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려세계>의 서사 구성방식과 그 의미

        이지영 동아시아고대학회 2016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44

        <고려세계>는 6대 선조들의 개별서사가 전체의 이야기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이 신화는 고대 건국신화와 다른 서사적 진행과 구성방식을 보여준다. 본고는<고려세계>의 이러한 서사 구성방식의 특징이 어떠한지 규명하기 위하여 작성되었다. 그리하여 필자는 6대 선조들의 개별서사가 단일하고 독자적인 서사적 완결성을 갖고 있으며, 이들 개별서사가 따로 독립한 것이 아니라 전체 이야기 차원에서도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밝혔다. 본고의 논의의 핵심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6대조의 각 선조의 이야기, 곧 개별서사가 ‘한 개인의 일생사를 구성하는 네 개의 서사단락’을 모두 갖고 있는 ‘단일하고 독자적인 완결성’을 지니고 있었다. 이를 <고려세계>가 보여주는 첫 번째 서사 구성방식의 특징으로 간주하였다. 다음으로, 이들 전체 차원의 서사 구성상 특징을 살폈다. 그 결과 1) 예언하는 인물과 이를 재확인하는 인물들의 반복 등장, 2) 공간의 병렬적 전개와 초점화, 3) 사건의 계기적 전개와 초점화 등을 추출하였다. 특히 ‘거주지의 이동과 정착·건축’과같은 공간은 병렬적으로 전개되고, 이와 관련된 사건들은 계기적으로 전개되고 있음이 주목되었다. 그리고 공간과 사건의 두 측면이 모두 ‘왕건의 탄생’으로 귀결되는 구성방식을 구사하고 있었다. 필자는 이러한 전개방식이 전체 이야기가 고도의서사전략에 입각하여 제작되었음을 말해주는 것이라고 판단한다. 아울러 이러한서사전략은 결국 ‘왕건 가문의 세거지와 고려 도읍지’로서 송악(개경)이 갖는 천정성과 유구성을 부각하면서, 송악에서의 정착과 건축을 통해 태어난 태조 왕건 탄생의 신성성과 필연성을 동시에 과시하려는 목적 하에 안출되었다고 믿는다. <Goryeosegye(高麗世系)> is the Goryeo’s foundation myth. Stories of six generation’s ancestors constitute it’s whole story. So this myth shows a particular narrative developments and the method of composition that is different from a state-founding myth. This paper tries to investigate what methods of narrative composition are, and explore what those characteristic s display meanings. I can summarize the main findings as below : First, stories of six generation’s ancestors, that is, six sub stories is made up of four epic paragraphs. And each story has a single and individual completion. I regard those completion as a first characteristic of the method of narrative composition. Next, characteristics of the method of narrative composition on a whole story level can be summarized in three aspects : 1) a repeated appearance of the characters who predict and certify those predicts, 2) a parallel development of spaces and it’s focalization, 3) a connective development of events and it’s focalization. Especially, I observe that such events that characters move places of residence and build a house round paratactic, and simultaneously such events unfold connective. And such spaces and events are connected with a birth of Taejo Wang-geon(太祖王建) in the end. I also point out that <Goryeosegye> is produced under the advanced narrative strategic. Also I understand that this result is caused by the political purpose of the makers of <Goryeosegye>. Therefore, they have accentuated the providence and eternity of ‘Songak(松嶽)’ where were the residence of the Wang-geon family and the seat of Goryeo Dynasty. Also particularly they have wanted to emphasize the sacredness and inevitability Taejo Wang-geon who was born in ‘Songak’.

