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체연구에 나타난 본질

        권혁성(Kwon, Hyeock-Seong) 한국서양고전학회 2010 西洋古典學硏究 Vol.41 No.-

        본고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체론에서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본질에 대한 그의 생각을 이에 대한 하나의 오랜 전통적 해석으로서 “보편주의”라고 불릴 수 있는 입장에 대항하여 재조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이 해석적 입장은 아리스토텔레스에게서 “어떤 이것”이라고 불리며 실체로 간주되는 대표적인 사물인 개별자에 있어서의 본질을 같은 종에 속하는 다른 모든 개별자들에도 공통적인 종적 보편자라고 설명하는데, 본고가 보기에 이 입장은 지지되기 어려우며, 오히려 하나의 주어진 개별자의 본질을 그것에 고유하게 귀속되는 개별자라고 설명하는 이른바 “개별주의적” 본질 해석이 그의 생각을 온당하게 대변한다. 이러한 본고의 견해는 그의 『형이상학』 중 실체연구에 본격적으로 바쳐지는 Z의 논의 가운데 본질을 다루는 중심 텍스트들에 대한 고찰 속에서 다음과 같은방식으로 구체적인 논거를 얻을 수 있다: 이 텍스트들 속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범주론에서의 자신의 실체이해와 연속적으로 실체를 ‘어떤 이것’으로서의 개별자와 ‘무엇임’으로서의 종류의 보편자로 구별하는 ‘이중적’ 실체이해를 논의기반으로 전제하면서, 양자 모두의 경우 본질을 주어진 실체에 대한 ‘정의’에 있어서의 본래적인 대상이자 그것에 분리 불가능하게 ‘내재하는’ 어떤 것으로 파악한다. 그에게서 이렇게 파악되는 본질은 구체적으로 말해 주어진 실체의 형상인데, 이것은 특히 생물의 영혼이라는 사례에 따라 이해된다. 이러한 본질 이해에 전제되는 범주론적인 이중적 실체이해 속에서 그는 특히 어떤 이것’으로서의 개별자를 단적으로 근본적인 실재로 간주하면서 자신의 본질 논의의 궁극적인 기초에 두고 있는데, 방금 언급된 그의 본질 이해는 이러한 개별자의 본질에 대해 다음과 같은 주목할 만한 논점을 포함한다: 하나의 주어진 개별자의 본질은 예컨대소크라테스의 영혼으로 예시될 수 있는 주어진 개별자의 형상인데, 그것은 주어진 개별자에 대한 정의에 있어서의 본래적 대상으로서 ‘정의 가능한 보편적 내용’을 갖는 동시에 주어진 개별자에 분리 불가능하게 내재하는 어떤 것으로서, 그 어떤 종적 보편자가 아니라, 주어진 개별자에 고유하게 귀속되는 ‘개별적 형상’이다.

      • KCI등재

        본질적 속성과 본질 : 플란팅가 본질주의 비판과 형이상학적 필연성

        박찬수(Chansoo Park) 한국분석철학회 2010 철학적 분석 Vol.0 No.22

        본질적 속성과 본질의 구분은, 어떤 세계에서 존재한다면, 그 사물만이 소유한다고 할 수 있는 것을 본질, 즉 개체적 본질이라 하고, 그가 존재하는 세계에서 다른 사물괴도 공유할 수 있는 속성을 본질적 속성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본질주의는 개체적 실체의 속성들 중에서 몇몇은 본질적 속성 또는 본질로, 몇몇은 우연적 속심으로 구분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현대 본질주의 논의가 일상적 속성 차원의 본질주의로만 본다면, 개체적 본질과 관련해서는 사소한 본질주의인 바로-이-개체임이란 본질을 제시한 것에 불과하며, 또한 과거 전통철학에서 논의한 정의적 본질주의, 즉 최근류와 종차로 구성되는 본질적 속성을 제시한 것이 아닐까 한다. 현대 주류적 본질주의 이론은 아니지만, 전통적 본질주의 이론이라고 할 수 있는 플린팅가의 본질주의 이론은 본질적 속성과 본질로 세계색인적 속성을 예시하면서 사소한 본질주의를 넘어서고자 했지만, 그의 이론은 많은 비판에 직면해 있다. 본 논문은 일상적인 속성만을 볼 때 전통주의적 선상에 있는 플란팅가의 것이나 크립키 등 주류적 본질주의가 사소한 본질주의를 넘어서지 못했다는 점에 촛점을 맞출 것이고, 과거 아리스토텔레스 본질주의로부터 대물적 양상 개념의 구분의 정당성이 있음을 보일 것이다. 파인의 대물적 양상에 대한 분석으로부터 그의 정의적 본질주의에 대한 제안을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과거의 존재론이 함축된 가능세계론에 대한 필자의 생각을 제인해보겠다. Once we classified essential properties and essences of individual substances, essences are regarded as properties which this individual only has in possible worlds where he exists, and essential properties as properties with which other things share. Essentialism has the claims that some properties are essential properties and essences, the others are contingent properties. Current discussions have a tendency that essences are thought of being this very individual, or being Socrates, of Socrates. And this view is trivial essentialism, and only a traditional definitional essentialism, in which things are defined as upper genus and specific differences. Plantinga's essentialism developed these trivialities, suggesting the world indexed properties as essences, but is faced with many opposites. I argue that Plantinga's essentialism in traditional line and Kripke's in main trend are one of trivial essentialisms on ordinary properties, and Aristotelian essentialism has a justification of the distinction between essential and contingent properties. And I discuss Kit Fine's new passed ideas on definitional model of de re modality, and suggest my views of possible worlds stipulations implemented by traditional ontology, and of meta-physical modality.

