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미디어 담론 분석 연구에 대한 메타 분석

        정재철 한국소통학회 2015 한국소통학보 Vol.28 No.-

        본 연구는 국내 미디어 담론 분석 연구 논문에 대한 전체적인 메타분석을 시행해 봄으로써 국내 미디어 담론 분석 연구가 현재 어떠한 학문적 지형에 있는지를 정리 및 조망해 보고 국 내 미디어 담론 분석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발전적인 측면은 무엇인가를 검토한다. 국내 미디 어 담론 분석 연구 논문의 메타분석 결과, 국내 미디어 담론 분석 연구는 비판적 언어학의 영 향을 받으면서 문화연구 전통의 비판적 미디어 담론 분석 전통과 비판적 언어학을 배경으로 하는 비판적 담론 분석(CDA)이 주류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내 미디어 담론 분 석 연구 분야는 국·내외에서 공부한 소수의 미디어 문화연구자들에 의해서 산발적으로 이루 어지고 있어서, 좀 더 담론 지식을 공유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네트워크화 된 미디어 담론 연 구자의 확충과 이를 통한 깊이 있는 미디어 담론 지식 생산이 국내 미디어 담론 분석 연구진영의 과제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conducts both comprehensive meta-analysis on the research subject focused on the Korean media discourse analysis method study. This meta-analysis study deal with 54 articles published in the six major korean communication study journals during the period of 1992-2014. A meta-analysis based on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reveal: First, researchers have inconsistently defined the terms, ‘discours’ or ‘discourse analysis’ and their conceptualization has largely been derived from their own perspective. Second, approaches to media discourse analysis are varied based on linguistics, social linguistics, semiotics, social semiotics, critical linguistics and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his study shows that he most recent trend for the study of media discourse is an approach to critical discourse analysis for media discourse study. Third, this study shows that there is a poverty of media discourse study in korea in researcher and the number of published papers regarding the media discourse.

      • KCI등재

        한국 미디어에 나타난 여성 외모담론 - 2000년부터 2017년 뉴스 기사의 비판적 담론 분석을 중심으로 -

        안진현,하지수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9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9 No.3

        Commercialism and the profit structure of the media and the consumer appearance management industry have been intensified with the capitalistic development, making women pursue appearance defined by the media rather than the biological beauty. In particular, as a kind of ideology, discourse on the body modification established from such a process encourages women to acquire their appearance through modification cutting and trimming a body. Hence, it is needed to understand the discourse on Korean women’s appearance in media from a contextual way by analyzing how such discourse was created in media and especially what action women do for a body and body modification.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discourse on female appearance in the Korean media with understanding on the way they produce the discourse based on body modification and females’ changing perception and attitude on appearance. Through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6 daily newspapers from 2000 to 2017, discourse from the Korean media could be analyzed into the appearance management as qualification, appearance concept fragmented, appearance evaluation internalized, appearance surveillance deepened, and the coexistence of destructive appearance discourse and subjective appearance practice. The media was making females desire for more beautiful and better looks and saying that they had to have it. The media were exercising the unfair power over community members, urging them to transform their body and implanting standardized desire in their mind, and they were destructing their lives and values significant to them. They are to put their looks in the center of the limitless competition and especially be immersed in the operation of a body through the modification. Such discourse on appearance was neither formed by one or two news articles nor established within a short time. It has been reflecting the ordinary language and acting as the power for a long time in a stable manner. Through a multilateral approach to the discourse on appearance which has been established in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Korea, media and women and conducted by individual practice since 2000,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reconsidered perception of the discourse on female appearance formed by the present Korean media and deepened by practice of women and investigated an appearance management phenomenon of Korean society’s own from a perspective of fashion design. 언론과 외모관리 소비산업의 상업적 목적과 수익구조는 자본주의의 발달에 따라 심화되어, 단순히 생물학적인 아름다움이 아닌, 미디어 속에서 규정되는 외모를 여성이 추구하도록 만든다. 특히 이러한 과정을 통해형성된 신체 변형에 관한 담론은 일종의 이데올로기로서 여성이 스스로 신체를 깎아내고 다듬는 변형을 통해 외모를 획득하도록 조장하고 있다. 따라서 미디어 속에서 여성의 외모담론이 어떠한 방식으로 생성되었는지, 특히 신체와 신체 변형에 관하여 여성들이 어떠한 행동을 실천하게 만드는지 분석함으로써 미디어 내에형성된 한국 여성의 외모담론을 맥락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한국 미디어가 신체 변형을중심으로 담론을 생산하는 방식과 그에 따라 변화한 여성의 외모 인식과 태도를 이해하여, 한국 미디어에나타난 여성의 외모담론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2000년부터 2017년까지 6개사의 중앙지에 실린 뉴스 기사를연구 범위로 페어클로의 비판적 담론 분석을 통해 한국 미디어에 발견된 담론은 스펙화된 외모관리, 파편화된 외모개념, 내재화된 외모평가와 심화된 외모 감시, 파괴적 외모담론과 주체적 외모 실천의 공존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미디어는 더 아름답고 나은 외모를 갖고 싶도록, 또 이를 가져야만 한다고 말하고 있었다. 신체 변형을 종용하고 획일화된 욕망을 심어주는 미디어는 사회 구성원들을 향해 부적절한 권력을 행사하고있었으며, 끝없는 욕망의 실현을 위해 사회 구성원들은 중요한 자신의 삶과 가치를 파괴하고 있었다. 무한경쟁의 한 가운데 외모를 두고, 특히 변형을 통한 신체 운용에 더 몰입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외모담론은결코 한두 개의 뉴스 기사 내용으로 형성되거나, 짧은 시간에 만들어진 것이 아니었다. 일상 언어가 반영되어오랜 시간 동안 공고하게 외모담론이 권력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2000년 이후 한국, 미디어, 그리고 여성이라는 특수성 속에서 외모담론들이 형성되고 개인의 실천으로 행해지는 것에 대해 다각적으로 접근하여, 현 한국 미디어가 만들고 여성들의 실천으로 심화되는 여성의 외모담론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패션디자인적인 입장에서 한국 사회만의 독특한 외모관리 현상을 구체적으로 밝혔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서구미디어의 지배담론에 대한 방탄소년단 글로벌 팬덤의 대항담론적 실천 연구

