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소설에 나타난 베트남전 2세의 형상화 양상 -『붉은 아오자이』, 『사이공의 슬픈 노래』, 『슬로우 불릿』을 대상으로-

        윤애경 우리어문학회 2014 우리어문연구 Vol.50 No.-

        In this paper that targets the works dealing with the lives of the second-generation after the Vietnam War, it was examined what clues to solution to their conflict situations the writers suggest, and what meanings the means of description to embody them have. As the solutions to the absolute pain they go through, a variety of ways, such as family reconciliation, acceptance by destiny, ruinous resistance, are presented, and the means of description which express them and their mean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orm of reminiscence which re-constructs the Vietnam War continues to awaken the appropriateness that the remembered past should accept the real scars of the war and create future-oriented relations. In addition, as it is specified as the transmission and share of memories among generations, the shift to family narrative which is both personal and a basic unit of the society is displayed. Second, the self-reflection mainly by the father generation shows a serious change of recognition of the Vietnam War from the other's viewpoint to the origin of my pain. Even through the meanings of the fictitious embodiment of the second generation of the Vietnam War are eventually concluded into the general messages of the novels related to wars, they examine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Vietnam War and the point where its nowness is manifested within the category of family and daily life, and deduct their meanings in the present. 이 글은 베트남전 2세들의 삶을 다룬 작품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지닌 갈등들에 대해 작가들은 어떠한 해결의 실마리를 제시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것들을 형상화해내기 위한 서사방식이 어떠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들이 겪고 있는 절대적인 고통에 대한 해결 양상은 가족적 화해나 운명적 수용, 그리고 파멸적 저항의 형태로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는데, 그것을 형상화해내고 있는 서사적 방식과 그 의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첫째, 베트남전이 재구성되고 있는 회상의 형식은 기억된 과거가 베트남전의 현실적 상처들을 끌어안고 미래지향적인 관계를 열어나가야 한다는 당위성을 끊임없이 환기시켜 준다. 또한 세대 간의 기억의 전승과 공유 양상으로 구체화됨으로써 그것은 개인 서사를 넘어 사회의 기본 단위로서 가족 서사로의 이동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아버지 세대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자기 성찰은 베트남전에 대한 타자적 시선으로부터 내 고통의 근원지로의 진지한 인식의 전환을 보여주고 있다. 베트남전에 대한 당자적 성찰은 그들의 자식들이 대를 이어 베트남 전쟁의 고통 속에 갇혀 있기 때문이다. 이 점에서 베트남전 2세들을 다룬 소설적 형상화의 의미는 궁극적으로 전쟁 관련 소설들이 지닌 보편적 메시지로 수렴되고 있다 하더라도, 가족과 일상적 삶의 범주에서 탐색해 들어감으로써 베트남전의 특수성과 그 현재성이 발현되는 지점을 진지하게 끌어내고 있다. 이상의 차원에서 그 의의를 찾아볼 수 있는 베트남전 2세의 형상화 양상은 당자적 입장에서 베트남전의 현재적 고통을 함께하고 이를 통해 베트남과의 새로운 미래를 열어나갈 기반을 마련하는 노둣돌로서의 성격을 띠고 있다. 따라서 그것은 현안 문제를 직시하는 현재 중심적 성격을 띠고 있음과 동시에 베트남과의 보다 발전적인 관계의 초석이 된다는 점에서 미래지향적이라 할 수 있으며, 이 점이 기존의 베트남전 소재의 소설들과는 분명한 차이를 갖는 지점이라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

        이원규의 『훈장과 굴레』에 나타난 민사심리전의 명암

        이경재(Lee, Kyung-Jae)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0 한국문학과 예술 Vol.34 No.-

