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민족종교의 문화원형콘텐츠 구축과 활용 과제

        박상언(Park, Sang Un)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14 동서인문 Vol.0 No.2

        본 논문은 민족종교 문화원형의 콘텐츠 개발 가능성과 활용 과제를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먼저 민족종교와 문화원형의 개념을 살펴보고, 둘째로 민족종교의 주요 종단들의 종교적·문화적 자원의 콘텐츠 작업 현황을 살펴보고, 셋째로 민족종교 문화원형의 콘텐츠 구축과 활용의 방향을 제시해보았다. 분석 결과로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했다. 첫째로 민족종교를 근대문화의 측면에서 이해하고 그 문화원형을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한국의 근대는 서세동점과 일제 강점이라는 국가적 위기 상황과 서구문명의 급속한 유입에 의해 사회적 문화적 변동을 일으켰던 시기이다. 민족종교의 문화원형에는 이러한 사회적 문화적 변동 혹은 변혁의 경험이 고스란히 담겨 있어 한국종교사에서 독특하고도 의미 깊은 층위를 구성하고 있다. 둘째로 민족종교의 수용자 대부분이 민중계층이었다는 점에서 종교사적인 의미가 있다. 근대시기의 사회문화적 격동기를 살았던 민중의 현실적 · 종교적 욕구가 민족종교의 문화원형에 담겨 있다. 즉 민족종교는 민족을 성화하는 상징체계뿐만이 아니라 기성의 사회적 · 종교적 보호막에 포섭되지 못했던 민중의 고난과 종교적 열망을 자신의 종교적 내용으로 구성함으로써 기성 종교와는 다른 종교적 체계를 띠고 있는 것이다. 셋째로, 민족종교가 보여주는 종교혼합의 독특한 현상과 근대 문화적 가치를 고려할 때, 기독교, 불교, 유교 등에 집중된 문화원형의 콘텐츠 개발이 민족종교로까지 확대되고 체계적으로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contents development of cultural archetype and its utilization task for Korean ethnic religions(min-jok) religions in Korea. For this, first, I analyse the concept of Min-jok religion and cultural archetype, second, I examine the status of the contents development of min-jok religions, third, I try to present the direction of the utilization and contents development of cultural archetype of min-jok religions. Through the analysis, I conclude the following facts: First, we may understand the min-jok religions in terms of modern culture. Second, the min-jok religions has cultural values of showing the emotion and thinking of Korean common people because most the oppressed peoples in Korea affiliated to min-jok religions facing the disturbances of national and social affairs. Third. The contents development of cultural archetype for the public purpose is needed to expand to sphere of min-jok religions with the support in finance and technology by Korean government.

      • KCI등재

        대순진리회의 ‘세계종교’ 가능성에 관한 연구

        권동우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20 대순사상논총 Vol.35 No.-

        대순진리회는 교단 내부 구성원들에 있어서나 학계에 있어서나 ‘민족종교’로 인식되고 있다. 그런데 이 민족종교의 성격이 꽤 복잡하다. 곧 민족종교로서 민족주의를 중심으로 한민족의 선민사상을 강조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인류와 세계를 구제하겠다는 세계종교의 보편성도 내포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를 민족종교의 특수성과 세계종교의 보편성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특수성과 보편성의 논리는 단지 대순진리회에만 국한된 특징이 아니다. 이미 세계적으로 많은 종교들이 민족종교와 세계종교의 두 가지 측면을 동시에 가진다고 하는 이중성을 보여 왔다. 그 가운데 본고에서 주목한 것은 근대 일본에서 형성된 교파신도다. 근대 일본 정부가 국가신도체제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탄생한 교파신도는 총 13개 종파가 형성되는데, 이들의 대부분은 일본인의 민족적 전통을 계승하는 민족종교라고 하면서도, 청일전쟁과 러일전쟁을 기점으로 본격적으로 세계종교를 표방하면서 해외포교에 나선다. 그렇다면 이처럼 민족종교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세계종교를 지향했던 교파신도의 해외포교는 어떻게 귀착되었고, 이들의 세계종교화는 현재 어떻게 진행되고 있을까? 본고에서는 이처럼 민족종교와 세계종교의 이중성을 보여 왔던 교파신도의 사례를 통해 대순진리회의 세계종교의 가능성을 살펴보고, 이를 위해 대순진리회가 지향해야 하는 길에 대해 약간의 제언을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사회에서 오랫동안 논의되어 왔던 ‘민족종교’론 또는 ‘민중종교’론의 역사적 흐름에 대해 살펴볼 것이며, 한국에서 민족종교이면서 세계종교를 지향하고 있는 원불교의 사례도 점검하는 것으로 민족종교와 세계종교의 경계에 서 있는 대순진리회의 새로운 지향점에 대해 검토해 보고자 한다. Daesoon Jinrihoe tends to be perceived as a ‘nationalistic religion’ by both internal members of the religious body and outside scholars of religious studies. However, the character of this particular nationalistic religion is rather complex. On top of emphasizing the special status of the Korean ethnic group while focusing on nationalism as a nationalistic religion, Daesoon Jinrihoe futrther asserts an implication of the universality of world religion aiming to bring relief to humankind and the world. This dynamic is one of the specificity of nationalistic religion and also the universality of world religion. However, this dual logic of specificity and universality is not characteristic of only Daesoon Jinrihoe. Many religions in the world have also exhibited duplicity as nationalistic religions and world religions. And this thesis pays attention to Sectarian Shinto as it formed in modern Japan. Kyoha Shinto formed when the modern Japanese government established the national Shinto system which had a total of 13 sects. Most of them do not only call themselves a nationalistic religion, inheriting the ethnic tradition of Japanese people, but also jump into overseas missionary work. This started during the Sino-Japanese and Russo-Japanese Wars. With that in mind, how did the overseas missionary work of Sectarian Shinto aspire for status as a world religion while maintaining their identities as nationalistic religions? Furthermore, how did their movements fare in their efforts to become world religions? Thus, this thesis aims to examine the possibility Daesoon Jinrihoe becoming a world religion through some cases of Sectarian Shinto that showed the duplicity as nationalistic religions and world religions. Also, this thesis makes suggestions regarding the future direction of Daesoon Jinrihoe. As such, this paper aims to review the new direction of Daesoon Jinrihoe as it stands on the borderline between being a nationalistic religion and a world religion. This is done by examining the historical flow of theory regarding ‘nationalistic religion’ or ‘minjung religion’ which have long been discussed in Korean society. Also examined is the case of Won Buddhism which likewise aims to simultaneosuly be both a nationalistic religion in Korea and a world religion abroad.

