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불교 학술활동의 현황과 과제 : 원불교사상연구원의 학술·연구활동을 중심으로

        양은용(梁銀容)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1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47 No.-

        이 논문은 원불교의 학술활동상을 살펴 그 전망과 과제를 제기하는것이 목적이다. 이를 원불교사상연구원의 학술·연구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원광대학교 교책연구기관으로 1974년 설립된 원불교사상연구원은 원불교학의 센터역할을 해왔으며, 그 학술·연구활동을 살펴보면 원불교학계의 현황과 과제가 드러나기 때문이다. 학술활동은, 첫째 가 1982년부터 2010년까지 29회 열려 572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둘째 가 원광대학교와 일본의 불교대학 간의 학술자매결연에 의해 1973년부터 2009년까지 21회 열려 193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셋째 가 1974년부터 2010년까지 176회 열렸고, 넷째 그 밖에 특별 주제를 내건 학술회의가 1977년부터 2010년까지 15회 열려 85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연구활동은, 첫째 학술연구지『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를 1975년부터 2010년까지 45회 발간하여 587편의 논문을 수록하였다. 둘째『원불교사상연구원 원보』를 1979년부터 2010년까지 62회 발간하였고, 셋째 10권과 12권을 발간하였다. 이와 같은 원불교사상연구원의 학술·연구활동은 성과에 있어서도 원불교학을 주도하는 역할을 해왔다. 특히 2010년에는 한국연구재단의 인문한국(HK) 지원사업에 이 아젠다로 선정되어, 10년간 새로운 차원의 연구를 진행하게 된다. 그런데 원불교학계가 안고 있는 현안의 여건과 관련해 보면 다음과 같은 과제를 지적할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은 첫째 연구인력의 육성, 둘째 연구방법론의 개발, 셋째 특수과제의 진행에 따른 원불교학 연구의 위축 등의 문제이다. 원불교 개교100년을 내다보는 시점에서 원불교사상 연구원은 원불교학계의 미래를 전망하면서 중장기 발전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이에 바탕하여 학술·연구활동을 조직적으로 추진할 때 교단적인 협력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is article is to suggest the prospect and task of academic activities in Won-Buddhism by investigating it. It is mainly focused on academic and research activities of the Institute of Won-Buddhist Thought. It is the research institute established for policy of Wonkwang University at 1974, and has been played a role of center of Won-Buddhist studies. Therefore, investigating its academic and research activities would manifest current status and tasks. Activities of the Institute of Won-Buddhist Thought can be divided into academic and research. For academic activities, firstly, has been held 29 times with 572 presented articles between 1982 and 2010; secondly, has been held 21 times and presented 193 articles between 1973 and 2009 by academic alliance with Bukkyo Univesity in Japan; thirdly, has been held 176 times between 1974 and 2010; fourthly, other academic conferences for specific themes have been held 15 times and presented 85 articles. In research activities, firstly, a research journal, Won-Buddhist Thought and Religious Culture has been published 587 articles in 45 volumes between 1975 and 2010; secondly, Bulletin of the Institute of Won-Buddhist Thought has been published 62 volumes between 1979 and 2010; thirdly, 10 volumes of the Collections of Won-Buddhist Thoughts Research and 12 volumes of Commemoration Journal have been published. Those academic and research activities of the Institute of Won-Buddhist Thought lead Won-Buddhist studies and brought an outstanding result. Especially, on 2010, its new agenda“ Mind Humanities: New Hope of Human Spiritual Civilization”has selected for Humanities Korea Supporting Projects o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and will carry on new dimension of research for next ten years. However, considering current condition of Won-Buddhist studies, following tasks can be pointed out. Those are 1) upbringing of human resources for research, 2) development of research methodology, and 3) shrinking research on Won-Buddhist studies for development of special theme. On the point of coming the Centennial Anniversary of Foundation of Won-Buddhism, the Institute of Won-Buddhist Thoughts has to establish middle and long term development plan, considering the future of Won-Buddhist Studies. On the such ground carrying on systematic academic and research activities, the Institute can attain help from order of Won-Buddhism.

      • KCI등재

        한국사상(韓國思想)(사학(史學)) : 중국 남조의 사찰명 분석을 통해 본 남조불교의 특징 -백제 불교 이해를 위한 전제-

        박윤선 ( Youn Sun Park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韓國思想과 文化 Vol.56 No.-

