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버내큘러 디자인 관점에서 본 박물관의 장소브랜딩에 대한 연구 - 중국의 박물관 사례를 중심으로 -

        황윤정,장동련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1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9 No.3

        버내큘러 개념은 20세기 후반에 이르러 대중문화와 접목되며 지방색이 강한 디자인을 의미하는 ‘버내큘러 디자인’으로 그 관점이 확장되었다. 버내큘러 디자인은 ‘토착성’, 지역성‘, ’전통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디자인과 융합하며 포스트모더니즘 디자인의 한 영역으로 자리 잡았다. 그리고 이러한 버내큘러 디자인은 얀홀트가 제시한 장소 브랜딩 개념과 맞닿아 해석할 수 있다. 장소브랜딩은 장소의 자원을 바탕으로 그곳의 유, 무형적 가치를 창조해내는 브랜딩으로 특히 중국의 박물관은 공공성과 지역성을 동시에 갖추고 있다. 먼저 연구자는 버내큘러와 장소브랜딩의 이론적 배경을 고찰한 후, 버내큘러 디자인 요소에 의거하여 박물관의 장소브랜드 요소를 파악하였다. 그 다음 국제적으로 지명도를 갖고 있는 건축상을 수상하고 지역성을 건축이념으로 하고 있는 건축가들의 2000년 이후의 작품을 선정하여 중국 박물관의 사례분석을 통해 버내큘러 디자인 관점에서 장소브랜딩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이러한 사례분석을 통해 연구자는 과거 전통의 계승, 현재 지역 커뮤니티와의 소통, 미래적 가치 관점에서 박물관의 브랜딩 요소를 추출할 수 있었고, 버내큘러 디자인이 박물관의 장소브랜딩에 어떠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는지를 파악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지역문화와 전통이 향후 박물관 장소브랜딩에 다양한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By the late 20th century, the concept of vernacular was combined with design and popular culture, and the perspective was expanded to the design of vernacular, which means strong regional color. Vernacular design combines with various design areas based on 'native property', 'locality', and 'traditionality' and serves as an area in the postmodernism design era. And these Vernacular designs can be interpreted in conjunction with the concept of place branding presented by Simon Anholt. Place branding is a branding that creates oil and intangible values based on the resources of a place, especially museums in China have both public and locality. First, the researcher examin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burnacula and place branding, and then identified the museum's place branding elements in accordance with the burnacula design elements. Afterwards, architects with international reputation and local architectural ideas were selected for their work after 2000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a place branding from a Vernacula design perspective through a case study by the Chinese museum. Through this case analysis, the researcher was able to extract the museum's branding ele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past traditions, current communication with local communities, and future values, and understand what implications the Bernacula design can provide for the museum's venue branding. Through such research, we hope that local cultures and traditions can present various possibilities for museum venue branding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버내큘러 디자인의 개념에서 끌어낸 다양한 가능성

        유화열 경희대학교 부설 디자인연구원 2007 예술· 디자인학연구 Vol.10 No.1

        이 연구는 버내큘러 디자인이 지역적, 토속적, 민속적인 의미로 통용되는 것을 버내큘러 디자인의 이분법적 상대성에 의거해 다양한 가능성을 제시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그렇다고 지역적, 토속적, 민속적인 의미와 다른 개념을 끌어낸 것은 아니며, 버내큘러 디자인의 시각적 은어라는 측면에 주목하고 있다. 말하자면, 버내큘러 디자인은 일상 속에서 지역적, 토속적, 민속적인 시각적 이미지를 띠지만, 그 이면에는 사람들이 보지 못하는 것을 친근하게 디자인해내는 시각적인 은어로서의 속성이 있기 때문이다. 바로 그러한 디자인적 가치를 인식할 필요성이 있었다. 버내큘러 디자인의 개념에서 이분법적 상대성이라는 구조는 매우 특이한데, 교육에 의해서 정제된 언어와 비교하여 일상 언어라는 어원에서 버내큘러의 시각은 후자에 해당된다. 그러나 이들은 대립이 아닌 각자의 기질을 존중해주는 상대적인 관계이다. 그런 연유로 버내큘러 디자인은 모더니즘의 위계적 미학에서는 버내큘러 양식을 거부했지만, 포스트모더니즘의 절충주의적인 시각에서는 버내클러 디자인의 지역적, 토속적, 민속적인 의미가 수용될 수 있는 다양한 가능성이 열려있다. 바로 그 다양한 가능성은 이 연구에서 친근한 디자인, 대중적 디자인, 문화적 차용, 글로컬리즘 디자인으로 나타나고 있다.

