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조용언(補助用言)의 판별(判別) 기준(基準)과 통사구조(統辭構造)의 상관관계(相關關係)에 대한 연구(硏究)

        조경순(曺炅舜) ( Jo¸ Kyung-sun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1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9 No.3

        보조용언은 본용언의 상대적 용어로 合成動詞·連續動詞 구성과 구분하기 위해 판별 기준이 설정되었다. 그러나 일부 판별 기준은 특성과 동일한 순환론적 문제가 있으며 보조용언 구문의 통사구조에 의해 발생하는 통사적 현상이 판별 기준에 포함되는 문제가 있다. 內的 非分離性(내적 비분리성), 分離 代用性(분리 대용성), 倒置 不可(도치 불가), 先語末語尾(선어말어미) 결합 위치 제약 등의 판별 기준은 보조용언의 통사적 결합과 통사구조에서 기인한 현상으로 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보조용언 구문의 필수논항 수에 따라 통사구조를 분석하고 각 구문을 통합할 수 있는 통사구조를 설정한다. 통사구조에 의해 선행 어미 교체 및 삽입에 관한 내적 비분리성은 CP의 핵인 어미가 V´와 결합에 의한 것으로, 本用言과 補助用言의 代用性(대용성) 및 도치 불가는 계층적 결합 구조에 의한 것으로, 선어말어미 결합 위치 제약도 AVP 아래에 CP가 위치하며 발생하는 통사적 현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보조용언 구문의 통사구조를 통해 보조용언의 판별 기준을 개별적 현상이 아니라 보조용언의 통사적 결합에 따른 통사적 현상으로 이해할 수 있다. Auxiliary verbs are defined relative to main verbs, and the criteria for distinguishing them from compound verbs and continuous verbs have been established. There is a problem that some criteria are identical to characteristics and the phenomenon caused by the syntactic structure of auxiliary verbs is included in the criteria.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al non-separability, separability substitution, inversion impossibility, and constraints on the position of the first and last endings are the phenomena of syntactic structure according to the syntactic bonding layer of auxiliary verbs. In this paper, the syntactic structure was analyzed and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essential arguments in the auxiliary verb syntax. Since there are sentences in which the auxiliary verb requires an argument, the auxiliary verb is combined after the main verb is combined with its ending. Internal inseparability is due to the combination of the suffix V′, which is the nucleus of CP, and the substitution and inversion of the main and auxiliary verbs are due to their hierarchical bonding structure. Through the syntactic structure of auxiliary verbs, it can be seen that the criterion for discrimination of auxiliary verbs is not a unitary phenomenon, but reflects syntactic phenomena arising from the syntactic combinations of auxiliary verbs.

      • 한국어 보조용언 구문표현 비교 연구 -의도ㆍ희망 표현을 중심으로-

        리옌 국어교과교육학회 2017 국어교과교육연구 Vol.29 No.-

        본고는 중국인 학습자에게 많은 혼동을 주는 의지․희망을 나타내는 보 조용언 구문표현의 의미적 특성과 통사적 제약을 알아보고 각각의 보조용 언 구문표현을 비교해 의도․희망표현 간의 차이점 찾아냈다. 각각 표현 간 의 미묘한 의미 차이 정리했을 뿐만 아니라 각각 표현이 어떤 경우나 상황 에서 쓰이는지를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된 보조용언을 찾아내 어 보조용언과 결합하는 선행 문법요소를 살펴본 후 보조용언 구문표현의 목록을 정리하였다. 보조용언 구문표현을 의미에 따라 분류하였다. 3장에서는 의도․희망표현 간의 차이점 찾아냈다. 각각 표현 간의 미묘 한 의미 차이 정리하고 각각 표현이 어떤 경우나 상황에서 쓰이는지를 제 시하였다. 본고는 의지․희망을 나타내는 보조용언 구문표현의 비교 연구로서 외국 인 학습자에게 보조용언 구문표현에 대한 학습 및 사용상의 어려움을 해결 하는 데에 도움이 있다. 향후 보조용언 구문표현에 대해 더 깊이 있게 연구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n the case of Chinese students studying the Korean language, there is noted confusion in regards to the use of auxiliary sentence structure used in statements of will and that which is used in statements of hope. Therefore, this study has the stated purpose of finding the characteristics and boundaries of these two auxiliary sentence structures through comparison and ascertaining the varied structural differences that may exist between the two. The second section of this study, ‘An Unabridged Dictionary of Standard Terms’, is a comprehensive directory of the aforementioned auxiliary sentence structures, which was prepared after carefully considering all possible auxiliary structures used in to state will or hope as well as the varied sentence endings related to the target language. This directory is separated according to the various auxiliary structures ’ meaning. In the third section of this study the various differences between auxiliary sentence structure used to in statements of will and that which is used in statements of hope were determined. All of the diverse subtleties between the two structures were determined and presented. In addition the situations in which each structure may be used has been presented. This study in regards to the differences between auxiliary structures for statements of will and those for statements of hope will prove to be a great help in addressing the difficulties that students currently face in this area. It is hoped that after this study there will continue to be more detailed research in this particular area of study. Key

