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티어 변형체계치료를 경험한 내담자의 변화과정 연구

        고영수 한국가족치료학회 2015 가족과 가족치료 Vol.23 No.1

        Objectives: This study focuses on the change process of clients who have experienced the Satir transformational systemic therap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ace the clients' change process and to understand the content and structure of each stage of change with focus on intrapsychic change. Methods: The study used a qualitative methodology. Data collection was done through in-depth interviews on 12 clients who have experienced the Satir transformational systemic therapy. Collected data was qualitatively analyzed using the grounded theory. Results: The process of change is comprised of 7 stages: first, a stagnant state; second, reflection on “I”; third, recognition of “I” influenced by the past; fourth, reconciliation with “I”; fifth, restoration of “self”; sixth, expansion of “I”; and seventh, a new state of homeostasis. Such process of change normally moves in a cycle, repeats, and accumulates while progressing to a new state of homeostasis. In this process, negative emotions, perceptual system, and expectations all influence each other, ultimately fulfilling our desires. Then, there is a change in "self," i.e., a transformation. Third, the change in the participants is the experience of an entire iceberg and occurs systematically in all parts of the iceberg. Fourth, an individual change takes precedence over a change of system. In the individual change, intrapsycgic change occurs first and the behavior pattern on different situations change afterwards. Conclusions: The study is significant as it shows the clients' change process stage by stage and displays each stage's intrapsychic contents and their structures in detail, which would help family therpiasts in making professional interventions. 본 연구는 사티어 변형체계치료 방법론을 경험한 내담자의 변화과정에 대한 연구로서 심리내적 변화에 초점을 맞춘 과정연구이다. 이러한 과정을 탐색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질적연구 방법론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을 위하여 사티어 변형체계치료를 경험한 12명의 내담자를 심층면접하여 원 자료를 생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근거이론을 활용한 질적 분석과정을 거쳤다. 본 연구의 목적은 내담자들이 경험한 변화과정을 추적하고, 내담자의 총체적 변화과정 중 심리내적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각 단계의 변화 내용과 구조를 알아보는 데에 있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변화의 과정은 7단계로, 1. 정체 상태, 2. ‘나(I)’를 돌아보기, 3. 과거의 영향을 받고 있는 ‘나(I)’를 자각하기, 4 ‘나(I)’와 화해하기, 5. ‘자기(self)’를 회복하기, 6. ‘나(I)’를 확장하기, 7. 새로운 항상성 상태로 나눌 수 있다. 이 과정이 순환, 반복, 축적되면서 변화가 이루어진다. 둘째, 이러한 변화과정은 순환, 반복, 축적되면서 새로운 항상성으로 나아가는데 이 과정에서 부정적인 감정과 지각체계, 기대가 서로 영향을 주면서 변화하여 궁극적으로는 열망이 채워지고 ‘자기(self)’ 차원의 변화 즉 변형(transformation)이 일어남을 볼 수 있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의 변화는 빙산 전체의 경험으로서 빙산의 모든 부분에서 체계적으로 이루어진다. 넷째, 체계의 변화 이전에 개인의 변화가 우선되는데, 개인의 변화는 심리내면이 먼저 변화하고 이후 상황에 대한 행동방식이 변화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내담자의 변화과정을 단계별로 보여주고, 각 단계의 심리내적 내용과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보여줌으로써 가족치료 임상가들의 전문적인 개입에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교육과정 자율화를 위한 시도교육청의 역할 연구: 역사적 신제도주의 분

