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투고논문 : 『주역(周易)』에 표상된 길흉(吉凶)의 철학적(哲學的) 의미(意味)

        임병학 ( Byeong Hak Lim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2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51 No.-

        본고에서는 聖人이 『周易』을 지은 목적이 君子로 하여금 자신의 本性인 性命之理(四德)에 순응하게 하기 위한 것임을 근거로 吉凶의 철학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즉, 聖人이 64괘의 卦辭를 붙이고, 384爻의 爻辭를 짓고, 十翼을 지어서 吉凶을 드 러낸 것은 君子를 기르기 위한 것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易學에서는 인간의 길흉화복을 판단하는 근거인 天道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한 방법으로 卜筮(占)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주역』은 卜筮를 위한 占書라 는 인식이 있지만, 易學에서 卜筮는 天道의 변화원리를 인간의 길흉화복으로 나타 내는 天道의 내면화에 의한 인간의 주체적 자각의 방법으로 제기되었던 것으로 ``吉凶``이 단순히 의심을 결단하는 占辭의 의미만 가지는 것이 아니라 인간으로 하여금 올바른 삶을 살아가게 하는 철학적 개념이라 하겠다. 먼저 길흉은 인간의 행동에서 생기는 것으로 天道에 순응하여 자기 자신에게 주어진 德인 義에 맞게 행동하면 吉이고, 天道를 망각하고 의롭지 못한 행동을 하 면 凶이 발생됨을 알 수 있다. 공간적(대상적) 사유에서 길과 흉은 실존적 삶을 살아가는 인간이 中道나 君子之道등을 얻으면 길이고 잃으면 흉이며, 또 中正之道를 쓰면 길이고 총명하지 못 하면 흉이며, 그 결과에서는 경사나 기쁨이 있으면 길이고 마침이나 공이 없으면 흉임을 밝히고 있다. 吉과 凶을 나누었다고 하여 『주역』에서 이분법적 사유로 吉은 좋은 것이고 凶 은 나쁜 것임을 밝힌 것은 아니다. 시간적(주체적) 사유에서 길과 흉은 모두 자신 에게 주어진 仁禮義智四德가운데 義에 근거하여 드러난 것이기 때문에 인간의 삶 에서 吉凶은 궁극적으로 吉로 하나가 됨을 알 수 있다. 四德을 실천하는 君子는 길 한 일이 있을 때에는 교만하지 않고 ``겸손``으로써 그 吉을 이어가고, 凶한 일이 있 을 때에는 그러한 일이 왜 일어났는지 ``자기반성``을 함으로써 吉로 나아가게 되는 것이다. In this paper, the Good and bad luck(吉凶) of philosophical implications were investigated that purpose of the Book of Changes is accepted oneself a four virtue to a man of virtue. In other words, the purpose that a saint named a trigram from the Book of Changes of 64, made 384 of lines and shiyi(十翼) is to train a man of virtue. The Book of Changes used bushi(卜筮) that it is the way identifying change of the ways of Heaven. so the Book of Changes is recognized a fortune book(占書) for bushi, but bushi in the Book of Changes is not only the way of consciousness through internalization of the ways of Heaven but also philosophical notion that guides right life to human. First, Because the fortunes occurs from human`s behavior, if men live in sympathy with the ways of Heaven and behave rightness it is the Good and bad luck occurs if men forgetting the ways of Heaven, behaving wrong. In the dualistic theory, if men get the middle road and the ways of superior man it is Good luck, or it is Bad luck. When using the ways of impartiality it`s Good luck, out of brightness is Bad luck and in concultion, if there is happiness and delight, it`s Good luck, if there are not final and efforts, it`s Bad luck. But In the Book of Changes, It`s not mean that Good luck is good, Bad luck is bad. In monism, the Good and bad luck becomes one ultimatly because they are based on the justice among the four virtue. In other words, the superior man must get along Good luck through modesty when he meets good fortune, if he meets bad fortune, the superior man have to lead Good luck from Bad luck through selfreflection.

