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북한, 중국, 일본의 한국현대문학사에 대한 인식(1)

        정현숙(Jung Hyun-Sook)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인문과학연구 Vol.0 No.21

        이 글은 북한, 일본, 중국에서 간행된 한국현대문학사를 비교ㆍ분석함으로써, 이질성과 동질성을 살펴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북한의 문학사는 이전과는 달리 점차 유연한 태도를 보이기 시작하고 있다. 중국의 한국문학사는 개혁 개방 이후 남한과의 소통이 활발해지면서 남한과 북한의 시각을 통합하려는 의지를 적극적으로 드러내고 있지만, 일본은 아직까지 남북한의 이념적 대립이 그대로 남아 있어서 이념 성향에 따라 북한의 문학사를 그대로 수용하거나 남한 문학사를 번역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 논문의 구체적인 논의는 현대소설사로 한정하며, 분석 대상은 북한의 『조선근대 및 해방 전 현대소설사 연구』(은종섭), 중국의 『조선현대문학사』(김병민), 일본의 『한국문학의 흐름』 (사에구사 도시가즈) 그리고 『한국소설사』 (김윤식ㆍ정호웅)이다. 이 네 권은 문학사-소설사를 인식하고 기술하는 관점이 서로 다르다. 북한의 현대문학사는 주체문예사상과 공산주의 계급투쟁을, 중국은 남한과 북한의 시각을 통합하는 관점에서 문단의 중요한 변화와 문학의 변모 과정을, 일본은 한국소설의 중요한 작가와 작품을, 그리고 남한은 중요한 작품과 내적 형식을 각각 문학사 기술의 중심축으로 삼고 있다. 또한 북한의 소설사는 프로레타리아 계급투쟁과 성격 형성을 중시하는 반면, 중국의 소설사는 남한과 북한의 시각이 혼재되어 있으며, 일본의 소설사는 남한의 문학사 인식을 수용하면서 친일소설의 이면적인 의미에 주목하고 있다. 또한 이들 문학사-소설사는 작가와 작품을 선택하고 배제하는 기준도 서로 다르다. 북한의 소설사에는 김유정, 박태원, 이태준, 김동리 등이 배제되어 있으며, 남한과 중국의 소설사에는 북한에서 중요한 작가로 평가하는 윤세중, 한인택, 송영, 이북명 등을 전혀 언급하지 않고 있다. 또한 이석훈, 김사량, 최병일, 최재서 등은 일본의 문학사에만 기록되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eterogeneity and homogeneity i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published in North Korea, China, and Japan. The history published in North Korea have started to show a flexible attitude in contrast to the past. After reformation and evolution, China and South Korea communicated lively about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s a result, the history published in China has expressed a strong desire to unite the views of North Korea and South Korea. However, the history published in Japan still has ideological opposition between North Korea and South Korea. Thus, they accept either the perspective of North Korea or that of South Korea according to their ideological tendency. This study will analyze four books which are The History Research of Literature in Modern Chosun Period and Contemporary Period before Liberation (by Jongsub Eun) from North Korea, Chosun Contemporary Literature History (By Byungmin Kim) from China, A Stream of Korean Literature (by Saegusa Doshigatch) from Japan, and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Yunsik Kim and Howoong Jung). The above four books have different point of views to write a history of literature. North Korean books describe the Juche literature ideology and a communistic struggle of classes. Chinese books emphasize an important change of the literary world and a process of the change from an united sight of view within North and South Korea. Japanese books concentrate on important works and writers in Korean literature. South Korean books represent important works and an internal form. These four books also have different standards to select writers and works. A novel history in North Korea doesn't mention about Yujung Kim, Taewon Park, Taejoon Lee, and Dongri Kim. Furthermore, literature history in South Korea and China doesn't mention about Sejoong Yoon, Intaek Han, Young Song, and Bukmyung Lee, who are evaluated as important writers in North Korea. In addition, Sukhoon Lee, Saryang Kim, Byungil Choi, and Jaeseo Choi are only recorded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published in Japan.

