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발명교육 내용 분석

        이영찬,김희필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7 實科敎育硏究 Vol.23 No.1

        이 연구는 현행 초등학교 교과서의 발명교육 내용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분석 대상이 된 교과서는 초등학교 5학년의 실과, 과학, 사회이었다. 교과서에 기술된 발명교육의 내용을 분석 준거를 바탕으로 단원별로 도출하였다. 도출된 발명교육 내용을 교육과정 내용체계에 따라 분류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각 교과에 제시된 발명교육 내용의 백분율과 그 분포 정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과 교과서에서 도출된 발명교육 내용의 수는 44개이었다. 실과교과의 내용체계 중 가정생활(10개)보다 기술의 세계(34개) 영역에 발명교육 내용이 더 많이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학 교과서에 26개, 사회 교과서에서도 32개가 도출되었다. 둘째, 발명 내용 준거에 따라 실과, 과학, 사회 교과에서 공통적으로 분석된 발명 내용은 발명의 중요성, 인간 생활과 발명, 아이디어의 발상이었다. 3개 교과에서 분석된 발명 내용의 수는 인간 생활과 발명, 아이디어의 발상, 발명의 중요성 순으로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분석된 발명 내용 영역은 실과 교과서에서 11개, 과학 교과서에서는 5개, 사회 교과서에는 7개가 분석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추론할 수 있는 사실은 다음과 같다. 발명교육 내용은 실과 교과서에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11개의 요소가 모두 분석되었으므로 발명교육을 범교과 교육의 형태로 실시할 경우 실과 교과를 중심으로 다른 교과를 통합하는 형태가 바람직해 보인다. 또한 발명교육을 범교과 학습의 형태로 운영하기 위해 적합한 주제는 인간 생활과 발명, 아이디어의 발상, 발명의 중요성 영역 순으로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이 연구는 초등학교 발명교육을 범교과 교육의 형태로 진행하는 데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textbooks as a prerequisite for fusing the subjects in order to practice the invention education as a interdisciplinary learning. Practical arts, Science, and Social Study, which were deemed to be related to the invention education were chosen. The contents of the 5th grade textbooks were analyzed according to analysis criteria, and they were recorded in the textbook analysis frame. The extracted content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curriculum contents system, and the proportion and distribution degree of the contents related to the invention presented in each subject were analyzed. In addition, this reveal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vention education - related learning elements in textbook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44 learning elements that the contents related to invention education were mentioned in the practical arts textbooks. The learning elements related in invention education were more distributed in the world of technology (34 learning elements) than in home life (10 learning elements). The learning elements related to invention education appeared in science textbooks (26 learning elements) and social textbooks (32 learning elements) as well. The science contents related in invention education were evenly distributed in matter, energy, life, and the earth in curriculum system. The social contents related in invention education is evenly distributed in geography, general society, and history in curriculum system. Second, the contents of invention education that was analyzed in three textbooks in common were the importance of invention, human life and invention, making ideas. The number of inventions analyzed in the three subjects showed a high rate in the order of human life, invention, concept of idea, importance of invention. The contents of the analyzed contents of the invention were analyzed 11 in practical arts textbooks, 5 in science textbooks, and 7 in social textbook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following facts can be inferred. If the education of invention is carried out in the form of cross-curricula, it seems desirable to integrate other subject focusing on practical arts. In addition, it seems desirable to select appropriate topics in order to operate the invention education in the form of cross-curricula learning in the order of human life, invention, concept of idea, and importance of invention. This study can provide basic data for the progress of elementary school inventive education in the form of cross-curricula.