      • KCI등재

        디펜바허의 디자인 사이클을 통한 한국적 버내큘러 패션디자인 개발

        이현승,이재정,박주희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6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피오나 디펜바허(Fiona Dieffenbacher)가 제시한 디자인 프로세스인 ‘The Design Cycle’ (이하 TDC)을 통한 한국적 버내큘러(vernacular) 요소를 반영한 패션디자인의 도출과 디자이너의 독창성을 중시하는 해당 프로세스의 유효성 탐색에 있다. 이를 위해 TDC의 구조와 버내큘러 디자인의 개념, TDC를 기준으로 분석된 패션디자인 사례를 고찰하였다. 프로세스의 첫 단계인 발상(idea) 단계에서는 브레인스토밍과 마인드 맵핑, 문헌조사를 통해, 전통과 현재를 잇는 한국의 버내큘러 요소로 무속과 K-pop, 거리응원 등에 내재된 ‘흥’의 역동성을 발견하였고, 이를 표현하기 위한 매체로서 무속의식의 운동성을 추출하였다. 두 번째 콘셉트(concept) 단계에서는 아이디어에 관한 해석 작업을 수행하여, 무속의식의 운동성을 시각화하기 위한 디자인 콘셉트로 ‘좌우’와 ‘상하’, ‘원 회전’ 운동의 방향성을 추출하였고, 그래픽 툴과 축도 패턴 작업을 통해 운동 방향성과 역동성을 시각화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였다. 마지막 디자인(design) 단계에서는 상기의 콘셉트를 패션디자인으로서 구체화하고 세 가지 콘셉트를 반영하는 시그니처 스타일의 완성을 위한 재인식 및 재창조 작업을 수행하여, ‘좌우’회전의 운동이미지가 의복의 디자인 선으로 적용된 스타일과 ‘상하’의 운동이미지를 수직으로 비대칭 및 레이어드 구조로 적용한 스타일, ‘원’ 운동의 이미지가 디자인 선에 적용된 스타일을 도출하였다. 이로써 TDC가 정서적 요소의 시각화를 가능하게 하여 ‘오래된’ 이미지로 비춰질 수 있는 버내큘러 요소를 활용하더라도 현대적인 패션디자인 도출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과정 및 결과는 향후 국제적인 취향이 공유되는 현대 패션디자인에 있어 디자이너의 독창성을 강화하기 위한 패션디자인 프로세스 및 차별적인 영감의 원천으로서 버내큘러 요소를 다루는 유사 연구에 참고 될 수 있기를 기대하며 여기에 연구의 의의를 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modern fashion design by re-interpreting Korean vernacular elements through The Design Cycle(refer to as TDC hereafter) suggested by ‘Fiona Dieffenbacher’ and investigate its effectiveness for unique fashion design works reflecting designers’ characteristics as well as own interpretation of design theme.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literature reviews on TDC, vernacular design, glocalism and a designer’s case which had been analyzed by criteria of TDC were conducted. At the 1st Idea stage, through brainstorming, mind-mapping and literary researches, ‘Korean excitement’ which could be found out from Korean shamanism in the past and which has been continued as the cultural aspect until this modern society, K-POP and the street cheering in the present Korea was payed attention and the directional motility of shaman’s action in ceremonies of Korean shamanism was then extracted as expressive design key words. At the 2nd Concept stage, ideas had been re-investigated and images of three directional motility; ‘horizontal’, ‘vertical’ and ‘circular movement’ were then configured as the design concept. At the 3rd Design stage, the concept had been visualized and the signature styles reflecting the three directional motility were then established to be modern fashion designs; the 1st style was constructed adapting ‘horizontal’ image in design lines on the surface, 2nd style was constructed to indicate ‘vertical’ image by the asymmetric and layered structures and 3rd style was constructed to illustrate ‘circular’ image through design lines on the surface. As a result, the emotional element of Korean vernacular was able to be visualized and established as modern Fashion by TDC. Therefore,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modern fashion design could be created although it’s design inspiration was come from the ‘old image’ of the vernacular element.