      • KCI등재

        <삼공본풀이>에 나타난 여성의 역설적 ‘복’과 ‘주체성’

        정제호 한국무속학회 2022 한국무속학 Vol.- No.4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consider her of Women in Samgongbonpuri by examining the nature of Gamunjangagi's ‘Luck’ in Samgongbonpuri. Gamunjangagi was born with good luck., but in fact, her life is not happy. Rather, what she and her family went through was unfortunate. This is because there is something that influenced her life rather than her fate. Scarlett failed to show all her luck because she was a woman. She says that even though she was not a son, the luck of the family was because of her. So she is kicked out of the house. Also, she has good luck, but that luck is eventually realized by her husband. Eventually, she becomes a woman who surrendered under the patriarchal system. In this way, Gamunjangagi's independence should be re-discussed. Her remarks are subjective. But what she did to have wealth is passive. Nevertheless, it is not appropriate to see her simply as a passive being. This is because she lived as a passive being, but shouted to become a human being in it. It can be said that Gamunjangagi's remarks continued to influence, creating the current status of women. 본고는 <삼공본풀이>에 나타난 가믄장아기의 ‘복(福)’의 성격을 고찰함으로써 그녀의 ‘주체성’에 대해 재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가믄장아기는 분명 복을 지닌 채 태어난 존재지만, 사실 그녀의 삶은 행복하지 않다. 오히려 그녀와 가족들이 겪는 모든 일은 불행에 가깝다. 복을 지닌 채 태어났다고 하는 가믄장아기가 불행한 삶을 살아야 했다는 것은 그녀의 운명보다도 큰 문제가 그녀의 삶을 견인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가믄장아기가 자신의 복을 온전히 누리기 어려웠던 것은 사실 그녀가 ‘여성’의 몸으로 복을 지녔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녀는 집안의 적자가 아닌 ‘막내 딸’로 태어났음에도 그 집이 누리고 있는 부가 자신에게 있다고 외침으로써 쫓겨날 수밖에 없는 처지로 전락한다. 또한 그렇게 복을 가진 존재로 태어났지만, 결국 온전히 부를 얻기 위해서 남편의 손을 빌려야 하는 수동적 존재가 되는 것을 자처한다. 즉, 가믄장아기는 그녀가 가진 복에도 불구하고, 가부장제라는 당대의 제도적 폭력 아래 희생되고, 또 굴복한 존재로 남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볼 때, 가믄장아기에 대한 ‘주체성’은 다시 논의할 필요가 있게 된다. 그녀는 주체적 발언을 통해 자신의 복을 외쳤지만, 결국 그녀는 남성에 의존하여 자신의 복을 실현시킨 수동적 삶을 살아간 보통의 여성과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녀를 단순히 수동적 존재로만 보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제도적 폭력 아래서 남성의 보조로, 또 수동적 존재로만 살아가길 강요받음에도 가믄장아기는 자신의 하나의 인간됨을 외쳤기 때문이다. 물론 가믄장아기 자신이 그 주체성을 온전히 실현시키진 못했을진 몰라도, 적어도 그 외침은 제의를 통해 계속해서 반복됨으로써 지금의 여성들이 누리는 사회적 지위로 이어졌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周易』에 표상된 吉凶의 哲學的 意味

        임병학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2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51 No.-

