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불탑 숭배와 법화경 신앙

        이태영(덕해)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20 강좌미술사 Vol.55 No.-

        『법화경(the Lotus Sūtra)』은 성립 이후에 여러 지역으로 유포되어 현재도 가장 많이 읽고, 쓰고, 기도하는 경전이다. 법화경은 경전 자체가 지극히 신앙적 경전이라고 할 수 있다. 불상을 조성하고 탑을 세우는 흔히 ‘조불조탑(造佛造塔)’의 핵심적인 경전이기 때문이다. 법화경을 불탑 공양 불교에 있어 신앙의 중요한 점을 부정할 수는 없다. 하지만 부파 교단에서 있었던 불탑(stupa) 공양도 있기에 보다 면밀한 검토가 필요해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법화경의 내용에 나타난 불탑신앙의 형태 및 전파 과정에서 나타난 법화경 상의불탑신앙을 서적과 자료를 통해 살펴보자 한다. 인도에서 시작된 법화경이 어떠한 신앙 형태를 지니게 되었는지, 실크로드와 중국을 거치면서 어떠한 변용이 되었는지도 중요하게 살펴보아야 할 문제점이다. 실크로드 지역은 한지연, 「서북인도-서역 신앙형성에 나타난 법화 신앙적 요소」 『동아시아 법화경 세계의 구축』 및 『서역불교교류사』를 주로 참고했으며, 중국 초기 법화신앙 부분은 최은영, 「초기 중국불교사에서 법화경 연구와 신앙형태」와 문무왕, 「중국 초기 석굴에 나타난 법화신앙의 특징」을 참고하였다. 법화 신앙의 뿌리는 깊다. 논문 한 편으로 정리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이다. 『법화경」은 그 뿌리에 기본적으로 신앙심은 내포하고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위의 논문의 내용을 몇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법화경』의 시작을 추정하기는 어렵지만 결집(Saṅgīti)되고 첨가되면서 강력한 신앙 불교의 형태를 지닌 경전이 탄생하였다. 둘째, 『법화경』의 전파 과정상에서 구자국(Kucha)의 역할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미륵(Maitreya)신앙이 그 형태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중국에 수용된 『법화경』은 신앙 불교의 핵심을 이루게 되었다. 넷째, 중국 초기불교 시기의 석굴 조성과정에서 『법화경』은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아미타(Amita) 신앙이 유행하기 전까지는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했었다고 볼 수 있다. 『법화경』을 중심으로 한 신앙은 인도에서 시작되어 실크로드를 거쳐 중국에 까지 전해졌다. 이러한 신앙은 불탑(stūpa)과 불상(Buddha’s image) 조성을 위한 중요한 기초가 되었으며, 이러한 흐름은 불교 신앙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단서가 될 것이다. 쿠차의 키질(Kizil) 석굴(Buddhist Cave), 운강(Yungang)석굴, 용문(Longmen)석굴 등에 이러한 법화신앙의 요소가 남아있다. “The Lotus Sūtra” has been distributed to many different regions since its creation. Even today, it is one of the scriptures that are most read, written, and prayed by. The scripture itself is very devotional as it is the essential scripture in “making Buddha statues and stupas.” There is no denying that “The Lotus Sūtra” is one of the important elements in the faith of Buddhism based on stupas and offerings. There is, however, a need to review it more closely since some sects have the practice of stupa offering.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stupa faith in “The Lotus Sūtra” based on its forms and spreading processes described in the scripture by looking into concerned books and materials. The focus should be on what kind of faith form “The Lotus Sūtra” got to develop after its origin in India and what transformation it underwent via the Silk Road and China. The areas of Silk Road were examined in Han Ji-yeon’s “Elements of Lotus Sūtra Faith in the Formation of Faith in Northwestern India - Countries Bordering on Western China,” “Establishment of The Lotus Sūtra World in East Asia” and “History of Exchanges in Buddhism in Countries Bordering on Western China.” The study consulted Choi Eun-yeong’s “Research and Faith Forms of The Lotus Sūtra in Early History of Buddhism in China” and Mun Mu-wang’s “Characteristics of Lotus Sūtra Faith in Early Buddhist Caves of China” to examine the early Lotus Sūtra faith of China. The Lotus Sūtra Faith has deep roots. It is almost impossible to sort out its history in a single paper. There is basic devotion connoted in the roots of “The Lotus Sūtra.” The papers examined above can be arranged in several points: First, although it is difficult to estimate the beginning of “The Lotus Sūtra,” the process of Saṅgīti and addition gave birth to a scripture in a form of strong religious Buddhism. Second, Kucha played important roles in the spreading process of “The Lotus Sūtra,” and Maitreya faith is in its form. Third, “The Lotus Sūtra” accepted in China made the core of religious Buddhism. And fourth, “The Lotus Sūtra” played critical roles in the formation process of Buddhist caves in the early days of Buddhism in China and carried out central roles until the vogue of Amita faith.

      • KCI등재

        미야자와 켄지의 동화와 법화경 -「십력의 금강석」,「목련 나무 」,「용과 시인」을 중심으로-

        박경연 ( Kyoung Yeon Park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5 日語日文學硏究 Vol.93 No.2