      • KCI등재

        방법으로서의 버내큘러

        강성우(Kang, Sung-woo) 실천민속학회 2020 실천민속학연구 Vol.35 No.-

        본 고는 버내큘러를 방법론으로 차용한 문헌들을 살펴보고 버내큘러가 사용되는 양상을 연구기 위함이다. 민속학적인 관점에서 볼 때, 버내큘러는 특정한 맥락에서 언어나, 물건, 지역민의 관례 등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이에 버내큘러는 민속학보다 더 일반적인 용어로 지역이나 지방에서 정의되고, 생산되고 표현되는 것들을 뜻한다. 그래서 모든 버내큘러가 민속학의 범주에 들어가는 것이라고 할 수는 없으나 모든 민속학은 버내큘러라고 할 수 있다. 본 고에서는 먼저 중요한 개념인 버내큘러(vernacular)의 의미와 다양한 관점을 제시하면서 버내큘러는 연구해야 하는 ‘대상’인 동시에 ‘연구 방법’으로 설정하고 버내큘러의 방법론적인 가능성을 제시했다. 특별히 버내큘러가 현대철학사상이나 이론들과 결합하면서 지속적으로 개념을 확장하는 과정을 고찰하고, 버내큘러가 가진 혼종성(hybridity)의 본질에 주목하여 방법으로서의 버내큘러가 극명하게 드러나는 세 가지 영역에서 논의를 확대했다. 먼저, 일상 연구에서 버내큘러의 의미와 역할에 대한 내용을 전개하면서 평범한 일상에서 새로운 습관을 창조하고 공명하는 문화적인 의미들을 재발견하는 버내큘러의 방법론에 주목했다. 그리고 공식적인 기억과 버내큘러 기억 간에 관계와 상호 보완적인 역할에 대해 논의하면서 기존의 집단기억의 분야에서 이전에 집단의 기억을 통해서 보지 못하는 부분을 재발견하는데 의미있는 이론적인 적용 분야로 남아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오리엔탈리즘과 버내큘러와 관련해서는 버내큘러를 통해서 서구 중심의 시각을 넘어서는 논의를 가능하고 의미있는 방법으로서 시각을 새롭게 한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단선적인 서구 중심의 인식과 방법론을 벗어나 전지구적 혹은 세계사적인 시각을 가능하게 하고, 유럽 중심의 역사관에서 탈피하게 되는 바탕으로서의 역할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버내큘러가 그 자체로 뿐 아니라 방법론의 관점에서 다양한 시사점들을 제시할 수 있음을 밝혔고, 이와 관련된 후속 연구가 계속되기를 기대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view researches on vernacular and its related literatures in order to understand how vernacular would be used as a methodological category. From the view of folklore, the term vernacular refers to the particular localized language, objects, and practices in specific context. Thus, in general, vernacular is understood as a more general term than folklore and not everything that is vernacular is folklore, but all folklore is vernacular. In this paper, I attempts to provide the various definitions of “vernacular” and its related perspectives. At the same time, this paper suggests that studying vernacular should not be confined to traditional system of folklore. Rather, vernacular should be considered as a practical and useful methodological category. In other words, vernacular is useful not only as a research subject to folklore but as a method. More importantly, I emphasize the hybrid nature of vernacular by examining its flexibility, which enable vernacular combining with different theories. In particular, I deal with three major topics in relations to vernacular: 1) vernacular in everyday life, 2) contested between vernacular memory and public memory, 3) vernacular and Orientalism. I demonstrate how vernacular could be used in these three contexts. The further research is needed especially to articulate vernacular as method by utilizing the hybrid nature of vernacular.