        In this paper, the Good and bad luck(吉凶) of philosophical implications were investigated that purpose of the Book of Changes is accepted oneself a four virtue to a man of virtue. In other words, the purpose that a saint named a trigram from the Book of Changes of 64, made 384 of lines and shíyì(十翼) is to train a man of virtue. The Book of Changes used bǔshì(卜筮) that it is the way identifying change of the ways of Heaven. so the Book of Changes is recognized a fortune book(占書) for bǔshì, but bǔshì in the Book of Changes is not only the way of consciousness through internalization of the ways of Heaven but also philosophical notion that guides right life to human. First, Because the fortunes occurs from human's behavior, if men live in sympathy with the ways of Heaven and behave rightness it is the Good and bad luck occurs if men forgetting the ways of Heaven,behaving wrong. In the dualistic theory, if men get the middle road and the ways of superior man it is Good luck, or it is Bad luck. When using the ways of impartiality it's Good luck, out of brightness is Bad luck and in concultion, if there is happiness and delight, it's Good luck, if there are not final and efforts, it's Bad luck. But In the Book of Changes, It's not mean that Good luck is good,Bad luck is bad. In monism, the Good and bad luck becomes one ultimatly because they are based on the justice among the four virtue. In other words, the superior man must get along Good luck through modesty when he meets good fortune, if he meets bad fortune, the superior man have to lead Good luck from Bad luck through selfreflection. 본고에서는 聖人이 『周易』을 지은 목적이 君子로 하여금 자신의 本性인 性命之理(四德)에 순응하게 하기 위한 것임을 근거로 吉凶의 철학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즉, 聖人이 64괘의 卦辭를 붙이고, 384爻의 爻辭를 짓고, 十翼을 지어서 吉凶을 드러낸 것은 君子를 기르기 위한 것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易學에서는 인간의 길흉화복을 판단하는 근거인 天道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한 방법으로 卜筮(占)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주역』은 卜筮를 위한 占書라는 인식이 있지만, 易學에서 卜筮는 天道의 변화원리를 인간의 길흉화복으로 나타내는 天道의 내면화에 의한 인간의 주체적 자각의 방법으로 제기되었던 것으로 ‘吉凶’이 단순히 의심을 결단하는 占辭의 의미만 가지는 것이 아니라 인간으로 하여금 올바른 삶을 살아가게 하는 철학적 개념이라 하겠다. 먼저 길흉은 인간의 행동에서 생기는 것으로 天道에 순응하여 자기 자신에게 주어진 德인 義에 맞게 행동하면 吉이고, 天道를 망각하고 의롭지 못한 행동을 하면 凶이 발생됨을 알 수 있다. 공간적(대상적) 사유에서 길과 흉은 실존적 삶을 살아가는 인간이 中道나 君子之道등을 얻으면 길이고 잃으면 흉이며, 또 中正之道를 쓰면 길이고 총명하지 못하면 흉이며, 그 결과에서는 경사나 기쁨이 있으면 길이고 마침이나 공이 없으면 흉임을 밝히고 있다. 吉과 凶을 나누었다고 하여 『주역』에서 이분법적 사유로 吉은 좋은 것이고 凶은 나쁜 것임을 밝힌 것은 아니다. 시간적(주체적) 사유에서 길과 흉은 모두 자신에게 주어진 仁禮義智四德가운데 義에 근거하여 드러난 것이기 때문에 인간의 삶에서 吉凶은 궁극적으로 吉로 하나가 됨을 알 수 있다. 四德을 실천하는 君子는 길한 일이 있을 때에는 교만하지 않고 ‘겸손’으로써 그 吉을 이어가고, 凶한 일이 있을 때에는 그러한 일이 왜 일어났는지 ‘자기반성’을 함으로써 吉로 나아가게 되는 것이다.

