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첨단학습환경 설계를 위한 분산인지의 적용 가능성 탐색

        김현진 한국교육공학회 2015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5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분산인지가 첨단학습환경설계에 주는 시사점을 이론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분산인지의 개념과 이론적 특징을 살펴보고, 관련 설계 사례를 분석하여, 분산인지 기반의 학습환경 설계의 원리를 도출하였다. 분산인지는 1980년대 말에 Huchins과 그의 동료들이 인지적 과정을 설명하는 전통적인 이론에 대안적으로 도출한 이론적 틀이다. 이들은 문화기술적으로 관찰한 인지적 수행과정을 통해 사람의 인지적 과정이 개인의 머릿속의 홀로 진행되는 과정이 아닌 외부와의 상호작용 특히, 인공물과의 인지적 상호작용을 통해 구성된다고 하였다. 즉, 분산인지 측 면에서 인지란 사람, 인공물, 환경 등에 분산되어 이 주체들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분산인지에서 인공물 즉, 테크놀로지는 사람과 대등한 인지적 역할이며, 성공적 수행에 기여한다는 면이 다른 인지적 이론의 틀과 구별된다. 이러한 관점은 첨단학습환경에서 테크놀로지가 학습에 의미있게 기여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데 유용하다. 이 연구에서 분산인지 틀의 이론적 특성과 관련 설계사례 분석을 통해 도출된 학습환경설계 원리는 문제해결이 포함된 수행 중심의 학습과제, 협력활동과 조정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학습활동, 인지적 부담을 줄이거나 인지적 능력을 확대시키는 테크놀로지의 역할, 그리고 학생의 수행을 전반적으로 지원하고 인지 주체간 상호작용을 촉진시키는 스캐폴드 가 포함된다. 이 연구의 설계 원리와 함께 좀 더 다양한 관점에서의 분산인지 기반 설계원리 및 학습효과 측정의 연구가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분산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 합성 환경 표현 및 교환 표준(SEDRIS)기반의 전장 환경 구축

        함원경,김정훈,나영남,천상욱,박상철 한국엔터프라이즈아키텍처학회 2012 정보기술아키텍처연구 Vol.9 No.3

        Presented in the paper is a methodology for the distributed simulation of underwater warfare based on standard synthetic environment. In the case of underwater warfare simulation,it is very important to reflect environmental data, such as salinity and temperature. For the reusability and interoperability of environmental data, this paper adopts Synthetic Environmental Data Representation and Interchange Specification (SEDRIS(ISO standard for environmental data)). Although SEDRIS provides various merits as an international standard, applying of SEDRIS has been hindered by its broadness and heaviness. To relieve the difficulties, this paper proposes an efficient procedure to utilize SEDRIS technology for the atmosphere and underwater environment. This paper identifies SEDRIS structure for the atmosphere/underwater structured dimensional grid-based and implements the proposed procedure on the High Level Architecture (HLA) / Run-Time Infrastructure (RTI) to explain the generation of the battlefield in a distributed simulation system. 본 논문은 분산 시스템에서의 표준합성환경 기반 수중 교전 시뮬레이션을 위한 방법론이다. 수중 교전 시뮬레이션의 경우 염분과 수온 등의 수중 환경 데이터를 시뮬레이션에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분산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 이러한 환경 데이터의 재사용성과 상호운용성 향상을 위해 합성 환경 표현 및 교환 표준(Synthetic Environmental Data Representation and Interchange Specification, SEDRIS(ISO standard for environmental data))이 개발되었고, 본 논문에서는 SEDRIS를 활용하여 수중 합성환경을 구축한다. 본 논문을 통해 SEDRIS가 합성환경 데이터의 국제 표준이지만 그 방대함과 복잡함으로 인하여 사용이 저해된 문제점을 대기/해양 환경에 대해 효율적인 SEDRIS 기술 활용 방법을 제시하여 해결한다. 본 논문의 최종 목적은 대기/해양 환경 표현을 위한 다차원 격자 기반의 SEDRIS 구조를 구축하고, High Level Architecture (HLA)/Run-TimeInfrastructure (RTI) 기반의 분산 시스템에서 대기/해양 합성전장환경 구축에 SEDRIS 적용 방법을 제시한다.

