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습자의 작업기억 특성, 공간적 근접원리, 멀티미디어원리가 파지와 이해에 미치는 효과

        이현정 ( Hyun Jeong Lee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5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작업기억 용량의 차이가 학습에 미치는 영향과 공간적근접원리와 멀티미디어원리를 적용한 학습 자료가 파지와 이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실험 1에서는 대학생 88명을 대상으로 공간적근접원리의 적용 여부(이미지와 문자 정보 통합 vs. 이미지와 문자 정보 분리)와 학습자의 작업기억 용량 차이(낮음 vs. 높음)가 학습자의 파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공간적근접원리의 적용 여부는 파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지만(F = 6.98, p = .010), 작업기억 용량의 차이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작업기억 용량과 공간적근접원리 적용 여부간에 상호작용 효과도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 2에서는 대학생 70명을 대상으로 멀티미디어원리의 적용 여부(이미지와 요약된 문자 정보를 함께 제시 vs. 문자 정보만 제시)와 학습자의 작업기억 용량 차이(낮음 vs. 높음)가 학습 내용 이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에 의하면, 멀티미디어원리의 적용에 따른 차이(F = 45.32, p < .001)와 학습자의 작업기억 용량에 따른 차이(F = 5.09, p = .028), 그리고 두 변수의 상호작용 효과가(F = 5.68, p = .020) 모두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earners` working memory capacity and instructional design principles (spatial contiguity principle & multimedia principle) on retention and comprehension. This study designed two experiments. The experiment 1 was to analyze the main effects of spatial contiguity principle and working memory capacity and the interaction effect on retention. Eighty eight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and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1 revealed the main effect by spatial contiguity principle (F = 6.98, p = .010). The experiment 2 employed more complex learning task than the experiment 1 with 70 college students. The specific goal of the experiment 2 was to scrutinize the main effects of multimedia principle and working memory capacity and the interaction effect on comprehension.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2 revealed the significant main effects by multimedia principle (F = 45.32, p < .001) and by working memory capacity (F = 5.09, p = .028) and th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F = 5.68, p = .020).

      • KCI등재

        매체의 확장을 통한 일상성의 탐구 - 본인의 회화, 디지털 프린트, 영상작업을 중심으로

        박성환 한국영상학회 2019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7 No.3

        연구자의 작품에서 회화작업을 통해 표면화된 이미지들은 의식 속의 관념에 근거하고 있지만 동시에 일 상의 실제성을 내포하고 있다. Unfamiliar Maps; Multiple Perspectives전에서 회화는 디지털 프린트, 영 상의 순서로 재작업되면서 회화에서 확인되지 못했던 새로운 의미들을 계속해서 산출해 낸다. 먼저 회화 에서 디지털 프린트로의 재작업에서는 이미지와 구체적 사물, 주관적 공간과 설명도의 관계로 의미가 확 장된다. 영상작업에서는 현실의 사물과 가상의 이미지들이 유기적으로 결합하며 실제 영역과 가상 영역 이 상호교차하게 된다. 그리고 대상들 간의 연결고리는 스토리에 의해 더욱 공고해진다. 회화에서 영상 으로의 재작업은 한 그림 안에 머물러있던 조형화된 관념을 실제 확인 가능한 사물로 이끌어 내며 주관 적 내면의 영역에서 탈출하여 실재하는 현실과 가상의 영역을 수시로 이동할 수 있게 하였다. 실제 전시 에서 매체 간의 이동은 상호 통합적으로 진행되며 이를 통해 관객은 의미가 확장함을 의식 속에서 체험 하게 된다. 이러한 작업방식은 일상을 파편화된 이미지들의 상태로 보는 연구자의 세계관을 반영하며 작 업을 통해 일상을 하나의 반복적인 놀이로 전환함으로써 현실의 관계적 맥락을 강조하고자 하는 것이다. In my works, images that surface through paintings are based on the notion of consciousness, but at the same time they contain the actuality of daily life. Paintings in my exhibition entitled Unfamiliar Maps; Multiple Perspectives are reworked in the forms of digital prints and videos, continuing to produce new meanings not found in the paintings. First, when reworking from painting to digital printing, meaning is expanded in relation to images, concrete objects, subjective spaces and explanations. In the video works, actual objects and virtual images are combined organically, and the real and virtual areas cross each other. The link between the objects is also reinforced by the story. Reworking from a painting to an image led to a formative idea which remained in the painting of actual verifiable objects and escaped from the subjective inner area to move to reality and virtual areas through time. In an actual exhibition, movements between media proceeds in an integrated manner, and the viewer experiences an expansion of meaning through consciousness. This type of work reflects the researchers' view of the world as a state of fragmented images and emphasizes the relationship context of reality by transforming everyday experiences into repetitive play through work.

