6 No.3

        고프먼은 사회와 개인을 무대와 무대에서 연기하는 연기자로 비유하여 설명한다. 사회라는 무대에서 연기자인 개인은 기대되는 역할을 연기하고 자아의 표현도 무대에 맞게 요구되므로 개인의 자아와 사회가 맺는 그 관계성은 긴밀하다. 이처럼 사회라는 무대에서 개인은 상황에 따라 연기자와 관객이 되어 상호작용한다. 그런데 고프먼 이론에는 인간이면서도 인간이 아닌 ‘특별하고 예외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인간이 있다. 상호작용에 참여할지라도 연기자나 관객역도 맡지 않는 ‘비인간(non-person)역할’이 그것이다. 본 연구는 우리 사회에 존재하는 비인간 역할이 기술의 발전으로 기계와 로봇으로 대체되면서 생기는 새로운 사회의 갈등 양상을 살펴본다. 특히 로봇이 우리가 사는 세상에 존재하면서 수행하게 되는 비인간 역할을 어빙 고프먼의 하인 개념을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다. 로봇이 현대사회에서 비인간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펼쳐지는 상황은 어떤 것일까? 본 연구에서는 영국드라마 <Humans>를 사례로 삼아 로봇이 인간의 일상생활에서 인간과의 관계가 어떻게 배치되는지, 그리고 로봇이 비인간 역할을 수행할 때 인간과의 관계가 어떻게 변해 가는지 고찰해 보고자 한다. 드라마 <Humans>는 로봇이 인간의 생활에 개입했을 때 생길 수 있는 상황을 보여주는 ‘거대한 사고실험’의 드라마가 된다. 드라마에서 인간이 로봇을 대하는 태도에 따라 그것은 인간들 간의 갈등, 즉 근대적 인간과 전 근대적 인간의 갈등으로 나타났다. 특히 드라마 속에서는 하인의 역할을 수행하는 로봇을 동경의 대상으로 바라보는 관점까지 드러남으로써 로봇을 둘러싸고 출현하는 인간 종들 간의 갈등을 세밀하게 보여준다. 특히 로봇이 인간의 정서에 개입하여 비인간역할을 수행할 때 인간과 어떤 관계를 생성할 것인가에 대해 집중적으로 고찰할 것이다. Goffman, channeling Shakespeare, explains social life as being composed of individuals upon a stage and carrying out their actions upon it. On this stage of society, an actor plays and acts out the roles expected of him, and such expressions of the self must also match the stage. Thus, the roles of individuals can change in accordance with the needs and wants of society as well as the reality faced by others. Likewise, individuals interact with each other as actors and spectators on the "stage of society." Within such a framework, there exists a group of people who perform 'particular and unusual roles', according to Goffman's theory. These are ‘non-person roles', referring to those separate from the actor or audience, despite participation in the interac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aspect of conflict in modern society caused by those carrying out such non-person roles existing in our society, which are being replaced by AI due to developments and advances of technology. In particular, this paper examines the non-person roles that robots are able to perform in our life, focusing on the "servant framing". We observe how a robot performs a 'non-person role' in human life through the TV show 'Humans' which is a 'thought experiment' that presents the conflict between the modern and post-human perspective toward robots. It also portrays the conflicts between those who consider the robot as a servant and those who see it as an object of admiration on the TV show. The findings here suggest why robots become an object of admiration despite performing the role of a servant, providing directions and instructions regarding our attitudes so as to more capably avoid conflicts in the coming future society. It focuses particularly on how robots engage with humans when robots intervene in human emotions and carry out non-person roles as described above.

      • KCI등재

        한국의 발전주의 도시화와 ‘국가-자연’ 관계의 재조정: 감응의 통치를 통해 바라본 도시 비둘기

        김준수 한국공간환경학회 2018 공간과 사회 Vol.28 No.1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e and nature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al urbanization in S. Korea. In particular, I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S. Korea’s developmental state and pigeons in the context of the politico-ecological debate about the material itself and the non-human. The non-human pigeon is mobilized in the mega-event and the process of developmental urbanization through the developmental state. At the same time, the process of mobilization of non-human as a resource works together with governance of nature on various levels. However, from the 1990s,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the pigeon itself were associated with the spatial restructuring process of the developmental urbanization, resulting in a new form of materialistic resonance. This material echo of the pigeons ultimately led to a change in the sense of social affective emotion for the pigeon, which eventually led to the policy changes regarding the pigeon in 2009. In this study, we apply the concept of biophilia and biophobia to track the change process of nonhuman pigeons. This approach embraces the discussion of more-than-human geographies as a critique of the existing human-centered social sciences and also discussion of developmental urbanization which does not involve the political ecological approach. Ultimately, this study suggests the possibility of reinterpretation of the state and urban space through nonhuman and human relations and also through state and nature relations. In addition, the attention of asymmetrical relations between nonhuman and S. Korean’sdevelopmental state implies a theoretical and practical alternative to developmental urbanization. 이 연구는 한국의 발전주의 도시화 과정 속에서 국가와 자연의 관계 형성과 그변화 과정을 탐구한다. 특히 최근 물질 자체에 대한 재주목과 비인간에 대한 정치생태학적 논의 속에서 한국의 발전국가와 비둘기의 관계성을 바라본다. 비인간 비둘기는 국가 영역의 메가 이벤트와 발전주의 도시화 과정 속에서 동원의 대상으로자리한다. 동시에 자원으로서 비인간 비둘기의 동원과정은 다양한 층위에서 자연에 대한 통치성이 함께 작동한다. 그러나 1990년대를 기점으로 비둘기 자체가 가진 물질적 특성들이 발전주의 도시화의 공간 재편 과정과 조응을 이루며 새로운형태의 물질주의적 울림을 발생시켰다. 비둘기의 이와 같은 물질적 울림은 궁극적으로 비둘기에 대한 사회적 정동감각의 변화를 이끌어내 결국 2009년 비둘기의정책적 폐기로 이어졌다. 이 연구에서는 비인간 비둘기에 대한 정동감각의 시기별변화 과정을 추적하기 위해 바이오필리아와 바이오포비아의 개념을 적용한다. 이와 같은 접근법은 발전주의 도시화 논의에서 제외된 정치생태학적 접근과 기존의인간중심적 사회과학에 대한 비판으로써 비인간에 대한 논의를 수용하고 있다. 궁극적으로 이 연구는 비인간과 인간의 관계성에 대해 환기시킴으로써 비인간을 통한 인간의 재해석 가능성과 국가와 자연의 관계를 통해 국가와 도시 공간에 대한재해석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또한, 비인간과 한국의 발전주의 국가에 대한 비대칭적 관계성에 대한 환기는 발전주의 도시화에 대한 이론적, 실천적 대안을 함의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