      • KCI등재

        인터넷 밈의 버내큘러 디자인적 특징 -개구리 페페 사례를 중심으로-

        박상권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5

        Internet memes are becoming an important visual culture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online environment. However, most of the studies are used without distinguishing between Internet memes and memes, instead they are focused on application and effect of Internet me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ernacular design characteristics of Internet memes and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m, based on the concept of Internet mem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lassified the concepts of Internet memes and memes through research of literature.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vernacular design was divided into three aspects in this study: ‘form’, ‘place’, and ‘user’. ‘Pepe the Frog’, one of the most widely used Internet memes online, was selected as a research cas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1) Internet memes are created in numerous variations and expressed in multimodality. The makers of Internet memes produce and spread them to express their opinions and to be selected by other users without being limited by their style or media. In this process, the Internet meme develops into a non-contextual design, with the expression of vernacular design elements such as anonymity, diversity, and popularity. 2) Online communities unintentionally produce subclassifications of Internet memes. This gives Internet memes locality to each community which is one form of their vernacular design. The community members can distinguish between makers of the Internet memes by understanding the context of the Internet meme which further delivers the ideology of the community. 3) Internet memes are made by amateurs and can be intentionally transformed by producers by expressing vernacular creativity. These vernacular features are expressed throughout the entire process from the generation to diffusion of Internet memes and are also associated with the quality of Internet mem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firmed the characteristics of vernacular design in online visual materials by analyzing Internet memes in the design area based on the Pepe the Frog case. 인터넷 밈은 온라인 환경의 발전으로 인해 중요한 시각 문화로 자리잡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는 인터넷 밈과 밈을 구분하지 않고 사용되고 있으며 인터넷 밈의 응용과 효과에 집중되어 있다. 본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밈의 개념 고찰을 기반으로 인터넷 밈에 나타나는 버내큘러 디자인적 특징을분석하고 그 의미를 알아보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본 고는 문헌 연구를 통해 인터넷 밈과 밈의 개념을 정리하여 구분하였고,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버내큘러 디자인을 ‘형식’, ‘장소’, ‘사용자’ 측면으로 나누어 사례분석을 위한 세 가지 기준을 제시하였다. 사례로는 온라인상 가장 널리 쓰이는 인터넷 밈 중하나인 ‘개구리 페페(Pepe the Frog)’를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터넷 밈은 수없이 많은 변형이 생성되어 다양식으로 표현되고, 인터넷 밈 제작자는 의견 표출과 다른 사용자의 선택을 받기 위해 스타일이나 매체에 제한을 두지 않고 인터넷 밈을 생산하고 확산한다. 이 과정에서 인터넷 밈은 익명성, 다양성, 대중성 등의 버내큘러 디자인적 요소가 발현되며 나아가 비맥락적인 디자인으로 발전한다. 2) 온라인 공동체는 의도치 않게 하위분류 인터넷 밈을 생산한다. 이러한 특징은 사이버 네트워크상 각각 공동체에 버내큘러 디자인적 장소성을 부여하고, 공동체는 하위분류로 생산된 인터넷 밈에 대한 맥락 이해 여부로 구성원으로서의 판별, 더 나아가 공동체가 가지고 있는 이데올로기를 전달한다. 3) 인터넷 밈은 비전문가에 의해 만들어지며 버내큘러 창의성의 발현으로 제작자에 의해 의도적으로 변형된다. 이러한 버내큘러적 특징은 인터넷 밈의 생성부터 확산까지 전 과정에서 걸쳐발현되고 인터넷 밈의 퀄리티와도 연관된다. 본 논문은 페페 사례를 기반으로 인터넷 밈을 디자인 영역에서 분석해봄으로써 온라인 시각물에서 버내큘러 디자인의 특징을 확인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버내큘러 디자인 기반 응용 디자인 개발-부산 보수동 책방골목을 중심으로-

