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반려동물을 상실한 성인의 성인애착, 반려동물애착의 군집유형에 따른 애착강도, 애도의 차이
임혜선(Hye Sun Lim),홍혜영(Hye Young Hong) 한국상담학회 2022 상담학연구 Vol.23 No.5
본 연구의 목적은 반려동물을 상실한 성인의 성인애착, 반려동물애착에 따른 군집을 분류하고 각 군집에 따라 애착강도, 애도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반려동물을 상실한 성인 410명을 대상으로 군집분석, 다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군집분석 결과, 반려인의 성인애착과 반려동물애착에 따라 ‘불안정성인애착-반려동물불안애착군집’(N=175), ‘안정성인애착-안정반려동물애착군집’(N=72), ‘성인회피애착-안정반려동물애착군집’(N=81), ‘성인불안애착-불안정반려동물애착군집’(N=82)이 도출되었다. 다변량분산분석 결과, 군집에 따라 애착강도, 애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불안정성인애착-반려동물불안애착군집’은 다른 군집에 비해 애착강도와 애도가 가장 높았고, 애도의 하위요인에서는 슬픔/비애, 죄책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안정성인애착-안정반려동물애착군집’은 애착강도가 다른 군집에 비해 높았으며, 애도의 하위요인에서는 슬픔/비애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성인회피애착-안정반려동물애착군집’은 평균수준의 애착강도를 보였으며, 애도는 다른 군집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불안애착-불안정반려동물애착군집’은 애착강도와 애도가 가장 낮았으며, 애도의 하위요인에서는 분노/트라우마가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 결과는 반려동물을 상실한 성인의 인간관계와 반려동물관계의 애착양상을 통합적으로 제시하고, 애도상담개입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goal of the current study is to classify the cluster groups in adult with the loss of their companion animal according to their adult attachment and companion animals attachment, an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attachment strength and mourning according to each cluster group. For the goal, survey responses from a total of 410 adults were used to conduct cluster analysis and multivariate analysis. Results of the cluster analysis, based on adult attachment and attachment to companion animal, the following 4 groups such as; ‘Insecure adult attachment-Anxious attachment to companion animal group’(N=175), ‘Secure adult attachment-Secure attachment to companion animal group’(N=72), ‘Avoidance adult attachment-Secure attachment to companion animal group’(N=81), and ‘Anxious adult attachment-Insecure attachment to companion animal group’(N=82) were derived. The results of multivariate ANOVA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ttachment strength and mourning depend on clusters. ‘Insecure adult attachment-Anxious attachment to companion animal group’ had the highest attachment strength and mourning, and grief and guilt were high in the sub-factors of mourning. ‘Secure adult attachment-Secure attachment to companion animal group’ had a higher attachment strength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and grief was high in the sub-factors of mourning. ‘Avoidance adult attachment-Secure attachment to companion animal group’ had an average attachment strength, mourning was lower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Anxious adult attachment-Insecure attachment to companion animal group’ had the lowest attachment strength and mourning, and anger/trauma was found to be the highest in the sub-factors of mourning. These finding results are meaningful in presenting the human relationships among adult who have lost their companion animals and the attachment aspect of the companion animal relationship in an integrated way, and preparing the essential data for the intervention of grief counseling. Finally,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홍진희,김판기 한국재산법학회 2022 재산법연구 Vol.39 No.1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companion animals, various legal problems surrounding companion animals are occurring. In terms of the system of the current law and human-centered thinking about society, it is reasonable to see animals as objects. In the past, animals were viewed only as objects of sale, use, or slaughter. However, unlike ordinary objects, animals are considered to have life and need harmonious coexistence