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모네』에 나타난 푸에르토리코 현실과 ‘비가시성’의 극복

        이성훈(Lee, Seong-Hun)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19 중남미연구 Vol.38 No.2

        『시모네』는 2011년 아르헨티나의 꼬레히도르(Corregidor) 출판사가 만든 ‘카리브 제도(Archipiélago Caribe)’시리즈의 첫 번째 작품으로 출판되었다. 『시모네』가 스페인 대형 출판사들이 주목하지 않는 카리브 문학의 현실, 나아가 푸에르토리코와 푸에르토리코 문학 현실을 상징적으로 잘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긍정적인 평가를 통해 에두아르도 랄로(Eduardo Lalo)는 2013년 18회 로물로 가예고스(Rómulo Gallegos) 상을 받았다. 그러나 그가 로물로 가예고스 상 수상자로 발표되었을 때 예상 밖의 선정이라는 평가도 많았다. 라틴아메리카의 독립 출판사에서 작품을 출판한 그다지 널리 알려지지 않은 작가였기 때문이다. 이런 랄로의 수상을 두고 몇 가지 비판적인 목소리들이 제기된 것도 사실이다. 이른바 ‘핑크 타이드’의 정치적 선동의 도구로『시모네』가 선택되었다는 것과, 이 작품의 문제의식이 핑크 타이드의 정치적 지향과 일치하지 않는다는 비판이 대표적이다. 로물로 가예고스 상이 베네수엘라의 정치 상황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시모네』에 대해서는 로물로 가예고스 상 수상에서 보는 것처럼 푸에르토리코의 비가시성(invisibility)을 드러내는 의미 있는 작품으로 평가하는 태도와, 반대로 신자유주의에 대한 비판적인 태도에도 불구하고 지식인을 강조하는 일종의 아리엘주의(arielismo)에 갇혀 있다는 비판이 공존하고 있다. 이런 긍정적인 태도와 비판적인 입장의 공존에 주목하면서, 푸에르토리코의 비가시성을 드러내고 극복하려는 에두아르도랄로의 의지가 『시모네』에서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Eduardo Lalo’s Simone was published in 2011 as the first work of the ‘Archipiélago Caribe’ series by the Argentinian publishing house, Editorial Corregidor. Simone reveals the reality of Caribbean literature which is often neglected by more well-known publishers of the Spanish-speaking world, and furthermore expounds the world of Puerto Rican literature. Based on the critical acclaim of the book, Lalo received the 18th Rómulo Gallegos prize in 2013. However, his winning was also met with surprise since he was a relatively unknown author whose work was published by an independent publishing house in Latin America. Ordinarily, there were voices of disapproval within the literature community. The main criticism was that Simone was chosen as a political instigation of the Pink Tide movement and that the consciousness of the work was actually not consistent with the political orientation of the Pink Tide. It was considered that the political situation of Venezuela had influenced the decision of the Rómulo Gallegos prize. There are polarized opinions of Simone : one is that it brings attention to the invisibility of Puerto Rico as acknowledged by the Rómulo Gallegos prize, and the other is that, despite its critical attitude towards neoliberalism, it is trapped in the arielismo of emphasizing intellects and elitism. This article focuses on both the positive and critical reading of Simone and aims to examine how Eduardo Lalo’s intent of revealing and overcoming the invisibility of Puerto Rico manifested in Simone.