      • KCI등재

        민족종교의 지혜와 천도교

        손장권(Son, Jang-kwun) 東洋社會思想學會 2010 사회사상과 문화 Vol.21 No.-

        This paper trys to explain the main trees of Korean toughts accumulated in their life history. Korean have lived for about more than 5 thousand years in the area of Korean peninsula. In the beginning days of building Korean nation called Dangun- chosun Korean had build up one national spirits named hangeorae-earl by unifying the scattered people in one national group. The native Korean residences worshiped the natural circulation and practiced Korean Taoism enjoying a supernatural thoughts of being. Buddhism was introduced to korean in the period of Three Kingdoms and buddhist's way of thoughts were naturalized into Korean's mind during the ruling system of Koroe's kingdom. People of Cho-sun kingdom had taken confucian norms of life style as a rule thumb in their behavioral systems. In the late Cho-sun period many types of christianity were introduced into Korean society. Facing the crisis of losing nationality, many Korean religious pioneers had demonstrated people's national religious movements. Korean religious leaders have developed their own national religions by focusing on their traditional national values based on the old taoism, buddhism, and confucianism. Dong-Hak members who were the first group of people structuring a national religion have made a system of Dong-Hak thoughts, which main idea is called In-nae-chun meaning of that a man is an equal being like the god. Dong-Hak people recited several religious incantations repeatedly to get spiritual experiences of knowing god's willings such doing behaviors as buddhist's sutra-chanting and christian's chanting of the Lord's Prayer. Those who have a belief system of Korean national religions are expecting of constructing the late ten-thousand kingdom as a new world for their future life. Korean's environment leads them to make their own belief systems. Korean's traditional values could be transferred in universal values for the world people in time of changing korean traditional religion into world one. 한국 민족은 5천여 년 전 한반도 유역에서 한얼민족으로 공동체를 형성하고 천지인을 숭배하며 선도 사상을 실행했다. 불교는 고려시대에 그리고 유교사상은 조선시대에 민족의 정신체계에 내재화 되었다.그리스도 사상과 서양의 기술문명은 세기말에 한민족의 생활양식에 침투 되었다.세기말의 환경변화에 적응하지 못한 민족국가는 몰락하였고 시대에 뒤떨어진 민족정체감은 해체의 위기에 직면하였다. 시대적인 환경변화에 적응하기 위하여 한민족은 전통적인 민족사상을 토대로 새로운 가치체계를 정립하여 민족의 신종교사상을 확립하고 새로운 종교운동을 확산 파급시켰다. 이 글에서는 민족 집단의 역사발전과정에 따른 민족사상의 전승과 종교가치의 형성을 원시종교의 무속에 뿌리를 두는 언어적 주술신앙의 계승기법으로 살펴보았다. 그런 다음 대표적인 민족종교로서 동학사상과 천도교도들의 종교사상과 의례를 살펴봄으로서 오늘의 현실에서 망각되고 무시되는 전통적인 민족사상의 회복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대표적인 민족종교로서 천도교는 하늘의 뜻을 알고 땅의 기운을 활용하여 하늘처럼 사람을 모시자는 인내천사상을 중심으로 새로운 민족사상을 주장한다. 천도교의 동학인들은 그들의 사상과 행위양식을 주문으로 반복 암송하여 하늘의 계시를 스스로 체험하고, 그것을 사회적으로 실천하고자 노력한다. 모든 종교사상이 그렇듯이 한국인의 민족종교도 이상향을 그린다. 동학을 비롯한 한국인의 민족 종교인들은 하늘의 계시를 받들어 새로운 세상을 열어서 펼쳐, 살기 좋은 천국을 현실로 건설하자는 후천개벽사상을 피력한다. 민족종교의 이해와 민족정신의 회복은 민족 집단의 이질화를 극복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하나의 민족은 공동체로 존속해온 생활가치와 행위이념을 사상체계로 계승하고, 그 민족 집단의 이념들과 행위양식이 토착화된 생활양식으로 뿌리를 내리면신앙의 대상으로 제도화 될 때 제도종교로서 민족종교가 발현된다. 한 집단의 민족종교가 민족을 초월하여 공간과 시간의 변화에 관계없이 만인의 보편적인 신념체계로 수용되면 세계인의 종교가 될 수 있다.세계종교란 어떤 민족종교의 가치체계와 의례행위가 이상향의 미래를 지향하는 세계인의 보편가치와 종교의례로 확산된 것에 다르지 않을 것이다.

