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pa 공간의 치유적 체험 특성 연구

        고지연,이재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6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1 No.5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사회의 급속한 경제 및 산업발전, 도시화는 인간에게 각종 스트레스를 야기하였다. 이에 인간의 육체적인 부분, 또한 정신적인 영역까지 치유 되는 복합적인 치유환경이 주목 받기 시작하였으며, 그중 인간 중심적인 접근 방법과 공간체험을 중요시 하는 치유 환경에 대한 요구와 이에 대한 연구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현대사회의 이러한 문제 그리고 그 연구에 대한 필요성을 직시하여, 인간생명의 근원이라 할 수 있는 자연요소인 물이 그 해결책이 될 수 있다고 생각되었으며, 이러한 생각을 바탕으로 물을 통한 치유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인간과 물의 집적적인 관계를 가진 공간 중 Spa를 대상으로 체험적 치유공간을 연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물과의 체험을 통한 인간의 감정효과를 파악하고, 또한 사람들의 스트레스를 해소시킬 수 있고, 심리적 안정을 줄 수 있는 치유공간의 가능성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우선, 체험의 개념을 알아보고 어떠한 체험을 통해 치유가 되는지 그 방법을 분석한다. 또한 이에 따라 치유공간을 구성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감각체험을 제시하고,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체험 등 세 가지로 나누어, 각각의 체험과 복합적인 체험을 통한 감정효과를 분석하며, 물을 도입하여, 물의 개념과 물이 가지는 기본적인 특성에 대해서 조사, 그리고 연출방법에 따라 도출되는 공간적 효과, 감각체험을 통해 나오는 감정효과와 이에 따른 치유효과를 살펴본다. 구체적으로, 앞서 고찰된 물의 특성과 물의 연출방법에 따른 감각체험과 그 치유효과를 토대로 분석 매트리스를 설정하고, 5개의 서로 다른 자연적인 Spa 공간사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결과) 본 연구는 종합적 사례 분석을 통하여 물의 연출방법과 특성에 따른 서로 다른 감각체험을 통한 다양한 치유효과를 도출해 내었다. 일례로 물의 맑기, 반사, 울림, 밝기의 정도가 크면 보통 사람의 마음을 평온하고 침착하게 하는 효과를 불러일으켰다; 수량이 풍부하고, 맑고, 유동, 소리가 크고, 감촉이 거칠면, 지쳐있던 사람에게 에너지를 주는 효과를 가져왔다; 수량이 풍부하고 탁하고, 뿌연 물에서는 신비스러움과 편안함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결론) 현대적 의미의 치유공간이란, 신체적인 치유 뿐 만 아니라 마음의 치유도 되는 복합적인 치유공간이다. 이에 생활에 반드시 필요한 요소인 물을 이용한 체험을 통해, 사람들의 감각을 깨우며,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또한 마음이 치유되도록 공간을 구성하는 것은 충분한 연구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며, 물과의 체험을 기반으로 하는 치유환경을 조성하는 요소와 계획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Background and Purpose) Through rapid economic and industrial development, the urbanization of modern society has caused a variety of stress for humans. Thus, the environment for complex healing with mental to physical cures has gained attention. Above all, the demand for healing environments based on anthropocentric approaches and space experience is increasing. Specifically, water, the foundation of human life, is considered the best solution. To propose the potential of recovery through water, “spas” were selected as the space that has a direct relation between humans and wa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motional effect of humans’ experience with water and propose a healing space that can reduce stress and provide mental relaxation. (Method) First,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and identify the type of experience that possesses, healing power. This study proposes sensual experience as an alternative for creating healing space, and categorizes feelings into three groups: visual, hearing, and touching. This study identifies sensual effects through the respective experience and multiple experiences, and studies the concept and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water.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spatial effect, emotional effect, and healing effect. More specifically, based on the sensual experience and the healing effect through the characteristics and the presentation method of water, this study establishes an analysis table and lists of five different natural spa spaces. (Results) Through the general case examination, this study deduced various healing effects of different sensual experiences based on the presentation method of water. For instance, a high level of clearness, reflection, resonance, and brightness of the water created feelings of peace and calm. High quantity, clearness, flow, and rough sound energized tired people. High quantity, impure, and hazy water gave off sensations of mystery and comfort. (Conclusions) Healing space in modern society means the complex environment that provides physical and mental cures. This study has value as it provides a space for people to wake their senses, relieve their stress, and cure their minds through experience with water, the essential factor in human lif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provides the composing factors and direction for future plans of healing environments based on the experience with water.