with humans. In this respect, a new approach to animals is needed. The issue of liability for damages under the tort law caused by companion animals is largely classified as follows-①compensation for damages in the event that a companion animal causes damage, ③compensation for damages in case of damage to companion animals. In this paper, it was reviewed only for compensation for damages in the case of damage to companion animals due to illegal activities. When a companion animal is damaged by an illegal act, the issues related to compensation for damages are as follows. ① Evaluation of the exchange value in the case of the death of a companion animal ② Compensation for medical expenses higher than the exchange value of companion animals ③ Mental damage to companion animal owners Evaluating the value of a companion animal is technically difficult, and it is a complex and difficult problem due to differences in individual values for companion animals. However, in judging its valu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social values such as the degree of training and usefulness in addition to the objective exchange value of companion animals. Regarding compensation for treatment costs, unlike ordinary goods, it is considered reasonable even in light of social norms to spend treatment costs higher than the objective exchange value. In addition, it would be reasonable to recognize mental damage to the owner of a companion animal as a trade damage and include it in the category of compensation for damages.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due to the current legal system in this interpretation theory. In the long run, timely legislative supplementation will be needed to solve the problem of compensation for damages suffered by companion animals due to illegal activities. 최근 반려인구의 증가에 따라 반려동물을 둘러싼 여러 법률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현행법의 체계나 사회에 대한 인간중심적 사고의 측면에서 볼 때 동물은 물건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다만, 과거 동물을 매매, 이용, 도축의 대상으로만 보던 시대를 넘어, 이제는 동물이 일반적인 물건과는 달리 생명을 가진 존재이며 인간과의 조화로운 공존이 필요하다는 측면에서 동물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 반려동물로 인한 불법행위법상 손해배상 책임의 문제는 크게 반려동물이 피해를 준 경우와 반려동물이 피해를 입은 경우로 구분해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불법행위로 인해 반려동물이 피해를 입은 경우 그 손해배상의 문제로 논의의 범위를 한정하여 검토해 보고자 한다. 불법행위로 인해 반려동물이 피해를 입은 경우 그 손해배상과 관련해 문제가 되는 쟁점은 ① 반려동물이 죽은 경우 가치평가를 어떻게 판단할 것인지, ② 반려동물이 다친 경우에 교환가격보다 높은 치료비가 발생한 경우 이를 배상하여야 하는지, ③ 반려동물이 피해를 입은 경우에 반려동물 소유자의 정신적 손해를 인정할 수 있을 것인지 등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반려동물의 가치를 평가하는 것은 기술적으로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반려동물에 대한 개인마다의 가치관 등의 차이로 복잡하고 쉽지 않은 문제이지만, 그 가치를 판단함에 있어서는 해당 반려동물의 객관적인 교환가치 외에 훈련의 정도나 유용성 등과 같은 사회적 가치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 치료비의 배상과 관련해서도 동물복지의 관점에서 반려동물이 다친 경우 반드시 치료가 필요할 것이며 보통의 물건과 달리 그 객관적인 교환가치보다 높은 치료비를 지출하여 치료하는 것은 사회통념에 비추어도 타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반려동물의 소유자에 대한 정신적 손해에 대해서는 이를 통상손해로 인정하여 손해배상의 범주에 포함시키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다만 이러한 해석론에는 현행 법체계에 따른 한계가 존재한다. 이에 장기적으로 불법행위로 인해 반려동물이 입은 피해에 대한 손해배상 문제 해결을 위한 시의적절한 입법적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권용수,이진홍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조세와 법 Vol.13 No.1
