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설 유형에 따른 방과 후 프로그램에 대한 아동과 부모 간의 만족 및 요구 비교

        강화란 ( Hoea Ran Kang ),하승민 ( Seung Min Ha ) 대한아동복지학회 2007 아동복지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방과 후 교실을 이용하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과 그 부모를 대상으로 방과 후 프로그램에 대한 아동과 부모의 만족 및 요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북지역 초등학교 5개교, 어린이집 20개 시설, 지역아동센터(공부방) 8개소에서 초등학교 내 방과 후 교실의 아동 107명과 부모 90명, 어린이집 내 방과 후 교실의 아동 184명과 부모 62명, 지역아동센터(공부방) 내 방과 후 교실 아동 144명과 부모22명, 총 아동 435명과 부모 174명을 대상으로 방과 후 프로그램에 대한 아동과 부모의 만족 및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 후 프로그램에 대한 아동과 부모 간의 만족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교재교구’와 ‘환경 및 시설설비’ 하위영역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교재교구에 대해서는 부모들이 아동들보다 더 만족하였으나’ 환경 및 시설설비‘에서는 아동들의 만족이 부모들보다 훨씬 더 높았다. 둘째, 방과 후 프로그램에 대한 아동과 부모 간의 요구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부모들의 요구가 아동들보다 더 높았다. 셋째, 초등학교 방과 후 프로그램의 아동과 부모 간의 만족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아동들의 만족이 부모들보다 더 높았다. ‘활동내용’ 과 ‘환경 및 시설설비’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교사’ 및 ‘교재교구’ 영역에서 차이가 없었다. 넷째, 초등학교 방과 후 프로그램에 대한 아동과 부모 간의 요구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부모들의 요구가 아동들보다 더 높았다. 다섯째, 어린이집 방과 후 프로그램의 아동과 부모 간의 만족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단, 하위 영역 중 ‘교사’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부모들의 만족이 아동들보다 더 높았다. 여섯째, 어린이집 방과 후 프로그램의 아동과 부모 간 요구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교사’, ‘활동내용’, ‘교재교구’, ‘환경 및 시설설비’ 4개하위영역 모두에 대해 부모들의 요구가 아동들보다 보다 훨씬 더 높았다. 일곱째, 지역아동센타(공부방) 방과 후 프로그램의 아동과 부모 간의 만족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여덟째, 지역아동센터(공부방) 방과 후프로그램의 아동과 부모 간의 요구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교사’와 ‘교재교구’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부모들의 요구가 아동들의 요구보다 더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satisfaction and demand of children -lower grade students in the primary school- and parents about after-school program.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statically between children and parents about the satisfaction for after-school program. But two sub-areas of satisfaction have a meaningful difference. Parents have more satisfaction on ‘teaching materials and teaching tools area’, but children have more satisfaction on ‘environment and equipment area.’ Second, parents have higher demand about the after-school program than children. Third, children have higher satisfaction about the after-school program in the primary school than parents.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in ‘activity contents area’, ‘environment area’ and ‘equipment area’, but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teacher area’ and ‘teaching materials and teaching tools area.’ Fourth, parents have higher demand about the after-school program in the primary school than children. Fifth,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children and parents about the satisfaction for the after-school program in kindergarten. But in the teacher area it happens a meaningful difference that the satisfaction of parents is higher than of children. Sixth,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children and parents about the demand for the after-school program in kindergarten. Parents have higher demand in 4 sub-areas than children. Seventh,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children and parents about the satisfaction for the after-school program in the local children care center. Eighth,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children and parents about the demand for the after-school program in the local children care center. But parents have higher demand in ‘teacher area’ and ‘teaching materials and teaching tools area’ than children.

