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교교육학과 교육철학: 비교교육철학을 지향하며

        유재봉 한국비교교육학회 2018 比較敎育硏究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philosophy of education and comparative education, and suggest what relationship between these are desirable. To this end, this paper examines the connection between philosophy of education and comparative education, shows trends in philosophical approach to comparative education, and suggests a desirable direction for comparative education should proceed in terms of philosophy of education. Philosophy of education needs a comparative dimension as much as comparative education needs a philosophical dimension. From the philosophical perspective, many researches should directed their research towards philosophical comparative education for the mutual enhancement of comparative education and philosophy of education. In conclusion, philosophers of education should actively conduct research, keeping both the identity of philosophical education and enlarging comparative education. The research should not be confined to either philosophy of education or comparative education. 이 논문은 교육철학과 비교교육학은 별개의 것이 아니라, 상호 관련되어 있다는 점과 비교교육학의 발전을 위해 교육철학과 비교교육학의 관계가 어떠해야 하는지를 밝히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먼저, 교육철학과 비교교육이 어떻게 상호 관련되어 있는지를 살펴보고, 다음으로 서양과 한국의 비교교육학계에서 주요 교육철학적 접근의 동향을 고찰하며, 마지막으로 비교교육학의 발전을 위해 교육철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탐색하였다. 교육철학은 비교학적 차원이 필요하고, 비교교육학은 철학적 차원이 요청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과 서양에서 공통적으로 비교교육학 연구 분야에서 교육철학적 접근이 간과되어 왔다. 교육철학자의 관점에서 비교교육학과 교육철학의 상호발전을 위해서는 ‘비교교육철학’을 지향할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교육철학자는 단순히 교육철학적이거나 비교교육학적인 성격을 띤 연구에서 벗어나서, 교육철학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비교교육학의 지평을 확대하고 외연을 넓힐 수 있는 연구를 적극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다.

      • 동서철학인가, 비교철학인가 - 연구방법론의 양식성과 내재성 -

        박연규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06 철학·사상·문화 Vol.0 No.4

        In The word 'East West Philosophy' there are some difficulties; in which doing philosophy we cannot escape from the geographical limit of east and west that is the very exterior limitation. To solve these difficulties, I propose a new but used in accustomed way by which we can do philosophy in a neutral and more philosophical way. In the introduction of this article, with a critical attitude I summarize why the 'east west philosophy' should be changed to the 'comparative philosophy.' I also tried to discover most of arguments of 'Eastern Dialogue' or 'Eastern Alternative Dialogue' have been misled and exaggerated. In my main arguments, I suggest two ways of formality and intrinsicality in which we can make up the method of comparative philosophy. Through the formal way we set up the attitude and eligibility of doing the comparative philosophy. A Koreanized philosophy is exampled. Meanwhile, through the intrinsic way we also fix the requirement of identity for the comparative philosophy. Thus the philosophical meaning of relation is illustrated. In conclusion, I show east west philosophy might be a subject of comparative philosophy but not the methodological way itself. 우리가 무의식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동서철학이라는 용어에는 철학함에 있어 동서라는 지리적 영역의 한계와 철학 외적인 한계를 벗어나기가 어려운 부분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중립적이면서 철학적 태도에 근접하는 비교철학이라는 용어로 대치할 필요가 있다. 서론에서는 왜 동서철학이 아니라 비교철학이어야만 하는가에 대한 일반적인 논의를 최근에 일어났던 동양담론을 비판하면서 전개한다. 그 동안의 동양담론이나 동양 대안론이 동양과 서양의 철학을 이원화시킨 데에 그 원인이 있었음을 밝힌다. 본론에서는 이렇게 대치된 용어로서의 비교철학의 방법론을 양식성과 내재성이라는 두 주제를 가지고 설명한다. 양식성에서는 철학적 문제를 어떠한 관점에서 바라보아야 하며, 비교철학의 자격요건이 무엇이 되어야 하는가를 다룬다. 이러한 문제적 관심과 자격요건을 충족하는 사례로서 우리말로 비교철학하기를 제시한다. 내재성에서는 주체적으로 철학하기의 요건이 왜 필요한가를 다루면서 관계성을 또 다른 사례로 제시한다. 즉 비교철학은 나의문제와 타자와의 문제를 철학적으로 이해하는 과정임을 보여준다. 결론에서는 동서철학은 넓은 의미에서 비교철학의 하나의 연구 영역이지 그 자체가 비교철학이 될 수 없음을 주장한다.