      • KCI등재

        민족종교의 지혜와 천도교

        손장권 동양사회사상학회 2010 사회사상과 문화 Vol.21 No.-

        This paper trys to explain the main trees of Korean toughts accumulated in their life history. Korean have lived for about more than 5 thousand years in the area of Korean peninsula. In the beginning days of building Korean nation called Dangun- chosun Korean had build up one national spirits named hangeorae-earl by unifying the scattered people in one national group. The native Korean residences worshiped the natural circulation and practiced Korean Taoism enjoying a supernatural thoughts of being. Buddhism was introduced to korean in the period of Three Kingdoms and buddhist's way of thoughts were naturalized into Korean's mind during the ruling system of Koroe's kingdom. People of Cho-sun kingdom had taken confucian norms of life style as a rule thumb in their behavioral systems. In the late Cho-sun period many types of christianity were introduced into Korean society. Facing the crisis of losing nationality, many Korean religious pioneers had demonstrated people's national religious movements. Korean religious leaders have developed their own national religions by focusing on their traditional national values based on the old taoism, buddhism, and confucianism. Dong-Hak members who were the first group of people structuring a national religion have made a system of Dong-Hak thoughts, which main idea is called In-nae-chun meaning of that a man is an equal being like the god. Dong-Hak people recited several religious incantations repeatedly to get spiritual experiences of knowing god's willings such doing behaviors as buddhist's sutra-chanting and christian's chanting of the Lord's Prayer. Those who have a belief system of Korean national religions are expecting of constructing the late ten-thousand kingdom as a new world for their future life. Korean's environment leads them to make their own belief systems. Korean's traditional values could be transferred in universal values for the world people in time of changing korean traditional religion into world one. 한국 민족은 5천여 년 전 한반도 유역에서 한얼민족으로 공동체를 형성하고 천지인을 숭배하며 선도 사상을 실행했다. 불교는 고려시대에 그리고 유교사상은 조선시대에 민족의 정신체계에 내재화 되었다. 그리스도 사상과 서양의 기술문명은 세기말에 한민족의 생활양식에 침투 되었다. 세기말의 환경변화에 적응하지 못한 민족국가는 몰락하였고 시대에 뒤떨어진 민족정체감은 해체의 위기에 직면하였다. 시대적인 환경변화에 적응하기 위하여 한민족은 전통적인 민족사상을 토대로 새로운 가치체계를 정립하여 민족의 신종교사상을 확립하고 새로운 종교운동을 확산 파급시켰다. 이 글에서는 민족 집단의 역사발전과정에 따른 민족사상의 전승과 종교가치의 형성을 원시종교의 무속에 뿌리를 두는 언어적 주술신앙의 계승기법으로 살펴보았다. 그런 다음 대표적인 민족종교로서 동학사상과 천도교도들의 종교사상과 의례를 살펴봄으로서 오늘의 현실에서 망각되고 무시되는 전통적인 민족사상의 회복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대표적인 민족종교로서 천도교는 하늘의 뜻을 알고 땅의 기운을 활용하여 하늘처럼 사람을 모시자는 인내천사상을 중심으로 새로운 민족사상을 주장한다. 천도교의 동학인들은 그들의 사상과 행위양식을 주문으로 반복 암송하여 하늘의 계시를 스스로 체험하고, 그것을 사회적으로 실천하고자 노력한다. 모든 종교사상이 그렇듯이 한국인의 민족종교도 이상향을 그린다. 동학을 비롯한 한국인의 민족 종교인들은 하늘의 계시를 받들어 새로운 세상을 열어서 펼쳐, 살기 좋은 천국을 현실로 건설하자는 후천개벽사상을 피력한다. 민족종교의 이해와 민족정신의 회복은 민족 집단의 이질화를 극복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하나의 민족은 공동체로 존속해온 생활가치와 행위이념을 사상체계로 계승 * 이 논문은 고려대학교 특별연구비에 의하여 수행되었음. 하고, 그 민족 집단의 이념들과 행위양식이 토착화된 생활양식으로 뿌리를 내리면신앙의 대상으로 제도화 될 때 제도종교로서 민족종교가 발현된다. 한 집단의 민족종교가 민족을 초월하여 공간과 시간의 변화에 관계없이 만인의 보편적인 신념체계로 수용되면 세계인의 종교가 될 수 있다. 세계종교란 어떤 민족종교의 가치체계와 의례행위가 이상향의 미래를 지향하는 세계인의 보편가치와 종교의례로 확산된 것에 다르지 않을 것이다.

