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모리스 메를로-퐁티에서 주체의 문제와 소쉬르 언어학

        신혜영(Hye-Young Shin) 한국현상학회 2012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52 No.-

        메를로?퐁티는 자신의 두 번째 사유에서 신체의 표현 능력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를 이루어낸다. 그리고 이 지점에서 소쉬르 언어학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메를로?퐁티는 언어 체계의 변별성이라는 소쉬르의 개념에 주목한다. 메를로?퐁티가 신체의 표현 능력을 분화능력으로 간주하게 되는 것은 바로 이 소쉬르의 기호의 변별성이라는 개념으로 부터이다. 메를로?퐁티에게 있어, 신체적이든 언어적이든 모든 표현적 동작은 변별적 가치를 지닌다. 따라서 의미는 의식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기호들 사이의 간격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다. 메를로?퐁티의 주체에 대한 두 번째 사유인 ‘표현적 주체’는 바로 이로부터 확립된다. 표현적 주체는 의미를 완전히 소유할 수 없고 표현 그 자체속에서 스스로 완성되는 자이다. 메를로?퐁티는 이 표현적 주체로 『지각의 현상학』의 한계였던 이분법적 틀과 의식 철학을 벗어나려하지만 의식의 전제 혹은 주체성의 차원을 완전히 단념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이러한 불충분성에도 불구하고, 메를로?퐁티의 두 번째 사유가 데카르트에서 후설로 이어지는 의식 철학을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며, 메를로?퐁티의 세 번째이자 마지막 사유인 존재론의 주요개념들을 준비하고 있다는 것 또한 분명한 사실이다.

      • KCI등재

        듣기 교육에 관한 학생의 인식 연구

        박준홍 ( Park Jun-hong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8 청람어문교육 Vol.0 No.67

        본 연구는 학생들의 듣기 교육에 관한 인식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듣기 교육의 개선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학생들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한 설문 범주는 크게 두 가지 즉, 듣기의 중요성 및 듣기 교육의 효과성으로 설정하고, 이 중 듣기 교육의 효과성은 다시 세 가지의 하위범주인 듣기 수업의 효과, 듣기 교과서의 유용성, 듣기와 읽기 수업의 변별성으로 설정하였다. 주된 분석 방법으로는 다변량분석 및 일변량분석을 활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급에 따른 듣기의 중요성 인식은 중학교 때 가장 높았고 고등학교 때 가장 낮았다. 둘째, 학생들은 듣기 수업을 문법, 문학, 읽기, 쓰기, 말하기 수업 다음으로 효과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어 6가지 영역의 수업 중 그 효과를 가장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듣기 교과서의 유용성을 학교 급별로 살펴봤을 때 초등학생이 3.80, 중학생이 3.51, 고등학생이 3.07로 응답하여 학교 급이 올라갈수록 낮아지고 있었다. 넷째, 듣기와 읽기 수업의 변별성에 대한 인식 자체가 학교 급에 관계없이 전체적으로 낮았다. 본 연구는 듣기 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결과를 바탕으로 듣기 교육의 개선 방향을 제시해 주어 그동안 미미했던 듣기 교육 연구가 좀 더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하나의 토대를 마련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tudents' perception about listening education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of listening education. The categories of survey are classified as the importance of listening and the effectiveness of listening education which is classified as the effect of listening lessons, the usefulness of listening textbooks, and the distinctiveness of listening and reading lessons.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listening according to school level was highest in middle school, lowest in high school. Second, students perceived that listening lessons were effective after grammar, literature, reading, writing, and speaking lessons. Third, the students' response to the usefulness of listening textbooks was as low as 3.48 on average and it was getting lower as school level went up. Fourth, students' response to the distinctiveness of listening and reading lessons was as low as 2.93 on average regardless of the school level.

      • KCI등재

        복음 낭독에서 /에/와 /애/의 변별성에 관한 음향학적 연구

        오초롱(Cho Rong Oh),염철호(Cheol Ho Youm),권순복(Soon Bok Kwon) 한국언어치료학회 2013 言語治療硏究 Vol.22 No.2

        This paper is an acoustic research of whether priests, working in Gyeongsangnamdo and Busan, can distinguish two Korean single vowels, ‘ne’ and ‘nae,’ in a gospel reading, and of whether their audiences can hear them distinctively. The objects for the research of speakers' distinctiveness were 21 priests, the alumni of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and those for the audiences' distinctiveness were 20 lay believers in Gyeongsangnamdo and Busan. As for speakers’distinctiveness, F1, F2, and vowels' length of the two vowels were analyzed by Praat for windows. A paired t-test was used to compare the two vowels. The audience's ability to listen distinctively were surveyed through a questionnaire. The results show that the more familiar the text is, the more easily can the two vowels be distinctively pronounced. This result is due to intentional attempts to distinguish the two vowels. As for the audience's distinctiveness, the more familiar the text is, the more easily can the two vowels be distinguished.