      • 저소득층 아동의 방과후 프로그램에 대한 이용실태 및 만족도

        김경화 한국방과후아동지도학회 2008 아동중심실천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저소득층 아동을 대상으로 방과후 프로그램의 이용실태 및 만족도를 파악하고 이를 위해 교육기회를 제공하는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며 방과후 보육 서비스가 더 발전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저소득층 아동의 방과후 프로그램에 대한 이용실태를 살펴보면 저 소득층 아동들은 방과후 프로그램을 일주일에 주2회정도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방과후 프로그램 이용기간을 보면 1년 정도 이용하였다. 방과후 프로그램의 하루 이용 시간을 살펴본 결과 2시간이 가장 높았으며, 방과후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아동이 환경 적응에는 문제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성격문제는 어느 정도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과후 프로그램 참여도를 보면 아동이 자발적으로 선택하였고 적극적인 참여를 하였다. 또한 방과후 프로그램에서 학교 방과후 프로그램을 가장 많이 이용하였으며, 프로그램을 접하게 된 계기는 부모나 교사의 권유에 의해서가 가장 많았다. 방과후 프로그램의 이용하는 목적과 초점으로는 아동의 인성교육과 보육을 위해 방과후 프로그램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저소득층 아동의 방과후 프로그램 만족도를 살펴보면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는 장소의 환경에 대해서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만족도가 낮은 아동들은 방과후 프로그램이 다양하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의 문제향상을 살펴본 결과 신체적, 정서적 상태를 향상시키는데 도움되었다. 따라서 저소득층 아동을 위하여 인성교육과 보육을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방과후 프로그램을 활성화 시킬 필요가 있으며 아동이 적극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필요하다. 주제어: 저소득층 아동, 방과후 프로그램

      • KCI등재

        방과 후 프로그램에 대한 아동 및 부모 의견조사

        하승민 ( Seung Min Ha ),강화란 ( Hoea Lan Kang ) 대한아동복지학회 2007 아동복지연구 Vol.5 No.3

        본 연구는 방과 후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들과 부모들을 대상으로 방과후 프로그램에 대한 의견 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요자 입장에서 초등학교, 보육시설, 지역아동센터 등에서 방과후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아동과 부모들을 대상으로 방과후 프로그램에 대한 일반사항 및 구체적인 활동내용에 관한 의견을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방과후 프로그램 개발 및 방과후 정책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연구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방과 후 프로그램에 대한 아동의견 중에서 이용 동기는 ‘부모에 의해서’가, 가장 많이 하는 활동내용은 ‘숙제 및 학습 지도’를, 함께 하고 싶은 학급 아동 수는 ‘1 ~ 10명’과 ‘11 ~ 20명’을, 원하는 교사상은 ‘부모처럼’을 가장 많이 응답했고, 가장 좋아하는 활동내용은 ‘컴퓨터, 영어, 미술’ 순이었고 반면, 가장 싫어하는 활동내용은 ‘숙제 및 학습지도, 영어, 한자, 독서 및 글쓰기’ 순이었다. 방과 후 프로그램에 대해 부모가 알게 된 경로는 ‘학교통신문’과 ‘이웃주민을 통해서’이었고 이용 이유는 ‘특기교육’과 ‘오후시간 활용’을 위해서, 이용지속 여부는 ‘계속 보낼 계획’을, 부모참여 의사는 ‘참여가 어려울 것임’이 가장 많았다. 원하는 교사상은 ‘방과 후 지도사’를, 이용 교육비의 정부지원은 ‘일부지원’과 ‘전액지원’을 가장 많이 요구하였다. 방과 후 프로그램 중 가장 중요한 활동 내용으로 ‘숙제지도와 보충학습’을, 원하는 특기교육은 ‘독서 및 글쓰기 지도’와 ‘영어’를 가장 많이 선호하였다. This research deals the survey on the views of elementary low graders and their parents about After-School Programs. The results show that children`s motives fo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is mostly ‘by parents` will’. The most frequent activity is ‘homeworks and tutoring’. The most ideal number of classmates they want to be in program with is either ‘1~10 members’ or ‘11~20 members’. Their favorite activities are studying ‘computers’, ‘English’, and ‘art’, on a popularity based order. On the other hand, their most hated activities are ‘homeworks and tutoring’, ‘English’, ‘Chinese characters’, ‘reading and writing’, also on a popularity based order. When the survey asked the parents about how they came across the program, the most popular answer was ‘through school notes’, and ‘through neighbors’. Their motives in sending their kids to the program is mostly ‘to help develop specialties’ and ‘to utilize free afternoons’. On the question of whether they are planning to keep sending their kids to the program, the most popular answer was ‘keep sending’, but on the matter of parent participation, their answer was ‘skeptical’. They wanted ‘professional tutors’ for their children, and on the matter of financial supports from the government, the most popular answers were ‘partial’ and ‘full-case’. The mostimportant activity the parents are conceiving is ‘homeworks and tutoring’, and they wanted ‘reading and writing’, and ‘English’ most for their children`s specialty education.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식생활 관련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김유정(Yu-Jeong Kim)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3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1 No.2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식생활 관련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 개발 시 필요한 바람직한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서 방과 후 학교의 성격 및 현황, 식생활 관련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의 개설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식생활 관련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 내용 구성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에서의 방과 후 학교는 정규 수업 이외의 시간을 활용하여 특기·적성 교육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최근 몇 년 동안 초등학생의 방과 후 학교 참여 비율 및 프로그램의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나, 특기·적성 프로그램의 수는 계속 감소하는 추세이다. 둘째, 식생활 관련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은 주로 심미적 감수성 및 기능, 창의성 계발, 인성계발 영역에 속해 있었고, 교육대상, 수강인원, 장소, 프로그램 차시 및 차시별 시간 면에서는 프로그램별로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며, 식생활 관련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의 교육 목표와 차시별 주제를 통해서는 프로그램의 특징을 파악하기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특기·적성 프로그램의 6개 영역을 중심으로 하여 식생활 관련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의 내용 구성안을 작성하였으며, 각 영역에서 중점을 두어야 할 목표 및 내용 요소를 제시하였다. 향후 초등학교 방과 후 학교의 기본 취지에 맞는 다양하고 체계적인 식생활 관련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학생들이 흥미와 적성에 맞는 것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In this study, the nature and current status of after-school programs, as well as the actual operations and problems of after-school food and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in order to gain an insight into the overall operations of food and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provided in after-school classes. Based upon findings from this study, a plan to compose contents for after-school food and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was sugges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fter-school classes at elementary school should be focused on specialty & aptitude education while making use of extra hours other than regular classes. For the past few years, both the rates of particip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fter-school classes and the number of after-school programs have increased constantly, but the number of specialty & aptitude development programs has decreased gradually. Second, after-school food and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are included primarily in the domains of aesthetic sensitivity and functionality as well as creativity development and personality development. There are considerable differences among respective programs in terms of target students, the number of participants, location, program lessons, and the duration of lessons. It was also found that it was difficult to characterize after-school food and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on the basis of their objectives and lesson topics. Finally, the proposed composition of contents for after-school food and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was prepared focusing on the six domains of specialty & aptitude development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key points and examples for each domain were presented. In the future, more diverse and well-organized after-school food and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ich will fulfill the fundamental intentions should be developed so that students can select suitable ones for their specialties and aptitudes.