      • KCI등재

        補助用言 構文의 統合 關係: 實驗 言語學的 接近-‘-고 말-’ 구문을 중심으로 -

        명정희(明廷姬) ( Myeong Jeong-hee ),구호정(具湖定) ( Koo Ho-jeong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4 어문연구(語文硏究) Vol.52 No.1

        한국어 보조용언 구문은 두 개 이상이 통합되어 나타날 수 있는데 통합 관계에 대한 직관이 논자에 따라 상이한 경우가 많아 통합 관계를 논의하기 쉽지 않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고 말-’ 구문을 중심으로 보조용언 구문 통합 관계의 실재를 실험을 통해 확인한 후, 한국어 보조용언 구문의 통합 제약에 대한 이론적 설명을 제시하였다. 한국어 모어 화자들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고 말-’ 구문은 대체로 다른 보조용언 구문들과 통합할 때 후행하는 것이 선호되는데, ‘-을 수 있-’ 구문과 통합할 때에는 ‘-고 말-’ 구문이 선행하는 것이 선호되었다. 이는 ‘-고 말-’ 구문이 표현적 의미로 해석될 때 넓은 영향권을 가져 생기는 ‘후행성 제약’으로 설명할 수 있다. 한편 ‘-고 말-’ 구문은 양태 구문 ‘-고 싶-’, ‘-어야 하-’와 진행상의 ‘-고 있-’ 구문과 통합할 때에는 순서에 따라 수용성이 크게 달라지지 않으며 전반적으로 수용성이 낮게 나타났다. 이는 ‘-고 말-’ 구문의 ‘종결성 제약’으로 설명할 수 있다. In Korean, auxiliary verb constructions can occur with two or more integrated constructions, leading to varying intuitions in scholars’ judgments of the acceptability of examples. This study examines the syntagmatic order of auxiliary verb constructions, focusing on the ‘-go mal-’ construction, and provides theoretical explanations for the integration constraints of Korean auxiliary verb constructions. The results of experiments conducted with native Korean speakers indicate a preference for the ‘-go mal-’ construction to be post-positioned when integrating it with other auxiliary constructions, whereas pre-posing is preferred when it is integrated with the ‘-eul su iss-’ construction. This preference can be explained by the “posteriority constraint” that arises when interpreting the ‘-go mal-’ construction in terms of expressive meaning. Conversely, the ‘-go mal-’ construction shows less sensitivity to order when integrated with modal constructions such as ‘-go sip-’ and ‘-eoya ha-’, and with the progressive aspect ‘-go iss-’, exhibiting low acceptability overall. This phenomenon arises from the ‘-go mal-’ construction presupposing a telic event, which can be explained by the “termination constraint.”

      • KCI우수등재

        ‘NP1이 NP2 V고 싶다’ 구문의 구성과 NP2 조사 교체 연구

        조경순 국어학회 2018 국어학 Vol.0 No.86

        보조용언은 본용언과 결합하는 명사구에 통사·의미적 변화를 가져오지 않으나 ‘싶다’ 보조용언 구문에서는 조사 교체 현상이 나타난다. 이는 다른 보조용언 구문과 구분되는 특징적인 현상이다. 이 논문에서는 보조용언 ‘싶다’가 포함된 ‘NP1이 NP2 V고 싶다’ 구문의 구성과 NP2에 나타나는 조사 교체 현상을 살펴본다. 이 논문은 ‘싶다’ 구문의 구문론적 특성에 의해 조사 교체가 일어난다고 보며, 교체되는 조사의 의미적 특징과 구문의 의미를 살핀다. ‘싶다’는 문법화가 되면서 다른 문장성분과 어울려 ‘NP1이 NP2 V고 싶다’ 구문을 형성하고 문장에 구문의 고유 의미인 [바람]을 투사한다. 문장 성분들과 상호작용하며 대상에 [선택 지정]을 부여하기 위해 조사 교체 즉 ‘에, 에서’가 ‘을’로, ‘을’이 ‘이’로 바뀔 수 있다. 그리고 조사 교체 전후의 문장의 서술구조, 논항, 의미역과 같은 통사적 변화가 없으므로, 교체되는 ‘이/가’, ‘을/를’을 의미역 조사로 본다. 다시 말해, ‘싶다’ 구문에서 대상에 더 주관화된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 ‘이/가’나 ‘을/를’로 교체되면 [선택 지정]의 의미가 나타난다.