      • 우리나라 논벼의 지역별 물 생산성 평가

        허승오 ( Seungoh Hur ),최순군 ( Soonkun Choi ),엽소진 ( Sojin Yeop ),홍성창 ( Sungchang Hong ) 한국농공학회 201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9 No.-

        물 생산성은 작물생육에 소요되는 물 소비량 당 작물의 생산량 또는 경제적 이득으로 정의되며 생산 효율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물 소비량(Water consumption)은 관개량이나 작물이 증발산을 포함해 실제로 소비하는 소비량을 나타내며, 생산량(Production)은 작물의 생산량 또는 경제적 이득을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논에 투입된 관개량과 벼 생산에 대한 통계자료를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단위는 kg/㎥ 이다. 분석기간은 1980-2011년까지 32년간이며, 통계청의 지역별 논벼 생산량 통계자료를 활용하였다. 도시화가 지속적으로 확장되는 특·광역시와 밭벼 위주의 제주도는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벼에 대한 물생산성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Table 1). 지역별로 살펴보면 전북의 물생산성이 0.83kg/㎥으로 가장 높고, 강원과 경북의 물 생산성이 0.59kg/㎥로 가장 작은 값을 보였다. 이것은 강원과 경북의 물 사용 효율성이 다른 도에 비해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별 평균은 0.70kg/㎥으로 Cai와 Rpsegrant(2003)의 연구에서 선진국형 물생산성인 0.63kg/㎥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어 전체적으로 우리나라의 논벼의 물생산성은 선진국형이라고 말할 수 있다. 지역별 물 생산성 최대치는 전북의 1.24kg/㎥이었고, 강원이 0.85kg/㎥로 가장 작은 값을 나타냈다. 지역별 물 생산성 최소치는 경기가 0.56으로 가장 컸고, 역시 강원지역이 0.31로 가장 작은 값을 나타내고 있다. 물 생산성은 기상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고 할 수 있으므로 물 생산성이 좋지 않았던 경우에는 가뭄 등의 기상변화가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우리나라 물 관리의 문제점과 발전방안

        박종관(Jong Gwan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10

        우리나라의 물 관리 체계는 전형적으로 다부처가 관여하는 체계로, 효율성이 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물 관리 현황과 개선방안을 제안하기 위하여 중앙과 지방의 물 관리 개선방안을 논의 하였다. 물 관리의 문제점으로는 물 관련 정책조정 기능체계의 부재, 수량 · 수질 · 농업용수 중심의 기능분리로 부처간 갈등 야기, 물 관련 업무의 분산으로 인한 중복투자 및 비효율, 중앙부처에 집중된 관리와 지역간 불균형 심화, 물자치권 확보 인식 미흡, 재원부족, 주민참여 미흡 등이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은 부처간 물 관리 기능조정 강화, 중앙부처의 물 관리 기능 이양 및 지방역량 강화 지원, 중앙과 지방의 바람직한 역할 분담, 물 관련 인식 변화 및 물자치권 확보 노력, 지방의 역랑강화, 재원 확보, 갈등 해소, 시민참여의 제도화와 물 관리 거버넌스 확대, 물자치권 확립 노력 등이다. Korea’s water management system is typically a multi-ministerial system, so its efficiency is declining. In order to propose current state and improvement plan of the water management in Korea, this study discussed the improvement of central and local water management. The water management problems are lack of water policy coordination system, conflicts between ministries due to function of water quantity, water quality and agricultural water, redundant investment and inefficiency, insufficient recognition of water autonomy, concentrated central management and deepening regional disparities, lack of financial resources, etc. Hence, improvement to solve the problem includes strengthening the coordination of water management functions between ministries, transferring water management functions of central ministries and strengthening local capacity, and desirable role allocation of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In addition, improvement at the local include efforts to change awareness of the water detailed and get water autonomy, integrate management of the watershed, strengthen the local community, secure financial resources, etc.