      • KCI등재후보

        차복여행 설화의 구조와 의미

        배도식 동남어문학회 2009 동남어문논집 Vol.1 No.27

        There lived a bachelor long ago, he was not able to get married because of his poverty. He made his living out of selling firewood. When he carried two large bundles of firewood home, a bundle of firewood was missing the next day. And then, in order to find out his wonder he hid in the woodfire bundle and he was lifted to the heaven with the woodfire bundle. When he asked the Heavenly God why he took his firewood bundle, he said that you are destined to have only one bundle, which means you are doomed to live poorly. The heavenly god felt sorry for the poor bachelor, giving other's luck. Thanks to the heavenly god, he became rich, afterward he lived a happy life, but if the original owner of luck would be born, he had to return the luck. A few years of his happy life passed, and at last a baby was born in his neighboring poor house. The bachelor thought of the poor boy as the owner of good luck and brought the baby his home and raised him, So he was not deprived of his luck and could continue to live happily. The heavenly god admitted them as a family, not taking away the luck. The type formation of this folk tale runs as follows : Starting-Poverty- Disappearance-Moving to Heaven-Being unlucky-Borrowing others' good luck-Challenge-Removing poverty-the Original owner's birth-Solution of the problem-Result. Anything else, such as the form of variation, and the formation of conflict, was studied. There lived a bachelor long ago, he was not able to get married because of his poverty. He made his living out of selling firewood. When he carried two large bundles of firewood home, a bundle of firewood was missing the next day. And then, in order to find out his wonder he hid in the woodfire bundle and he was lifted to the heaven with the woodfire bundle. When he asked the Heavenly God why he took his firewood bundle, he said that you are destined to have only one bundle, which means you are doomed to live poorly. The heavenly god felt sorry for the poor bachelor, giving other's luck. Thanks to the heavenly god, he became rich, afterward he lived a happy life, but if the original owner of luck would be born, he had to return the luck. A few years of his happy life passed, and at last a baby was born in his neighboring poor house. The bachelor thought of the poor boy as the owner of good luck and brought the baby his home and raised him, So he was not deprived of his luck and could continue to live happily. The heavenly god admitted them as a family, not taking away the luck. The type formation of this folk tale runs as follows : Starting-Poverty- Disappearance-Moving to Heaven-Being unlucky-Borrowing others' good luck-Challenge-Removing poverty-the Original owner's birth-Solution of the problem-Result. Anything else, such as the form of variation, and the formation of conflict, was studied.

      • KCI등재

        吉凶의 판단방법을 통해 본 왕충의 卜筮觀

        임정기 새한철학회 2019 哲學論叢 Vol.98 No.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how the method of judging the Good and bad luck(吉凶) has changed with new knowledge, from the Xi-Ci-Zhuan(繫辭傳) to Wang Ch'ung(王充). The Xi-Ci-Zhuan(繫辭傳) is judging the Good and bad luck(吉凶) by the Divine Spirit. The Lu-Shi-Chun-Qiu(呂氏春秋) and Guanzi(管子) and Huainanzi(淮南子) is judging the Good and bad luck(吉凶) by seasons. This fact implies doubt about bushi(卜筮). And it means less faith in bushi(卜筮). Judgment of the Good and bad luck(吉凶) in Chunquifanlou(春秋繁露) is putting a lot of weight on ch'i(氣). Wang Ch'ung(王充) is said that the Good and bad luck(吉凶) is determined from birth. According to Wang Ch'ung's theory, bushi(卜筮) of Xi-Ci-Zhuan(繫辭傳) has lost ground. 본 논문에서는 「계사전」에서 왕충에 이르기까지, 길흉을 판단하는 방법이 새로운 지식과 함께 어떻게 변해왔는가라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계사전」에서는 시초(蓍草)의 신비성에 의거하여 길흉을 판단하고 있다. 그런데 秦漢代의 氣의 개념은 천지를 새로이 설명하면서, 천지의 변화인 계절을 통해서 인간의 길흉을 판단하게 했다. 『여씨춘추』와 『관자』·『회남자』를 통해서, 계절을 중심으로 인간의 길흉을 판단하는 방법이 당시에 굉장한 믿음을 얻고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계사전」에서 언급하는 복서의 점(占)에 대한 의심, 복서의 점에 대한 믿음의 감소를 의미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춘추번로』의 경우도 계절을 중심으로 하는 길흉판단의 입장에 서있기는 하지만, 氣 자체에 무게를 더 두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왕충의 경우는, 무위자연한 천과 氣를 주장하면서 인간의 길흉은 태어날 때부터 결정된다고 하여, 이전의 계절을 기준으로 길흉을 판단하던 관점도 완전히 벗어나고 있다. 이 왕충에 이르러서 시초의 신비성이 부정되고, 「계사전」에서 이야기하는 복서의 점은 그 근거를 잃게 되었다. 「계사전」에서 왕충까지의 길흉판단은 신비성에 의거한 방법에서 경험적인 방법으로의 전개를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한국어교육에서 <감은장아기>를 활용한  문화교육 방안 연구