      • KCI등재

        Bloom의 신 교육목표 분류학에 근거한 발명·특허 특성화고의 발명교과서 학습목표 분석

        김경환,송교원,이창훈 한국기술교육학회 2017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improvement plan and problem by analyzing invention, patent, and specialized high schools textbooks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search’s purpose, studying purposes mentioned in five kinds of invention textbooks have been analyzed through expert conference, and the result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studying purpose mentioned in invention textbooks has given too much importance and emphasis on some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es dimensions; so that it has been thought that the cause has been made from failure to perform its role for students’ various knowledge acquisition. Second, most studying purposes specified on five kinds of invention textbooks being used in invention, patent and specialized high schools are just corresponded to “understanding”. Third, by comparing knowledge dimension’s studying purpose per invention textbook, basic invention & patent and invention & design textbooks’ each area have been relatively distributed. In contract, invention & problem solving textbook does not have “true knowledge” area, and been showed unbalanced dispersion which take a lot of proportion of metacognitive ability knowledge. General patent specification textbook has taken half possession about “true knowledge”. Patent information survey analysis textbook can be confirmed by unbalanced distribution that possesses half area for “conceptive knowledge”. Fourth, by comparing cognitive procedure dimension per invention textbook, textbooks have generally exhibited extremely imbalance. All textbooks do not possess studying purpose which has belonged to “Remember” area. Generally, due to the reason that “Understanding” area has been exhibited too much, it has been very necessary to support studying purpose strategies that require high school student thinking abilities, such as “analyze” and “evaluate” in order to enhance the students’ creative thinking. Also, the ratio of studying purposes which are belonged to “Apply”, “Analyze”, and “Evaluate” are being too low or little. Nevertheless, the ratio of studying purpose which is belonged to “create” is often high. This has proven that studying purpose that requires high school student standardized thinking ability has not been stated by stages. As a result, the students’ thought cannot be easily expand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a crucial matter to annihilate. Therefore, through restatement of studying purposes, consideration that students can do various studying experiences is necessary. Moreover, research for study plan which is coherent to connectivity of studying purpose and class activity by applying this research has been necessary. Furthermore, this research shall be used as a fundamental document for achievement standard development. 이 연구의 목적은 발명 관련 교과서의 학습목표를 Bloom의 ‘신 교육목표 분류학’을 근거로 분석하여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발명·특허 특성화고등학교에서 주로 활용되고 있는 5종의 발명교과서에 진술된 학습목표들을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분석했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명교과서에 진술되어 있는 학습목표는 일부 지식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에 지나치게 편중됨으로써 학생들의 다양한 지식 획득에 충분한 역할을 다하지 못하는 원인이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발명·특허 특성화고에서 사용되는 5종의 발명교과서에 진술되어 있는 학습목표의 대부분이 ‘이해하다’범주에 해당하였다. 셋째, 발명교과서별로 지식차원의 학습목표를 비교해 본 결과, 「발명·특허 기초」와 「발명과 디자인」교과서는 각 영역이 비교적 고르게 분포되어 있었다. 반면에 「발명과 문제해결」교과서는 ‘사실적 지식’영역이 전혀 없었고 메타인지 지식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불균형한 분포를 보였다. 「특허명세서 일반」교과서는 ‘사실적 지식’영역이 거의 절반을 차지했고 「특허정보 조사분석」교과서는 ‘개념적 지식’영역이 거의 절반을 차지하는 불균형한 분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발명교과서별로 인지과정 차원의 학습목표를 비교해 본 결과, 교과서 전반에 걸쳐 심한 불균형을 보였다. 전 교과서가 ‘기억하다’영역에 속하는 학습목표가 전혀 없었다. 전체적으로 ‘이해하다’영역이 너무 많은 분포를 보이기 때문에 이를 줄이고 학생들의 창의적인 사고력 신장을 위해 ‘분석하다’, ‘평가하다’와 같은 고등사고 능력을 요하는 학습목표 진술을 보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적용하다’, ‘분석하다’, ‘평가하다’에 속하는 학습목표 진술 비율이 너무 낮거나 없음에도 불구하고 ‘창안하다’에 속하는 학습목표 진술 비율이 높은 경우가 많았다. 이는 고등사고 능력을 요하는 학습목표가 단계적으로 진술되지 못해서 학생들의 사고가 자연스럽게 확장되지 못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개선해야 할 사항으로 보인다.