      • KCI등재

        오염물 모형을 이용한 소득그룹별 환경원단위 효율의 비교

        강상목,리즈야오 한국환경정책학회 2022 環境政策 Vol.30 No.4

        This study attempts to estimate environmental efficiency and production efficiency using a cost function model considering undesirable outputs and then compares environmental intensity efficiency (EIE) determined using these two efficiencies with conventional environmental intensity. The EIE was estimated using the simultaneous model of production efficiency and environmental efficiency based on Stochastic Frontier Analysis (SFA) and then compared against the environmental intensity determined in the traditional way. Considering the estimation of CO2 emissions, labor, fossil energy, and output are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related to CO2 emissions at the 1% level. Fossil fuels have an estimated coefficient of 0.795, indicating a more significant impact on greenhouse gases than other variables. The CO2 emissions are not particularly efficient, but they are increasing by about 0.5 percent per year. The most environmentally efficient countries are, in order, high-, low-, and lower-middle-income countries. There is also an increasing trend in production efficiency yearly, with the highest being in the high-income and OECD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groups, respectively. The EIE, calculated from production and environmental efficiency, is also rising. EIE values are highest in high-income countries due to their higher production efficiency and environmental efficiency. Conversely, OECD countries have the lowest EIE as a result of their high production efficiency combined with low environmental efficiency. Our EIE results differ significantly from the environmental intensity results and rankings calculated by the traditional method. 본 연구의 목적은 오염물 모형을 이용하여 환경원단위효율 (EIE: environmental intensity efficiency)을 측정하고 이를 전통적인 환경원단위와 비교하여 보고자 함이다. 연구방법은 확률변경분석(SFA)에 기초한 생산효율과 환경효율의 동시모형을 사용하여 환경원단위효율을 추정하고 기존의 전통적 환경원단위와 비교한다. CO2 배출량 추정 식에서 노동, 화석에너지, 산출물 등은 1% 유의수준에서 유의적이고 정(+)의 부호를 보여주었다. 세 변수 중 화석에너지의 추정 계수가 0.795로 다른 변수보다도 온실가스 증가에 더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CO2 배출량에 대한 환경효율은 완만하지만 매년 평균 0.5%의 수준으로 향상되는 추이를 보여주고 있다. 환경효율은 고소득국가(G2그룹), 저소득국가(G5그룹), 하위중간소득(G4그룹) 등의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생산효율의 경우도 매년 일정하게 증가하는 형태를 보였는데 국가별로는 고소득국과 OECD의 순서로 높았다. 환경효율과 생산효율로 측정한 환경원단위 효율도 역시 완만하지만 매년 증가하는 형태를 보였다. EIE의 효율은 전통적 원단위 효율과 차이를 보였다. 나아가 소득그룹에서 나타난 이질적 국가들을 재분류하는 평균분산접근을 사용하였을 때 EIE는 4개 그룹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 KCI등재

        분산전장 모의환경 구축 방법에 대한 연구 : 단일부대 1:1 교전모델 개발

        최정석,문성환,김태영,김재권,이종식,Choi, Jeongseok,Moon, Sunghwan,Kim, Taeyoung,Kim, Jaekwon,Lee, Jongsik 한국시뮬레이션학회 2015 한국시뮬레이션학회 논문지 Vol.24 No.4