        이원규의『훈장과굴레』는 베트남전에서 한국군이 수행한 군사적 활동을 직접적으로 그리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매우 크다. 박성우라는 인물을 통하여 베트남전 당시 한국군의 기본 전술이라고 할 수 있는 민사심리전을 다루고있으며, 이를 통해 구체적으로 베트남전에서 한국군이 수행한 역할의 역사적 의의와 한계를 탐구하고 있는 것이다. 육군 중위 박성우는 베트남전의 특성상 무력만을 내세워서는 안 되며, 베트남인들의 마음을 사로잡는 민사심리전을 펼쳐야 한다고 생각한다. 박성우는 온갖 어려움을 견뎌내며, 끝내 다이풍 사람들의 마음을 얻는데 성공한다. 이 과정에서 순수한 휴머니스트이자 베트콩과 한국군 사이의 중립자로 자처하지만, 성우는 엄연히 대한민국 현역 육군중위로 다이풍 마을을 반공촌으로 만들고 있을뿐이다. 성우는 일시적으로 다이풍을 반공촌으로 만드는데 성공하지만, 결국 모든 노력은 실패로 돌아간다. 속으로는 반공이라는 분명한 이념적 지향을 가지면서도 겉으로는 중립적인 휴머니스트로서 자처하는 박성우의 이중성은, 베트남인의 내면을 소거함으로써만 가능한 일이다. 성우는 반복적으로 베트남인들을 내면이나 이념이 없으며 오직 살고자 하는 본능만 남은 사람들이라고 규정한다. 그러나 실제 베트남전의 결과가 증명하듯이, 베트남인을 이념과는 무관하며 생존에만 매달리는 사람들로 보는 것은 일종의 제국주의적 (무)의식에 불과하다. 이처럼『훈장과 굴레』의 가장 큰 문제는 베트남인들의 백치화라고 할 수있으며, 이를 가장 잘 보여주는 인물이 바로 베트남 여성 미야이다. 결국 미야는 성우와의 사랑때문에 목숨을 잃는다. 이것은 다이풍 이성우의 민사작전으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것과 같은 선상에 놓이는 일이다. 『훈장과굴레』는 다이풍 마을의 비극적인 결말을 통하여, 한국군이 수행한 민사심리전이 무용한 것이었음을 역설적으로 드러내는 소설이다. 특히 민사심리전이 베트남전 당시 한국군이 표나게 내세운 작전이었다는 것을 고려한다면, 『훈장과굴레』는 그 어떤 베트남전 소설보다도 베트남전당시 한국군의 존재의의를 통렬하게 비판한 일종의 ‘반전소설’이라고 볼 수 있다. Lee Won-gyu"s “Medal and Bridle” is very meaningful in that it directly portrays the military activities of the Korean military during the Vietnam War. Lee Won-gyu"s “Medal and Bridle” specifically explores the historical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role played by the Korean military in the VietnamWar. Due to the nature of the VietnamWar, Army Lieutenant Park Sung-Woo should not only use force, but also thinks that it is necessary to launch a civil psychological war that captures the hearts of Vietnamese people. Sung-Woo endures all kinds of difficulties, and finally succeeds in gaining the hearts of Dai-Fung people. In this process, he is based on pure humanism and claims to be a neutral standing between the Viet Cong and the Korean Army. However, Sung-woo wants to make the Daipoong village an anti-communist as the lieutenant of the Republic of Korea"s active army. Eventually, Sung-woo succeeds in making Dai Poong a powerful anticommunist for his original purpose. When Korean troops leave the Dai Poong. residents are killed. The duality of Park Seong-Woo, who has a clear ideological intention of anti-communism in the inside, and is selfproclaimed as a neutral humanist, is possible only by eradicating the inside of the Vietnamese. Sung-woo repeatedly defines the Vietnamese as having no inner or ideological, but only instinct to live. However, as the result of the actual Vietnam War proves, it is only an imperial (non) consciousness that sees the Vietnamese as people who have nothing to do with ideology, but who are obsessed with survival. Eventually, Miya loses her life because of her love with Sung-woo. “Medal and Bridle” is a novel that paradoxically reveals that the civil psychological warfare conducted by the Korean military was useless through the tragic ending of the Dai Poong village. In particular, considering that the Civil Psychological War was a prominent operation by the Korean military during the Vietnam War, “Medal and Bridle” are considered to be a kind of "anti-war novel" that criticized the significance of the Korean military"s existence during the Vietnam War.