      • KCI등재

        김우철 시 평가 양상을 통해 본 북한 문학사 서술 변화 : '평화적 민주건설 시기'~'전후복구건설 및 사회주의 기초건설 시기'를 중심으로

        이승이 어문연구학회 2013 어문연구 Vol.76 No.-

        북한 문학사가 북한 체제의 성립과 더불어 고안된 사실은 이미 알려진 바다. 북한 문학사는 1946년 토지개혁과 민주개혁의 완성, 1948년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정부 수립, 1949년 조소 및 국제주의 친선, 1953~1956년 반종파 투쟁, 1956년 도식주의 비판, 1958년 사회주의 개조 완성, 1959년 부르주아 잔재와의 투쟁, 1967년 반종파 투쟁 등의 영향을 받으면서 서술 변화를 거쳐 왔다. 이러한 서술 변화는 '김일성을 주체로 하는 민족해방서사의 틀을 잡는 과정'에서 일어난 불가결한 현상이었다. 본 글은 1950년~1990년대 사이에 출판된 5종의 북한 문학사를 대상으로, 이들 문학사에 수록·평가된 김우철 시 작품을 통해 체제 변화에 따른 문학사 서술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북한 문학사 서술 변화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1959년판 문학사는 조소 및 국제주의 친선 주제를 중시하였고, 도식주의에 대한 비판이 일면서 비판·풍자 작품에 대한 비교적 자유로운 평가가 가능했다. 둘째, 1978년판 문학사부터는 주체문예이론이 공식화됨으로써 수령 칭송 주제와 항일혁명 주제가 강조되었다. 이는 1967년 유일사상 확립 이후 김일성 권력의 절대화 과정과 관련된다. 셋째, 모든 북한 문학사는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민족 해방 및 건설의 감격으로써 토지개혁의 의의와 수령 형상 주제를 중요하게 다루었다. 이로써 1959년판 문학사 서술이 마르크스 레닌주의 방법에 기초하여 카프 문학을 북한 문학 전통으로 세우는 데 기여하였다면, 1978년판 이후 문학사 서술은 주체 방법에 기초하여 항일혁명 문학을 북한 문학 전통으로 세우는 데 기여하였음을 확인하였다. It is well known that the literary history of North Korea was devised along with establishment of the North Korean regime. There has been narrative change in North Korean literary history throughout the land reform and the democratic revolution in 1946, establishment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in 1948, Korea-Soviet Union and internationalism friendship in 1949, the anti-sectarian struggle from 1953 to 1956, criticism against schematism in 1956, the completion of socialism reconstruction in 1958, the fight against remnants of bourgeois in 1959, and the anti-sectarian fight in 1967. The narrative change had been an indispensable one "in the process of framing narration of national liberation led by its leader, Kim, Il-Sung." This thesis is to review Woo-cheol Kim's poems in five kinds of North Korean Literary History published from 1950 to the 1990s to see the narrative change of North Korean literary history throughout regime change. Woo-cheol Kim's poems were classified into those only in the 1959 version, others from the 1978 version, and the others in all versions. As a result, the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change of North Korean literary history is as follows: First, the narrative change in the 1959 version highlighted the theme of Korea-Soviet Union and internationalism friendship, and literary works with criticism and satire were relatively freely evaluated as there was criticism against schematism tendency at that time.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narration appeared from the 1978 version was that the themes of praise of its leader and revolution against Japan were emphasized as the Juche literary theory was formulated. Third, the common narrative characteristics in all versions of North Korean literary history was that the implications of land reform and figuration of leader became important at a greater and lesser extent. As such, there were changes of highlights and evaluation of North Korean literary narration between 1959 and 1978 versions. If the 1959 version of literary history had contributed to establishment of KAPF literature as the tradition of North Korean literature based on Marxism-Leninism method, the literary history from the 1978 version was to make anti-Japan revolution literature the tradition based on the Juche method.

      • KCI등재

        논문 : 북한의 극문학사(劇文學史) 만들기 40년 ;『조선문학통사』(1959), 『조선문학사』(1981), 『조선문학개관』2(1986), 『조선문학사』7,9(2000, 1995)의 일제강점기 극문학 서술의 변화를 중심으로

        김정수 ( Jeong Soo Kim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2 민족문학사연구 Vol.49 No.-

        본 연구는 미시적 접근, 즉 북한의 개별 희곡 작품 분석을 통해 북한 극문학사 40년사의 변화를 밝혀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사항이 발견되었다. 북한 극문학사 서술에서 ``정치와 사상``은 변함없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1990년대에 들어 정치사상 강조는 약화되고 있지만, 상대적 약화이기에 ``정치와 사상``은 북한 문학사에서 작품을 평가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독보적인 기준점임에는 분명하다. 체제의 욕망을 따르고 직접 반영하기에 북한의 극문학사는 예측되듯이 극문학사 ``만들기``라는 특성을 갖는 것이다. 그러나 이 가운데에서 분명 미세한 변화에 주목해야 한다. 특히 이 변화는 1990년대 서술에서 포착된다. 먼저 해방직후부터 1990년까지 청산 대상이었던 신파극이 포함되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이 변화의 가장 주요 원인은 김정일의 『주체문학론』이다. 1992년 김정일은 『주체문학론』을 통해 ``그 이전 시기 선조들이 이룩한 고전문화유산``을 민족의 유산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지침을 내린바 있다. 김정일의 지시는 ``지시`` 이상일터, 이로 인해 기존에 청산대상 1순위였던 신파극이 문학사 서술에 포함된 것이다. 그 다음으로 주목할 것은 1990년대에 들어 표현이 연성화되고 정치사상 강조가 상대적으로 약화된 점이다. 이 역시 김정일의 『주체문학론』이 제1의 원인으로 작용했음은 쉽게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외에도 1990년 북한 사회의 개방 분위기 역시 중요한 요소로 작용했음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살펴보았듯이 정치적 상이성에서 비롯된 공격성은 경제적 실익 앞에서 소리를 낮추었고, 개방과 시장의 확대는 ``상류층/중류층/하류층``이라는 새로운 성분을 탄생시킨다. 이에 따라 ``자본가/노동자의 갈등``은 북한 내부의 ``돈 많은 자/가난한 자``의 갈등으로 전환되면서, 문학사 서술에서의 변화를 가져온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감정적 서술이 상대적으로 약화되었다는 점이다. 1990년대 중반 북한 사회는 위기를 극복해야 했고, 그 핵심코드는 ``웃음``이었다. 이전 문학사에서 등장인물의 슬픔/고통 등을 강조한 서술은 현실에서 대중들이 겪는 고통을 더욱 증가시키기에 자연 약화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서술은 미세하게 감정적 서술을 약화하고 사건전개에 초점을 맞추는 방식으로 수렴된 것이다. 이 같은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본류(本流)는 분명 정치문화와 문예정책이다. 그러나 경제문화 역시 무게 있는 지류(支流)로, 저자/대중의 욕망/무의식 역시 미세한 지류(支流)로 본류에 합류하고 있음을 기억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conduct a micro-approach analysis of North Korea`s drama works to define its 40 years of drama history with focus on difference and identification, as well as on phenomena and causes. In North Korea`s drama history description, politics and thoughts have remained an important part. In the 1990s, emphasis on political thoughts was weakening. However, politics and thoughts are the unique standard for the evaluation of North Korea`s literary works in its literary history. To cater to the desire of the regime, North Korea`s drama history, as forecast, is characterized by the creation of history of drama. Yet, it is noteworthy to see a subtle change in that trend. Notably, this change can be grasped in the descriptions made in the 1990s. First, such descriptions include melodramas which were the target of liquidation until 1990 following Korea`s liberation. In 1992, Kim Jong-il instructed a guideline for the self-identity literature theory to include our forefathers` classic cultural heritages in national heritages. Thus, diverse existing literary keynotes entered literary descriptions as keynotes. Second, in the 1990s, the expression of descriptions became flexible, and emphasis on political thoughts weakened. This also suggests that Kim Jong-il`s self-identity literary theory had the greatest effect.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North Korean society`s shift to an open mood in the 1990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ffecting such a change. Third, emotional descriptions weakened. In the mid-1990s, North Korean society had to overcome its crisis, and the prime means to that end was laughter. Previous emotional descriptions designed to elevate readers` emotions naturally weakened, and instead descriptions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events were prominently highlighted. Overall, it is North Korea`s political culture and arts policies that had the greatest effect on its 40 years of drama history. However, economic culture also became part of such influence as our viewpoints.