      • KCI등재

        비가시성 미학: 엑스레이 사진이 현대미술에 끼친 영향

        박상우 한국미학회 2019 美學 Vol.85 No.4

        This study deals with X-ray photography that have not been in the spotlight in humanities and art. Specifically, it sheds light on how this photography, which visualizes invisibility, changed the world view and perception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how it affected contemporary art. Through this, we aim to establish the basis for the main trend of modern art, ‘non-visible aesthetics’. The change this photography brought about in the world view at that time was enormous. Positivism, a 19th-century paradigm based on human senses and experiments, faced criticism from X-ray discourse, which emphasizes super-sensitivity instead of sensations. In philosophy, stereotypes about matter, transparency, light, and space were shaken and human senses and knowledge were relativized. It was believed that the human soul could also be captured by X-rays. The invisibility of X-rays has spread beyond science and medicine to the whole art culture. This has had a strong influence on avant-garde arts (Cubism, Puteaux Group, Futurism, Surrealism) and among them, Kupka and Duchamp of Puteaux Group. The Puteaux Group cut off from 19th-century naturalism based on the surface of things and visible light, and pursued a super-sensory aesthetics based on non-visible light. All of this is part of the mental, perceptual and artistic revolution that the new visual technology of x-ray photography has brought to the 20th century modernity. 이 연구는 그동안 인문예술학의 주목을 받지 못했던 엑스레이 사진을 다룬다. 구체적으로, 비가시성을 가시화하는 이 사진이 20세기 초 당시 세계관과 지각방식을 어떻게 변화시켰고, 현대미술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밝힌다. 이를 통해 현대미술의 주요 흐름인 ‘비가시성 미학’을 정초하고자 한다. 이 사진이 당시 세계관에 불러일으킨 변화는 막대하다. 인간의 감각과 실험에 바탕을 둔 19세기 패러다임인 실증주의는 감각 대신에 초감각을 역설하는 엑스레이 담론의 비판에 직면한다. 철학에서 물질, 투명성, 빛, 공간에 대한 고정관념이 흔들렸으며 인간의 감각과 지식이 상대화되었다. 인간의 영혼도 엑스레이로 포착될 수 있다고 믿었다. 엑스레이의 비가시성은 과학, 의학을 넘어 예술문화 전반으로 확산되었다. 과학에 관심을 보였던 아방가르드 미술(큐비즘, 퓌토그룹, 미래파, 초현실주의), 그중에서도 퓌토그룹의 쿱카와 뒤샹에게 강력한 영향을 끼쳤다. 퓌토그룹은 사물의 표면과 가시광선에 바탕을 둔 19세기 자연주의와 단절하고 비가시광선에 기반을 둔 초감각의 미학을 추구했다. 이 모두는 결국 엑스레이 사진이라는 새로운 시각테크놀로지가 20세기 모더니티에 유발한 정신적, 지각적, 예술적 혁명의 일환이다.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근대 유성기음반과 포노그라프 이펙트