        이지행 한국여성문학학회 2020 여성문학연구 Vol.50 No.-

        This study aims to highlight the conflict between the BTS fandom and the Western media on the dominant discourse on BTS. Western media’s not taking BTS’ musicality seriously; downplaying their English skill and their non-English lyrics, disparaging their appearance as unmanly; and defining fandom as ‘crazy teenage girls’ shows that the dominant discourse on the K-pop in general, which has been treated as a subculture in Western society, still applies to BTS to this date. This dominant discourse on BTS reveals racism, xenophobia, misogyny and English-centric ideology internalized by Western cultural intermediaries such as journalists, critics and music experts. This study aims to provide individual examples of how this dominant discourse is unfold via media representation; and it also aims to look into the fandom practices as the counter discourse cases. Such counter discursive practices, carried out by global fandom backed by unrivaled influence on social media landscape, are meaningful in terms of audience study case that we can observe the dynamics of discourse competition between traditional media and new media at a time when the legacy media, which has long served as a traditional cultural intermediary and gatekeeper, gradually loses its influence. 본 연구는 팬덤 수행을 통해 방탄소년단을 서구 음악산업계 정상에 올려놓을 만큼 글로벌한 영향력을 가진 방탄소년단 팬덤과 서구 미디어 사이에 방탄소년단에 대한 지배담론과 대항담론의 충돌이 일어나고 있음을 조명하고자 한다. 방탄소년단의 음악성을 진지하게 취급하지 않으며, 그들의 영어실력과 비영어 가사를 꼬투리 잡는 태도, 그들의 외모적 특질을 남성답지 못하다고 폄하하며, 팬덤을 ‘광적인 십대 여자애들’로 단정 짓는 등의 태도는 서구 사회에서 그동안 하위문화로 취급되어 왔던 K팝 일반에 대한 담론이 방탄소년단에게 그대로 적용되고 있는 것을 보여준다. 방탄소년단에 대한 이 같은 지배담론은 해당 담론장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서구의 기자, 비평가, 음악전문가 등의 문화매개자들이 내면화한 인종주의, 제노포비아, 미소지니, 영어중심주의 이데올로기를 드러낸다. 본 연구는 이런 지배담론이 어떤 양태로 드러나는지 개별적 사례를 통해 밝히고, 이에 대항하는 방탄소년단 팬덤의 언술적 생산이 구체적으로 어떤 대항담론적 실천의 형태로 나타나는지 사례를 통해 살펴본다. 서구미디어의 지배담론 지형을 변화시키기 위해 온라인에서의 독보적인 영향력을 배경으로 글로벌 팬덤이 행한 이같은 대항담론적 실천은 전통적인 문화매개자이자 게이트키퍼 역할을 해왔던 레거시 미디어의 영향력이 차츰 줄어들고 SNS 같은 뉴미디어의 영향력이 커지는 현재의 미디어 상황에서, 팬덤 수용자 연구 영역에서의 전통 미디어와 뉴미디어 사이의 담론 경쟁 역학을 관측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 KCI등재