      • KCI등재

        중국의 타자화와 김효경의 도교 연구

        김지현 ( Kim Ji Hyun ) 종교문화비평학회 2024 종교문화비평 Vol.45 No.45

        김효경(金孝敬, 1904~?)은 1926년 일본 불교단체를 통해 도쿄로 유학하여 다이쇼대학(大正大學)에서 불교학과 종교학을 전공했고, 조선의 무속 연구를 대표적 업적으로 하는 식민지 시기의 종교·민속 연구자이다. 최근 그는 ‘조선에서 배출한 최초의 종교인류학자’로 평가받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평가를 비판적으로 재검토하는 작업으로서, 1940년 도쿄에서 출판된 《지나정신과 그 민족성(支那精神とその民族性)》의 신선사상과 도교 연구에 주목한다. 이 글은 다음의 두가지 과제를 가진다. 첫째, 김효경의 도교 관련 저술이 기대고 있는 1920년대 일본의 도교 연구 성과들을 비교 검토하여 김효경 연구의 성격과 한계를 평가하는것, 둘째, 김효경의 지나 민족성 및 도교 연구를 통해 중국과 조선에 대한 이중의 타자화가 진행되었다는 점을 밝히는 것이다. 김효경은 1920년대 일본의 중국민속학 연구가들의 신선사상 및 도교 연구를 원용하여 자신의 주장을 도식화하는 데 주력한다. 그는 시공간을 초월하여 변함없는 ‘지나 민족’의 존재를 상정하고, 지나 민족의 공통된 정신성으로 신선에 대한 동경과 현실도피로부터 발달한 도교가 있다고 단언한다. 그의 논지에 따르면, 중국의 천명관은 끊임없는 혁명을 일으켜 지나민중을 전란에 시달리게 했고, 신선사상과 도교는 복·록·수를 누리고자 하는 욕망과 반비례하여 향락주의와 현실도피로 발달한 것이다. 중국에 만연한 비약, 아편, 방중, 식도락 추구의 문화는 모두 향락적 신선경을 지향하는 것으로서, 김효경의 지나 민족의 신선동경론은 결국 아편 중독의 필연성을 설명하는 논거가 된다. 그의 이러한 저술은 중일 전쟁 발발 이후 전시 상황에서 중국과 그 민족성의 핵을 도교로 정의하고, 도교와 지나라는 타자로부터 배타적 독립성을 유지한 일본 민족의 위대함을 확증하는 작업이었으며, 이러한 작업 속에서 김효경은 한결같이 ‘위대한 일본 민족’을 ‘우리(吾人)’로 동일시하는 제국일본의 신민(臣民)의 입장에 있었다. 사회 현상의 이면에 민족 고유의 종교적 심성이 자리한다는 김효경의 종교민족학적 관점은 종교 및 민속 연구에 있어 중요한 출발점이 될 수 있다. 그러나 김효경의 연구를 근대 한국 학문이나 한국의 근대국가-국민론과 결부시키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그의 글은 제국일본이 완성한 ‘동양학’의 입장에서 중국과 조선을 객체화하고 타자화하는 것이었고, 특히 일본의 대외 종교문화정책의 흐름에 영합한 것이었다. 김효경의 글들은 제국일본의 대내외 종교정책 및 활동을 주요 기사로 다룬 《중외일보》의 기고문과 해외신사사관양성소의 강연록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독자는 일본제국의 내지인으로 상정되었으며 동시에 일본의 종교정책과 관련하여 개교활동이 전개되던 지역의 외지인들을 포함했다. 결론적으로 김효경의 지나민족과 정신성에 대한 논구는 민족과 민족성을 단일하고 항상된 것으로 파악하는 본질론의 한계를 노정하며, 중국을 타자화하고 일본의 위대한 민족성을 부각시키는 전시 프로파간다적 성격을 가진 것으로 학술적 탐구의 문을 닫아버리는 한계를 가진 것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Kim Hyo-kyung 金孝敬(1904~?) was a scholar of religion and folklore in the Empire of Japan, whose most notable work was the study of Korean shamanism. He studied in Japan since 1926 when he came to Tokyo via the Japanese Buddhist organization and majored in Buddhist studies and religious studies at Taisho University. Recently, he has an assessment of ‘the first religious anthropologist from Joseon.’ This paper is a critical reexamination of such evaluation, focusing on his study of Daoism and the Chinese pursuit of immortality in the Chinese Spirit and Its Nationhood (shina-seishin to sono minzoku-sei 支那精神とその民族性), published in Tokyo in 1940. This article has two goals: first, to investigate early 1920s Japanese studies of Daoism and Chinese folklore, which his writings rely on, to assess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 of his work; second, to reveal that Kim's studies on Daoism and Chinese nationhood aimed at double-otherization of China and Joseon. Kim relies heavily on research and reports on Daoism of Japanese folklorists and journalists in the 1920s. Assuming the existence of a ‘Chinese nation’ remains unchanged across time and space, he postulated Daoism as a consistent spirit to Chinese nation-people, which developed as a hedonism and an escape from reality. According to his argument, Chinese thought of the Heavenly Mandate caused endless revolutions and subjected the Chinese people to warfare; Daoism developed as an escape from the painful reality and indulgence in pleasure, inversely proportion to the desire to enjoy happiness, high social status and longevity. The pursuit of elixir, opium, revelry, and gastronomy prevalent in China are all oriented toward hedonistic immortality, and Kim's theory on Chinese nationhood and Daoism provides a solid tie for the inevitability of opium addiction. Kim’s articles eventually affirmed the greatness of the Japanese nation, particularly in wartime during the Second Sino-Japanese War, by defining the core of the Chinese nation as Daoism and maintaining Japan’s exclusive independence from the otherness of Daoism and China. In so doing, Kim Hyo-kyung was in the position of a faithful servant to the Empire of Japan who consistently identified the “great Japanese people” as “us.” Kim’s perspective that behind phenomena lies the religious mind of nation-people might be a significant starting point for the study of religions and folklore. However, linking Kim’s work to the first step of modern ‘Korean’ study or modern Korean nation-building is inappropriate. He objectified and otherized China and Joseon from the perspective of ‘Oriental Studies’ invented by the Empire of Japan, and in particular, his articles were in line with Japan’s policies on religions and culture. His writings correspond to the articles in a religious newspaper, the Internal and External Daily News (Chugai nippo), which featured 中外日報 news on the domestic and overseas policies on religious activities of Japan, and lecture notes at the priest t raining centre for the overseas Shinto- shrines, where his reader was supposed to be insiders of the Empire of Japan, and at the same time included outsiders in the regions where the Japanese religious and cultural policies were implemented. In conclusion, Kim’s thesis on the Chinese nation and its spirituality exposes its limit of essentialism, which homogenized a constant and unitary nation and nationhood. It has the character of wartime propaganda, which otherized China and emphasized the greatness of the Japanese nation, shutting the door to further scholarly inquiry.