      • KCI등재

        2015 개정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간의 발명 내용 요소의 일치율 분석

        장민수,이상봉 한국기술교육학회 2022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22 No.2

        Starting with the 2007 revised curriculum, inventions continue to appear in the ‘Technology and Home-Economics’ curriculum. Although the contents of invention education for each of the 12 publishers recognized as textbooks contain different contents, there is no research on confirming the unity between textbooks and seeking ways to improve them for systematic invention educ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cordance rate between the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Economics’ and the content elements in the current 12 types of textbooks, and to check whether the presented content elements meet the invention-related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curriculum.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analysis target was selected, the textbook was analyzed, and the analysis tool was develop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technical problem-solving stage based on problem-based learning, and the concordance rate of content elements presented in the invention area between textbooks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elements of inventions presented in the textbooks of Technology and Home-Economics 1 of 12 middle schools, the concordance rate of five content elements of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Process', Invention and Social Change', Concept of Patents', Type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Diffusive-Convergence Thinking Technique' was the highest at 100%. Second, among the 20 content elements presented in each publisher's textbook, it was confirmed that a total of 13 content elements were concordant, 7 were ‘very concordant’, 3 were ‘concordant’, and 3 were ‘norma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most of the content elements presented in the invention unit of the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Economics 1’textbook conformed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Economics’curriculum. Through this study, when developing textbooks according to the next curriculum revision, the textbook writers should improve the content and system of invention education by increasing the concordance rate of invention content elements between textbooks. 2007 개정 교육과정을 시작으로 기술·가정 과 교육과정에 발명이 계속해서 등장하고 있다. 교과서로 인정되는 12곳의 출판사별 발명교육 내용이 서로 다른 내용을 담고 있으나, 체계적인 발명교육을 위한 교과서 간의 통일성 확인과 개선방안 모색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12종 중학교‘기술·가정’교과서 내에 수록된 발명 내용 요소 간의 일치율을 분석하고, 제시된 내용 요소와 발명 관련 성취기준 간의 부합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분석 대상의 선정, 교과서 분석, 기술적 문제해결과정을 적용한 분석틀을 개발하여 교과서별 발명 단원에 제시된 성취기준과 내용 요소 간의 일치율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2종 중학교‘기술・가정 1’교과서에 제시된 발명 내용 요소 중에서, 기술적 문제해결과정 , 발명과 사회변화 , 특허의 개념 , 지식재산권의 종류 , 확산적․수렴적 사고기법 의 5개의 내용 요소의 일치율이 10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각 출판사별 교과서에 제시된 20개의 발명 내용 요소 중에서, 매우 일치 가 7개, 일치 가 3개, 보통 이 3개로, 총 13개의 내용 요소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터하여, 중학교‘기술・가정 1’교과서의 발명 단원에 제시된 대부분의 내용 요소들이 2015 개정 중학교‘기술・가정’과 교육과정의 발명 관련 성취기준 및 성취기준 해설에 부합하고 있었으며, 12종 교과서 간의 내용 요소 또한 대부분 일치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차기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교과서 개발 시 교과서 집필진이 교과서 간의 발명 내용 요소의 일치율을 높여 발명교육의 내용과 체계를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교과서의 발명 관련 내용 분석

        이철현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3 實科敎育硏究 Vol.19 No.3

        발명은 고도의 사고력과 구체적 조작 능력을 요구하는 활동이고, 발명교육은 심신의 조화와 균형을 갖는 미래인재 양성을 위하여 보다 체계화된 시스템을 가지고 초등학교 때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발명교육의 체계화를 위하여 초등학교 교과서에 발명 관련 내용이 얼마나 어떤 형태로 실려 있는지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과서에 포함되어 있는 발명 관련 내용을 분석하고, 문 제점을 파악하여 그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4, 5, 6학년 실과, 과학, 사회, 미술 교과서 34권을 분석하였다. 발명교육내용요소, 발명품, 발 명 관련 인물, 발명 관련 직업을 분석 준거로 설정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발명 관련 내 용 교과서 분석 틀을 구안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내용 분석법을 이용하였고, 분석 결 과로 양적 분석과 자료 형태별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발명 관련 내용은 실과와 과학교과서에 많은 양이 포함되어 있어서 실과와 과 학 교과를 중심으로 하는 정규 교과 발명 교육을 체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일반인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발명품이 좀 더 많이 제시되어야 하고, 역사적 인물뿐만 아니라 발명에 공헌을 많이 한 일반인들도 발명 관련 인물로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발명 관련 직업이 매우 적게 제시되어 있었다. 진로 교육 차원에서 발명과 관 련된 다양한 종류의 직업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발명 관련 내용은 본문과 시각자료의 형태로 제시되어 있는 것이 가장 많았다. 학습자의 발명에 대한 흥미와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도록 좀 더 많은 읽기자료와 탐구 활동이 교과서에 제시될 필요가 있다. Invention is the activity requiring very high thinking power and concrete handling ability. So, invention education should be begun from elementary school with more systematic systems for cultivating the future men of talent who have the harmony and the balance between mind and body. We need to find how much and form the contents related to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related to the invention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and then grasp problems, present plans for improvement for those problems. For this aims, we analyzed 34 fourth, fifth, and sixth grade Practical Arts, Science, Social Study, and Fine Arts textbooks in elementary school. The content items of invention education, inventions, persons related to the invention, and occupations related to the invention were established as the analysis criteria, and we made the analysis framework for the contents related to the invention with those. Contents analysis was applied as a analysis method. We presented the results of quantitative data analysis and the analysis results by data forms. We could find the following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First, much contents related to the invention were included in Practical Arts and Science textbooks, so the invention education in the regular curriculum is need to be systematized based in Practical Arts, and Science. Second, much more inventions ordinary persons can approach more easily should be presented in textbooks. And textbooks should include not only historical figures, but also ordinary commoners who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invention area. Third, so little occupations related to the invention were presented in textbooks. So, many different kinds of occupation related to the invention are to be presented. Fourth, so many invention-related contents were presented as the text and visuals. So, much more reading materials and inquiry activities should be included in textbooks to stimulate high interest and curiosity to the students about the invention.