        응용과학이 집약된 현대의 전쟁은 예측하기 어렵고 복잡도가 높아서, 전장 모의환경의 구축과 시뮬레이션 기반 획득을 통한 분석이 필수적이다. 국방 M&S 에서의 전장 모의환경 구축은 그 규모와 형태에 따라 다양한 연구기관이 참여한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전장 모의환경의 모델링을 분산 시스템으로 재구성하여 다양한 시스템에서의 접근을 수용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분산전장 모의환경 구축 방법을 제안하고 단일부대 1:1 교전모델의 사례를 통해 검증한다. 제안하는 분산전장 모의환경 구축 방법은 다수의 참여자로부터 비롯되는 다양한 시스템 환경에서 전장 모의환경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을 가능하게 하며, 구축된 분산 환경 또한 구축 예시로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Modern warfare, which adopt an intensive technique of applied sciences, is difficult to predict, and has a high complexity. Thus, it is necessary to build a battle-field environment and simulation-based analysis. Various organizations are participated to build battlefield model for defense M&S according to a scale and format. On the basis of this trend, approaching from various systems is needed to reconfigure battlefield modeling for distributed system. This paper proposes building design for battlefield simulation environment with a sample of one-to-one single unit engagement model. The proposed method can expect to utilize an example of distributed environment for various participants that are involved in battlefield modeling and simulation.

      • 시스템과 네트워크 이론을 활용한 미래 환경정책 방향 연구

        이승준 ( Seungjun Lee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6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기초연구보고서 Vol.2016 No.-

        산업화 시대를 거치면서 심각성이 대두된 환경문제는 물, 공기, 토양 등 단순히 매체 중심으로 접근하기에는 다소 복잡한 사회 및 자연환경의 역동적 상호작용을 보여 왔다. 환경문제는 더 이상 한 부분만 고려해서는 문제해결이 어려울 정도로 복잡한 양상을 띠고 있다. `1 더하기 1은 2보다 크다`라고 하는 시스템의 창발적 현상은 각 부분에 대한 연구 이상으로 그들의 상호작용이 만들어내는 다양한 현상에 주목해야 함을 알려준다. 시스템 이론이나 네트워크 이론은 복잡계를 요소와 상호작용으로 모형화하여 전체적으로 나타나는 경향성의 원리를 파악하고자 하는 데서 유사점을 갖는다. 이에 본 연구는 복잡성과 불확실성이 증대되는 미래 환경문제와 관련하여 시스템과 네트워크 연구에서 도출된 주요 이론들을 검토하여 복잡계의 일반적 경향성을 정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 환경정책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시스템과 네트워크 이론에서 도출된 시사점을 바탕으로 다섯 가지의 미래 환경정책 방향과 관련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미래 에너지 활용의 위축에 따른 경제 활동의 위축으로 사회경제 시스템의 전반적인 규모 축소가 전망되므로 축소된 삶에 대한 정책적 대비가 요구 된다. 둘째, 환경의 자기조직화 기능을 최대한 활용하는 환경정책을 마련하여 자원의 남용을 막고 지속가능한 생태계 서비스 공급을 유지해야 한다. 셋째, 시스템 차원의 가치평가 체계를 활용함으로써 자원 불평등과 비효율성을 해소할 수 있는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 넷째, 미래의 재난과 위험에 대비하여 물질과 에너지의 지역적 분산과 순환을 정착시키고 중앙지역의 정보관리 기능을 강화하는 공간적 분산과 지역화를 위한 정책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지속 가능한 환경 유지를 위해 정보의 질적 향상과 중요한 정보의 선별에 대한 체계를 마련하고, 시스템 전체의 회복탄력성 강화를 위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Environmental issues have become highly complex and uncertain as the ecological and socioeconomic systems have dynamically interacted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Environmental issues cannot be resolved by dealing with a single part, such as air, water, and soil. `One plus one is greater than two,` or emergent properties of a system, lets us realize that we need to focus not just on each part of a system but on the multiple interactions among parts as a whole. In this sense, the system and network approaches may provide environmental policy makers with useful insights on the future environmental policy as both approaches have been discovering common principles of diverse systems as a whole by modeling complex systems with components and their interac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takeholders with several future environmental policy directions by reviewing system and network theories. Five future environmental policy directions are suggested as a result of the review on system and network theories. First, policies should be prepared for the anticipated overall downsizing of socioeconomic systems. Second, policies that make use of the self-organizing characteristics of the environments should be designed to prevent resource overuse and sustainably supply ecosystem services. Third, systematic valuation approaches should be developed as a policy making process to resolve unequal exchange of resources and efficiently use resources. Fourth, policies that localize energy and material circulation and centralize information are required to prepare societies against natural and man-made extreme events. Finally, policies should be designed for sustainable environment by increasing the quality of important information and investing to the research on the system-scale resilience.