      • KCI등재

        본질적 속성과 개체적 본질

        이혜은 한국동서철학회 2020 동서철학연구 Vol.0 No.97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notion of essence. In the analytic tradition essence can be understood in modal terms. Kit Fine argues against the modal conception: necessary properties are equivalent to essential properties. Alvin Plantinga suggests the distinction between essential properties and individual essences. I argue that Plantinga’s essentialism is better than Fine’s definitional account, and that individual essences as well as essential properties(origins and natural kinds) are needed to individuate an object. 이 논문은 대상의 본질 개념에 관한 것이다. 분석적 형이상학에서 본질은 양상적 표현으로 이해된다. 파인(Kit Fine)은 본질 개념을 이해하는데 양상적 방법보다는 정의적 방법이 더 적절하다고 주장한다. 이와 다르게 플란팅가(Alvin Plantinga)는 본질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필연, 가능과 같은 양상적 표현이 필요하며, 특히 대상의 본질을 파악하기 위해 ‘개체적 본질’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그에 따르면 대상의 본질적 속성과 개체적 본질은 구분되는 것이다. 필자는 파인이 주장하는 정의적 방법이 양상적 표현을 배제하면서 이루어질 수 없음을 지적하고, 나아가 일반적으로 본질적 속성이라고 할 수 있는 기원과 자연종만으로는 대상을 개별화하기에 부족하기 때문에 플란팅가의 개체적 본질 개념을 옹호할 필요가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 KCI등재