        미야자와 겐지의 동화는 특수성을 가지고 있다. 그 하나로서 종교성을 들 수있다. 켄지의 종교를 이해함으로써 그의 동화를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다고 보고 본 논문에서는 그의 작품을 통해 켄지와 법화경과의 만남에 의한 켄지의 의식의 변화를 연구하고자 한다. 동화를 통해 본 종교적인 감성을 기반으로 켄지의 상상력은 그의 종교적 세계관과 작품관에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켄지의 법화경과의 만남이나 법화경의 실천을 작품 속 에서 볼 수 있다. 켄지의 동화 「십력의 금강석」, 「목련 나무」, 「용과 시인」을 중심으로 작품 속의 불성, 법화경, 대중 구제의 방편으로 해석하고 고찰한다. 켄지의 세 작품에 공통적으로 나타난 불성, 법화경과의 관련성 연구를 통해서 정확한 근거를 제시하여 독자의 궁금증을 충족하기에는 불충분하다. 그러나 인간의 감성 또한 문학과 종교의 연구라면 작가의 사고, 그의 일생을 보여주는 작품을 감상하고 더 나아가 작가의 내면에 다가설 수 있다. 작가가 가지고 있는 불성, 종교적 측면에 대하여 필자는 위의 세 작품을 통해 고찰하였다. 사람은 누구나 불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 불성은 법화경과의 만남으로 실현될 수 있다. 따라서 부처의 가르침인 법화경과의 만남은 대중 구제 수단으로 볼 수 있다. 법화경을 주요 경전으로 삼고 있는 일련종에서는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을 부처가 사는 세상으로 본다. 따라서 현실 세계를 정토의 세계로 만들기 위해 경전을 통하여 대중에게 포교하고자 했다. 이러한 포교와 가르침을 켄지는 자신의 작품을 통해 전하고자 하였다. 켄지는 자신의 동화가 대중 구제의 매체로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한 작가라고 할 수 있다. 본문에서 소개한 동화를 통하여 법화경을 일반 대중에게 전하고자 하는 켄지의 의지를 엿볼 수 있다. 켄지는 작품을 통해 간접적인 포교 활동을 행하였고 또한 위의 작품은 법화경의 가르침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작품 이라는 점에 그 가치를 찾을 수 있다. 법화경은 다른 경전과 달리 상징적인 표현이 많은 문학적 가치가 높이 평가되고 있는 경전이다. 이는 줄거리를 가진 문학의 특성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상징적 표현이 많기 때문이다. 또한 독자에게 상상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여 자신만의 해석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이 법화경의 특성은 켄지의 동화의 특성과도 부합하는 요소가 된다. 이러한 요소가 법화경을 상징하는 공통점을 가진 동화로 선택된 위의 세 작품은 인간이 가지고 있는 불성, 법화경과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그 관련성을 3가지로 정리해 보면 작품 중에 등장하는 법화경의 사상 속 물아일체, 자타일체의 사상이다. 그리고 「십력의 금강석」 의 금강석, 「목련 나무 」의 목련나무, 「용과 시인」으로 용이 읊은 시를 통해 존재하는 모든 것에는 불성이 존재하고 그 불성은 법화경을 통해 실현된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법화경을 의미하는 상징적인 매체가 나온다. 「십력의 금강석 」에서는 이슬, 「목련 나무」에서는 각자(覺者)의 善, 「용과 시인」에서는 붉은 구슬로 표현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 세 가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켄지의세 작품을 고찰하였다.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Kenji Miyazawa`s fairy tales is religiosity. With a view to having a better grasp of his fairy tales through understanding Kenji`s religion, this paper examines the changes in consciousness brought out by his encounter with the Sutra of the Lotus. Kenji`s imagination based on his religious sensibility as reflected in his fairy tales influenced his view on the world and his works. His encounter with The Sutra of the Lotus or his practice of this scripture can be examined in his works. This study examines the Buddhahood and ways of relieving the public in the Sutra of the Lotus as reflected in his fairy tales such as 『Ten Powers of the Diamond』, 『Magnolia』 and 『The Dragon and the Poet』. A study of the relevance of the Buddhahood and the Lotus of Sutra to his three works has provided enough evidence to satisfy readers` curiosity. Nevertheless, as human sensibility is also a study of literature and religion, we can get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inner workings of Kenji`s mind upon examining his works that reflect his thoughts and life. This study examines those three works mentioned abov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Buddhahood and religion. Everyone has Buddhahood, which can be realized upon her encounter with the Lotus Sutra. As such, an encounter with the Lotus of Sutra, teachings of the Buddha, can be seen as a means of relieving the public. NichirenSyoshu, whose major scripture is the Lotus Sutra, sees the world we live in as the one where the Buddha also lives. It tries to propagate its teachings to the public through this scripture. Kenji wants to propagate its teachings through his works. Kenji can be regarded as an author who does his best in his role of the medium of relieving the public through his fairy tales. The three works mentioned above reveal Kenji`s intention of introducing the Lotus Sutra to the general public. He is indirectly doing the missionary work through his fairy tales. The above-mentioned three works are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they symbolically express the teachings of the Lotus Sutra. Unlikeother many scriptures, Lotus Sutra is full of symbolic expressions and is considered to have much literary values. It has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of having a story as well as plentiful symbols. It also allows readers to imagine and enables them to arrive at their own interpretations.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Lotus Sutra accord with those of Kenji`s fairy tales. Through the three works chosen on the basis of the commonalities with what the Lotus Sutra symbolizes, we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ddhahood in people and the Lotus Sutra. The relatedness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First is the idea of being oneself in unison with the others and the things, expounded in the Lotus Sutra, is present in these works. Second, the diamond of the 『Ten Powers of the Diamond』, the magnolia in 『The Magnolia』 and the poems the dragon recites in 『the Dragon and the Poet』signify that the Buddhahood is present everywhere and it can be realized through the Lotus Sutra. Finally, there are symbols of the Lotus Sutra in these works-the dew in 『Ten Powers of the Diamond』, each line used in depicting the magnolia In 『Magnolia』, and the red bead in 『The Dragon and the Poet』. This paper examines the three works of Kenji in terms of these three connections.