        김혜정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23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역사적 신제도주의 관점에서 시도교육청의 교육과정 자율화 지원 정책의 변화와 관련된 구조적·제도적 맥락과 행위자 요인을 분석하고, 교육과정 자율화를 위한 시도교육청의 역할에 시사점을 얻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 분권화로 제6차 교육과정에서부터 제시한 시도교육청의 역할 규정의 변화를 경로창조, 경로의존, 경로진화로 구분하여 살펴보고, 경로진화의 시기에 제도변화가 이루어진 경기도교육청의 ‘학교자율과정’도입 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경기도교육청의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의 변화 과정은 단기간의 급격한 변화보다는 구조, 제도, 행위자 수준 간 상호작용에 의해 점진적 변화를 거쳐왔다. 학교자율과정의 도입은 이러한 변화의 결과물로서 국가교육과정 개정과 교육자치 강화의 정부교육정책의 기조, 교육과정 관련 행위자들 간의 협력적 거버넌스 등이 제도 변화의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시도교육청은 규제자가 아닌 방향성을 선도하는 나침반으로서 교육과정 중심의 정책 수립, 교육과정을 지원하는 전담부서와 연구조직 마련, 교육과정 자료 플랫품을 마련하고, 시도 수준 교육과정 개발에 다양한 행위자들이 참여하고 상호협력하도록 하는 협력적 거버넌의 구조와 과정을 구축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협력적 거버넌스에 기반한 시도 수준 교육과정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의 현장 전문가로 구성된 ‘교육NGO(교육과정연구회 등)’로 명명할 수 있는 상설기구 마련을 제안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tructural and institutional context and actor factors related to changes in the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policy to support curriculum autonomy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ical new institutionalism, and to obtain implications for the role of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for curriculum autonomy. To this end, the case of the introduction of the 'School Autonomous Course' by the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was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rocess of changing the curriculum autonomy policy of the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has undergone a gradual change through interactions between structures, institutions, and actor levels rather than rapid changes in a short period of time. The introduction of the school autonomy course was a result of these changes, and the revis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the stance of government education policies to strengthen educational autonomy, and cooperative governance among curriculum-related actors were factors in institutional change. The provincial education office should establish a cooperative governance structure and process that allows various actors to participate and cooperate in the development of the provincial-level curriculum, establishing a curriculum-oriented policy, preparing a dedicated department and research organization to support the curriculum, and establishing a cooperative governance structure and process. Finally, in order to implement a city-level curriculum based on cooperative governance, it is proposed to establish a permanent organization that can be named as an "education NGO (curriculum research group, etc.)" composed of field experts in the curriculum.

      • KCI등재

        기후변화교육 관련 2022 개정 교육과정 내용 분석

        신영준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2023 에너지기후변화교육 Vol.13 No.1

        본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 포함된 기후변화 관련 내용을 분석한 것이다. 분석을 위하여 교육과정 총론 및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공통 과정의 교육과정, 그리고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의 선택 교과를 분석하였다. 기후변화와 관련된 내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서 교육과정 주요 개정 배경 중 하나로 기후⋅생태환경 변화를 언급하고 있으며, 범교과 학습 주제 중 하나로 기후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환경⋅지속가능발전 교육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초등학교 단위의 교육과정에서 기후변화는 [1∼2 학년군]의 바른 생활, [3∼4학년군]의 과학, [5∼6학년군]의 도덕과 사회 교과에서 다루고 있었다. 셋째, 중학교에서는 도덕과, 사회교과, 과학교과, 수학교과, 보건교과에서도 다루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초등학교와 비교해 기후변화 관련 개념이나 접근 방법이 차별화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고등학교 공통 과정에서는 통합사회, 통합과학, 과학탐구실험, 공통수학 과목에서 다루고 있다. 또한, 선택 과목에서는 윤리 문제 탐구, 역사로 탐구하는 현대 세계, 여행지리, 지구과학, 인공지능 수학 과목에서 다루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번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기후변화와 관련된 가장 두드러진 내용이 기후변화와 지속가능발전, 기후변화와 환경생태라는 과목을 설정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우리나라 학교 교육과정 거버넌스 변화의 방향 탐색: 교사와 교육전문직의 인식을 기반으로

        정영근,민용성,이병천,권점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1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4 No.4

