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유아교사가 지각한 반성적 사고와 놀이지원 역량 및 놀이중심교육과정실천 역량 간 관계

        이경화,이소현 한국아동교육학회 2023 아동교육 Vol.3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egree of reflective thinking, play support capability, and play-oriented curriculum practice capability perceived by infant teachers,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nd influence of reflective thinking on play support capability and play-oriented curriculum practice capability.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260 infant and child teachers working in public kindergartens, private kindergartens, national and public, corporations, private, and home daycare centers located in Daegu Metropolitan City and Gyeongsangbuk-do.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3.0 program, an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of reflective thinking, play support ability, and play-oriented curriculum practice ability perceived by infant teachers were the highest, followed by reflective thinking and play support ability.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reflective thinking and play support capability perceived by infant teacher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reflective thinking was an important predictor of play support capability by 66%.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eflective thinking perceived by infant teachers and play-oriented curriculum practice competency, it was confirmed that reflective thinking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44% of play-oriented curriculum practice competenc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not only confirm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ability to support play and the ability to practice play-oriented education, but also confirmed that it is a very influential predictor. Through this, it suggests that support for reflective thinking of infant teachers is necessary in order to support play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practice the play-oriented curriculum.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교사가 지각한 사고, 놀이지원 역량, 놀이중심교육과정실천 역량의 정도를 파악하고, 놀이지원 역량과 놀이중심교육과정실천 역량에 대해서 반성적 사고가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 또 어떠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에 소재한 국공립유치원, 사립유치원, 국·공립, 법인, 민간, 가정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영유아교사 2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교사가 지각한 반성적 사고의 평균, 놀이지원 역량, 놀이중심교육과정실천 역량의 평균은 놀이중심교육과정실천 역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반성적 사고, 놀이지원 역량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교사가 지각한 반성적 사고와 놀이지원 역량 간의 관계는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반성적 사고는 놀이지원 역량을 66% 설명하는 중요한 예측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영유아교사가 지각한 반성적 사고와 놀이중심교육과정실천 역량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반성적 사고는 놀이중심교육과정실천 역량을 44% 설명하는 유의미한 예측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반성적 사고가 놀이지원 역량과 놀이중심교육실천 역량에 유의미한 상관을 확인하였을 뿐 아니라 매우 영향력 있는 예측변인임을 확인하였다는 데 의미가 있다. 이를 통해 영유아 교육 현장에서 놀이지원과 놀이중심교육과정 실천을 위해서 영유아교사의 반성적 사고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반성적 실천 기재를 활용한 PBL 학습 효과

        장은주,채수경,박경옥 한국비서학회 2018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7 No.4

        본 연구는 PBL 수업의 효과와 함께 다양한 반성적 실천 기재의 활용이 PBL 수업 운영및 학습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전문대학 비서 전공 교과에서 기대해 볼 수 있는 다양한 학습효과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는 52명의 전문대학 비서행정과 2학년 재학생을 대상으로 ‘회의 및 출장’에 관련된 세개의 프로젝트 과제를 완성해 내는 수업을 통해 PBL 수업운영 및 학습효과를 살펴보았다. 플립러닝 동영상, 사전사후 직무역량 및 자기효능감 평가, 자기·동료·팀 평가, 자아성찰일지등의 학습결과적 반성적 실천 기재와 마인드맵, 업무순서도 작성, 자가점검표 등의 학습과정적 실천 기재를 활용한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학습 전 반성적실천은 프로젝트 과정 수행을 원활히 하게 하는 데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밝혔다. 둘째,학습 중 반성적 실천을 통해 학습자의 고차원적 사고력 개발로 복잡한 과제를 해결해 낼 수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학습 후 반성적 실천은 양질의 프로젝트 산출물을 도출해 내는 데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밝혀냈다. 이외에도 다양한 반성적 실천기재를 활용한 PBL수업은학습자의 자아 학습탄력성과 학습태도를 향상시키며 비서직무에 대한 직무역량 및 자기효능감 향상에도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밝혀, 예비비서인 그들에게 비서효능감을 향상시키는 긍정적 효과가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비서양성 교수학습법으로써 적용된 PBL수업의 긍정적 효과와 함께 다양한 반성적 실천 기재를 활용한 PBL 수업은 전문대학생의 현장 직무능력을 증강시키는 데에 효과가 있음을 밝혔다는 데에 큰 의의를 둔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learning effectiveness of project based learning(PBL) in secretarial education of college students and of reflective practice in PBL. 52 second-year college students registered in the ‘Meeting and Traveling Management’class participated in three kinds of projects related to business meetings and business tripsupport. In order to determine the learning effectiveness, we examined the effects followed bythe process of reflective practice, reflective practice-on-learning and reflective practice-inlearning. We employed flipped learning online-modules, pre-/post- tests on job competency andself-efficacy, and self-/colleagues-/team evaluations for reflective practice-on-learning, andused mind mapping, self-checklist, and workflow plans for reflective practice-in-learning. Results suggest that prereflective practice-on-learning utilizes PBL processes in apositive way; reflection-in-learning enabled college students to solve complex project issues bydeveloping high-order thinking; and postreflective practice-on-learning enhanced quality ofproject deliverables. Moreover, reflective practice in PBL improves self-learning resilience andlearning attitudes, job competency and self-efficacy which results in positive effects onsecretarial efficacy of participated college students. This study contributes to teaching methods in secretarial education by demonstratingthe positive learning effectiveness of reflective practice in PBL.