      • KCI등재

        한국민족종교사상의 선(仙)개념과 그 철학적 인간학에 관한 연구

        민영현(Min, Young-Hyun) 한국도교문화학회 2014 道敎文化硏究 Vol.40 No.-

        철학적 인간학은 인간이 자기 자신에 대한 성찰 그리고 삶에 대한 이해 및 신과 세계 사이에 존재하는 인간 자신의 존재규정이라는 과정을 통해, 일정한 형이상학적 측면과 만나게 된다. 이로부터 인간이 스스로에 대해 관심을 기울이고, 자신의 본질에 관한 의문을 던지면서, 이에 대한 답을 구하는 경우, 그 답이 무엇이든 간에 그는 새로운 인간학적 이해를 추구한다고 하겠다. 동양 전통의 사상사적 흐름 속에서, 儒 佛 仙으로 던져진 일련의 개념들 또한 철학적 인간학에 있어 동양적 이해와 그 해답으로 주어진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곧 聖人 君子가 되고, 깨달은 사람[覺者]이 되며, 天人合一을 통해 자연과 동화된 사람 등등, 이 모두는 결국 동양의 문화와 철학이 던져준 인간에 대한 하나의 이해가 된다. 여기에 한국사상이 말하는 하나의 이해와 해석이 있다. 이는 19세기 민족사회 위난의 시기를 맞이하여, 민중의 지지를 통해 등장한 민중 내지 민족종교사상에서 말하는 <선(仙)>의 개념과 그 이해이다. 19세기 민족종교사상의 선(仙)은 사실상 그 연원을 항상 저 멀리 고대의 신화적 시대, 곧 단군의 사상과 이념에서 그 뿌리를 찾는 것이 보편적인 현상이다. 이는 어쩌면 일반적으로 알려진 신선사상의 중국적 연원과는 그 궤를 달리하는 한국적 사유와 문화의 특질이 숨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다시 말해 19세기 민족사상의 창도자들은 서구나 중국과는 다른 한국적 특수성과 그 문화적 차별성을 인지하였다는 점에 주목한다. 바로 이 점에서 과연 그들이 바라본 선(仙)의 세계는 어떠한 것이었는가를 살펴볼 이유가 있다. 곧 민족사상의 창도자들은 더 이상 소중화의 조선으로서가 아닌 새로운 한국적 주체성의 철학과 그 인간학적 이해를 요구하고 있다. 여기에 더하여 근원적으로 이의 사상적 모티브를 제공한다고 여겨지는 것이 있으니, 이는 일반적으로 한국 고대의 神仙도(道)?교(敎)라 이해되는, 고유한 古神敎나 古仙道가 바로 그것이다. 실로 한국의 선(仙)은 고유하고도 독자적인 것으로, 중국과 다르게 출발하였고 또 그 사상적 맥락은 한국적 상황과 역사적 현실 속에서 특수하게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仙의 개념은 기본적으로 孤雲 崔致遠이『鸞郞碑序』에 언급한 風流道와 仙史라는 기록에 크게 의지한다. 이에 19세기 한국민족종교사상의 탄생과 그 흐름 또한 크게 벗어날 수 없으며, 이들을 달리 한국 근세의 선맥(仙脈)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논란이 될 수는 있겠지만 만일 이러한 선맥을 용인할 수 있다면, 민족종교사상의 철학적 인간학은 사실상 한국의 독자적인 인간이해라는 새로운 의미 또한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한국문화 역시 더 이상 중국문화의 영향과 그 전승이라는 측면에서만 논의되지는 않을 것이다. 사실 한국사상사 전체를 통해서도 19세기 민족 내지 민중종교사상은 독자적이면서도 특수한 철학적 스펙트럼을 드러내고 있으며, 선과 관련된 그 개념과 이해는 한국의 철학적 인간학에 대한 새로운 담론을 확장시킬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Most of human cultures derive from the understanding on men"s life and death. The Korean culture is not an exception.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a series of religious groups had formed in Korean society. We call them the Korean National Religions(for short, KNR). They had a special character. If we want to know the life thoughts of Koreans, we should understand the KNR because they were the thoughts spontaneously generating and growing naturally in Korean society in the 19th century. Also they maintained the mental power of the Korean character in the spirit world. Especially, if we consider that the KNR relate with the culture of Sam-Shin(三神: Three Gods) in Korea, we can say that they take charge of the essential life thoughts which the Korean general public have had. The most important character of their thought is the trend toward unification and synthesis. The main doctrines of each group are as follows. The text of Tong-hak presents Hanwool(the One God of Korea) and the Kaebyuk of post-heaven (後天開闢). The followers of Jeungsan-kyo believe in the Emperor God and cultivating bio-energy in the immortal beings. The books of Daejong-kyo present the Three-One theory of Tan-kun(檀君; the founding father of the Korean nation) philosophy and insist on the self-sufficiency of Korean society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then there is a conception that the KNR repeatedly give a self-definition. This conception is Sun(仙: the immortal beings or god-man). Here, the traditional Sun of Korea is considered as the new human being. Namely, that is the Neo?human?ism. The Sun succeeds the philosophical trends of Korea in which the East is like the roots of a tree. In other words, the two ways have acted as the hidden mental energy to the foundation of Korean culture.