        본고는 우리나라의 학교 교육과정 체제 변화를 위한 교육과정 거버넌스 변화의 한 방향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 거버넌스에 대한 이론적 탐색과 이를 바탕으로 교사와 교육전문직 대상의 설문조사, 교사와 교육전문직을 포함한 교육 관계자 대상의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교육과정 거버넌스에 대한 이론적 탐색을 통해 기관 수준과 의사결정 참여 구조, 교육과정 요소로 구성되는 교육과정 거버넌스의 3차원적 구도를 도출하였다. 조사결과, 교사와 교육전문직은 국가교육과정이 관료 및 전문가 독점의 거버넌스로 이루어져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교육내용을 포함한 교육과정에 대한 학교 자율성과 시·도교육청의 권한 확대 필요성에 대한 동의 정도가 대단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학교 교육과정 거버넌스의 변화 방향은 국가교육과정에 대한 참여 협력적 거버넌스와 국가-교육청-학교 간의 관계에서는 분산적 거버넌스 구축에 둘 필요가 있다. 다만 지역 간 교육과정 수준과 범위의 격차 및 단위 학교 교육과정 자율성에 대한 교육청의 관리·통제 강화 가능성에 우려가 큰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보완 장치가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분산적 거버넌스로의 변화를 위해 교육내용(성취기준 등)을 포함한 교육과정의 의사결정권을 어떤 형태로 어느 정도 이동시킬 것인가의 정책적 검토와 교과서 자유발행 체제로의 전환 모색을 위한 정책 수립 및 추진, 교육과정 거버넌스 변화에 대응한 시·도교육청의 지역교육과정 개발의 기반 조성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change in Korean school curriculum governance. To achieve this purpose, the perceptions and demands of the participants on curriculum governance were analyzed through mixed research methods including literature review, survey, and interview. Through theoretical exploration of the direction of curriculum governance,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curriculum governance composed of institutional level, participation structure of decision-making, and curriculum elements was derived. The result of survey analysis showed that teachers and educational supervisors recognized that the national curriculum was governed exclusively by bureaucrats and expert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consent to the need to expand the initiatives of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nd the autonomy of school in curriculum including educational content, was very high. Accordingly, it can be said that the direction of change in the curriculum governance in Korea needs to be placed in the establishment of participatory and collaborative governance in the national curriculum, establishing decentralized curriculum govern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ion,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nd schools.

      • KCI등재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변화 추이 분석

        강이화(Kang, Ewha)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6 敎育思想硏究 Vol.30 No.2

        This study aims to explore and define the trend of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in Korea. To this end, the researcher took as criteria not only curriculum policies and development agencies, but also the subject-system and time-allotment contained in the curriculum documents, and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approach. It seems the greatest variation among these criteria was the curriculum policy. Until the 5th national curriculum there has been only one curriculum policy, the national-level curriculum, but in accordance with the curriculum decentralization since the 6th national curriculum, the local- and school-level curriculum have come into being and still operate today. Although the agencies of curriculum development have also repeated a bit of advance and retreat, I have witnessed that the R&D model-oriented curriculum policy has been changed into the direction entrusted to external agencies and private organizations. Although the changes to the other elements were relatively small, it seems that powers of the authorities concerned tend to have been transferred to local education authorities and individual schools. Thus, although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in Korea shows more or less the difference by element, it has been changing gradually in the direction to highlight decentralization and localization. As a result, this study was to define the trends of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in Korea as curriculum autonomy.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변화 추이를 탐색하고 규정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있다. 이를 위하여 교육과정과 관련된 정책과 개발주체, 그리고 교육과정 문서에 포함된 편제와 시간배당 및 교육과정 편성·운영 방식을 준거로 삼아 제1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를 분석하였다. 이들 준거 중에서 가장 큰 변화를 보이는 것은 교육과정 정책이었다. 즉, 교육과정 정책의 경우에 제5차 교육과정까지는 국가 수준 교육과정이 유일한 형태였다면, 제6차 교육과정부터는 교육과정 분권화에 따라 그 이외에 교육청 수준과 학교 수준이 생겨나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교육과정 개발의 주체도 비록 약간의 전진과 후퇴를 되풀이하기도 했지만 국가 주도에서 외부 기관이나 민간단체에 위탁하는 방향으로 변화되어 왔다. 그 이외의 요소에서는 변화가 상대적으로 많지 않았지만, 국가가 쥐고 있던 권한이 점차로 교육청이나 단위 학교로 이양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요소별로 어느정도의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점차로 분권화나 지역화를 부각시키는 방향으로 변화되어 왔다. 그리고 그러한 변화 추이는 교육과정 자율화로 귀결되었다.

