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용언(用言) 활용(活用)의 불완전성(不完全性)에 대한 소고(小考)

        윤예진(尹藝珍) ( Yoon Ye-jin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1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9 No.4

        이 글에서는 기존에 ‘不完全 用言, 不備用言, 不具用言’으로 연구되어 온 용언 활용의 不完全性에 대하여 살펴본다. 일반언어학에서 不完全 용언은 불가능한 活用形의 존재로 정의된 것에 반해, 한국어학에서 불완전 용언은 극소수의 활용형만을 가지는 것으로. 좁게 정의되어 왔는다. 그러나 이러한 협의의 단절적인 정의는 중간적인 存在를 인정하지 않는다는 定義上의 문제와 더불어 형성 과정을 설명하기 어렵다는 難點을 가진다. 여기에서는 활용의 불완전성을 程度性 개념으로 파악하고, 한국어학의 불완전 용언은 그 첨단에 해당한 것이라 보고 이를 바탕으로 불완전성을 야기하는 요인을 고찰하였다. 이때 대상 자료는 말뭉치와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불완전성은 준말과 같이 형성 과정의 形態·音韻論的 制約에 말미암아 형성되기도 하며, 構文化, 文法化, 死語化 등의 변화에 의해 심화되기도 한다는 것을 밝혔다. 그 과정에서 활용의 불완전성은 예외적인 현상이 아니며 通時的 변화에 수반되는 당연한 현상일 수 있음을 밝혔다. In this article, we examine the defectiveness of Korean verb conjugation. Previous studies have only concentrated on “possible form.” However, in this paper, we argueboth “possible form” and “impossible form” areimportant to explain the phenomenon. In general linguistics, defectiveness is defined as the gap of an inflectional paradigm, whereas in Korean linguistics, defective verb is narrowly defined as the verb thathas only few forms (between 1 and 3). However, these disconnected definitions of defectiveness are limited as they do not explain its formation, nor can intermediate cases(verbs that ha Therefore, we define defectiveness as a gradual concept. Usingthis definition, we examine the causes of formation intensification of defectiveness. Consequently, it was revealed that defectiveness is formed by the morphological/phonological constraints of the (word) formation, such as abbreviations. Additionally, it has been intensified by historical changes such as constructionalization, grammaticalization, and decreased usage (loss/ of word). In the analysis, we found that defectiveness is not an abnormal phenomenon, but may be a natural phenomenon accompanied by diachronic changes.

      • KCI등재

        괴델 불완전성 정리의 교육학적 함의

        이치형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9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3 No.4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Gödel's incompleteness theorem. Gödel's incompleteness theorem is that it proves incompleteness in preparation for completeness in Hilbert's program in mathematical logic history, but the implication of this proof should be seen as pioneering the 'area of intuition' through logical proof in our thinking system by proving the limit of inferential thinking. Gödel's proof itself would have to be treated in the field of mathematical logic, but the wavelengths that this proof will bring are never just mathematical discussions. A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Gödel’s incompleteness theorem induces in-depth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asoning and intuition in our cognitive system, and suggests alternatives to how to treat it when inferential thinking encounters paradox. This clarifies the distinction between areas that can be accessed through inferential thinking and areas that can be accessed through intuition in education, and also explores how the role of teachers can work in the areas of intuition. This discussion finally concluded that the purpose of education is ultimately concluded as an absolute purpose as a cultivation of mind [whole man]. 본 연구는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의 교육학적 함의를 탐색하는 데 있다.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는 수리 논리학사에서 힐베르트 프로그램에서의 완전성에 대비하여 불완전성을 증명한 것으로 되어 있지만, 이 증명의 함의는 오히려 ‘추론적 사고의 한계’를 명확히 함으로써, 우리의 사고체계에서 ‘직관의 영역’[초월]을 논리적 증명의 형식을 통하여 개척하고 있다고 보아야 한다. 괴델의 증명 자체는 수리 논리학 분야에서 취급해야 할 것이지만, 이 증명이 불러올 파장은 결코 수리학적 논의에 그치지 않는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지듯이,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는 우리의 인식체계에서 ‘추론과 직관’의 관련을 심도 있게 탐색하도록 유도하며, 한편으로 추론적 사고가 역설(파라독스)에 부딪혔을 때, 이를 어떻게 취급할 것인가에 대한 대안을 제시한다고 할 수 있다. 이는 교육에서 ‘추론적 사고’를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영역과 ‘직관’을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영역의 구분을 명확히 해주며, 또한 직관의 영역에서 교사의 역할이 어떻게 작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탐구를 모색하게 한다.