The number of people raising Companion Animal is steadily increasing, and the level of awareness about Companion Animal protection and welfare is increasing every year. the law system recognizes Companion Animal as living together with people and strengthens punishment for abuse. However, when asked if Korea treats Companion Animals as almost equal to humans like Germany, it cannot be said that. Many people think of Companion Animals as family members, but many still think of them as ‘object’. Social conflicts due to the moral hazard or neglect of duties of Companion Animal caregivers, including animal abuse such as abandonment, are examples of it. Considering the above circumstances comprehensively,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has established and implemented specific and systematic animal welfare policies. Recently, however,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entioned major issues regarding Companion Animals. It is the Companion Animal Retention Tax. Although it has not been decided to introduce a Companion Animal Retention Tax, there is already a heated debate surrounding it. Both those who agree and those who oppose this have their own validity. However, consider the increasing social costs and conflicts surrounding Companion Animals. Considering this, wouldn't it be worth discussing the introduction of the Companion Animal Retention Tax in terms of reducing financial pressure, moral hazards of Companion Animal caregivers or curbing irresponsible behavior to realize a better environment for people and Companion Animals to live together? Based on the above problem awareness,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a Companion Animal Retention Tax was reviewed in this paper. 반려동물 양육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반려동물 보호・복지에 관한 의식 수준도 매년 높아지고 있다. 이에 발맞춰 법 제도의 영역에서도 반려동물을 사람과 함께 살아가는 존재로 인식하고, 그 학대 등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가 독일처럼 반려동물을 인간과 거의 동등한 존재로 취급하고 있냐고 물으면, 그렇다고는 할 수 없다. 반려동물을 가족처럼 생각하는 사람도 많지만, 여전히 ‘물건’ 정도로만 생각하는 사람도 많다. 유기 등의 동물학대를 비롯해 반려동물 양육인의 도덕적 해이나 의무해태에 기인한 사회적 갈등은 이를 보여주는 하나의 예이다. 위와 같은 사정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농림식품축산부는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동물복지 정책을 수립・추진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 농림식품축산부가 반려동물과 관련해 뜨거운 감자를 던졌다. 바로 반려동물 보유세이다. 현재 반려동물 보유세를 도입하기로 확정한 것은 아니지만, 벌써 이를 둘러싼 격론이 벌어지고 있다. 이를 찬성하는 견해도 반대하는 견해도 나름의 타당성이 있다. 다만 반려동물을 둘러싼 사회적 비용과 갈등이 증가하는 상황을 생각하면 재정 압박 경감, 반려동물 양육인의 도덕적 해이나 무책임한 행동 억제를 통해 사람과 반려동물이 함께 살기 좋은 환경을 실현한다는 관점에서 반려동물 보유세의 도입을 논의할 가치는 있지 않을까?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반려동물 보유세 도입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반려동물 보유세는 독일 등 일부 국가에서 도입하고 있는 제도로 공평성이나 효율성 등의 문제도 보였다. 또한, 그 용어가 주는 거부감을 비롯해 등록제 정착이나 반려동물 관련 인식 제고 등 선행되어야 할 과제도 있었다. 그러나 그 필요성과 의의를 부인할 수는 없었다. 무엇보다 반려동물 보유세의 성격과 용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지, 공평성이나 효율성의 관점에서 과세 대상이나 세제우대조치 등에 어떠한 배려를 반영할 것인지 등에 따라 불필요한 논쟁을 줄이고 그 순기능을 제고할 여지가 있었다. 이러한 흐름에 서서 보면, 반려동물 보유세는 반려동물 보호・복지 증진에 관계된 제도의 개선・정착 상황이나 그 도입에 관한 설득 가능성 등을 토대로 논의해 볼 가치는 있다.
반려동물 상호작용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반려동물 사회적 지지의 매개 효과
이나라,최현정 한국상담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3 No.4
Based on the social support hypothesis, this study examined the mechanism of companion animal effect measured by resiliency, and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 of companion animal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anion animal interaction and resilience. A total of 632 community sample adults completed the Human-Animal Interaction Scale(HAIS), Multidimensional Scale Perceived Social Support(MSPSS), Korean Resilience Questionnaire-53(KRQ-53), and Perceived Stress Scale(PSS). The results showed that interaction with one’s companion animal has a positive effect on resilience than simply owning one. Among companion animal owners, companion animal interaction explained resilience, and perceived companion animal social support, in particular, completely mediated this relationship. Therefore, interventions that improve companion animal interaction, particularly perceived companion animal social support, may help increase resilience. 