      • KCI등재

        지속가능한 물과 에너지 관리

        김하나(Kim, Ha-Na)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6 환경법과 정책 Vol.16 No.-

        에너지와 물은 서로 긴밀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이를 에너지-물 넥서스(Energy-water nexus)라 한다. 기후변화, 인구증가, 경제성장뿐 아니라 수자원의 지속가능한 이용과는 상충되는 방식으로 설계된 에너지 정책 등으로 인해 수자원의 이용가능성은 향후 악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 연구는 이러한 상황에 대한 대응 필요성을 인식하고 에너지-물 넥서스의 개념을 정리하고, 에너지-물 넥서스와 관련해 선도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미국의 법적·정책적 대응 현황을 살펴보고 국내법과 정책을 살펴봄으로써 국내 에너지-물 넥서스 관련 대응현황에 문제점을 발견하고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법령에서는 에너지-물 넥서스에 대한 인식을 발견할 수 없었고, 두 자원의 상호연관성을 인식하고 부처 간 중복되거나 상충되는 정책을 조정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나 전담기구를 찾아볼 수 없었다. 또한, 에너지-물 넥서스를 파악할 수 있는 통계자료가 부재하며, 현재 관련 통계는 제공되는 정보가 제한적이며, 관련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집 및 편찬할 수 있는 주체가 명확하지 않은 실정이다. 향후 수자원 이용가능성 악화와 기후변화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에너지와 수자원을 보다 통합적이고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관리 및 이용하기 위해서는 두 자원의 상호의존성이 법과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통계 자료의 개선과 더불어 이 이슈에 대한 연구지원사업의 확대로 국내 상황에 대한 분석 및 정책적인 함의를 도출이 필요하다. Energy and water are closely related, which is called energy-water nexus. The availability of water resources would be aggravated due to climate change, population increase, economy growth, incorrectly-designed energy policies, etc. While this study recognizes the necessity to respond to this issue, this paper identifies the concept of energy-water nexus, reviews energy-water-nexus-related responses in the U.S., which leads this issue, analyzes domestic laws and institutions, and recommends some enhancements. The recognition of energy-water nexus was not found in domestic laws. Also, any programs or organizations are absent, which can coordinate duplicate or conflicted policy measures between different government departments. Furthermore, the statistics that survey energy-water nexus in Korea are not being collected. The information of currently available statistics is limited, and it is unclear who or which department or office needs to collect and publish the statistics. In order to more effectively respond to climate change including exacerbated water availability and to manage and use energy and water in more comprehensive and sustainable manner, it is required that the interdependence between these two resources is reflected in laws and institutions; R&D regarding energy-water nexus needs to be increased together with enhancement of the relevant statistics, so that implications to policies can be suggested from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 KCI등재후보

        물성으로서의 한국현대판화 연구

        이지현 ( Ji Hyun Lee ),임영길 ( Young Kil Yim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4 예술과 미디어 Vol.13 No.2