      • KCI등재

        Saint Seosan, Huejeong's accommodation of the Lotus Sutra and religious works

        李起雲 한국선학회 2006 한국선학 Vol.15 No.-

        휴정의 법화경 수용은 그의 스승으로부터 전해진 것이었다. 전법의 스승이었던 부용영관과 법조였던 벽송지엄의 행적에서 법화경을 수용하여 교화한 것을 보여준다. 이들 두 스승이 법화경을 인용하여 禪法門을 폈고, 이를 서산대사 휴정에게 교화함에 따라 휴정의 법화신행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을 것이다. 그 법화사상은 방편을 열어 진리에 들어가는 일불승 법문이었다고 할 수 있다. 휴정은 捨敎入禪의 禪法을 폈으나, 법화신행의 일면도 보여준다. 그는 법화경을 간행하는 疏를 쓰고 있고, 각종 경찬 법 석 불교의식, 그리고 천도의식에서 법화경을 독송하였다. 또 그의 사리신앙도 법화경 사리공양에서 나온 것이었다. 특히 『청허집』부록의 영혼을 맞이하는 의식인 영혼식에는 법화경에서 설하는 삼보가 모셔져 신행되었다. 그밖에 여러 전적에서 법화경의 비유를 들어 禪의 이치를 설명하고 있어 법화경을 禪으로 회통하고 있다. 이로써 서산대사 휴정의 법화신행은 조선 중기 무종파 시대 이렇다 할 법화경의 교학적 발전이 눈에 띄지 않는 가운데서도, 경을 간행하고 법석 불교의식 등으로 신행한 법화신행의 중요한 일면을 보여준다. His accommodation of the Lotus Sutra is come down from his teachers. Considering the work of Buyong and Byeoksong who he regarded them each father and grandfather when it comes to his Buddhism, we could think that these two teachers might have practiced Zen through a Buddhist sermon and also they might have educated Saint Seosan, Huejeong this sermon. It means that his Buddhist belief would have been affected by them more or less. His Buddha sermon can be defined as the teaching text of Buddha which opens the way to truth. He had educated all of the Lotus Sutra to from Sunginjangro, his teacher of a Buddhist monk, Byeoksongjieom, the adviser of Buddhist sermon, Buyongyeonggwan, the messenger of Buddhist law and his student, Saint Samyeong. The Buddhist belief uses So(notes) which publishes the Lotus Sutra and it recited the Lotus Sutra at the Cheondoeuisik of various Buddhism ceremonies(The ceremony which prays to make the death pass away peacefully). His belief for a Buddhist saint also came from the memorial service of it. Especially spiritual ceremony(Ceremony which welcomes the spirit) of the supplement of Cheongeojip(淸虛集) was accomplished with three treasures (Buddha, Dharma, Saṃgha) which explain the Lotus Sutra. Otherwise, he explains the theory of Zen in various fields comparing to the Lotus Sutra so he harmonizes the Lotus Sutra with Zen.

      • KCI등재

        고려후기 '法華經 戒環解'의 유통과 사상사적 의미 : 고려후기 天台宗의 사상 경향에 대한 일고찰

        박광연 韓國佛敎硏究院 2013 불교연구 Vol.38 No.-

        This paper investigated the extant edition of 'Beophwa gyeong Gyehwan hae (法華經 戒環解 = 法華經要解, the Gyehwan's Interpretation of Lotus Sutra)' which was published around the late Goryeo (高麗) period, and examined the background of the publication and it's philosophical significance. The short contents of Beophwa gyeong Gyehwan hae is as follows: Beophwa gyeong Gyehwan hae is the commentary of Beophwa gyeong (法華經) written by monk Gyehwan (械環) of Song Dynasty, which emphasized the homogeneity of Beophwa (法華) and Hwaeom (華嚴). Accordingly, this tex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trend of Cheontae Jong (天台宗)'s philosophy around the late Goryeo. In the previous study, there was assertion that Gyehwan hae was first published in 1240 at the Baengnyeon Association (白蓮結社 the White Lotus Association) and the most of the Beophwa gyeong was Gyehwan hae version around the late Goryeo perions. According to the examination of the bibliography and the extant versions, it is quite evident that Gyehwan hae was first published 1240 at the Baengnyeon Association. However, there appeared another version in 1382 around the King U (禑王 1375-1388) period. According to the bibliography, the records related to Gyehwan hae are found around in 1380's. In the preface of the Baengnyeon Association edition in 1240, the publication of Gyehwan hae was asked by the powerful ruler Choi U (崔瑀). Since 1240, the original Beophwa gyeong(translated by Kumārajīva 鳩摩羅什) was published many times and the copying of was made also through the original Beophwa gyeong. Therefore, the background origin of the prevalence of Gyehwan hae than the other versions can be found directly in the edition of the King U (禑王), In the 1380's, Cheontae Order seemed very active in accepting Hwaeom doctrines and the publication and propagation of Gyehwan hae. The trend was the strategy of survival of Cheontae Order which faced the shrinking of Jo In-gyu (趙仁規) family and the rapid spread of Linji zong (臨濟宗). That's the reason why Cheontae Order didn't emphasize the originality of Cheontae. It rather showed the effort to communicate with other schools such as Seon and Hwaeom thoughts. According to the record related to Gyehwan hae, such Cheontae monks as Yowon (了圓), Hyusangin (休上人), and Sinjo (神照) appeared in the texts. They are all related directly or indirectly to Myohye(妙慧) who led Cheontae Order around the late period of Goryeo. The famous Dharma assembly in 1392 at the Maneui-sa (萬義寺) Temple, the headquarter of Cheontae Order, Dharma-talk concerning Gyehwan hae was given among 330 Cheontae Order monks. This showed most of the Cheontae Order monks at the end of Goryeo and the early period of Joseon (朝解) accepted Gyehwan hae. The publication of Gyehwan hae had become more active in Joseon period. They restored the late Goryeo edition or engraved the new editions. Especially in 1405, the version made at the Ansim-sa Temple in Jeolla-do (全羅道) which was aroused by Jogye Order monk Sinhui (信希) and handwritten by Seongdalsaeng(成達生) played an active role in the prevalence of Gyehwan hae later on. This meant that Gyehwan hae is no more the monopoly of Cheontae Order. This study is very significant and showed how we can understand the philosophical trend of the late Goryeo Cheontae Order and Buddhism as whole in Korea Buddhist history through the circulation of Gyehwan hae. 이 글에서는 고려후기에 간행된 '법화경 계환해'의 현존 판본을 조사하고, 그 간행 배경 및 사상사적 의미에 대해 재고찰해 보았다. 그 내용을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법화경 계환해[法華經要解]는 송의 임제종 승려 戒環이 화엄과 법화의 동질성을 강조하는 입장에서 『법화경』을 주석한 것이다. 때문에 고려후기 천태종의 사상 경향을 이해할 때 매우 중요한 서책이다. 선행 연구에서 계환해가 1240년 백련결사에서 처음 간행되었고, 이후 고려후기 법화경은 대부분 계환해였다는 주장이 있었다. 그런데 계환해 관련 현존 판본과 문헌 기록을 조사해본 결과, 계환해가 1240년 백련결사 보현도량에 처음 간행된 것은 분명하지만, 그 이후 우왕대인 1382년에 가서야 다른 판본이 나온다. 문헌상에서도 1380년대에야 계환해 관련 기록이 등장한다. 1240년 백련결사 간행본의 발문을 보면, 이때의 계환해 간행은 집정자 최우의 요청에 의한 것이였다. 1240년 이후로도 법화경 원전본이 다수 간행되었음은 물론, 고려후기에 유행한 법화경 사경은 원전본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므로 조선시대에 계환해가 원전본 및 다른 주석서들보다 성행하게 되는 직접적인 배경은 우왕대(1375∼1388) 간행본에서 찾을 수 있다. 1380년대에 들어 천태종에서는 화엄의 수용 빛 계환해의 간행·보급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인다. 이는 조인규 가문의 세력 위축이라는 여건 변화와 임제선풍의 급속한 확산이라는 외부적 상황에 직면한 천태종의 생존 전략이라고 판단된다. 천태종의 고유성, 차별성만을 강조하지 않고, 화염이나 선과 같은 다른 사상과 소통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계환해 관련 기록에 천태종 승려 了圓(懶殘子), 休上人, 神照가 등장하는데, 이들은 모두 고려말 천태종을 이끌던 妙慧와 직·간접적으로 연결된다. 1392년 고려말 천태종의 本寺인 만의사에서 행해진 법회에서는 330명의 천태종 승려가 참여한 가운데 계환해를 강의하였다. 이는 고려말 조선초가 되면 대부분의 천태종 승려들이 계환해를 수용하였음을 말해준다. 고려후기 천태종이 백련사계와 묘련사계로 나눠져 있었다는 견해가 있는데, 계환해 수용 태도에서는 이러한 구분을 찾기가 어렵다. 계환해는 조선시대에 들어 더욱 활발히 간행되었다. 고려말 판본을 복각하기도 하고 새롭게 판각하기도 하였다. 특히 1405년 조계종 승려 信希가 발원하고 成達生이 직접 필사에 참여하여 전라도 안심사에서 간행한 판본은 이후 계환해 유행에 결정적 역할을 하였다. 본 연구는 계환해의 유통 상황을 통해 고려후기 천태종, 나아가 불교계 전반의 사상 경향을 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운허의 『법화경』번역과 그 입장