본 연구는 사회적 지지 가설에 입각하여 반려동물 효과로서 회복탄력성과 더불어, 반려동물 상호작용과 회복탄력성의 관계에서 반려동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반려동물 효과 기제를 살펴보았다. 국내 지역사회 만 19세 이상 성인 632명을 대상으로 인간-동물 상호작용 척도(HAIS), 다차원적 지각된 사회적 지지 척도(MSPSS), 한국형 회복탄력성 척도(KRQ-53), 한국판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PS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반려동물 소유 자체보단 동물과의 상호작용이 회복탄력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며, 반려동물 소유자 집단에서 반려동물 상호작용은 회복탄력성을 설명하였고, 이를 특히 지각된 반려동물 사회적 지지가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하여 반려동물과의 상호작용과 특히 지각된 반려동물 사회적 지지를 향상시키는 개입이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반려인과 반려동물의 상호 니즈를 고려한 서비스 디자인 방향에 대한 연구
이승복(Lee, Seung Bok)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3
반려동물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이 변화하면서 반려동물 관련 서비스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반려동물 서비스 디자인 반려동물 관련 서비스의 실황을 알아보고, 실제로 이러한 서비스들이 반려동물과 반려인에게 어떠한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 사례조사를 바탕으로 반려인과 반려동물의 니즈를 모두 고려한 서비스 디자인 방향을 제안하여, 반려동물과 반려인의 관계 개선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가족같이 생각하는 반려동물에게 더 많은 것을 해주고자 함에서 개발 된 반려동물 관련 서비스들은 실제로 반려동물의 니즈는 해소하지 못한 체 반려인의 입맛에 맞게 개발되어 왔다. 반려동물을 위한 서비스라고는 하나 오히려 반려동물에게는 스트레스를 주는 서비스 사례가 많았다. 반려동물 관련 서비스라면 반려인의 니즈와 반려동물의 니즈까지 고려한 서비스여야 한다. 반려인의 니즈와 반려동물의 니즈 모두 고려한 서비스를 개발하려면, 서비스 디자인 시 필요한 세부방법들을 구매자 혹은 사용자 입장에서만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반려인의 입장과 반려동물 입장 모두 고려하여 진행하여야 한다. 반려인과 반련동물의 입장을 모두 고려한 서비스 디자인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서비스 디자인을 위해 사용되는 페르소나 설정이나 여정맵 등을 사용자 입장에서만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반려동물의 입장에서도 진행하여야 한다. 이후 각각 입장에서 도출 된 결론을 바탕으로 Hint point를 캐치하여 반려동물과 반려인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상호 서비스를 개발해야한다. As people’s perception of companion animals changes, so does demand for companion-related services. This study examined cases of companion animal related services. And this study examined how these services affect the companion animal and the compan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ervice design direction considering both’s needs of companion and companion animals based on previous research and case studies and to help improve relationship between companion animal and companion. The companion-related services that were developed in order to do more to the companion animals that they think of as a family did not really solve the needs of the companion animals. In the meantime, companion animal services have been developed to suit the taste of the companion. Although it is a service for companion animals, there are many cases of stressful service to companion animals. If it is a companion animal related service, it should be a service considering the need of the companion and the needs of the companion animal. To develop a service that takes into consideration both the needs of the companion and the needs of the companion animal, the detailed methods required for service design should not be carried out only from the buyer’s perspective. Instead, it should be done considering both the situation of the companion and the situ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In order to develop a service design considering both the needs of the companion animal and the animal of the animal, the persona setting and the journey map used for the existing service design should be carried out not only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but also from the pet’s point of view. After, based on the conclusions drawn from each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catch the Hint point and develop a mutual service that satisfies both the companion animal and the companion.