      • KCI등재

        만화의 시나리오 전환과정 고찰(2)

        홍재범(Hong Jae-beom) 한국현대문학회 2008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6

        본고의 목적은 허영만의 만화〈48+1〉를 시나리오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현상과 그 의미를 고찰하는 데 있다. 영화〈48+1〉은 원작의 주어진 상황과 주제의식 그리고 거의 모든 대사를 원작에서 그대로 차용하였다. 변화된 것은 두 인물의 서사를 한 인물의 것으로 통합시킨 것뿐이다. 그로 인해 인물의 목표가 하나로 통일되지 못해 부재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각색자가 시나리오와 만화 사이에 존재하는 매체와 양식의 차이를 간과했기 때문에 발생한 것이다. 비록 만화가 영화와 형식 상 가장 유사한 이웃이라 할지라도 그 차이점은 명백하다. 시나리오 〈48+1〉은 원작의 말들에 최소한의 수정을 가한 뒤 동일하게 사용함으로써 각색의 창조적 의미를 매우 축소시켰다. 각색자는 원작의 사건을 상영시간에 맞추어 선택하여 나열하는데 그쳤으며, 이 과정에서 서사 전개를 유기적으로 구성하는 원작의 사건은 삭제하고 인물의 성격과 목표를 모호하게 하는 에피소드와 말들은 장황하게 차용하는 오류를 범했다. Focusing on the conversion of a comics into a scenario at the level of written text, this paper examined the adaptation of〈48+1〉(a comics). The movie〈48+1〉borrowed the given circumstance, the subject matter and dialogue from the original. The only change is to integrate the narrative of two character with the thing of one character. The result which the aim of the character is absent occurred because of it. This result occurred because adapter overlooked the difference of the form and the medium which exists in between comics and scenario. Although the comics is similar to the movie formally, the difference is clear. There was not order change of episode from this process. The scenario〈48+1〉cannot succeed in being sufficient the important matters of the drama form which the movie belongs to. As a result of this, the excellent creativeness of adaptation was impossible.