        현재 확인 가능한 중국 남조 사찰명을 분석하여 분류를 시도해 보았다. 크게 명칭형과 종교형으로 양대분하고, 명칭형은 다시 지명형과 인명형으로 구분했다. 종교형은 다시 인간의 보편적 기원이나 전통신앙에서 유래된 용어를 쓴 사찰명과 불교적 용어를 채용한 사찰명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동진이전의 사찰 건립 초기에는 지명과 인명 중심의 명칭형이 다수를 차지했는데, 그것이 남조대에 이르면 지명형부터 크게 줄어들기 시작하여, 남제대에는 인명형마저 그 비중이 미미해지니 이제 종교형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게 되었다. 그리고 양대에는 종교형 가운데에도 불교형 이름의 비중이 가장 높아지게 되었다. 사찰명의 시대적 변화는 중국에서 불교 이해가 점차 깊이를 가지게 되어 가는 양상을 그대로 반영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지명이나 인명 등을 채용한 사찰명은 과도기적인 양상으로 이러한 이름은 곧 사라질 것이 예견되는 것이었다. 종교형 사찰명 가운데 전통신앙형 역시 순차적으로 불교적 용어에 밀려서 후퇴되었어야 하겠지만, 견고한 역사적·철학사상적 기반을 가지고 있는 중국의 전통 철학 사상은 오히려 불교에게서 변용을 이끌어냈고, 그러한 사정은 사찰명에도 반영되었다. 전통신앙적 성격의 용어가 이후에도 사라지지 않고 계속 사찰명에 채용되었으며 마침내 일반화되기에 이르른 것이다. 남조대는 불교가 중국의 전통사상과 신앙의 기반위에서 이해되는 과정을 거치는데 그와 같은 사실이 사찰 명칭에서도 다시 한 번 확인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불교가 백제에 전해졌다. 백제는 동진으로부터 불교를 수용하였고, 그 이후에도 백제는 주로 남조와 교류하며 정치·외교적으로, 또 문화적으로 남조의 영향을 받은 바가 크다. 백제 불교 역시 남조 불교의 영향이 적다 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런 점에서 남조 불교가 중국 전통 사상·철학과 긴밀하게 얽혀 있었다는 사실은 백제 불교의 모습을 추론하는 데 참고할 필요가 있다. 백제에 수용된 불교는 백제에서 또 다시 백제의 전통적인 철학사상·신앙과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며 성장해 갔을 것이다. 수용 초기의 불교와 백제에서 일정한 시간을 지난 불교 사이에는 어느 정도 차이가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백제가 처음 수용한 불교, 그리고 그 이후 백제불교에 영향을 주었을 남조 불교가 여전히 도교 등 전통사상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었다는 점, 그리고 불교를 수용한 백제 사상계의 기반이 불교의 그러한 요소와 친연성을 가지고 있었다는 점 등을 고려하면 수용기뿐 아니라 이후의 불교에서도 전통신앙적 요소는 엄연히 존재하였을 것이다. 즉 백제에서 불교는 도교 등 중국 전통사상·신앙적 요소와 서로 분리되어 존재한 적이 없이 늘 함께였던 것으로 짐작된다. I tried the analysis and the categorization of the temple names of the Southern Dynasties in China. First, I categorized them into name type and religion type. Then, I categorized the name type again into region-name type and person-name type. Finally, I categorized the religion type into general religious term type and Buddhist term type. In the early days of building temples, before East Jin Dynasty, many of the names were name type. However, as it reached the Southern Dynasties, name types rapidly decreased, starting with the region-name type. At the NamJae period, the person-name type decreased too, and religion type held a huge proportion. At the Yang Dynasty, the Buddhist term type held the largest proportion. The change of temple names along times reflects the deepening understanding of Buddhism in China. The temple names using the names of people or regions were a transition period, and were deemed to disappear. Out of the religion types, the general (traditional) religious term type must have retreated gradually because of the Buddhistic term type names, but the Chinese traditional religion with its strong historic and philosophical roots actually changed Chinese Buddhism, and it was shown likewise on the names of the temples. The traditional religious term type names didn`t disappear and were constantly used for the temple names and it was gradually generalized. The Southern Dynasties period is when Buddhism is understood on the basis of Chinese traditional philosophy and religion, and it was reflected directly to the temple names. This kind of Buddhism was accepted to Baekjae. Baekjae embraced Buddhism from East Jin, and even after that, Baekjae mainly interchanged with the Southern Dynasties and was influenced very much in political, diplomatic, and cultural ways. The Buddhism of Baekjae also was influenced very much by the Buddhism of the Southern Dynasties. In that point we need to remember that the Southern Dynasties` Buddhism is very much intertwined with traditional Chinese ideas and philosophy when inferring the form of Baekjae`s Buddhism. The Buddhism accepted by Baekjae must have developed while exchanging influence with the traditional philosophy and ideas of Baekjae. The early times of Buddhism in Baekjae and Buddhism in Baekjae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should have some difference. However if we think of the fact that Buddhism first accepted in Baekjae, and the Buddhism after some time later still contained some traditional content such as Taoism, and the fact that the base of Baekjae ideas had affinity with such content in Buddhism we can deduce that Buddhism in the accepting times and after still contained elements of traditional religion. Thus it is thought that in Baekjae, Buddhism was never separated from Chinese traditional philosophy and ideas such as Taoism and was always together.