      • KCI등재

        한국과 미국의 베트남전 소설 비교 : 『무기의 그늘』과 『카차토를 쫓아서』를 중심으로

        이경재(Lee, Kyungjae) 구보학회 2021 구보학보 Vol.- No.28

        베트남전은 양측의 당사자만이 관여한 고전적 전쟁이 아니라, 수많은 국가가 개입된 매우 복잡한 국제전이었다. 따라서 어느 한 당사자의 입장에서만 바라본 전쟁상은 결코 온전한 것일 수 없으며, 마찬가지 맥락에서 베트남전을 형상화한 소설에 대한 연구 역시 다양한 참전 국가들의 목소리를 담은 여러 국가의 소설을 종합적으로 성찰해야만 온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 글에서는 한국과 미국에서 최고의 베트남전 소설로 인정받아 온 황석영의 『무기의 그늘』과 Tim O’Brien의 『카차토를 쫓아서Going After Cacciato』을 비교해 보았다. 이러한 작업은 비교의 대상이 되는 상대 작품의 특징을 선명하게 드러내고, 나아가 한국과 미국의 베트남전 소설이 지닌 개별성과 보편성을 탐구하는 기초작업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카차토를 쫓아서』는 외적 초점화의 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며, 주로 폴 벌린만이 내부로터 초점화가 된다. 폴 벌린은 평범한 병사의 인식과 정서를 보여주며, 이로 인해 이 작품은 베트남전을 둘러싼 다양한 맥락은 제거한 채, 일반 병사가 느끼는 전쟁의 구체적인 실감만을 전달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서술자 역시 구체적인 인식이나 전망을 드러내지 않으며, 지각적이거나 심리적인 국면에만 관여한다. 이것 역시 폴 벌린의 병사적인 시야와 맞물려 현장에 밀착된 재현의 양상을 보여준다. 『무기의 그늘』에서는 다양한 인물들이 초점화 되어 있지만, 이를 통해 복잡한 의미와 관점이 드러나기보다는 오히려 작가의 주제의식이 보다 선명하게 전달된다. 『카차토를 쫓아서』의 서술자가 현실에 대한 구체적인 인식이나 전망을 전혀 드러내지 않았던 것과 달리, 『무기의 그늘』의 서술자는 서사에 직접적으로 개입하여 자신의 정치적 견해를 드러내는데 주저함이 없다. 『카차토를 쫓아서』에서 베트남인은 온전한 인간이라기보다는 ‘풍경’이나 ‘동물’에 가까운 모습으로 그려질 뿐이다. 베트남인이 자신의 목소리를 내는 순간 이들은 서사에서 배제되어 버린다. 당연히 베트남인들을 향한 윤리적 죄의식 등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반해 『무기의 그늘』에서 베트남인은 안영규에게 ‘아시아인으로서의 공통운명’을 깨닫게 해주는 결정적인 계기가 된다. 또한 베트남전에서 안영규는 용병이라는 자신의 존재 위치를 깨닫게 되며, 이것은 마지막에 베트남민족해방전선에 속한 팜 민을 살해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안영규는 베트남에서 미군과 베트남인을 경험하며, 피해자로서의 용병인 동시에 가해자로서의 용병이기도 한 자신의 존재 위치를 깨닫게 된 것이다. The Vietnam War was not a classic war involving only parties from both sides, but a very complicated international war involving numerous countries. Thus, from the perspective of either party, the war image can never be intact, and in the same context, the study of novels representing the Vietnam War can only be achieved by comprehensively reflecting on novels from various countries. Based on this awareness, this article compares Hwang Seok-young’s The Shadow of Weapons with Tim O’Brien’s Going After Cacciato. This work is expected to be a basic work to clearly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opponent’s work, and further explore the individuality and universality of Korean and American novels of the Vietnam War. In Going After Cacciato, external focus is used. Paul Berlin shows the perception and sentiment of ordinary soldiers, thereby eliminating the various contexts surrounding the Vietnam War and conveying only the specific reality of the war felt by ordinary soldiers. Also, the narrator does not reveal specific perceptions or prospects, and is only involved in perceptual or psychological aspects. This, too, combines Paul Berlin’s military vision and shows a close reenactment of the scene. In The Shadow of Weapons, various characters are focused, increasing the likelihood of forming complex meanings and perspectives. The narrator of The Shadow of Weapons has no hesitation in directly intervening in the narrative and expressing his political views. In Going After Cacciato, Vietnamese people are portrayed more like “scenery” or “animal” than as a whole human being. As soon as Vietnamese make their voices, they are excluded from the narrative. Of course, ethical guilt towards Vietnamese does not occur. On the other hand, The Shadow of Weapons serve as a decisive opportunity for Ahn Young-kyu to realize “common destiny as Asians.” In addition, during the Vietnam War, Ahn Young-kyu realized his presence as a mercenary, which eventually appeared to kill Pham Min, a member of the Vietnamese National Liberation Front.