      • KCI등재

        웹 기반 멀티미디어 공동 작업 환경에서의 동기화 오류 제어 시스템

        고응남,Ko, Eung-Nam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11 No.1

        본 연구에서는 ESS_WMCE를 제안한다. 이 논문은 ESS_WMCE상에서 실행되는 EDSS의 설계와 구축을 기술한다. EDSS는 웹 기반 멀티미디어 공동 작업 환경에서의 동기화 오류 제어 시스템이다. 훅킹 방법에 의하여 오류를 감지하고 오류 전단 기법은 응용 공유 시스템을 이용한 수정된 모델이다. 두레는 컴퓨터 지원 협동 작업을 위한 응용을 개발하기 위하여 지원되는 좋은 프레임워크 모델이다. 이 시스템은 기본적인 서비스 기능을 가지고 있고 기능들은 객체 지향 개념으로 구현되어 있다. 이것은 소프트웨어 기술을 사용하여 웹 기반 멀티미디어 공동 작업 환경에서 발생되는 소프트웨어 오류를 신속하게 감지하고 공유시키는 데 적합하다. 본 논문은 공유되는 객체를 접근하기 위하여 URL 동기화뿐만 아니라 오류를 공유할 수 있다. 오류 발생 시에 오류 감지는 MS-Windows API에 있는 훅 킹(hooking) 방법을 이용한다. 감지된 오류는 공유되는 객체를 접근하기 위하여 오류공유가 가능하다. We propose ESS_WMCE. This paper explains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EDSS running on ESS_WMCE. EDSS is a synchronization error control system for web based multimedia collaboration environment. We have an error detection approach by using hooking method. The technique of an error transmission is a mended model of utilizing an application sharing system. DOORAE is a good framework model for supporting development on application for computer supported cooperated works. It has primitive service functions. Service functions are implemented with an object oriented concept. It is a system that is suitable for detecting and sharing a software error rapidly occurring on web based multimedia collaboration environment by using software techniques. It is able to share an error as well as providing URL synchronization to access shared objects. When an error occurs, this system detects an error by using hooking methods in MS-Windows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function. If an error is found, it is able to provide an error sharing to access shared objects.

      • KCI등재

        미스 반 데 로에의 미디어 작업에 관한 연대기적 연구

        전영훈,김형준 대한건축학회 2005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1 No.10

        Mies van der Rohe was attracted to the spreading effect of the modern media-works on culture from beginning of his career, and utilized it systematically throughout his life. It includes image build-up works such as photo montage, documents fabrication, modeling, publications, exhibitions and so on. In the early stage of the works, he had concentrated on the notification of specified messages even than the realization of the projects. But his strategy was different from those employed by other avant-gardes, since it entailed a symbolization of modern man's disintegrated life and its recovery rather than a fragmentation of meaning which results from the destruction and reproduction of the object. About the time of 1930', he had strengthened the relationship of the composition elements and spatial integration for the rationalization of system as a whole. As a consequence of it, birdeye-view and interior perspective was widely used and human entered on the stage. And with these mutations, his view moved from outside to inside and formed the theme of 'the exterior structure and the inside surface'. After 1940', he had struggled to acquire the constructivity of architecture which combine the essence-supplement, the structure-ornament, and finally arrived at the peak of the paradoxical project aimed to overcome the fragmentation and disjunction of modern life. So, his work passed over the mere virtual world, and in this point, it is elucidated as an constructional strategy for the reconstruction of modern world.

      • KCI등재후보

        젊은이들의 특성에 대한 이해와 교리교육의 비전

        김남철(Kim, Nam Chul)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1 神學展望 Vol.- No.173