      • KCI등재

        북한문학사 서술의 특징과 변모 양상 — ‘평화적 민주건설시기’(1945.8-1950.6)를 중심으로

        이승윤 우리어문학회 2011 우리어문연구 Vol.40 No.-

        남북한 문학사는 서술주체나 방법 등에서 적지 않은 차이를 보여준다. 특히 해방 이후를 대상으로 한 문학사 서술은 언어만 같을 뿐 서로 다른 민족(혹은 국가)의 문학사 서술이라고 해도 무방할 만큼 공분모를 찾기 힘들다. 이 글은 해방이후 북한에서 출판된 여러 문학사에서 ‘평화적 민주건설시기’라고 명명한 1945년에서 한국전쟁까지의 시기를 어떻게 서술하고 있는지 살펴보도록 한다. ‘해방공간’, 혹은 ‘평화적민주건설시기’는 정치에 문학이 휩쓸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으며, 각각의 문학 단체는 정치현실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 그런 와중에도 좌익과 우익 모두 ‘민족문학건설’이란 거창한 슬로건을 내걸고 있었는데, 이때 ‘민족문학건설’이란 결국 새로운 국가 건설이라는 정치적인 과제에 직결된 것이 될 수밖에 없었다. 새로운 민족국가 건설을 위해 낡은 것들을 청산하고, 민중의 자기해방을 기도하며, 그것을 당대현실의 객관적 발전 과정의 추동력 위에서 형상화하는 것은 해방 후 남북한 문학 모두에게 공통의 과제였다. 구체적인 연구 대상은 해방 후 북한의 ‘사회과학원문학연구소’가 발간한 『조선문학통사-현대편』(1959), 『조선문학사 1945-1958』(1978), 『조선문학사』 10(1994) 등 세편의 문학사와 1986년 출판된 박종원·류만, 『조선문학개관』 2이다. 시기적으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출판된 각각의 문학사를 함께 검토해 봄으로써 시대 변화에 따라 서술태도나 대상작품의 선정과 평가 등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북한문학사에서 어떠한 작품들이 문학사에 등재되고 탈락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2000년 연변대학 출판부가 발행한 『조선-당대문학사』에 대해서도 검토해보았다. 이른바 제3국에서 출판된 한국문학사인 셈인데 남한과 북한의 자료를 동시에 활용하면서 남북한 문학모두를 대상으로 한 문학사란 점에서 주목되는 텍스트이다. 본 연구가 해방 직후 문학에 대한 북한문학사의 관점과 서술 태도에 주목한 것은 이 시기에 대한 검토가 북한 문학의 향후 전개과정을 살피는데 중요한 토대가 될 수 있으리란 판단에서였다. 실제로 이 시기에 생산된 문학작품들은 북한문학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수령형상의 창조, 미제국주의의 타도와 남조선 혁명, 노동계급의 찬양고취 등이 원형적으로 제시되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평화적민주건설시기’를 정리한 북한문학사는 모두 소설보다 시 장르에 보다 많은 분량을 할애하고 있다. 이 시기 시문학이 왕성하게 창작된 이유는 ‘해방’이라는 특수한 상황과 연결하여 설명할 수 있다. 무엇보다 시 장르는 해방의 감격과 민주개혁에 대한 희망과 결의를 표현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장르였으며, 효과적인 예술적 선전성을 획득하는데도 유용한 장르였다. 시가 비교적 문학적 소양이 부족한 사람도 쉽게 손댈 수 있는 양식이란 점도 많은 시인의 등장과 시편들의 생산을 가능하게 했다. 더하여 식민체제 아래에서는 볼 수 없었던 송가나 서정서사시, 서사시 등 새로운 양식들이 등장한 점도 이 시기의 주요한 특징 중 하나로 꼽을 수 있다. The history of North and South Korean Literature shows not inconsiderable difference in the subject of narrative, method, and etc. Especially, it is so difficult to find common aspects in narratives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after the liberation, though the language is simply the same, that it would be better to mention that the narratives have different ethnicity (or nationality). The paper will review how the period from 1945, which is called ‘the period of peaceful democracy construction’ in many publishings of literature history after the liberation, to the period of the Korean War is narrated. ‘The space of liberation’ or ‘the period of peaceful democracy construction’ was in a situation which literature could not help but become swept by politics, and each literature group was closely related to the political reality. Even among such period, the left and the right both showed a grandiose slogan of ‘the construction of ethnic literature’, and here, ‘the construction of ethnic literature’ could not help but eventually become directly related to the political task of constructing a new nation. For construction of a new ethnic nation, eliminating old things, praying for the people’s self liberation, and projecting such on the impetus of the objective development process in the reality at the time were the common task for both North and South Korean literatures after the liberation. The detailed subject for the study regards to three history of literature books, 『The Complete History of Joseon Literature – Modern Days』 (1959), 『The History of Joseon Literature 1945-1958』 (1978) 『The History of Joseon Literature』 10 (1994), and etc published by North Korea’s ‘Social Science Center for Literature’ after the liberation, and also, 『Overview of Joseon Literature』 2 by Park Jong Won and Ryu Man and published in 1986. By reviewing each history of literature published in certain periodical distance, it was reviewed how the attitude of the narrator or selection and evaluation of the subject work, and etc according the change of age has been transformed. Through such work, it could be known which works were registered and dropped out in the North Korean history of literature. Besides, 『Joseon – History of Literature』 at the time published by the Yunbyun University in 2000 was also reviewed. It would be the so-called Korean history of literature published in the 3rd world, and the test gains attention from the point that it contains history of both North and South Korea while utilizing both data of the North and the South. The reason for the study to draw attention to the viewpoint and narrative attitude of North Korean history of literature regarding literature right after the liberation is because of the judgment that reviewing the period would become an important basis for reviewing the future process of North Korean literature. Actually, it would not be wrong to say that literature works produced during this period suggest the original form of the core of North Korean literature such as the creation of the image of the leadership, the overthrow of US empiricism and the revolution of South Joseon, inspiration of glorification of the labor class, and etc. All North Korean history of literature which arranged ‘the period of peaceful democracy construction’ allocates more pages in the poetry genre than novel. The reason for poetry being prosperous is can be explained by linking it to the special situation called ‘liberation’. Above all, the poetry genre was the most effective genre for expressing hope and determination regarding the sweetness of liberation and democratic reformation, and also, it was a useful genre for obtaining effective artistic propagation. The point that poetry has a form which even people with comparatively insufficient knowledge in literature can easily contact also enabled emergence and production of many poets and poems. Furthermore, the point th...