이성은 한국융합과학회 2019 한국융합과학회지 Vol.8 No.3
Purpose : With a increase of companion animal keeping population, there is an increasing need to create a companion animal friendly environment. In order to create companion animal friendly society and culture, it is important to identify attitudes toward companion animals among the members of the society and what affects these attitudes. So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study which examined factors affecting companion animal friendly attitude. Methods : This study used data from 2017 Seoul Survey, and a total of 19,862 people were selected for the analyses. Independent variables were composed of sociodemographic factors, individual factors including health and financial status, social factors including social support, companion animal ownership, and problem experiences with companion animals. Methods of analysis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study participants, t-test and chi-square test to examine differences between people who have companion animal friendly attitudes and people who have non-friendly attitudes toward companion animals. Also,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factors affecting companion animal friendly attitude. Results : Results show that age increased the possibility of having companion animal friendly attitude, and men have a lower possibility of having companion animal friendly attitude than women. Also, higher level of health satisfaction decreased the possibility of having companion animal friendly attitude. However, owning companion animals and higher level of education increased the possibility of having companion animal friendly attitude. All types of problem experiences with companion animals had negative impacts on companion animal friendly attitude. Conclusion : This study has implication in that it suggests policy directions to create companion animal friendly culture. Results of the study emphasize that regulations regarding companion animals should be reinforced for developing companion animal friendly communities. 연구목적 : 우리 사회에서 반려동물을 양육하는 인구의 증가와 함께 반려동물 친화적 환경 조성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반려동물 친화적 사회와 문화의 조성을 위해서는 반려동물에 대한 사회 구성원들의 인식과 어떠한 요인들이 이러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반려동물 친화적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의 목적을 위해 2017년 서울 서베이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총 19,862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시행하였다. 독립변수는 건강 및 재정상태를 포함한 개인적 요인과 사회적지지, 반려동물 소유 여부, 그리고 반려동물과의 갈등경험인 사회적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분석방법으로는 연구대상자의 전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반려동물 친화적 태도 소유자와 비친화적 태도 소유자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t-test와 chi-square 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반려동물 친화적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론 : 분석결과 연령이 증가할수록 반려동물 친화적 태도를 가질 가능성이 감소하였으며, 남성일 경우 여성에 비해 반려동물 친화적 태도를 가질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반려동물 친화적 태도를 가질 가능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반려동물을 소유한 경우와 교육수준이 높아질수록 반려동물 친화적 태도를 가질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려동물 갈등경험에 있어서는 모든 유형의 갈등경험이 반려동물 친화적 태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반려동물이 짖는 소리로 인한 갈등, 반려동물의 안전조치 미흡으로 인해 피해를 입은 경험, 그리고 반려동물의 배설물 방치로 인한 불편함을 겪은 경험이 많을수록 반려동물 친화적 태도를 가질 가능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반려동물과 공존할 수 있는 반려동물 친화적 문화 조성을 위한 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반려동물 친화적 지역사회를 만들어가기 위해서는 반려동물과 관련된 규정들이 강화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반려동물 관련 언론보도의 토픽분석 및 반려동물 효과의 정량분석
김지언,양지훈,윤정원,양지연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12
This study examines topics related to companion animals using media articles, and it evaluates empirically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ompanion animal owners and companion effects through a second analysis of existing data. The first founding is that the topics such as preference survey results and infection from animals to humans were mainly discussed in 1990s, regulations/guidelines and companion animal effects in 2000s, related market, welfare, care costs and regulations in 2010s, and companion animal effects during COVID19 in 2020s. Secondly, as a result of a second analysis of existing data, we found that elderly people over 60 were less likely to own companion animals. Higher education, higher income, more members in family, and apartment residents were associated to a higher ownership rate. Thirdly, companion effects were shown to be different depending upon datasets, implying the need for a careful approach when discussing the benefits of owning companion animals. 본 연구에서는 반려동물 관련 토픽의 추이를 살펴보고, 반려동물 보유그룹의 특징과 반려동물의 효과를 기존 자료의 2차 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1990년대에는 선호 반려동물 조사, 반려동물로부터의 전염병에 대한 논의가 많았다면, 2000년대에는 관련 규정 및 제도, 반려동물의 효과에 대한 이슈가 많이 등장하였다. 2010년대에는 시장, 복지, 양육비용, 규정 및 제도에 대한 이슈가 많이 등장하였다. 2020년대에는 코로나19 팬데믹 동안의 반려동물 효과를 많이 다루었다. 둘째, 기존 자료의 2차 분석 결과, 60대 이상은 반려동물 보유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학력이 대졸이상이고, 소득이 높을수록, 가구원 수가 많을수록, 아파트에 거주할수록 반려동물 보유 비율이 높았다. 셋째, 실증분석 결과 반려동물이 사람들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데이터셋 마다 다르게 나타났다. 반려동물 소유가 사람들의 심리에 유의하게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어 반려동물 효과를 논의할 때 주의가 필요하다.