        이은희 중앙어문학회 2018 語文論集 Vol.76 No.-

        This study originated from the critical belief that it would be necessary for foreign learners to have Korean cultural education to understand Korean culture and adapt themselves to it, and that the answer could be found from a study of Gameunjangagi, which is a myth of the God of Fate. Gameunjangagi lived an independent life by answering “because of my luck” to his father’s question of “You are living well, thanks to whom?” The exploratory narration of Gameunjangagi, who established his identity based on trust in himself, is a meaningful tale that helps learners engage in selfexamination. Particularly, the Gameunjangagi myth contains cultural elements that can facilitate foreign learners’ cultural adaptation. With the use of these cultural elements, a lesson was designed and then applied in an actual classroom setting. Our study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the myth illustrates the Korean people’s perception of luck. Through teaching/learning measures integrated with language and culture, the meaning of luck in the Korean culture could be understood. Second, the symbolic meaning of the number 3 is repetitively shown in the Gameunjangagi myth. Even though numbers are used in every culture, their symbolic meaning is different in each country, so the effect of comparison is huge. Therefore, cultural comparison was performed. Third, learners could then think about cultural adaptation. In the actual class, the learners formed a bond of sympathy and encouraged one other by presenting the difficulties in adapting to Korean culture and their efforts to overcome them.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Gameunjangagi myth is an educational tool that can be helpful for providing deep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and individual growth of learners. 외국인 학습자의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것에 비례해 중도 탈락률 또한 높아져 가고 있는 현 시점에서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 수준을 높이고 한국문화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보다 특화된 한국문화교육이 요 구된다. 이에 본고는 <감은장아기> 신화가 이를 위한 유용한 교육제재로 기 능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내 복에 잘 산다고 당당하게 말하며 삶의 주인으로 서 주체적으로 삶을 운용해 나가는 <감은장아기> 서사는 그 자체만으로도 읽 기자료로서 손색이 없을 뿐만 아니라, <감은장아기> 신화에서 추출할 수 있는 ‘복’, 숫자 ‘3’, ‘쌀밥’이라는 문화요소는 외국인 학습자가 한국문화의 특수성을 이해하는 데에 있어서도 상당히 유용한 문화요소이다. 더욱이 감은장아기의 쌀밥 대접 장면은 낯선 문화를 대하는 등장인물 간의 상반된 태도와 그에 따른 결과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어, 문화적응 문제에 대한 해법을 학습자가 간 접경험하고 이를 내면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이에 본고에서는 <감은장아기> 신화에 나타난 문화요소를 활용해 한국문화에 대한 외국인 학 습자의 이해를 높이며, 문화적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수업 을 계획하고, 이를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해 보았다. <감은장아기> 신화를 활용해 한국문화교육을 실시한 결과 학습자들은 함 축적이고 복합적인 의미를 갖고 있는 한국인의 ‘복’에 대한 인식을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고, 동일한 숫자가 갖는 상이한 의미를 문화비교 활동을 통해 확 인함으로써 문화의 다양성, 문화 간 차이를 쉽게 감지할 수 있었으며, 쌀밥 대 접 장면을 통해 이질적인 문화에 대응하는 자세 및 문화적응 방법에 대해 구체 적으로 논의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학습자들은 쉽게 접해볼 수 없었던 무속신화 <감은장아기>를 활용한 문화수업에 흥미를 보였으며 매 활동마다 능동적이고 열정적으로 참여하며 한국문화를 깊이 있게 이해하고자 하였다. 학습자들의 수업참여도나 문화교육 수업에 대한 평가가 긍정적으로 나타난 것 을 볼 때 <감은장아기> 신화는 한국문화 이해뿐만 아니라 한국문화 적응, 개인 성장에도 충분한 역할을 할 수 있는 교육제재로서 가치를 갖는다고 하겠다. 이 러한 점은 앞으로 더 많은 학습자를 대상으로 지속적으로 검증해 나가야 할 것 이다.