      • KCI등재

        특집 논문 : 북한문학사 서술의 특징과 변모 양상 -"평화적 민주건설시기"(1945.8-1950.6)를 중심으로

        이승윤 ( Seung Yun Lee ) 우리어문학회 2011 우리어문연구 Vol.40 No.-

        남북한 문학사는 서술주체나 방법 등에서 적지 않은 차이를 보여준다. 특히 해방 이후를 대상으로 한 문학사 서술은 언어만 같을 뿐 서로 다른 민족(혹은 국가)의 문학사 서술이라고 해도 무방할 만큼 공분모를 찾기 힘들다. 이 글은 해방이후 북한에서 출판된 여러 문학사에서 ``평화적 민주건설시기``라고 명명한 1945년에서 한국전쟁까지의 시기를 어떻게 서술하고 있는지 살펴보도록 한다. ``해방공간``, 혹은 ``평화적민주건설시기``는 정치에 문학이 휩쓸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으며, 각각의 문학 단체는 정치현실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 그런와중에도 좌익과 우익 모두 ``민족문학건설``이란 거창한 슬로건을 내걸고 있었는데, 이때 ``민족문학건설``이란 결국 새로운 국가 건설이라는 정치적인 과제에 직결된 것이 될 수밖에 없었다. 새로운 민족국가 건설을 위해 낡은 것들을 청산하고, 민중의 자기해방을 기도하며, 그것을 당대현실의 객관적 발전 과정의 추동력 위에서 형상화하는 것은 해방 후 남북한 문학 모두에게 공통의 과제였다. 구체적인 연구 대상은 해방 후 북한의 ``사회과학원문학연구소``가 발간한 『조선문학통사-현대편』(1959), 『조선문학사 1945-1958』(1978), 『조선문학사』 10(1994) 등 세편의 문학사와 1986년 출판된 박종원·류만, 『조선문학개관』 2이다. 시기적으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출판된 각각의 문학사를 함께 검토해 봄으로써 시대 변화에 따라 서술태도나 대상작품의 선정과 평가 등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북한문학사에서 어떠한 작품들이 문학사에 등재되고 탈락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2000년 연변대학 출판부가 발행한 『조선-당대문학사」에 대해서도 검토해보았다. 이른바 제3국에서 출판된 한국문학사인 셈인데 남한과 북한의 자료를 동시에 활용하면서 남북한 문학모두를 대상으로 한 문학사란 점에서 주목되는 텍스트이다. 본 연구가 해방 직후 문학에 대한 북한문학사의 관점과 서술 태도에 주목한 것은 이 시기에 대한 검토가 북한 문학의 향후 전개과정을 살피는데 중요한 토대가 될 수 있으리란 판단에서였다. 실제로 이 시기에 생산된 문학작품들은 북한문학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수령형상의 창조, 미제국주의의 타도와 남조선 혁명, 노동계급의 찬양고취 등이 원형적으로 제시되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평화적민주건설시기``를 정리한 북한문학사는 모두 소설보다 시 장르에 보다 많은 분량을 할애하고 있다. 이 시기 시문학이 왕성하게 창작된 이유는 ``해방``이라는 특수한 상황과 연결하여 설명할 수 있다. 무엇보다 시 장르는 해방의 감격과 민주개혁에 대한 희망과 결의를 표현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장르였으며, 효과적인 예술적 선전성을 획득하는데도 유용한 장르였다. 시가 비교적 문학적 소양이 부족한 사람도 쉽게 손댈 수 있는 양식이란 점도 많은 시인의 등장과 시편들의 생산을 가능하게 했다. 더하여 식민체제 아래에서는 볼 수 없었던 송가나 서정서사시, 서사시 등 새로운 양식들이 등장한 점도 이 시기의 주요한 특징 중 하나로 꼽을 수 있다. The history of North and South Korean Literature shows not inconsiderable difference in the subject of narrative, method, and etc. Especially, it is so difficult to find common aspects in narratives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after the liberation, though the language is simply the same, that it would be better to mention that the narratives have different ethnicity (or nationality). The paper will review how the period from 1945, which is called ``the period of peaceful democracy construction`` in many publishings of literature history after the liberation, to the period of the Korean War is narrated. ``The space of liberation`` or ``the period of peaceful democracy construction`` was in a situation which literature could not help but become swept by politics, and each literature group was closely related to the political reality. Even among such period, the left and the right both showed a grandiose slogan of ``the construction of ethnic literature``, and here, ``the construction of ethnic literature`` could not help but eventually become directly related to the political task of constructing a new nation. For construction of a new ethnic nation, eliminating old things, praying for the people`s self liberation, and projecting such on the impetus of the objective development process in the reality at the time were the common task for both North and South Korean literatures after the liberation. The detailed subject for the study regards to three history of literature books, 『The Complete History of Joseon Literature - Modern Days (1959), 『The History of Joseon Literature 1945-1958 (1978) 『The History of Joseon Literature 10 (1994), and etc published by North Korea`s ``Social Science Center for Literature`` after the liberation, and also, 『Overview of Joseon Literature 2 by Park Jong Won and Ryu Man and published in 1986. By reviewing each history of literature published in certain periodical distance, it was reviewed how the attitude of the narrator or selection and evaluation of the subject work, and etc according the change of age has been transformed. Through such work, it could be known which works were registered and dropped out in the North Korean history of literature. Besides, 『Joseon - istory of Literature at the time published by the Yunbyun University in 2000 was also reviewed. It would be the so-called Korean history of literature published in the 3rd world, and the test gains attention from the point that it contains history of both North and South Korea while utilizing both data of the North and the South. The reason for the study to draw attention to the viewpoint and narrative attitude of North Korean history of literature regarding literature right after the liberation is because of the judgment that reviewing the period would become an important basis for reviewing the future process of North Korean literature. Actually, it would not be wrong to say that literature works produced during this period suggest the original form of the core of North Korean literature such as the creation of the image of the leadership, the overthrow of US empiricism and the revolution of South Joseon, inspiration of glorification of the labor class, and etc. All North Korean history of literature which arranged ``the period of peaceful democracy construction`` allocates more pages in the poetry genre than novel. The reason for poetry being prosperous is can be explained by linking it to the special situation called ``liberation``. Above all, the poetry genre was the most effective genre for expressing hope and determination regarding the sweetness of liberation and democratic reformation, and also, it was a useful genre for obtaining effective artistic propagation. The point that poetry has a form which even people with comparatively insufficient knowledge in literature can easily contact also enabled emergence and production of many poets and poems. Furthermore, the point that new styles such as hymn, lyrical epic poetry, epic poetry, and etc emerged can be one of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is period.