        올드미디어는 뉴미디어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주재원(Jae-won JOO),나보라(Bora NA)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09 언론과 사회 Vol.17 No.2

        새로운 매체의 등장은 기존 매체의 위상에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되어 미디어 장 내에서는 제한된 영역을 차지하고자 하는 권력투쟁이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미디어 상호간의 권력관계, 특히 담론생산의 주도적 위치를 차지하는 올드미디어로서의 신문이 텔레비전, 인터넷 등의 시대별 뉴미디어와 관련해 생산하는 담론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신문은 뉴미디어에 대해 교육적ㆍ공익적 역할의 충족 여부를 평가하고 그에 따라 긍정적 혹은 부정적으로 보도하는 경향이 있으며 그 보도방식은 사실 보다는 가설에 기반하는 양상을 보였다. 텔레비전에 대한 담론의 경우 전반적으로 ‘저속할’ 뿐만 아니라 ‘공공성이 결여된’ 매체로 재현하고 있으며, 인터넷에 대해서는 도입기에 긍정적 담론이 다수 발견되었으나 성숙기로 갈수록 ‘선정적’이면서 ‘중독성’이 강하고 ‘병리적 치료가 필요한’ 매체로 재현되고 있었다. 둘째, 신문은 새롭게 등장하는 뉴미디어를 ‘타 국가와의 경쟁도구’로 담론화하는데, 이 과정에서 외국의 뉴미디어 관련기술과 문화에 대한 이중적 보도양상을 나타냈다. 즉, 기술적 측면에서 뉴미디어가 선진국의 앞선 수준에 도달해야 함을 강조하면서도 내용적 측면에서는 뉴미디어로 인해 파생되는 외국 문화에 대해 부정적 시각을 견지하거나, 기술적으로는 발전했을 지라도 대안 미디어로서의 기능에 관한 담론은 축소되어 있었다. 셋째, 신문은 뉴미디어의 등장으로 야기되는 사회적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가족(부모)의 관심과 대화’와 ‘인쇄매체의 활용’ 등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시각은 신문매체가 뉴미디어를 이성적 판단이 부족한 미성년자들의 전유물로 바라본다는 관점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신문이 텔레비전과 인터넷을 비윤리적이고 수준 낮은 미디어로 재현하는 것에 반해 신문 스스로에 대해서는 매우 ‘엘리트적’이며 사회를 선도하는 ‘정동성’ 있는 미디어라는 담론을 반복적으로 생산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올드미디어로서의 신문이 이항대립적 위치라는 특수한 입장에서 타 미디어를 특정하게 담론화함으로써 미디어 장에서의 우월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담론생산 행위로 해석할 수 있다. Advent of new media influences on the status of existing media. When new media enters into the existing field of media, a power struggle for leading position erupts among media. During this struggle, old media makes use of its leading position in discourse producing to fix new media in a specific frame. This research analyzed newspaper articles on new media, which are television and internet, to see how this struggle goes and the mechanism of power works on the basis of the stage of media life cycle. The results are followed: first, newspaper tended to judge how well the new media performs its educational and public duty as a popular media and then decide the way of indicating new media, positive or negative. According to discourse regarding new media in newspaper, television was indicated as a medium that is 'low' and 'lack of publicness'. A few of positive discourses were found in the introduction stage of internet, but when it comes to maturity stage, internet began to be indicated as 'lascivious' and 'addictive' medium that needed treatment to be cured which eventually defined the medium as a pathological phenomenon. Second, newspaper produced certain discourses that define new media as a 'mean to compete against other countries'. Also newspaper took contradictory attitude since it admitted that new media brought advanced technology which is essential for competition against other countries and that is good, but on the other hand, it consistently maintained negative view on foreign cultures that inevitably flowed into the country. Third, to solve the socio-cultural problems caused by new media, newspaper suggested to make use of 'conversation with family' and 'reading print media'. This is not just about the conservative attitude of newspapers which had been spreading the value of traditional family, but also shows that newspaper regards new media as teenagers' sole property who are not fully matured. Lastly, while newspaper has defined television and internet as mass media or populistic media all along, it placed itself in the opposite side of new media defying itself as 'elite' and 'authentic' medium that leads the society in right way.