      • KCI등재

        미술과 교수학습공동체에서의 반성적 사고와 실천에 관한 연구

        서진아(Seo Jinah),최정아(Choi Chungah) 한국미술교육학회 2012 美術敎育論叢 Vol.26 No.3

        본 연구는 미술과 교수학습공동체에 참여하는 미술교사들의 집단과 개인적 측면에서 반성적 사고와 실천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ㅈ미술교과모임에 참여하여 활동내용을 심층 관찰하고, 6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여 그 내용을 분석하는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집단적인 측면에서 바라본 반성적 사고와 실천은 교과모임을 통한 수업 사례 공유 등의 활동과 공유된 수업사례를 출판하는 과정, 그리고 새내기연수나 직무연수를 운영하고 참여하는 과정에서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개인적 측면에서 바라본 반성적 사고와 실천은 실천적 지식, 미술교사의 삶과 수엽의 일치, 미술교육의 전반에 대한 내용으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반성적 사고와 실천은 공유를 통해 개인적 측면이 집단화 될 수 있으며, 집단적 반성적 사고의 과정에서 개인의 반성적 사고와 실천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즉, 미술과 교수학습공동체의 활동을 통해 미술교사의 전문성 성장이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이는 미술과 교수학습공동체가 미술교사의 전문성 성장의 대안적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Reflective Thinking and Practice of art teachers in Art Teacher Learning Community. This qualitative study was executed by participating and observing the Art Teacher Learning Community in depth and having a thorough interview with six current art teachers. The findings reveal two sets of Reflective Thinking and Practice: Group Reflective Thinking and Practice and Individual Reflective Thinking and Practice. In Group Reflective Thinking and Practice. the process of Reflective Thinking and Practice takes place through activities such as sharing information about class case studies among art teachers, the process of publishing shared case studies, and managing and participating in new teachers training and in-service training. Individual Reflective Thinking and Practice can be divided into three parts: practical knowledge, art teachers' conformity of life and classroom lessons, and contents of general art education. Reflective Thinking and Practice can be formed through grouping of Individual Reflective Thinking and Practice, and Group Reflective Thinking and Practice can have an influence over Individual Reflective Thinking and Practice. Through activities of art teacher learning community. it can be perceived that professional growth is ensuing. Therefore, art teacher learning community can be substituted as an alternative method for art teachers' professional growth.