      • KCI등재

        북한문학사의 변화와 1920년대 詩史

        송명진(MyungJin So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2

        본 연구는 1920년대 詩史에 대한 북한문학사의 변화된 인식을 고찰했다. 북한문학사는 1967년을 기점으로 기술 양상이 변화했다. 1967년 이전에는 마르크스-레닌주의에 기초해서 서술되었으며, 1967년 이후에는 김일성 주체사상에 의해서 기술되었다. “조선문학통사”(1959)는 1920년대 詩史를 프롤레타리아와 진보적 문학으로 구분한 반면, “조선문학개관”(1986)은 반일애국문학, 비판적 사실주의, 프롤레타리아 문학, 항일혁명문학이 공존한 시기로 서술했다. 북한문학사의 통시적 변화의 특징은 문학사의 시대구분,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에 대한 인식, 김일성의 어록 등을 통해 구체적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북한문학사의 이러한 특징은 한계를 갖고 있었다. 첫째, 북한문학사가 정치적 이념에 의해서 기술된다는 측면이었다. 둘째, 특정한 이념에 부합하는 진실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문학적 사실을 왜곡하기도 하였다. 셋째, 김일성 주체사상에 기초한 문학적 평가만을 허용한다는 점에서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을 부정했다. 북한문학사는 특정한 이념에 기초하여 서술되었다는 한계를 지니지만 한국의 관점에서는 이러한 시선 또한 문학의 과거와 소통하는 다양한 방법 가운데 하나라는 측면에서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ing perception of North Korean literary history regarding the history of poetry in the 1920s. The descriptive aspect of North Korean literary history has changed since 1967. Before 1967, it was written based on Marxism. After 1967, it was described by Kim Il-sung's ideology. Joseonmunhagtongsa(1959) divided the poetry in the 1920s into proletarian and progressive literature. However, Joseonmunhaggaegwan(1986) described it as a period in which anti-Japanese patriotic literature, critical realism, proletarian literature, and anti-Japanese revolutionary literature coexisted.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 in North Korean literary history were revealed through period division, awareness of socialist realism, and Kim Il-sung's words. However, thes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literary history had limitations. First, it was described by political ideology. Second, literary facts were also distorted. Third, only literary evaluation based on Kim Il-sung's ideology was allowed. North Korean literary history is closer to political history than literary history.

      • KCI등재

        논문 : 북한 문학사의 조선 후기 서술 향방과 변화

        김형태 ( Hyung Tae Kim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2 민족문학사연구 Vol.49 No.-