      • KCI등재후보

        베트남전시 한국군의 독자적 작전지휘권 행사와 채명신 사령관 역할 연구

        송재익 육군군사연구소 2014 군사연구 Vol.- No.137

        ROK and the U.S. agreed to transfer the wartime operational control of the Korean forces on December 1, 2015. North Korean nuclear missile threats occurred last year, ROK and US decided to have estimates on the terms and periods for the re­postponement of wartime operational control(OPCON) in the first half of 2014 in the 45th SCM. I think that there is significance to study how the Korean Forces conducted the operational command(OPCOM) independently in the Vietnam war. As the U.S. army intervenes in the Vietnam war under the goal of preventing communization of South-East Asia. US requested dispatch of troops to nations of the alliance in 1964. ROK started to dispatch its troops to Vietnam after dispatch's bills pass of congress, the issue of OPCOM arose, and Chae Myung Shin, the first Korean commander in the Vietnam war, made a big role to obtain original OPCOM. When Commander Chae commander passed away last year, he was buried in the Vietnam war veteran burials of soldiers following his will, being the first to be buried in the National Cemetery as a former general. In the 50th year anniversary of the dispatch of ROK army in Vietnam war, I would like to highlight the role of the commander Chae Myoung Shin to conduct original ROK forces OPCOM. 한국군의 전시작전통제권을 2015년 12월 1일 전환받기로 하였으나 작년 10월 제45차 SCM에서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이 상존하는 상황에서 전작권이 전환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보고, 정부는 재연기 판단을 2014년 상반기에 한국군의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을 위한 조건과 시기를 결정하기로 하였다. 이런 시기에 베트남전쟁시 유엔사(UNC) 통제 하에 있던 한국군이 어떻게 하여 독자적인 작전지휘권을 행사할 수 있었는지 연구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1960년대 초 미국은 동남아시아 국가들이 공산화되는 것을 막기 위해 베트남전에 개입하면서 추가 병력이 필요하자 1964년 5월 동맹국 한국에 파병을 요청하였다. 1964년 7월 국회에서 파병안이 통과되고 한국군은 4차에 걸쳐 파병을 하였다. 1, 2차 파병은 이동외과병원, 태권도 요원, 건설지원단 등 비전투요원이었으나 1965년부터 전투부대가 파병되면서 한국군에 대한 작전지휘 문제가 대두되었다. 파견되는 한국군 전투부대가 독자적인 작전지휘권을 확보하고 베트남전에서 군사작전을 할 수 있었던 것은 한국정부의 노력과 특히 초대 주월사령관인 채명신 장군의 역할이 컸다. 채명신 사령관은 한미 작전회의시 미군으로부터 시간을 얻어 베트남전시 한국군의 독자적인 작전지휘권 행사 당위성을 주월 미군사령관 및 참모들을 대상으로 설득을 통해 독자적인 작전지휘권 행사 허락을 받아내었다. 또한 채명신 사령관은 작년 별세 후 고인의 유언에 따라 월남전 참전용사 제2묘역에 안장됐다. 묘비의 표지석에는 “그대들 여기에 있기에 조국이 있다”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다. 채명신 장군은 장성 출신으로는 처음으로 현충원 사병묘역에 안장됐다. 한국군 베트남전 파병 50주년 기념 특집에 한국군의 독자적 작전지휘권 행사에 관해 채명신 사령관 역할을 조명해보고자 하였다.