      • KCI등재후보

        반성적 사고 실천에 기초한 교육실습

        이남호(Lee, Nam Ho)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7 敎育思想硏究 Vol.21 No.3

        예비교사의 반성능력은 오늘날 교사교육프로그램에 있어서 대단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더욱이 수업에서의 비판적 분석과 반성적 사고는 한층 더 강화되는 추세이다. 이런 시대적 추세에 발맞춰 본 연구의 목적은 반성적 사고 실천에 기초한 교육실습 지도 원리와 그 방안을 모색해 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Schӧn 등이 교사교육을 위해 제안한, 실천이 수반되는 반성적 교육프로그램을 교육실습생에게도 적용해 보고자, 반성적 사고 실천에 기초한 교육실습 지도 원리를 국 내․외의 관련문헌을 분석하여 도출해 보았다. 그 결과 예비교사의 전문적 교육활동과 반성적 사고 능력 실천의 토대는 발문요령, 실천적 지식 활용으로 교육실습 불안감 완화, 교육적 신념 갖추기, 반성적 사고에 기초한 수업과정, 포트폴리오를 통한 반성적 교육실습 실천 등이다. 교육실습 협력교사로서 위의 교육실습 지도 원리를 제시하는 가운데 본 연구자 역시 그 동안의 교직생활을 반성해보는 계기를 갖게 되었고 ‘반성 중 행동’의 개념을 이해함으로서, 예비교사들에게도 전문성 향상을 위한 노력의 원천으로 반성적 사고의 실천을 강조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methods of educational practice on the basis of reflective thinking.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er reviewed and rearranged such methods as described in books and publications, and applied Reflective Educational Program with practices, suggested by Schӧn for teacher education, to subjects of the study. Findings of the study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an raise their skills of professional education and reflective thinking through reducing anxiety about educational practices by using techniques of questioning and practical knowledge, raising educational belief, performing teaching based on the practice of reflective thinking and practicing reflective education by using portfolios.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kills of reflective thinking are quite important for current teacher education programs that emphasize critical analyzing during teaching. This study was meaningful to this researcher who was an aid to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educational practices. While proposing educational practice methods, the researcher could recollect and reflect his past days in the teaching profession.

      • KCI등재

        초임 교사의 멘토링 과정에서 나타나는 멘토 교사의 수업에 대한 반성적 사고와 실천 분석

        박지훈,박선우,남정희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0 교과교육학연구 Vol.24 No.1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reflective thinking and reflective practice of mentor teachers on their mentoring activities, and examine the ways to develop mentoring expertise of the teacher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nine mentor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mentoring programs for about nine months. In the mentoring process, the researchers collected post-event questionnaire, five mentors journals, and a transcript of the interview recording and conduct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using the analysis frame. Study results show that in the mentoring program, mentor teachers can have the opportunity of reflective thinking and reflective practice on their teaching. Mentor teachers were able to have reflective thinking, in the areas of subject content, teaching method, student understanding, evaluation and other elements, and realized the need for change in their teaching. Reflective practice of mentor teachers’ on their classes was initiated based on reflective thinking. Especially, reflective thinking and practice were more frequent in the area of teaching method, such as class implementation and class preparation.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the mentoring between mentor teachers and mentee teachers, based on mutual cooperation, provides the more experienced mentor teachers, the opportunities for reflective thinking and reflective practice on their teaching. This implies that mentoring program can help increase teaching professionalism in mentor teachers-the experienced teachers. 이 연구에서는 멘토링에서 나타나는 멘토 교사의 자기 수업에 대한 반성적 사고와 반성적 실천을 분석하고, 이로부터 멘토 교사 즉 경력 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신장시킬 수 있는지 가능성을 보고자 한다. 이 연구는 약 9개월 동안 진행한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을 성실히 수행한 멘토 교사 9명을 선정하여 진행하였다. 멘토링 과정에서 사후 설문지, 5차례의 멘토 저널, 인터뷰 녹음 전사본을 수집하였고 이를 분석 틀을 이용하여 양적 및 질적 분석을 병행하였다. 연구 결과 멘토링 프로그램에서 멘토 교사는 자기 수업에 대한 반성적 사고와 반성적 실천의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멘토 교사는 교과 내용, 교수 방법, 학생 이해, 평가에 관한 부분 등에서 반성적 사고가 일어났고, 자신의 수업에 대한 변화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멘토 교사 자신의 수업에 대한 반성적 실천은 반성적 사고를 기반으로 일어났다. 특히 수업 실행, 수업 준비와 같은 교수 방법에 대한 반성적 사고와 반성적 실천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협력적 멘토링은 멘토 교사, 즉 경력 교사에게 자신의 수업에 대한 반성적 사고 및 반성적 실천의 기회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으며, 이는 멘토링 프로그램이 멘티 교사뿐만이 아니라 멘토 교사의 수업 전문성 신장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대안적 교사교육 접근으로서 반성적 실천주의가 갖는 함의 탐색