      • KCI등재후보

        초등 방과후 학교 체육활동 프로그램 실태조사: 경기도 부천시를 중심으로

        김병연 ( Byeong Yeon Kim ),이영석 ( Young Suk Lee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5 한국초등교육 Vol.26 No.1

        이 연구는 방과후 학교 체육활동 프로그램이 수요자 중심으로 다양화, 활성화 되는데 도움이 되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최근 5년간 방과후 학교 프로그램의 전국 통계자료와 부천시 60개 초등학교의 2012학년도 상반기 방과후 학교 체육활동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교육 수요자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방과후 학교 체육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조사하였고 방과후 운영 교사와 지도강사를 대상으로 방과후 학교 프로그램의 운영과 조직에 대해 의견을 청취하였다.방과후 학교 체육활동 프로그램의 현황과 문제점, 향후 전망을 모색하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초등학교에서는 체육활동과 관련된 방과후 학교 프로그램이 점차 증가될 것이 예측된다. 둘째, 초등학교 방과후 체육활동 프로그램은 학교 규모에 상관없이 체육관과 같은 환경·시설에 영향을 받으며 상위 3개 종목이 전체 프로그램의 7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프로그램 다양성에 문제가 있었다. 셋째, 학생들은 체육활동에 대한 필요성 인식과 관심도가 타 교과에 비해 월등히 높고 시설 개선 및 프로그램 다양화가 참여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방과후 학교 운영교사와 지도강사는 방과후 학교 체육활동을 다양화,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교육환경의 개선과 학부모들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This study was to help after-school physical education program became consumer-centric diversified and activated through analyzing the status of operation and perception of teachers. To this end, five years national statistics of after-school physical education program were examined. The factors of after-school physical education program, which was performed on the first half of 2012 school year in 60 Bucheon elementary schools, were analyzed. Perception survey of teachers was performed with 150 students in three different schools (Bucheon, Siheung, Kwangmyung). Teachers and instructors were interviewed in depth. Through this, Current status, problems and future prospects of after-school physical education problem were examined and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fter-school physical education programs are gradually growing on a national scale, and especially prominent in elementary school. With this trend, number of physical education programs will overwhelm the other art-related programs in the future. Second, the after-school physical education programs are being carried out in all schools. Those programs have been influenced with existence of gymnasium but regardless of school size. Most top 3 programs were appeared in 70 percent of the whole program, which had a problem with the diversity of the program. Third,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d enormous interests in physical activities than in other subject activities and most were aware about the need. Participations were due to fun and to relieve stress by voluntary. With more diverse program and improved school facilities, the more participation is expected. Fourth, the school teachers and instructors required improvement of teaching environment and the change of parents`` perceptions. To do this, the government``s financial support and continuous promotion of physical education program to parents are strongly required. After-school physical education program has been conducted in almost every elementary school and number of programs also increased. However, the program``s quality and diversity still have the problems to be solved. Hence, governments, schools and parents should give more efforts to get over problems.