      • KCI등재

        김성숙의 불교사상과 그 變容

        차차석 대각사상연구원 2011 大覺思想 Vol.16 No.-

        운암 김성숙의 정치관 속에 투영된 불교사상과 그 변용은 어떠한 양상 일까. 김성숙은 출가하여 전통적인 불교교육을 받고, 중국으로 유학을 떠 난다. 이후 현대적인 정치경제학을 공부하고 사회주의 운동, 독립운동, 그리고 해방 이후 통일운동을 통해 일생을 국가와 민족에게 헌신하며, 동시에 일생을 통해 다양한 스펙트럼의 사상을 보여준다. 그러나 그의 정치사상에 불교적 영향이 다양하게 투영되어 있다. 자료 적인 근거를 가지고 특정한 불교사상의 영향을 받았다고 논할 수는 없지 만 그의 정치사상에 불교적 가치가 강하게 내재되어 있다는 점을 다양한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가 추구한 것은 민본과 무저항 비폭력의 민주공화국을 건설하는 것 이었다. 그러한 국가 건설의 전제조건이 민족의 독립과 자존이며, 해방 이후에는 민족적 정치적 통일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김성숙의 사상 속에 서 불교의 자비사상에 입각한 정치관, 사회관을 살펴볼 수 있었으며, 다 른 한편으로 화엄사상이나 선사상에서 중시하는 원융사상의 영향도 살펴 볼 수 있다. 그것은 대립과 갈등을 넘어 통합과 회통을 지향하는 것이었 다. 그의 정치사상에 투영된 불교적 영향은 순수한 불교, 그 자체라 말할 수는 없다. 서구에서 들어온 현대적인 학문 내지 정치철학과 불교가 결 합한 것일 수도 있으며, 아니면 불교사상이 현대사회에 필요한 만큼 변 용된 것일 수도 있다. 그러나 무상한 현실을 감안한다면 훈고학적 전통 에 묶여 있는 것보다는 실용적으로 변용되는 것이 필요하며, 그것이 대 중의 요구와 구원을 위해 필요한 것이라면, 오히려 그것이 부처님의 가 르침에 한 발자욱 더 다가가는 것이 아니었을까 생각된다. 그런 점에서 김성숙의 일생은 다사다난했지만 불교적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평생을 헌신했다고 평가하더라도 결코 손색이 없는 훌륭한 불교운동가였다고 평 가할 수 있다. I tried to look into about the Buddhism thought reflected in the politics of Unam Kim seong suk and the metamorphosis. He became entering the priesthood and took traditional Buddhism education and then he left to study abroad to China. After studying modern politics, economics, socialist movement, and the independence movement, then He devoted himself to a nation and race through the unity movement after the liberation. At same time, He showed the thought of various spectrum through the all his life. But Buddhism influence is reflected at his politics thought variously. I can not discuss with the basis to be the data in that he took the influence of specific Buddhism thought. His politics thought is inhered Buddhism value strongly and I can confirm the point through various analysis. His politics thought might have been erected at the foundation of Buddhism thought and whether it is possible to be a pointless argument. His pursuit was to build a democratic republic of democracy and non-violent and non-resistance. The prerequisite condition of such nation construction is the self-respect with the independence of the race. It was a national and political unity after the liberation. In the thought of such Kim-seong suk, I could look into a political and social view which bases on at the mercy thought of Buddhism. On the other side, I could look into the part of a complete fusion with considering the value of The Avatamska sutra or Zen thought. It was to intend the unity and fusion over opposition and trouble. Buddhism influence which is reflected at his politics thought was genuine Buddhism but it could not say itself. Modern study in Western Europe or political philosophy may be combined Buddhism and either the Buddhism thought can be the metamorphosis as much necessary to the modern society. but considering evanescent actuality, it need to become the metamorphosis practically than in binding exhortation tradition. If it is to need for masses's requirement and salvation, Rather it is considered to approach one step more for teaching of Buddha. In that sense, the life of Kim-seong suk was eventful, but he devoted to realize Buddhism value through his lifetime. I can evaluate that he was ever great Buddhist activist and it would never be inferior to evaluate.