      • KCI등재

        미디어 담론으로 본 농촌유학의 의미 구성과 실천

        안새롬(Saerom Ahn) 한국환경교육학회 2018 環境 敎育 Vol.31 No.3

        이 연구는 미디어를 매개로 생산된 ‘농촌유학’을 둘러싼 담론들과 그 담론적, 사회적 실천으로 재생산된 의미를 추적하였다. 이를 위해 Fairclough가 고안한 비판적 담론 분석을 방법론으로 활용하고, EBS 다큐멘터리 ‘시골 학교, 도시 아이들’을 분석 텍스트로 삼았다. 텍스트는 농촌유학을 어떻게 재현하는지, 어떤 담론이나 장르와 접합되는지(상호담론성), 사회적 실천들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어떤 의미들을 생산하는지 등을 중심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미디어를 통한 농촌유학의 담론적 실천이 도시교육의 병리적 진단, 근대 어린이 이데올로기, 부모 호명, 교육위기 담론, 농촌의 낭만화, 홍보 장르, 신자유주의적 질서 속에서 구성되고 의미를 생산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Schooling in farm village, called Nongchon Yuhak has arisen in Korea. This paper traces the discursive practices of schooling in farm village produced and reproduced by media. The documentary, ‘A Rural School, Urban Children’ on EBS, is analyzed using Critical Discourse Analysis (CDA) as suggested by Fairclough. The followings are examined: how schooling in farm village is represented, what kind of discourse or genre are articulated (interdisciplinarity), and how the social practices that the text belongs to are addressed. This study found that the discursive practice of schooling in farm village is both constitutive and constituted in the pathologization of urban education, parents interpellation, ‘educational crisis’ discourse, rural romanticization, promotional genre, and neoliberal order.

      • KCI등재후보

        미디어 다문화 담론 분석

        장민정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3 다문화교육연구 Vol.6 No.3

        This study analyses the multicultural discourse of the media in creating mutual understanding among society and individual. Demands for “social cohesion” and “integration, Multicultural policies in general have been debated in Korea, and increasingly since the dawn of the millennium. Texts are to be analyzed in their social settings as well as in their discursive settings(Fairclough, 1995), so analyzing the discourses of multiculturalism in media text, in this article used critical discourse analysis and textlinguistics theory. Media texts produced what types of multiculturalism and minority identities are worth celebrating. Therefore, I examine the discourses in multiculturalism expressed in 『Chosunilbo』and endeavor to answer the question of how Multiculturalsim is defined in Korea. 이 연구는 미디어의 다문화 담론분석을 통해 현재 한국 사회의 다문화 담론의 방향성에 대해 조명해 보았다. 세계화시대 다문화 담론은 전 세계적인 핵심 논제가 되고 있다. 이는 한국도 예외가 아니어서 다문화 정책이나 다문화주의에 대한 논의들이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논의들이 어떤 방향으로 초점화되고 있으며, 진행되고 있는지를『조선일보』기획기사 분석을 통해 시도했다. 이 분석을 위해 비판적 담론분석 방법과 텍스트언어학이론 등을 활용하여, 신문기사의 구조에 따라 담론을 분석하였다. 미디어에서 생산된 담론은 하나의 개념으로 정립되고, 다른 유사 담론으로 재생산되며 사회적 담론으로 규정되는 성격이 있다. 따라서 미디어가 규정하고 있는 다문화 가정에 대한 담론은 오늘날 한국 사회의 다문화 담론의 방향성을 확인하는 중요한 렌즈가 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는 미디어에 조명된 다문화에 대한 인식과 관점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현재 한국의 다문화 담론은 크게 보수적 다문화 담론, 공공의 다문화 담론, 비판적 다문화 담론 세 가지로 논의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세 가지 담론은 지금 현시점에서 확인되고 있는 현실의 다문화 사회, 그리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이상적 다문화 사회, 그리고 현실과 이상 사이의 간극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해 비판하는 관점으로 유형화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UCC의 정치 활용에 대한 미디어 담론과 의미-17대 대통령선거 시의 담론을 중심으로