      • KCI우수등재

        최국철 장편소설 연구

        최병우(Choi, Byeong-woo) 국어국문학회 2016 국어국문학 Vol.- No.176

        본고는 고향 이야기를 통해 조선족의 역사와 현실을 소설화한 최국철의 대표작 <간도전설>과 <광복의 후예들>을 대상으로 그의 문학적 특징을 살피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간도전설>은 만주국 시절 조선인들의 이상촌을 건립하려다 현실적 제약에 의해 실패하는 비극적인 역사를 그리고 있다. 또 <광복의 후예들>은 중국공산당에 의해 토지개혁이 진행되는 시기 조선인 농민들이 경험한 역사적 현실들을 이념적 색채 없이 그려낸다. 이들 작품은 작가의 고향 마을 사람들이 경험한 크고 작은 사건들의 이야기이면서 조선족의 삶과 역사의 기록이라는 의의를 지닌다. <간도전설>은 조선인들이 꿈꾼 조선인 이상촌의 건립이 한인 지주의 방해와 일제의 탄압으로 파멸하는 과정을 극적 구성을 통해 전개하고 있다. 반면 <광복의 후예들>은 토지개혁을 둘러싸고 남대천 마을사람들이 경험한 일들을 시간 순서에 따라 이야기하는 병렬적 구성을 사용하였다. 두 작품이 남대천 사람들의 이야기를 소설화 하면서 소설 구성 상 차이를 보인 것은 작가가 작품의 시간적 배경과 시대 상황을 고려해 소설 내의 갈등 구조를 강화해야 할 것인지 약화해야 할 것인지를 고민한 결과이다. 이들 작품에는 연변 방언이 매우 적극적으로 사용되어 사실성과 향토성이 두드러지는 효과를 보고 있다. 또 작중인물이 연변 방언을 사용하여 조선족의 삶과 역사를 보여주고자 한 이들 작품에 진실성을 확보하게 해주었다. 이렇듯 작가가 두 작품에서 연변 방언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것은 고향 이야기를 통해 조선족의 역사를 형상화하려는 작가의 전략적 실천이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hoi Guk-cheol’s major novels of Gando Legend(간도전설) and Descendants of the Independence(광복의 후예들) that novelized the history and reality Korean-chinese through hometown stories. Gando Legend depicted a tragic history of Choseon people in Manchuria who tried to establish an ideal village for themselves but failed to do so due to restrictions of the reality. Descendants of the Independence also depicted historical realities that the author’s hometown villagers experienced without ideology colors in a period when land reform was conducted by the Chinese Communist Party. These works are composed of small and big stories that the author’s hometown villagers experienced and they are meaningful in that they are the records of Korean-chinese Through dramatic structure, Gando Legend unfolded the process of the establishment of an ideal village for Choseon people being destructed by Chinese landowners’ disturbance and Japanese oppression. On the other hand, Descendants of the Independence used a parallel structure that elaborated stories of experiences of villagers in Namdaecheon in a sequence of time surrounded by land reform. The reason that the two works showed a difference in novel composition as they novelized stories of villagers in Namdaecheon was the results of the author’s agony with which the author was hesitating about whether to ascend or to descend the conflict structure within the novels in consideration of periodic background and situations of the times. Korean dialect in Yanbian China was aggressively employed in these works, which clearly brought out the factuality and locality. Also, the fact that characters in the works used Yanbian dialect shows the truthfulness of these works which endeavored to show the life and history of Koreanchinese. Likewise, active utilization of Yanbian dialect in both works was said to be a strategic practice of the author who tried to give shape to the history of Korean-chinese through hometown stories.

      • KCI등재

        몰리에르의 『인간 혐오자 Le Misanthrope 』의 극적 구조

        임채광(Chae-Kwang LIM) 프랑스학회 2018 프랑스학연구 Vol.0 No.84

        Ce qui retient notre attention par rapport au Misanthrope, la plus grande comédie de Molière, c est qu’il y a mêlé les portraits de mœurs de l’époque et de caractère, composés de structure fragmentée mais de traits variés et vifs, et l’intrigue d’amour des deux personnages principaux, motrice de la continuité dramatique, mais de fil ténue et souvent interrompue. On se demande alors comment il a envisagé de combiner ses deux composantes de construction narrative en essayant d’y intégrer leurs mérites, et d’éviter d’y laisser entrer leurs déficiences. Il est intéressant de noter que Molière opte, en tant que couple d’amour, pour les deux héros montrant des idées contraires sur la norme dominante du beau monde en but de surmonter les limites de construction juxtaposée, en mettant l’héroïne Célimène du côté des courtisans, qui attachent de la valeur à la sociabilité et aux intérêts, et, de ce fait. ont le faible pour la vanité et l’hypocrisie, et aussi en choisissant Alceste comme l’opposant des courtisans et l’amant de Célimène. De cette manière, le dramaturge, au cours de l’exposition, fonde la base de cohérence dramatique au niveau psychologique sur l’élévation de la tension dramatique et la mise en œuvre de l’évolution sentimentale entre eux. Le nœud de la pièce comique – les actes II, III, IV – s’attache à montrer l’agrandissement du conflit dans le couple d’amour, lié à la divergence de vues sur l‘honnêteté, noyau de la norme du monde et de son application pratique. En effet, Alceste est traité de trouble-fête par les fréquentés du salon et, d’ailleurs, d’incrédule tenace de fidélité par Célimène. Par contre, Célimène monte sur le trône de la reine du beau monde, après avoir remporté la victoire contre Arsinoé dans la dispute autour du sujet de la conduite féminine. Au contraste radical dans la réputation social entre les deux personnages principaux succède la perte des deux procès consécutifs, d’abord celui avec Oronte, causé par l’avis franc d’Alceste sur le sonnet d’Oronte, ensuite celui avec un adversaire politique qui se voit renforcé par sa cabale y compris Oronte et circule un livre abominable contre Alceste. Il est amené à la catastrophe sociale et financière et sentimentale, car il s’expose à l’isolement politique, au paiement de l’amende énorme et à la nécessité d’ajournement de la négociation sentimentale définitive avec Célimène. La présence menaçante du monde hors-théâtral révèle le fait que le destin comique d’Aceste dépend non seulement de son caractère lui-même, mais aussi du décor social qui l’entoure. Le monde hors-théâtral intervient sous la forme fortuite mais répétée comme on voit dans les portraits en juxtaposition de mœurs et de caractère, ceci également en but de concrétiser l’envers des mœurs du temps et le comique de la constance dans l’inconstance’ dans l’évolution psychologique du personnage central au cours de la progression empêchée dans l’intrigue amoureuse de la pièce comique. Curieusement, c’est l’apparition d’Arsinoé, elle aussi personnage pénétré de la part du monde hors-théâtral qui fixe l’intrigue amoureuse, seul garant de la linérarité logique de l’action comique parce qu’elle joure