      • KCI우수등재

        보조용언화의 통사론 -‘주다’ 구문을 중심으로-

        이정훈,명정희 국어국문학회 2023 국어국문학 Vol.- No.203

        Main verbs develop into auxiliary verbs through grammaticalization, and from a syntactic point of view, the grammaticalization toward auxiliary verbs can be identified through these two changes: a change in argument realization and a change in syntactic structures. First, a change of argument realization. Main verbs goes through the elimination of semantic roles, resulting in an empty argument position, which is filled with another semantic role or extinguished to comply with the principle of full interpretation. In the case of the ‘juda’(give), the recipient role is eliminated, and the beneficiary role fills the resulting empty argument position, or the empty argument position is extinguished. In particular, the disappearance of the empty argument position means that ‘juda’(give) has developed into a pure benefactive marker. Next, a change of the syntactic structure. The syntactic structure changes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argument realization, and as a result, the auxiliary verb ‘juda’(give) comes to have three different types of syntactic structures - serial verb structure, clausal complement structure, and pure benefactive marker structure. 본용언은 보조용언화를 거쳐 보조용언으로 발달하며, 통사적 관점에서 보조용언화는 논항 실현에서의 변화와 통사구조에서의 변화, 이 두 가지 변화를 통해 그 정체를 파악할 수 있다. 먼저, 논항 실현의 경우, 본용언은 보조용언화하며 의미역 탈락을 겪으며, 그 결과 공허한 논항 자리가 나타나게 되는데, 공허한 논항 자리는 완전 해석 원리를 준수하기 위해 의미역으로 채워지거나 소멸된다. ‘주다’ 구문에서는 수령자 의미역이 탈락하고 그로 인해 나타나는 공허한 논항 자리를 수혜주 의미역이 채우기도 하고, 공허한 논항 자리가 소멸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는데, 공허한 논항 자리 소멸은 순수 수혜 표지 ‘주다’의 발달로까지 이어진다. 다음으로, 통사구조는 논항 실현의 변화에 맞추어 변화하는데, 그 결과 보조용언 ‘주다’는 연속동사의 통사구조, 절을 논항으로 취하는 통사구조, 그리고 순수 수혜 표지의 통사구조, 이 세 가지 통사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 KCI등재

        ‘V고 싶다’ 통사 구조 분석

        이정민 우리말학회 2024 우리말연구 Vol.77 No.-

        본고에서는 ‘V고 싶다’ 구문의 통사·의미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V고 싶다’는 ‘NP2을/를 V고 싶다’와 ‘NP2이/가 V고 싶다’ 등의 형태로 실현되는데 전자는 보조 용언 구문이지만, 후자는 보조 용언 구문, 합성 용언 구문, 복합어 구문 등으로 논란이 있었다. 이러한 ‘V고 싶다’ 구문들의 유사성과 특수성을 밝히기 위해 우선 ‘NP2을/를’과 구별되는 ‘NP2이/가’의 특성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NP2이/가’와 ‘NP2을/를’은 문장의 필수 성분으로 기능하며 대상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그러나 ‘NP2이/가’는 서술어와 분리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보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고 싶다’의 특성을 살펴보았는데, ‘NP2이/가 V고 싶다’는 뒤의 ‘싶다’가 통사 의미적으로 핵이라고 할 수 없으므로 접사의 속성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코퍼스 검색을 통해 ‘NP2을/를 V고 싶다’와 ‘NP2이/가 V고 싶다’의 문형을 점검하였는데 ‘V’가 ‘먹다’, ‘보다’, ‘듣다’ 등과 같이 인간의 생리적, 원초적 본능을 나타내는 동사일 때 ‘NP2이/가 V고 싶다’의 형태로 잘 나타난다. 특히 ‘먹다’, ‘보다’는 ‘NP2을/를 V고 싶다’보다 ‘NP2이/가 V고 싶다’로 더 많이 실현된다. 이 동사들은 다른 동사들보다 인간의 욕구나 욕망을 잘 표현하므로 ‘-고 싶다’와 어울려 심리 형용사로 전성될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따라서 ‘V고 싶다’ 구문은 보조 용언 구문으로 기능할 때도 있지만, 인간의 기본 생리적 욕구를 표현한 구문에서는 심리 형용사로 기능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두 가지 유형의 통사 구조에 대해 제안하였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yntactic and semantic features of the construction ‘V -go Siphta' in Korean. The construction ‘V-go Siphta' manifested in forms such as ‘NP2 Ul/Lul V-Ko Siphta' and ‘NP2 I/Ka V-go Siphta' has been a subject of debate. To elucidate the similarities and peculiarities of these ‘V-go Siphta' constructions, an analysis was first conducted on the distinguishing features between ‘NP2 Ul/Lul' and ‘NP2 I/Ka'. Both function as essential components of a sentence, indicating the object. However, ‘NP2 I/Ka' exhibits similarities to an object complement in its difficulty to separate from the predicate. In the case of ‘NP2 I/Ka V-go Siphta', the ‘Siphta' has properties similar to an affix. Based on this analysis, corpus searches revealed that when the verb ‘V' corresponds to sensory verbs such as ‘Mekta' (to eat), ‘Pota' (to see), and ‘Tutta' (to hear), the construction ‘NP2 I/Ka V-go Siphta' is more prevalent than ‘NP2 Ul/Lul V-go Siphta'. Verbs that effectively reflect human desires and longings are more likely to be combined with ‘-go shifta' to develop into psychological adjectives. Thus, while the ‘-go-sifta' structure can function as an auxiliary verb structure, it can also function as a psychological adjective in sentences containing verbs that reflect physiological and primal desires.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two types of syntactic structures to explore further.