      • KCI등재

        혁신학교 교육과정제도 변화 분석

        신은희,장수명 한국교육정치학회 2019 敎育政治學硏究 Vol.26 No.1

        This study applied institutional change theory of new institutionalism to analyze the curriculum of innovative school by the concept of curriculum, support structure, and execution method of the curriculum and researched the change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curriculum. In terms of the new institutionalism that includes formal/informal institutions, the curriculum system has a great deal of room for interpretation and practice and discretion, so it is important to change the informal institution (culture or practice), and the practical change is possible when awareness and behavioral theory that teachers share gets changed together. As a result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share the view that the curriculum is broadly interpreted as ‘all the educational activities that take place in the school for student growth and development'. According to this concept, teachers changed the curriculum support structure, transformed the school into a learning organization, and also changed the way of curriculum execution. Second, the nature of school curriculum changed from performance-oriented curriculum to students growth development-centered curriculum. Third, the method of curriculum institutionalization changed from “curriculum → textbook → class” to “curriculum → school curriculum → education activity class”. 본 연구는 신제도주의의 제도 변화 이론을 적용하여 혁신학교의 교육과정을 교육과정의 개념, 지원 구조, 실행 방식의 요소로 분석하고 학교교육과정의 변화 특성을 연구하였다. 공식적․비공식적 제도를 포괄하는 신제도주의 관점에서 볼 때 교육과정 제도는 해석과 실천에서 재량권이 크므로 비공식적 제도(문화나 관행)의 변화가 중요하고, 실천적 변화는 교사들이 공유하는 인식과 행위 논리가 함께 변할 때 가능하다. 연구 결과, 제도로서의 혁신학교 교육과정은 변화하였는데 첫째, 교사들은 교육과정을 ‘학교에서 학생 성장 발달을 위해 이루어지는 모든 교육활동’으로 폭넓게 해석하는 관점을 공유하고 교육과정 지원 구조(조직과 거버넌스)를 변화시켜 학교를 학습조직으로 전환시켰으며, 교육과정 실행(표준운영절차)방식도 함께 변화시켰다. 둘째, 학교교육과정의 성격이 실적중심 교육과정에서 학생 성장발달 중심 교육과정으로 변화되었다. 셋째, 교육과정 제도화 방식이 “교육과정 → 교과서 → 수업”에서 “교육과정 → 학교교육과정 → 교육활동과 수업”으로 변화되었다.

      • KCI등재

        생애과정 관점에 대한 고찰과 적용: 성인으로의 이행과정에 대한 탐색적 분석

        문혜진 ( Hey Jin Moon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0 사회복지연구 Vol.41 No.3

        ‘생애과정 관점’은 생애과정을 제도와 역사에 내재된 단계화된 연령구조로 인식하고, 맥락적 관점에서 개인과 집단의 생애를 이해하려는 이론적 방향이다. 독일과 미국을 중심으로 사회·역사적 변화의 맥락 속에서 생애과정을 분석하고, 생애과정에 미친 제도와 국가의 역할을 다루는 연구가 이루어졌고, 노동궤적에서 나타나는 경로와 노동성과의 차이, 생애과정에서 나타나는 불평등에 관한 연구 등에서 생애과정 관점이 적용되어 왔다. 국내에서도 다양한 분야에서 생애과정에 관한 연구가 시도되고, 결과가 축적되고 있으나 이론적 방향이나 체계로서 확립되지는 못하였다. 생애과정 관점을 적용하여 개인의 생애과정과 역사적, 사회적 변화를 접목시키는 시도로 1930~1979년 사이에 출생한 코호트의 역사적 위치를 확인하고 성인으로의 이행과정에서 나타난 변화를 추적하였다. 그 결과, 교육기간의 연장으로 인 해 후속 이행의 시기와 구조에 변화가 발생하였고, 1960년대 출생코호트까지 젊은 코호트로 올수록 교육종료와 노동시장 진입, 결혼과 첫 출산이 이루어지는 시점이 지연됨과 동시에 대부분의 구성원이 압축된 연령 구간에서 이행을 완료하는 생애과정의 표준화가 이루어졌음이 확인되었다. 1970년대 출생 코호트는 이전 코호트와는 다른 이행패턴을 보이고 있으나 이행시기의 지연으로 구성원의 이행이 완료되지 않은 우측 절단이 발생하여 그 정확한 변화를 확인하지는 못하였다. The Life-Course perspective is a theoretical orientation that views the life-course as the age structure embedded in social institutions and history and understands the life-course of individual and group in the contextual perspective. The life-course perspective studies were developed in Germany and North America. They study social and historical effects and the effect of institutions and the state on the life-course, the pathway of the work career and differences of labour outcomes, and the inequality that is developed in the life-course. In Korea, the life-course perspective studies were tried in various fields and cumulated. However, it didn`t established as a theoretical orientation. For applying the life-course perspective to connect the individual life-course with social and historical event, I describe the historical location of individuals born between 1930 and 1979 and analyse the change of their transitions to adulthood exploratorily. On results, the extension of education made the structural change of their life-course, and in young cohort the timing of leaving school, entering workforce, marriage and childbirth was delayed and transitions were made in narrower spread. It means the standardization of the life-course as appears in modern society. The 1970s birth cohort has the differenciated life-course pattern, however I cannot verify that change because of the right censoring.