        본 연구는 한국현대판화에서 다양한 물성의 양상을 고찰하려는 시도이다. 이는 한국현대판화의 역사적 맥락을 고려하면서, 물성의 동시대성과 그 이론적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이다. 판화는 전통적으로 다양한 물성을 실험하면서 성립한 예술이다. 판화는 자신의 ‘패러다임’ 안에서 다양한 물성 변화를 함축하고 있으며, 현재 그 변화는 새로운 차원에서 전개되고 있다. 이에 현대판 화사에 내재한 물성을 탐색하고 논의를 제기하는 것은 판화의 예술 형식, 존재방식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과 같다. 그러나 물성에 대한 연구는 한국현대미술사에서 1970년대 모노크롬회화에 집중되어 있을 뿐, 그 중요성에 비해 판화의 물성은 국내외 선행연구의 부재와 이론적 토대가 마련되어있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물성의 정의와 범주를 규정하고 하나의 방법론으로써의 가능성을 제안한다. 협의적으로 물성은 예술작품의 질료적 속성으로 정의하지만, 광의적으로 매체의 물리적 속성을 너머서 그것이 함축하고 있는 다양한 정신적인 가치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물성은 경험적이면서도 초월적인 관점의 메타 개념으로서, 그 범주는 예술작품의 실존적 양식인 예술 형식에서부터 조형 이념까지에 이른다. 그래서 물성에 대한 접근방법은 다각적인 측면이 요구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문은 물성을 하나의 축으로 삼아 현대판 회사를 크게 세 시기로 구분하고, 각 시대에서 보이는 두드러진 물성의 양상을 주제별로 기술하고 있다. 예컨대 서구와 일본에서 유입된 한국현대판화가 정착하는 시기는 전후 대략 50~60년대이며, 목판, 석판, 동판 등 매체의 고유한 물성을 탐구하던 시기이다. 다음으로, 판화의 현대적 기틀이 잡히는 동시에 산업이 발달하면서 물성의 다변화 양상이 드러나는 시기이다. 이 시기는 다시 주제에 따라 네 시기로 구분하였고, 사물의 본질 추구, 평면의 물성 탐구, 사회적 소통과 이념의 생산, 산업사회를 표상하는 물성적 표현이 그것이다. 비록 이것은 연대기적인 서술을 의도한 것은 아니지만 한국현대판회사와 궤를 같이 하며 60~ 80년대를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90년대 이후 동시대까지, 현대기술매체는 물성을 가장 극명하게 변화시키고 있는 요인이다. 디지털 가상공간에서 물성은 비물질적으로 존재하며, 판화는 그것을 다시 3차원의 공간에 실재적인 물성으로 실현시키고 있다. 요컨대 물성의 새로움을 발견하는 것은 예술 작품의 새로운 존재방식을 발견하는 것과 같다. 예시 작품들은 되도록 현대적 관점으로 해석하였고, 그것은 한국현대판화내에 존재하는 물성의 동시대성을 살펴 한국현대판화의 새로운 정체성에 대한 물음을 제기한다. This study is an attempt to study the aspect of varied materiality inthe Korean contemporary printmaking. Considering of the Korean contemporaryprintmaking`s historical context, This is exploring the theoreticalpossibility and contemporaneity of materiality from the presentpoint of view. In fact, materiality are a meta-concept, and within it,the historical, esthetical, and social aspect are implied. And, definingaesthetic definition and category of material properties is doinggroundwork for this methodology. Materiality are defined in a narrowsense as the materiality of an artwork. But, beyond the mere physicalproperties of medium, materiality include varied spiritual processes andtraces that its physical characteristics imply. Therefore, the category ofmateriality spans from form of art, which is existential stlye of medium,to idea of art.While receiving the change of technological medium and exploringthe experimental form of art, contemporary printmaking changes to theart of time and space in the integrated media form. Discovering newnessof materiality is the most fundamental attitude in regards to theproduction of art or approaching it critically. In short, the study ofmaterialit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raises the most radical questionsabout the form of art in this contemporary period and is newattempt to establish new identity.

      • 농민 물절약 의식 및 행동 조사-포항·영덕 수리시설감시원 대상-

        이슬기 ( Lee Seulgi ),조건호,김상현,최경숙 ( Choi Kyungsook ) 한국농공학회 201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9 No.-