      • KCI등재

        국제법원의 裁判不能 재론 : 괴델의 不完全性 定理 유추의 한계

        박현석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홍익법학 Vol.20 No.3

        Pursuant to Article 38, paragraph 1(c), of the ICJ Statute, which is a virtual carbon copy of Article 38, paragraph 3, of the PCIJ Statute, the ICJ may apply “general principles of law recognized by civilized nations”, as well as international conventions and international custom. This clause was inserted in 1920 when the Advisory Committee of Jurists adopted the proposal made by Mr. Root and Lord Phillimore to avoid the “blind alley of non liquet” after some discussion of, for instance, the prohibition of non liquet as a principle of law, the so-called residual negative principle, and the adversarial principle in litigation. There had never been any declaration of non liquet by the PCIJ or the ICJ until the Nuclear Weapons Advisory Opinion was given by the ICJ in 1996. On the other hand, some American scholars argued in the early 1990s the incompleteness of law by an analogy to Gödel’s Incompleteness Theorems, which had seemingly never appeared before in the legal literature. It is attempted in this paper to show that the completeness or incompleteness of law in general as well as that of international law has not been proved yet and the question of non liquet, and the related question of lacunae, in international law remains to be solved. ICJ규정 제38조 제1항 (c)호는 과거 PCIJ규정 제38조 제3항과 사실상 동일한 것으로서, 이 조항에 따라 ICJ는 국제 협약과 국제 관습뿐만 아니라 ‘문명국들에 의하여 승인된 법의 일반원칙’도 적용할 수 있다. 이 조항은 1920년 PCIJ 설립을 위한 법률가 자문위원회가 법의 일반원칙으로서의 재판불능 선언 금지, 이른바 잔여 소극 원칙, 대심 원칙 등을 검토한 후 ‘재판불능이라는 막다른 골목’을 피하기 위한 Root와 Phillimore 두 위원의 공동 제안을 채택함으로써 삽입된 것이다. 1996년 핵무기 사건 권고적 의견이 주목받은 이유도 그것이 PCIJ와 ICJ의 역사상 첫 번째 재판불능 선언으로 볼 수 있는 결정이었다는 데 있다. 한편 이 권고적 의견이 나오기 전인 1990년대 초에 미국에서는 당시까지 법학계에서는 거론되지 않았던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를 원용하여 법 일반의 불완전성을 논증하려는 새로운 시도가 나타났다. 이 글에서는 국제법원의 재판불능 선언이 허용될 수 있는지에 관한 1920년 당시의 논의와 아울러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에 입각한 법의 불완전성 논증이라는 새로운 시도를 검토하였다. 이로써 종래의 논의는 물론이고 이 새로운 시도에도 불구하고 법의 완전성 여부, 특히 국제법의 완전성 여부와 아울러 국제법원의 재판불능 선언이 허용되는지 여부는 여전히 미해결 문제임을 보이고자 하였다.

      • KCI등재후보

        관계교환 경제학(關係交換 經濟學)