      • KCI등재

        미국 웨스트민스터 시의 베트남보트피플기념비와 베트남전쟁기념비의 형상과 의미

        노영순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19 해항도시문화교섭학 Vol.0 No.20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look at the way the Vietnamese community in the U. S. builds history and memori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Vietnam Bot People Memorial and Vietnam War Memorial in Westminster, California in the U.S. The reason why we chose the monument and memorial in Westminster City, California, is because, among other things, there is the largest and most influential Vietnamese community in the world. Westminster, home to more than 200,000 Vietnamese-Americans and known as Little Saigon, is a space that best demonstrates the cultural identity of Vietnamese-Americans. The Vietnam Boat People Memorial and the Vietnam War Memorial are ways for the Vietnamese community to create a public space, fill their identity, and build memories that will last for many years. Therefore, one of the best ways to reveal the memory and present of the Vietnamese community is to look at the memorials they built. Chapters 2 and 3 analyze the shapes of the memorial statues and the text messages of the inscription, which are at the heart of the Westminster Vietnam Boat People Memorial. In doing so, we will look at how anyone's memory through media is perpetuated through frostbite, what the changes that took place in the process mean, and whether the possibility of future reinterpretations. Noting that the Vietnam Boat People Memorial has an inseparable relationship with the external environment surrounding it, especially the Vietnam War Memorial, Chapter 4 makes the interaction (opposition, negotiation, acceptance) between the two at the shape, meaning, community and city level. 본 논문의 목적은 미국 캘리포니아 웨스트민스터에 있는 베트남보트피플기념비와 베트남전쟁기념비 분석을 통해 베트남인공동체가 역사와 기억을 구축하는 방식을 살펴보는 데에 있다. 적지 않은 베트남보트피플기념비와 베트남전쟁기념비 중에서 미국 캘리포니아의 웨스트민스터 도시에 있는 기념비를 연구 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무엇보다도 세계에서 가장 크고 영향력 있는 베트남인공동체가 있기 때문이다. 20만이 넘는 베트남계미국인이 살고 있으며 리틀 사이공(Little Saigon)으로 알려진 웨스트민스터는 베트남계미국인들의 문화 정체성을 가장 잘 보여주는 공간이다. 베트남보트피플기념비와 베트남전쟁기념비는 베트남인공동체가 공공의 공간을 만드는 방식이자 정체성을 채우는 방식이며 후세에도 계속될 기억을 구축하는 방식이다. 때문에 베트남인공동체의 기억과 현재를 가장 잘 드러낼 수 있는 방법 중의 하나가 이들이 구축한 기념비를 살펴보는 것이다. 2장과 3장에서는 웨스트민스터 베트남보트피플기념비의 핵심인 기념동상의 형상과 비문의 문자 메시지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어떤 매체를 통한 누구의 기억이 어떤 의도로 동상화를 통해 영속되는지, 이 과정에서 일어난 변화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그리고 향후 재해석의 가능성은 존재하는지도 살펴볼 것이다. 베트남보트피플기념비는 이를 둘러싸고 있었던 외적인 환경 특히 베트남전쟁기념비와 불가분의 관계를 가지고 있음에 주목하여 4장은 이 둘 간의 형상, 의미, 공동체, 시(국가) 차원에서의 상호작용(대항, 협상, 수용)을 분석대상으로 삼는다.