      • KCI등재후보

        ‘차이’ 찾기로서의 비교철학

        박연규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11 철학·사상·문화 Vol.0 No.11

        In this article I attempted to define the comparative philosophy as activities to discover a difference of two or three philosophies. And I also emphasized that through actively doing philosophy of the difference the comparative philosophy should be a meaningfully methodological way escaping from the limits of a given locality or time, and clarified that it must be functional as a method constituting a comparative discourse. In this context, I first pointed out that the various arguments of the comparative philosophy only has been focused on finding a sameness or similarity rather than difference itself. Then I criticized a problem in which our common practice of finding a sameness from the different philosophies has been falling in making harmony of east and west philosophy. As regards the comparative method of the east and west philosophy a consideration, that is, whether intuition or reason arguments for east and west philosophies, would be problematic. In our country the atmosphere of the studies of comparative philosophy did not satisfy for a long time appropriate conditions for the sound way of comparison; not criticizing the difference of them but depending upon a conventional way of a given matter of course. And pointing out that there were not enough for various and delicate discourses for the comparative philosophy to us, I emphasized many ways of comparison again. In result, comparison of the comparative philosophy must be a work to find the inner relation of them. For the good comparison, I think, a difference would be disclosed from the philosophies. Concerning the limits of coluturalism a standpoint of a philosophy should be open again to find a universal context, namely, the original right of doing philosophy. 이 논문에서 논자는 비교철학을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철학에서 차이를 찾는 행위라고 정의하고자 한다. 또한 차이를 적극적으로 철학함으로써 비교철학의 영역이 지역이나 시대적 한계를 벗어나 어엿한 하나의 철학행위가 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비교 담론을 구성하는 방법론으로서 기능해야 됨을 밝히고자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지금 국내에서 관습적으로 해오고 있는 비교철학의 논의가 차이보다는 같거나 닮은 점, 비슷하거나 유사한 점에 지나치게 편향되어 있는 점, 그리고 이러한 공통점 찾기의 비교철학 연구의 관례가 동서철학의 조화라는 철학 외적인 이름으로 진행되고 있는 사실의 문제점을 비판하고자 한다. 논자는 동서양의 철학이 직관 대 이성으로 고정되어 온 점을 문제로 삼으면서, 한국의 비교철학 풍토가 차이를 비판적으로 철학했다기보다는 차이가 있어야 한다는 당위에 관습적으로 대응해왔다는 점을 지적한다. 그리고 비교철학의 다양한 접근 방법에 대한 논의가 충분하지 못하고 정밀하지 못함을 지적하면서 비교를 함에 있어 적절한 방법론이 있어야 함을 제기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비교는 서로 다른 두 철학의 관계의 내재율을 찾아내는 작업이 되어야 함을 밝히고, 비교는 차이를 보되 문화주의의 한계를 벗어나면서 각자 처한 입장을 보편화할 수 있는 철학의 기본 구조를 견지할 수 있어야 한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 KCI등재

        연구 논문 : 조요한 예술철학 연구 시론

        이인범 ( Ihn Bum Lee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0 美學·藝術學硏究 Vol.32 No.-