        노장(老莊)에게서 인간은 어떠한 존재인가? : 공맹(孔孟)과의 비교를 통하여 Comparison with Kong-Meng

        최진석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2004 인간연구 Vol.- No.6

        공맹(孔孟)에게서 인간은 "도덕적 가능성" 및 "도덕적 정서"로 이해되는 "도덕력"이라는 본질을 근거로 존재한다. 이런 본질주의적 인간관을 가지게 되면 인간은 필연적으로 그 본질을 발전시켜야 한다. 그렇게 되면 본질이 확장되는 최고 지점이 정해지게 되고, 그 최고 지점은 그런 본질적 인간관을 받아들이는 문화 체계 내에서 누구나 도달해야 하는 이상적단계로 설정된다. 그렇기 때문에 공맹(孔孟)에게서는 "도덕력"이라는 본질을 토대로 항상 위를 향하여 발전해 나가야 하는 상승형의 인간이 요청된다. 하지만 노장(老莊)은 모두 유가가 도덕적 본성을 근거로 인간을 파악한 후, 그 도덕적 본성을 확장하는 목적하에 형성된 문화 체계에로 모든 인간을 집중 통일시키려는 기획 자체를 부정한다. 그것은 그들이 파악한 세계 자체가 본질주의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관계와 변화 속에서 해체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특정한 내용을 담고 있는 특정한 문화 체계자체가 받아들여질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런 해체적 세계관 속에 있는 노장의 인간은 자신의 존재 근거 즉 본질을 근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존재자들과 마찬가지로 비본질적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이 비본질성이 노자(老子)에게서는 대립면의 상호 의존이라는 점에서 드러나고, 장자(莊子)에게서는 기의 이합집산(離合集散)이라는 점으로 나타난다. 노자(老子)는 본질이라는 토대를 근거로 형성된 문화력은 인간을 억압하고 상호 배제시켜서 극심한 갈등 속으로 내몰 수 있기 때문에 인위적인 문화력에 의존하지 말고 자연의 순수한 존재 형식에 의존하자고 말한다. 자연의 순수한 존재 형식은 어떠한 본질적 토대도 설정함이 없이 모든 것이 관계와 변화 속에 있음을 받아들이고, 자신 또한 인위적 체계를 근거로 세계와 관계하지 않는다. 이런 의미로 노자(老子)에게서는 상승형의 인간이 아니라, 바로 지금 여기에 있는 구체성에 바탕을 둔 인간형이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진다. 장자도 인간을 비본질적 존재로 이해한다는 점에서는 노자와 일치하지만, 장자는 노자와 달리 개체적 자아가 상대적 제한성을 극복하고 순수한자연성을 유지하면서 전체 자연과 일체를 이루는 자유의 경지를 도모한다. 이런 자유형의 인간은 우선 띠 죽이기'를 통해서 자신의 비본질성을 회복하여 모든 상대성을 극복하고 원래 자연의 상태를 유지하며 전체와 일체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비록 문화력이 지배하는 상대적 세계 속에서도 그런 인위적 문화력과 충돌을 빚지 않고 심적인 갈등이 없이 자유를 구가한다. For Kong-Meng, human beings exist as the foundation of the essence of moral power understood as moral possibility and moral emotion. If we have this essentialism-based view on human beings, we must develop such essence. Thus, the loftiest point that can be achieved by the essence is determined, and such point is established as an ideal phase that everybody must reach within the cultural system accepting such essentialism-based view on human beings. Therefore, for Kong-Meng, climbing-type human beings are required to aim for higher goals based on the essence of moral power. On the other hand, Lao-Zhuang rejects the very scheme of concentrating all human beings towards the formed cultural system that aims to expand the moral essence given Confucianists' acquired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based on moral essence. This is because the world itself as understood by Confucianists does not exist essentially; rather, it is dissected in relations and changes, thereby not accepting a certain specific cultural system that contains specific contents. Lao-Zhuang possessed such dissected view of the world, maintaining that human beings do not exist on the basis of their existential foundation, i.e., their essence; rather, they are non-essential like other beings. Such non-essentiality appears in conflicting mutual dependence in the case of Lozi. In the case of Zuangzi, however, it appears in the dispersion and integration of qi(氣). Lozi noted that we must depend on nature's pure existential format rather than on artificial cultural power, since the cultural power that is formed based on the foundation of essence may suppress human beings, pit them against one another, and drive them to extreme conflict. Nature's pure existential format does not establish any essential foundation; instead, it accepts that all things exist in relationships and changes. It also does not concern itself with the world based on the artificial system. In this sense, Laozi accepted that a positive human being is not a climbing-type of human being; rather, he is based on the specificity of the here and now. Zuangzi concurs with Laozi, understanding human beings as non-essential existence. Unlike Laozi, however, Zuangzi sought to explore the realm of freedom wherein the self overcomes his limits and maintains pure naturalness and unity with the entire nature. Since this type of free human being recovers his non-essentiality by killing himself, overcomes all relativism, maintains the original natural state, and fosters unity with the whole, he does not come in conflict with such artificial cultural power despite living in a relative world where cultural power reigns supreme; instead, he seeks freedom without psychological conflict.

      • KCI등재후보

        확정과 불확정의 이중구조로 본 아동본질에 대한 탐구

        서명석(Seo, Myoung Seok)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7 敎育思想硏究 Vol.21 No.3