      • KCI등재

        최창학의 중편소설 「창(槍)」 연구 -소설 미학적 실험에 관하여-

        이승준 ( Seung Jun Lee ) 우리어문학회 2016 우리어문연구 Vol.55 No.-

        이 논문은 최창학의 중편소설 「창」을 구조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이 소설이 어떤 점에서 어떻게 전통 서사에서 벗어나 실험적인 의미를 지니는지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창」에서는 인물의 행동의 의미가 약화되어 사건이 큰 의미를 지니지 못하며 그래서 줄거리나 구성(plot)도 큰 의미를 지니지 못한다. 이 소설에서는 전통적 서사와 달리 병렬적 구성이 통시적 인과율을 대신한다. 이 소설은 콜라주와 몽타주 기법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우리 소설사에서 박태원, 최인훈, 조세희가 이러한 기법을 사용한 바 있다. 이 소설은 우리 소설사에 등장하는 어떤 소설보다도 이러한 기법을 다양하게 활용하며 큰 효과를 거두고 있다. 이 소설의 인물은 서로 관계를 맺으며 사건을 형성해 나가지 않는다. 그들은 대개 J양, H씨, S씨, Y의사와 같이 하나의 기호로 존재한다. 이 소설의 주요인물인 이상(李常)은 이상(李箱)의 상징적 이미지를, 신성일(申成一)은 신성일(申星一)의 상징적 이미지를 비껴서 차용하고 있다. 그래서 유사하지만 진짜가 될 수는 없다. 결국 이들은 모두 하나의 기호 혹은 ‘실제보다 더 실제적인 상품화되어버린 복사물’이라는 의미에서 시뮬라크르이다. 「창」의 서술상황은 화자시점서술과 인물시점서술 사이에서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며, 초점화의 위치는 좀 더 다양하다. 이 소설 전체는 대화, 독백, 발화된 독백, 의식, 연상, 연기등이 경계 없이 넘나들면서 주인공 이상의 의식을 드러낸다. 1968년에 발표된 소설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최창학의 「창」은 매우 파격적 이리만큼 새롭다. 그것은 모더니즘을 넘어서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에 발생하는 서사적 쟁점이나 사회 문제를 앞서 제시하고 있다. This thesis is written to study on the aesthetic experiment of the novel 「Chang(a spear)」 by Choe Chang-hak in terms of the structure. In 「Chang(a spear)」 there are few bound motives and free motives. The story is slender. There are full of bits and pieces of the free motives, the main character``s imaginations. The novel is parallel structures. It makes use of collage and montage. And it makes use of the juxtaposition of the important factor. ``The main[이상(李常)]/secondary[신성일(申成一)] character`` and ``The Great Story Ever Told/Le Deluge`` are juxtaposed. This novel makes use of symbolic naming, focalization and free direct/indirect discourse. 「Chang(a spear)」 is experimental work in terms of formal and substance. It is a kind of antistory.