        이성섭 한국제도경제학회 2012 제도와 경제 Vol.6 No.2

        재산권의 불완전성은 재산권의 본유적 특성이다. Arrow-Debreu 경제학(이후 AD경제학)은 재산권 불완전성이라는 제도 문제를 다루기 위해서 게임(game), 확률변수(stochastic), 관계적 계약 등의 접근방법을 사용하여 문제에 접근하고 있다. 그러나 사람들의 인지능력은 이들 분석이 요구하는 정치성 수준에 미치지 못한다. 사람들은 재산권의 본유적 불완전성에서 발생하는 기회주의의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서 관계적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관계교환 접근방법은, 사람들이 인지능력에 한계(bounded rationality)가 있어서, 복수 개인간의 공감-동의 [i]를 통해서, 제도 불완전성에서 발생하는 기회주의 행태에 대처한다고 본다. 복수 개인간에 공동적 행위(holistic decision making)가 존재한다고 보고 방법론적 개인주의를 견지하지 않는다. 관계교환 접근방법에 의하면 시장 가치교환도 공감-동의 [i]의 보완적 역할에 의해서 성사되게 된다. 공감-동의 [i]는 경로의존적 패턴(path dependence)을 보인다. 공감-동의 [i]의 도움으로 이루어지는 시장 가치교환과 가격-물량의 집합 p-q는 경로의존적이 된다. 공감-동의 [i]는 시장 가치교환 p-q 및 가치교환 거래 S(p-q) 보다 더 근원적 존재이다. 관계교환이 시장 가치교환 보다 근원적이라는 것은 공리주의 논거와 무관하게 공감-동의의 기본요소인 성실, 근면, 신뢰성 등의 가치가 근원적 사회구성요소임을 말하는 것이다. 관계교환 개념은 경제학과 다른 사회과학간의 연결 통로(interface)를 제공하며 경제학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준다.

      • KCI등재

        초기 불완전성을 고려한 공간 트러스의 분기좌굴과 라이즈-스팬 비에 따른 임계하중 특성

        이승재,손수덕,Lee, Seung-Jae,Shon, Su-Deok 한국강구조학회 2012 韓國鋼構造學會 論文集 Vol.24 No.3

        본 연구는 초기조건에 민감한 공간 트러스를 대상으로 불완전성으로 인한 분기거동 및 불안정 특성에 대해서 연구하였으며, 접선강성행렬의 행렬식과 고유치해석으로 임계점과 좌굴하중을 구하였다. 고유모드의 민감성에 의한 불안정 현상을 고찰하기 위해서 2-자유절점공간 트러스와 스타 돔 및 3링 돔 모델을 예제로 채택하였으며, 라이즈-스팬 비 및 하중 파라메타에 따른 좌굴하중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2-자유절점 모델의 초기 형상불완전성에 따른 민감성은 고유모드에 따라 임계 후 평형경로가 바뀌었으며, 좌굴하중은 불완전 량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결과를 얻었다. 예제에서 나타난 두 가지 민감한 좌굴패턴은 자유절점의 변위 위치를 살펴봄으로서 설명할 수 있었고, 형상 불완전성에 따른 거동은 비대칭 고유모드가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 민감한 고유모드는 단순화한 모델의 비신장 메커니즘 기저와 유사하였다. 스타 돔 모델은 라이즈-스팬 비가 높을수록 전체좌굴보다는 국부좌굴이 우세하며, 하중 파라메타 값이 클수록 평형경로 상에 분기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스타돔과 3링 모델의 좌굴하중은 각각 극한점 하중레벨의 약 50-70% 및 80-90%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bifurcation and the instability due to the initial imperfection of the space truss, which is sensitive to the initial conditions, and the calculated buckling load by the analysis of Eigen-values and the determinant of tangential stiffness. A two-free nodes model, a star dome, and a three-ring dome model were selected as case studies in order to examine the unstable phenomenon due to the sensitivity to Eigen mode, and the influence of the rise-span ratio and the load parameter on the buckling load were analyzed. The sensitivity to the imperfection of the two-free nodes model changed the critical path after reaching the limit point through the bifurcation mode, and the buckling load level was reduced by the increase in the amount of imperfection. The two sensitive buckling patterns for the model can be explained by investigating the displaced position of the free node, and the asymmetric Eigen mode was a major influence on the unstable behavior due to the initial imperfection. The sensitive mode was similar to the in-extensional mechanism basis of the simplified model. Since the rise-span ratio was higher, the effect of local buckling is more prominent than the global buckling in the star dome, and bifurcation on the equilibrium path occurring as the value of the load parameter was higher. Additionally, the buckling load levels of the star dome and the three-ring model were about 50-70% and 80-90% of the limit point, respectively.