        차차석 대각사상연구원 2014 大覺思想 Vol.21 No.-

        근세 한국불교계에서 역경의 화신으로 추앙받았던 운허는 1972년 한문본 『묘법연화경』을 한글로 번역했으며, 이것을 보완해서 1994년도에는 동국대학교 역경원에서 한글 『법화경』을 출간했다. 본고는 운허가 번역한 한글 『법화경』에 대해 몇 가지 시 각에서 살펴보았다. 고찰의 결과는 매우 전통적인 사고에 입각해 『법화경』을 이해 하고 있다는 점이다. 『법화경』전체를 이등분하고, 그것을 체용의 논리에 입각해 이 해하고자 했던 것은 道生 이래 전개되는 중국의 『법화경』연구가들에게서 흔히 발 견할 수 있는 일이다. 특히 三周說에 입각해 『법화경』을 설명하는 것은 중생들의 근기가 다양하고 삶의 방식이 일률적이지 않은 현실을 전제한 것이다. 운허는 그런 점을 수용하여 『법화경』을 해제하고 있다. 그런 점은 특히 천태의 사상적 영향을 받은 것 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운허의 『법화경』에 대한 입장은 천태사상의 영향에 머물러 있는 것만은 아니다. 묘법이나 불성을 해석할 때 스며들어 있는 화엄이나 선사상의 영향도 발견할 수 있다. 그런 점은 한국불교의 전통과도 무관하지 않다. 화엄과 선의 융합은 이미 한국 불교사상의 핵심을 형성하고 있으며, 그러한 사상적 전통은 『법화경』을 번역하고 이해하는데도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운허가 번역한 한글 『법화경』은 읽는 사람들을 고려한 배려의 따스함이 스며있는 것을 느낄 수 있다. 특히 동국대 출간본은 법보원 판본을 수정 보완했다는 점에서는 보다 완벽하다고 평가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소박하고 토속적인 번역어를 음역으로 많이 바꾸었다는 점에서는 오히려 퇴보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현재 시중에는 수많은 판본의 『법화경』이 출간되어 있다. 아마 그 母本 중의 하나가 운허가 번역한 『법화경』이라 볼 수 있다. 그만큼 한국불교계에 미친 영향이 크다. 보다 쉽고, 그러면서도 일상적인 용어를 활용해 『법화경』을 번역하는 것은 한국불 교의 발전을 위해 필요한 일 중의 하나라 본다. 그렇지만 어떤 경우는 한글로 번역된 경전이 더욱 어렵게 느껴지는 경우가 있다. 한문을 음역만 하거나 의미를 제대로 살리지 못한 경우가 그렇다. 오히려 운허처럼 일상에서 우리들이 사용하는 용어를 잘 살려 번역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중과 유리된 불교, 대중들의 종교적 감성을 승화시켜주지 못하는 번역은 진정한 의미에서 번역이라 말할 수 없는 것이다. Ven. Un-heo, a great priest translator of the Buddhist scriptures, translated The Lotus Sutra(Chinese edition) into Korean, in 1972. Based on it, the Institute for translating the Buddhist scriptures at Dongguk University published The Lotus Sutra in Korean in 199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in looking into The Lotus Sutra in Korean in depth. This edition seems to understand it in the perspective of traditional thought. Dividing The Lotus Sutra into two groups and understanding it in Cheyong (Substance and Function:體用) was common among the researchers of The Lotus Sutra in China since Daosheng(道生). In particular, interpreting The Lotus Sutra, based on Samjuseol(三周說), is premised on the fact that sentient beings's ability is different and their way of life is also not same. Actually, Ven. Un-heo accepted such a perspective and interpreted The Lotus Sutra, which appears to be influenced by Tientai thought. However, Ven Un-heo's perspective seems to be not only influenced by Tientai thought but also by Hwaeom(華嚴: the Dharmadhatu) and Seon(禪) thought in interpreting the marvelous Dharma and Buddha-nature, which has something to do with Korean tradition. Above all, Hwaeom and Seon is the core of Korean Buddhist thought. It had a great influence on translating and understanding The Lotus Sutra. Ven. Un-heo's translating edition gives a feeling of warmth and care to the reader. While Dongguk University edition is more perfect in that revised and supplemented Beopbowon edition, it is evaluated a little bit a backward step because of translating simple and native translating language into transliterating one. In fact, there are many translating editions of The Lotus Sutra. But Ven. Un-heo's translating edition may be one of parent bodies. It is contributable to his good translating by the use of common language used in our daily lives.