        철학자 조요한(1926-2002)은 생전에 『예술철학』(1973)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1988), 『한국미의 조명』(1999), 『예술을 사랑하는 마음』(1993), 『지혜를 사랑 하는 마음』(1993)같은 저작들을 발표했다. 식민지시대에 성장기를 보내고 6·25 한국전쟁을 거치며 그는 난파당한 현실에서 초월을 체득하는 길을 열어준 칼 야스퍼스와 키에르케고르의 실존철학의 영향 속에서 영원을 향하는 소크라테스와 예수 그리스도, 그리스철학과 기독교를 출발점으로 철학하는 길에 접어들어 학사학위청구논문으로 「키에르케고르와 실존」(1954)을 제출하였다. 이어 석사학위청구논문으로 「초기 회랍철학에 있어서의 동방사고의 영향」(1958)을, 박사학위청구논문으로「Aristoteles 철학에 대한 해석상의 문제」(1975를 제출하며 청년기의 관심사였던 그리스철학과 기독교 사이의 ‘대치 점과 상관관계’에 관한 철학적 관심을 심화시켜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철학자 조요한은 1973년 『예술철학』을 자신의 첫 저작으로 발표였으며, 작고하기 3년 전인 1999년에는 단행본 『한국미의 조명』을 마지막 저서로 발간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예술철학은 그가 처음 철학적 과제로 설정했던 그리스철학이나 기독교 이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필자의 이 논문은 철 학자 조요한의 예술철학 연구 업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본격적인 연구에 착수 하기에 앞선 예비적 시론으로서, 이 글은 그 동안 발표된 조요한의 철학 텍스트들에 대한 서지학적 조사연구와 더불어 그의 예술철학이 지닌 근본문제들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의 전 철학체계 안에서 어떠한 위상을 지니는지를 밝힌다. 『예술철학』은 미학강의 노트에 근거한 제l부 ‘예술철학의 기초개념’과 제2부 ‘현대예술의 과제’와 제3부 ‘예술이론의 몇 가지 문제’으로 구성된다. 제l부는 일제 강점기에 고유섭에 의해 미학이 근대적 학문으로서 시작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에 미학과 예술론 텍스트가 부재하던 시절 미와 예술(fine arts) 개념을 철학적으로 정초하고 있다. 반면, 제2부와 제3부의 논문들은 1960년대에서 1970년대 초에 이르는 기간 동안 잡지들에 발표된 논문들로서 이 시기 한국의 사회 현실과 예술현장의 현안문제들에 대한 철학적 대응이다. 이 각각의 글들은 발표상의 선 후 관계나 구조연관을 밝힘으로써 같은 기간 동안 사회 현실이나 예술현장의 이슈들에 어떻게 그가 조응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조요한의 예술철학은 이후 30여 년 가까이 아리스토텔레스 철학 연구나 근대기 기독교와 서구철학의 수용에 관한 연구, 비교예술학이나 미술사방법론 같은 방법론적 반성을 거치며 『한국미의 조명』으로 귀결되고 있다. 1999년에 간행된 이 책은 『예술철학』에 실렸던 논문 「한국 조형미의 성격」(1968)에서 시작되는 한국예술의 정신에 관한 철학적 해명 작업의 결정판이다. 조요한은 동양과 서양의 미의식 비교, 한국·중국·일본의 조형미의 비교 등 비교예술학적 방법 그리고 한국예술과 종교·철학 사이의 연관관계에 대한 탐구를 통해 자신이 평생 과제로 설정했던 한국예술의 정신에 대한 철학적 해명을 심화시키고 있다. 여기서 그는 한국의 음악미는 무교에, 조형미는 불교에, 생활미는 유교에 근거해 한국예술의 근원적 동인을 탐색하고 있다. 그리고 한국예술정신의 근저에 깔려있는 자연순응의 인생관과 무속신앙을 해명하는 것이 남은 과제 가운데 하나라고 말한다. Throughout life of Yohan Zoh (1926-2002), the philosopher had released several books and essays like Philosophy of Art (1973), The Philosophy of Aristotle (1988), an Articulation of Love for Art (1993), An Articulation of Love for Philosophy (1993) and An Exploration of Korean Aesthetic Beauty (1999). By spending his period of growth in the era of the Japanese colonization and experiencing the Korean War soon after, the philosophy of Søren Kierkegaard and Karl Jaspers captured his attention, and led him to the field of existentialist theory inevitably. As a consequence, he submitted a dissertation, Kierkegaard and Existence (1954) for his BA, which denotes his future interest of Greek philosophy and Christianity toward the Eternal. Since then, Zoh submitted The Influence of Eastern Thought on Early Greek Philosophy (1958) for his master`s degree and The Analytical Problem of Aristotelian Philosophy (1975) for his doctorate. Both study reveals how he the deepened philosophical relationship of his early interest by exploring its contraposition and correlation. Despite of his philosophical subject matter in academic dissertations that he submitted, his first publication was in fact Philosophy of Art, and the last publication released three years before his death was An Exploration of Korean Aesthetic Beauty. In this respect, philosophy of art is bibliographically as important as his accomplishment in Greek philosophy or Christianity. Therefore, this preliminary study is to give a light on Zoh`s achievement in art before the fully fledged research take a place. Philosophy of Art is Consist of three chapters. The first chapter, ``The Basic Concept of Philosophy of Art``, is based on his given aesthetics talks between the 60`s and the early 70`s. Although the most of up to date art theories and text were yet not introduced in Korean academic field since the early death of Yu-seob Ko, the chapter is strongly anchored to the use of traditional terms of aesthetics and fine arts of time. The second and the third chapter are entitled as ``The Task of Modern Art`` and ``Some Problem with Art Theories` respectively. Each chapter is written on the basis of his several texts on art, that were also produced during the same period above. On the contrast to the first, these two chapters are philosophical analyses of the Korean art praxis. His last book, An Exploration of Korean Aesthetic Beauty, thus can be seen as a conclusive answer for one of the text that is included in Philosophy of Art, ``The Character of Korean Aesthetic Value.`` As a philosopher, Zoh picked up the thread that was left out for many years, and dedicated his entire life to elucidate the spirit of Korean art. He methodologically chose comparative science of arts for his investigation, giving examples of contrasting nature between the eastern and the western aesthetic, as well as comparing Korean aesthetic value with the art of neighbor countries like China and Japan in sequence. His academic path clearly shows that his love of art and philosophy are conflated in An Exploration of Korean Aesthetic Beauty.