      • KCI등재

        초등 실과교과의 발명교육 단원에 관한 분석

        조규원,정진현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9 實科敎育硏究 Vol.2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actual textbook composition and to analyze whether the contents elements of invention education were properly presented in actual textbooks, and to help them in school. The research method is the content analysis method. In the sixth grade textbooks, the 'Invention and Robot' unit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content composition features and learning content ele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analysis of 'characteristic of textbook composition' the content component has many parts in common, but the formal part is different. Second, in the analysis of 'elements of invention education', 'elements of invention' were listed at the beginning of the unit as the basis of the invention. Each textbook examined what examples of 'inventions' and 'inventors' were related to the 'history of invention'. In the second problem category, 'Discovery of Problems', the PMI method and the evaluation matrix method were selected from two publishers and three publishers, respectively. In the 'problem solving' area, all six textbooks applied the scamper thinking technique and it was found that the elements of each stage had a common appearance in the eight-step problem solving process for invention. In the field of invention and intellectual property, the only textbooks with references to patent information retrieval were the Da and Ma textbooks. It was found that the contents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Invention Ethics' were not included in the 'la' and 'ma' textbooks. 본 연구의 목적은 실과 교과서 구성의 특징을 분석하고, 발명교육의 내용 요소 중에 실과 교과서에 적절히 제시되어 있는지를 분석하여 학교현장에서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내용분석법이며, 실과 6학년 교과서 6종에서 ‘발명과 로봇’ 단원을 내용 구성 특징과 학습 내용 요소 준거에 따라 발명교육 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구성의 특징’ 분석에서 내용적인 구성 요소는 공통적인 부분이 많지만, 형식적인 부분에서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발명교육 내용 요소’ 분석에서 ‘발명의 기초’ 요소는 발명의 기본이 되는 내용으로 단원의 앞부분에 수록되어 있었다. 각 교과서별로 ‘발명의 역사’와 관련하여 ‘발명품’들과 ‘발명가’에 대한 어떤 예시를 들었는지 조사하였다. 발명교육 내용 요소 중 두 번째 대분류인 ‘문제 발견’ 영역에서는 발명 아이디어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PMI 기법과 평가행렬법을 각각 2개 출판사와 3개 출판사에서 선택하였다. ‘문제해결’ 영역에서는 6종의 교과서 모두 스캠퍼 사고 기법을 적용하였고, 발명을 위한 8단계의 문제해결과정에서 각 단계의 요소는 공통적인 모습을 보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발명과 지식재산’ 영역에서는 특허 정보 검색에 대한 언급이 있는 교과서는 ‘다’와 ‘마’ 교과서뿐이었다. ‘지식재산권과 발명윤리’에 관한 내용은 ‘라’ 교과서와 ‘마’ 교과서에 포함되지 않은 것을 볼 수 있었다.