        아동의 본질은 무엇인가? 이것을 논구하는 것이 이 글이 가려는 최종 목적지이다. 그러기 위해서 본질을 논의하는 마당에 진입하기 전에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하는 유사개념들을 자연, 실재, 실체, 정수라는 것들로 묶어둔다. 이것들 모두는 본질을 축으로 하여 돌아가는 개념망의 유기적 소통 안에 어떤 자리-잡음이다. 그런 다음 본질의 성립조건을 보편자와 특수자의 상호 대비를 통하여 검토해 놓고 그 결과 보편 안에서 본질이 성립하는 가능근거를 되밝혀 놓는다. 이를 토대로 하여 아동본질을 새롭게 축성하는 인식틀을 부채와 부챗살의 비유로 상정한 후, 이것으로 아동본질의 근원적 존재방식임을 논리적으로 해명하는 길을 열어둔다. 이 도정에서 스피노자와 라이프니츠의 사유방식에 도움을 청하고, 이들이 보여주는 사유방식을 가지고 아동본질을 읽어내는 결정적 문제틀로 삼는다. 그것은 이런 것이다. 즉, 아동본질이란 본질이라는 실체로 보면 하나인데 실체가 드러내주는 양상으로 보면 다수라는 입장이다. 이것을 여기에다는 아동본질을 둘러싼 확정적 본질관과 불확정적 본질관의 공시적 존재가능성의 차원으로 승격시킨다. 이런 본질관은 아동본질에 대한 논의를 둘러싼 기존의 확정적 본질관과 비확정적 본질관을 동시에 해체하며 아동본질관의 새로운 시각을 제공해줄 것이다. What is nature of children? David Hume said as follows in An Enquiry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 “The table, which we see, seems to diminish, as we remove farther from it: But the real table, which exists independent of us, suffers no alteration: It was, therefore, nothing but its image, which was present to the mind.” Admittedly, nature of children is not form but real. Turning to the setting of the argument, “children are Spinozaite.” This sentence is the philosophy of the hermeneutical turn described as deconstruction of previous interpretation of children. For this reason I pay attention to the double images which arises from the Nature of natures of children. The term ‘appearances’ of the Nature of natures which children have takes strong visual connotations. The defining interpretation of this premise is being implicitly contrasted with certain lens to nature of children, that is, natal determinism and environmental determinism which are placed nature of children. But the other lens in this article involves not only the defining interpretation but also the non-defining interpretation that are emerged the nature of natures. Now, we can say on nature of children: “Nowhere but everywhere.” This argument tries to drive a wedge to the objectionable argument undermined by ‘the proper stance of sight.’

      • KCI우수등재

        헤겔의 『논리학(論理學)』에 나타난 ‘가상(假象)’개념의 구조와 그 체계

        윤병태(Byong-Tae Yoon) 한국철학회 2001 철학 Vol.66 No.-

        헤겔철학은 방법적으로 ‘변증법’에 기초해 있다. 헤겔 이전까지의 철학사에서 ‘변증법’은 궤변이나 허위 혹은 거짓 논리로 이해되어 왔다. ‘변증법’이 ‘논리학’의 중요한 일부일 수 있다고 본 칸트에게조차 이 이해는 변함없이 지속되며 이에 기초하여 그는 ‘변증법’을 ‘가상(假象)의 논리’로 정의한다. 이와 달리 헤겔은 변증법을 ‘진리(眞理)의 논리’로 간주하고 이 논리 자체가 의식과 존재의 ‘전개 방식’에 기초한다고 주장한다. 이것은 ‘존재(存在)’와 ‘의식(意識)’의 상관관계가 상호 삼투와 ‘비추임(Reflexion: 반영 또는 반성)’으로 이루어지고 이 비추임이 곧 ‘가상’이라는 해석에 토대를 둔 것이다. ‘가상’이 더 이상 거짓이나 허위가 아니라 ‘있는 것(存在者)’들의 배후이며 따라서 ‘있음의 근거(Grund des Sein)’라는 가설이 정립되면 ‘존재(Sein)’와 ‘본질(Wesen)’ 사이의 질적 궤리인 형이상학적 간격(모순)을 메울 수 있을 것이다. 이로부터 ‘절대불변의 있음(存在)’이 아니라 ‘흐름과 운동으로서의 있음’이 생각 될 수 있는데 이 ‘흐름(過程: Prozess)으로서 있음’은 ‘불변적 있음’의 세계를 ‘가상의 세계’로 바꾸어 버린다. 이 두 가지 있음의 역동적 상관관계가 헤겔의 논리학과 형이상학의 기저를 이루고 있다. 특히 『논리학』에서 헤겔은 ‘본질’을 ‘있음(存在)’에 대한 ‘근거(Grund)’로 규정한다. 어떤 것이 있으려면 그 ‘있음’의 ‘근거’가 먼저 있어야 하므로 ‘본질’은 언제나 존재‘에 앞서 있다. 그러나 ‘있음이 없는’곳에, 다시 말해 ‘아무것도 없는(無)’곳에 본질 또한 있을 수 없다. 있음이 있고 나서야 그 ‘있음의 근거와 이유’를 생각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점에서 ‘본질’은 ‘존재’로부터 파생된 것이며 직접적으로 있는 것이 아니라 ‘매개적’으로 있는것이요 존재운동의 원인이 아니라 그 결과인 것이다. 헤겔이 ‘본질’을 ‘존재에 대한 반성’이라고 강조한 데가 바로 여기이다. 그러나 ‘존재의 근거’로서 ‘본질’은 이와는 다른 특정을 가진다. 이 ‘근거’는 ‘본질의 직접성’을 결정하며 동시에 ‘본질’ 자신의 ‘지금 여기에 있음’으로 ‘현존재 (Dasein)’을 결정하는 것이다. 만일 이 직접성이 본질자체의 현존이라면 그 대립자로서의 ‘비본질(Unwesenheit)’이 당연히 있어야 한다. ‘본질’과 ‘비본질’이 본질의 현존을 구성한다는 데에서 본질은 더 이상 존재의 단순한 이유나 그 원인이 아니라 존재 자체의 현존으로 ‘비추어’진다. 이 ‘비추임’의 본질이 헤겔 논리학에서 뜻하는 ‘가상’의 본래적 의미인 것이다.