      • KCI등재

        시조의 변이 양상

        강명혜(Kang Myeoung-Hye) 한국시조학회 2006 시조학논총 Vol.24 No.-

        시조는 발생초기부터 당대의 역사 시대적 배경에 따라 그 틀과 내용이 조금씩 변하면서 융통성있고 유연하게 적응해 왔다. 이런 점이 당대의 시대적 배경이나 사상, 실태 등을 반영해서 당시의 독자들의 공감대를 이끌어낼 수 있었으며, 그러면서도 시조를 시조답게 하는 시조성만은 그대로 고수해 왔기에 ‘시조’라는 장르가 현재까지도 생존할 수 있었다. 어느 시대나 어떤 배경에서나 어떤 상황에서도 3장이라는 정형성은 지켜졌으며, 3, 3조나 3, 4조를 유지했고, 또 종장의 첫 구 3자도 고수했다. 이러한 시조성은 시대적인 간극에도 불구하고 ‘시조’라는 공분모 안에 모두 수렴시킬 수 있는 동인을 마련했다. 한국시가에 있어서 시조는, 공적 기능에서 사적 기능으로 변모가 이루어진 최초의 양식으로서, 그 변이과정을 살펴본 결과, 고려말~조선조의 평시조는 그 당시 조류에 부합해서 시조 텍스트를 載道之器로 보아 이중적인 의미의 채색, 상징성 부여, 다채로운 문장 수식 등은 나타나지 않지만, 明天道ㆍ正人倫를 지향하는 성현의 가르침을 溫柔敦厚하게 나타내고자 노력했다. 주제는 주로 그 당시 상황과 부합되는, 송축, 절의, 정쟁, 훈민, 한정, 강호도가, 안빈낙도, 애정 등이었다. 조선조 후기에 오면서는 辭說時調가 활성화하기 시작한다. 사림파의 득세와 兩亂, 실학의 도입 등으로 조선조 후기에는 인식의 변화를 겪게 되었고, 이러한 변화가 시가 양식에도 적용되었기 때문이다. 결국 사설시조는 당대의 봉건주의 파괴, 유교적 모랄에 대한 반발, 근대적 특성 보유, 남녀평등 사상, 지배층에 대한 고발 및 저항정신 등이 주축을 이루게 된다. 그러므로 저항적ㆍ리얼리즘적ㆍ현실지향적인 성향을 띠며, 특히 고발문학, 저항문학의 지반을 형성하는 장르적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무엇보다도 잡다한 일상사에 대한 상세한 묘사와 현실 생활에 대한 깊은 관심, 그에 대한 사실적, 구체적 표현은 사실주의 정신의 매개항이 된다는 점에서 근대성이 반영되어 있다고 보았다. 1905년 이후 신문에, 형식이나 내용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기존의 평시조나 사설시조에서 변이된 형태를 취하는 일군의 시조가 등장했다. 변이된 형태는 시조 텍스트의 형식과 내용뿐만이 아니라, 수용적 측면에서도 일어났다. 이때부터 시조는 ‘읊고 부르는 형태’에서 주로 ‘읽는 기록물’로 인식되기 시작하기 때문이다. 변이된 시조 형태란, 당대의 시대를 풍자하는 “흥, 내지 흐응”이 삽입된 것, 종장의 어미가 생략된 것 등을 말한다. 이러한 형식은 긴박한 상태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는 특성을 지니기는 하지만, 고시조의 틀, 즉 율격이나 자수에서 많이 이탈되어서인지, 그 생명은 길지 못했다. 그러다가 1920년대 중반을 기점으로 해서 시조부흥운동이 일어나면서부터 시조 창작은 다시 활기를 띠게 되는데 시조부흥운동은 최남선에 의해 주도되었다. 詩作 초기에는 서구지향의 시와 시조들 병행해서 쓰던 육당 최남선이, “朝鮮國民文學으로서의 時調”라는 글을 통해 시조의 중요성과, 소중함을 언급하면서 시조부흥 운동을 선도한다. 그는 시조집, “백팔번뇌”도 출간하는데, 그의 전 시조집을 관통하는 것은 ‘조국 사랑’이라는 일 주제였다. 결국 육당은 고시조를 민족정신의 일환으로 보고, 시조양식을 채택하여 그 당시의 역사 사회적인 상황에 부합되는 주제를 표출한다. 결국 육당도 시조 텍스트를 載道之器로 여겼음을 알 수 있었다. 현대의 시조는 現代性과 時調性을 모두 만족시켜야 한다는 어려움을 지니고 있는데, 이는 전자에만 치중한다면 자유시와의 변별성이 문제가 되며, 후자를 고수하려니 고루하고, 시적 묘미가 없다는 비난을 감수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그래도 많은 작가들에 의해 평시조가 지속되고 있다는 것은 시조가 지니는 원형성에 대한 매력을 감지해서일 것이라고 보았다. 그들 중 특히 선정주의 작품에 주목했는데, 그 이유는 여러 가지이지만 특히 근대의식, 사회비판정신, 고발의식, 사실주의 정신 구현, 서민의식, 산문체ㆍ일상어 지향 등, 사설시조의 특징 및 성향을 잘 구현, 반영하면서 그 맥을 잇고 있고 있다는 점 때문이었다. 이렇듯이 현대의 시조 작가들은 우리의 고시가 형식을 다양하게 선택해서 다양한 주제를 표출하고 있었다. 여기서 추정할 수 있는 사실은 이러한 시조의 유연성은 앞으로 시조의 생명을 항구적으로 할 것이라는 것, 그리고 역사 시대적 변화와 상황 하에서 다시 새로운 양상을 취할 가능성을 보인다는 것, 그리고 이 ‘시조’는 한국인의 ‘영원한 정형시 장르’로 남을 것이라는 사실이었다. Korean verse has flexibly changed its form and contents according to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times. This fact arouses reader sympathy because it has reflected ideas, historical aspects and realities of the times. However, korean verse has kept its own characteristics in some ways, allowing it to exist today. It holds its form as 3 verses of three by three or four meter and three letters of the last of three verses. It makes every different version which has specific aspects of each times in the same 'sip' area. 'Sip' in Korean poems, is the first form that has been changed from formal to private functionally. As a result of that common verses in the Goryeo to Joseon eras were going with the stream of the times. Verse was the plate for justice so that there was no double meaning, symbols, or technical sentences. It had to show the idea of Myungchundo Jwonginryun. The theme was commonly fitted within certain areas, such as blessings, fidelity, devotion, etc. Around the end of the Joseon era, there was activation of private verses - a form of sijo with no restrictions on the length of the first two verses. Some ideas had been changed because Sarimpa gained power, domestic conflict, and the introduction of practical science. These things had an effect on the form of Sijo. After all, it shows the ideas of collapsing feudalism, resistance of confucian ideas, equality of the sexes, and opposition to the group who rule the government. Thus Sasul Sijo seems to have the tendency of resistance to reality. It was a specialty of realism poetry. It explained our life in detail and reflected real life by being an intermediary of realism. This met and represented the demand of a reader's expectations. After 1905, there was new form of sijo that is very different, in form and content, from the previous versions. It was even different in areas of what people accepted. They started to think sijo was not the form of lyrical verse that is once was. It became a 'record of reading'. The form changed to "hung or huhung" that satirized the times and the ending of a word in the last verse. Although this form could deliver the tension in statement, it was too far from the original form. Therefore, it didn't last long, and its position got smaller because of the free verse that had western influence and was emerging in the times. In the middle of 1920, there was a movement of Sijo revival. It was lead by Choinamsun. He wrote poems and Sijo which were effected by western ideas in his early works. Although he worked with that, he took the lead in the movement of Sijo revival. He published the collection of Sijo 「Baekpalbunnwoi」 that has one major theme-patriotic sentiment. He thought an ancient poem was a part of racial characteristics so that he expressed the main theme which represented the times and situations of his era. Modern Sijo is difficult. Sijo has to have modern and Korean verse characteristics at the same time. If it considers a modern aspect too much, it could not be distinguished from sijo and free verse. If it overly leans toward Sijo, it would seem to be too conservative which it then could be said to have no real charm of a poem. In spite of these problems, it is written constantly, because it has its own specialty. It has been focused on some works because they reflect awareness of modern times, the democratic idea, and realism. Overall, the authors of Modern Sijo express various themes by using different forms. The more what we can guess in this work, Sijo will exist permanently because of its flexibility. Furthermore, one special characteristic-flexibility of the korean verse will make it last forever and it will be a genre in Korean poetry.