      • KCI등재

        대경성의 공간재편과 박태원의 미완의 기획 : 박태원의『애경』 론

        권은(Kwon, Eun) 한국근대문학회 2015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6 No.2

        본 논문은 박태원의 미완의 장편 『애경』을 중심으로 1940년대 경성의 구역 확장 및 재편이 그의 식민지 후기 문학세계와 작품 구상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 작품은 도시공간에 대한 박태원의 탁월한 감각과 특유의 창작방법을 파악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준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애경』은 박태원의 작품 중 경성의 가장 넓은 구역을 다루는 작품이며, 대경성의 공간 재편을 서사적으로 재현하려 시도한 작품이라할 수 있다. 『애경』은 여러 도시구역을 병렬적으로 동시에 다룸으로써, 각 도시구역의 특성과 상호관련성을 입체적으로 조망하려 시도했다. 특히 ‘북촌’과 ‘남촌’의 풍경이 병렬적으로 그려지고, 대경성으로 새롭게 편입된 동부(신설정)와 서부(관동정) 지역으로도 서사가 확장된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박태원의 대부분의 작품들이 조선인 구역인 북촌에서 서사가 시작되는 것과는 달리,『애경』은 일본인 구역인 남촌의 중심부인 ‘명치정’에서 시작된다는 점도 눈길을 끈다. 박태원의 미완의 작품들인 『애경』, 「구흔」,『반년간』 등은 상호텍스트적 측면에서 함께 고려해볼 수 있는 작품들이다. 이를 통해 『애경』에서 박태원이 기획한 공간 및 인물 설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짐작할 수 있는 단초를 얻을 수 있다. 제목인 ‘애경’(愛經)은 ‘사랑 혹은 성애(性愛)의 경전(經典)’을 의미한다. 일종의 ‘연애소설’을 의미하는 듯하다. 그렇지만 등장인물들은 대부분 기혼자들이고 원만하지 못한 결혼생활을 영위해 나가는 중이다. 이미 결혼한 부부가 이혼을 통해 갈라서고 새로운 ‘사랑’을 꿈꾼다는 점에서 조선인과 일본인 간의 민족적 경계라 붕괴되고 경제적 계층에 의해 재편되는 현상을 암시한다. 서로 다른 구역에서 살아가는『애경』의 인물들은 서사가 진행되면서 다른 구역으로 이동하며 서로 뒤얽히게 되고, 여러 도시구역도 병렬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동시적 서술을 통해 경성의 북촌과 남촌, ‘문 안’과 ‘문 밖’이 모두 하나의 공간지평에서 펼쳐지게 된다. 특히 ‘명치정’은 중심인물들이 한 곳으로 모이는 구심적인 장소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전의 박태원 작품들에서 ‘종로’와 ‘청계천’이 담당했던 서사적 기능을 ‘명치정’이 담당하고 있다. 이곳이 남촌을 대표한다면, 관동정과 신설정은 경성의 도시구역이 확장되면서 새롭게 편입된 신흥 주택지였다. 이곳에 신호 · 정숙 부부와 수진 · 숙자 부부가 각각 살고 있다. 한편 정주사댁이 위치한 계동은 조선시대부터 양반들이 살았던 부자촌으로 북촌을 대표하는 곳이다. 주요 인물들은 대경성 확장 후 분화된 다양한 도시구역에 산포하여 살아간다. 표면적으로는 이들이 서사를 이끌어가지만, 심층적으로는 눈에 보이지 않는 ‘일본인’과 ‘조선인 토막민’의 존재가 암시되어 있다. This paper focuses on Park, taewon’s incomplete novel, Aekyung and looks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organization of colonial seoul and Park’s tendency. This novel covers the largest area of colonial seoul among his novels, and represents this reorganization as a novel. As Aekyung describes various districts paratactically and simultaneously, it shows the interconnection of each districts. Especially the southern half and the northern half of Seoul are represented at the same time and new suburb of east era and west era also come into in the novel. Most Park’s novels begin in the northern half, but Aekyung does in the southern, area of japanese residents. it means the characteristic of the district is changed. Park’s other incomplete novels, Old scar and Half a year also help to fill up the blank of Aekyung. The title Aekyung means ‘the way of love’ or ‘scripture of love’. However it is not ordinary love, but an affair. Most character are married or hostess. They have their spouses but dream to have an affair. It can be regarded as a symbol of the union of metropole and colony(naisen ittai). And there are invisible people in the text. Japanese bourgeois are not shown but controls the city plan with the enormous money. Moreover the korean urban squatters are demolished from downtown and become invisi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