      • KCI등재

        기독교교육의 본질로서의 아름다움

        한춘기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0 기독교교육논총 Vol.23 No.-

        In studying the nature of education, the cognitive aspect was traditionally considered. Since 20th century, which the behaviorism was introduced in the area of education, education was explored in the aspect of the volition. But in this paper, I shall discuss the nature of education from the aspect of beauty which is the 3rd aspect of education. In doing so, I attempt to understand the nature of education by adopting the metaphorical discussion of education. Particularly, I discussed the classification of I. Scheffler who suggested the metaphor about the nature of education as the shaping metaphor, the growth metaphor, and the art metaphor. And in discussing the nature of christian education, I adopted the classification of James E. Plueddemann and discussed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the metaphors. After that I suggest my metaphor, the restoring metaphor, as the alternative. After perusing the nature of christian education, I discussed the nature of christian education in terms of beauty. That is, I discussed why the nature of education is necessary and suggested the basis in which beauty is one of the core types of value which education is pursuing. In this paper, the nature and character of beauty are discussed in terms of history. In addition to that, beauty as the nature of education is discussed with the transmission of knowledge and the change of behavior as the nature of education. In addition to the concept of beauty as the nature of christian education, I connected the biblical concept of ‘restoring’(Eph. 4:12). Finally, I suggested a few practical ideas how to practice the beauty in the field of education. The study of the nature of christian education in terms of beauty will enlarge the area of education. 교육의 본질에 대한 연구를 함에 있어서 전통적으로는 인지적인 측면에서 탐구되었으며 20세기 행동주의 철학이 교육에 도입된 이후로는 행동의 변화 즉 의지적인 측면에서 탐구되었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는 제3의 영역인 정서적인 측면인 선 곧 아름다움의 측면에서 교육의 본질을 논의하였다. 이렇게 교육의 본질로서의 아름다움에 대한 논의를 함에 있어서 먼저 교육의 본질에 대한 이해를 추구하였는데 그 방법으로는 교육에 대한 은유적 논의를 채택하였다. 특히 쉐플러의 분류 3가지 곧 주형의 은유, 성장의 은유, 그리고 예술의 은유를 논의하였다. 그리고 기독교교육의 본질에 대한 은유를 논의하였는데 이는 플루드만(James E. Plueddemann)의 분류를 채택하고 그 문제점을 제시함과 아울러 연구자의 개념인 ‘회복의 은유’를 그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의 핵심인 기독교교육의 본질을 아름다움(美)라는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즉 아름다움이 왜 교육의 본질로서 필연적인가를 논의하였는데 그 탐구의 핵심은 아름다움(美)은 교육이 추구하는 가치 유형중의 하나임을 그 근거로 제시하였다. 그러면 이러한 아름다움의 본질과 속성은 무엇인가를 역사적인 흐름의 관점에서 논의하였으며, 또한 진리의 전수라는 교육의 본질과 행동의 변화라는 교육의 본질에 더하여 아름다움이라는 교육의 본질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기독교교육의 본질로서의 아름다움을 성경의 개념인(엡 4:12) ‘회복’과 연계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아름다움을 교육의 현장에서 어떻게 교육현장에서 실천할 것인가를 연구하는 실천방안의 몇가지를 제시함으로서 본 연구의 결론을 맺었다. 이러한 아름다움의 관점에서 기독교교육의 본질에 대한 논의는 교육의 지평을 더 넓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예배갱신”의 내포적 의미와 그 실현범위-예배본질의 회복과 그 시공간적 조건으로서의 본질적 요소들-