        백선기,이경락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09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1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edia discourses about usage of UCC in politics and its various meanings in the society. Around the 17th Korean presidential election, the media discourse about great impacts of UCC uses in the election was so dominant in various media fields in Korean society. But its outcome and accomplishment was not so much greater than should be expected. The author tried to pay attention to media discourses about UCC usage in that time-period and discuss about its societal meanings. News items from newspapers and othe media were collected from Oct. 1 of 2006 to April 30 of 2008. Each of news items was analyzed with various semiotic and discourse analytic methods. As a main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Korean media tended to produce the 'blue-print discourse' about its usage in politics, but they did not pay proper attention to it after such kind of 'blue-printed' outcome was not accomplished. Thst is, Korean media did not build up more speculative discourses about reasons why such kind of great outcome was not attained. 본 논문은 UCC의 정치 활용에 대한 미디어의 담론들과 그것들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초기에 UCC가 등장할 때 학계와 미디어계는 정치, 특히 대통령 선거와 국회의원 선거시에 대단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였다. 그러나 결과는 예상보다 크지 않았다. 이에 대해 당시의 우리 미디어들은 어떠한 담론들을 구성하였으며, 그것들이 지니고 있는 의미들은 무엇이었으며, 우리사회에서 함의하는 바는 무엇이었는가에 대해 논의하였다. 2006년 10월부터 2008년 4월까지의 기간 동안에 각종 미디어들에서 제시하고 있는 UCC 정치 활용 기사들을 수집하였고, 이들 기사들에 대해 기호학적 분석방법과 담론구조 분석방법들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 미디어는 기사의 거시구조와 미시구조를 통해 UCC의 정치 활용에 대해 과다한 ‘기대 담론’을 생성하였으나, 선거법의 규제와 각종의 제한 상황으로 인해 예상했던 기대가 나타나지 않았을 때 그것을 성찰하거나 분석하는 ‘성찰의 담론’을 생성하지 않았다.

      • KCI등재

        법관의 SNS 이용을 둘러싼 담론의 대립과 역할

        홍남희(Nam-hee Hong)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6 언론정보연구 Vol.53 No.2

        이 연구는 2011년 말∼2012년 초 SNS를 통해 정권 비판적 발언을 한 세 명의 판사에 대한 미디어 담론과 이로 인해 촉발된 법원 내부의 담론을 분석 대상으로 삼는다. 판사들의 SNS 발언은 <조선일보>의 1면 단독 보도에 의해 사회적 의제로 설정되기 시작했는데, 여기서 주목하려는 것은 뉴미디어의 특성을 규정하고, 발언의 내용이나 주체를 (부)적절한 것으로 규정하는 담론의 역할에 대한 것이다. 즉, SNS가 공적인 것이냐 사적인 것이냐, 법관의 SNS 이용은 어디까지가 적절한 것이냐 등에 대한 담론을 통해 SNS에 대한 ‘권력-지식’의 관계, 뉴미디어에 대한 권력의 담론 전략, 그에 따라 형성되는 ‘품행의 인도’로서의 규범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담론의 정치에 주목하려는 것이다.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경향신문>, <한겨레>의 보도 분석과 법원 내부 담론을 미셸 페쇠의 선구성(the preconstructed), 절합(articulation), 호명의 틀을 통해 분석한 결과, 공적 공간으로서의 SNS와 사적 공간으로서의 SNS, 공인으로서의 법관과 사인으로서의 시민이라는 담론상 대립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공/사에 대한 전통적인 구분과 전제에 입각해 법관이라는 특정한 주체의 정치적 표현과 행동, 규범을 규정하고 있었다. 또한 보수 신문 중심으로 특정한 ‘막말’ 표현이 과도하게 인용되면서 법관의 ‘자질’이 문제화되었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이들을 조직 내에서 ‘배제’하는 결과를 낳았다. 해당 사안에서 보수/진보 신문의 담론 대립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나, 이 글은 보수 신문의 의제화가 법원 내 SNS 이용 가이드라인을 제정하는 등 조직 내 미디어 이용 윤리를 규범화하고 조직원을 통제하는 효과를 가졌음을 지적하고자 했다. 또 이는 법원 내부의 문제만이 아니라 공무원, 군인, 교사, 회사원 등 다양한 조직 내에서 작동하는 규범화/정상화의 권력 작용 및 주체 형성 과정과 연관된다. This study analyzed discourses of media and courts about three judges’ usages during 2011∼2012. The SNS postings by these judges was set forsocial agenda by Chosun-Ilbo. I want to emphasize the role of discourses which define features of new media, (im)proper behaviors and contents. By analyzing these discourses, it is revealed the relations of ‘powerknowledge’ and discourse strategies by power. And it can be interpreted ‘governmentality’ to conduct individual’s behavior and soul by Foucault. As a result of this discourse analysis, it appears oppositive side about SNS’s features and judge’s (im)proper behaviors in opposite media. If they define SNS is public sphere, speeches of judges in SNS is improper because they are ‘public man’ not to speak their personal opinion. The conservative papers had an important role that judges are ruled out from their organization. On the contrary to this, discourses by liberal papers define SNS is private that ensure personal freedom of expression. In short, this normalization is working for governmantality over the society at large not just only for judges but also various individuals such as public officials, soldiers, teachers, journalists or employees in various organizations.