      • KCI등재

        일제강점기 간도의 한인 종교와 민족주의 -종교민족주의 개념을 중심으로-

        고병철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0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6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possibilities of applying religious-nationalism to religious movements and nationalism of Koreans in Manchuria under Japanese colonization, and to indicate various problems in trends of researches on it. Here, religious-nationalism, as a measure of evaluating the degree of nationalism, consists of identity, integration, and contemporary perception of reality. To achieve these purposes, in chapter 2, in the title of ‘nationalism and religious-nationalism’ I indicated various problems in trends of researches on nationalism, and investigated the concept of religious-nationalism. In chapter 3, ‘national movements and viewpoints of believers’, I analyzed national movements of Korean-believers until the Kando Massacre(間島慘變). And I indicated two problems; overlapping viewpoints between researchers in Korea and colonial government, and the distinction between believers and religions. And, in chapter 4, ‘religious movements and separation of religion and politics in religions’, I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us movements and separation of religion and politics. And, through religious-nationalism, I emphasized that researchers in Korea should broaden their research until the Rule of Manchukuo. And, in chapter 5, I pointed out guide lines for figure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us and national movements of Koreans in Manchuria with religious-nationalism. 본고의 목적은 민족주의의 영역으로서 일제강점기 재만한인의 종교운동과 그 연구 경향의 문제를 검토하면서, ‘종교민족주의’ 개념의 필요성과 유의점을 제기하려는 데에 있다. 여기서 종교민족주의 범주의 내용은 정체성ㆍ통합성ㆍ당대 인식을 분석 도구로 삼아, 종교와 민족운동의 연관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2장에서는 민족주의에 대한 인식과 연구 경향의 문제를 지적하고 종교민족주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1920년 간도참변 이전까지 재만한인 가운데 종교인들이 전개한 민족운동을 구체적으로 검토하였다. 아울러 그 민족운동에 대한 현재 연구자들과 당시 일제의 시선과 관심이 중복된다는 점, 종교인과 종교단체의 활동을 구분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제4장에서는 간도참변 이후 종교단체 차원의 교세 확장 운동과 정교분리의 연관성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주로 재만 한인에 대한 기존 연구의 범위를 종교민족주의 개념을 활용하여 1920년대 중반 이후까지 확대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제5장에서는 종교민족주의 개념을 통해 재만한인의 종교운동과 민족운동의 연관성을 파악할 때 유의할 사항들을 지적하였다.

      • KCI등재후보

        한국민족종교의 특성과 대순사상

        이경원 한국신종교학회 2008 신종교연구 Vol.18 No.-

        The time when Korea entered into a early-modern society was before or after the beginning of the past 20th century despite its long history. In this short period, Korea was revealed to the tide of the world history to show itself on the international stage. What was the problem here was the inherence that is required for the history of the Korean spirit. Though Korea of course had cultural tradition before, and had religious culture that formed the mainstream, there had been no such religions of which most of the people were the subject yet. The religions that enhanced the national spirit encounter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contradictions of the state, and were initiated as people’s spontaneous movements were the original religions appearing in the early-modern history of Korea. The Original Korean religions are understood to be Sintoburi ‘the original are the best’ Korean religions that advocate universal human salvation with such a temporal sense of duty, and attract attention as a kind of Korean culture in the world. Based on the background so far, this paper tries to investigate properties of original Korean religions in this period of globalization, and introduce the ideology of Haewon-Sangsaeng ‘helping one another through eliminating of resentment’ in the Daesoon philosophy, which occupies a place in the Korean religion. Finding its place as the main ideology of the Daesoon Philosophy, ‘Haewon-Sangsaeng’ is an ideology with which the former tries to lead human peace and world prosperity with national identity as an original Korean religion. As a main term of ‘Haewon’ has an all-mankind and worldwide meaning as well as humans’self-realization, in that it pursues the desirable state of the whole universe. As a new principle of interrelationship, ‘Sangsaeng’ has the principle of positive reciprocity. On its basis exists the collectivist view of world that claims that the mankind and the whole creatures belong to a unique substance. It is the value of the Daesoon Philosophy as an original Korean religion in Korea to make the whole mankind unitary by the ideology of Haewon-Sangsaeng, and try to fulfill eternal peace for the mankind. 19세기 말 이후 근대사회로 진입하게 된 한국은 세계사의 조류에 노출되면서 국제무대에 나서게 되었다. 여기에 문제되는 것은 한국의 정신사에 요구되는 고유성이었다. 물론 한국은 그 이전에도 문화적 전통을 지니고 있었고 또 주류를 형성한 종교문화가 있었지만, 대다수 민중이 주체가 된 종교는 아직 없었다. 국가의 대내·외적인 모순에 접하여 민족정기를 선양하고 민중의 자발적인 운동으로서 시작된 종교는 한국근대사에 등장한 민족종교였던 것이다. 한국 민족종교는 이러한 시대적인 사명감과 함께 인류의 보편적인 구원을 부르짖는 신토불이(身土不二) 한국종교로 이해되고 있으며 세계 속의 한국문화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본 고에서는 이상의 배경에 따라 세계화 시대에 한국 민족종교의 특성을 살펴보고, 한국종교의 한 맥을 차지하고 있는 대순사상에서의 ‘해원상생’이념을 소개하고자 하는 것이다. 대순사상에서 핵심이념으로 자리 잡고 있는 ‘해원상생’은 민족종교로서 민족의 주체성을 지니고 인류의 평화와 세계번영을 주도하고자 하는 사상이다. 그 주된 단어로써 거론된 ‘해원’은 인간의 자기실현이라는 의미와 함께 우주 전체의 바람직한 상태를 추구한다는 점에서 전 인류적이고 세계적인 의미를 지닌다. ‘상생’은 상호관계성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상호 적극적인 호혜(互惠)의 원리를 지니고 있다. 그 바탕에는 전 인류와 만물이 하나의 근원에 속하고 있다는 전체론적 세계관이 있다. 이러한 해원상생의 사상으로서 전 인류가 하나 되고 나아가 인류의 영원한 평화를 이루고자 하는 것이 한국민족종교로서의 대순사상이 지닌 가치이다.