      • KCI등재

        초등학교 국어과 과정중심평가의 의미와 방법

        최규홍 ( Choi¸ Kyuhong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0 한국초등교육 Vol.31 No.4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실시와 함께 논의되고 있는 과정중심평가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역량중심의 교육과정이 도입되면서 평가에 대한 관점도 새롭게 바뀌었다. 이에 따라 부각된 용어가 ‘과정중심평가’이다. 하지만 사용되는 용어의 빈도만큼이나 다양한 해석이 이루어지고 있어 교육과정을 구현하는 교실 수업에는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이에 초등학교 국어과교육에서는 과정중심평가를 어떻게 해석하고 실천할 수 있을지를, 국어과의 평가 이론과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부 훈령, 학교생활기록부 작성 지침, 시·도교육청의 학업성적관리 시행지침 등의 분석을 통해, 탐색해 보았다. 그 결과 초등학교 국어과 과정중심평가는 크게 ‘수업 과정의 평가, 수행 과정의 평가, 사고 과정의 평가, 변화 과정의 평가’로 해석할 수 있음을 밝혔다. 이는 평가 시기, 평가 방법, 평가 대상, 평가 기 록의 측면을 고려하여 구분한 것이다. 수업 과정의 평가는 교수·학습의 과정 속에서 수업과 평가가 함께 이루어지는 것이고, 수행 과정의 평가는 수행 평가를 할 때 수행 결과보다 수행의 과정에 초점을 두고 평가를 하는 것이다. 그리고 사고 과정의 평가는 국어과 교육에서 다루는 수행이 결국 인지적 활동임을 고려할 때 학습자의 사고 과정을 평가해야 한다는 것이고, 변화 과정의 평가는 성취도를 도달하는 것에 중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출발점 행동에서 도달점 행동으로 바뀌는 수업 속에서 학습자의 변화 과정과 성장에 초점을 두고 평가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각각의 평가를 구체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방법으로, 수업 속에서 학습자의 언어 사용 현상 (언어 발달 현상)에 대해 피드백을 하는 방법, 학습자의 수행 과정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 교수·학습의 과정 속에서 학습자의 사고 과정을 들여다 볼 수 있는 방법, 한 차시뿐만 아니라 한 학기(또는 한 학년) 동안에 학습자의 변화 과정을 살펴볼 수 있는 방법 등을 제시하였다. 국어과 교수·학습의 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전략까지 제시하지는 못하였지만 초등학교 국어과 과정중심평가의 의미를 명확하게 정의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는 데 의의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specifically the meaning of the process-based assessment being discussed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o explore ways to realize it. With the introduction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e perspective on evaluation has also changed. As a result, the term highlighted is "process-based evaluation." However, there are as many interpretations as the frequency of the terms used, adding to the confusion in classroom classes that implement the curriculum. Therefore, we explored how to interpret and practice course-based evaluation in elementary school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analyzed the theory of assessment of Korean language department and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department, the instruction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guidelines for preparing school records, and guidelines for implementing academic performance management by municipal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As a result, the process-oriented assessment was largely interpreted as 'assessment of the course, evaluation of the performance process, evaluation of the thinking process and evaluation of the change process'. This is distinguished by considering the timing of the assessment, the methodology of the assessment, the object of the assessment and the aspects of the assessment record. The evaluation of the course of a class is done together in the course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the evaluation of the course of performance is to focus on the course of performance rather than the results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And the assessment of the thought process is that the learner's thought process should be evaluated, and the assessment of the change process is that the focus is on the learner's change process and growth in the class that changes from starting point behavior to reaching point behavior. In addition, they presented ways to specifically implement each assessment, such as how to give feedback in class, how to evaluate the learner's performance, how to look into the learner's thinking process, and how to look at the learner's changing process in one class or semester. Although it did not provide specific strategies that can be used in the course of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it is meaningful that it provided an opportunity to clearly define the meaning of the Korean language and course-based evaluation of elementary schools.