        이진원 ( Jin Weon Lee ) 한국음악사학회 2014 한국음악사학보 Vol.52 No.-

        본고에서는 마크 카츠가 제시한 포노그라프 이펙트를 한국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그 결과 마크 카츠가 제기한 이펙트의 원인으로 유형성, 시간제약성, 가시성/비가시성, 이동성, 반복성, 녹음 장비의 수용성, 조작성 등이 한국 근대 유성기음반에 모두 나타나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유형성의 특징으로 나타난 소리를 담은 유형적 매체로서 유성기음반에 대한 수집이 일제강점기도 나타나고 있었다. 이러한 유성기음반이 민족음악학적 연주의 연주 소재로 활용된 것을 계정식의 예로 살펴볼 수 있었다. 시간 제약성은 한국 전통음악 중 극음악에 해당하는 창극 음반 발매와 신민요 음반 발매에서 찾아볼 수 있었다. 가시성/비가시성 문제에서는 시대에 따라 여러 기악 산조 내에서 증가되는 농현이나 요성과 같은 연주 기법을 예로 찾아낼 수 있었다. 이 기법에 대해서는 보다 심도있는 연구가 필요하겠지만 비가시성에 따라 연주자들이 음반을 취입할 때 표현을 극대화하려는 자발적인 의지가 반영된 결과로 해석이 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또한 음반회사에서 비가시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유성기음반 취입 명창의 실제 연주와 유성기음반 연주를 함께 제시하는 연주회가 열리기도 했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동성에서는 음반을 통한 전통음악 보급이 지역을 초월하여 이루어졌기 때문에 서로 다른 음악권의 음악이 서로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검토하였다. 특히나 대금산조와 퉁소산조의 전승자 한범수의 예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음반을 통해 박종기나 유동초의 산조가 전승될 수 있음도 이동성의 한 예로 살펴보았다. 반복성의 예로 음반에 수록된 음악에 대한 기대감을 보여주는 단면임을 심상건 일화를 찾아 제시하였고, 인기를 얻은 소리 대목의 경우 음악적으로 정형화되는 경우가 있음도 임방울의 예를 통해 점검하여 보았다. 녹음 장비의 수용성에서는 나팔통식 녹음과 전기 취입 녹음의 차이에 따라 유성기음반에 선택되는 악기나 예술가가 존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초기 나팔통식 녹음에서는 반주 악기로 북보다는 장구가 선택되었고, 전기 취입 녹음에서는 저음이나 붙임새를 활용하여 섬세한 음악을 구사하는 정정렬과 같은 예술가들이 선택을 받았음을 알 수 있었다. 조작성에서는 음악적, 음향적 효과를 얻기 위해 음반 회사에서 다양한 녹음 기술을 활용하여 실제 음악과 다른 음악를 생산하고 있는 상황을 진단하였다. 이상에서 한국 근대 유성기음반 녹음에 있어서 보이는 포노그라프 이펙트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현재까지 유성기음반의 녹음 효과라는 것이 어떻게 음악적으로 반영되고 있었는지에 대해서는 연구가 없었으며, 이번 연구가 이러한 연구의 시작이라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고 있다. 따라서 필자가 확인한 여러 이펙트 이외에도 살펴볼 수 있는 다양한 이펙트가 존재하리라 생각되며 이후 연구를 통해 보다 진전된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하여 본다. This paper aims to apply phonography effects, the concept invented by Mark Katz, in Korean context. As a result of my research, I argue that the main cause of effects as suggested by Mark Katz such as tangibility, temporality, visibility/ invisibility, portability, repeatibility, receptivity, manipulativity are manifest in Korean modern phonograph records. Firstly, tangibility can be found in the active collection of phonograph records, tangible media preserving sounds, during Japanese colonialism. The example of the use of phonograph records as subjects of ethnographic performances provide a good case of tangibility, exemplified by the artist, Kye Chong-sik. Secondly, temporality can be found at the release of Ch``angguk 唱劇 records (Korean traditional theatrical music) and Shinminyo 新民謠 records. Thirdly, visibility/invisibility can be found at the example of playing techniques of trembling or vibrato which increased in various instrumental Sanjo 散調. I argue that invisibility can be found due to the strong will of musicians to maximize their expression when recording music, although more detailed researches on such techniques are required. Moreover, recording companies tackled the problem of invisibility by organizing a concert combining an actual performance with phonograph records. Fourthly, the distribution of traditional music transcended the confine of locality and the musics of different regions could interacted with each other which suggest portability strongly. In particular, the example of Han Pom-su, the successor of Taegum Sanjo 大금散調. and T``ungso Sanjo 洞簫散調, implicates portability by succeeding the Sanjo of Pak Chong-gi and Yu Tong-ch``o through records. Fifthly, the example of repeatibility is illustrated both through an anecdote of Shim Sanggon who showed expectation for recorded music and through an example of Im Bangul, the stereotyping of popular sounds. Receptivity of recording machines is the sixth cause which can influence the choices of specific musical instruments and types of artists depending on different methods of recording such as an acoustic type using a horn or an electrical type. In the early acoustic recording employing a horn, Changgu was preferred to Puk for accompanying instruments while in electrical recording, artists with more nuanced expression employing low key notes and Puch``imsae 붙임새 were selected such as Chong Chong-nyol. Finally, manipulability was examined in the situation of producing different kinds of music from the actual performance employing various techniques of recording to maximize musical and phonographic effects. I examined phonograph effects illustrated in Korean modern phonograph records. Previous researches did not deal with how phonograph effects were produced musically. This is almost the first research exploring this issue. I presume that there could be more diverse effects in addition to the phonography effects that this study is based on and I expect more researches could be developed from now on.