        배영미,이지혜,김성계 한국기초조형학회 2022 기초조형학연구 Vol.23 No.2

        보수동 책방골목은 과거와 현재, 미래가 공존하는 공간으로 전국 유일의 지역 헌책방 골목이며, 오래된 정보와 새로운 정보가 교차되는 길목이기도 하다. 공간으로서의 책방골목을 연구한 사례는 쉽게 찾아볼 수 있었으나, 버내큘러 디자인의 관점에서 책방골목을 바라보고 그 지역만의 시각적 요소를 분석한 연구는 찾아볼 수 없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보수동 책방골목을 구성하고 있는 버내큘러 디자인 요소를 지역 환경과 문화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시각적 디자인 요소를 분석하여 책방골목만의 디자인 패턴을 개발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관련 연구고찰과 문헌조사를 통해 이론적 배경을 설정했다. 다음 단계로 사례연구를 통해 보수동 책방골목의 시각적 디자인 요소를 분석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특징적인 시각요소를 발굴·개발하여 응용디자인 패턴을 제안하고자 한다. 설문조사 후, 총 2차례에 걸친 필드 리서치가 진행되었다. 필드 리서치를 통해 ① 70~80년대 유명인들 사진의 책표지 전시, ②계단, 골목 곳곳에 쌓여진 책 꾸러미, ③ 손글씨로 쓰여지거나 옛날(조악한) 서체로 만들어진 안내문과 입간판들, ④ 목조 구조물과 전구색 조명이 특징적인 구성으로 이러한 요소들이 어우러져 복합적인 시각 이미지로 다가옴을 파악했다. 본 연구 결과는 이러한 복고적인 요소들을 고려하되시각적으로 가장 대표적으로 꼽히는 책 꾸러미 이미지를 패턴화하고 응용하여 문화상품개발로 발전시켜, 보수동 책방골목의 지역 정체성을 보존하고 부산지역의 관광지로서 홍보에 도움이 되는 것이 필수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보수동 책방골목의 버내큘러 디자인 요소를 발굴·분석하는 과정에서, 대표적인 이미지를 선택하여 하나의 디자인안을 제시한 점에서 한계가 있다. 그러나 지역의 버내큘러 디자인 요소를 발굴하고 이를 많은 사람들에게 소구할 수 있는 응용 디자인으로 개발하여 그 정체성을 대중화하는 응용 연구로써 가치를 가진다.