      • KCI등재후보

        문학 : 결혼(부부) 서사로 읽어보는 < 숙영낭자전 >의 의미

        김미령 ( Mi Ryeoung Kim ) 온지학회 2016 溫知論叢 Vol.0 No.47

        < 숙영낭자전 >은 대표적인 애정소설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본 논문은 < 숙영낭자전 >을 ‘애정서사’라기 보다 ‘결혼(부부) 서사’로 보기를 제안한다. < 숙영낭자전 >이 두 남녀 주인공의 ‘애정 실현담’이라기보다 불완전한 남녀가 만나 불완전한 가정을 이루다 시련을 거친 후 비로서 완전한 가정을 이루는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 서사는 ‘두 남녀의 만남 및 결연-불완전한 결혼 생활-완전한 부부관계 획득 및 승천’의 서사 구조를 가지며, 불완전한 인간으로서의 ‘불완전성’을 벗고 ‘완전한 부부’로 성숙하는 통과 제의적 성향을 강하게 지니고 있는 작품이다. 이에 본 논문은 < 숙영낭자전 >을 ‘결혼(부부) 서사’로 보고, 이렇게 보는 이유가 무엇인지, 또 결혼(부부) 서사로 보았을 때 이 작품이 주는 문학적, 사회적 의미는 어떻게 규명될 수 있을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선 서사의 첫 시작 단계라고 할 수 있는 ‘만남과 결연’의 단계에서 주요한 특징은 두 주인공들의 미성숙함, 즉 ``불완전성``이 부각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 숙영낭자전 >의 주인공이 기존의 전형적인 애정소설 주인공과는 질적으로 다름을 명확히 하는 단계이기도 하다. 두 번째 단계는 선군의 과거 시험 거부, 간통 음모, 숙영의 자살 등 ‘사건’ 중심의 서사들이 펼쳐진다. 그러나 이 일련의 사건은 그들의 불완전한 결혼생활을 보여주는 표상이자, 주인공들의 불완전성이 결혼 생활에서 얼마나 심각한 위기를 낳게 하는지 보여주는 대목이다. 이런 이유로 선군과 숙영은 ‘통과의례’ 과정을 거치게 된다. 선군의 ‘과거 시험’과 숙영의 ‘간통 음모’가 바로 그것이다. 이 과정을 통해 주인공들은 자신들의 불완전성을 벗어 낸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두 주인공의 변화를 통해 그들이 행복한 결혼생활로 안착했음을 확인 시켜준다. 이는 두 주인공이 통과의례를 성공리에 끝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두 사람의 변화를 통해 행복한 결혼생활을 위해 부부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그리고 이상적 결혼관은 어떤 것인지를 분명히 제시해 준다. This study presents < Sunyoungnangjajeon > as an example of ‘marriage(couple) narration.’ In analysing the entire frame of < Sukyoungnangjajeon >according to paragraphs, this story was composed of as follows: ‘encounter of two people and their marriage(①~④)-incomplete marriage life(⑤~⑧) and achievement of complete marital relations(⑨~⑭).’ It means that this story describes a couple who makes a complete family via fallibility. This study investigated main events in each step, what characteristics there are in each event and what meaning it has. In addition, why the story is considered as a narration of marriage rather than love story was speculated o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step of ‘encounter of man and woman and their marriage`` as a beginning of narration, immaturity, an important characteristic of the heroes, is emphasized. It is different from heroes of existing love stories. They are typical wit and beauty who are mature in personality. In the development of narration, this story gives a focus on the process of realization of love for which heroes risk their life to maintain their love while they are impatient to concentrate on love. However, < Sukyoungnangjajeon > is different. It closes up the nature of heroes while it gives more focus on imperfection and immaturity of heroes rather than the process beautiful love is achieved. In this respect, this story is different from the beginning of existing love stories. In the second step, important events are developed : Sungun``s refusal of national examination, conspiracy of adultery and Sukyoung``s suicide. However, such events have meaning in that they show imperfect marriage life. It is the step to mention validity of initiation to overcome this imperfection. Also, it is important that the love of the married couple is broken in this step. In < Sukyoungnangjajeon >, the love of the heroes is broken by their internal state, imperfection rather than external force while in existing ‘love stories’ the love of man and woman who fall in love is broken by external force. The final step mentions changes of the heroes and shows their marriage life is happy. It means that two heroes complete initiation successfully and the change in the heroes shows what the couple needs for happy marriage life. In this respect, < Sukyoungnangjajeon > is a story which describes the couple succeeds in initiation to overcome imperfect marriage life and is born again as a mature and complete couple. It also shows what attitude on ideal marriage are at that time, which is a true meaning of this story.

