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Therapeutic Implication of Botulinum Toxin B for Treatment of Muscle Hypertrophy from In Vivo Study

        신터전,서광석,김현정,Shin, Teo-Jeon,Seo, Kwang-Suk,Kim, Hyun-Jeong The Korean Dental Society of Anesthsiology 2009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Vol.9 No.1

        배경: 보툴리눔 독소 A형은 강직성 질환을 비롯한 여러 질환의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 보툴리눔 독소 A형은 근육비대를 치료하기 위해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보툴리눔 독소의 근육비대의 치료효과에 대해서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본 연구는 토끼 정강뼈 근육에 보툴리눔 A, B형을 주입 후 시간경과에 따른 근육의 위축을 확인하여 근육비대의 치료에 보툴리눔 B형이 효과적인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36마리의 토끼를 4그룹으로 분류하였다(1 그룹: 생리식염수 주사: 2 그룹: 보툴리눔 독소 A, B - 2U, 3 그룹: 보툴리눔 독소 A, B - 5U, 4 그룹: 보툴리눔 독소 A, B - 10U). 정강뼈근육에 보툴리눔 독소 A, B형을 주입 후 1, 2, 4주에 정강뼈 근육의 부피를 측정하였다. 신경자극기를 이용하여 독소 주입 후 1, 2, 4주의 근육의 단일 수축을 확인하여 근육기능의 변화여부를 확인하였다. 결과: 보툴리눔 독소 B형을 주입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지만 A형에 비해 근육 부피의 감소가 관찰되었다(P>0.05). 반면, 근육의 단일 수축은 보툴리눔의 용량에 관계없이 B형을 주입한 근육에서 더 높게 관찰 되었다. 결론: 보툴리눔 독소 B형을 주입한 경우 근육 기능의 회복속도는 빠른 반면 근육의 위축은 A형에 비해 더 오랫동안 지속되었다. 따라서 근육비대의 치료에 있어 보툴리눔 독소 B형이 A형보다 보다 더 효과적이라고 사료된다.

      • KCI등재

        The Influence of Botulinum Toxin Type A Masticatory Efficiency

        박형욱,권정승,김성택,최종훈,안형준,Park, Hyung-Uk,Kwon, Jeong-Seung,Kim, Seong Taek,Choi, Jong-Hoon,Ahn, Hyung-Joon The Korean Academy of Orofacial Pain and Oral Medi 2013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Vol.38 No.1

        보툴리눔 독소는 Clostridium botulinum이라는 박테리아가 만들어내는 독소를 의료용으로 희석, 정제한 약제로서 이 독소가 시냅스 전 신경말단에 부착되어 신경근접합부에서 아세틸콜린의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근육의 수축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보툴리눔 독소 주사 요법은 구강안면 분야에서 저작근의 근경축, 근경련, 운동이상증, 측두하악관절질환, 근막통증, 이갈이, 특발성 교근비대증 또는 만성편두통을 비롯한 두통 등 다양한 질환에서 가역적, 보존적 치료법으로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사용 범위가 넓어지면서 교근이나 측두근 같은 저작근 부위에 주사를 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으며 그러한 경우 약제자체의 약리학적 작용에 의해 일시적인 근마비 및 근위축에 따라 저작기능에 변화가 생기게 된다. 하지만 지금까지 보툴리눔 독소 주사치료의 효과나 활용에 대한 연구만이 주를 이루었고 부작용 중의 하나인 저작기능 변화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몇몇 저작기능과 관련한 연구 또한 근전도 등을 이용한 정적인 상태의 저작력 감소에 대한 연구로, 실제로 동적인 저작 환경을 반영하는 저작 효율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전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총 40명의 건강한 성인환자를 대상으로 보툴리눔 A형 독소 주사 요법을 교근 부위에만 시술 받은 사람 과 교근과 측두근 부위 모두에 시술 받은 사람 각각 20명씩 두 군으로 나누어 주사를 시행하고, 주사 전과 주사 후 4주, 8주, 12주째의 저작 효율의 변화를 주관적 평가방법인 식품섭취능 (Food Intake Ability, 이하 FIA)과 저작 능력에 대한 주관적 인식도 (Visual Analogue Scale, 이하 VAS), 객관적 평가 방법인 Mixing Ability Test를 시행하여 알아보았다. 그 결과 보툴리눔 A형 독소 주사 후 4주 째에 저작효율의 뚜렷한 감소가 나타났으며 이후 서서히 회복되는 경향을 보였다. 주사부위를 달리하여 본 결과 교근과 측두근에 모두 주사를 시행하는 경우, 교근에만 주사를 시행하는 경우에 비해 주관적, 객관적인 값 모두 낮게 나타났다. 주관적인 값에 있어서 4주 째 유의하였으나 이후에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객관적인 값은 전 기간에 걸쳐 유의하지 않았다. 실험에서 정한 주사 용량에 대해서는 측두근까지 주사가 이루어지더라도 교근만 주사를 시행한 사람과 비교하여 저작효율의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식품성상에 따라 저작 효율을 살펴본 결과 보툴리눔 A형 독소 주사가 단단하고 질긴 음식 섭취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며 무르고 약한 음식의 섭취 시에도 유의할만한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확인 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aimed to evaluate the masticatory efficiency after botulinum toxin type A (BTX-A) injection during 12 weeks using objective and subjective test. Also, we compared the difference of masticatory efficiency between group that injected into the masseter muscle only (M-group) and group that injected into the masseter and temporalis muscle (M-T group). The mixing ability index (MAI) was used as the objective indicator, and visual analogue scale (VAS) and food intake ability (FIA) index were used as the subjective indicators. It was concluded that masticatory efficiency was significantly lowered after a BTX-A injection into the masticatory muscle, but it gradually recovered in a predictable pattern by the 12 weeks. The disturbance of subjective masticatory efficiency was lasted longer than objective masticatory efficiency. The masticatory efficiency was lower in M-T group than M group.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VAS and FIA at 4 weeks, but the MAI showed no significancy. After 4weeks, there was rapid recovery of muscle function in M-T group, and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as not significant.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re will be no serious disturbance of mastication compared to injection is done only into the masseter muscle, even if injection is done into the masseter and temporalis muscle in dose of this study. According to the food properties, it was confirmed that people feel more discomfort on taking hard and tough foods after BTX-A injection and not only hard foods, but also intake of soft and runny foods were influenced by botulinum toxin injection.