      • KCI등재후보

        만해 한용운의 개혁적 불교사상에 관한 연구

        정천구 한국민족사상학회 2011 민족사상 Vol.5 No.4

        In Man Hae’s view, Buddhism is the unique religion which gives reasonable hope for the people supported by its well developed philosophy. He thought that due to the lack of philosophy other religions can not explain their hopes reasonably. Man hae emphasized the Buddhist idea of equality, liberty and salvation of the world. He made the idea of liberty as the foundation of his spirit of saving the Korean nation. Man Hae’s Buddhist thought was based by Hwaem-sutra(華嚴經) among Buddhist teachings and his Sun(Zen) meditation was living Zen in which enlightenment and living are not separated with each other. He realized that in order to reform the Korean nation one should reform the Korean Buddhism first for Buddhism has been imprinted in Korean people’s mind and life. Man Hae proposed the revitalizing reform program for the Korean traditional Buddhism at that time. He wanted to transform the hermitic and monk-centered Korean Buddhism into modernized, salvation oriented and mass oriented Buddhism. In On the Korean Buddhism Revitalizing Reform Man Hae suggested ten reform tasks of the Korean Buddhism including Buddhist monks education, zen meditation, Buddhist rituals, human rights of monk, their occupation and production, and their marriage problem. Man Hae’s Buddhist thought developed to his devotion to his own nation and state, idea of national liberty and peace, and idea of self-esteem and strenuous efforts. He loved his nation and state as his Nim(sweetheart). Since in his Silence of Nim, he crooned that everything that we love and long for is our Nim and his most loved and longed for in his entire life was Korea and Korean people. His national independence thought was based on the Buddhist idea on liberty and peace. Man Hae also thought that self-esteem vitality and spiritual preparation are enough for the independence of Korean Nation. His idea was different from building strength theory or nation remolding theory. Man Hae’s argument that revitalizing reform of the Korean Buddhism should be first for the Korean renovation is still valid. And his devotion to his Nim, compassionate Buddha and Korean state and people remains our model exemplar. 만해는 불교가 신앙의 대상이 되기에 충분한 종교이면서 동시에 이성적 요구에 부합하는 철학을 갖추고 있어 다른 종교와 차별되며 장래 도덕문명을 주도할 것이라고 보았다. 그는 불교의 평등과 구세의 이념을 강조하였다. 여기에 그는 자유의 개념을 깨달음과 정신적 자유라는 불교사상에 접목시켜 구국적 애국사상의 토대로 삼았다. 만해는 敎에서는 화엄사상을, 禪에서는 깨달음과 실생활을 하나로 보는 生活禪을 지향했다. 그는 조선민족을 개혁하려면 조선인의 정신과 생활에 각인된 불교가 먼저 혁신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만해는 은둔적이고 승려중심적인 불교를 개혁하여 근대불교, 구세불교, 대중불교를 위한 방안들을 제시했다. 조선불교유신론에서 그가 제기한 유신의 과제는 승려의 교육, 참선, 염불당의 폐지, 포교, 사원의 위치, 불가에서 섬기는 소회(塑繪), 불교의 의식, 승려의 인권과 생산, 승려의 결혼문제 등 10개 항목에 이르고 있다. 만해의 불교사상은 그의 애국애족사상, 민족 자유평화사상, 그리고 민족자강사상으로 전개되었다. 만해는 국가와 민족을 님으로 사랑했다. 그는 《님의 침묵》에서 “기루고자 하는 것은 모두 님”이라했는바, 이런 의미로 볼 때 만해가 일생을 통하여 가장 기루고자 한 님은 바로 조선과 조선백성이었던 것이다. 그는 자유와 평화를 민족독립사상의 기초로 삼았다. 또한 그는 수양과 민족적 자각을 중심으로 한 자강을 주장하였다. 만해는 조선의 독립은 독립할 만한 자존의 기운과 정신적 준비만 있으면 충분한 것으로 보았다. 실력양성론이나 민족개조론과는 구별되는 사상이다. 조선의 개혁은 조선인의 생활 속에 뿌리내린 불교의 개혁에서 시작되어야 한다는 만해의 주장과 설중매화(雪中梅花) 같이 초심을 지킨 항일의지와 개혁의지는 오늘을 사는 한국인들에게도 자신을 반성해 보는 화두로 살아있다.

      • KCI등재

        동무(東武) 이제마(李濟馬)의 사상의학(四象醫學)과 불교(佛敎)의 영향(影響)

        박성식(Seong Sik Park)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1 佛敎學報 Vol.0 No.57