      • KCI등재

        SNOMED CT 용어체계에서 형제 노드의 유사도 분석 기법

        류우석(Woo-Seok Ryu) 한국전자통신학회 2024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9 No.1

        본 논문에서는 SNOMED CT 용어체계가 가지는 불완전성을 논의하고 이를 유지하는 방법으로 형제 노드간 유사성을 평가하는 지표를 제안한다. SNOMED CT는 방대한 양의 의학용어를 포함하고 있으나 계층구조 내 컨셉의 누락 등 온톨로지의 불완전성 문제가 존재한다. 누락된 컨셉 발견을 위해 다수의 노드로 구성된 형제 노드 그룹 내에서의 노드 간 유사도 평가를 위한 지표를 제안하고 유사도가 낮은 그룹을 도출하였다. 2023년 3월 SNOMED CT 국제 배포판에 적용하여 형제 노드 그룹들의 유사도를 분석한 결과 임상적 발견 컨셉의 하위 컨셉들 중 2개 이상의 형제 노드를 가진 29,199개의 형제 노드 그룹의 평균 유사도는 0.81로 나타났다. 반면, 유사도가 가장 낮은 그룹은 중독 컨셉의 자식 컨셉으로 그 유사도는 0.0036으로 확인되었다. This paper discusses the incompleteness of the SNOMED CT and proposes a noble metric which evaluates similarity among sibling nodes as a method to address this incompleteness. SNOMED CT encompasses an extensive range of medical terms, but it faces issues of ontology incompleteness, such as missing concepts in the hierarchy. We propose a noble metric for evaluating similarity among nodes within a node group, composed of multiple sibling nodes, to identify missing concepts, and identify groups with low similarity. Analyzing the similarity of sibling node groups in the March 2023 international release of SNOMED CT, the average similarity of 29,199 sibling node groups, which are sub-concepts of the clinical finding concept and are consist of two or more sibling nodes, was found to be 0.81. The group with the lowest similarity was associated with child concepts of poisoning, with a similarity of 0.0036.

      • KCI등재

        어문학 : 이동하 소설에 나타난 일상의 불완전성과 그 극복 연구

        김주선 ( Ju Seon Kim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인문학연구 Vol.0 No.49

        본고는 이동하 소설에 나타나는 일상의 불완전성과 그 극복을 살피고자 했다. 이동하는 정상적으로 반복되는 일상적 삶의 느닷없는 오작동에서 폭력을 발견한다. 예기치 못한 사건이 지나온 모든 삶을 전면적으로 부정하게 만들거나, 삶 그자체를 종결지을 수도 있는 돌발적 사건들이 일상에서 발생한다. 두 폭력은 삶을 단순히 우연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생각하게 만들만큼 충격적이다. 따라서 삶의 불완전성을 어떻게 극복해야 하는지가 이동하의 과제였다. 두 폭력의 극복은 두가지로 나뉜다. 지난 삶에 대한 전면적 부정의 폭력의 극복은 바로 그 지난 삶의 방식에 대한 집착에서 해방되어야 하고, 지난 삶의 방식과 무관하게 어떠한 전조도 없이 들이닥치는 폭력의 극복은 그 폭력의 우발적 성격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데서부터 시작된다. 두 폭력의 극복은 삶의 불완전성을 받아들이는 데서 가능해지는 것이다. This paper reviews the incompleteness in daily life and overcoming such incompleteness as shown in the novels of Dongha Lee. Lee discovers violence in the unexpected errors of daily life that goes through repetitions. An unanticipated event makes the characters negate the life he has led so far, or in some cases brings life itself to a close. These two types of violence are shocking enough to make the reader think that perhaps they are coincidental. So the question Lee poses is how to overcome incom-pleteness in life. The overcoming of these two types of violence is carried out in two ways. Overcoming full-on negation of one’s past life is done by liberating oneself from the obsession over the life of the past, while overcoming the violence that crumbles daily life itself without any warning starts with the recognition of the spontaneity of such violence and accepting it as it is. Overcoming two types of violence is possible only when the incompleteness of life is accepted.