      • KCI등재

        남미에서 ‘과두아’ 대나무의 역할 -버내큘러 건축에서 지속가능한 건축 자재로-

        사라게레로,김신원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4

        자연과 관련하여 현대 건축에 대한 보다 깊은 접근법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과거의 업적은 때로 가려지기도 한다. 그중 하나가 버내큘러 건축인데, 정의 상으로는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물질적, 형태적, 자연적 맥락 사이의 균형을 추구한다는 뜻이다. 건축학 연구의 특히 중요한 측면은 재료의 사용이다. 지구 온난화로 인해 지속 가능한 재료의 사용이 전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으며, 대나무는 아시아, 아프리카, 남미 등 대륙에서 가장 오래된 건축자재 중하나로 나타나는 널리 사용되는 지속가능한 재료다. 과두아 대나무는 특성이 좋아 미국에서 가장 많이 찾는 재료 중 하나이다. 이 연구는 현대의 지속 가능한건축에 영향을 준 버내큘러 특성을 판단하기 위해 분석에서 에콰도르와 콜롬비아를 선정했다. 본 연구의목적은 버내큘러 유산과 대나무를 사용한 현대 건축에 대한 정성적 연구와 관련하여 남아메리카 국가에서 지속 가능한 재료로서 과두아 대나무의 역할을 이해하는 것이다. 버내큘러 건축이 지속 가능한 아키텍처 개선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음을 입증한다. 이에 더하여 건축물의 지속 가능한 특성을 보다 잘 이해하여 지속 가능한 재료로서 과두아 대나무가 건축에 응용될 수 있는 방법을 공개한다. 오늘날 남아메리카의 현대 건축으로 인해 끊임없는 변화가 일어나고있으며, 그 변화는 공간의 기능적 필요성과 건축 측면모두에서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 사례연구 분석은 공학, 설계, 건설 분야로 분류된다. 여기에는 문헌 검토와 분석적 서술 방법이 사용된다. 본 연구는 에콰도르와 콜롬비아의 대나무를 이용해 남미에서 대표하는현 시대의 지속 가능한 건축의 특성을 제시하고, 버내큘러 건축이 과두아 대나무의 지속 가능한 건축에 어떻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교훈과권고사항을 정하게 된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과두아대나무는 지속가능한 건축과 디자인에 유익할 수 있는 잠재적 대안 재료로 지속 가능한 설계문화, 지역자재와의 지속 가능성, 보강설계, 건축자재와 기법, 지속 가능한 소비와 생산, 환경 등 6가지 이상의 장점을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한 분석 및 설계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역할을 할 수 있는설계, 건축, 조경 분야에서의 과두아 대나무 건축의중요한 측면을 입증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In the search for a deeper approach to contemporary architecture in relation to nature, the achievements of the past are sometimes hidden. One of them is vernacular architecture, which, by definition, seeks the balance between material, form, and natural context to satisfy the needs of users. A particularly important aspect of the study of architecture is the use of materials. Due to global warming, the use of sustainable materials is drawing attention worldwide, and bamboo is a widely used sustainable material that emerges as one of the oldest building materials on the continent, including Asia, Africa and South America. Guadua bamboo is the most sought-after types in America due to its favorable characteristics and often compared to its Asian counterpart, Moso (Phyllostachys edulis). The study selected Ecuador and Colombia in its analysis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rnacular that affected modern sustainable architectur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understand the role of guadua bamboo in the countries of South America as a sustainable material in correlation with its vernacular heritage with qualitative research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using bamboo; demonstrate that vernacular architecture can positively contribute to improving the sustainable architecture; and, expose the ways in which guadua bamboo can be applied in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s a sustainable material through a better understanding of its sustainable characteristics. Due to modern architecture in South America is undergoing constant change, and the changes occur both in terms of the functional needs of the space and in terms of construction. The analysis of the case studies of this research are classified in engineering, design, and construction. For which,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the analytical-descriptive method will be used. This study will provide the characteristics of sustainable architecture in the current era that uses bamboo in Ecuador and Colombia as representation in South America and will determine the lessons and recommendations on how vernacular architecture can positively influence the sustainable construction of guadua bamboo. Research findings show that guadua bamboo has at least six main benefits, being a potential alternative material that can be beneficial in sustainable construction and design: sustainable design culture, sustainability with local materials, reinforcement design, construction materials and techniques, sustainable consumption and production,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documents relevant information, demonstrates important aspects of guadua bamboo construction in the field of design, architecture, and landscape architecture that can serve as a database for analysis and design of future sustainable projects around the world.

      • KCI등재

        The Role of Guadua Bamboo in South America -From Vernacular Architecture to Sustainable Building Material-

        Sara Guerrero(사라 게레로),Kim, Shin Won(김신원)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4