      • 미분화된 미감(美感)적 연속, 동양 철학 그리고 화이트헤드 -비교 철학의 방법론을 위하여-

        장원석 ( Won Suk Chang ) 한국화이트헤드학회 2013 화이트헤드 연구 Vol.26 No.-

        이 논문은 철학자 필머 노드롭의 미분화된 미감적 연속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한 그의 비교철학 논구를 음미하면서 그의 유산이 현재 비교철학탐구에 비추어 어떻게 평가되어야 하는가를 논하고 있다. 필머 노드롭은 이미 초기의 과학 철학적 탐구에서 지적으로 구성한 요청에 의한 개념과 더불어 의식적으로 직접적으로 경험 되었으며 분화 되지 않은 것으로서, 덧없고 상대적이며 차별된 인식자는 물론 차별된 인식 객체들 역시 아울러 포용하며 인식 주체와 객체 속에서 동일한 그 무엇인, 표현하기 힘든 경험의 근원적 요소를 언어로 표현하려고 노력하고 있었다. 그리고 그는 훗날 ‘미분화된 미감적 연속’이라는 개념으로 명명한 이 경험의 요소를 설명하면서 동양 철학전통에서 이 개념이 갖는 중요성을 탐구하게 된다. 그는 이 개념을 유가, 도가, 불교 등 동양 철학 전통을 해석하는데 사용하면서 동서 비교철학활동에서 동서양 전통의 차이를 강조하고 동양철학전통을 미감적 경험적 관점에서 해석해야 함을 주장하여 초월적 관점과는 구별되는 비교 철학적 방법론을 발전시켰다. 이 논문은 그가 발전시킨 방법론을 평가하면서 이를 화이트헤드의 상징적 준거론과 비교 하였다. 이를 통해 그의 비 환원적인 비교철학 방법론을 높이 평가하였고 동시에 그의 지식 분류법이 갖는 약점을 지적하였다. In this article, I attempt to appreciate the method of comparative philosophy and idea of “undifferentiated aesthetic continuum” developed by F. S. C. Northrop. As early as his first monograph about philosophy of science, he felt the need to have an idea of directly experienced, undifferentiated entity that includes differentiated, transitory perceiver and events. This undifferentiated entity as source of differentiated experience also blurs sharp distinction of self and environment, perceiver and perceived. Later coining the term “undifferentiated aesthetic continuum” to denote this, he already has realized the importance of this idea in interpreting Eastern philosophical tradition properly. In his comparative philosophical inquiries, he used it interpreting Confucianism, Daoism and Buddhism. His method makes inquirers to be aware of difference between eastern thought and dominant western philosophical tradition, while Eastern tradition can be interpreted more aptly from the standpoint of aesthetic and radical empiricism, which can be distinguished from transcendental or reductionist way of interpretation. I compare his epistemology with idea of symbolic reference in the process philosophy of Whitehead and conclude that Northrop`s taxonomy of knowledge can be criticized by process philosophical perspective while core of his method and idea are viable today for comparativists.