      • KCI등재

        편측성 교근비대 환자에서 편측 보툴리눔 독소 주사 후 안모의 변화

        차유림,김영건,김지현,심영주,김성택 대한턱관절교합학회 2011 구강회복응용과학지 Vol.27 No.2

        교근비대 환자들은 그들의 각진 턱을 심미적으로 개선시키기 위해 교근 두께를 줄이기를 희망한다. 과거엔 수술적인 방법이 널리 알려져 왔지만 최근 양측으로 주사하는 보톡스 시술이 수술에 비해 덜 침습적이기에 그 대안으로 관심이 대두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양측성 교근비대에서 양측에 동량을 주사하는 방법과 달리 편측성 교근비대 환자에서 보툴리눔 독소를 편측으로만 주입 후 삼차원 레이저스캐너를 이용하여 안모의 부피변화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삼차원 레이저스캐너를 이용하여 술전에 편측성 교근비대 환자 10명의 하안모 부피를 측정한 후, 편측으로 보툴리눔 A형 독소 주사 25U이 주사되었다. 주사 4주, 8주, 12주 후 같은 방법으로 하안모의 부피를 측정한 뒤 술전의 삼차원 사진과 중첩하여 변화된 부피를 측정하였다. 주사한 쪽의 부피는 술전에 비해 보툴리눔 독소 주사 4주, 8주, 12주 후 현저히 줄어들었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반면 주사안한 쪽의 부피는 특기할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편측성 교근비대 환자에서 편측 보툴리눔 독소 주사 후 주사한 쪽의 부피가 현저히 감소하여 근육성 비대칭 환자에서 편측 보툴리눔 독소 주사가 심미적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음성 및 후두 질환에서 A형 보툴리눔 독소의 적용

        장민지,이윤세,왕수건,이병주 대한이비인후과학회 부산,울산,경남 지부회 2012 임상이비인후과 Vol.23 No.1

        보툴리눔 독소가 인간에게 사용된 지도 20년 이상이 지났고 그 동안 상당히 많은 기록들이 안전성을 보장하고 있다. 후두 질환에 대해서 과거에 사용되던 침습적인 치료법에 비해 보툴리눔 독소가 증상 완화에 효과적이라는 연구들이 있으며 기존의 치료법에 반응을 보이지 않았던 질환에도 효과적이다. 음성질환에서도 보툴리눔 독소가 근본적인 치료가 되지는 않지만 증상 완화에 있어서 효과적이라는 많은 연구들이 발표되고 있을 뿐 아니라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앞으로도 계속 침습적인 시술들을 대체할 것으로 생각된다. 부작용과 효과에 대한 장기적인 연구들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더 다양한 질환에서 보툴리눔 독소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며 보다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만성 경직성 편마비 환자에서 보툴리눔 독소 근주입 후 상지 운동기능 개선 효과