        한재동 한국실천신학회 2009 신학과 실천 Vol.0 No.18

        본고는 예배의 변화가 예배학도들의 이론적 관심을 넘어 다양한 회중과 목회자들의 현실적 관심과 실천이 되고 있는 오늘의 한국적 상황에서 예배갱신 자체의 본질적 의미를 분석적이고 비판적으로 이해해 보려는 시도의 하나이다. 예배에 관한 관심은 세계적 추세지만 한국교회는 오랜 예배사적 전통을 지닌 구미교회들과 달리 별다른 외적 갈등 없이 변화가 추구되고 실현되고 있다. 본고는 이 같은 표면적 평온이 보다 위험스런 이면적 문제의 결과일 수 있음에 착안하고 있다. 심각한 신학적 반성이나 진지한 실천적 검토가 없이 변화가 추구되고 실천되고 있다는 말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배를 바꾼다는 것이 무엇인가 하는 보다 근본적인 질문을 던질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본고에서 필자는 예배갱신은 예배의 일반적 정의로부터 연역될 수만 없는 고유한 문제성을 갖고 있음을 전제로, 방법론상 “예배갱신”의 내포적(內包的) 의미를 분석적으로 해명함으로써 위에서 제기된 질문에 답해보려고 한다. 다수의 공감을 얻기 위해 필자가 선택한 접근법은 누구나 인정할 만한 “예배갱신”의 가장 기본적인 사전적 의미로부터 출발하여 타당한 것과 타당치 않은 것을 분석적으로 밝혀내는 것이다. 물론 특정한 종교현상에 관한 문제를 오직 언어분석만으로 답할 수는 없기 때문에 필자는 성경과 전통을 논의의 타당성 근거로 삼았다. 필자는 위의 비판적 분석과정을 통해 예배갱신은 예배본질의 회복 외에 다른 것이 될 수 없다는 일차 결론에 도달한다. 이 결론은 다시 예배본질에 관한 인식론적 및 존재론적 문제를 제기하는데, 필자가 강조하는 것은 예배본질이 역사적으로 형성된 특정 형식이나, 신학적으로 반성된 예배 정의나, 경험적으로 지각되는 예배 영성 이상의 것을 함의하는 통시적이고 보편적이면서, 포괄적이고 관계적인 실체적 사건이라는 것이다. 필자는 전통적 기독교 예배의 두 가지 원리인 lex orandi, lex credendi와 성례전성(sacramentality)이 갖는 의미를 검토함으로 이 문제를 해명하려고 한다. 필자는 예배갱신이 예배본질의 회복인 한에서 인간 쪽의 일방적 주도에 의해 의도된 결과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오히려 초자연적이고 주권적인 신적 주도가 우선이고 인간의 참여는 신적 주도에 따른 응답이거나 준비라는 논지에 도달한다. 이 점은 인간의 책임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나 인간의 참여를 제한된 범위 안에 묶으며 그 범위는 하나님의 선택과 약속에 따라 주워진 은혜의 수단으로서의 예배의 본질적 요소들에 초점이 모아져야 하고 이 요소들 간의 관계 곧 구조적 문제의 해결은 예배본질의 신학적 반성을 통해 얻어진 예배의 본성과 원리에 충실해야 한다는 마지막 결론에 도달한다. 본고의 보수적 전제와 접근은 변화의 좌표가 교회 밖이 아닌 교회 안에, 예배 밖이 아닌 예배 안에 있어야 함을 재천명하는 것이다.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understand analytically and critically the meaning of "worship renewal" itself, against the current situations of Korean churches, where "worship renewal" is popular issues and practices of churches and pastors beyond theoretical interests of liturgical scholar- ship. Although the concern for worship is worldwide, conflicts around worship matters, as seen in the western churches, are seldom observed in Korean churches. This kind of surface peace, however, may hide a more dangerous problem: no serious theological reflections or sincere practical considerations. This situation needs answers to a fundamental question: What should we mean by the change of worship? Presupposing that "worship renewal" has its own conceptual proble- matics, not resolved by definitions of worship, I answer the question through an analytical clarification of the connotative meaning of "worship renewal." For the agreement of more various groups, I begin with the most basic possible dictionary meaning of "worship renewal." Since a mere linguistic analysis, however, is not enough for dealing with a particular religious phenomenon, I use the Bible and tradition as the reference frame for the validity of my argument. The analyzing process reaches the initial conclusion that worship renewal is a restoration of the essence of worship. The next raised question is about the epistemological and ontological problems concerning the essence of worship. The point is that the essence of worship includes more than specific liturgical shape, theological definition of worship, or experiential worship spirituality; it is a diachronic and universal, and comprehensive and relational reality- occurrence. For this subject, I explain two traditional principles: lex orandi, lex credendi; and sacramentality. It then follows that worship renewal is not a human work, but a divine work. The human participation in worship renewal is a response to the divine or a preparation for it. Though this does not exclude human responsibility altogether, it confines the human to a limited scope, and this scope is within the worship essentials as means of grace, provided by God's choice and promise. I suggest five essentials. And the matter of the relationship among the essentials must be faithful to the nature and principles of Christian worship, based on theological reflections of the worship essence. The article is to claim that the reference point for change must be within the Church, not without it; within Christian worship, not without it.