      • KCI등재

        新羅 義寂의 『法華經』 이해

        박광연(Park, Kwang-Yeon) 불교학연구회 2008 불교학연구 Vol.21 No.-

        본고에서는 『韓國佛敎全書』 권2에 실려 있는 『法華經論述記』를 분석하여 義寂의 사상 경향 및 『법화경』 이해를 살표보았다. 의적은 7세기 후반 8세기 초에 활동한 唯識 승려이다. 그런데 『법화경론술기』를 보면, 의적이 『화엄경』에 대한 깊은 이해가 있었고 의상이 소개한 화엄사상에 대해서도 주지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의적을 華嚴 승려라고 할 수는 없지만, 고려시대의 의적에 대한 일련의 기록이 화엄종과 관련해서 나오는 것을 단순히 고려시대 華嚴宗의 종파성 때문이라고 평가할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의적은 玄奘의 제자이지만 慈恩과는 다른 견해를 지녔음이 이미 밝혀졌다. 『법화경론술기』에서도 그러한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趣寂聲聞의 성불 가능성을 언급한다거나 眞諦의 三法輪說을 인용하는 방법으로 慈恩의 견해를 많이 따르고 있다. 뿐만 아니라 『成唯識論』이나 『瑜伽師地論』등의 유식 논서도 적극 인용하는 모습에서 유식 승려로서의 면모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 의적의 『법화경』 이해는 두 가지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먼저 의적은 『法華經論』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통하여 『법화경』을 독자적으로 해석하였다. 의적이 『법화경론』을 강의하고, 『법화경』 설법 듣는 것을 강조한 것은 多聞薰習으로 善根을 쌓는 것을 중시하였기 때문이라 이해하였다. 다음으로 의적의 一乘觀도 독자적임을 밝혔다. 의적은 『법화경론』에 나오는 ‘十種無上’이 바로 일승이라고 하였다. 나아가 이 一乘 이해를 보살의 수행단계인 十地와 연결시켜 8地 이상의 획득을 강조하고 있다. 의적은 『법화경』 설법을 들음으로써 생기는 변화에 주목하였다. 『법화경』의 聽聞으로 열반의 상태를 맞볼 수 있다고 한다. 이렇게 『법화경』의 청문이 수행에 다름 아니라는 의적의 인식, 그리고 때가 되기를 기다려주는 열린 자세는 전쟁 후유증에 시달리던 7세기 후반 신라 사람들에게 의미 있게 다가갔을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Uijeok's(義寂) ideology. It is based on the comprehension of the Beophwagyeongronsulgi(法華經論述記) in the second volume of the Hangukbulgyojeonseo(韓國佛敎全書). Uijeok is a Fa-xiang scholar, who was active from the latter half of the 7th century to the begining of the 8th century. It has been already known that Uijeok held a different view from that of Jaeun(慈恩), although he was a disciple of Hyeonjang(玄奘). Thid can be seen as well in the Beophwagyeongronsulgi, Uijeokmentions a possibility of entering nivrāṇa for the "Chwijeokseongmun" 趣寂聲聞) and quoting. "Sambeopryunseol"(the theory of three enlightenments and sermons for Buddhist;三法輪說) by Jinje(眞諦), which criticizes Jaeun in an indirect way. However, he mostly follows Jaeun's opinions with regard to ascetic exercises. IOn addition, his quotations from the Fa-xiang these, e.g. the Seongyusikron(成唯識論), the Yugasajiron(瑜伽師地論), Uijeok interpreted the Lotus Sutra. In particular, his rendition of ilseung(一乘) is unique. He calls "Sipjomgmusang"(ten kinds of excellence; 十種無上) ilseung, as it were. Furthermore, he relates the understanding of ilseung with sipji(dasa-bhumi;十地), the steps of Bodhisattva's self-discipline. and emphasizes the attainment of its eight steps or higher. Uijeok pays attention to the change made by listening to the teachings of the Lotus Sutra. He argues that one can experience Buddhahood by listening to it. His understanding that listening to the Lotus Sutra was not incommensurable with the practice of asceticism-along with his open mind and patient fortitude-were qualities which the Silla people in the late 7th century, suffering, as they were, from the aftermaths of too many wars, found approachable and accommodating.