        노세응,서은진,정복희,주민철 대한작업치료학회 2011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9 No.2

        목적 : 만성 경직성 편마비 환자에서 보툴리눔 독소 근 주입 후 상지 운동기능 개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뇌졸중 발병 후 12개월 이상이 경과된 만성기 편마비 환자 18명을 대상으로 환측 상지의 요측수근굴근, 척측수근굴근, 심지굴근, 천지굴근에 보툴리눔 독소를 각각 25 단위 주사하였다. 평가는 주사 전, 주사 2주 후와 8 주 후의 상지 기능 변화 및 동작 분석을 시행하였다. 상지의 경우 수정 에쉬워스 척도와 도수 근력 평가, 뇌졸중 상 지 기능 평가, 수지의 파악력 및 측면 집기력을 평가하였고 정량 분석을 위하여 3차원 동작 분석기를 이용하여 손 목관절의 최대 굴곡-최대 신전, 손바닥 두드리기, 검지 두드리기, 30cm 추적운동의 동작을 분석하였다. 결과 : 보툴리눔 독소를 주사 후 마비측 수지의 파악력, 측면 집기력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나 손목관절의 신 전, 수지의 신전 근력, 뇌졸중 상지 기능 평가에서 유의한 호전이 관찰되었다(p<.05). 3차원 동작 분석기를 이용한 상지 기능의 평가에서 손목관절 최대 굴곡-손목관절 신전 동작의 관절운동범위에서 유의한 호전이 관찰되었으며 손목관절 최대 굴곡-손목관절 신전 동작 및 손바닥 두드리기와 검지 두드리기 동작에서 진동수의 유의한 증가와 변이도의 유의한 감소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진폭의 유의한 증가가 관찰 되었다(p<.05). 결론 : 만성 경직성 편마비 환자에서 환측 상지에 대한 보툴리눔 독소 치료는 상지 운동기능 개선에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 KCI등재

        증례 : 소화기 ; 내시경적 보툴리눔 독소 주입으로 치료한 윤상인두근이상증 1예

        정교태 ( Kyo Tae Jung ),최홍규 ( Hong Kyu Choi ),이기병 ( Ki Byung Lee ),유정환 ( Jung Hwan Yu ),김지현 ( Jie Hyun Kim ),박윤길 ( Yoon Ghil Park ),이상인 ( Sang In Lee ) 대한내과학회 2010 대한내과학회지 Vol.79 No.3

        보툴리눔 독소는 아칼라지아, 당뇨병성 위마비, 오디괄약근 장애, 만성 항문치열 등 다양한 소화기 질환에 사용되고 있다. 윤상인두근 기능이상은 이전에는 기계적 풍선 확장술이나 윤상인두근 절제술로 치료하였으나, 최근 윤상인두근 내 보툴리눔 독소 주입에 의해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치료될 수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본 환자는 뇌졸중에 의한 윤상인 두근 장애로 연하곤란을 호소하였으며, 내시경적 보툴리눔 독소주입 이후 호전을 보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Botulinum toxin has been used to treat various gastrointestinal tract diseases such as achalasia, diabetic gastroparesis, sphincter of oddi dysfunction, and chronic anal fissures. Recently, it has also been used for the treatment of cricopharyngeal muscle dysfunction. Several studies have reported that botulinum toxin injections may be a safe and effective treatment. Previously, cricopharyngeal muscle dysfunction was treated by mechanical balloon dilation or cricopharyngeal myotomy. Here, we report a case of a 57-year-old man who presented with cricopharyngeal dysphagia due to cerebral infarction and who was successfully treated with endoscopic botulinum toxin injection. (Korean J Med 79:301-305, 2010)

      • KCI등재
      • KCI등재

        경련성 발성장애 환자의 의사소통태도 연구

        최성희(Seong Hee Choi),심현섭(Hyun Sub Sim),최흥식(Hong Shik Choi)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4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9 No.3