        사상의학은 한의학의 한 분야로 알려져 있지만 기존 한의학과는 다른 독특한 이론체계를 갖고 있는 한국 고유의 의학이다. 사상의학의 창안자인 東武李濟馬는 사람을 太陽人, 少陽人, 太陰人, 少陰人의 네 체질로 구분하여 체질에 따라 잘 걸리는 병이 다르고 치료 약물도 다르다는 것을 주장했다. 이제까지의 대부분 사상의학 관련 연구들은 의학과 유학사상을 토대로 독창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불교와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는 이제마가 사상의학을 발견하게 되는 계기나 사상의학의 이론적 측면에서 특징적인 부분을 중심으로 사상의학과 불교의 관련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喜怒哀樂性情의 차이로 나타나는 사상인의 심리적 특성은 『黃帝內經』의 七情으로는 설명이 어렵고, 유학적인 심성론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유학적인 측면에서도 사상의학의 심성론을 모두 설명할 수는 없다. 이제마의 저서에 『周易』, 『孟子』, 『中庸』, 『大學』에서 유래된 구절과 용어들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단지 인용되었다는 이유로 사상의학이 유학사상에 기반하고 있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이제마는 기존 유학 사상에 대한 해석 보다는 자신의 고유한 철학을 설명하기 위한 방법으로 인용하였기 때문이다. 이제마가 겉으로는 불교에 대하여 유학사상과 비교하는 내용으로 주로 언급하지만, 소양인의 吐血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불교도의 생활과 같은 수양법을 강조한 것을 보면 내면에서는 불교를 다르게 받아들였을 수도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는 사상인 체질의 특성이 불교의 地·水·火·風 四大와 관련시킬 수 있는데, 태양인은 風, 태음인은 地, 소양인은 火, 소음인은 水의 성질과 유사한 점이 있다고 보았다. 또 이제마의 사상의학은 유학적 배경, 의학적 배경, 서양의 4체액설과의 관련성 등과 같이 어느 한 사상에 관련을 두기에는 너무나 독창적이므로, 좀 더 시각을 확대하여 사상의학에서 불교 영향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할 것으로 보았다.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SCM) is generally known as an area of oriental medicine, but it is an indigenous Korean medicine possessing a unique theoretical system different from the existing oriental medicine. The originator of the SCM, Dongmu Lee Jema, made division of man`s physical constitution into four categories-namely, So-yangin (SY Type), So-eumin (SE Type), Tae-yangin (TY Type) and Tae-eumin (TE Type)-and he stated that each constitutional type is different in its inclination to get certain diseases and in its medicinal treatments. While most of the researches relating to the SCM have emphasized the SCM`s uniqueness based on the science of medicine and Confucianism, there has been no investigation on the SCM`s relevance to Buddhism until now. The present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M and Buddhism while focusing on how Lee found out the SCM and also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M`s theoretical system. Psychological aspects of the four-type constitutions, which arise from different natures and emotions like happiness, anger, sorrow and pleasure, are difficult to explain by means of the seven passions described in the Yellow Emperor`s Inner Classic (Huangdi Neijing, 黃帝內經); instead, they need to be accounted for on the basis of the Confucian theory of mind and nature. However, even this Confucian philosophy is not sufficient to clarify all the theories of the SCM`s psychology. Lee uses in his writings the words and phrases originating from the four Confucian books such as the Great Learning (大學), Doctrine of the Golden Mean (中庸), Mencius (孟子), and The book of Changese (周易). As he merely quoted these books, however,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at his SCM is based on the Confucian philosophy. After all, he made use of those quotations for explaining his own philosophy rather than interpreting the existing Confucian philosophy. On the surface, Lee mentioned Buddhism mainly in comparison with Confucianism, but inside he might have accepted Buddhism judging by his emphasis on some exercises similar to those of the Buddhist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four constitutions in relation to the Four Great Elements (四大) in Buddhism, which are the earth, water, fire and wind, so that Tae-yangin may be similar to the wind element; Tae-eumin to the earth; So-yangin to the fire; and So-eumin to the fire respectively. Lee`s SCM is too creative to associate it with one of the particular philosophies including Confucianism, medicine, the Humor theory, and the like. Therefore, about the topic of the influence of Buddhism on the SCM further investigations are needed from a wide perspective.

      • KCI등재

        정약용의 불교사상 비판론

        이영경 한국유교학회 2012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

        his thesis asserts that the Jeong yak-yong[丁若鏞, Dasan]'s viewpoint of buddhist thoughts is criticism, therefore we study his criticism's character on the focus of buddhist mind theory, moral culture and ethical theory. Dasan doesn't clearly reveal antagonism on the buddhism, but relatively and briefly criticize. And he stress that the buddhist thoughts have unreasonableness, so he points out the difference which is plainly exist in the buddhist thoughts between confucian thoughts. The Dasan's criticism on the buddhist thoughts is not only whole and organized aspect, but also manifest in the process of criticism against ‘Zhuxi studies[朱熹學]’. This is reflect that the Dasan's criticised character is annexed to Zhuxi studies, this means that the main aim of Dasan's criticism is against on the mind theory, moral culture and ethical theory in the Zhuxi studies. Dasan strengthen the meaning of mind and moral culture theory of Mengzi[孟子]'s confucianism in the criticism on the buddhist thoughts, so sometimes he preserve the standpoint that the narrow context of understanding on the buddhism, and he shows the inclination of overlooking ethical meanings of buddhist thoughts. 본 연구는 다산이 ‘불교사상’에 대하여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는 양상에 대해 불교 心性論·修養論·倫理觀을 중심으로 탐구하였다. 다산은 불교사상에 대해서 노골적인 敵對感을 드러내지 않으면서 비교적 간명하게 비판하고 있다. 다산은 유교윤리와 불교윤리를 相關的으로 언급하기도 하고, 주자학의 심성론·수양론·윤리관 등의 문제를 비판함에 있어서 불교의 해당 초점을 문제삼기도 한다. 따라서 다산은 불교사상을 거론함에 있어서, 유학사상과 불교사상의 특정 논점을 비교·검토하거나, 주자학을 비판하는 과정에서 補論的으로 불교사상을 비판하는 측면이 뚜렷하다. 즉 다산은 유학과 불교사상의 차별성, 주자학에 미친 불교사상의 양상, 주자학자들이 불교사상에 경도된 양상, 주자학과 불교사상의 유사성 등을 문제 삼으면서 불교사상을 비판하는 것이다. 그리고 다산이 불교사상을 비판함에 있어서 유학의 입장을 강화하거나 주자학을 공박하려는 의지가 뚜렷하여 불교사상을 다소 협의의 맥락에서 이해하려 하거나, 유학의 입장에서 불교의 윤리를 독해하려 함으로써 불교사상의 고유한 윤리적 의미를 회피하는 듯한 경향을 드러내기도 한다.