      • KCI등재

        InterCom : 에이전트 기반 인터넷 컴퓨팅 환경 설계 및 구현

        김명호,박권,Kim, Myung-Ho,Park, Kweo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1 정보처리학회논문지 A Vol.8 No.3

        네트워크와 컴퓨터 기술의 발달로 물리적으로 분산된 컴퓨터를 하나의 자원으로 사용하려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연구들은 메시지 패싱을 기반으로 하는 환경을 개발하는 것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환경은 보통 과학계산용 문제를 풀기 위해 많이 사용되고 주어진 문제의 내부병렬성을 이용하여 병렬처리 하게 된다. 따라서 보통 이러한 환경에서는 고도의 병렬성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프로그래밍이 어렵고, 사용하기가 어려우며, 분산된 컴퓨터에 사용자의 계정이 있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그런데 만일 주어진 문제가 완전히 독립적인 작은 문제를 분할된다면 더욱 효율적인 환경을 만들 수 있다. 이러한 문제 유형은 생물정보학, 3차원 애니메이션, 그래픽스 등에 많이 준재하며, 이를 위한 새로운 환경 개발은 매우 중요한 연구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프록시 컴퓨팅 기반의 InterCom이라는 새로운 환경을 제안하고, 이들 구현한 것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환경은 에이전트, 서버, 클라이언트로 구성되어 있다. 이 환경의 장점은 프로그래밍하기가 쉽고 분산된 모든 컴퓨터에 사용자 계정이 없어도 되며, 분산되는 코드를 자동 컴파일해 줌으로써 사용하기 쉽다는 것이다. Development of network and computer technology results in many studies to use physically distributed computers as a single resource. Generally, these studies have focused on developing environments based on message passing. These environments are mainly used to solve problems for scientific computation and process in parallel suing inside parallelism of the given problems. Therefore, these environments provide high parallelism generally, while it is difficult to program and use as well as it is required to have user accounts in the distributed computers. If a given problem is divided into completely independent subproblems, more efficient environment can be provided. We can find these problems in bio-informatics, 3D animatin, graphics, and etc., so the development of new environment for these problems can be considered to be very important. Therefore, we suggest new environment called InterCom based on a proxy computing, which can solve these problems efficiently, and explain the implementation of this environment. This environment consists of agent, server, and client. Merits of this environment are easy programing, no need of user accounts in the distributed computers, and easiness by compiling distributed code automatically.

      • KCI등재

        Hadoop 기반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네트워크 I/O의 성능개선을 위한 TIPC의 적용과 분석

        유대현(Dae Hyun Yoo),정상화(Sang Hwa Chung),김태훈(Tae Hun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9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36 No.5

        Recently with increase of data in the Internet, platform technologies that can process huge data effectively such as Google platform and Hadoop are regarded as worthy of notice. In this kind of platform, there exist network I/O overheads to send task outputs due to the MapReduce operation which is a programming model to support parallel computation in the large cluster system. In this paper, we suggest applying of TIPC (Transparent Inter-Process Communication) protocol for reducing network I/O overheads and increasing network performance in the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s. TIPC has a lightweight protocol stack and it spends relatively less CPU time than TCP because of its simple connection establishment and logical addressing. In this paper, we analyze main features of the Hadoop-based distributed computing system, and we build an experimental model which can be used for experiments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various protocols. In the experimental result, TIPC has a higher bandwidth and lower CPU overheads than other protocols. 최근 인터넷 서비스 기반의 데이터는 대용량화되고 있으며 대용량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구글 플랫폼, Apache Hadoop과 같은 플랫폼 기술이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플랫폼에서는 분산 프로그래밍을 위한 기법으로 MapReduce가 수행되며, 이 과정에서 각 태스크의 결과를 전달하기 위한 네트워크 I/O의 부하 문제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구글 플랫폼, Hadoop과 같은 대규모 PC 클러스터 상의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네트워킹 부하를 경감하고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안으로 TIPC(Transparent Inter-Process Communication)의 적용을 제안한다. TIPC는 경량화된 연결설정 및 스택 크기, 계층적 주소체계로 인해 TCP보다 가볍고 CPU 부하가 적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Hadoop 기반 분산컴퓨팅 환경의 특징을 분석하여 그와 유사한 실험환경을 모델화하고 다양한 프로토콜의 비교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평균 전송률에서 CUBIC-TCP, SCTP와 비교해 TIPC의 성능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TIPC는 CPU 점유율 측면에서 TCP와 비교해 최대 15%의 낮은 CPU 점유율을 보였다.