      • KCI등재

        아동 본질 논고

        서명석(Seo Myoung Seok) 한국열린교육학회 2006 열린교육연구 Vol.14 No.1

        아동의 본질은 있는가? 있다면 무엇인가? 아니면 아동 본질이라는 것이 확정적인 것인가 아니면 불확정적인 것인가? 이것들을 풀어내는 창구를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정돈해 두었다. 그 첫 번째, 여기서는 아동본질을 유비해서 설명할 수 있는 가장 핵심적 메타포인 자연을 풀었다. 유비가 유추해서 비유한다는 것에서 시작되듯이 비유는 모든 것을 명확히 말하지 않는다. 다만, 암시할 뿐이다. 아동의 본질을 탐구하는 하나의 과정으로 노자가『도덕경』에서 말하고자 했던 스스로-그러함이 자연의 가장 이상적인 모습이다. 따라서 아동의 본질이라는 것은 외부적인 힘의 행사로 일어나는 어떤 유위적 행동화의 장력이 아니라 아동 내부에 스스로 내장되어 있는 어떤 회로를 따라 드러나는 무위적 행동화의 경향성일 것이다. 두 번째, 그렇다 하면 기존의 아동본질관은 무엇이었나? 이는 소쉬르의 언어학적 기호이론을 타면서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기존 아동본질관은 동심으로 잡혀 있었고, 이 동심 안에서 아이들의 천진난만ㆍ순진무구만을 건져내고 있었다. 세 번째, 하지만 이런 의미부여와 의미생산이 정말 적확한 해석인가? 이렇게 회의하면서 저런 방식을 아동의 본질에 대한 낭만적 선험주의라 명명하고 이를 비판한 뒤 해체하는 도정을 밟았다. 이를 수행하는데 칸트의 다음과 같은 관견이 주효했다. “인간은 근원적으로 선하고, 근본적으로 악하다.” 아이들도 이와 마찬 가지이다. 그들은 근원적으로 선하지만, 근본적으로 악하다. 이런 논의는 아동의 본성을 이해하는데 발생하는 불필요한 이분법을 극복하게 한다. 따라서 아동은 천사의 얼굴을 한 악마요, 악마의 얼굴을 한 천사다. 이와 같은 비동시성의 동시 성이야말로 아동의 본질을 다시 축성하는 또 하나의 길로 떠오른다. If I had my child to raise over again If I had my child to raise all over again, I’d finger paint more, and point the finger less. I’d do less correcting, and more connecting. I’d take my eyes off my watch, and watch with my eyes. I would care to know less, and know to care more. I’d take more hikes and fly more kites. I’d stop playing serious, and seriously play. I would run through more fields, and gaze at more stars. I’d do more hugging, and less tugging. I would be firm less often, and affirm much more. I’d build self-esteem first, and the house later. I’d teach less about the love of power. And more about the power of love. -Diane Loomans Both child-like-ness and child-ish-ness are not same. Child-like-ness refers to relating to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of a child or childhood especially marked by innocence, frankness. But child-ish-ness refers to showing by immaturity, simplemindedness, and silliness.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child-like-ness. The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children is metaphor of nature. This nature means Laozi’s nature through Tao Te Ching. In this text nature is not physical nature but sodoing-ness by itself[自然]. It is composed of itself-so-ness[道], natural effect of itselfso-ness[德]. Natural child contains this rules of itself-so-ness[道], natural effect of itself -so-ness[德]. At this code children show naturalness. And image of child is romantic aspect that trace the origin of good creation. But we always observe bad condition of children’s nature, also. This point de-constructs good seeing on children’s nature. One important presupposition is that children are originally good and radically evil. This discourse avoids dichotomizing mind of good and bad division and that the nature of children is uncertain, changed, and not decisive reality in cohabitation. In conclusion Gilles Deleuze and F?lix Guattari say that children is Spinozaite.