        우리나라는 최근에 기후변화로 인한 가뭄의 빈도와 강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가뭄 피해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2000년 이후로 농업용수는 무상으로 공급되고 있어, 농업인의 물절약 의식이 부족해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현장에서의 농업용수의 과다 사용 및 낭비를 야기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효율적인 농업용수 이용을 위하여 농업인 대상의 물절약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2015년부터 「정부가뭄종합대책」에 농업인 물절약 교육이 포함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인 물절약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을 위해 한국농어촌공사 수리시설감시원을 대상으로 농업인의 물절약 의식과 필지단위에서의 물이용 행태를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는 한국농어촌공사 포항지사 및 영덕울진지사 관할지역 수혜구역을 관리하는 수리시설감시원을 대상으로 실시 하였으며, 조사에 참여한 인원은 100여명이나, 설문항목에 성실히 응답한 47명의 설문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설문항목은 설문자에 대한 일반적인 사항과 농업인 물이용 의식조사항목 및 농업인 물관리 행동조사항목으로 각각 구성되어 있으며, 부정적 측면과 긍정적 측면을 반영하는 각각 5가지 항목으로 구성하여, 5점 척도 조사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농업인 물절약 의식 항목에서는 물 부족 원인에 대해서 어느 정도 인지하고 있었으며, 물절약 실천의 필요성과 농업용수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서는 수리계 부활의 필요성 등에 대해 깊은 공감을 나타내었으나, 농업용수 이용 권리를 위한 농업용수 이용료 징수에 대해서는 낮은 동의를 나타내었다. 농업인 물관리 행동조사에서는 대체적으로 농업인이 물관리를 잘 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어, 농업인의 물과다 사용에 대해서 내면적인 인식은 있으나 이를 표면화하는 것에 대해서는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농업환경이나 이용특성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항목도 있었으나, 본 설문의 결과가 현재 농업인의 물절약 의식 및 행동에 대한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수리시설감시원의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농업인의 필지단위 물 절약을 유도하기 위한 교육의 필요성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을 통한 농업인 물 절약으로 가용수 확보에 의한 가뭄극복 및 농업용수 이용 효율성 증대가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 통합물관리와 농어업용 지하수의 역할

        서상기 ( Sangkee Seo ),전병칠 ( Byoungchil Jeon ),이규상 ( Gyu-sang Lee ),이병선 ( Byung Sun Lee ) 한국농공학회 202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0 No.-

        통합물관리 정책이 실행되면서, 물관리는 유역단위로 수질과 수량을 통합 관리하고, 물 순환 과정에서 물에 영향을 주는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관리하게 된다. 현재의 논의에서는 물관리 일원화에 정부조직 차원의 대상에 농어업용수는 계량화가 힘들고 정확한 통계가 없으며 관리 또한 어려워 제외되어 있다. 그러나, 국가 수자원 이용량 중 농어업용수가 차지하는 비중(41%)을 고려할 때 농어업용수를 제외하고 통합물관리의 최종 목표를 달성하기란 어렵다. 같은 맥락으로 지표수와 지하수를 분리해서 관리하는 것 또한 지하수와 지표수의 상호 작용을 고려할 때 완전한 관리에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 일례로, 미국 전역 54개 하천의 지하수 유입량은 하천 유량의 14∼90%(Winter et al., 1998), 지하수의 질산성질소 부하 기여율은 37%이상으로 보고된 바 있다(Dubrovsky et al., 2010). 국내의 경우, 4대강 하천유량의 약 62∼86%는 지하수의 기저유출에 기인하고(Lee et al., 2017), 국내 254개 하천관측망 자료 분석 결과 약 28∼89%(Jung et al., 2016)에 이르며, 농업유역에서 기저유출에 의한 질산성질소 부하량도 22∼41%에 이른다(Kim et al., 2015). 결과적으로 유역기반의 물관리를 종합적으로 이루기 위해서는 통합물관리 정책에 농어업용수의 편입, 지표수와 지하수를 통합하여 관리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향후 농어업용수가 포함된 통합물관리 정책이 본격적으로 시행되면, 기존의 지표수 공급에서 소외된 농어촌지역의 4계절 용수수요 평가, 작물 생육단계에 따른 작부체계를 이용한 필요수량의 정량적 평가 기반하천변 시설재배단지 용수수요 평가, 농지범용화에 따른 논 관개기간이외에 용수수요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농업 작물별로 구성된 작목반을 포함한 권역별 민관연 기반 물 사용자협회를 구성하여 수요자 중심의 지하수 공급체계를 구축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질산성질소 등 지하수 오염에 따른 하천수의 수질에 대한 평가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이에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어촌공사는 2001년부터 시행 중인 농어촌지역 대상 지하수자원관리사업을 통합물관리 정책과 지하수-지표수 연계관리에 발맞추어 사업을 고도화하고, 농어업용 지하수시설을 현행화 하며, 농어촌지하수 관측망을 이용한 다양한 해석(농업가뭄 분석, 농업용수 공급가능량 산정 등)으로 미래 지하수 총량 변화를 평가할 계획이다. 또한 지하수 수량, 수질의 과학를 위한 농업용 공공관정 이용량 모니터링을 통한 실이용량 분석, IoT 기반 관정가동 및 제어, 모니터링 등 SMART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농어촌지역의 지하수 수량과 수질을 동시에 관리하여 국가 차원의 통합물관리 계획에 기여하고자 한다.