      • KCI등재

        Comparative Study of Process Philosophy and the Korean Tradition Today

        Chang Won-Suk(장원석) 고조선단군학회 2007 고조선단군학 Vol.16 No.-

        이 논문은 서양의 과정철학과 한국철학의 비교 연구 현황을 알아보고 현재 쟁점을 개괄해 보려는 시도이다. 여기서는 특히 한국의 고유한 철학적 전통을 과정철학과 비교했던 이돈화와 김상일의 업적이 중심적으로 논의될 것이다. 과정과 관계성을 세계의 핵심적인 특징으로 여기며, 서양 철학사에서 화이트헤드(A.N. Whitehead), 퍼스(Charles Pierce), 미드(George Herbert Mead)등의 대표자를 가지고 있는 과정철학은 자주 동양의 전통과 비교연구의 대상이 되어 왔다. 이 비교철학적 시도의 중요한 통찰은 동양의 전통과 과정 철학은 공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양적인 것과 동양적인 것이 양자택일의 문제가 아니라 통합적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 데 있다. 1920년대 천도교의 대표적인 철학자인 이 돈화는 동학의 전통을 베르그송의 철학을 통해 이해하고 그 철학적?종교적 특징을 부각하려고 하였다. 그가 동학의 핵심적인 개념인 한울, 조화, 無爲而化 등이 베르그송의 과정철학과 현대 과학의 관점에서 어떻게 이해했는지 고찰 하였다. 한국의 고유한 철학과 과정철학을 연결시키려는 다른 시도는 김상일의 한 철학에 의해 시도되었다. 그의 철학의 핵심적인 개념인 ‘한’이 어떻게 과정 철학적 개념과 대화하면서 구성되었는지를 그의 학문적 업적을 역사적으로 추적하면서 고찰하였다. 그리고 두 사상가 외의 이 주제로 연구 활동을 하고 있는 이동휘, 장왕식, 장원석 등 여러 현대 한국 철학자들의 업적을 개괄하였다. 이제까지는 주로 과정철학과 한국전통의 유사점에 주목하여 철학적 논의가 진행됐지만 두 전통의 차이점도 역시 중요하다. 이런 차이에 대한 적절한 평가와 연구는 앞으로 유사성에 대한 연구만큼 두 철학적 전통의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는 것을 지적하였다.

      • 미분화된 美感적 연속, 동양 철학 그리고 화이트헤드 - 비교 철학의 방법론을 위하여 -

        장원석 한국화이트헤드학회 2013 화이트헤드 연구 Vol.0 No.26

        In this article, I attempt to appreciate the method of comparative philosophy and idea of “undifferentiated aesthetic continuum” developed by F. S. C. Northrop. As early as his first monograph about philosophy of science, he felt the need to have an idea of directly experienced, undifferentiated entity that includes differentiated, transitory perceiver and events. This undifferentiated entity as source of differentiated experience also blurs sharp distinction of self and environment, perceiver and perceived. Later coining the term “undifferentiated aesthetic continuum” to denote this, he already has realized the importance of this idea in interpreting Eastern philosophical tradition properly. In his comparative philosophical inquiries, he used it interpreting Confucianism, Daoism and Buddhism. His method makes inquirers to be aware of difference between eastern thought and dominant western philosophical tradition, while Eastern tradition can be interpreted more aptly from the standpoint of aesthetic and radical empiricism, which can be distinguished from transcendental or reductionist way of interpretation. I compare his epistemology with idea of symbolic reference in the process philosophy of Whitehead and conclude that Northrop’s taxonomy of knowledge can be criticized by process philosophical perspective while core of his method and idea are viable today for comparativists. 이 논문은 철학자 필머 노드롭의 미분화된 미감적 연속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한 그의 비교철학 논구를 음미하면서 그의 유산이 현재 비교철학탐구에 비추어 어떻게 평가되어야 하는가를 논하고 있다. 필머 노드롭은 이미 초기의 과학 철학적 탐구에서 지적으로 구성한 요청에 의한 개념과 더불어 의식적으로 직접적으로 경험 되었으며 분화 되지 않은 것으로서, 덧없고 상대적이며 차별된 인식자는 물론 차별된 인식 객체들 역시 아울러 포용하며 인식 주체와 객체 속에서 동일한 그 무엇인, 표현하기 힘든 경험의 근원적 요소를 언어로 표현하려고 노력하고 있었다. 그리고 그는 훗날 ‘미분화된 미감적 연속’이라는 개념으로 명명한 이 경험의 요소를 설명하면서 동양철학전통에서 이 개념이 갖는 중요성을 탐구하게 된다. 그는 이 개념을 유가, 도가, 불교 등 동양 철학 전통을 해석하는데 사용하면서 동서 비교철학활동에서 동서양 전통의 차이를 강조하고 동양철학전통을 미감적 경험적 관점에서 해석해야 함을 주장하여 초월적 관점과는 구별되는 비교 철학적 방법론을 발전시켰다. 이 논문은 그가 발전시킨 방법론을 평가하면서 이를 화이트헤드의 상징적 준거론과 비교 하였다. 이를 통해 그의 비 환원적인 비교철학 방법론을 높이 평가하였고 동시에 그의 지식 분류법이 갖는 약점을 지적하였다.