      • KCI등재

        유전자특허의 재산권적 불완전성에 관한 소고 - 미국 연방대법원 유전자특허(BRCA 1, 2) 판결을 계기로-

        박기주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4 지식재산연구 Vol.9 No.1

        On June 13, 2013, the U.S. Supreme Court issued a unanimousdecision in Association for Molecular Pathology v. Myriad Geneticsthat essentially upheld the patent eligibility of claims reciting cDNAmolecules encoding BRCA proteins, but struck down as patentineligible claims encompassing isolated fragments of BRCA-encodinggenomic DN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ritically rethink the wellorganizedattitude towards economic theorizing on property as acomplete bundle of rights based on the Gene Patent Decision of U.S. Supreme Court on June 13, 2013. The impact of Myriad decision onbiotecnology and gene patent will to a large extent depend on how thedecision is interpreted and applied by the lower courts. On the otherhand, this paper will mainly focus on the property right of gene patentbased on property right theory such as the view of North andinstitutional economics. As a property right, the gene patent has theincompleteness in itself and its contents and limits are not well-defined. Further more, there is a possibility of cancelling its rights because of aninvalidity action. We could understand the incompleteness of propertyrights through this gene patent decision and the role of government orcourt as a designer of the paent system. To increase the total socialinterests, the role of government or court should be reconstructed fornew types of property rights like the gene patent. The traditional property rights theories are not enough to explain the nature andfunctions of new kinds of property because they have paid little attentionto the incompleteness of property rights. We should focus more on thepractical and dynamic aspects of property and new types of propertyrights because a variety of properties will come up considering the rapiddevelopment of our science and technology. 현실에서 재산권은 법적, 경제적으로 불완전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것은 사적재산권이 명확하게 설정된 경우라도 권리실현이 불완전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소유, 사용, 수익, 처분에 대한 지배권이 완전한 경우는 현실에서는 매우 드물다. 특히 지식재산권의 경우 그 의미와 내용이 불분명한 경우가 많고 그 중 유전자특허는 인체의 일부를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모호성이 크고 보호범위가 명확하지 않다. 유전자특허는 재산권의 불완전성을 살펴보는데 있어 좋은 사례가 된다. 2013년 6월 13일 미국 연방대법원이 단순한 DNA 조각의 특허성을 부정한것은 다음의 의미를 지닌다. 권리주체가 설정된 유전자특허라 하더라도 유전자특허의 속성을 완벽히 정의하여 행사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재화의 가치가 타인의 침해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일정한 한계를 가진다. 감독비용과 측정비용에도 불구하고 재산권의 실현이익이 커 재산권이 유의미해져도 정부 혹은 법원이 제도를 설계하고 집행하는데 있어 이러한 재산권을 재평가하여 일정한 한계를 부여할 수 있다. 정부 혹은 법원은 새롭게 형성되는 재산권의 내용 및 형성행위의 범위와 한계를 설정하여 전체 사회의 경제적 이익의 총량을 극대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 KCI등재