      • KCI등재

        분산환경을 위한 Sample Distributed Virtual Machine 설계 및 구현

        양일등,이석희,김성열,Yang, Il-Deung,Lee, Seok-Hee,Kim, Soeng-Ryeol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 정보처리학회논문지 A Vol.11 No.4

        By large quantity supply of high efficiency computers, various kind of distributed resource has been extravagant around. Use this distributed resource, if exclude concept of systems by each field, module, operation and administration then we can use it into minimum expense. Hereupon, accommodate some among contents that is proposed through 'Proposal of DVM and DESPL that have apply in distributed environment' and designs and implements SDVM. The user who use SDVM can use into minimum expense without concept of distributed environment. 고성능 컴퓨터들의 대량 보급으로 인해 다양한 종류의 분산 자원이 주위에 산재해 있다. 이러한 분산 자원을 이용하는데 각 분야별 시스템들의 개념, 모듈, 운영 및 관리를 배제하고 사용할 수 있다면 최소한의 비용으로 분산 자원을 사용할 수 있을 젓이다. 이에 '분산환경에 적용될수 있는 DVM 및 DESPL의 제안'을 통해 제안된 내용중 그 일부를 수용하여 SDVM을 설계 및 구현한다. SDVM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분산 환경의 개념없이 최소한의 비용으로 분산된 자원을 사용할 수 있다.

      • KCI등재

        분산 인-메모리 환경에서 부하 분산을 위한 데이터 복제와 이주 기법

        최기태(Kitae Choi),윤상원(Sangwon Yoon),박재열(Jaeyeol Park),임종태(Jongtae Lim),복경수(Kyoungsoo Bok),유재수(Jaesoo Yoo) 한국정보과학회 2016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22 No.1

        최근 소셜 미디어의 성장과 디지털 기기의 활용이 증가함에 따라 데이터가 기하급수적으로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대용량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분산 메모리 처리 시스템을 사용한다. 하지만 분산 환경에서 특정 노드에 부하가 집중이 되면 노드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논문은 분산 메모리 환경에서 노드의 부하를 적절하게 분배하는 부하 분산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노드의 부하를 관리하기 위해 핫 데이터를 여러 노드에 복제하고 노드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때 노드의 부하를 고려하여 데이터를 이주시킨다. 클라이언트는 핫 데이터의 메타데이터 정보를 유지하여 직접 노드에 접근함으로써 중앙 서버의 접근을 감소시킨다. 성능 평가를 통해 제안하는 부하 분산 관리 기법이 기존에 캐시 관리 기법에 비해 우수함을 입증한다. Recently, data has been growing dramatically along with the growth of social media and digital devices. A distributed memory processing system has been used to efficiently process large amounts of data. However, if a load is concentrated in a certain node in distributed environments, a node performance significantly degrad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load balancing scheme to distribute load in a distributed memory environment. The proposed scheme replicates hot data to multiple nodes for managing a node’s load and migrates the data by considering the load of the nodes when nodes are added or removed. The client reduces the number of accesses to the central server by directly accessing the data node through the metadata information of the hot data. In order to show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scheme, we compare it with the existing load balancing scheme through performance evaluation.