      • 충북, 충남, 전북 지역 농업용수관리자동화사업에 관한 설문조사

        고승환 ( Seunghwan Go ),정찬희 ( Chanhee Jeong ),이동호 ( Dongho Lee ),신안국 ( Ankook Shin ),강문성 ( Munsung Kang ),박종화 ( Jonghwa Park ) 한국농공학회 202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0 No.-

        물 부족 국가에서는 기후변화 영향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 가뭄, 홍수, 태풍, 국지성 호우 등에 관련한 물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물 부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국가는 다양한 물관리 정책을 마련하여 물 공급 체계를 정비해가고 있다. 최근에 강수는 빈번하고 불규칙적으로 생성되었으며 양적변화도 크게 나타났다. 강수를 활용하기 위해 농업분야 물 사용자는 효율적인 물 관리 기술을 요구하고 있다. 한 국가의 발전은 많은 양의 물을 다용도로 사용해야 되기 때문에 농업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지구 온난화와 기후변동의 결과는 식량 생산 및 소비를 위한 물의 가용성 보장 조치 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관개 과정에서 물 공급과 사용량을 절약하기 위한 연구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으며 IoT와 ICT 등 4차산업혁명기술의 접목을 통한 스마트농업 물관리는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또한 2020년은 코로나19의 전 세계 확산으로 노동인력 공급이 어려워졌으며 농촌의 농업 인력의 고령화와 기후변화 영향으로 물 관리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베이비붐 세대들의 은퇴로 농촌의 물 관리 인력 감소에 따른 어려움에 직면하였다. 농업용 자동 물 관리를 위한 시스템과 상업용 센서는 매우 고가이기 때문에 농민이 이러한 유형의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본 연구는 현재 한국농어촌공사에서 공급하고 있는 농업용수에 대한 자동물관리 시스템의 현상과 개선점을 점검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2020년 7월 15일부터 30일까지 15일간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2000년도부터 도입되기 시작한 자동물관리 시스템은 도입 시기, 물공급 지역의 지리적 여건, 지형 및 지질조건 (충북; 산간지 저수지 중심, 충남; 간척지, 전북, 저평지 간척지 및 중산간지), 용수공급 형태에 따른 영향이 매우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시스템 개발에 적용된 센서와 ICT, IoT 및 WSN 기술은 빠르게 발전한 반면 적용 시스템의 업그레이드 및 관리 인력의 주기적인 인사이동과 물관리 업무 조직의 분산은 이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논밭작물 재배의 다양화는 앞으로 물 관리에 드는 노력의 간소화 및 최적화를 필요로 하고 있다. 또한 앞으로의 물 관리 시스템은 IoT와 ICT 등의 기술을 도입 또는 업그레이드하여 원격·자동 제어가 가능하고 용수량 및 물 관리 노력에 미치는 영향이 적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물 관리 기술은 농지범용화, 관수로화 등 논 구획과 입지, 관개 시설의 형태 및 상태 등에 따라 크게 변화하므로 다양한 농업용수 공급 조건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데이터의 집적과 활용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세시풍속을 통해본 물의 종교적 기능