        오늘의 현실에서 대부분의 교육이 도구적 지성과 그 활용에 치우치는 교육이라는 사실을 지적하면서 이러한 교육적 현실에서 사회적 지성을 발달시키며 이웃을 향해 마음을 열어가는 교리교육이 절실히 필요하게 되었다. 그리고 온라인(on-line)에서 빚어지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오프라인(off-line)에서 이루어지는 대면적 관계를 통해 사회적 지성을 발달시켜 나가는 역할이 교리교육 안에서 더욱더 절실해지고 있다. 이 절실함을 알아보기 위해 현대 젊은이들의 특성을 집약하고 있는 ‘밀레니얼 세대’(millennial generation)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컴퓨터의 사용이 많아지면서 얼굴을 맞대고 이루어지는 대면적 자극이 결핍되고 있음을 확인하게 되었다. 따라서 현실의 문화가 동반하게 되는 사회성의 결여는 결국 사회적 뇌의 발달과 관계됨을 알 수 있다. 특히 신앙인으로서 마음을 열고 이웃에게 다가가기 위해서는 오프라인의 교육훈련이 절실하며, 이러한 교육에 힘을 실어줄 방법을 모색할 필요성을 느끼게 된다. ‘사회뇌’(social brain)도 근육과 마찬가지로 사용하지 않으면 뇌의 기능이 저하되고, 사용하면 할수록 발달된다는 점에 착안하여 오프라인에서 이루어지는 교리교육에 참여하도록 이끌 필요성을 느끼고, 이를 위한 견인력을 갖는 방법으로 현대 미디어의 적극적 활용 방법을 찾아본다. 특히 사회 뇌의 발달을 촉진시키기 위해서 오프라인의 교리교육에서 시?청각을 활용한 방법으로, 역할을 가지고 참여하는 공동 작업의 기회 제공과 개인적 발표를 늘릴 수 있는 교리교육 방법의 제시가 요청된다. 그리고 여기에 곁들여서 ‘봉사’를 통해 얻게 되는 ‘보람과 의미’의 획득이 신앙의 한 체험이 될 수 있도록 이끄는 것도 필요하다는 생각에 이르게 되었고, “실천이 없는 믿음도 죽은 것”이라는 야고 2,26의 말씀처럼 ‘에듀케이션’(education)을 지향하는 방향으로 교리교육을 펼칠 수 있도록 제시하고 있다. This article points out that education generally tends to stress the importance of utility and practicality, which lead to individualism, and that, as an alternative education, religious education should pay attention to a social intelligence, open to the surroundings. As a way to overcome the problem created by the cyber culture, the religious education of youth needs to provide a space for face-to-face relationships. This article first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istic Millennial Generation and shows how this generation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past generations, and what impediments it has in the development of the social brain. One of the problems of the prevalence of cyber culture is that people who spend too much time alone on the computer show a deficiency of social stimulus from the lack of human interaction. In this culture, people have difficulty in developing a sense of community and experience an under-development of the social brain. In this socio-cultural environment, the religious education of youth needs to find a new framework which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human relationships. Second, this article suggests a method of religious education for the resolution of this individualism’s cyber culture which utilizes social media - the mainstay of most Millennials - and is designed to develop a sense of community. As with any other muscle, the social brain needs to be exercised to function well. In this sense, religious education, should focus on the development of the social brain, offer consistent social engagement and enhance opportunities for group collaboration. In addition, this education must lead the youth to experience faith through service and meaning -making, based on James 4:26 that “faith without action is dead.”

      • KCI등재후보

        정신의학 수업을 위한 영상 매체 활용의 효과

        박수정(Su-Jong Park),박윤희(Yun-Hee Park),박보라(Bo-Ra Park)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5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과에서 실시되고 있는 정신의학 관련 수업의 이해를 위해 영상 매체를 활용하고 수업을 위한 학습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경상도에 위치한 3개의 대학 작업치료과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질환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수업에 대해 6회차에 해당하는 영상 매체를 활용한 수업을 활용하고 그 효과를 측정하였다. 수업의 효과를 특정하기 위해 학습동기 검사와 과목에 대한 흥미도 및 이해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영상매체를 활용한 정신의학 수업이 학생들의 정신의학 수업의 학습동기 향상과 과목 흥미도 및 이해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o evaluate the learning effect for the class utilizing visual media and to the understanding of psychiatric-related class work being done in Therapy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Using visual media utilizing a time difference corresponding to 6 classes required for an understanding of the disease and as a target class for third year students of three universities Therapy jobs located in Gyeongsang measure its effectiveness. The inspection was carried out and also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learning motivation test subjects to the effects of a particular clas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on improving understanding of Psychiatry and motivation of students and improve teaching also interesting subjects using visual media medicine mental classes.