      • KCI등재

        대학생들을 위한 방과후 영어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학생들의 성취도와 만족도 조사를 통해 -

        서정아 ( Jung-a Seo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문화연구 Vol.22 No.5

        본 논문에서는 대학생들을 위한 방과후 영어 프로그램이 어떤 효과가 있는 지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과후 영어 프로그램은 기초 실력이 없는 학생들의 기본적인 영어 능력 향상과 이를 통해 학생들의 학습에 대한 자신감을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185명의 학생들이 총 12주에 걸쳐 방과후 영어 프로그램에 참가하였고, 참여한 학생들의 실력 향상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프로그램 시작 전에 사전테스트를 하였고 프로그램이 끝난 후에 학생들의 영어 능력 성취도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램 시작 전에 프로그램에 대한 기대를 묻는 사전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프로그램 계획에 반영하였고, 프로그램이 끝난 후 프로그램의 만족도를 묻는 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본 방과후 영어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성취도 점수에 향상을 가져왔으며, 이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의 영어에 대한 자신감 또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방과후영어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학생들 대부분은 본 프로그램에 대해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을 위한 방과후 영어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구성하는 개발자를 위한 몇 가지 시사점 및 제안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fter-school English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This after-school English program was designed to improve students` basic English skills and had the objective of increasing the confidence in English. 185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after-school English program over the period of 12 week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pre-students` achievement test was measured before starting the program. After finishing the program, post-students` achievement test was also measured to compare the difference. Pre- and post-survey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students to identify their expectation and the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is after-school English program helped to improve students` achievement scores and their confidence in English. In addition, the students in the program showed great positive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the study offered a few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after-school program developers who want to design and develop an English after-school English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 KCI등재

        서울특별시 공,사립 유치원 방과후과정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조사

        박은혜 ( Eun Hye Park ),박신영 ( Seen Young Park ),최성진 ( Sung Jin Choi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연구 Vol.3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방과후과정 운영체제 전반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을 알아보고 그에 따른 개선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 소재 공·사립 유치원 교사 173명과 학부모 488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방과후과정 필요성에 대해 유치원 교사와 학부모 모두 ‘찬성’비율이 높았지만, 학부모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방과후과정 운영대상으로 유치원 교사는 ‘취업모 가정 자녀’를, 학부모는 ‘원하는 유아 모두’를 원하고 있었다. 방과후과정의 내용으로는 유치원 교사와 학부모 모두 ‘특기적성 프로그램’을 선호하였지만, 공립유치원 교사들은 ‘보육위주의 프로그램’을 더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과후과정의 비용부담 주체에 있어서 유치원 교사와 학부모 모두 ‘돌봄은 정부부담, 특별활동은 부모부담’을 선호하였고, 방과후과정 교사 자격에 있어서 유치원 교사는 ‘오전 유아학교와 동일한 자격, 능력 소유자’를, 학부모는 ‘특기적성 지도교사’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방과후과정의 성격을 분명하고 일관성있게 규명해야하며, 규명된 방과후과정의 성격과 내용에 따라 이용대상 및 정부지원대상, 비용, 담당 교사도 각각 다르게 운영할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kindergarten teachers’ and parents’ perceptions of an after-school program in order to suggest improvements. Accordingly, the researchers administered a questionnaire to 173 teachers and 477 parents from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Metropolitan area. Results for this study revealed that both teachers and parents recognized the necessity for running after-school programs for kindergarten children; however, more parents than kindergarten teachers agreed on this opinion. Parents showed a desire for an after-school program for all children who wish to participate, whereas the kindergarten teachers advocated such a program only for the children of working mothers. Moreover, regarding the contents of the after-school program, the parents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preferred extracurricular activities, whereas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mostly endorsed a child care program. Regarding teachers in charge of the after-school program, the teachers promoted employing staff with qualifications same with those teaching the Nuri curriculum in the morning, whereas the parents demanded staff specializing the extracurricular programs. Lastly, both the kindergarten teachers and parents recognized that the government needs to subsidize child care programs, while those demanding extracurricular programs should pay fe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concepts and functions of after-school programs for classifying the targets, contents, qualification of teachers, and financial support according to functions.