        자연과 관련하여 현대 건축에 대한 보다 깊은 접근법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과거의 업적은 때로 가려지기도 한다. 그중 하나가 버내큘러 건축인데, 정의 상으로는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물질적, 형태적, 자연적 맥락 사이의 균형을 추구한다는 뜻이다. 건축학 연구의 특히 중요한 측면은 재료의 사용이다. 지구 온난화로 인해 지속 가능한 재료의 사용이 전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으며, 대나무는 아시아, 아프리카, 남미 등 대륙에서 가장 오래된 건축자재 중 하나로 나타나는 널리 사용되는 지속가능한 재료다. 과두아 대나무는 특성이 좋아 미국에서 가장 많이 찾는 재료 중 하나이다. 이 연구는 현대의 지속 가능한 건축에 영향을 준 버내큘러 특성을 판단하기 위해 분석에서 에콰도르와 콜롬비아를 선정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버내큘러 유산과 대나무를 사용한 현대 건축에 대한 정성적 연구와 관련하여 남아메리카 국가에서 지속 가능한 재료로서 과두아 대나무의 역할을 이해하는 것이다. 버내큘러 건축이 지속 가능한 아키텍처 개선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음을 입증한다. 이에 더하여 건축물의 지속 가능한 특성을 보다 잘 이해하여 지속 가능한 재료로서 과두아 대나무가 건축에 응용될 수 있는 방법을 공개한다. 오늘날 남아메리카의 현대 건축으로 인해 끊임없는 변화가 일어나고 있으며, 그 변화는 공간의 기능적 필요성과 건축 측면 모두에서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 사례연구 분석은 공학, 설계, 건설 분야로 분류된다. 여기에는 문헌 검토와 분석적 서술 방법이 사용된다. 본 연구는 에콰도르와 콜롬비아의 대나무를 이용해 남미에서 대표하는 현 시대의 지속 가능한 건축의 특성을 제시하고, 버내큘러 건축이 과두아 대나무의 지속 가능한 건축에 어떻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교훈과 권고사항을 정하게 된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과두아대나무는 지속가능한 건축과 디자인에 유익할 수 있는 잠재적 대안 재료로 지속 가능한 설계문화, 지역자재와의 지속 가능성, 보강설계, 건축자재와 기법, 지속 가능한 소비와 생산, 환경 등 6가지 이상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한 분석 및 설계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역할을 할 수 있는 설계, 건축, 조경 분야에서의 과두아 대나무 건축의 중요한 측면을 입증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In the search for a deeper approach to contemporary architecture in relation to nature, the achievements of the past are sometimes hidden. One of them is vernacular architecture, which, by definition, seeks the balance between material, form, and natural context to satisfy the needs of users. A particularly important aspect of the study of architecture is the use of materials. Due to global warming, the use of sustainable materials is drawing attention worldwide, and bamboo is a widely used sustainable material that emerges as one of the oldest building materials on the continent, including Asia, Africa and South America. Guadua bamboo is the most sought-after types in America due to its favorable characteristics and often compared to its Asian counterpart, Moso (Phyllostachys edulis). The study selected Ecuador and Colombia in its analysis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rnacular that affected modern sustainable architectur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understand the role of guadua bamboo in the countries of South America as a sustainable material in correlation with its vernacular heritage with qualitative research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using bamboo; demonstrate that vernacular architecture can positively contribute to improving the sustainable architecture; and, expose the ways in which guadua bamboo can be applied in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s a sustainable material through a better understanding of its sustainable characteristics. Due to modern architecture in South America is undergoing constant change, and the changes occur both in terms of the functional needs of the space and in terms of construction. The analysis of the case studies of this research are classified in engineering, design, and construction. For which,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the analytical-descriptive method will be used. This study will provide the characteristics of sustainable architecture in the current era that uses bamboo in Ecuador and Colombia as representation in South America and will determine the lessons and recommendations on how vernacular architecture can positively influence the sustainable construction of guadua bamboo. Research findings show that guadua bamboo has at least six main benefits, being a potential alternative material that can be beneficial in sustainable construction and design: sustainable design culture, sustainability with local materials, reinforcement design, construction materials and techniques, sustainable consumption and production,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documents relevant information, demonstrates important aspects of guadua bamboo construction in the field of design, architecture, and landscape architecture that can serve as a database for analysis and design of future sustainable projects around the world.

      • KCI등재

        홍해 아침시장의 버내큘러 디자인 : 커뮤니케이션방식에 대한 시각적 탐구

        석일선 ( Shi Yixua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4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8 No.0