      • KCI등재

        가시성과 비가시성의 경계에서 – 김사량의 「빛 속으로」에서 주인공 미나미의 관계맺기와 자기 구현 –

        이헬렌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23 일본학 Vol.61 No.-

        본 논문은 김사량(1914–1950?)의 1939년 작품 「빛 속으로」를 가시성과 비가시성이라는 개념적 틀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사학자이자 정신분석학자 샌더 길먼(Sander Gilman)의 심리학 이론과 페미니스트 정치철학자 아이리스 영(Iris Young)의 이론을 응용하여 작품 속 인물들과 그들이 경험하는 공간의 의미를 깊이 있게 탐구한다. 특히, 주인공 미나미가 일본 제국 내지의 빈민촌에서 접하는 다양한 인물들과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미나미가 자신의 정체성과 이를 둘러싼 복잡한 관계맺기를 통해 어떻게 자기 실현을 이루어 가는지를 심도 있게 설명한다. 이를 통해, 작품은 식민지 시대의 사회적 억압과 개인의 내적 갈등을 세밀하게 드러내며, 가시성과 비가시성의 경계에서 벌어지는 정체성의 탐색과 변화를 포착한다. This paper offers a close reading of Kim Saryang’s 1939 text, “Into the Light” by using conceptual tools such as ‘visibility’ and ‘invisibility.’ In particular, the theoretical frameworks by Sander Gilman and Iris Young are employed to examine the characters and their relationships. The space and movement constructed in the text are examined to further our understanding of the setting, the slums in the colonial metropole inhabited by Japanese, Koreans, half–Japanese, and others. The focal point of this study is the protagonist, Minami and Haruo, the half–Japanese boy, and their relationship.