        김하연(Ha yeon Kim)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6 교육연구 Vol.65 No.-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반성적 실천주의가 인성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에 갖는 함의를 탐색하는 것에 있다. 실천성을 결여한 기존의 전문적 지식 교육 패러다임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반성적 실천주의는 교사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교사교육의 대안적 접근으로서 주목 받고 있다. 반성적 실천주의는 반성과 실천의 새로운 관계 규정을 통해 이론과 실제의 연결성을 강화함으로써 교사교육의 실효성을 높이고자 하는 시도를 특징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교육 패러다임의 변화를 통해 반성적 실천주의의 등장배경을 살펴보고, 반성적 실천주의의 개념 및 대안적 교사교육 접근으로서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나아가 반성적 실천주의의 핵심 개념인 반성과 실천의 도덕 철학 및 도덕 심리학적 타당화 과정을 통해 반성적 실천주의가 제시하는 교사의 인성교육적 자질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implication of Reflection-in-Action in Teacher-Education for Character-Education as a new paradigm of Teacher-Education. Reflection-in-Action which emerged from the critical mind of current professional knowledge education paradigm that is lack of practice, attracts attention as an alternative approach of Teacher-Education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significance of Reflect-in-Action is enhancing the practicality of Teacher-Education by strengt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ory and presence with new regulations. This study inquires the revisions in Teacher-Education paradigm as the founding history of Reflect-in-Action, and analyzes the concepts of Reflection-in-Action, and the significance of Reflection-in-Action as an alternative approach of Teacher-Education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Further more, this study elicits the teachers’ Character-Educational qualification through moral philosophy and moral psychology validation process of reflection and practice, which are the core concepts of Reflection-in-Action.

      • KCI등재

        반성적 교사교육의 허(虛)와 실(實)

        서경혜 한국교원교육학회 2005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2 No.3

        반성적 교사교육이 전통적 교사교육의 한계를 극복하는 대안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이때, 본 연구는 반성적 교사교육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반성적 교사교육이 교사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첫째 반성적 교사교육의 이론적 기초를 제공한 Schn의 반성론을 고찰하고, 둘째 전통적 교사교육의 대안으로 대두된 반성적 교사교육이 지향하는 교사교육의 모습이 어떤 것인지 반성적 교사교육의 원리를 고찰하고, 셋째 최근 반성적 교사교육의 위기를 지적하고 그 문제를 고찰한 후, 마지막으로 반성적 교사교육이 교사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한다.

      • KCI등재

        반성적 마이크로티칭에 나타난 예비 체육교사의 실천적 지식 내용과 수준 분석

        박정준 ( Jeong Jun Park ),최의창 ( Eui Chang Choi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0 체육과학연구 Vol.21 No.4