      • KCI등재

        남해-화개지역 1차 수계 하상퇴적토의 환경유해원소 분산특성

        박영석,박대우,김종균,홍인희,임성태,Park, Yaung-Seog,Park, Dae-Woo,Kim, Jong-Kyun,Hong, In-Hee,Lim, Sung-Tae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7 지하수토양환경 Vol.12 No.6

        남해-화개지역 하상퇴적토 환경유해원소들의 분산특성 및 환경유해성을 알아보고, 지구화학적 재해에 대해 예견하고자 한다. 하상퇴적토는 오염의 우려가 없고, 집수분지를 대표할 수 있는 시료를 채취하였다. XRD, XRF, ICP-AES, NAA를 이용하여 주성분원소 및 환경유해원소를 분석하였다. 산분해법은 1차로 $HClO_4$와 HF를 혼합하여 $200^{\circ}C$에서 분해시킨 후,2차로 $HClO_4$, HF, HCl를 혼합한 후 $200^{\circ}C$에서 분해시켜 이를 1% $HNO_3$ 용액으로 만들었다. 남해지역 환경유해원소의 함량은 Cu $5.66{\sim}168\;ppm$, Pb $18.0{\sim}40.7\;ppm$, Cr $21.6{\sim}147\;ppm$, Co $4.86{\sim}25.3\;ppm$ 범위이고, 화개지역에서는 Cu $16.4{\sim}41.2\;ppm$, Pb $26.5{\sim}37.5\;ppm$, Cr $79.6{\sim}153\;ppm$, Co $15.7{\sim}29.5\;ppm$ 범위를 보였다. 상관 분석에서는 하상퇴적토의 $SiO_2$ 함량이 높아질수록 구리(Cu)와 코발트(Co)의 함량이 감소하는 특징을 보였다. 연구지역의 E.I.는 비부화 되어 있으며, 평균값은 남해지역 0.35와 화개지역 0.56이였다. 조사대상 하상퇴적토들은 납 > 크롬 > 코발트 > 구리 순으로 부화되어 있으며, E.F.의 평균값은 $0.46{\sim}2.84$이다. E.F값은 구리와 코발트에서 거의 비슷한 부화특성을 보이나, 크롬에서는 남해지역보다 화개지역에서 보다 큰 부화특성을 보인다. 납은 연구지역 모두에서 상당히 부화되어 있었지만, 토양 및 퇴적물의 환경오염 허용 한계치(tolerable level)을 이용하여 살펴본 결과에서는 환경유해원소의 오염에 특별히 노출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Dispersion characteristics and envirounmental impactes of the stream sediments were investigated and geochemical disaster in the Namhae-Hwagye area was predicted. Stream sediments having no possibility of contamination effect and representing drainage basins were collected. Major and hazardous elements concentrations were determined by XRF, ICP-AES and NAA analysis methods. Acid decomposition for the ICP-AES have been used $HClO_4$ and HF with $200^{\circ}C$ heating at 1'st and after that $HClO_4$, HF and HCl with $200^{\circ}C$ heating at 2'nd stage. Hazardous elements concentrations for the stream sediments in the Namhae area were Cu $5.66{\sim}168\;ppm$, Pb $18.0{\sim}40.7\;ppm$, Cr $21.6{\sim}147\;ppm$, Co $4.86{\sim}25.3\;ppm$. Hazardous elements concentrations for the stream sediments in the Hwagye area were Cu $16.4{\sim}41.2\;ppm$, Pb $26.5{\sim}37.5\;ppm$ Cr $79.6{\sim}153\;ppm$, Co $15.7{\sim}29.5\;ppm$. Concentration of Cu and Co in the stream sediments show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iO_2$ in all study area. According to E.I.(Enrichment Index) of stream sediments was not enriched in study area. And average E.I. was 0.35 (Namhae) and 0.56 (Hwagye) respectively. The stream sediments were enriched as in order of Pb > Cr > Co > Cu. And the average of Enrichment Factor (E.F.) was 0.46 to 2.84, respectively. E.F. concentration of Cu and Co were nearly similar enrichment characteristic but E.F. concentration of Cr were higher enrichnent characteristic in Namhae than Hwagye area. Pb was highly enriched in all study area but the tolerable level that used to investigate the enrichment degree of hazardous elements, was not exposed to harmful hazardous ele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