      • KCI등재

        「법화경약찬게」 수록문헌과 그 특징

        이기운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2023 불교 철학 Vol.13 No.-

        이 논문은 「법화경약찬게」의 수록 문헌을 고찰하고 그 특징을 밝혔다. 법화경약찬게(法華經略纂偈)는 묘법연화경 의 구성한 내용을 간략히게송으로 편찬한 것이다. 이 약찬게는 언제 누가 처음 편찬했는지 알려져 있지 않다. 중국문헌에도 나타나 있지 않고 우리나라 고려·조선초 문헌에도 그 명목(名目)이 보이지 않다가, 1573년(조선 선조6) 안심사판(安心寺板) 송념예참원생등부(誦念禮懺願生等部) 의 「법화신중(法華神衆)」으로 그 모습이 보인다. 이 본은 법화경약찬게의 초기본으로, 대승묘법연화경의 대중, 경의 불보살, 교설, 28품, 경의 유통을 간략히 하여 찬탄하는 약찬게(略讚偈)이다. 이후 예념왕생문(禮念往生文) 이대경약찬(二大經畧纂) 에서 게송이 증광되어 광본약찬게가 편찬된 것이다. 이 본은 월저 도안(月渚道安, 1638-1715)의 인출(印出)로 의심되는데, 일승묘법연화경의 영산회상설법에 대해서 경의 구성과 내용을 충실히 요약한 약찬게(略纂 偈)의 모습을 보여준다. 다음으로는 용성천오(龍星天旿)가 광서(光緖) 11년(1885, 조종 22년) 합천 해인사에서 개간(開刊)한 법화경약찬게이다. 이 본은 화엄법화약찬총지(華嚴法華略纂摠持) 속에 화엄경약찬게 다음에 들어 있으며 앞의 예념왕생문 수록본 약찬게와 형식과 내용이모두 같다. 다음은 근대기인 1931년 최취허(崔就虛)가 불교의례집으로연방사(蓮邦舍)에서 불자필람(佛子必覽) 출판했는데 이 속에 법화경약찬게 가 수록되어 있다. 이후 1935년 안진호는 불교의식을 정리하여 석문의범(釋門儀範) 을 출판했는데 이 속에도 법화경약찬게 가 들어있다. 이 두 본의 약찬게는 이전의 약찬게를 계승한 증광약찬게로 구성되어 있다. 「법화경약찬게」의 저자는 “보장보살약찬게”로 시작하고 있어서, 보장보살(寶掌菩薩)이 설한 약찬게의 의미로 볼 수 있지만, 화엄경약찬게 가 용수보살이 지은 약찬게라고 보기는 어렵듯이, 보장보살은 법화경 「서품」에 18보살 대중의 하나일 뿐이다. 「법화경약찬게」의 특징은 「법화신중」의 약본(略本)에서 광본(廣本) 으로 증광되었다. 또한 약본은 묘법연화경 의 대의를 간략히 찬탄하는 약찬게(略讚偈)의 성격이라면, 광본은 이 경의 구성과 내용을 간략히 정리한 약찬게(略纂偈)로 라는 것이다. 끝으로 내용에 있어서 약본은 법화경은 대승의 실상묘법륜임을 드러내고 있고, 광본은 일불승(一 佛乘) 묘법연화경임을 강조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Documented in Buddhist Literature and its characteristics of BeophwaYakchange (法華經略纂偈). This manuscript is a concise and poetic compilation of the content of Lotus Sūtra in the format of Ge-Song (偈頌). The originator and time of complication of this “Briefly Edited Verses” remain unknown, either in Chinese literature or Korean literature of the Goryeo/early Joseon era. Its earliest reference appeared in the woodblock print of Haeinsa Temple in Hapcheon, published in the 22nd year of the of King Gojong’s reign in the Joseon Dynasty (1885), referred to as the Beophwa Yakchan (法華略纂 「Compilation of Lotus Sutra), originally titled as the Hwaumbeophwayakchanchongji (華嚴法華略纂摠持: Suma of Briefly Edited Verses of the Avataṃsaka Sūtra and Lotus Sūtra). It included the 「Briefly Edited Verses of the Avataṃsaka Sūtra」, followed by the 「Briefly Edited Verses of the Lotus Sūtra」. This book was compiled by Yongsung Cheono (龍星天旿) on the 11th year of Guangxu era, on the 4th day of the 4th month of Eulyu (乙酉). It is included in Buddhist ritual texts such as the Yenyeomwangsaengmun (禮念往生文) and <Compulsory Manual for Buddhists (Bulja Pillam ; 佛子必 覽)>. While 「Briefly Edited Verses of the Avataṃsaka Sūtra」 has been extensively recited and studied due to its inclusion in Manual for Buddhist Rituals Seokmunuibeom (釋門儀範) along with 「Dharma-nature Song by Uisang (Uisangdaesabeopseongge)」, 「Briefly Edited Verses of the Lotus Sūtra」 has received less attention. As the title suggests, the woodblock edition Hwaumbeophwayakchanchongji (華嚴法華略纂摠持 Suma of Briefly Edited Verses of the Avataṃsaka Sūtra and Lotus Sūtra) comprises 「Briefly Edited Verses of the Avataṃsaka Sūtra」, 「Daebanggwangbul Avataṃsaka Sūtra, IpbeopgyeVarga 118 Chongjimun」, 「Briefly Edited Verses of the Lotus Sūtra 」,and 「Lotus Sūtra Vol. 7, No. 26 Darani」. The 「Briefly Edited Verses of the Avataṃsaka Sūtra」 is also included in <Yenyeomwangsaengmun>, which is suspected to have been drawn from Zen Priest Woljeo Doan (月渚道安, 1638-1715)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he prototype also emerged in the late Goryeo period and was outlined in <Song Nyum Ye Cham Won Seng Deung Bu (誦念禮懺願生等部)> during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However, the date of extraction remains clear, as does its identity of origin with Woljeo's extracted version <Yenyeomwangsaengmun>. Since 「Briefly Edited Verses of Lotus Sūtra」 starts with “Briefly Edited Verses of Bojang Bodhisattva (寶掌菩薩),” it may be regarded as succintly edited verses of sermons by Bojang Bodhisattva. However, as 「BrieflyEdited Verses of the Avataṃsaka Sūtra」 is not considered to be the briefly edited verses written by Yongsu Bodhisattva, Bojang Bodhisattva is only one of the 18 Bodhisattvas within the “Ordination” of the Lotus Sūtra. The content of the 「Briefly Edited Verses of Lotus Sūtra」 advocates the Single Buddha-Vehicle (一佛乘) philosophy, the essence of the Lotus Sūtra in which the truth of the one absolute vehicle is unveiled by opening the means of the three vehicles. In doing so, it recounts stories of the practice of enlightenment by all Buddhas (Ten directions and three eras, the bodhisattvas’ practice following all Buddhas, and the public of the Dharma meeting of sudden and gradual (漸頓) who have been reformed. Furthermore, it elucidates that 28 items, from 「Buddhist Precepts」 to 「Bohyeon Bodhisattva Gwonbalpum(普賢菩薩勸發品)」, constitute the perfect doctrines and the Exquisite Rule of One Vehicle, and discloses the distribution of this sūtra for reciting, accepting, and believing.