        본 논문은 북한 사회과학원 주체문학연구소에서 출간된 『조선문학사』 15권 중 조선 후기에 해당하는 4·5·6권을 대상으로 최근 북한문학사의 변화를 조망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그 구체적 시기는 17세기부터 19세기까지이다. 『조선문학사』는 우선 17·18·19세기에 해당하는 각 시기별로 책의 권수를 달리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특히 17세기 문학을 별도의 텍스트로 설정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그 근거는 임진왜란(1592~1598)과 병자호란(1627·1636~1637)을 17세기 문학사의 분수령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각 권별로 서두에서는 공통적으로 그 시기의 사회문화적 배경과 문학을 개관하고 있으며, 서술체계는 각 시기별로 상이하다. 즉, 17세기의 경우에는 크게 시문학(한시 포함)과 소설문학으로 양분하였고, 18세기는 평민 국문시가와 한자시문학, 소설과 국문소설, 실학파문학으로 나누어 서술하였으며, 19세기는 국문시가, 소설문학, 한자시문학, 김려·정약용·조수삼·김삿갓의 문학창작, 극문학 등으로 나누어 서술하고 있다. 『조선문학사』는 분량이 방대한 만큼 내용 중에는 각 시기를 대표하는 작가와 작품에 대한 설명이 기존 북한문학사보다 자세한 편이다. 기존 북한문학사와 비교할 때, 『조선문학사』의 특징적 면모는 사실주의 미학원리에 입각한 문학사 기술의 강화라는 점이다. 『조선문학사』는 17세기를 진보적 문학 시대로 규정하면서 그 특징으로 양란을 반영한 애국적 주제의 작품들이 많이 창작되었다는 점을 제시하고 있다. 18세기는 ``근대문학의 여명기``로 규정하고, 박지원 등 실학파 작가들과 평민출신 작가들에 의해 전대에서 비롯된 사실주의가 더욱 발전하였다고 보고 있다. 『조선문학사』의 19세기 문학사에 대한 기본 시각은 봉건사회가 전면적 위기에 직면한 것으로 파악한다는 점이다. 『조선문학사』의 한계로 우선 지적할만한 문제는 시대 구분의 준거가 명확하지 못하다는 점이다. 조선 후기를 세기별로 구분한 시도는 참신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19세기 문학이 양적으로 18세기보다 우세할지는 모르겠지만, 작가나 작품의 대표성이라는 측면에서는 18세기에 비할 바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명확한 근거 없이 18세기와 19세기를 구분한 점은 고려해볼 문제이다. 둘째, 근대와 관련된 내재적 발전론의 당위성 문제이다. 물론 근대와 관련된 자생적 요소를 찾는 일은 우리 문학사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그러나 북한 문학사에서 이를 뒷받침하는 근거로 제시하는 것은 조선후기 평민의식의 각성과 사실주의 전통의 확립 정도이다. 이들이 어떤 구체적 경로를 통해 동인으로 작용했는가에 대한 설명이 매우 소략하다는 점은 앞으로 심화된 논의가 필요하다. In this paper, the subject of Social Sciences Literature Institute in North Korea published 『Literary History of Chosun(조선문학사)』(4·5·6), the corresponding volumes of literature to target North Korea aims to change that view. Specifically, the late chosun period that corresponding to the 17th century until the 19th century. 『Literary History of Chosun(조선문학사)』 described the 17·18·19th centuries corresponding to the intensity at each time point that is characterized by varying the number of books. Literature, especially 17th century was that a separate set of the text are characteristic. Evidence that Imjin-waeran(임진왜란, 1592-1598) and Byeongja-horan(병자호란, 1627.1636~1637) and reported as a watershed in 17th-century literature since. In the beginning, each specific to the common literature of that period, and an overview of th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and describe the system at each time is different. The 17th century, largely poetry (included in hansi(한시)) and were divided in fiction. 18th century poetry and the commoners gukmun-siga(국문시가), hansi(한시), fiction novels and gukmun(국문) novels, silhakpa(실학파) literature was divided into narrative. The 19th century, in gukmun-siga, fiction, hansi, Kim, Ryeo(김려) · Jeong, Yak-Yong(정약용) · Jo, Su-Sam(조수삼) · Kim, Sat-Gat(김삿갓) literary creation, drama, etc. 『Literary History of Chosun(조선문학사)』 is among this vast amount of information as representative writers and works of each period described in the literature for more traditional North side. When compared with the existing literary history of North Korea, 『Literary History of Chosun(조선문학사)』 characteristic aspects of the aesthetic principles of realism, based on the literature is that the strengthening of skills. The 17th century of 『Literary History of Chosun(조선문학사)』 defined as the progressive era literary and patriotic themes reflecting the orchids are characterized by a lot of creative work that has been proposed that. 18th century ``the dawn of modern literature`` as regulations, and such silhakpa(실학파) Park, Ji-Won(박지원) by writers and artists from commoners came from former reported that realism is further developed. The default time for the 19th century literature on the verge of a feudal society to fully grasp is that. 『Literary History of Chosun(조선문학사)』 first pointed out the limitations of the problem worth criterion of periodization is that there are less than clear. Attempts separated by a century Chosun Dynasty can be assessed as a novelty. But the 19th century literature in terms of quantity, but do not know how to prevail over the 18th century, writers and representatives of the work in terms of pale in comparison to the 18th century. Nevertheless, without a clear rationale for the 18th and 19th centuries separated the problem thing is to consider. Second, the necessity of modern development theory associated with the inherent problem. Associated with the spontaneous course of modern literature, we find an element in what is a very important issue. However, North Korea presented as evidence to support this in the literature that the late Chosun commoners and the awakening of consciousness is about the establishment of traditional realism. Specifically, the path through which they act as drivers for the description of frontiers is very less thing one needs to discuss the future intensified.

      • KCI등재

        특집 : 통일 담론과 남북한 문학사 소통방안

        김성수 ( Seong Su Kim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4 민족문학사연구 Vol.56 No.-