      • KCI등재

        국가 통합을 위한 인도 사상의 대전환

        최지연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2024 남아시아연구 Vol.30 No.2

        현재 인도는 정치적, 경제적인 도약을 위해 강한 인도를 표방하면서 ‘힌두의 인도’를 만들어 나가고 있다. 힌두는 힌도교라는 하는 인도 특유의 종교를 토대로 한 인공의 민족 개념으로서 복잡하고 다양한 인도 사회를 하나의 국가로 통합하기 위해서는 전체를 관통하는 한 가지 공통점이 요구되는데 힌두와 힌두교 개념이 바로 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통합을 위해 인도 아대륙에서 발생한 종교인 힌두교, 불교, 자이나교, 시크교 등은 인도 종교 범주에 포함하고 이슬람교와 기독교는 배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 인도 정부가 국가의 통합을 위해 종교적 통합을 만드는 배경을 검토하고 그 양상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조망하고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해 검토한다. 힌두교와 힌두 민족 개념이 정립된 것은 인도의 독립 운동 당시였다. 인도인들을 하나로 통합하고 피지배민족으로 느꼈을 패배감과 열등감을 문화적 자긍심으로 바꾸기 위한 것이었다. 힌두민족주의를 표방하는 현 정부는 이를 정치적으로 이용하면서 ‘힌두의 인도’ 건설을 통해 경제적, 정치적 성장을 도모하고 있다. 여기서 제외된 무슬림과 기독교는 인도에서 점점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고 있으며 종교의 자유와 인권 침해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개종금지법과 NCM의 활동 등을 들 수 있다. 인도아대륙에서 발원한 소수 종교에 대해서 보호하려고 노력하고 있고, 또 개종을 강요당하는 개인의 종교적 자유를 보장하기 위해 개종금지법을 시행한다고 하지만 무슬림과 기독교가 맞이하는 피해 사례를 계속 증가하고 있다. 정부의 이러한 정책들은 결국 비힌두를 공통의 적으로 두고 힌두의 결속을 도모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현 인도 정부의 종교통합주의 정책은 다음과 같은 점을 시사함을 알 수 있다. 첫째 종교적 다양성과 인권 문제, 둘째 종교통합주의를 통해 특정 종교나 문화가 정치적으로 이용된다는 점, 셋째 교육과 공공장소에서의 종교적 표현 문제, 넷째 국가와 종교의 관계 문제로서 종교통합주의는 종교와 국가 간의 관계를 어떻게 정의하고 조정해야 하는지에 대한 쟁점을 제기한다는 점이다. Currently, India is advocating for a strong India to achieve political and economic advancement by creating a 'Hindu India.' Hinduism, an artificial national concept based on the unique religion of Hinduism, serves as a unifying commonality required to integrate India's complex and diverse society into one nation. To this end, religions originating from the Indian subcontinent, such as Hinduism, Buddhism, Jainism, and Sikhism, ar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Indian religions, while Islam and Christianity are excluded. This paper examines the background of the Indian government's efforts to create religious unity for national integration, explores the patterns in which this is being achieved, and reviews the issues arising from this process. The establishment of the concepts of Hinduism and Hindu nationality occurred during India's independence movement to unify Indians and transform the sense of defeat and inferiority felt as a subjugated people into cultural pride. The current government, which espouses Hindu nationalism, leverages this politically to promote economic and political growth through the construction of a 'Hindu India.' Muslims and Christians, excluded from this vision, are increasingly facing difficulties in India, leading to issues of religious freedom and human rights violations. Notable examples include anti-conversion laws and the activities of the National Commission for Minorities (NCM). While the government claims to protect minority religions originating from the Indian subcontinent and guarantee the religious freedom of individuals forced to convert, cases of harm faced by Muslims and Christians continue to rise. These policies ultimately seek to foster Hindu unity by positioning non-Hindus as common adversaries. This study reveals the following implications of the current Indian government's policy of religious integration: First, it raises concerns regarding religious diversity and human rights; second, it indicates that specific religions or cultures are politically exploited through religious integration; third, it highlights issues of religious expression in education and public spaces; and fourth, it presents the problem of defining and adjus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the state, posing significant challenges for the interplay between religion and national governance.