      • KCI등재후보

        음악과 교육과정과 연계한 초등 "방과 후 학교" 국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박주만 ( Joo Man Park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2 예술교육연구 Vol.1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과 교육과정과 연계된 초등 ‘방과 후 학교’ 국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 이다 연구의 방법과 내용으로는 먼저 방과 후 교육 프로그램과 관련된 문헌과 현재 초등학교에 적용되고 있는 2007 개정 교육과정의 국악 관련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후 선행 연구를 통해 최근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의 현황을 살펴보고, 본 프로그램의 시사점을 도출한 후 음악과 교육과정과 초등 음악수업 내용을 연계한 통합적 성격의 방과 후 국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제시된 프로그램의 예시는 총 세 가지이며 횟수는 16차시이다. 첫 번째는 전래동요 부르기와 놀이를 통한 활동 중심의 방과 후 프로그램이고, 두 번째는 국악의 기초 개념을 이해하고 용동을 통해 창작의 즐거움을 알게 하는 이해 중심의 방과 후 프로그램이며, 세 번째는 창작 국악동요와 감상곡을 통한 국악의 생활화를 강조한 방과 후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다. 한편 본 프로그램으로 기대되는 교육적 효과로는 정규 음악과 교육과정을 보충, 심화하여 국악 교수-학습 개선에 도움을 줄 것이고. 학생들의 창의성과 잠재된 예술성 신장 및 음악을 통한 바른 인성 함양에 도용을 줄 것이다. 또한 음악학습과 보육에 대한 사교육비의 부담이 완화시켜 계층간 지역 간 교육 격차가 줄어들어 실질적인 교육 복자를 구현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 to develop ``after-school`` gukak(Korean traditional music) teaching programs connected with the music curriculum Regarding the research methods and contents for it, first of all, this paper conducted literature review for after-school educational programs and analyzed the contents of gukak in ``2007 revised music curriculum``. Also, based on advanced research, this study drew the implications of this program by analyzing the status of operating after-school programs so far and developed an after-school gukak teaching program with integrated characteristics in which the curriculum and elementary music class are connected. The example of the after-school gukak program suggested as the research result includes total three activities. The concrete principl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it is an after-school gukak teaching program is for ``understanding``, The name of the program is ``Singing and Playing``. It is an experience-centered Gukak program which has singing traditional nursery rhymes as its main activity and emphasizes traditional plays. Second, the after-school gukak teaching program is for ``understanding``. The name of the program is ``I am a Gukak Composer``. Regarding the program`s main goal and characteristics, the chief goal is to let students understand the basic concept of gukak and know the pleasure of creation through gukak. Third, it is an after-school gukak teaching program to ``make gukak a way of life``, The name of the program is ``Gukak is My Friend``, In terms of the program`s main goal and characteristics, it includes music activities emphasizing how to make gukak a way of life through creative gukak nursery rhymes and songs for appreciation