      • KCI등재

        교육과정의 분산적 거버넌스에 대응한 연구.개발.보급(RDD) 체제에 관한 고찰

        정영근(Yong-keun Jeong),민용성(Yong-seong Min),이병천(Byeong-cheon Lee),권점례(Jeom-rae K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0

        목적 본고는 향후 교육과정 거버넌스 변화에 대응하여 국가 교육과정의 연구⋅개발 보급(RDD) 체제에 대한 개선 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방법 이를 위하여 교육과정 연구⋅개발⋅보급 모형의 사적 배경과 우리나라 실제 탐색, 주요국(핀란드, 영국, 호주) 사례 비교⋅분석, 교사와 교육청 교육전문직 1,603명 대상의 설문조사, 교육 관계자 9명 대상의 면담조사를 실시⋅분석하였다. 결과 우리나라는 교육과정 연구⋅개발진의 단일 체제와 교육과정 RDD 체제의 선형적 과정을 형성하고 있어 향후 분산적 거버넌스에 대응한 변화가 필요하다. 국가 교육과정 하에 분산적 거버넌스를 형성한 주요국의 경우 모두 복수의 연구⋅개발 조직과 교육과정 RDD의 선형적 과정에서 벗어나 보다 역동적인 체제를 갖추고 있다. 설문조사 및 면담조사 결과에서 교육과정 연구⋅개발 과정에 교사를 포함하여 다양한 층위의 참여 필요성에 대한 강한 인식이 나타나 연구⋅개발진의 단일 체제에 대한 변화 요구가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전달 연수 및 교과서 의존, 연차 적용 등에서 보이는 문제점은 교육과정의 확정⋅고시 이후 착수되는 보급⋅적용 방식에서 비롯된 측면이 크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변화 요구도 높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과정의 분산적 거버넌스에 대응한 RDD 체제로의 변화를 요구한다고 볼 수 있다. 결론 우리나라에서 향후 검토될 수 있는 교육과정의 분산적 거버넌스 대응과 관련하여, 첫째 전문가 위주의 연구⋅개발진 구도 개선과 교사를 비롯한 다양한 층위의 참여 확대가 가능한 복수의 연구⋅개발 조직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연구⋅개발진’과 ‘교육과정 실행 지원 자료 개발진’, ‘교육과정 검토⋅자문진’을 제안하였다. 둘째, 교육과정 보급⋅적용의 적시성과 교사의 교육과정 소유자의식을 제고하기 위해 종래의 ‘연구⋅개발’과 ‘보급⋅적용’을 일원화하여 교육과정 RDD 절차의 선형적 과정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과서 의존적인 교육과정 연차 보급⋅적용과 교육과정의 분산적 거버넌스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교과서 자유발행 체제로의 전환을 모색해야 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ways to improve the research, development and defusion (RDD) system of the national curriculum in response to changes in curriculum governance in the future. Method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RDD model was analyzed and R&D cases in Korea and major countries (Finland, UK, Australia) were compared, and a survey of 1,603 participants with teachers and education professionals from the local offices of education was analyzed. An interview was also conducted with 9 participants, and their perceptions were analyzed. Results First, since the curriculum R&D system of Korea has been based on a single team and a linear process of curriculum R&D system, changes are required in response to distributed governance in the future. Second, the R&D cases of countries analyzed in this study have formed distributed governance under the national curriculum, with a more dynamic system, breaking away from the linear process of multiple organizations of curriculum RDD. Third, the survey and interview results showed a strong awareness of the need for participation of various levels in the curriculum R&D process, indicating that there is a high demand for a change from the single R&D single team system. Fourth, the problems seen in teacher training program, dependence on textbooks, and sequential application of curriculum by year are largely due to the current R&D system that is initiated after the confirmation and proclamation of the curriculum, so there are also considerable demands for change. Conclusions First, the structure of the curriculum expert-oriented R&D team should be changed through exploring multiple R&D organizations that can expand the participation of various levels, in particular including teachers. In this regard, various team composition for curriculum R&D was proposed in this study. Second, we need to improve the linear process of the curriculum RDD process by unifying the conven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diffusion and applic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timeliness of the curriculum dissemination and application and teachers curriculum ownership. Third, it is necessary to look for a transition to a free publishing system of textbooks in order to overcoming sequential application by year of the textbook-dependent curriculum and responding to distributed governance of the curriculum.