반려동물 동반여행의 중요 속성에 따른 관광가치, 만족도, 행동의도 연구
최휘은(Hwi-eun Choi),김유진(Yoojin Kim) 경희대학교 학술단체협의회 2023 高凰論集 Vol.72 No.-
반려동물 양육 가구 증가와 함께 반려동물을 가족의 일원으로 생각하는 ‘펫 휴머니제이션(Pet+humanization)’이 세계적인 트렌드로 나타나고 있다. 반려동물을 동반자로 여기며 여가 활동과 여행에 동반하는 사람이 함께 증가하며 반려동물 동반여행이 새로운 관광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반려동물 동반여행의 중요 속성을 파악하여, 이러한 중요 속성이 관광객의 관광가치 및 만족도, 행동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1년 이내 반려동물과 함께 국내 숙박여행(1박 이상)을 다녀온 경험이 있는 259명의 관광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SPSS 및 AMOS를 사용하여 EFA, CFA, 그리고 SEM 분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반려동물 동반여행의 중요 속성을 분석한 결과 반려동물 동반 관광서비스, 반려동물 동반 관광시설 및 콘텐츠, 반려동물 동반가능성, 관광비용으로 크게 4가지 요인이 도출되었다. 이 중에서 반려동물 동반 관광시설 및 콘텐츠는 관광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렇게 형성된 관광가치는 관광객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술적, 실무적,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long with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households raising companion animals, ‘Pet-humanization’, which considers companion animals as members of the family, is emerging as a global trend. As the number of people who consider companion animals as companions and accompany leisure activities or travel continues to increase, traveling with companion animals is rapidly emerging as a new travel trend. In this respect,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the important attributes of travel with companion animals, and how these important attributes affect tourism value,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tourists who had experienced traveling with companion animals within a year, and a total of 259 copies of the final valid sampl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With the valid data collected by online surve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conducted. The important attributes that tourists consider when traveling with companion animals consisted of a total of four attributes: tourism service for companion animals, tourism facilities & contents for companion animals, availability of companion animals, and tourism cost. The results reveal that the tourism facilities & contents for companion animal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ourism value. Furthermore, tourism value was again verifi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of touris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academia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industry practitioners.
반려동물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관련 법규제 현황과 개선과제
유성희,정민재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원 2022 法과 政策 Vol.28 No.2
Since ICT technology is being applied to the companion animal products according to the trend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digital healthcare market for companion animals is growing rapidly. Especially, as the demand for online services for companion animals increase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many startups are providing services based on the digital healthcare for companion animals and Pet-tech. However, as some companies that provide online digital healthcare services are illegal under the current legislation and regulation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current regulations and compare them with abroad cases to promote the digital healthcare industry for companion animals in the future. In this paper, we suggest several improvements to respond to the convenience and demand of companion animal owners by referring to abroad cases regarding the regulation of veterinary tele-medicine services. Under the current Veterinary Act, online services are not permitted to conduct treatment or prescription, but we suggest to try limited tele-medicine with a veterinarians who have provided face-to-face medical care. In the case of companion animal genetic test, unlike abroad cases, the items of genetic test are limited. Therefore, we propose to gradually improve the genetic test items based on scientific verification to response to the increasing demand of companion animal owners and the related industries. Finally, in the case of a customized diet for companion animals, we suggest that the current regulation should be improved so that many companies can enter the companion animal food market freely. Overall, we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revise several legislations for companion animal industry to develop the high impact business fields. It will improve the competitiveness in the global companion animal industry area. 