      • KCI등재

        중등 공업계열 전문교과 교과서에서의 발명·지식재산 교육내용 반영 가능성 분석 연구

        이병욱,안재영,임유화 한국기술교육학회 2014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4 No.3

        This research analyzed contents of 101 industry specialized textbooks by2007 revised national-level curriculum based on core studying factors of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so as to analyze possibilities to reflectcontents of 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in industry specializedtextbooks of specialized high school·meister high school, etc. Concrete results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total 754 factors of contents reflected by invention intellectualproperty education contents in industry specialized textbooks of secondaryvocational education, but total 2,943 factors of contents with possibilities toreflect 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contents. And, relative ratio ofreflecting situation and reflecting possibility was about 1:3.90. Second, for therelative ratio of reflecting situation by subject and reflecting possibility, therewere 1:5.81 of machine․metal subject, 1:2.98 of electronics․electricity․communication subject, 1:3.26 of construction subject, 1:1.36 of chemicalengineering․textile, 1:2.04 of other(broadcasting․media) subject and 1:3.26 ofcommon subject. Third, for the situation of possibility to reflect invention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contents by component areas, 1,495(50.80%) of‘main body’, 951(32.31%) of ‘others except for main body(various activitytasks)’ and 497(16.89%) of 'reading material’ showed possibilities of reflection. Relative ratio of reflecting situation and reflecting possibility was 1:4.40 of'main body', 1:4.40 of 'others except for main body' and 1:2.51 of 'readingmaterial'. Therefore, there are more possibilities to reflect invention intellectualproperty education contents in industry specialized textbooks than reflectingsituation, so it's expected to reflect more 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education contents than the standard of current textbook. Also, there aresomewhat differences in reflecting possibility by subject and textbookorganizing sector, but it's expected to reflect more invention intellectualproperty education contents than the standard of current textbook to all thecomponent areas of all subjects and all textbooks. 이 연구는 특성화고·마이스터고 등 공업계열 전문교과 교과서에서의 발명·지식재산 교육내용 반영 가능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발명·지식재산교육의 핵심 학습 요소를 기준으로 2007 개정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따른 공업계열 전문교과교과서 101권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 공업계열 전문교과 교과서에서 발명·지식재산 교육내용이 반영된 내용 요소는 총 754개인 반면 발명·지식재산 교육내용이 반영될 가능성이 있는내용 요소는 총 2,943개였으며, 반영 현황과 반영 가능성의 상대 비율은 약1:3.90이었다. 둘째, 과목별 반영 현황과 반영 가능성의 상대 비율은 기계․금속 과목이1:5.81, 전기·전자·통신 과목 1:2.98, 건설 과목 1:3.26, 화공·섬유 1:1.36, 기타(방송․미디어) 과목 1:2.04, 공통 과목은 1:3.26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과서 구성 영역별 발명·지식재산 교육내용의 반영 가능성 현황은 ‘본문’에 1,495개(50.80%), ‘본문 외(다양한 활동 과제)’에 951개(32.31%), ‘읽을거리’에 497개(16.89%)가 반영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영 현황과 반영가능성의 상대 비율은 ‘본문’이 1:4.40, ‘본문 외’가 1:4.40, ‘읽을거리’가 1:2.51로나타났다. 따라서 공업계열 전문교과 교과서에서의 발명․지식재산 교육내용의 반영 가능성이 반영 현황보다 높으므로, 현 교과서의 집필 내용 현황보다 발명․지식재산교육내용을 더 반영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과목별, 교과서 구성 영역별로 반영 가능성은 다소 차이가 있으나 전 과목의 모든 교과서 구성 영역에 현 교과서의 집필 내용 현황보다 발명․지식재산 교육내용을 더 반영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실과교과서 ‘생활과 기술’ 단원 발명 교육 내용 분석