        본 연구는 경련성 발성장애 환자의 의사소통태도를 평가하기 위해 한국판 의사소통태도의 표준화를 위한 예비검사문항(심현섭.신문자, 2002)을 이용하여 성과 연령이 비슷한 정상 집단 37명과 37명의 내전형 경련성 발성장애 환자의 의사소통태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경련성 발성장애 환자 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부정적인 의사소통태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목별로 볼 때 집단 간 가장 큰 차이를 보인 것은 말할 때의 불안감이 가장 컸으며, 자신의 말에 대한 부정적인 자기인식, 말에 대한 회피나 청자의 반응, 낮은 자아상, 대인관계에 대한 어려움 등이 경련성 발성장애 환자의 주된 의사소통태도로 나타났다. 또한 경련성 발성장애의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보틀리눔독소 주입술 시 단기간 내의 치료 결과에 따른 의사소통태도의 변화를 보기 위하여 경련성 발성장애 환자 중 보툴리눔독소 주입술 치료 경험이 전혀 없는 9명을 대상으로 보툴리눔독소 주입술 전과 1개월 후 의사소통태도를 비교한 결과, 보툴리눔독소 주입술 후 환자 대부분이 부정적인 의사소통태도가 감소하여 말 개선이 의사소통태도에 변화를 줄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따라서 경련성 발성장애 환자의 의사소통태도평가는 객관적인 검사와 더불어 치료의 효과를 검증하는 데 유용한 검사도구임이 입증되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mmunication attitude for adductor spasmodic dysphonia(ADSD). Thirty seven ADSD female patients(mean age: 31.3 yrs) and thirty seven age-matched normal females(30.8 yrs), participated in the study. Each subject was asked to be interviewed and respond to the Korean Communication Attitude Scales(2002). The severity of tremor and breathiness was measured by 2 experienced speech-language pathologists using a visual analog cales(10㎝). The comparison of communication attitude was analyzed with an independent t-test and each item’s response between the 2 groups was analyzed with Fisher’s test. The major findings from this study were: (1) The total score of ADSD group was higher than normal group(p<.05) and the ADSD group had more negative communication attitude than the normal group. (2) Most of the item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2 groups, and item 24 was especially the most prominent. (3) The adjusted total scores as a function of severity within the ADSD groups showed the severe ADSD group was significant highest(F = 4.571, p < .05). (4) The adjusted total scores as a function of the frequency of Botox injection did not show any difference(F = .568, p < .05). (5) Communication attitude after Botox injection treatment was changed to the decreased negative communication attitude than before the injection. Botox injection treatment is useful for the positive attitude of communication. But repeated injections, the breathy voice for the side-effect, the expectancy level of treatment effect, the maintenance period, and patients satisfaction all affect the long-term communication attitude of ADSD patients. Consequently, the evaluation of communication attitude is useful to prove the treatment efficacy for ADSD.

      • KCI등재

        성장기 쥐의 편측 교근에 주사한 보툴리눔 A형 독소가 하악골 성장에 미치는 영향

        곽소연,박기태,김지연 大韓小兒齒科學會 2009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6 No.3

        성장 시기가 다른 쥐의 편측 교근에 보툴리눔 A형 독소를 주사하여 하악골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각기 다른 주령의 쥐(N=36, 1군: 4주령, 2군: 5주령, 3군: 6주령)를 대상으로 실험을 시행하였으며 각 군은 다시 대조군, 편측주사군, 양측주사군으로 나누어 하악골의 길이를 계측하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1군에서 편측주사군의 주사측과 양측주사군 모두 하악체 길이, 과두 높이가 대조군 보다 낮은 값을 보였다(p<0.05). 2. 2군에서 편측주사군의 주사측과 양측주사군 모두 하악 전방부 높이와 과두높이에서 대조군 보다 낮은 값을 보였다(p<0.05). 3. 3군에서 편측주사군의 주사측과 양측주사군 모두 하악체 길이와 과두 높이, 과두돌기 높이가 대조군 보다 낮은 값을 보였다(p<0.05). 4. 세 군 모두 편측주사군의 양측 비교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주사측은 대조측 보다 낮은 계측값을 보이는 경향이 관찰되었다(p>0.0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 on mandibular growth of botulinum toxin type A(BTXA) injection into the unilateral mass ester muscle of growing rats at three different growing stages. Thirty six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age(group 1: 4 week-old, group 2: 5week-old, group 3: 6week-old). Then each group was randomly divided into 3 subgroups(control group, unilateral injection group, bilateral injection group). Experimental animals were sacrificed after 4 weeks. Then the jaw measurements were evalua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group 1, mandibular body length, condylar height and coronoid process height of the unilateral group(BTXA side) and the bilateral group were short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p<0.05). 2. In the group 2, anterior region height, condylar height, coronoid process height of the unilateral group(BTXA side) and the bilateral group were short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p<0.05). 3. In the group 3, mandibular body length, condylar height, coronoid process height of the unilateral group(BTXA side) and the bilateral group were short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p<0.05). 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andibular measurements between the control side and the injection side in the unilateral group in all age groups(p>0.0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