최근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급격히 발전한 ICT 기술이 반려동물 산업에 접목되며 반려동물을 위한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이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반려동물을 위한 비대면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반려동물 디지털 헬스케어 및 펫테크 사업에 기반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신규 진입하는 업체들이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업체들이 제공하는 비대면 서비스가 현행법에 저촉되거나 관련 규제로 인해 시장 진입이 어려운 사례들이 나타나고 있어, 향후 반려동물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활성화를 위해 현행 법규제 파악 및 해외사례와의 비교분석을 통한 개선방향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현행 수의사법상 규제로 인해 비대면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단순 상담 이상의 진료행위가 불가능하다는 한계점을 제시하였는데, 미국의 사례를 참고하여 수의사가 직접 방문한 경험이 있거나 동물병원 방문을 통해 직접 검안 및 진단이 있었던 경우에 한해, 진단을 내렸던 수의사와의 원격진료를 제한적으로 시도해보는 방향으로 반려동물 보호자들의 편의와 수요에 대응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반려동물 DTC(Direct-To-Consumer) 유전자 검사의 경우 해외 사례와 비교해 보았을 때 DTC 유전자 검사 항목이 제한적이므로 향후 다양한 질병에 대한 수요에의 대응 및 반려동물 DTC 유전자 검사 산업의 성장을 위하여 과학적인 검증을 토대로 하여 반려동물 보호자 등의 수요에 기반한 점진적인 개선을 제언하였다. 마지막으로, 반려동물에 대한 맞춤형 식단 제공의 경우 현행 「사료관리법」상 ‘사료’의 범위에 포함되어 사료 제조업을 위해 지자체에 등록 및 제조시설을 갖춰야 하는 현행 규제에 대하여, 규제샌드박스를 승인받은 서비스 업체의 식품안전성 등이 입증되는 경우 관련 법령을 속히 개정하여 다른 사업자들도 자유롭게 시장에 진입할 수 있도록 개선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이동현,윤선하,정유권,정재희 한국기초조형학회 2022 기초조형학연구 Vol.23 No.3
As the size of the family has been reduced due to the nuclear family and the number of single person households is increasing; the demand for companion animals is also increasing and the family form with companion animals is emerging as a new mainstream. Increasing an interest in companion animals is expands into its care culture, and it leads to the growth of the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social robot service design that helps the realization of a sustainable and happy daily life of companions and their animals by using the service design methodology. Mobile applications, product service systems for companion animals, and the trends in technology research for this system were analyzed in literature research as the first step. For empirical research, a total of 9 partners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and the personas were derived through behavior mapping based on the interview results. Creating customer journey maps for companions and their animals, made seven design themes derived through the affinity diagram. Social robot service design for companion animals consists of a social robot, a wearable sensor, a risk recognition sensor. It combines robot technology and digital technology to provide customized cares in accordance with the daily life information of animals so that it helps companions to communicate with their animals. The service concept has three main functions such as disposition algorithm, daily health care and growth recording. The disposition algorithm function identifies the tendency of companion animals and it helps stress relief through behavior analysis. The daily health care function manages health by checking the amount of food, activity, and defecation, and prevents them from safety accidents. The growth recording function detects animals' heart rate, and body language, and records photos and video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devised social robots for companion animals that not only manage their health and prevents the safety accidents, also helps companions to communicate more actively with their animals. 핵가족화로 가족 규모가 축소되고 1인 가구가 증가하면서, 반려동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가족 형태가 새로운 주류로 부상하고 있다. 반려동물에 대한 관심의 증가는 반려동물케어 문화로 확대되고 반려동물 산업의 성장을 이끌고 있다. 이 연구는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하여 반려동물과 반려인의 지속가능한 행복한 일상의 실현을 돕는 소셜로봇 서비스디자인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먼저 문헌 연구에서 반려동물용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반려동물용 제품 서비스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술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해서는 반려인 총 9명을 대상으로심층 인터뷰를 진행하고, 이를 기반으로 행동맵핑을 통해 반려인 페르소나를 도출하였다. 또한 반려동물과 반려인 대상 고객여정지도를 작성한 후, 어피니티 다이어그램을 통해 7개의 디자인 테마를 도출하였다. 반려동물용 소셜로봇 서비스디자인은 소셜로봇, 웨어러블 센서, 위험인지 센서로 구성되며, 로봇 기술과 디지털 기술을 융합하여 반려동물의 일상생활 정보에 따라 맞춤형 케어를 제공하고, 반려동물과 반려인 사이의 교감과 소통을 돕는다. 서비스 컨셉은 반려동물의 성향을 파악하고 행동 분석을통해 스트레스를 해소하도록 돕는 성향 알고리즘, 식사량, 활동량, 배변량을 체크하여 건강을 관리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데일리 건강 케어, 반려동물의 심장박동과 바디랭귀지를 감지하여 사진과 영상으로 촬영하는 성장기록이다. 연구 결과는 반려동물의 건강관리 및 안전사고 예방뿐만 아니라, 반려동물과 반려인이 상호 교감하고 소통하도록 돕는 반려동물용 소셜로봇을 제안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