        이 글은 ‘우리’ 한국문학(사)의 타자이자 소수자라 할 북한문학(사)을 어떻게 볼것인가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북한문학은 언젠가는 재통합될 한반도 이북의 우리 민족의 문학이니 이념 차이 때문에 무조건 배제할 수는 없다. 북한문학도 문학이며 ‘우리문학’이기에, 궁극적인 통합을 위해서 원래 하나였던 것이 해방 직후 분단된 과정을 천착할 필요가 있다. 이에 백철의 『조선신문학사조사』, 조연현의 『한국 현대문학사』, 한효의 「현대조선문학사조」, 안함광의 『조선문학사 1900~』, 과학원 문학연구실의 『조선문학통사』 (하) 등을비교하였다. 그 결과 남북 학자들이 자기중심으로 현대문학사를 전유하고 상대를 배제하는‘뺄셈의 서술’을 통해, 자기 체제의 역사적 정통성을 확보하려 했음을 알았다. 나중에 승리한자가 이미 존재했던 역사적 실상을 왜곡, 재편하는 것이 공식 역사 기술의 당연지사겠지만,공식화와 정전화를 공고히 할수록 원래 하나였던 우리문학사, 민족문학을 결과적으로 영구분열시킬 수밖에 없었다. 즉, 자기중심적 정통성 담론은 기실 모국어의 분단을 공고화하는분단문학사의 출발일 뿐이다. 1950년대 이후 최근까지 남북한의 문학사를 통합 서술한 실질적인 성과는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 결과 최근 남북한의 현대문학사 서술은 완전히 다른 나라 것처럼 되었다. 가령 북한의 『조선문학사』 16(2012)는 ‘조선민족제일주의’와 ‘수령론’으로 점철된 ‘선군(先軍) 문학사’를 정초하고, 남한은 문학사 자체를 공식화하지 않거나 아예 해체하는 분위기이다. 그나마 민족문학사연구소의 『새민족문학사강좌』(2009)가남북문학(사)의 공존을 소수자담론으로나마 서술한 수준이다. 문학사적 분단의 재검토를통해 적대적이거나 무관심해진 북한문학과의 상호 이해와 교류, 통합방안을 다시 고민할 때이다. 북한문학의 실체를 인정하고 부단히 소통하며 남북 문학의 공존을 서술해야 우리 민족문학사의 재통합이 가능할 것이다. This study begins with the question of what perspective we should take towards the North Korean literature which has been regarded as the other party of Korean literature. The North Korean literature is the literature of the Korean race in the nor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of the reunified Korea and therefore cannot be blindly rejected due to the difference of ideology. The North Korean literature is also a literature and the literature of Korean race. Thus,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examine the period right after the nation’s liberalization from Japanese forced occupation, the starting period of the nation’s division. In relation to that, this study compared the Joseon New Literature History Survey by Baek Cheol, Korean Modern Literature History by Jeo Yeon-hyeon, Modern Joseon Literature History by Han Hyo, Joseon Literature History After 1900s by Ahn Ham-gwang, Comprehensive History of Joseon Literature by the Literature Lab of the Institute of Science, etc.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cholars in the South Korea and the North Korea attempted to secure historic legitimacy of their regimes through the description of ‘subtraction’ aiming to appropriate the modern literature history in a self-oriented manner and exclude the counterparty. The self-oriented legitimacy discourse is merely the starting point of the literature history of the divided nation which signified the division of mother tongue as afact. There has been little outcome providing insight into the literature history of the South Korea and the North Korea through integrated approach until recently after 1950s. As a result, the modern literature history of the South Korea and the North Korea has been described as completely different history. For example, the no. 16 volume of Josen Literature History of the North Korea was based on the literature history rooted in the military-first principle oriented toward Joseon Race First Policy and Theory of Great Leader, while the South Korea dismantles the literature history itself. Fortunately, the New Race Literature History Lecture by Race Literature History Lab at least describes the coexistence of literature of the South Korea and the North Korea as minority discourse. The reintegration of literature history would be achieved only when the existence of North Korean literatureis recongized and the coexistence is promoted with communication.

      • KCI등재

        북한의 ‘수이전체 산문’의 연구 동향과 남북의 소통지점

        김종군(Kim, Jong Kun)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통일인문학 Vol.84 No.-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재 그 전모가 전하지 않는 『신라수이전』과 고려의 『수이전』에 대한 북한의 연구 동향을 살피고, 남북의 소통지점을 찾는 데 있다. 북한문학사에서 그 발생과 양식적 특성, 작가에 대해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지 시대별로 고찰하고, 남한의 연구 성과와 비교하여 남북의 서사문학사 서술 시각을 대비해 보고, 통일시대를 대비한 문학 교재로서 통일문학사 서술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먼저 북한의 고전문학 연구 기반과 『조선문학사』 편찬 현황을 고찰하고, 1950년대부터 2012년까지 출판된 북한 문학사에서 ‘수이전체 산문’의 개념과 발생, 양식적 특성, 작가 논의 등을 역사적으로 고찰하였다. 북한에서는 1977년에 출판된 『조선문학사』 고대·중세편에서 『수이전』에 대한 시각을 다음과 같이 확정한 후 큰 변화 없이 지속하고 있다. ① 7~9세기 사이에 특색 있는 산문 형식으로 출현했다. ② 작품들은 구전설화적 요소를 가지면서도 개별 작가들의 예술적 창작이다. ③ 작품의 주인공 설정은 살아있는 사람과 죽은 사람을 등장시켜서 이야기를 전개하는 환상적 수법을 사용하므로 ‘수이전체’라는 명칭이 연유했다. ④ 작품의 분위기가 낭만적 색채를 가지는데, 당대 사회현실의 문제를 해결할 방도를 찾을 수 없는 한계와 당대의 현실을 비판적으로 대하는 작가의 사상미학적 이상에서 기인한다. ⑤ 작가는 신라 말의 최치원과 고려 전기의 박인량이며, 대표 작품은 <쌍녀분>과 <수삽석남>이다. 북한의 이러한 연구 동향을 남한의 논쟁들과 비교하여 그 소통지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① 서사 양식의 명칭에서 남한 학계에서 합의를 이룬 ‘전기(傳奇)’보다는 북한에서 확정한 ‘수이전(殊異傳)’으로 나아가는 방향이 우리 문학사의 독자성을 정립하는 데 유효할 듯하다. ② 그 발생과 계통에 대해서도 중국 문학의 일방적 수용이라는 시각보다는 구전설화의 소재를 원용하여 개인 창작자의 창작 역량이 발휘된 작품이 발생한 것으로 보고, 고소설의 전 단계나 본격적 고소설 작품으로서 위상을 갖는다고 진단하는 것이 지금까지의 남북문학사의 성과를 포섭하는 견해가 될 것이다. ③ 작가나 편저자에 대한 시각 역시 서사 양식의 발생과 연동하여 최치원, 박인량, 김척명에 국한할 것이 아니라 현재 발굴되지 않은 다수의 작가가 존재할 수 있다는 열린 시각이 남북 학계의 공통된 지지를 받을 가능성이 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North Korea on the Silla Suijeon and Goryeo’s Suijeon and to find a point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Koreas. We consider the origin, stylistic characteristics, and definition of writers in the history of North Korean literature by period. In a comparison with South Korea"s research results, we contrast the narrative perspectives on the narrative literature history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further, with an eye to the era of unification, we prepare the basis for a narrative of integrated Korean literature history in textbooks. First, we examined the foundation of research on classical literature in North Korea and the current state of compilation of Korean literature history. We also examine the concept and occurrence, stylistic characteristics, and discussions about writers of “Suijeon-form Prose” in the history of North Korean literature published from the 1950s to 2012. North Korea has confirmed its perspective on Suijeon in the ancient and medieval editions of the Joseon literature history published in 1977 as follows. And keep it going without much change. ① It appeared as a distinctive prose form between the seventh and ninth centuries. ② The works have oral mythological elements, but they are artistic creations of individual artists. ③ Because it uses the fantastic technique of developing stories by setting up a living person and a dead person as the main character of the work, it was named “Suijeon form.” ④ The atmosphere of the work has a romantic color, which that originates from the limitation of not being able to find a way to solve the problems of social reality of the time and from the writer"s ideological and aesthetic ideal of dealing critically with the reality of the time. ⑤ The authors are Choi Chi-won(최치원) of the late Silla Period and Park In-ryang(박인량) of the early Goryeo Period, and their representative works are “The tomb of two women(<쌍녀분>)” and “The plum blossom tree branch on the head(<수삽석남>).” Comparing the North"s research trends with the South"s disputes, the point of communication is as follows. ① When naming the narrative form, to decide “Suijeon”(수이전殊異傳) which is confirmed in North Korea rather than “Jeongi”(전기傳奇), was agreed upon by the South Korean academic community as it is likely to be effective in establishing the independence of Korean literary history. ② It would be right to regard the “occurrence” and “lineage” as producing a work that shows the creative ability of individual creators by using the material of oral legend rather than the view that Chinese literature was unilaterally accepted. and to diagnose as having the status as the previous stage of a classic novel or as the work of a full-fledged classic novel will be a view that embraces the achievements of South and North Korean literature history so far. ③ In connection with the occurrence of narrative form, rather than to restrict your views on writers and editors to Choi Chi-won, Park In-ryang and Kim Chok-myung, to have the open view that there may be a number of writers who have not been discovered at present will receive common support from South and North Korean academic circles.