      • KCI등재

        한국 근대 유성기음반과 포노그라프 이펙트

        이진원 한국음악사학회 2014 한국음악사학보 Vol.52 No.-

        This paper aims to apply phonography effects, the concept invented by Mark Katz, in Korean context. As a result of my research, I argue that the main cause of effects as suggested by Mark Katz such as tangibility, temporality, visibility/ invisibility, portability, repeatibility, receptivity, manipulativity are manifest in Korean modern phonograph records. Firstly, tangibility can be found in the active collection of phonograph records, tangible media preserving sounds, during Japanese colonialism. The example of the use of phonograph records as subjects of ethnographic performances provide a good case of tangibility, exemplified by the artist, Kye Chŏng-sik. Secondly, temporality can be found at the release of Ch'anggŭk 唱劇 records (Korean traditional theatrical music) and Shinminyo 新民謠 records. Thirdly, visibility/invisibility can be found at the example of playing techniques of trembling or vibrato which increased in various instrumental Sanjo 散調. I argue that invisibility can be found due to the strong will of musicians to maximize their expression when recording music, although more detailed researches on such techniques are required. Moreover, recording companies tackled the problem of invisibility by organizing a concert combining an actual performance with phonograph records. Fourthly, the distribution of traditional music transcended the confine of locality and the musics of different regions could interacted with each other which suggest portability strongly. In particular, the example of Han Pŏm-su, the successor of Taegŭm Sanjo 大笒散調. and T'ungso Sanjo 洞簫散調, implicates portability by succeeding the Sanjo of Pak Chong-gi and Yu Tong-ch'o through records. Fifthly, the example of repeatibility is illustrated both through an anecdote of Shim Sanggŏn who showed expectation for recorded music and through an example of Im Bangul, the stereotyping of popular sounds. Receptivity of recording machines is the sixth cause which can influence the choices of specific musical instruments and types of artists depending on different methods of recording such as an acoustic type using a horn or an electrical type. In the early acoustic recording employing a horn, Changgu was preferred to Puk for accompanying instruments while in electrical recording, artists with more nuanced expression employing low key notes and Puch'imsae 붙임새 were selected such as Chŏng Chŏng-nyŏl. Finally, manipulability was examined in the situation of producing different kinds of music from the actual performance employing various techniques of recording to maximize musical and phonographic effects. I examined phonograph effects illustrated in Korean modern phonograph records. Previous researches did not deal with how phonograph effects were produced musically. This is almost the first research exploring this issue. I presume that there could be more diverse effects in addition to the phonography effects that this study is based on and I expect more researches could be developed from now on. 본고에서는 마크 카츠가 제시한 포노그라프 이펙트를 한국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그 결과 마크 카츠가 제기한 이펙트의 원인으로 유형성, 시간제약성, 가시성/비가시성, 이동성, 반복성, 녹음 장비의 수용성, 조작성 등이 한국 근대 유성기음반에 모두 나타나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유형성의 특징으로 나타난 소리를 담은 유형적 매체로서 유성기음반에 대한 수집이 일제강점기도 나타나고 있었다. 이러한 유성기음반이 민족음악학적 연주의 연주 소재로 활용된 것을 계정식의 예로 살펴볼 수 있었다. 시간 제약성은 한국 전통음악 중 극음악에 해당하는 창극 음반 발매와 신민요 음반 발매에서 찾아볼 수 있었다. 가시성/비가시성 문제에서는 시대에 따라 여러 기악 산조 내에서 증가되는 농현이나 요성과 같은 연주 기법을 예로 찾아낼 수 있었다. 이 기법에 대해서는 보다 심도있는 연구가 필요하겠지만 비가시성에 따라 연주자들이 음반을 취입할 때 표현을 극대화하려는 자발적인 의지가 반영된 결과로 해석이 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또한 음반회사에서 비가시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유성기음반 취입 명창의 실제 연주와 유성기음반 연주를 함께 제시하는 연주회가 열리기도 했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동성에서는 음반을 통한 전통음악 보급이 지역을 초월하여 이루어졌기 때문에 서로 다른 음악권의 음악이 서로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검토하였다. 특히나 대금산조와 퉁소산조의 전승자 한범수의 예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음반을 통해 박종기나 유동초의 산조가 전승될 수 있음도 이동성의 한 예로 살펴보았다. 반복성의 예로 음반에 수록된 음악에 대한 기대감을 보여주는 단면임을 심상건 일화를 찾아 제시하였고, 인기를 얻은 소리 대목의 경우 음악적으로 정형화되는 경우가 있음도 임방울의 예를 통해 점검하여 보았다. 녹음 장비의 수용성에서는 나팔통식 녹음과 전기 취입 녹음의 차이에 따라 유성기음반에 선택되는 악기나 예술가가 존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초기 나팔통식 녹음에서는 반주 악기로 북보다는 장구가 선택되었고, 전기 취입 녹음에서는 저음이나 붙임새를 활용하여 섬세한 음악을 구사하는 정정렬과 같은 예술가들이 선택을 받았음을 알 수 있었다. 조작성에서는 음악적, 음향적 효과를 얻기 위해 음반 회사에서 다양한 녹음 기술을 활용하여 실제 음악과 다른 음악를 생산하고 있는 상황을 진단하였다. 이상에서 한국 근대 유성기음반 녹음에 있어서 보이는 포노그라프 이펙트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현재까지 유성기음반의 녹음 효과라는 것이 어떻게 음악적으로 반영되고 있었는지에 대해서는 연구가 없었으며, 이번 연구가 이러한 연구의 시작이라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고 있다. 따라서 필자가 확인한 여러 이펙트 이외에도 살펴볼 수 있는 다양한 이펙트가 존재하리라 생각되며 이후 연구를 통해 보다 진전된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하여 본다.