      • KCI등재

        한국근대 민족종교 원초자료 연구와 LOD시스템화의 과제

        박광수(Park Kwang Soo)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7 한국종교 Vol.41 No.-

        한국 근ㆍ현대 종교에 관한 기존 연구에서 가장 큰 한계는 무엇보다도 연구의 토대가 될 문헌적 자료를 쉽게 접근하기 어렵다는 사실이다. 특히, 근대 민족종교에 대한 연구는 일제강점기를 비롯하여 해방이후 많은 학자들이 역사와 사상사적 관점에서 주목할 만한 개별적인 연구업적이 산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초적인 자료가 종합적으로 정리되지 못하였다. 근대 한국사회의 종교지형이 어떻게 형성되어 변화하게 되었는지를 알기 위해선, 1860년대 조선조 후기 개항기를 거쳐 일제치하(1910~1945)에 이르기까지 한국 근대화과정의 혼란과 격동시기에 일어난 민족종교운동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수집된 역사적 1차 사료를 일정한 분류체계에 의거하여 전체 자료에 대한 색인 작업, 원문에 대한 번역, 해제(解題) 등을 체계적으로 작성하여 데이터베이스화를 구축함으로써 기초자료에 대한 연구의 접근성을 극대화 하는 작업이다.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시기의 종교정책에 대한 연구를 위해선 대한제국시기 한국통감부에서 간행된 종교에 관한 잡건철(宗敎ニ關スル雜件綴)(1905-1909)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이 문서는 일본종교의 국내 포교 행정과 관련된 공문서철로서 「종교의 선포에 관한규칙」을 포함하여 일제의 종교법규 및 통감부의 종교와 관련한 행정, 일본종교의 국내 포교현황과 동향을 알 수 있는 소중한 자료이기 때문이다. 또한, 조선총독부 고등법원 검사국에서 발간한 『사상월보(思想月報)(1931-34년)의 후속지인 『사상휘보(思想彙報)(1934-43년)의 기사에는 1930-40년대 일제의 사상통제와 탄압상황을 생생하게 전달해주는 귀중한 자료를 찾아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역사적 1차 사료를 일정한 분류체계에 의거하여 전체 자료에 대한 색인 작업, 원문에 대한 번역, 해제(解題) 등을 체계적으로 작성하여 데이터베이스화를 구축함으로써 기초자료에 대한 연구의 접근성을 극대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근대한국 민족종교운동과 문화에 대하여 ①시간을 축으로 한 역사적 원초자료(Raw Data)에 대한 조명, ②원초자료에 대한 주제중심의 심층적 비교분석, 그리고 ③공간적 차원에서 일본과의 연동성을 다면적으로 조명함으로써 단순한 기초자료의 제공이 아닌 종합적이며 전문적인 토대연구의 학문적 성과를 이루는 데 있다. One of the most difficult limitations in past and present studies on modern Korean religions is based upon the difficulty of accessing original literary sources that should be the foundation of academic research. Especially, as for the study of modern ethnic religions, even though many scholars during and aft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ad produced remarkable achievements in their studies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y and ideology after liberation, fundamental materials were not comprehensively arranged. In order to understand how the religious topography in modern Korean society was formed and changed, there is a great need for basic researches on the ethnic religious movements that occurred in the period of confusion and turbulence during the process of Korean modernization from the latter period of ports being opened in the 1860’s of the Joseon Dynasty to Japanese colonization (1910~1945).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systematically establish indexes, have original texts translated, and interpret the primary historical materials which were collected through a filtering system. This kind work in which a data base is created can help us maximize accessibility to fundamental materials and enhance and promote better quality research and study. For the study of religious policies in the period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Joseon Chong"dogbu) during the Japanese colonization, it is very important to study The File of Miscellaneous Matters on Religions (1905-1909), which was issued by the Japanese Residency-General in Korea (Joseon Tong"gambu) during the period of the Great Korean Empire. This document is a public document file related to the administration of Japanese religious missionaries in Korea. It is a precious material that allows us to know about the regulations on religions and the administration of the Japanese Residency-General in relation to religions of Japan, and then current situation of that time to propagate Japanese religions in Korea as well as ‘Regulations about the Proclamation of Religion.’ Furthermore, in articles of The Collection of Reports on Ideologies (Sasang-huibo, 1934-1943) which was issued following the Monthly Report of Ideologies (Sasang-wolbo, 1931-1934) issued by the Inspection Bureau of the High Court in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we can find valuable materials which clearly reveal how ideologies and circumstances were suppressed and controlled by Japan. As such, it is necessary to maximize research accessibility to fundamental materials by creating a data base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systematic indexes, the translation of original texts, and the interpretation of primary historical materials based on a filtering system. We should carry such works concerning ethnic religious movements and culture of modern Korea through the an understanding and clarification of the historical raw data in terms of time, through an in-depth comparative analysis of raw data by theme, and through a multi-dimensioned illumination on interoperability with Japan in terms of space. By doing such research works, we can not only supply simply basic materials but achieve academic products based on comprehensive and specialized foundation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