      • KCI우수등재

        ‘아’ 말음 체언의 통시적 변화

        소신애(So, Shin-ae) 국어국문학회 2018 국어국문학 Vol.0 No.183

        본고는 중세 국어 ‘아’ 말음 체언을 유형별로 제시하고, 이들이 경험한 통시적 변화의 과정을 한국어 제 방언을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중세 국어 ‘아’ 말음 체언의 말음절이 현대 방언에서 주로 ‘이’나 ‘우’로 나타나는 경향에 주목하여, 이 같은 변화의 일반적인 방향과 변화의 기제 및 동인을 음운·형태론적 관점에서 밝히고자 하였다. 개음절 체언의 말음절 모음으로 ‘이’나 ‘우’의 비중이 높은 경향은 어말 위치에서 조음적 노력을 최소화하면서 지각적 변별성은 극대화하려는 화자의 암묵적 의도가 작용한 결과라고 해석하였다. ‘이’, ‘우’는 모음 공간상 주변 모음이면서 고모음인 까닭에, 어말 모음으로서 최적의 모음이라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This paper presented the declensional stems ending with ‘ʌ’ of Middle Korean by type, and it examined the processes of the diachronic changes of them focusing on the dialectal data of Korean. It paid particular attention to the tendency that the word-final vowels of the declensional stems ending with ‘ʌ’ of Middle Korean emerge as "i" or "u" in the Contemporary Korean dialects, and it attempted to establish the general directions of those changes as well as causes and mechanisms of them from the phonological and morphological point of view. It interpreted the tendency that "i" or "u" were preferred as the word-final vowels of the declensional stems was caused by the implicit intentions of the speakers which they tried to minimize the efforts of articulation of the vowels and to maximize the perceptual distinctiveness of them in the word-final position. It is supposed that both "i" and "u" are the optimal vowels as word-final vowels in that they are peripheral vowels and high vowels in the vowel space.