      • KCI등재

        서산휴정의 불교사상과 구세(救世)를 위한 호국사상 연구

        손병욱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4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0

        Suosan Hyujeong(西山休靜) who lived the 16th century was the one of the highest Buddhism monks during the Chosun dynasty period. He fought against Japanese army with his disciples during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study on his thought has been limited on the thought of Buddhism. For example, a study on his view of the Zen sect and non-Zen sect Buddhism, a study on his view of the inter-understanding between the Three Religions (Buddhism, Confucianism and Taoism), his view of the Buddhism for the salvation of fatherland, etc. But, in this paper I made a great point of studying on his another thought expect his thought of Buddhism. Especially this author had the view point that the thought for the salvation of his country originated from the Guksun(國仙) thought which was related with Dangun(檀君) and Cheonghak(靑鶴) consciousness. This consciousness has been regarded as representing Korean original identity. As a result, this author presented four features of his thought. These are the same as the thought of harmony, of inter-understanding, of nation and of revolution. The thoughts of harmony and of inter-understanding belong to his Buddhism. But another two thoughts belong to Guksun(國仙) thought. He was the great Zen monk, at the same time he was the Sun(仙) or Sunin(仙人) who was ideal human shape originated from Korean ancient thought. After the attaining spiritual enlightenment, his way was not limited as saving all sentient beings. He continually had had a strong will not only to revolute the wronged social systems but also to change social fundamental pattern. And these ideas appeared as the features of Sun[Sunin]. After the attaining spiritual enlightenment, his way of interfering social affaires was beyond the way of Mahayana bodhisattva. His activities for the salvation of fatherland during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could not be explained at the point of the way of Mahayana bodhisattva. Finally I expected that this paper would give the opportunity to start a new study on Suosan thought beyond the trend from past to present researches. 조선조 중기인 16세기를 살았던 서산 휴정은 조계종 중심의 한국불교의 정통조사(正統祖師)로서, 현 조계종에서 확고부동한 위치를 점하는 인물이다. 임진왜란 당시에는 그의 문도들과 함께 호국활동을 펼쳤다. 그 동안 그의 사상에 대한 연구는 그의 불교사상에만 국한되어왔다. 그리하여 그의 선교관(禪敎觀), 삼교회통관(三敎會通觀), 호국불교관(護國佛敎觀)을 주로 다루어 왔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그의 사상이 지닌 불교사상 외의 또 다른 측면을 구명하는데 많은 지면을 할애하였다. 특히 그의 구세(救世)를 위한 호국사상은 그 연원이 호국불교가 아니라 ‘단군의식과 청학관념에 바탕한 국선(國仙)사상’에 있다고 보았다. 연구결과 그의 사상적 특징을 크게 네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조화사상이다. 둘째, 회통사상이다. 셋째, 민족사상이다. 넷째, 개혁사상이다. 앞의 둘은 그의 불교사상의 특징이라면, 뒤의 둘은 국선사상의 특징이라고 하겠다. 그는 선승(禪僧)이면서 선(仙), 혹은 선인(仙人)이었다. 불교적 견성체험 이후에 그가 걸어간 길은 단순한 하화중생(下化衆生)에 머무르지 않았다. 그는 구세(救世)를 위해 잘못된 사회의 제도 개선은 물론 은연중에 사회의 근본 틀을 바꾸려는 의지를 지속적으로 갖고 있었다. 그리고 이것이 그의 선[仙人]적인 특성으로 나타났다. 그리하여 깨달음 이후 그가 선택한 입세간(入世間)의 길은 단순한 대승보살도의 계승과 실천을 넘어서고 있으며 이것이 국난시의 호국활동으로 나타났다고 보았다. 끝으로 이러한 본고의 시도가 앞으로 서산사상에 대한 기존연구의 지평을 새롭게 넓히는데 의미 있는 기여를 하게 되기를 기대하였다.

      • KCI등재

        일반논문 : 서산휴정의 불교사상과 구세(救世)를 위한 호국사상 연구

        손병욱 ( Byeong Ook So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4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0