        정진우,김창훈,김지숙 한국기술교육학회 2018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key contents of invention education in the units 'life and technology' of elementary school ‘practical arts 5’ textbooks of the revised 2011 national curriculum.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Life and technology’ chapters of ‘practical arts 5’ textbooks indicated a page proportion from 14.6 to 19.5%, with the subchapters of ‘Basic technology and invention’ unit taking up 5.5-7.7%, ‘Making creative goods’ unit taking up 8-12.9% of the textbooks. Second, all the textbooks, ‘Relationship of technology and invention’, ‘Method of invention Idea’ ‘Creative designing’, ‘Making creative goods’ were included as main contents based on the achievement standards present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Third, the detailed structures were generally made up as follows: Introduction (Broad chapter title, subchapter table of contents, introduction, subchapter title, study objectives, open thinking); development (unit title, thinking ahead, key terms, main text, study helper, activities, research activities, supplemental readings, in-depth study topics, technology in everyday lives, reading topics, discussion topics, and career helpers); and summary (subchapter summary, study summary, terms summary, writing follow-up, self review, broad chapter evaluation). Fourth, based on the analysis of figures included, photographs had the largest proportion, followed by figures, tables. The photos were used to illustrate various inventions, invention methods, and hands-on activities, while figures were included to depict the contents included in the main text, and the tables to assist to preparation of process diagrams or materials lists. Fifth, based on the analysis of content weights, greater weights were placed on ‘Inventions and Thoughts’, and ’Invention Experiment Activities,’ while ‘Understanding Inventions’ and ‘Invention and Intellectual Property’ chapters did not have a lot of texts involved. Sixth, based on the analysis of content presentation methods, most textbooks combined figures, tables, illustrations and texts to discuss the topics. Based on the above study results, we suggest the followings: First, a consistent educational learning contents should be developed over the topic of invention. Second, more precise and systematic analysis of textbooks would need to be performed with multiple perspectives. 이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실과 교과서 5 ‘생활과 기술’ 단원의 발명 교육 내용 요소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과 5 교과서의 ‘생활과 기술’ 대단원 구성 비율은 14.6~19.5%였으며, 중단원인 기술과 발명의 기초는 5.5~7.7%이고, 창의적인 제품 만들기는 8~12.9% 구성 비율을 보였다. 둘째, 차례 분석 결과 모든 교과서에서 교육과정해설서에 제시된 내용 체계표를 바탕으로 ‘기술과 발명의 관계’, ‘발명 아이디어 기법’, ‘창의적인 구상’, ‘창의적인 생활용품 만들기’ 등을 주요 내용으로 차례를 구성하고 있다. 셋째, 세부구성 체계 분석 결과 도입 부분은 공통적으로 대단원명, 중단원 차례, 들어가기, 중단원명, 학습 목표, 생각열기로 구성되어 있고, 전개 부분은 소단원명, 생각해보기, 핵심용어, 본문, 학습 도우미, 수행활동, 조사활동, 생활 속에서, 읽을거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리 부분은 중단원 정리, 대단원정리, 진로활동, 대단원 평가 등의 용어를 통해 단원을 정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넷째, 삽화 분석 결과 사진이 가장 많고 그림, 표의 순이었다. 사진은 다양한 발명품, 역사 속 발명품, 발명 기법, 체험활동의 과정을 나타낸 것이 대부분이었으며, 그림은 본문의 내용을 나타내거나 발명 기법 등을 제시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다섯째, 내용 비중 분석 결과 내용 요소에 따른 비중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발명과 사고’, ‘발명체험활동’에 많은 비중을 두어 기술되었으며, ‘발명의 이해’, ‘발명과 특허’는 많이 기술되어 있지 않았다. 여섯째, 내용 제시 방식 분석 결과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그림, 표, 삽화 등과 문장으로 혼합되어 기술되어 있어 학습자가 기술된 문장을 읽고 다양한 형태의 삽화를 통해 이해하기 쉽도록 제시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첫째, 일관성 있는 발명 교육 내용 체계를 유지해야 하며, 둘째, 다양한 시각에서 보다 정밀하고 체계적인 교과서 분석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한다.

      • KCI등재

        초등 실과 교과서 발명 영역의 교사 인식 및 발전적 내용에 관한 연구

        강종표(Kang Jong Pyo) 한국실과교육학회 2013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6 No.3