      • KCI등재
      • KCI등재

        제니 홀저의 텍스트 작업에 나타난 정치성

        오유진(Yoojin Oh) 현대미술사학회 2012 현대미술사연구 Vol.0 No.31

        This thesis is concerned with political aspects in the works of Jenny Holzer(1950-). She, a representative artist who uses words, has interacted with people through socially critical texts since the late 1970s. Previous studies about her works mostly focus on analyzing the early texts which were written by herself. Thus, her texts which are borrowed from outside and artworks, such as LED sculptures and light projections, which emphasize visual perception effects are neglected in those studies. Consideration of texts and mediums together provides crucial clues for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diverse works of Holzer. Therefore, in this thesis I would also examine her borrowed texts and strategies for mediums and exhibition spaces and attempt to figure out a visual realization of the sociopolitical dimensions in her artworks. Holzer adopted words as a medium in her works due to the influence of Conceptual Art which was in a dominant position when she started her career as an artist. Conceptual Art emphasized an artist’s idea and suggested a concept of art as information to get rid of traditional notions of art. During a period when many of her contemporaries participated in activism groups, Holzer was also an member of one of the activism groups and worked on a number of events. She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power and language in non-art contexts. Based on the experiences of collaboration in the group, she has been constantly interested in social problems and interacted actively with people. Holzer’s messages, framed in simple and unadorned language, run the gamut of contemporary concerns, among them AIDS, torture, war, sexual violence against women and abuse of power by authority. Her early works remind us that social ideologies are internalized as individual faiths through language and expose the coercion that is usually hidden in language. Meanwhile, the texts about sexual assaults against women urge us to pay more attention to others who were sacrificed in the war as well as victimized women. Also, the works based on previously classified documents reveal the manipulation of information by the government and deal with contemporary issues. Likewise, Holzer’s texts sharply reflect the absurdities of our society and induce flexible interpretations by excluding the intervention of the author. In her early works, Holzer used strategies borrowed directly from the mass media and amazed people with unexpected phrases on the street. She also reflected urban landscape and reminded people the historical meanings of the exhibition sites through site-specific works. On the other hand, works using light as a medium, such as LED signs and light projections, emphasize the visual aspect of words, so lead to new understandings of the texts. To sum up, Holzer concentrated on conveying messages to a large number of people in her early career, but is becoming more interested in the aesthetic side in her works with time. Her works attempt to underline the socially critical contents through the visual effects, and allow liberal interpretations of themselves. In this regard, her works can be seen to have a unique political dimension. As aforementioned, Holzer’s works are characterized by the combination of various texts and mediums, and her persistent efforts to change our society by art underlie her works in general. This study aims to research the political aspects and common ground in her diverse artworks. Also, this thesis would examine the instances that words are not only used for communication but also used for aesthetic purposes in her works, thus it attempts to find out political dimensions of her artworks in a broad sense.

      • KCI등재

        영화와교육(Bildung) : 영화의 교육적 내용지도에 대한 미디어 교육학의 가능성과 역할

        한스-게르트 슈미트,문혜성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05 미래교육학연구 Vol.18 No.1

        이 논문은 영화라는 예술분야와 영화가 내포하는 교육적 측면을 인간의 교육을 위해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가에 관한 것을 논하고 있다. 영화의 교육적 활용이 교육적으로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 그리고 이를 교육현장에서 교육자료 및 인성형성과 정체성 확립을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활용하려 할 때 어떠한 점을 고려해야 하는가를 이야기하고 있다. 이를 위해 주어진 논제는, 교육의 개념은 영화와 어떻게 연계되는가, 영화의 교육적 잠재력은 무엇인가, 이러한 교육을 공적인 교육제도를 통해 구현해야 하는가, 그렇다면 어떠한 형태로 교육되어야 하는가 등이다. 이에 대한 설명을 위해 이 글에서는 우선 교육의 근본적인 개념을 파악하고 있다. 나아가 김기덕 감독의 영화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과 몇몇 독일 컬트영화들을 사례로 하여 영화의 상징적 측면에 대해서도 논하고 있다. 영화와 교육이란 이 논문에서는 결국 미디어 교육학의 핵심개념으로써 인간의 미디어 능력 발달을 위한 "영화에 관한 교육"과 영화를 통한 "인간의 인격형성에 관한 교육"을 논하고 있다. In dieser Abhandlung geht es um Film und seine Bildungspotenziale. Dazu gehoert auch die Moeglichkeit der Verwendung des Films im schulischen Curriculum. Als Bildungsinhalte bietet der Film Medienkompetenz und Verwirklichung des Menschlichen im Menschen in Form der Identitaetsfoerderung. In diesem Zusammenhang wurden entprechende Fragen aufgegriffen wie z.B.: Was bedeutet der Begriff Bildung im Zusammenhang mit Film, worin liegen berhaupt die Bildungspotentiale des Films, mssen sie institutionell vermittelt werden, und wenn ja: in welcher Form? Antworten auf diese Fragen wurden im Zusammenhang mit dem Film Fruehling... und einigen kuerzlich erschienen deutschen Filmen entwickelt und verdeutlicht. Als eine Conclusion ergibt diese Abhandlung, dass Spielfilm im Zusammenhang mit Bildung zwei grundlegende Aspekte erffnet: Bildung bedeutet erstens "Erziehung zum Film" in Form von Medienkompetenz (= Medienkompetenz). Bildung bedeutet zweitens die Bildung des Menschen in seiner Persnlichkeit.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