      • "내 복에 산다" 와 "복진 며느리"의 여성의식 변모양상

        조은희 우리말글학회 2002 우리말 글 Vol.24 No.-

        As shown in the thesis, there were women who pursed the women's image that a patriarchal society hoped, while I saw also the image of women in which women sticked to their opinions against men in the private discourses of “One lives in being in my luck” and “Blessed daughter-in-law”. It showed the life of refracted women with the application of a confucian ideas to women's life under the patriarchal system. If such images were the traditional women's images as a virtuous woman image of leading a chaste life, a faithful daughter-in-law one, a mother one of sacrificing for their children and a women one of womanly wisdom and virtue, this would be the work showing that there was the women's image of dignified and reliable disposition in the patriarchal order, which would mean that there were also women who carried stately through their intention and faith in life of women refracted by men.(Daegu University)

      • KCI등재

        여성 고난 설화의 연행과 전승에 나타난 탈가부장적 지향

        임이랑,박수진 한국문학교육학회 2023 문학교육학 Vol.- No.78

        In folktales, the preferred story genre, format, and content development method vary according to the gender of the narrator. Paying attention to this, this paper defines <I live on my good luck>, <Gurongdongdong Sinsonbi(Sanke Husbands)>, and <The Bride without Hands> as women’s hardship tal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le and female narrators in these tales and the differences in the way female narrators conceive of stories according to their experiences and narrativ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post-patriarchal sense of transmission. In the three tales, the character of the main character, the way the main character leads the event, and the ending were develop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gender of the narrator. The female narrator who narrates <I live on my good luck> pays attention to the daughter’s success and the father’s reflection, and the male narrator pays attention to the success of the charcoal-grilled bachelor. In the case of <Gurongdongdong Sinsonbi(Sanke Husbands)>, which has only three narrations by male narrators, the male narrators also focus on ceremonies for the success of the serpent and the preservation of the family. On the other hand, the female narrator vividly describes the heavy household chores imposed on women at the time and the conflict between wife and concubine. In particular, <The Bride without Hands>, which only shows the transmission of a female narrator, shows resentment and criticism against the father, husband, and son, resisting the three kinds of guidance and the justification of men, which are the basis of Confucian family ethics. Based on the principles of the three kinds of guidance presented to maintain the patriarchal system of the time, the sufferings women in the three works were not individual specific trials, but close to real sufferings experienced collectively by women in traditional societies. While narrating these tales, female narrators projected their narratives into their works, resisted the contradictions of patriarchy with stories, and on the other hand, expressed their will to find their identity as women. This shows that women at the time, whose life itself was not completely independent of men, could become a means of self-reliance, communication, and healing through storytelling. 설화는 구연자의 성별에 따라 선호하는 이야기 장르와 형식, 내용의 전개 방식이 달라진다. 본고는 이에 주목하여 <내 복에 산다>, <구렁덩덩 신선비>, <손없는 색시>를 여성 고난 설화로 규정하고, 이들 설화에 나타난 남녀화자의 특징, 여성화자들이 자신의 경험과 서사에 따라 이야기를 가공하고 구상하는 방식의차이를 탈가부장적 전승 의식으로 읽어 보았다. 세 설화는 구연자의 성별에 따라 주인공의 성격과 주인공이 사건을 주도하는방식, 결말 등이 다르게 전개되었다. <내 복에 산다>를 구연하는 여성화자는 딸면, 의 성공과 아버지의 반성에, 남성화자는 숯구이 총각의 출세에 관심을 기울인다. 남성화자 구연이 3편에 불과한 <구렁덩덩 신선비>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남성화자들은 구렁이의 출세와 가문의 보전을 위한 제사 등에 초점을 두고 있다. 반여성화자는 당대 여성에게 부과된 과중한 가사일, 처첩 갈등을 핍진하게 묘사한다. 특히, 오직 여성화자 전승만 보이는 <손 없는 색시>는 유교 가족 윤리의 근간이 되는 삼종지도와 남성의 명분에 저항하며, 아버지와 남편, 아들에 대한원망과 비판을 드러내고 있다. 당대 가부장제를 유지하기 위해 제시되었던 삼종지도의 원리를 토대로 볼 때, 세 작품에서 여성이 겪는 고난은 개인의 특수한 시련이 아니라 전통 사회 여성들이 집단적으로 경험했던 실재적 고통에 가까웠다. 여성화자들은 이들 설화를 구연하면서 자신의 서사를 작품에 투영하며 가부장제의 모순에 이야기로 대항하고, 한편으로는 여성으로서의 정체성을 찾고자 하는 의지를 표출했던 것이다. 이는 삶 자체가 남성에게 완전히 독립적이지 못했던 당대 여성들이 이야기 속에서, 이야기함으로써 자립하고 소통하고 치유하는 방편이 될 수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 KCI등재