      • KCI등재후보

        '동원'되는 여성작가: 한국전과 베트남전의 경우

        박정애 한국여성문학학회 2003 여성문학연구 Vol.10 No.-

        The greater part of women writers from 1950's to 1960's like Choi Jeong-Hee, Moh Yoon-Sook, Jang Deok-Jo, Son So-Hee, Jeon Sook-Hee, Joh Gyeong-1lee and what not, gender-specifically performed as helpers of anti-democratic political power and as softer ideologues of nationalism and militarism. The women, who mostly debut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and were treated as deans in 50's-60's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in both quantity and quality compared with younger ones who made their debut around Korean War such as Han Moo-Sook, Kang Seen-Jae, Park Gyeong-Nee, Han Mal-Sook, Jeong Yeon-Hee. On the one hand, military national power aims to organize women in personal space as the home front 'resources' and contemporary women writers occasionally take the initiative in pushing on with diverse activities of the civilian front. But in Korean War and Vietnam War although their voluntariness was motivated by virtual experience towards equality as well as concrete need of life, their actuality was so far within the limit of patriarchal gender-specific division of labor. On the other hand, in the latter half of 60's, generation of women world of letters was fairly changed. Therefore the voice of Choi Jeong-Hee and Moh Yoon-Sook could not overwhelmed the women literary circles. Younger generation novelist, Park Gyeong-Nee said that "the blood of our young men is not glorious but pathetic", giving a straight look to the reality of division nation Korean peninsula which was not strong to protect itself ought to send troops to other country. The distance from the rhetoric of glorious' which is bound to the ideology of nationalism to 'pathetic which represents more basic and fundamental humanism can be parallelled with the distance from the generation of Choi Jeong-Hee to the one of Park Gyeong-Nee. 최정희, 모윤숙, 장덕조, 손소회, 전숙회, 조경희 등 다수의 여성작가들은 50-60년대 반공주의남성 문단권력자들과 성별 분업적으로 반민중적 독재 정권의 '도우미 역할을 했거니와 한국전과베트남전이라는 두 번의 전쟁을 거치면서는 국가주의와 군사주의를 감성적으로 전파하는 이데올로그로 활동했다. 이들은 거의 일제시대에 등단하여 50-60년대에는 여성문단의 원로 대접을 받은 사람들로서 한국전쟁을 전후하여 등단한 차세대와는 양적· 질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한무숙, 한말숙, 정연회, 강신재, 송원회, 박경리 등의 후배 세대는 전후() 남성중심체제의 공고화와 그로 인한 중산층 여성의 성역할 고정화의 영향으로 소위 가정주부 겸임 작가 로서일찌감치 정치적 권력욕은 접어 버린 경우라고 볼 수 있다. 이에 비해 최정희 세대는 이미 일제(B)에 의해 동원되어 특혜를 받은 경험을 가지고 있어 국가의 '호명' 에 보다 쉽사리, 보다 적극적으로 정신()하는 면모를 보였다. 한국전과 베트남전 당시 국가의 호명에 응하는 그들의자발성은 구체적인 생활의 필요와 아울러 평등에의 환각 체험에 의해 추동된 것이었으나, 그들의실제 활동상은 여전히 가부장제 성벌 분업의 테두리를 벗어나지 못했다. 한편 여성문단의 세대교체가 상당한 정도로 이루어진 1960년대 후반, 베트남전 파병 논의를전후해서는 최정희회, 모윤숙의 목소리가 곧바로 한국 여성문단의 목소리였던 것은 아니었다. 자체 방위도 힘겨운 한국이라는 조그만 분단국가가 수만의 전투병을 파병해야 하는 현실을 직시하며박경리는 "우리 젊은이들의 피는 거룩하기보다 눈물겹다"고 표현했다. 국가주의 이데올로기에 포박된 수사인 거룩하다 에서 근원적 차원의 인간애를 제시하는 '눈물겹다 의 거리야말로 최정희세대와 박경리 세대의 거리였다.