      • KCI등재

        성리학적 본질은 어떻게 현실을 주재하는가?

        정용환(Chung Yong-hwan) 대한철학회 2007 哲學硏究 Vol.101 No.-

        이 글의 미시적 목표는 성리학적 수양론에서 이념적 본질이 어떻게 현실을 주재하는지에 대해 고찰하는데 있으며, 거시적 목표는 성리학적 본질과 현실의 관계에 대한 철학적 담론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먼저 성리학이 복잡다단한 현실에서 본질을 실현하기 위해 어떻게 기질의 자기변증적 과정을 요청하는지를 살펴본 다음, 본질의 실현이 실제로 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성리학에서 제시하고 있는 도통론·경전·예법 등의 개념이 무슨 역할을 하는지 기술하였다. 이치·본성·형이상자·태극 등으로 불리는 성리학적 본질은 순수지선(純粹至善)하다는 측면에서 초월적 이념이지만, 다양한 현실에서 당위적으로 구현해야 한다는 점에서 실천을 요청한다. 성리학적 본질의 구현 방법은 기질·감정·형이하자·음양 등의 현실을 이념적 본질의 영역으로 되돌리는데 있다. 성리학자는 자율적 자기연마를 통해 궁극적 본질을 회복함으로써 요·순·우·탕·문·무·주공·공자·맹자·북송사자 등과 같은 성현과 동일한 인간이 되기를 희망한다. 성리학에서는 본질체득의 사례를 모범적 텍스트로서의 유가경전(사서오경)에 근거하여 제시한다. 성리학적 본질의 현실화란 수양자의 경전읽기와 경전을 현실에 우려내기의 방법을 통하여 현실을 주재하는 것이다. 성리학적 수양론은 본질-경전-현실의 삼위일체를 요점으로 하고 있으며, 기질적 현실에 처한 수양자는 본질과 경전에 일치하는 삶을 살기 위해 부단히 체찰(體察)함으로써 공자와 같이 덕에 능숙한 삶의 기술자가 되고자 한다. 다만, 성리학적 본질에 이르는 수양론적 체계가 폐쇄적으로 고착되지 않도록 끊임없이 유의해야 한다. 성리학적 본질학에서 제시하는 유가경전의 체득을 통한 성인과의 일치라는 도통론적 동일의식은 현실에서 실제로 발생하는 갈등과 문제에 대해 미처 논의가 성숙되기 전에 미리 표준화된 체계 속에 봉함으로써, 새로움에 대한 도전정신을 위축시킬 수 있는 우려도 뒤따른다. 따라서 성리학적 본질학이 자기 폐쇄적 부작용의 계기들을 극복하면서 제자백가 등에 대한 열려있는 독서와 사유, 유가경전에 대한 자유로운 비판, 새로운 규범 및 체계에 대한 추구 등을 포괄적으로 개진해나간다면 훨씬 풍부한 미래적 전망을 생산할 수 있을 것이다. Neo-Confucian essence called as Principle(li, 理), Nature(xing, 性) and the Supreme Ultimate(taiji, 太極) is not only regarded as a transcendent and absolute value but also practical one in the sense that we should realize it through our ordinary life. The way of embodying Neo-Confucian essence is dependent on regulating the deviation of personal dispositions(qizhi, 氣質) by returning to essence. Neo-Confucianists tried to become the same person as sages like Yao, Shun, Yu, Tang, Wen, Wu, Zhougong, Kongzi, and Mengzi who had already realized the absolute essence by self-concurring. Some of Neo-Confucian sacred books was also believed as a absolute guidance for human life. Actually, the ethical trying of Neo-Confucianists to unite their lives to the essence can be considered as a kind of representation that they should read repetitively and follow their sacred books to revive their meaning in one’s life. The grand system of the identification among essence, the sacred books and one’s living purpose in Neo-Confucian ethics have a tendency to make people to become skillful experts to reproduce the authorized Confucian values. The representational ethical system of Neo-Confucianism can cause a problem to stimulate people to avoid one’s actual challenge for creativity by enthroning Neo-Confucian absolute essence. Accordingly, it is necessary for Neo-Confucian essential ethics to have opened attitude against different schools, self-criticism, and investigation for alternatives if it can be a productive and effective theory tod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