      • KCI등재

        Does ‘Fusion Philosophy’ Have a Future?

        Mark Siderits(마크 시더리츠) 한국동양철학회 2010 동양철학 Vol.0 No.34

        동서 비교철학이 서양 철학과 동양철학 내의 어떤 특정한 요소들을 단순히 비교하는 것에 그치는 것에 반해 소위 ‘퓨전’ 철학이라는 것은 두 전통으로부터 이어받은 통찰을 사용하여 철학적 문제를 해결하려 한다. 이러한 시도가 지닌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필자는 동양철학이라는 학문적 가치를 중시하는 연구자들에게 이것이야말로 가능성이 충만한 길이라는 것을 밝히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중 하나의 사례를 설명함으로써 필자는 적어도 이 경우에 있어서는 동양철학이 서양철학에 기여하는 바와 서양철학이 동양철학에 기여하는 바가 동시에 있음을 주장한다. While East-West comparative philosophy simply compares selected elements of Western philosophy and the Asian philosophical traditions, so-called ‘fusion’ philosophy seeks to solve philosophical problems using insights drawn from two traditions. While this approach has its difficulties, I argue that it is a promising path for those of us who value the study of Asian philosophy. I describe one example of such a project, and claim that at least in this case the benefits flow both ways: from East to West as well as from West to East.

      • KCI우수등재

        철학적 최상급

        남경희(Kyung-Hee Nam) 한국철학회 2013 철학 Vol.0 No.117

        본 논문은 서구철학의 사유범주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기 위한 작업의 일환이다. 이곳에서는 가장 중요한 범주의 하나로 철학적 최상급을 검토한다. 본 논문은 우선 서구의 주요 철학자들, 대표적으로 플라톤, 데칼트, 칸트 철학의 주축을 이루는 주요 개념들이 철학적 최상급임을 지적한다. 플라톤의 형상은 존재론적 최상급이며, 데칼트의 방법적 회의의 원리가 되었던 절대 확실성의 이념은 인식론적 최상급, 그리고 칸트 윤리학의 기초를 이루는 선의지나 정언명령은 윤리적 최상급의 전형이다. 두 번째로 이들 철학자들이 최상급적 존재를 상정한 주요 논거를 검토한다: 그들은 주로 비교급적 진술의 준거로, 지향적 활동의 최종 목표지점으로서, 술어의 의미 근거가 되는 속성의 전형으로, 그리고 의미 규칙론적 입장에서 최상급적 존재를 상정하였다. 최상급의 논리를 검토한 후, 본 논문의 세 번째 부분에서는 이들 논리와 개념들의 문제점을 규명한다. 의미 규칙론과 관련하여 규칙을 상정함이 논리적 역설을 유발함을, 그리고 속성 전형론과 관련하여 전형적 속성이란 오히려 경험적 속성에 의존함을 지적한다. 나아가 절대 확실성의 개념이란 논리적으로 부조리함을, 그리고 의미 있고 실질적인 윤리적 가치나 덕목은 대부분의 사람들에 의해 실현될 수 있는 것이어야 함을, 따라서 윤리적 술어문장의 의미는, 이들 대부분이 진리임을 논리적으로 요청함을 논한다. 본 논문은 결론에서 철학적 최상급의 개념과 이에 기초한 사고법에 대한 대안으로, 비교급적 패러다임의 사고법을 제안한다. This paper is a critical study on one of the central philosophical categories of the West: the philosophical superlative. This paper consists of three parts. In the first part, I point out that the central concepts of major western philosophers are the typical cases of the philosophical superlative: Plato’s Eidos is an ontological superlative, Descartes’ cogito is an epistemological superlative, and Kant’s categorical imperative is an ethical superlative. The second part of this paper examines the logics and arguments for the philosophical superlatives. Main reasons suggested for positing the philosophical superlatives are the following: we need the criteria for comparative judgements; there must be end-point of our intensional activities; the philosophical superlatives are the ontological basis for empirical properties: they serve as universal rules for all kinds of rule-following actions such as performing ethical actions and using predicates. In the last part, I critically examine the above arguments. 1) Positing universal rules entails a logical paradox, as Wittgenstein points out. 2) Contrary to traditional views, the notion of philosophical superlatives depends upon comparative judgements. 3) The ideal of logically infallible knowledge is problematic, since the notion of knowledge is formed because of the possibility of error. 4) For ethical and epistemic values and ideals to be meaningful and material, they ought to be something that can be achieved by majority of people. As a coclusion, I propose a paradigm of comparative thinking, which I believe may be found in Eastern conceptions of mind and reason(Li 理 or Gyul).