        고려시대 진언기와 사례 검토

        차순철(Cha, Soon-Chul) 중앙문화재연구원 2021 중앙고고연구 Vol.- No.36

        경주지역에서 출토된 고려시대 명문기와 중 ‘옴소재진복와(唵消災進福瓦)’는 경주 월성 부근인 인왕동과 경주읍성 부근인 성동동 그리고 황성동 호원사지와 동천동 일대, 현곡면 나원리사지와 안강읍 갑산사지 등에서 출토되고 있다. 과거 이 명문기와는 통일신라시대 유물로 알려졌지만 발굴조사를 통해서 고려시대 중기에 사찰에서 사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과거 소개된 자료와 최근 출토된 명문와 내용을 살펴본 결과 과거에 판독된 ‘소재진복’의 앞쪽과 뒤쪽에서 각각 새로운 글자가 1자씩 추가로 확인되어서. 전체 내용은 ‘옴소재진복와’로 밝혀졌다. 그리고 그 내용은 불교진언으로 ‘옴(唵)’자를 첫 머리에 둔 “재앙이 소멸되고 복이 오는 기와”로 읽을 수 있다. 이 기와가 만들어진 시기는 고려시대 중기인 12세기 후반에서 13세기 초로 추정되며, 이 시기 유행하던 불교의식인 <소재도량(消災道場)>과 관련성을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이 명문기와는 불교진언을 기와에 새김으로써 그 부처의 힘으로 재앙을 막고자하는 의지를 나타낸 것으로 볼 수 있다. ‘옴소재진복와’ 명문기와는 경주 인왕동유적 2방 6호 건물지, 성동동유적 그리고 시내 주변에 위치한 안강 갑산사-현곡면 나원리사지-황성동 호원사 둥에서 사용한 모습이 확인되므로 경주 시내와 주변지역에 위치한 사찰들의 연결 관계를 살펴볼 수 있다. 또한 국내 유적에서 출토된 명문와 중 진언기와를 살펴본 결과 경주지역 외에도 지방의 여러 사찰에서 출토된 사례가 확인되므로 고려시대에는 소재도량을 통해서 재해를 막고자 기원하면서 함께 진언기와를 사용함으로써 그 공력을 빌었다고 생각한다. Among the inscribed roof-tiles of the Goryeo Dynasty excavated in Gyeongju region, the ‘Om Sojae Jinbok Tile (唵消災進福瓦)’ are found in Inwang-dong near Wolseong Fortress of Gyeongju, Seongdong-dong near Gyeongju Eupseong Fortress, Howonsa Temple site in Hwangseong-dong and Dongcheon-dong, a temple site in Nawon-ri, Hyeongok-myeonm and Gapsansa Temple site in Angang-eup. In the past, this inscribed tile was known as an artifact of the Unified Silla Dynasty. However, excavation surveys proved that it was used in temples during the mid Goryeo Dynasty. The examination of the materials introduced in the past and the details of the inscribed tiles excavated recently, discovered new letters, one before and the other after Sojae Jinbok (消災進福), and revealed the entire phrase, ‘Om Sojae Jinbok Wa (唵消災進福瓦)’. The phrase is from the words of Buddha and can be read as “Om, roof-tile that eradicates disaster and brings luck.” The Mantra roof-tile is presumed to have been produced between late 12th century and early 13th century, which is the mid Goryeo Dynasty. It has some association with a Buddhist rite called ‘Sojae Doryang (消災道場),’ which was prevalent at the time and intended to prevent disasters in the temple. In summary, this inscribed tile is an expression of the intent to prevent harms with Buddha’s power by inscribing the words of Buddha on the roof-tile. Also, it is deemed that an association could be found between Gapsansa Temple, the temple in Nawon-ri, Howonsa Temple, and the temples in Inwang-dong and Seongdong-dong in downtown Gyeongju area based on the fact that this inscribed roof-tile was shared among the temples in downtown Gyeongju and its peripheral areas. The examination of inscribed tiles excavated domestic sites, the ones with the words of Buddha in particular, such roof-tiles were found in various temples inside and also outside Gyeongju. All this indicates that people prayed for the prevention of harms through ‘Sojae Doryang’ and made roof-tiles inscribed with the words of Buddha to depend on Buddha’s power.