      • KCI등재

        ‘(-어)하다’와 ‘(-어)지다’의 접어성 연구

        문석경,김양진 우리어문학회 2017 우리어문연구 Vol.58 No.-

        This paper discusses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the 'cliticness' of these two following phrases, focusing on 'problems of word spacing' and 'problems of separation possibility' with respect to '-ə hada' phrase' and '-ə jida' phrase.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key points discussed in this paper. First, '-ə hada' phrase is a sentence structure term that is more restrictive than '-ə jida' phrase, but is more productive than '-ə jida' phrase. It is likely to be less restrictive in separability. Second, The phrase '-ə jida' phrase has a wide range of predicates that it can be combined with. However, it is not as productive as the '-ə hada' phrase, and is 'more restrictive' in the condition of attachment by auxiliary verb construction. In other words, from the viewpoint of clitic, the Korean '-ə hada' phrase' syntax is more likely to be a 'clitic' (ie, 'middle clitic'), And the '-ə jida' phrase statement is understood as a phrase with more clitic attributes (ie, stronger clitic') because the combining condition is tight and the separability is very restrictive. 본고는 ‘(어)하다’ 구문과 ‘(-어)지다’ 구문에 대한 ‘띄어쓰기 문제’와 ‘분리가능성 여부의 문제’를 중심으로 이 두 구문의 ‘접어성’에서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논의하였다. 본고에서 논의된 내용의 핵심을 간략히 부연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하다’ 구문은 ‘(-어)지다’ 구문에 비해 결합할 수 있는 선행용언은 제약적이지만 생산적이어서 ‘(-어)지다’ 구문보다 더 많은 조건에서 보조사와의 결합가능성이 높아, 분리 가능성에서 ‘덜 제약적’이다. 둘째, ‘(-어)지다’ 구문은 ‘(-어)하다’ 구문에 비해 결합할 수 있는 선행용언의 범위가 넓지만 보조사에 의한 결합 조건에서 ‘더 제약적’이다. 다시 말하면, 접어성의 관점에서 볼 때, 한국어의 ‘(-어)하다’ 구문은 일반적인 보조용언 구성에 비해 결합가능성이 높지만 분리가능성이 있어서 ‘덜 접어적’인 속성(즉, ‘중간적인 접어성’)을 지니며, ‘(-어)지다’ 구문은 결합 조건이 긴밀하고 분리가능성이 매우 제약적이어서 ‘더 접어적’인 속성(즉 ‘더 강한 접어성’)을 가진 구문으로 이해된다는 것이다.