      • KCI등재

        한국어와 프랑스어 속담에 나타난 질병과 의사의 표상에 관한 비교 문화·철학적 접근

        ( Severine Stoeckle ) 한국불어불문학회 2013 불어불문학연구 Vol.0 No.95

        서양 의학을 구성하는 철학적 전통이 현지의 의학적 전통(예컨대 한의학)과경쟁적 공존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한국과 같은 사회에서 의학철학과 현지의 문화는 종종 대립과 충돌의 양상을 띠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본 연구는 집단 무의식의 거울이라고 할 수 있는 속담을 매개로 한국과 프랑스 사회가 질병과 의사들을 어떻게 인식하고 표상하고 있는지를 비교문화적인 접근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선 질병에 대한 접근 방식과 관련하여 동서양의 의학적 전통은 문화적?철학적 차원에서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낸다. 즉, 동양에서는 심리적이고 형이상학적인 기반 하에 질병을 내인성으로 간주하면서 전체적인 방식으로 접근하는 반면, 서양에서는 동양의 자연철학과 공통된 바탕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질병을 외인성으로 보고, 그에 대해 환원주의적이며, 생리학적, 과학적인 접근을 시도하는 것이다. 흥미로운 것은 질병에 대한 두 세계의 접근 방식이 이처럼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양국의 속담에 나타나는 집단 무의식 속에서는 질병의 수용과 사회적 영향, 그리고 의사의 이미지 표상에서 별반 차이가 없다는 사실이다. 이는 한편으로 동서양에 공통된 자연철학의 토대가 속담에 반영된 것을 의미하며, 다른 한편으로 17세기 서양 의학철학에서 발생한 혁신적 관점, 즉 의학에서 종교의 영역을 배제하고 질병을 생리학적이고 외인성으로 보는 관점이 프랑스의 속담에 반영되지 않은 것을 뜻한다. 한편 의사의 이미지 표상과 관련하여 양국의 속담에서, 특히 프랑스어 속담에서 의사들이 놀림과 신랄한 풍자의 대상이 되는 현상이 두드러진다. 이는 속담을 통해 자신의 생각을 표현했던 이들이 주로 시골 사람들이었고, 이들이 대부분 의학에 문외한이었던 관계로 의사로부터 사기나 무시를 당한 경험이 많았다는 사실과 더불어 의학이 어떤 경우에도 완전할 수 없다는 사실에서 비롯된다. 결론적으로 한국과 프랑스의 속담에 나타난 질병과 의사에 대한 표상을 비교 분석한 결과 ``철학적-의학적-문화적`` 차원에서 전적인 충돌은 아니지만 부분적으로는 질병과 의사에 대한 인식과 표상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