      • KCI등재

        뉴미디어가 이끄는 중국 담론지형의 변화

        조복수 ( Bok Soo Cho ) 한국사회역사학회 2013 담론 201 Vol.16 No.4

        이 글은 담론권을 대상으로 시대의 변화에 따른 그 주체들의 변화와 주요 의제들을 고찰하고, 뉴미디어의 등장이 가져온 중국 담론지형의 변화를 분석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사회문화적 변동의 관점에서, 쌍방향 소통이 활성화 되면서, 중국 사회도 점차 개방적이고 소통이 가능한 사회를 지향해 가고 있음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시대별 고찰을 통해 담론권이 당과 국가의 신성한 권력에서 경제 주체들로, 뉴미디어의 등장으로 다시 일반대중들에게로 확대되어 담론권 다원화 시대가 도래를 확인했다. 더불어, 저항, 비평, 수용, 참여 등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형식들이 점차 중국인들의 일상으로 가까이 가고 있음은 뉴미디어가 이끄는 새로운 담론지형의 구체적인 모습이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몇 가지를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뉴미디어의 등장으로 일반대중들이 담론권의 주체가 될 수 있게 되었다. 일반대중은 서로 다른 사고를 가지고, 서로 다른 생활환경에서 살아가는 평범한 사람들을 가리키는데, 그들도 이제 자신의 의사를 표현할 수 있는 채널을 갖게 되었다. 둘째, 뉴미디어의 등장으로 다양한 의제들이 논의되고 있다. 과거, 전통적 사회주의 시기, 모든 사회적 환경자체가 사회주의였던 상황에서, 논의될 수 있는 의제는 단지 사회주의와 관련한 것들 뿐 이었다. 시장의 등장이 기존의 대중 매체들을 통해 경제적인 의제들에 대한 논의가 가능하도록 했다면, 뉴미디어의 등장은 정치, 경제뿐 만 아니라 다양한 사회적, 오락적 의제들도 논의의 대상이 되도록 하고 있다. 셋째, 뉴미디어는 담론권을 중국인들의 일상 속으로 가져가면서 의제의 다양함을 넘어 일상속의 사소함까지 끌어들이고 있다. 이상을 통해 알 수 있는 바, 뉴미디어가 이끄는 중국 담론지형의 변화란 사회적 소통네트워크가 활성화 되고 권력분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오늘날 열린 중국의 모습이다. This article observes the changes of main agendas and subjects concerning the right to discourse in China and analyzes the changing trend that the new media brought to China. From the socio-cultural perspective, the article tries to prove that due to the invigoration of the two-way communication channel, Chinese society is increasingly turning towards more open and communicative-friendly society. Through the chronological observation, the right to disclose, which was in fact the divine right of the party, has evolved from the nation to the economic actors. The article argues that the emergence of new media has expanded towards the public, diversifying the right to disclose. Moreover, resistance, criticism, agreement and participation of the Chinese public stipulate the new trend of the right to disclose driven by the new media. With the aforementioned arguments, the following can be concluded. First, the emergence of new media allowed the public to be the principal agents of the right to disclose. General public holds diverse thinking with diverse backgrounds. This allowed them to have the channel to express their own intentions. Second, the emergence of new media allows diverse agendas to be discussed. In the socialistic community where discussions were restricted by law, the debatable agendas were only those related to socialism. If the emergence of market opened the debate on economic agendas, the emergence of new media allowed for political, economic an diverse societal issues to be addressed. Third, new media attracted minor details of the daily lives of the Chinese public. As inferred by the article, the changes of the right to disclose in China led by new media resulted in opening up with the societal communication network and openness of the current China.