      • KCI등재후보

        지금-여기의 시간과 비가시성의 종교성 - 벤야민과 그람시, 그리고 그림 -

        이택광(Lee, Taek-Gwang) 삼육대학교 신학연구소 2020 신학과 학문 Vol.30 No.-

        이 논문의 목적은 그림과 관련된 비가시적 종교성에 대한 벤야민과 그람시의 의문을 논하는 것이다. 요점은 두 철학자가 지나간 이미지에 대한 이해에서 일시성의 새로운 개념을 도입하려고 시도한다는 것이다. 약한 메시아니즘에 대한 벤야민 의 개념은 종교 없는 종교적 형태에 대한 그의 관심을 보여준다. 그람시는 고대그림에 대한 분석에서 비가시성의 개념을 제시한다. 비가시적 종교는 여러 종교의 다양성, 비재현적 요소, 즉 잠재적인 종교적 관습에 의존하고 있다. 베냐민과 그람 시는 다양한 예술적 실험, 특히 그림에서 이러한 것들이 실현된다고 본다. 베냐민의 관점에서 그림은 이미지가 대안적인 역사에 대한 상상을 불러일으키는 또 다른 세계이다. 반면에 그람시는 그림에 있는 아가멤논의 가려진 얼굴을 표현할 수없는 고통과 슬픔으로 본다. 이러한 비가시적 재현이 시각적 의미의 핵심이거나 그림의 형식적 논리이다. 내 결론은 비가시적 종교성이 있어야 할 자리가 바로 메시아니즘이 없는(nowhereness) ‘지금 여기’(now-here)라는 것이다. The aim of this essay is to discuss Benjamin’s and Gramsci’s questions of the invisible religiosity concerning painting. My point is that both philosophers attempt to bring in the new concepts of temporality in their understanding of the past images. Benjamin’s concept of the weak messianism is the evidence of his interests in the religious forms without religion. Gramsci also brings forth the concept of the invisibility in his analysis of an ancient painting. The invisible religiosity relies on the multiplicity of many religions, its non-representational aspects, in other words, the potentiality of religious practices. Benjamin and Gramsci seem to see these performative realizations in the various artistic experiments, in particular, paintings. In Benjamin’s sense, a painting is another world in which the images will bring in the imagination of the alternative history, while Gramsci sees the veiled face of Agamemnon in the painting as the impossible representation of agony and sadness. These invisible representations are the core of the visual meanings, or the formal logic of the paintings. My conclusion is that the very locus of the invisible religiosity is nothing less than the place of ‘now-here’, the nowhereness of messianism.

      • KCI등재

        근대 재현적 주체의 죽음과 탈주의 욕망 : 이청준의 예술관을 검토하기 위한 시론적 연구 The Basic Consideration of Lee Chung-jun’s Viewpoint of Art

        한순미 국어국문학회 2004 국어국문학 Vol.- No.136

        This thesis considers the attitudes of modern asthetics with Lee Chung-jun's work, <비화밀교>, <이어도>, <시간의 문> to ascertain his viewpoint of art. And it manifests his viewpoints made up with speculation upon the essential issue of modern esthetics. His reflectional skepticism on the modern representationalism proved in his resonable concerning about the basis of esthetics of the novel and the novelist itself, with the question ‘How&what to write’. And then, he depicts the contradiction and conflicts between the willing to include the invisible world and the representates with novel's language by novel as a form and life-accepting the fate. Hence, his novelistic subject always perceives death and sometimes pursuits the space-time of flight, the figulation of the space appears as the sea. This thesis makes a fresh viewpoints of his novel. His work has a foundation on the doubt about the boundary of the ‘realism/modernism’, not on the binary opposing between them. It is his radical principle that he examines the evelopment of both tributary stream, not the relative superiority. So, the trial judge his working binary is merely a attirition. It should be the discovery of his post-modern thinking and methodology with detailed consideration upon his thought about the boundary of the modern esthetic itself.

      • KCI등재후보

        헝가리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번역 수업’ 연구 -엘테대학교 한국학과 한국어 번역 수업 과정을 중심으로-