        이론적 지식을 많이 아는 것과 복잡하고 특수한 맥락에서 이루어지는 실제 수업을 잘 하는 것은 별개의 문제이다. 잘 가르치기 위해서는 실제 맥락에 대한 이해와 반성을 통해 이론적 지식을 실제에 적합하게 재구성하여 적용할 수 있는 실천적 지식이 요구된다. 이 연구는 예비 체육교사가 반성적 마이크로티칭 수업을 통해 형성한 실천적 지식과 그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였다. 실천적 지식의 개념과 국내·외 교과교육 분야에서 이루어진 실천적 지식의 연구들을 검토한 후, 체육교과의 실천적 지식을 ``체육 내용 지식``, ``체육 교수법 지식``, ``체육 환경 지식``, ``학생지식``의 네 가지 실천 영역과 ``실천에 관한 지식``, ``실천을 통한 지식``이라는 두 가지 수준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기준틀을 토대로 예비 체육교사 3명이 반성적 마이크로티칭 수업 시연 과정에서 작성한 단원계획안, 교수-학습과정안과 실제 수업 시연을 3단계로 비교·분석하였으며 형성된 실천적 지식을 실천 영역과 수준으로 나누어 그 특징을 해석하였다. 예비 체육교사들은 국가 수준에서 제시한 체육교육의 목표와 방향을 교사 수준에서 재해석, 변경하기 보다는 교육과정에서 주어진 목표에 따라 학습 내용을 흥미 있고 효과적으로 가르치는데 더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다. 또한 교수-학습 과정안의 내용을 실제 수업 시연에서도 충실하게 실천하고 있지만 학습 목표의 달성 여부를 확인하는 지식, 평가와 학습 내용을 연결하는 지식, 학생의 수준을 파악하는 지식은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하지만 예비 체육교사들의 교수법, 교육 환경에 관한 지식은 다른 지식에 비해 구체적이고 다양하게 표상되었으며 이론과는 무관하게 학습되는 실천적 지식의 영역이 발견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향 후 예비 체육교사 교육에서 이론적 지식을 구체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실천 학습 프로그램과 이를 측정하기 위한 평가도구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Knowing the theoretical knowledge is one thing, teaching the class is another. ``Good`` teaching requires competence in understanding and reflecting within the teaching context, where a practical knowledge can be applied through the reconstruction of theoretical knowledg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formation of pre-service P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through reflective micro-teaching. I inquired into the concepts of practical knowledge and analyzed journals on practical knowledge. In physical education, practical knowledge classifies into four categories; ``PE content knowledge``, ``PE pedagogical knowledge``, ``PE environment knowledge``, and ``Knowledge for students``. These then can be seen on two different levels; ``Practical knowledge-that(knowledge for practice)``, ``Practical knowledge-how(knowledge in practice)``. On the basis of this reference frame, I collected three pre-service PE teachers` teaching plans and materials, And observed their micro-teaching classes and analyzed practical knowledge learned. In observation, pre-service PE teachers tried to teach learning contents effectively with pleasure, so far from revising ``National Curriculum of physical Education``. They performed their teaching plans faithfully, but were lacking knowledge in; verifying goals of learning, linking learning contents to evaluation, and understanding students` level. But It was also discovered that they presented their pedagogical knowledge, environmental knowledge variously and could get practical knowledge learned extrinsically to the theoretical knowledge. In conclusion, There is a necessity to develop an action learning programs that can directly relate theoretical and practical knowledge and an assessment tools which can measure pre-service PE teacher` practical knowledge.

      • KCI등재

        초임 중등 과학교사를 위한 협력적 멘토링에서 나타나는 멘토의 멘토링 특징과 멘티의 반성적 실천 사이의 관계

        박지훈,남정희,강유진,박종석,손정우 한국과학교육학회 2019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or teachers’ mentoring characteristics and mentee teachers’ reflective practices and to investigate mentor teachers’ mentoring methods to enhance mentee teachers’ reflective practices based on the analysis. The participants were four beginning science teachers and four mentors who have more than seven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This study compiled mentor and mentee teachers’ journals, records and transcripts from mentee teachers’ five periods of classes, lesson plans, evaluation forms of lessons, one-on-one mentoring records and transcripts, questionnaires conducted before, during, and after the mentoring program, and a questionnaire about the effects of one-on-one mentoring. The mentoring characteristics of mentor teachers were analyzed based on mentor’s interaction methods and the contents and frequency of the support based on teaching feedback. Mentee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was analyzed by being categorized as voluntary self-reflections of their classes and reflections on the support provided by mentor teachers. Mentee teachers’ reflective practices were analyzed by utilizing RTOP.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entor teachers could promote mentee teachers’ reflective practices by eliciting conversation that helped mentees perceive problems in their teaching practices. Mentors’ questions evoking mentees’ reflective thinking could elicit mentees’ spontaneous self-reflection, and it led to the enhancement of self-reflection on mentors’ support and reflective practices. When mentors offered the support based on teaching practices while playing a role as a facilitator to help mentees identify and solve problems by themselves, mentees’ reflective practices could be promoted. 이 연구는 협력적 멘토링에서 나타나는 멘토교사의 멘토링 특징과 멘티교사의 반성적 실천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고, 이로부터 멘티교사의 반성적 실천을 증진시킬 수 있는 멘토교사의 멘토링 방법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직경력 7년 이상의 멘토 4명과 초임중 등과학교사 4명을 선정하여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멘토링 과정에서 수집한 자료들은 멘토 및 멘티 저널, 멘티교사의 5차시 수업 녹화본 및 전사본, 학습지도안, 수업평가지, 일대일 멘토링 녹음 및 전사본, 사전 설문, 중간 설문과 사후 설문, 일대일 멘토링 효과 설문 등이었다. 멘토교사의 멘토링 특징은 멘토교사의 상호작용 방법과 수업 피드백에 의한 지원의 내용과 빈도수로 구분하여 분석하였고, 멘티교사의 반성적 사고는 자발적 반성과 지원에 의한 반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멘티교사의 반성적 실천은 RTOP을 이용 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멘티교 사의 교수 실행에서의 문제점을 멘티교사 스스로 파악할 수 있도록 대화를 유도하는 멘토교사는 멘티교사의 반성적 실천을 증진시킬 수있었다. 멘토교사의 반성적 사고 유도 질문은 멘티교사의 자발적 반성을 이끌어 내었으며, 자발적 반성은 멘토교사의 지원에 대한 반성및 반성적 실천을 증진시켰다. 또한 멘토교사가 수업 피드백을 통한 지원을 제공할 때 멘티교사 스스로 자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수 있도록 조력자의 역할을 할 경우 멘티교사의 반성적 실천을 증진시킬 수 있었다.