        이 글은 중국의 많은 거리 시장에서 적용되고 있는 버내큘러 디자인(Vernacular Design)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런 시장에서 다양한 비공식 노점과 수제 간판을 찾을 수 있는데, 모두 고객과의 소통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본 연구는 시각 민족지학적 연구방법을 채택하여 중국 북부 도시의 한 거리시장인 '홍해아침시장'(红海早市)을 예로 들어 상인들이 주변 자원을 이용하여 상품을 전시하고 관련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설계 결과와 동적 설계 과정에 중점을 둔다. 2023년 2월부터 2024년 4월까지 현장 관찰법과 인터뷰를 통해 홍해아침시장에서 나타난 버내큘러 디자인 형식 자료를 수집했다. 이를 축 부호화한 결과를 보면 상인이 버내큘러 디자인을 통해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을 진행하는 방식은 디스플레이, 글자 디자인, 퍼포먼스로 나눌 수 있다. 이어서 본 연구는 팅커링(Tinkering)의 개념과 물질적 참여 이론(Material Engagement)을 도입하여 상기 커뮤니케이션 방식 배후의 생산 논리를 분석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시장에서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의 형성은 인간 행동의 일방적인 결과가 아니라 인간과 물질적 환경 사이의 역동적인 상호작용 과정이라는 것이다. 또 시장에 있는 물건(예: 목재, 판지, 금속봉 등)은 특정한 물질성을 가진 정적인 물건이 아니라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의 적극적인 참여자인 것이다. This article focuses on the use of vernacular design in one of China's many street markets. In such markets, one can find diverse informal stalls and handcrafted signs, all created for the purpose of communicating with customers. Taking on visual ethnographic research methods, this article explores how vendors at the Honghai Morning Market in a northern Chinese city utilize the resources around them to present their goods and convey information about them, focusing on both the design outcome and the dynamic design process.. Following a process of axial coding of research data drawn from field observations and photographic records collected in both winter and summer months between February 2023 and April 2024, three main modes of visual communication through vernacular design have been identified: display, lettering, and performance. Bringing in the notion of tinkering as well as material engagement theory, these modes of communication are further scrutinized to understand the logic of production underlying their respective communication practices. While presenting detailed accounts of the three identified modes of communication through vernacular design, the article also argues that the shaping of visual communication is not a unilateral result of human behavior but rather a dynamic process of interaction between human beings and the material environment. Objects in the market (e.g., wood, cardboard, metal rods, etc.) are not static objects with a particular materiality. Their unique materiality makes them actors in the communication process.

      • KCI등재

        버내큘러 문화와 민속, 민속학

        정수진 실천민속학회 2019 실천민속학연구 Vol.34 No.-

        ‘버내큘러(vernacular)’는 미국 민속학에서 기왕의 ‘포클로어(folklore)’를 갈음해 근년 새로이 부상한 방법론적 개념이자 대상이다. 범박하게 말해, 그것은 제도화한 문화권력이나 지배문화의 자장권에서 끊임없이 영위되는 국지적, 비공식적, 실제적, 역동적, 창발적인 언어와 행위 등을 이른다. 이 글에서는 먼저 이 버내큘러에 관한 미국 민속학의 연구 성과를 정리했다. 특히 버내큘러의 새로운 방법론적 가능성을 모색한 커셴블랫-김블렛(B. Kirshenblatt-Gimblett)의 논의에 초점을 맞춰, 그간 미국 민속학이 대상화한 포클로어 개념의 한계와 문제점을 어찌 극복하려 했는지를 분석해 보았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지금까지 한국 민속학을 규정해 온 민속 개념의 탈각 방법을 고찰했다. 나아가, 지배적인 것과 구별되지만 그것과 분리될 수 없는 곳에서 여전히 생산, 유통되고 있는 버내큘러 문화의 혼종성을 천착함으로써, 민속학의 연구 방법이 탈식민주의적 방법론과 조우할 수 있는 지점을 탐색해 보았다. 다시 말해, 문화적 차이에 기초해 과거와 현재, 전통과 근대의 이항대립적 인식론에 균열을 내려는 탈식민주의적 방법론과의 제휴 가능성을 모색함으로써 민속학 고유의 지성사를 고쳐 잇는 발판을 마련하고자 했다. The ‘vernacular’ is a methodological concept and object that has emerged recently to replace the former ‘folklore’ in American folkloristics. Roughly speaking, it refers to local, informal, practical, dynamic, emergent languages ​​and actions that are still constantly carrying out in the systemic cultural power or the ruling power of the dominant culture. This article first summarized the achievements of American folkloristics on the vernacular. In particular, it focused on the discussion of B. Kirshenblatt-Gimblett, who explored the new methodological possibilities of the digital vernacular, and analyzed how American folkloristics attempt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the targeted folklore concept. Based on this, I examined the method of departure from the folklore concept which has defined Korean folkloristics. Furthermore, by focusing on the hybridity of the vernacular culture, which is produced and circulated in a place which is distinguished from the dominant but inseparable from it, I examined the point where the research method of folkloristics could encounter the postcolonial methodology. In other words, it sought to establish a platform to reconstruct the inherent history of folkloristics by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cooperation with post-colonial methodologies, that make crack the binary oppositional epistemology of past and present, tradition and modern, based on cultural differe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