      • KCI등재후보

        교육과정 자율화를 위한 구조 변화 및 지원 방식의 과제 -교육과정 결정 권한 분산을 중심으로-

        김소영(So Young Kim),이윤소(Yun So Lee)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2015 지방교육경영 Vol.18 No.2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자율화에 대하여 국가가 가지고 있는 교육과정 결정 권한을 지역과 학교로 분산시키는 것에 의미를 두고, 교육과정 주요 문서와 선행 연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육과정 자율화를 위한 과제로서 구조의 변화와 지원 방식의 변화가 필요함이 도출되었다. 구조의 변화에서는 첫째, 국가는 큰 틀의 국가 교육 목표만을 제시해야 한다. 둘째, 시·도교육청은 지역과 학교의 상황과 특수성을 면밀히 고려하여 지역의 교육과정 실행이 활성화 되도록 해야 하고, 국가 혹은 단위 학교와의 역할과 책임을 명확히 해야 한다. 셋째, 학교는 텍스트 중심의 교육과정에서 지역의 실정과 학교의 실태를 반영한 컨텍스트 중심의 교육과정으로 재구성해야 한다. 넷째, 교사는 교육과정 주체임을 인식하고 교육과정 개발자로서의 책임감을 가지고 전문성을 길러야 한다. 지원 방식의 변화로는 첫째, 교육과정 결정 권한에 대한 새로운 법규가 필요하다. 둘째, 교육과정이 개발되거나 개정되면 실제 학교 현장에 잘 적용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야 한다. 셋째, 교육과정 자율화를 위한 대안적 접근으로 전문학습공동체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교육과정의 자율화에 대한 질적 평가와 책임 부여 방안이 필요하다. 종합하면, 시대적 요구에 따라 학습자의 수준이 높아지고 있으며 특색 있고 개별화된 교육의 질에 대한 관심과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그러므로 국가 수준 교육과정의 틀에서 벗어나 교육과정 결정의 권한을 지역과 학교로 분산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In this paper, we studied on curriculum autonomy, with the focus on the distribution of curriculum decision-making authority to regions and schools, which are now owned by government. As the result, we arrived at a conclusion that there should be changes to the structure and supporting methods for curriculum autonomy. Changes in the structure are as follows. First, the government must present only the larger national educational goals. Second, department of education of cities and provinces should revitalize running of the training courses in the area considering carefully the situation and peculiarities of the area and the school, and should also clarify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the government and individual schools. Third, the city and school board should reconstructure curriculums from text-centered to context-centered to reflect the actual situation of the regions and schools. And also, teachers should cultivate professionalism as curriculum developers. Changes in the way of supporting method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need for new regulations on curriculum-making authorities. Second, there should be better environment so that newly developed or revised curriculum are better applied to the actual schools. Third,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are needed as an alternative approach for curriculum autonomy. Finally, methods for qualitative evaluation and authority grant for the liberalization of the curriculum it is necessary. As levels of learners become higher, interest and demand for qualitative education through personalized education with distinct characteristics is also rising. Therefore, we need to goout in the framework of national-level curriculum time and try to distribute the power of the curriculum decision-making to regions and schools so that they are determine the curriculum of their ow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