      • KCI등재

        방과 후 요리활동으로서 유아 영어교육 프로그램의 개념적 모형

        윤혜원(Yoon Hye-Won)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04 어린이미디어연구 Vol.3 No.-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육과정과 연계되는 방과후 요리활동을 컨텐츠기반에 의거하여 영어교육 프로그램을 고안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연구문제를 크게 다음과 같이 2가지로 설정하였다. 1. 방과후 유아 영어교육 프로그램으로서 요리활동 개발을 위한 틀을 어떠한가? 2. 영어 요리활동 개발의 틀에 의거한 방과후 유아 요리활동의 개념적 모형은 어떠한가?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EFL 환경인 우리나라에서 의사소통으로서 영어교육은 컨텐츠기반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피력하면서 방과후 영어교육 프로그램으로서 요리활동의 방향을 제시하려고 하였다. 특히 우리나라는 출판사에 의해서 개발된 자료가 주로 문법번역식과 청화식 교육방법으로 이루어져서 비교육적인데 비하여 컨텐츠기반 영어교육의 자료는 교육인적자원부의 교육과정을 영어로 배우면서 영어도 습득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먼저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틀에 의거하여 방과후 요리활동의 개념적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는 사회 및 개인의 요구→프로그램의 목적→프로그램의 내용→교수 학습 전략 및 활동계획→프로그램 실시→프로그램 평가→프로그램 수정 개발로 전개하였다. 다음으로 요리활동 개발의 틀에 의거한 방과후 요리활동의 개념적 모형은 섞는, 열을 가하는, 얼리는, 꾸미는 요리활동으로 구성하였다. 이를 영어활동으로 BICS와 CALP의 영어능력 발달에 초점을 맞추도록 하였다. 즉, BICS에서는 요리순서 등 의사소통에 대하여, CALP에서는 요리의 이름, 재료의 이름, 재료의 이름, 도구의 이름 등 개념과 단어에 초점을 두도록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the after school cooking activity that is connected to kindergarten curriculum and based on content-based. To meet The study purpose,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set up two big study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1. What is The framework for the after school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of cooking program? 2. What is the conceptual early childhood after school English education model based on the framework? This study, then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ontent-based after school program for EFL society like and recommended cooking activity for the after school program. The author of this study mentioned that most English texts by publishers are grammar-translation and audio-lingual methods which will hinder communicative English ability. Compared to these, the content-based program will do the job of acquisition of contents sugges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nd English ability both in BICS(Basic Interpersonal Communicative Skill) and CALP(Cognitive Academic Language Proficiency). The author of this study drew up the framework for the after school English education of cooking program as "Need of an Individual and Society→ Program Purpose→Program Content→ Teaching-Learning Strategies and Activity Plan→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Program Evaluation and Modification→ Final Product." Based on this framework, the author designed the conceptual cooking activities within four different types: cooking activities that are mixing, heating, freezing, and decorating. This study is limited to 12 activities to start. However, longitudinal after school cooking program should be designed in many different models.

      • 고등학생의 방과후학교참여 특성변인이 방과후학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은혜 ( Kim Eun Hye ),곽종형 ( Kwak Jong Hyung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17 사회복지경영연구 Vol.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방과후학교참여 특성변인이 방과후학교만족도에 얼마나 영향이 있었는지를 검증하는데 있으며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증학생의 국어방과후학교참여 특성변인이 국어방과후학교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고등학생의 수학방과후학교참여 특성변인이 수학방과후학교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고등학생의 영어방과후학교참여 특성변인이 영어방과후학교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이다. 수원, 안산지역의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 240명을 대상으로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영향관계 분석을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고등학생의 국어·수학·영어 관련 방과후학교만족도를 분석하였으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국어방과후학교참여 특성변인 중에서 국어방과후학교참여 변인만이 국어방과후학교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고등학생의 수학방과후학교참여 특성변인 중에서 학생의 수학성적변인만이 수학방과후학교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고등학생의 영어방과후학교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영어방과후학교참여 특성변인은 학생의 영어성적과 영어방과후학교참여이다. 따라서 방과후학교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계속 노력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much the information about the after- school participation affects the satisfaction scale of after-school program. To achieve this goal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 was posed: What is the effect like that the information about the after-school participation in Korean language, Math and English has on the satisfaction scale of after-school classes of them?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SPSS 22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participation in after-school program is the influential factor of the satisfaction scale of after-school class of Korean language whereas the student`s test score affects satisfaction scale of after-school class of Math. In the case of English class both the participation and the grade affect the satisfaction sca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