      • KCI등재

        『논어』에서의 명론(命論)의 함의와 그 위상에 대한 고찰

        李澤龍 ( Lee Taik-yong ) 한국유교학회 2012 유교사상문화연구 Vol.47 No.-

        본 논문은 『논어』에서의 명론의 학적 위상을 정당하게 자리매김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공자는 ‘知命’을 군자의 조건으로 제기하였다. 『논어』에 출현하는 ‘명’ 자는 대부분이 ‘運命義’로 사용되었으며 ‘지명’이란 ‘운명의 존재 사실과 운명을 바르게 받아들이는 법을 알고 실천함’이라는 의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지명이란 ‘세상사에 인간의 힘으로 어찌 할 수 없는 영역[운명의 영역]이 있음을 알지만 운명적 사태를 원망하고 슬퍼하지 않고 묵묵히 자신의 가치를 실현해 가는 자세’를 말하는 것이다. 따라서 지명은 단순한 인식이 아니라 실천이 포함된 개념이라 하겠다. 공자의 지명은 『서경』의 福善禍淫論의 붕괴에 따른 대안으로 제시된 것으로서 福德不一致의 관점에서 ‘天論, 修德論, 행복론 및 자유론’을 재구성하여 이전과 다른 새로운 철학적 지평을 연 것이다. 복선화음론이라는 거대이론이 무너진 자리를 메우는 새로운 이론이었고 견실한 수덕을 위한 필수적인 자세였다는 점에서 지명은 仁과 더불어 공자학을 구성하는 양대 축의 위상을 갖는다. 공자학은 ‘명론’이라는 하부구조와 ‘인론’이라는 상부구조로 구성된 것이다. This essay is aimed at scholarly proper evaluation of the controversy over destiny in Confucius Analects(『論語』). Confucius had proposed 'to know destiny'(知命). It means to know the fact there is destiny in man's life. And it also means to know how to face destiny and to live up to this basis. Confucius` proposal 'to know destiny' had appeared as an alternative of the theory the Heaven gives the good to the good man and the bad to the bad man that is described in Classic of Document(『書經』). He had opened a new philosophical realm from the view of the disharmony between virtue and luck. Confucius` proposal 'to know destiny' was as important as 'to be benevolent(仁)' but it has been neglected for a long time. So it has to be evaluated proper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