        이 연구는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 검인정 체제로 변화된 초등 실과 교과서의 출판사별 발명 영역의 내용을 분석하고, 이 교과서를 사용하여 지도한 경험이 있는 교사에게 발명 영역 내용의 적절성과 적용한 교수・학습 방법 및 목표 달성 정도 등에 대하여 설문하고 이에 대한 응답 결과를 분석하여, 보다 효율적인 발명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으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현재의 초등 실과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에서 발명품과 발명가의 조사 활동, 발명 기법, 발명아이디어 창출 기법 등에 대한 내용은 포함되어 있었지만 간단한 발명품을 제작하는 활동 내용은 거의 기술되어 있지 않았다. 교사들은 발명 교육에 대하여 어느 정도 관심을 갖고 있었지만 발명기법 등 발명에 대한 이해가 미흡하였고, 발명 영역의 내용은 2007 개정 교육과정의 발명 교육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게 선정되고 조직되었다고 생각하고 있었지만, 학생들의 발명 의욕을 고취시키기에는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하고 있었다. 이 영역에 적용한 교수・학습 방법은 잘 알려진 발명품, 발명가, 발명 기법 등의 이해를 위한 이론적 수업 이었으며, 간단한 생활용품을 발명하거나 개선점을 찾아 스케치하고 실제로 제작하는 활동 수업은 거의 적용하지 않고 있었다. 또한 발명 영역의 교수・학습 목표 달성도 충분하지 않았으며, 학생들은 발명에 관심을 갖고 있지만 적극적으로 학습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내용이 실현되어야 한다. 교사들이 발명교육에 관련된 폭 넓은 지식을 갖게 하고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발명 관련 연수 등의 교육 프로그램을 적극 개발・시행하고, 교과서에는 학생들이 간단한 용품을 창의적으로 발명하고 제작하는 내용을 포함시켜야 하고, 교사용 지도서에는 발명 관련 단원의 교수・학습 방법 등에 관한 내용이 보다 상세히 기술되어야 하며, 또한 발명 단원을 위한 실습실 마련 등의 실천적 교수・학습 환경을 구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In this study, the contents of invention section were analyzed in elementary school Practical Arts textbooks which were changed to inspection and approval system at the 2007 revision curriculum, adequacy of the contents of the invention section, appli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goals were surveyed teachers who having education experience by using these textbooks. On the basis of analysed results of the teacher s response, the plans for effective invention education were propos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current elementary school textbooks and teacher s instruction guidebooks, the contents of invention technique, invention idea generation technique and investigation activity of invention products and inventors were included but the contents of practical activities for making a simple invention production were not described nearly. Teachers had some interest in the invention education but invention techniques and understandings for invention were not sufficient. Also teachers have judged that the contents of the invention section for 2007 revision curriculum were selected and organized appropriately for efficient invention education, however, it was not enough to inspire the motivation of invention to the students. Appli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invention section were theoretical lessons for understanding of well-known invention products, invention technique etc, the sketch and actual making activity for invention and improvements of a simple household was not performed. They thought that teaching and learning goals of the invention section were not enough and students have interest in invention but does not learn actively.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contents should be Realized. For extensive knowledge and promote understanding of invention education of teachers, such as the invention training program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The contents about creative inventing and making activity should be included in the textbooks and more detailed described contents abou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should be included in the teacher s instruction guidebooks.

      • KCI등재후보

        ‘기술·가정’과 교과서의 발명단원 내용분석을 위한 표준 분석틀 개발

        이상봉,이건환,정재훈 표준인증안전학회 2018 표준인증안전학회지 Vol.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standardized framework for analyzing invention unit at textbook of ‘Technology-Home Economics’ at the secondary level. Literature review of the classification of invention and invention contents standard were adopted for achieving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developed ‘standardized Framework for Analyzing Invention Unit at Textbook of Technology- Home Economics’ consist of three major stages as follows; (1) preparation, (2) development and (3) improvement. In the preparation stage, we analyzed the invention unit in the national curriculum, and literature review. In the development stage, we were designed the standard framework for analyzing invention unit. In the improvement stage, the content validity was reviewed by the expert and supplemented. Based on this, we completed the standard framework for analyzing invention unit. The developed Standardized framework for analyzing invention unit at textbook of ‘Technology- Home Economics’ at the secondary level is divided into categories of ‘Technical subject of invention’, ‘Invention area’, and ‘Invention process’. The ‘Technical subject of invention’ category is divided into ‘Production technology’, ‘Transportation technology’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Invention area’ category is divided into understanding of invention, invention thinking, invention hand-on activity, invention and intellectual property. The ‘Invention process’ consists of ‘Understanding of the problem’, ‘Exploration and development of the idea’, ‘Realization’, and ‘Evalu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가정’과 교과서의 발명 단원 내용분석을 위한 표준 분석틀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발명의 분류와 발명 내용학 내용 표준에 따른 문헌 연구를 통해 발명단원의 내용분석을 위한 표준 분석틀을 개발하였다. ‘기술․가정’과 교과서의 발명단원 내용분석을 위한 표준 분석틀 개발을 위하여 준비, 개발, 개선의 세 단계로 구성된다. 준비 단계에서는 발명의 분류, 국가교육과정에 나타난 발명내용 등에 대하여 문헌고찰을 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내용분석을 위한 표준 분석틀을 구안하였으며, 개선 단계에서는 내용 타당도 확보를 위하여 전문가 검토를 통해 수정․보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발명단원 내용분석을 위한 표준 분석틀을 완성하였다. 개발된 ‘기술․가정’과 교과서의 발명단원 표준 분석틀은 ‘발명의 기술적 주제’, ‘발명의 영역’, ‘발명 과정’의 범주로 나뉜다. 발명의 기술적 주제 범주는 생산기술, 수송기술, 통신기술로 나뉘며, 발명의 영역은 발명의 이해, 발명과 사고, 발명체험활동, 발명과 지식재산으로, 발명 과정은 문제의 이해, 아이디어탐색과 개발, 실현, 평가로 구성된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실과 교과서 "생활과 기술" 단원에서의 발명교육요소 적합성 분석