      • KCI등재후보

        범본 『법화경』「여래수량품」에 나타난 석존의 보살행에 대한 연구

        하영수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2015 불교학 리뷰 Vol.18 No.-

        『법화경』「여래수량품」은 붓다의 수명에 관해서 중요한 교설을 설하는 품으로 예로부터 중시되어 왔다. 그런데 범어본 「여래수량품」에는 “나(=붓다)의 보살행은 끝나지 않았다”라는 경문이 포함되어 있다. 이 구절은 한역 『법화경』에는 설해지지 않았는데, 이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하는 문제의식이 본 논문을 작성한 계기이다. 본 논문에서는 한역과 범어본 사이의 차이를 해결하기 위해 몇 가지 단계를 설정하여 이를 검토했다. 먼저 원문 추정을 시도해 보았다. 원문에 관해서는 크게 두 종류의 독법이 있음을 확인했는데, 법화경의 두 한역인 『정법화경』과 『묘법연화경』의 독법과 범어본 『법화경』과 각종 범어사본, 그리고 『법화경론』의 독법이 그것이다. 그 중 범어본 자료들은 독법이 일치했는데, 모두 ‘붓다의 보살행’이라는 경문을 포함하고 있다. 『법화경론』의 경문 역시 마찬가지이다. 이를 통해 원문을 추정해 보았다. 이후 추정된 원문을 바탕으로 「여래수량품」의 내용을 재구성해 보았다. 그 결과 ‘붓다의 보살행’이란 다름 아닌 구원성불한 이래로 전개해온 ‘붓다의 교화행’을 지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붓다의 교화행을 보살행으로 명명하는 범본의 내용전개는 나름대로의 타당성을 지니고 있다고 생각된다. 다음으로 법화경에 ‘붓다의 보살행’이라는 교설이 설해진 배경에 대해서 검토했다. 『법화경론』에서는 이를 본원(本願)과 연결시켜 설명하는데, 이는 핵심을 간파한 것이라 생각된다. 다만 이 교설은 보편적인 것이 아니므로, 붓다의 본원의 특징인 예토에서의 성불 및 교화라는 문맥을 보다 드러낼 필요가 있다고 보고, 이를 『비화경』을 참고하여 검토했다. 이러한 ‘붓다의 보살행’이라는 교설이 함의하는 바는 붓다의 무한에 가까운 수명이 그대로 그의 자비의 교화행을 의미하게 된다는 데에 있다. 아울러 일체 중생을 성불로 이끌겠다는 붓다의 서원(誓願)은 ‘일불승(一佛乘)’의 지혜를 밝히는 일(「방편품」)과 ‘붓다의 부단한 보살행’(「수량품」)이라는 두 축에 의해 완성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Chapter on the Duration of Life of the Tathāgata in the Lotus Sutra(Saddharmapuṇḍarīkasūtra) has been regarded as an important chapter. However, the Sanskrit version of the same chapter includes a passage that states, “I have not accomplished my ancient bodhisattvacaryā (bodhisattva’s practice). This passage is not mentioned in the Chinese translation of the Lotus Sutra. The difference between the Sanskrit version and the Chinese translation is what lead me to write this paper. In this paper, I set up several steps in order to review this incongruity. Firstly, I tried to infer an original passage of the Lotus Sutra. Of the original passage, it can be said that there are two types of readings. The first type is found in two versions of the Chinese translation of the Lotus Sutra, i.e. Zheng-fa-hua-jing (正法華經) and Miao-fa-lian-hua-jing (妙法蓮華經). The second type is found in the Sanskrit matrials of the Sūtra and Fa-huajing-lun (法華經論). The Sanskrit matrials, which include the critical editions and manuscripts of the Lotus Sutra that I use as references in this paper, can be read in the same way. This is to say that they both include the phrase regarding the ‘Buddha’s bodhisattvacaryā.’ And the passage of Fa-hua-jing-lun is the same as the Sanskrit reading. In this manner, I was able to infer the original passage. Based on the newly understood passage, I tried to also reconstruct the context of the Chapter on the Duration of Life of the Tathāgata. As a result, I can confirm that the passage concerning the Buddha’s bodhisattvacaryā speaks about the Buddha’s saving activities, since enlightenment in the distant past. And the Sanskrit context, which names the Buddha’s saving activities as the Buddha’s bodhisattvacaryā, thus has validity. Next, I examined the background as to why the passage on the Buddha’s bodhisattvacaryā was written. In the Fa-hua-jing-lun, Vasubandhu(世親) explains that this was the original vow of the Buddha and it therefore identifies the core of the matter. However, this belief regarding the Buddha’s bodhisattvacaryā is not the generally accepted view. For this reason, it was necessary to reveal the characteristic of the original vow of the Śākyamuni Buddha by referring to the Lotus of the Compassion Sutra (Karuṇāpuṇḍarīkasūtra). The Buddha’s bodhisattvacaryā implies that the Buddha’s unlimited lifespan is indicative of his endless saving activity. The Buddha’s original vow, which is that he would lead all living beings to perfect enlightenment, could be completed via two paths; one being the revelation of the One Buddha-vehicle and the other being the Buddha’s endless bodhisattvacaryā.