      • KCI등재

        `(-어)하다`와 `(-어)지다`의 접어성 연구

        ( Men Sokkeang ),김양진 ( Ryangjin Kim ) 우리어문학회 2017 우리어문연구 Vol.58 No.-

        본고는 `(어)하다` 구문과 `(-어)지다` 구문에 대한 `띄어쓰기 문제`와 `분리가능성 여부의 문제`를 중심으로 이 두 구문의 `접어성`에서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논의하였다. 본고에서 논의된 내용의 핵심을 간략히 부연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하다` 구문은 `(-어)지다` 구문에 비해 결합할 수 있는 선행용언은 제약적이지만 생산적이어서 `(-어)지다` 구문보다 더 많은 조건에서 보조사와의 결합가능성이 높아, 분리 가능성에서 `덜 제약적`이다. 둘째, `(-어)지다` 구문은 `(-어)하다` 구문에 비해 결합할 수 있는 선행용언의 범위가 넓지만 보조사에 의한 결합 조건에서 `더 제약적`이다. 다시 말하면, 접어성의 관점에서 볼 때, 한국어의 `(-어)하다` 구문은 일반적인 보조용언 구성에 비해 결합가능성이 높지만 분리가능성이 있어서 `덜 접어적`인 속성(즉, `중간적인 접어성`)을 지니며, `(-어)지다` 구문은 결합 조건이 긴밀하고 분리가능성이 매우 제약적이어서 `더 접어적`인 속성(즉 `더 강한 접어성`)을 가진 구문으로 이해된다는 것이다. This paper discusses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the `cliticness` of these two following phrases, focusing on `problems of word spacing` and `problems of separation possibility` with respect to `-□ hada` phrase` and `-□ jida` phrase.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key points discussed in this paper. First, `-□ hada` phrase is a sentence structure term that is more restrictive than `-□ jida` phrase, but is more productive than `-□ jida` phrase. It is likely to be less restrictive in separability. Second, The phrase `-□ jida` phrase has a wide range of predicates that it can be combined with. However, it is not as productive as the `-□ hada` phrase, and is `more restrictive` in the condition of attachment by auxiliary verb construction. In other words, from the viewpoint of clitic, the Korean `-□ hada` phrase` syntax is more likely to be a `clitic` (ie, `middle clitic`), And the `-□ jida` phrase statement is understood as a phrase with more clitic attributes (ie, stronger clitic`) because the combining condition is tight and the separability is very restrictive.

      • KCI등재

        ‘주다’ 授與構文과 受惠構文의 意味와 論項構造

        이정훈,명정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2 어문연구(語文硏究) Vol.50 No.2

        명정희·이정훈, 2022, ‘주다’ 수여구문과 수혜구문의 의미와 논항구조, 어문연구, 194 : 5~28 우리말에서 ‘주다’는 수여구문과 수혜구문을 형성하며 일반용언과 보조용언의 두 가지 자격을 지닌다. ‘주다’는 일반용언으로 사용될 때 행위주역, 대상역, 수령자역을 요구한다. 이때 수령자는 대상을 소유한 자로 해석되어 대상이 이동한 착점인 도달점과 구분된다. ‘주다’는 동사 뒤에 결합하여 ‘-어 주다’ 연속 동사 구문을 형성하기도 한다. 이때 ‘주다’와 같이 ‘NP에게’를 논항으로 가지는 ‘던지다’류의 동사와 결합하면 ‘주다’는 ‘소유 이전’의 의미로 해석된다. 이와 달리 ‘읽다’와 같은 동사 뒤에 ‘-어 주다’가 결합하면 대상의 의미가 개체가 아니라 사건으로 해석되어 수령자가 사건의 결과 상황에 놓인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어 주다’ 수혜구문은 ‘NP에게’를 도입하지 않고 ‘NP을/를 위해’로 실현되는 수혜주를 논항으로 취한다. 이때 수혜주는 행위주의 행위 목적이자 동기로 해석되며 논항 중에서도 당연 논항으로 분석된다.

      • KCI등재

        한국어 '싶다'의 범주 및 특성

        천성호 한국현대언어학회 2020 언어연구 Vol.3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categories and functions of ‘sipda’ and to describe specific syntactic‧semantic characteristics for each typ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syntagmatic relation of ‘sipda’. In particular, the emphasis was placed on semantic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As for the auxiliary predicate ‘sipda’ which has traditionally been studied to have the same meaning as [hope], we also confirmed that the auxiliary predicate ‘sipda’ has such a meaning characteristic. In addition, the meaning of [negative assurance] was newly proposed for ‘sipda’ to be classified as a modal predicate, unlike the previous studies. 본 연구는 한국어 ‘싶다’의 범주 및 기능 등에 대하여 전반적인 특성을 살펴보고, ‘싶다’의 결합 관계 분석을 바탕으로 유형별 구체적인 통사적·의미적 특성을 기술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의미적 특성에 중점을 두어 서술하고자 하였다. 보조 용언 ‘싶다’에 대해서는 전통적으로 [희망]과 같은 의미가 나타나는 것으로 연구되었는데, 본고 역시 보조 용언 ‘싶다’에 그러한 의미 특성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더하여 본고에서 양태 용언으로 분류한 ‘싶다’에 대해서는 기존 논의들과 달리 [소극적 확신]이라는 의미를 새롭게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