      • KCI등재

        20세기 동아시아의 전쟁과 평화: 분단국가의 독자와 베트남전

        유희석 민족문학사연구소 2023 민족문학사연구 Vol.83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the creative achievements of Hwang Suk-young’s The Shadow of Arms in the context of East Asian literature, particularly the Vietnamese novels, Vân Lê’s If You Are Still Alive and Bảo Ninh’s The Sorrow of War. This evaluative criticism goes beyond conventional ‘compare and contrast’ reading strategy usually performed in the field of comparatism. Most of all, it demands deconstructions of the biases inherent in narrow literary study; when it comes to read Hwang Suk-young’s novel in tandem with the works of Vietnamese authors who lived through the Vietnam War, a rigorous analysis that challenges all kinds of comparative literary study must be in order. One of the central arguments of this paper is as follows: a crushing irony of The Shadow of Arms, which depicts at the very end of the novel a Korean mercenary who is enraged at the execution of his friend and revenges himself on the secret agent of the Vietnamese national liberation in the midst of disillusionment and humiliation, is nothing more than a gray truth of the Vietnam War. This truth reveals itself synthetically only when The Shadow of Arms is brought into the literary arena of mutual engagements with its essential counterparts, You Are Still Alive and The Sorrow of War. 본 논문은 황석영의 『무기의 그늘』이 도달한 소설적 성취를 베트남의 작가 반 레와 바오 닌의 장편소설인 『그대 아직 살아 있다면』과 『전쟁의 슬픔』에 비춰 상대화하면서 동아시아 문학의 연대를 성찰하려는 시도이다. 이 시도는 ‘비교문학’에서 통상적으로 수행하는 서사 형식의 대조・대비에 자족하지 않는다. 황석영과 반 레, 바오 닌의 장편을 비교하는 연구에서 핵심은, 한국문학의 영역으로 들어온 베트남전의 참뜻을 묻고 우리의 베트남전 문학을 상호탐문적 방식으로 상대화하는 데 있다. 상대화 작업에 소설로서의 면면을 살피는 비평은 필수이다. 하지만 동시에 협소한 문예 연구의 관성도 해체해야 한다. 이는 베트남전을 온몸으로 통과한 베트남 작가의 작품에 황석영의 장편을 비추면서 후자의 ‘공백’이 무엇일까를 묻는 연구이다. 『무기의 그늘』의 소설적 성취와 한계를 천착하는 본 논문은 간단치 않은 공백의 실상을 반 레와 바오 닌의 작품을 통해 좀더 엄밀하게 평가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환멸과 모멸 속에서 한국의 용병이 베트남 민족해방의 전사를 응징하는 『무기의 그늘』의 아이러니가 베트남전의 회색빛 진실에 불과하다는 점이 『그대 아직 살아 있다면』과 『전쟁의 슬픔』을 불러들일 때에야 비로소 좀더 뚜렷하게 드러난다는 것이다.

      • KCI등재

        베트남전 위문공연에 관한 젠더론적 연구Ⅰ(1964-73)

        이진아 ( Lee Jin-a ) 한국사회사학회 2020 사회와 역사 Vol.0 No.125

        이 글은 1964-73년 사이 수행된 베트남전 위문공연의 양상에 대해 젠더론적인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했다. 당시 이동하는 연예/위문단은 베트남전에 참전했던 한국인 남성을 위문하기 위해 베트남 현지와 한국 내부에서 반복적인 위문공연을 하였다. 베트남전 위문공연은 집단적이고 조직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졌는데, 이들은 한국연예협회와 공보부의 후원과 지지를 통해 장기적으로 지속될 수 있었다. 레퍼토리는 주로 한국인 예능인의 대중가요와 댄스 등이었다. 이들은 순회하는 공연 문화를 통해 특정한 남성성, 즉 파월장병으로 표상되는 지배적 정체성을 생성하고 있었다. 이는 위문공연이라는 프레임 안에서 남성 개별자를 넘어 이들의 가족과 형제까지 모든 구성원들이 위문하고 위문 받는 주체 위치에서 박정희 정권의 국민으로 호명되고 상상되는 것을 의미했다. 한국성과 남성성이 결합된 기표였던 파월장병은 1960-70년대 위문공연을 통해 ‘한국―베트남’이 연결되는 사회적 공간 안에서 ‘맹호, 청룡, 백마, 비둘기’ 등의 다양한 이름으로 변주되면서 일종의 위문예능을 통해 가시화되었다. 이는 서로 일면식도 없었던 이들에게 파월장병이라는 신체 감각과 동질적인 정체성을 구성하는 호명기제이자 문화 장치였다. This study examines consolation performance during the Vietnam War between 1964-73 from the perspective of gender theory. At that time, the traveling entertainment delegation performed a series of condolence performances repeatedly in Vietnam and Korea to console Korean men who participated in the Vietnam War. The consolation performance during Vietnam War was conducted on a collective and organized level, which could last for a long period through the sponsorship and support of the Korean Entertainment Association and the Ministry of Public Affairs. The repertoire mainly consisted of popular songs and dance by Korean entertainers. They created a dominant identity represented by a certain masculinity, soldiers who were dispatched to Vietnam, through a circulating performing culture. This meant that all members including their families and brothers beyond male individuals, were called and imagined to be members of the Park Chung-Hee regime in the position of subjects who give and receive the consolation. Through the consolation performance in the 1960s and 1970s, in a social space where “Korea―Vietnam” was connected, the soldiers who were dispatched to Vietnam symbolized the combination of Korean feature and masculinity, and was transformed into various names such as “Fierce tiger,” “Blue Dragon,” “White Horse,” and “Pigeon” became visible through a kind of consolation entertainment. This calling system and cultural device formed the body sense and the same identity of soldiers who were dispatched to Vietnam to those who were complete strangers one another.