      • KCI등재
      • KCI등재

        일반논문 : 원홍은 신라승려인가? -『법화경론자주』의 인용문헌을 중심으로-

        김천학 ( Cheon Hak Kim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4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17

        본고는 세친의 저술이라고 일컬어지는 『법화경론』에 대한 저술 가운 데 『법화경론자주(法華經論子註)』 3권의 저자인 원홍(圓弘)이 신라인임 을 증명하기 위한 논문이다. 인도사상가인 세친에 의해 『법화경론』이 저술되었지만, 그것이 사상 적으로 중요한 근거로 활용된 것은 중국에서 번역된 이후이며, 나아가 동아시아에서는 『법화경』을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해석 근거로 이용되 었다. 신라의 법화사상사도 이러한 흐름 속에서 전개되었던 것은 의적 석, 의일찬의 『법화경론술기』로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최근에 원홍의 『법화경론자주』가 가나자와(金澤)문고와 쇼고 조(聖語藏)에 존재함이 밝혀지고, 이것을 입수하여 자세히 분석할 수 있 게 되었다. 원홍의 저술은 731년에 이미 『원홍사장』이, 748년에 『법화경 론자주』가 필사된다. 즉 원홍은 731년 이전에 저술활동을 하였다는 것 이다. 이와 같은 원홍의 활동연대를 염두에 두고 원홍이 신라인이라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크게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였다. 첫째는 원홍에 대 한 제 자료를 통해 원홍이 신라인이라는 가설을 증명하려고 하였다. 둘 째, 『자주』의 인용문헌을 통해 원홍이 신라인임을 증명하려고 하였다. 첫째 방법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법상유식의 기와 대 비되는 신라인의 그룹에 원홍이 속해있다는 사실이다. 다음으로 신라 표원의 『요결문답』과 설명방식이 일치한다는 점이다. 원홍의 『원홍사 장』을 주석한 이문(理門)은 태현의 저술에도 복주를 저술한다. 이렇게 신라 법상유식을 존중한다는 점에서, 원홍 역시 신라인의 가능성을 염 두에 둘 수 있다. 둘째 방법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자주』의 인용문헌을 통 해서는 의적, 원효, 의상과 일치하는 예를 각각 2회, 3회, 1회 정도를 찾 아내어 증명하였다. 그 가운데 의적의 1예는 문장이 정확히 일치하고, 원효 2회와 의상의 1예는 용어가 정확히 일치함을 확인하였는데, 앞에 서 언급한 신라 표원 저술과의 관련을 고려하면 원홍이 신라 승려의 저 술을 읽었다고 단정할 수 있다. 다만, 인용사실을 통해 원홍이 의적 등 보다 뒤의 인물이라는 증명은 될 수 없다. 동시대에 활동하였다고 볼 수 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연대에 대해서는 문제가 남아 있지만, 신라 인의 저술을 보았다는 점에서 원홍이 신라인임을 증명하였다고 생각된 다. 한편, 사본을 좀 더 면밀하게 검토하면 신라승려의 문헌을 인용한 흔 적을 더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포함해서 향후 세밀한 주 석을 통해 또 하나의 신라인 주석서 원홍의 『법화경론자주』에 대해서 연구하고, 의적, 원효, 경흥 등 신라 승려와 비교하여 본 문헌을 신라인 의 법화사상사에 추가하고자 한다. The Fahuajinglun (the Saddharma-pundarikopadesa (妙法蓮華經憂 波提舍)) written by Vasubandhu is a commentary on the Lotus Sutra and has the meaning of a guidebook the Lotus Sutra. The Fahuajinglun was translated into Chinese two times. One translation was made by Ratnamati (勒那摩提), and the other by Bodhiruchi (菩 提留支), both of them are extant and its Sanskrit version has not been identified. The Fahuajinglun annotates “Introduction,” “Chapter on Expedient Means” and “Chapter on Parables” of the Lotus Sutra. This paper corresponds to an introduction so as to make an earnest study henceforward on the Beophwagyeongronjaju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the Jaju”) as a writing of a Silla monk, on the premise that Wonhong, who wrote the Jaju, is definitely a man of Silla. the Jaju among Wonhong`s works were already transcribed in 748. This means that he wrote them earlier than 731. Two primary methods were used in order to prove that Wonhong is a man of Silla with his activity period in mind. The first method is to prove the fact through the information collected on him, and the second method through a literature cited in the Jaju. As for the first method, in the first place, Annen`s Kyojisoron describes that Wonhong belongs to a group of Silla monks who were contrasted with Kuiji who belongs to Chinese consciousness-only school transmitted from dharma characteristics school. Although the Old Consciousness-only teachings in the lineage of Paramartha stood on the center of opposing to Xuanzang`s theory of five natures distinction, most of Silla monks, whether he is Uijeok studying under Xuanzang or studying in Silla without going abroad, expressed their views opposite to Kuiji`s views. Such attitudes were not found at least in Chinese monks of Xuanzang tradition which was succeeded down from Xuanzang-Kuiji-Huizhao-Zhizhou. Further, seeing through Japanese scripts, Annen`s argument was confirmed to have some validity, and the fact that Wonhong`s expression method coincides with that of Pyowon from Silla in his yogyeol mundap was proved. And the fact that Gomyo, who had intimate relations with Silla recites the Wonhongsa-jang in his mind, is also important. Rimun (理門) annotated Wonhong`s Wonhongsa-jang and his re-annotation was found on catalogs. He also re-annotated Taehyeon`s works. Like Gomyo, Rimun though highly of works composed by Silla consciousness-only monks. Second, through Wonhong`s literature cited in the Jaju, we have found out examples of coincidence with the works of Uijeok, Wonhyo and Uisang, respectively two times, three times and one time, and examined their nature of conformity. Among the examples, we confirmed that one example regarding Uijeok is correct coincidence in sentence, two examples regarding Wonhyo and one example regarding Uisang are correct coincidences in terminology used. If considering relations between Wonhong`s literature and Pyowon`s works, we can conclude that Wonhong read works of Silla monks. According to the proving method using two primary methods mentioned above, we can also conclude that Wonhong is a man of Sill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