        유지영 ( Ji Young Eu ),문성환 ( Seong Hwan Moon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5 한국초등교육 Vol.26 No.4

        이 연구는 2015학년 초등 실과교과의 ‘생활과 기술’ 단원을 통해 처음으로 도입된 발명교육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2009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한 초등 실과 검정 교과서 6종의 ‘생활과 기술’ 단원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실과 교과서 ‘생활과 기술’ 단원을 분석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실과에서의 발명교육 내용분석틀을 구안하였다. 분석틀은 단원의 구성 체제 분석 부분과 발명교육 내용요소 부분으로 나눠서 구성하였다. 먼저 단원의 구성 체계 분석을 위해 강혜경, 은태욱, 김진수(2010)의 중학교 1학년 기술·가정 교과서 기술과 발명 단원의 분석 방법을 바탕으로 네 단계의 단원 구성 체제 분석틀을 구안하였다. 또한 발명교육 내용분석을 위해서는 최유현 등(2012)의 ‘초·중·고등학생을 위한 발명교육 내용 표준’과 문대영(2014)의 ‘초등학교 실과의 발명교육 내용요소’의 공통요소를 추출하여 초등학교 실과에서의 발명교육 내용요소 분석틀을 도출하였다. 둘째, ‘생활과 기술’ 단원은 ‘1. 기술과 발명의 기초’와 ‘2. 창의적인 제품 만들기’ 2개의 중단원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분석준거에 따라 분석한 내용과 그에 대한 개선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먼저 첫 번째 중단원인 ‘기술과 발명의 기초’ 단원은 발명교육의 내용요소 중 ‘발명 이해’와 ‘문제 발견’ 요소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출판사에 따라 발명가의 범위, 발명 기법 등이 조금씩 다른 관점으로 제시되어 있으나 초등학교에서는 발명의 기초를 다루므로 이에 대한 합의점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두 번째 중단원인 ‘창의적인 제품 만들기’ 단원은 실습을 통해 발명을 경험해 볼 수 있는 단원이다. 필수 활동으로 6종의 출판사 중 3종의 출판사가 연필꽂이를, 한 출판사는 메모판을 제시하였는데, 학생들이 스스로 발명적 사고를 통해 제품을 고안하는 활동이 더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i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invention education which is first introduced in unit ‘Life and Technology’ of elementary school practical arts education curriculum revised in 2015. For this end, the unit "Life and Technology" of six authorized textbooks based o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were analyz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framework for analyzing contents of invention education is designed in order to analyze the units ‘Life and Technology’ of the authorized textbooks. The framework is composed of unit formation system and the content element. For the analysis of the unit formation system, Analysis of the ‘Technology and Invention’ Units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1 Textbook in the Middle School (Kang et al., 2010) is studied, and for the analysis of the content element,The Standard Development of Inventional Contents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Choi et al., 2012) and Content Element of Invention Education for Practical Arts Subject of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e Content Standard of Invention Education(Moon, 2014) are researched and the common elements of two studies are adopted. Second, improvement plans of the unit "Life and Technology" which is consisted of two sub units; Basics of Technology and Invention, and Making Creative Products; are off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