        조선조 중기인 16세기를 살았던 서산 휴정은 조계종 중심의 한국불교의 정통조사(正統祖師)로서, 현 조계종에서 확고부동한 위치를 점하는 인물이다. 임진왜란 당시에는 그의 문도들과 함께 호국활동을 펼쳤다. 그 동안 그의 사상에 대한 연구는 그의 불교사상에만 국한되어왔다. 그리하여 그의 선교관(禪敎觀), 삼교회통관(三敎會通觀), 호국불교관(護國佛敎觀)을 주로 다루어 왔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그의 사상이 지닌 불교사상 외의 또 다른 측면을 구명하는데 많은 지면을 할애하였다. 특히 그의 구세(救世)를 위한 호국사상은 그 연원이 호국불교가 아니라 ``단군의 식과 청학관념에 바탕한 국선(國仙)사상``에 있다고 보았다. 연구결과 그의 사상적 특징을 크게 네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조화사상이다. 둘째, 회통사상이다. 셋째, 민족사상이다. 넷째, 개혁사상이다. 앞의 둘은 그의 불교사상의 특징이라면, 뒤의 둘은 국선사상의 특징이라고 하겠다. 그는 선승(禪僧)이면서 선(仙), 혹은 선인(仙人)이었다. 불교적 견성체험 이후에 그가 걸어간 길은 단순한 하화중생(下化衆生)에 머무르지 않았다. 그는 구세(救世)를 위해 잘못된 사회의 제도 개선은 물론 은연중에 사회의 근본 틀을 바꾸려는 의지를 지속적으로 갖고 있었다. 그리고 이것이 그의 선[仙人]적인 특성으로 나타났다. 그리하여 깨달음 이후 그가 선택한 입세간(入世間)의 길은 단순한 대승보살도의 계승과 실천을 넘어서고 있으며 이것이 국난시의 호국활동으로 나타났다고 보았다. 끝으로 이러한 본고의 시도가 앞으로 서산사상에 대한 기존연구의 지평을 새롭게 넓히는데 의미 있는 기여를 하게 되기를 기대하였다. Suosan Hyujeong(西山休靜) who lived the 16th century was the one of the highest Buddhism monks during the Chosun dynasty period. He fought against Japanese army with his disciples during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study on his thought has been limited on the thought of Buddhism. For example, a study on his view of the Zen sect and non-Zen sect Buddhism, a study on his view of the inter-understanding between the Three Religions (Buddhism, Confucianism and Taoism), his view of the Buddhism for the salvation of fatherland, etc. But, in this paper I made a great point of studying on his another thought expect his thought of Buddhism. Especially this author had the view point that the thought for the salvation of his country originated from the Guksun(國仙) thought which was related with Dangun(檀君) and Cheonghak(靑鶴) consciousness. This consciousness has been regarded as representing Korean original identity. As a result, this author presented four features of his thought. These are the same as the thought of harmony, of inter-understanding, of nation and of revolution. The thoughts of harmony and of inter-understanding belong to his Buddhism. But another two thoughts belong to Guksun(國仙) thought. He was the great Zen monk, at the same time he was the Sun(仙) or Sunin(仙人) who was ideal human shape originated from Korean ancient thought. After the attaining spiritual enlightenment, his way was not limited as saving all sentient beings. He continually had had a strong will not only to revolute the wronged social systems but also to change social fundamental pattern. And these ideas appeared as the features of Sun[Sunin]. After the attaining spiritual enlightenment, his way of interfering social affaires was beyond the way of Mahayana bodhisattva. His activities for the salvation of fatherland during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could not be explained at the point of the way of Mahayana bodhisattva. Finally I expected that this paper would give the opportunity to start a new study on Suosan thought beyond the trend from past to present researches.

      • KCI등재

        정약용의 불교사상 비판론

        이영경 ( Lee Young-kyung ) 한국유교학회 2012 유교사상문화연구 Vol.49 No.-

        본 연구는 다산이 ‘불교사상’에 대하여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는 양상에 대해 불교 心性論ㆍ修養論ㆍ倫理觀을 중심으로 탐구하였다. 다산은 불교사상에 대해서 노골적인 敵對感을 드러내지 않으면서 비교적 간명하게 비판하고 있다. 다산은 유교윤리와 불교윤리를 相關的으로 언급하기도 하고, 주자학의 심성론ㆍ수양론ㆍ윤리관 등의 문제를 비판함에 있어서 불교의 해당 초점을 문제삼기도 한다. 따라서 다산은 불교사상을 거론함에 있어서, 유학사상과 불교 사상의 특정 논점을 비교ㆍ검토하거나, 주자학을 비판하는 과정에서 補論的으로 불교사상을 비판하는 측면이 뚜렷하다. 즉 다산은 유학과 불교사상의 차별성, 주자학에 미친 불교사상의 양상, 주자학자들이 불교사상에 경도된 양상, 주자학과 불교사상의 유사성 등을 문제 삼으면서 불교사상을 비판하는 것이다. 그리고 다산이 불교사상을 비판함에 있어서 유학의 입장을 강화하거나 주자학을 공박하려는 의지가 뚜렷하여 불교사상을 다소 협의의 맥락에서 이해하려 하거나, 유학의 입장에서 불교의 윤리를 독해하려 함으로써 불교사상의 고유한 윤리적 의미를 회피하는 듯한 경향을 드러내기도 한다. This thesis asserts that the Jeong yak-yong[丁若鏞, Dasan]'s viewpoint of buddhist thoughts is criticism, therefore we study his criticism's character on the focus of buddhist mind theory, moral culture and ethical theory. Dasan doesn't clearly reveal antagonism on the buddhism, but relatively and briefly criticize. And he stress that the buddhist thoughts have unreasonableness, so he points out the difference which is plainly exist in the buddhist thoughts between confucian thoughts. The Dasan's criticism on the buddhist thoughts is not only whole and organized aspect, but also manifest in the process of criticism against ‘Zhuxi studies[朱熹學]’. This is reflect that the Dasan's criticised character is annexed to Zhuxi studies, this means that the main aim of Dasan's criticism is against on the mind theory, moral culture and ethical theory in the Zhuxi studies. Dasan strengthen the meaning of mind and moral culture theory of Mengzi[孟子]’s Confucianism in the criticism on the buddhist thoughts, so sometimes he preserve the standpoint that the narrow context of understanding on the buddhism, and he shows the inclination of overlooking ethical meanings of buddhist thoughts.