      • KCI등재후보

        왕따'동영상에서 나타난 미디어 담론 분석

        박길자 한국청소년학회 2004 청소년학연구 Vol.11 No.1

        School bullying which has been widely spread in Korean society is considered as social pathological phenomenon that we should handle with our joint effort and thinking. This study is to find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shown in media discourse about school bullying and how our society understands this bullying problem through analyzing features of media discourse in 'school bullying video' which has wakened people a lot of interest. I analyzed with 'school bullying video' as 1st text, materials for the press, major broadcasting and newspaper articles about bullying as 2nd text, and readers' and viewers' opinions on newspapers and each broadcasting as 3rd text. I examined characteristics found in media discourse from critical discourse analysis. M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features in textual practice found in 'school bullying video' show that school bullying is presented as collective play associated with strong group. Second, features in discourse practice found in 2nd text are defined as mental and pathological phenomenon utilizing experts' discourse. Third, features in the process of social practice found in 3rd text show that people find the reason for school bullying from personal characters of related students in the early stage, but it is moved to a social structural problem including family and school and eventually concludes that all social members should be the subject for this matter, which represents practical discourse. Such findings show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which allow violence by the strong. It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all members in society should make effort to solve school bullying problem. I also suggest the importance of education of humanity in family and school as a practical measure.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에 사회적인 관심을 불러일으킨 ‘왕따 동영상’ 사건에서 나타난 미디어 담론의 사회·문화적 의미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1차 텍스트인 ‘왕따 동영상’, 2차 텍스트인 주요 방송과 신문을 비롯한 ‘왕따 동영상’에 대한 보도 자료, 3차 텍스트인 인터넷에 실린 ‘왕따 동영상’에 대한 독자의 의견을 중심으로 질적 사례 분석을 하였다. 이를 위한 이론적인 배경으로는 비판적 담론분석(CDA)의 특징을 고찰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한 차원에서 문화연구의 관점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기반으로 해서 '왕따 동영상‘을 중심으로 한 미디어 담론을 분석한 결과, 첫째, 1차 텍스트인 ‘왕따 동영상’에서 드러난 텍스트적 실천의 특징은 ‘집단따돌림’이 강자의 권력과 결부되어 집단적인 유희의 형태로 나타났다. 둘째, 2차 텍스트에서 나타난 담론적 실천의 특징은 ‘집단따돌림’의 문제를 전문가 담론을 활용하여 정신 병리적인 현상으로 정의하였다. 셋째, 3차 텍스트를 중심으로 한 담론의 사회적 실천과정은 초기에는 집단따돌림의 원인을 가해자와 피해자의 개인적인 성격 차원에서 찾는 대립적인 담론이 전개되다가, 점차 가정과 학교를 비롯하여 사회 구조적인 차원의 문제로 확장해 가는 담론의 이동을 보였고, 사회구성원 모두가 문제 해결의 주체가 되어야한다는 실천적 대안을 제시하는 담론으로 발전되어 갔다. 이와 같이 미디어 담론의 분석 결과는 집단따돌림이 가해자를 중심으로 한 강자의 권력구조와 폭력을 용인하는 사회·문화적 특징을 드러내 주었으며, 집단따돌림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사회전체의 구성원들의 주체적인 노력과 가정과 학교를 중심으로 한 인성교육의 필요성을 실천적인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