      • KCI등재

        대학생 별명에 나타난 은유와 환유의 유형과 특징

        안태형 동남어문학회 2020 동남어문논집 Vol.1 No.49

        This study examines the appearance of metaphor and metonymy in the cognitive process used to create nicknames for college students. Metaphor and metonymy act to create nicknames in a variety of combinations. Metaphor and metonymy only occur once, single metaphor, single metonymy compound metaphor where metaphor and metonymy occur twice, compound metaphor, compound metonymy, compound metaphor- metonymy, multi-step metaphor, multi-step metonymy, multi-step metaphor-metonymy, multi-step metonymy-metaphor, metaphor or metonymy more than three times Multilevel metaphor-metonymy. In addition to fun and validity, nicknames have convenience and distinction to maintain long life. In college nicknames, metaphor and metonymy that use names are frequently used, but metaphor that transform names and metonymy that reduce names are often used. 이 연구는 별명이 만들어지는 인지과정에 은유와 환유가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는지 살핀 것이다. 은유와 환유는 단독으로 또는 다양한 결합 방식으로 별명을 만드는 과정에 작용한다. 은유나 환유가 한 번 일어나는 단일은유, 단일환유, 은유나 환유가 두 번 일어나는 복합은유, 복합환유, 복합은환유, 순차은유, 순차환유, 순차은환유, 순차환은유, 은유나 환유가 세 번 이상 일어나는 다단계은환유로 나눌 수 있다. 별명은 재미, 타당성 외에도 편이성과 변별성을 가져야 긴 생명력을 유지할 수 있다. 대학생의 별명에는 이름을 활용하는 은유와 환유가 빈번하게 사용되었는데, 이름을 변형하는 은유와 이름을 줄이는 환유가 많이 사용되었다.

      • KCI등재

        利 와  令 의 변별성  -점토석독구결의 현토 양상을 중심으로 -

        문현수 구결학회 2022 구결연구 Vol.48 No.-

         본고에서는 동일한 독음을 지니는  利 와  令 가 점토석독구결에서 어떻게 현토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 문현수 (2020)에서는 자토석독구결에서 쓰인  利 와  令 가 서로 별개의 형태적 구성을 표기하기 위해 마련된 구결자로서 철저히 변별적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된 바 있다 . 이러한 주장이 옳다면 , 점토석독구결에서도  利 와  令 는 변별적인 구결점으로 현토될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 이는 나아가 점토석독구결이 표음적인 변별뿐만 아니라 형태적인 변별도 중시하는 문자 체계를 바탕으로 성립하였음을 보여주는 근거의 하나로도 활용될 수 있다 . 본고의 검토 결과 , 점토석독구결에서도 자토석독구결과 마찬가지로  利 와  令 는 철저하게 별개의 점토로 현토됨을 알 수 있었다 . 예를 들어 , 乎利 와  乎令 는 주본  <화엄경 > 점토석독구결에서 각각  31(··)과  13(/)으로 나뉘어 현토되며 , <유가사지론 > 점토석독구결에서는 각각  15(·\)/15(ɔ)와  24(\)로 나뉘어 현토된다 . 이를 고려하면 , 利 와  令 는 서로 별개의 형태적 구성을 표기하기 위해 마련된 구결자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 나아가 동일한 독음을 가진  利 와  令 가 점토석독구결에서도 변별적인 구결점을 이용해 현토되는 것을 볼 때 , 고려시대 점토석독구결의 점토는 표음적인 변별뿐만 아니라 형태적인 변별도 중시하는 문자 체계를 바탕으로 성립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 本稿 では 、同 じ 読音 を 持 つ 口訣字 である 利 [ri]と 令 [ri]を 、点吐釈読口訣 ではどのように 加点 しているのかを 考察 した 。先行 研究 では 、字吐釈読口訣 の 利 と 令 を 、別 の 形態的構成 を 表記 するた めの 口訣字 として 把握 したことがある 。このような 主張 が 正 しけれ ば 、点吐釈読口訣 でも 利 と 令 は 別 の 口訣点 として 加点 する 可能性 が 高 い 。本稿 の 検討 の 結果 、点吐釈読口訣 でも 、字吐釈読口訣 に 同 じ ように 、利 と 令 は 徹底的 に 別 の 点吐 で 加点 された 。例 えば 、乎利 [ho.ri]と 乎令 [ho.ri]は 、周本 華厳経 点吐釈読口 訣 では 各 々31(··)と 13(/)とに 加点 される 。そして 、瑜伽師地論 点吐釈読口訣 では 各 々15(·\)/15(ɔ)と 2 4(\)とに 加点 される 。したがって 、利 [ri]と 令 [ri]は 別 の 形態的構成 を 表記 するための 口訣字 である 可能性 が 非常 に 高 い 。さらに 、同 じ 読音 を 持 つ 利 [ri]と 令 [ri]を 点吐釈読口訣 でも 別 の 口訣点 として 加点 することをみると 、高麗時代 の 点吐釈読 口訣 の 点吐 は 、表音 はもちろん 、形態的 な 弁別性 をも 重視 する 文字 体系 をもとに 成立 したものであると 考 えられる 。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