      • KCI등재

        한국불교 중흥을 위한 청주본 『명심보감』의 불교 이해

        成海俊(Hae-jun Sung) 영남퇴계학연구원 2022 퇴계학논집 Vol.- No.30

        중국의 范立本이 1393년 이전에 작성한 것으로 보이는『명심보감』 서문(청주본)에 석가의 가르침 중에서 좋은 말을 모아서 한 권으로 엮어 ‘명심보감’이라고 하였다는 언급이 있다. 이 말처럼 원본 『명심보감』 서문을 비롯하여 본문에서 ‘方便과 선행, 인과응보, 知足安分’ 등 불교사상과 관련된 내용이 적지 않다. 그뿐만 아니라, 부처님의 慈悲와 功徳을 찬양하는 원색적인 불교 용어와 불교사상이 포함된 내용이 인용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한국에서 통용되고 있는 『명심보감』 판본에는 불교적 용어를 전혀 찾아볼 수 없다. 이는 조선시대 중기 이후 원본 ‘청주본’이 자취를 감추고 난 후 간행된 ‘초략본’에서 불교적인 내용을 의도적으로 삭제하여 명심보감 의 유교화를 시도한 탓이다. 그 때문에 현재 학계에서도 『명심보감』의 유불도 3교 합일 사상을 언급하고는 있으나 불교사상과 관련한 심도 있는 후속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1454년에 간행된 원본 명심보감 의 불교사상 중에서 우선 서문에 보이는 불교와 관련된 내용을 발췌하여 『명심보감』과 불교사상과의 관련을 집중적으로 고찰하였다. 이용기관관리 학지사3님 환영합니다. 로그아웃 스콜라 메인(대시보드) 상품관리 논문관리 논문관리 서비스 여부 및 발행정보 입력​ *개인저자여부​ YES NO *서비스여부​ YES NO *수동설정여부​ YES NO *무료여부​ YES NO *채널​ 학지사 *제공처​ 공인회계사협회 *발행기관​ 영남퇴계학연구원 *간행물​ .퇴계학논집 *권/호​ 제30호 논문 기본 정보​ 논문 ID​ 논문 카테고리(타입)​ *원논문명​ 한국불교 중흥을 위한 청주본 『명심보감』의 불교 이해 부논문명​ 논문명(영문)​ Buddhist ideas in the preface to the Cheongju version of Myongsimbogam of Mind. 논문명(기타)​ 논문DOI​ DOI URL​ 저자명​ 成海俊(Sung Hae-jun) 17/100자 논문 저자관리+ 추가 *저자명(한글)​ 저자명(영문)​ 성 이름 소속1​ 소속2​ 주 저자설정​ 주저자 HomePage​ 초록 정보​ 국문 중국의 范立本이 1393년 이전에 작성한 것으로 보이는『명심보감』 서문(청주본)에 석가의 가르침 중에서 좋은 말을 모아서 한 권으로 엮어 ‘명심보감’이라고 하였다는 언급이 있다. 이 말처럼 원본 『명심보감』 서문을 비롯하여 본문에서 ‘方便과 선행, 인과응보, 知足安分’ 등 불교사상과 관련된 내용이 적지 않다. 그뿐만 아니라, 부처님의 慈悲와 功徳을 찬양하는 원색적인 불교 용어와 불교사상이 포함된 내용이 인용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한국에서 통용되고 있는 『명심보감』 판본에는 불교적 용어를 전혀 찾아볼 수 없다. 이는 조선시대 중기 이후 원본 ‘청주본’이 자취를 감추고 난 후 간행된 ‘초략본’에서 불교적인 내용을 의도적으로 삭제하여 명심보감 의 유교화를 시도한 탓이다. 그 때문에 현재 학계에서도 『명심보감』의 유불도 3교 합일 사상을 언급하고는 있으나 불교사상과 관련한 심도 있는 후속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1454년에 간행된 원본 명심보감 의 불교사상 중에서 우선 서문에 보이는 불교와 관련된 내용을 발췌하여 『명심보감』과 불교사상과의 관련을 집중적으로 고찰하였다. 565/4000자 영문 Some of the preface to the "Cheongj version" which seems to have been written before 1393, by the author of the book "Myeongsimbogam," collected good words from Seokga's teachings and compiled them into a single book. As such, the introduction to the original Myeongsimbogam, as well as general matters related to Buddhist ideas such as "Bangpyeon(方便), Good deed, Cause-and-Revenge, and Jijok Anbun(知足安分)" are cited in the text, and Buddhist ideas that exude the original Buddhist colors of Buddha's mercy and virtue. However, Buddhist terms are not found in the version of the "Mind-in-Bogam," which is currently widely used in Korea. This is because the original "Cheongju copy" disappeared after the mid-Joseon Dynasty intentionally deleted the Buddhist content from the first edition of the book and attempted to Confucianize it. For this reason, the academic community now mentions the idea of unification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but in-depth follow-up research related to Buddhist ideas is rare. Therefore, this paper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ddhist ideas and the Buddhist ideas in the preface, based on excerpts from the original Buddhist ideas published in 1454.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