      • KCI등재

        북한 문학사의 시각과 이광수 연구사 - 『조선문학개관』 이후의 인식 변화를 중심으로 -

        황정현 ( Hwang Jung Hyun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6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66

        이 논문은 북한 문학사의 이광수 인식과 서술이 1986년의 저작을 기점으로 변모하는 양상을 통시적으로 고찰하고 그 의미를 밝히려는 목적을 가진다. 북한 문학사는 남한의 경우와 달리 이광수와 그의 문학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취한다고 알려져 있는 편이다. 그러나 구체적인 면모를 살펴보면 배제와 부정에서 제한적 인정으로 인식이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북한 문학사는 분단 이후 1960년대까지 이광수와 그의 문학을 철저하게 배제하는 태도를 보인다. 이후 1980년경까지의 문학사에서는 이광수를 언급하기는 하나 ‘부르주아 반동문학’이라는 비판으로 일관하고 있다. 그러나 1986년에 이르면, 북한 문학사는 이광수의 1910년대 소설에 한해 ‘부르주아계몽문학’으로서 가치를 인정하는 태도 변화를 보인다. 이 해에 출간된 은종섭의 소설사와 『조선문학개관』은 이광수 관련 서술에 있어 기존의 문학사와 차별화된다. 그 배경에는 정치적 목적을 지닌 문예정책 변화 및 문학사적 인식의 유연화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문학 외적인 맥락에서, 문화적 전통의 우수성을 강조하고 자긍심을 고취함으로써 체제 유지의 사상적 기반을 강화하고자 하는 의도가 개입된 것이다. 그 결과 이광수에 대한 문학사적 인식이 배제와 비판 일변도에서 일정 부분 가치를 인정하는 쪽으로 변화했다고 보인다. 이러한 흐름은 이후에도 이어져, 2000년에 발간된 문학사에서는 이광수의 1910년대 소설이 당대의 문제를 반영하고 인물의 성격 형상화 및 언문일치 등에서 소설 발전에 기여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특히 『개척자』는 이광수의 가장 뛰어난 소설로 평가된다. 북한 문학사의 인식은 시간이 흐를수록 이광수와 그의 문학에 대한 왜곡이나 비판일변도에서 벗어나 작품 자체를 분석하고 그와 관련된 맥락을 보다 더 객관적으로 파악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로써 남한의 이광수 연구와 상통하는 지점이 생성되고 있다. 북한 문학사의 이광수 인식 변화는 남·북한 문학사의 상호소통 가능성을 보여주는 구체적인 사례라 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consider the wide range of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history of North Korean literature’s stance on Yi Gwang-soo and his literature. It is widely known that the history of North Korean literature intentionally ignores Yi Gwang-soo and his literature, but looking at the specific figure, it is found that the stance has been changed. The history of North Korean literature since the Korean War armistice, until the 1960s ignores and eliminates Yi Gwang-soo and his works. Since then, until around 1980 as a "bourgeois reactionary literature", Yi Gwang-soo and his literature became the target of criticism, in the context emphasizing the achievements of proletarian literature. Criticism of Yi Gwang-soo literature is consistently displayed on the North Korean literary history in general. However, in 1986, it shows a change in attitude to recognize the value of a "bourgeois enlightenment literature" only in the 1910s novels of Yi Gwang-soo. This stance change is due to political reasons to keep the system. Thereafter, in the literary history of 2000, the 1910s novels of Yi Gwang-soo have been evaluated positively getting credit for reflecting the contemporary social problems and the development of the novels. Especially Pioneer is evaluated as the best novel of Yi Gwang-soo. The perspectives in the history of North Korean literature have changed the attitude to Yi Gwang-soo and his literature, analyzing the works itself, mov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o understand the context associated with the novels more objectively. This is a concrete example that shows the potential possibility of the mutual communication for the North-South literary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