      • KCI등재

        베트남전 참전 제대군인의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에 대한 예측 변인

        강성록,김세훈,이현엽 한국임상심리학회 2014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33 No.1

        전투에 노출된 제대군인은 노년기에 다양한 신체적, 정신적 증상을 경험하는데, 이중 PTSD는 대표적인 심리적 증상 중 하나이다. 우리나라는 32만 여명을 베트남전에 파병하였으나, 이들에 대한 심리학적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베트남전에 참전한 제대군인의 PTSD 증상의 유병률을 파악한 후, 인구 통계학적 변인들, 다양한 전쟁 전(외상적 사건, 가정 환경), 전쟁 중(전투 노출, 통제감, 부대 내 사회적 지지), 전쟁 후 요인(복귀 후 사회적 지지, 추가적인 스트레스 생활사건들) 중 PTSD 증상을 예측하는 변인들을 찾아보고자 했다. 400명의 참전군인을 대상으로 Mississippi PTSD 척도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Kulka 등(1991)이 제시한 89점의 준거점수를 기준으로 했을 때 163명이 PTSD 준거점수를 넘어 40.8%의 PTSD 증상 유병률을 나타냈다. 각 변인별로 PTSD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현재 월 수입액이 낮고, 현재 건강상태가 좋지 않으며, 아동기 가정 환경이 부정적이고, 전투 노출이 높을수록, 그리고 베트남전 복귀 후 낮은 사회적 지지를 받고, 스트레스 생활사건을 많이 경험할수록 유의미하게 높은 PTSD 증상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파병 50주년 시점에서 재평가한 베트남전쟁의 현대 전략적 함의

        박민형 한국국방연구원 2014 국방정책연구 Vol.30 No.1

        베트남 파병은 한국 근현대사에 있어서 많은 의미를 가지고 있는 중대한 사건이었다. 따라서 베트남전 종전 이후 여러 학문 분야에서 베트남전에 대한 많은연구가 시행되어 왔다. 그러나 베트남 파병 50주년을 맞은 현시점과 최근의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제4세대전쟁, 비대칭전쟁이라는 새로운 전쟁패러다임 등을 고려할 때 베트남전을 재고찰하여 현 시대적 군사전략 또는 국방 정책적 함의를찾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이는 기존의 정규전적사고에 의해서 베트남전을 분석한 것과는 또 다른 의미의 분석이 될 수 있으며전략적 마인드를 재환기시키는 계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가 전사를통해 현대적 함의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전쟁을 유발한 요인을 분석하고, 전쟁을 분석한 후 전쟁수행과정을 통해 전쟁전략의 적용과정을 입증한다. 이후 전쟁의 승패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전략적 함의를 도출하는 과정을거쳐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과정을 바탕으로 제4세대전쟁의 전형적 사례로평가받고 있고 1975년 베트남의 공산화로 막을 내린 베트남전쟁이 아직까지 분단되어 있는 현시대의 한반도 안보에 주는 전략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To dispatch troops to Vietnam War was historic event for the ROK. This year isthe 50th anniversary of the sending troops, and currently security circumstance hasbeen changing rapidly. Moreover, new aspect of war such as the 4th generation warand asymmetric war is taken growing interest among experts. Considering them, it isvery meaningful to analyze Vietnam war focusing not on the regular war but on theasymmetric war and strategy in order to find modern strategic implications on themilitary strategy and policy because The Vietnam war is a typical example to showthat weak state could beat the strong state. On the basis of this standpoint, the study will draw main factors with which theNorth Vietnam could win the war and unify the whole nation. It will also examinein two aspects, military and political/cultural aspect. In military aspect the study focuseson the strategical asymmetry and in poli-cultural aspect it will stress politicalpropaganda of communist in South Vietnam. Lastly, it will suggest policy and militaryimplications for the security of Korean peninsul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