      • KCI등재

        과학중점고등학교 담당교사들의 반성적 실천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정영희,신세인,이준기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5 敎員敎育 Vol.31 No.2

        This study is a qualitative case study analyzes whether and how experienced teachers are reflective practice of science core school. They are aimed to discover the meaning and process of reflective practice for planning and operating experience with the basic operations and specific research projects in science core school education. A total of 11 science core school teacher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go directly to school to study participants served as in-depth interviews were observed to school facilities and student activities that participants were aware of how they practice course get the details about and there was helpful. This research has undergone a process of re-verification data collection process and materials included in the analysis to participants in carrying out the analyzes and results, to target the science core school teacher two people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study that was discussed and empathy for the study. The research question was ‘Science core school teachers are there, and how experienced reflective practice of science focus and operational challenges?’Analysis of the results is science core school teachers are ‘reflective experience the 「reflection」 in the practice process', ‘practical knowledge demonstrated in reflective practice’, ‘the formation of knowledge in reflective practice'. science core school teachers reached a new awareness through educational beliefs confirmed through reflective practice and success and failure. The significance of reflective practice results can be seen that the self-esteem by improving teacher knowledge creation and education professionals through a self-assessment by the educational experience. 이 연구는 과학중점고등학교의 담당교사들이 반성적 실천을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가를 분석한 질적 사례연구이다. 그들이 교육현장에서 과학중점고의 기본운영과 특화연구 과제를 기획하고 운영하면서 경험하는 반성적 실천의 의미와 과정을 발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총 11명의 과학중점고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유의표집하였으며, 심층 면접으로 연구 참여자들이 근무하는 학교에 직접 방문하여 학교 시설물 및 학생들의 활동내용 등을 관찰하였고, 이는 연구 참여자들이 실천과정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들을 얻는데 도움이 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자료수집 과정과 분석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연구 참여자들에게 분석에 포함된 자료들과 분석결과들을 다시 확인하는 과정을 거쳤으며, 이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과학중점고 담당교사 2명을 대상으로 연구 결과에 대해 공감하고 있는지 논의하였다. 분석결과 과학중점고 담당교사는 연구과제와 특화연구 실천과정에서 예측하기 어려운 교육현장에서 복잡한 문제 상황을 일상적으로 대면하고 있으며 실천과정에서 문제 상황을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과학중점고 담당교사는 반성적 실천을 통하여 교육적 신념을 확인하고 성공과 실패를 통해 새로운 앎에 이르렀다. 교사 수업전문성 향상, 진로지도, 탐구활동 지도, 학내 기반 확보, 연구과제 지도 등 지속가능한 과학중점고의 방향을 제시함을 통해 과학중점고의 운영맥락을 충분히 숙지하고 반성적 실천을 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반성적 실천결과의 의미는 교사는 교육경험에 의한 자기평가를 통하여 지식의 생성과 교육전문가로 자아존중감이 높아졌음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