        유소영,조보람 한국에듀테인먼트학회 2023 에듀테인먼트연구 Vol.5 No.2

        이 연구는 헝가리 엘테대학교 한국학과의 학부와 석사과정에 배정된 한국어 번역 수업의 구체적인 교육 내용을 선정하고 수업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어와 헝가리어 번역 수업을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수업 방안 제시를 통해 수업 질 향상을 위한 몇몇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는 체계기능 언어학 기반으로 번역 수업 과정 모형을 개발하여 번역의 비가시성을 제거하고자 구성되었으며, 수업 모형을 적용한 한국학과의 번역 수업 사례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수업 예시를 통해 번역 수업에서 교수자는 안내자의 역할을 하고 학습자들은 자기 주도 학습과 협동 학습이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습자 간의 협동 학습 과정에서 번역문의 비가시성을 제거하여 가독성을 확보한 번역문을 완성해 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연구가 외국 대학에서 실시되는 ‘한국어 번역 수업’의 기틀을 마련하는 첫걸음이 되기를 바라며 이 수업을 통해 학습자들은 한국어와 헝가리어의 어휘와 문법을 사용하는 데에 있어서 사회문화적 상황 맥락 속에서 적절한 표현을 구사하는 능력이 향상되기를 바란다. 나아가 학습자들이 한-헝 번역 수업을 통해 한국학 전문가로서 거듭날 수 있기를 바란다.

      • KCI등재

        Forbidden Fruit?: Translator's Subjectivity and Instinct

        Won, Young-hee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연구소 2011 통번역학연구 Vol.14 No.2

        이 논문은 번역가와 통역가의 사회적 문화적 중요한 역할에 대한 비가시성의 문제를 문학작품이 탄생되는 과정에 영향을 끼치는 인간의 주관성과 본능이라는 관점으로 접근해 본 연구의 결과이다. 역사적으로 번역가의 위치는 번역이란 작업의 창의성과 노력, 학문적 공헌과는 무관하게 원작가에 비해 당연히 열등한 자리에 있었다. 이러한 현실은 사회에서 또한 학계에서 주변적 존재로 여겨온 번역가의 위치로부터, 또한 성과에 대한 적절치 못한 보상, 그리고 책 표지에 실린 원작가와 번역가의 이름표기상의 차별에서 드러난다. 이러한 차별의 무의미한 반복현상에 대한 답을 “그렇다면 번역은 누가 하는가?”그리고 “진정한 번역가란 누구인가?”하는 물음으로부터 시작하여, 모든 원작은 번역이라는 가설에 대한 정의를 내려 보는데 이 논문의 목적이 있다. 아울러 모든 원작이 번역이라면 번역가에게 주어진 모든 제약, 그 중에서 번역가의 “주관성과 본능”에 대한 제약은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가? 에 대한 답을 찾아보는데에 이 논문의 또 다른 주 목적이 있다. 성경도 그리스 로마 신화도, 또한 초기 고전문학 대부분은 모두 절대자로부터 영감을 받아, 그 문학의 영이 이끄는 대로 기록을 하는 형식으로 기록 되었다. 성경은 하나님의 영이 이끄는 대로, 그리스 로마신화는 시신 ‘무사’(Muse)가 주는 영감으로 기록을 한다. 하물며 성경이야기에 근거한 《실락원》에서 존 밀튼은 모순인 듯 보이지만 자신의 대서사시를 시작하며 그리스 시신인 천상의 ‘무사’에게 의존한다. 이런 문학적 실증으로 인해 모든 원작은 번역이라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게 된다. 따라서 문학의 차원에서 원작과 번역을 차별하는 일은 무의미해진다. 그리고, 번역가에 대한 부정적 시각의 근원과 원형을 창조와 인류 타락의 과정에 대한 이야기에서 찾아보는 작업은 흥미 있다. 밀튼의 《실락원》으로 돌아가 에덴동산의 이브, 그리고 뱀과 사탄의 영, 이 셋의 관계를 번역이란 관점에서 바라보면. 영적존재인 사탄의 몸통이 되어 훌륭한 통역가 역할을 한 뱀으로 인해 이브는 불순종하고, 인류는 에덴에서 추방되고, 뱀은 당연히 회복할 길 없는 저주를 받는다. 이런 식으로 번역가에게 지워진 문학상의 부정적 이미지의 원형은 쉽게 깨어지지 않으나, 모든 작가가 번역가라는 가설은 더욱 친밀하게 다가온다. 따라서 주관성과 본능은 창작을 위해 원작가만이 누릴 수 있는 특권이 아니라 번역가 역시 누려야 마땅할 문학적 소양이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