        수치심과 인간다움의 이해 - 누스바움과 맹자의 수치심 개념을 중심으로

        신은화 ( Shin Eun-hwa ) 한국동서철학회 2018 동서철학연구 Vol.0 No.88

        수치심은 우리 자신의 부족함에 대한 슬픔의 감정이기도 하지만, 그 부족함을 반성하고 고치도록 우리 자신을 이끄는 감정일 수도 있다. 본 논문은 수치심의 이러한 양가성을 흥미롭게 보고, 이를 분석하기 위해 맹자와 누스바움의 수치심 개념을 적극 참조하고자 한다. 누스바움에 따르면, 수치심은 인간의 불완전성에 대한 불안을 극복하기 위해 정상과 비정상의 이분법에 따라 사회의 특정한 사람들을 낙인찍는 데 활용되는 감정이다. 따라서 수치심은 매우 비합리적이고 신뢰하기 어려운 감정이라 볼 수 있다. 또한 누스바움에 따르면, 인간이 수치심을 느낀다는 것은 곧 자신의 불완전함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신처럼 완전해지기를 바라는 욕구를 반영하고 있다. 이와 달리 맹자는 수치심이 인간이라면 누구나 가질 수밖에 없는 심성으로서 타인의 고통을 차마 지켜보기 힘들어하는 감정이라고 말한다. 그래서 인간은 수치심을 통해 자기 자신을 성찰하고 인간의 도리를 성실하게 지키고자 노력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수치심은 인간성을 반영하는 감정이자 동시에 인간다움을 성장시키는 데 중요한 추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는 감정이다. 누스바움과 맹자가 수치심에 대해 매우 다른 의견을 나타냄에도 불구하고, 누스바움이 지적한 ‘생산적인 수치심’은 맹자의 수치심 개념과 크게 다르지 않으며, 그 점에서 양쪽의 소통가능성이 발견될 수 있다. 누스바움은 생산적인 수치심이 긍정적으로 발현될 수 있기 위해 도덕적인 가치를 지향함으로써 나르시시즘적 경향성을 차단하고 인간의 불완전성에 대해 겸허하게 인정하는 자세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필자는 맹자의 수치심 개념이 누스바움의 이러한 전제와 결코 충동하지 않으며, 바로 그점에서 두 철학자의 견해가 양립할 수 있는 공통지대가 발견된다고 본다. 우리는 먼저 누스바움과 맹자의 수치심 개념을 살펴본 후 양자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해볼 것이다. 그런 후에 두 철학자가 공통적으로 주목하는 점을 살펴보면서 그들 견해의 접목가능성을 논하고자 한다. 이 과정을 통해 우리는 수치심을 이해하는 것이 인간 존재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인간다움을 향한 우리의 내적 성장을 위해서도 도움이 된다는 것을 확인할 것이다. Shame is an emotion of sorrow for our own shortcomings, but it may be also an emotion that awakens ourselves to reflect on our mistakes. This article considers the contradictory aspects of shame to be an interesting theme and refers to Nussbaum’s and Mencius’ concept of shame. According to Nussbaum, shame is an emotion that is used to brand a certain group of people in a society to overcome anxiety about human imperfection. This kind of stigma is based on a dichotomy that arbitrarily determines normal and abnormal. Therefore, Nussbaum thinks that shame is very irrational and difficult to trust. She explains that shame reflects a human desire to become perfect like God without accepting imperfectness. Mencius, on the other hand, regards shame as an emotion that is one of four clues to four virtues. According to Mencius’s concept, shame is helpful for us to reflect on ourselves and to develop personality in harmony with human nature. For this reason, it is possible in Mencius that shame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driving force in the growth of humanity. Although Nussbaum and Mencius have very different opinions about shame, this article considers that Nussbaum’s concept of ‘productive shame’ is not much different from Mencius’s concept of shame, and at this point there may be found a compatibility between them. Nussbaum emphasizes a necessity for overcoming narcissistic tendencies by orienting moral values and an attitude of humbly acknowledging human imperfection so that productive shame could be positively realized. We may agree that Mencius’s concept of shame is not in an opposition to these conditions of Nussbaum, and this may be regarded as a common point of two different views. In this article, we will deal with Nussbaum’s and Mencius’ concept of shame, and subsequently compare them and clarify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Then, we will discuss the possibility of combining their views by analyzing what the two philosophers have in common. In conclusion, we may see that the understanding of shame can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and be helpful for our inner growth toward huma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