        김명자(Kim Myung-Ja) 한국민속학회 2009 韓國民俗學 Vol.49 No.-

        물은 우주의 창생, 새로운 현실의 전개, 구체적인 생명의 탄생과 연결하여 그 모태로서 존재한다. 그러므로 물은 한국인의 종교경험 속에서 언제나 생명의 원천이었다. 우리 민속신앙에서 물은 세상을 소거하고 다시 재생하는 불변의 영원성, 생명상징을 뜻하는데 이러한 사실들은 물신앙이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는 기반이 된다. 물의 다양한 양상은 신앙성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세시풍속에서 물은 용신, 공물(供物)의 대상, 정화(淨化)의 매개물, 치유(治癒)의 상징 등의 여러 양상으로 나타난다. 큰 물 속에는 용신이 존재하므로 물을 신성시한다. 때로는 물 자체를 용신으로 여기기도 한다. 정화수처럼 물이 신에게 올리는 공물(供物)이 될 수 있는 것 역시 물의 신성성으로 인해 가능한 것이다. 즉 물이 ‘생명상징’이라는 점에서 공희(供犧)로서의 구실도 한다는 사실이다. 또한 물은 정화의 매개물이 된다는 점에서도 신앙성을 찾아볼수 있는데 사실상 물은 실제로도 ‘오염’을 제거하는데 쓰인다. 이를 상징화한 것이 종교적인 정화인 것이다. 세시풍속에서 물은 치유의 상징이 되기도 한다. 사실상 물은 그 자체로서 치료약이 되는 경우도 있어서 인간의 건강을 담보하는 물리적인 효능이 있지만 역시 신앙성을 바탕으로 한다. 이처럼 세시풍속에 나타난 물은 신앙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면모를 보여준다. 그런데 신앙성을 표출하는 데에는 정화수, 약수 등과 같이 물의 실질적인 효능과도 무관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는 점 역시 간과힐수 없다. Water is regarded as mother's womb in connection with the cosmic genesis, the exposition of new realities and the birth of a concrete life. So water has been the life source in the religious experiences of the Koreans. With Korean folk religion, water gets rid of and regenerates the world, symbolizing immutable eternity and life. This fact is the basis on which faith in water exists in various aspects. This variety of water aspects is based on religious faith. Korean Annual cyclical rites use water as various patterns such as Dragon god, a sacrificial offering, a medium of purification, and a symbol of healing. Wide and deep water is the residence of the dragon god, and is thought to be sacred. Sometimes, water itself is thought of as the dragon god. The religious faith in water can be found in that the purest well water is prepared for a prayer, and water is regarded as something to prevent bad luck. The purest well water can be a tribute to a god because of its sacredness. In other words, as water is the symbol of life, it has been dedicated to a god as a sacrifice. It is religious purification that symbolizes such a cleansing function of water. Annual cyclical rices use water as a symbol of healing. There are some cases in which water itself works as a medicine. Not only is this a physical effect of water on human health but also it is based on religious belief in water. Medicinal water is an example of faith in water. As mentioned above, annual cyclical rites show that water has various aspects based on religious belief. The religious meaning manifested in water cannot ignore the actual effects of water as in water drawn from a well early at dawn, and mineral water at medicinal water.

      • 프랑스 물관리 거버넌스 연구

        이승호 한국수자원공사(K-water) 2019 저널 물 정책·경제 Vol.32 No.-

        본 연구는 2019년 물관리기본법 시행과 함께 추진하는 유역물관리체제 수립과 운영을 위해 유역물관리제도를 성공적으로 운영해 온 프랑스 사례를 면밀히 검토하고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프랑스는 1964년 새로운 물법 도입을 통해 전국을 6개 대유역으로 나누고 각 유역에 유역관리청과 유역위원회를 설치하여 본격적인 유역물관리제도를 수립하였다. 1992년에는 중앙의 유역물관리체제 감독을 강화하면서 유역별 물관리계획 수립을 의무화하였다. 프랑스는 2000년 유럽연합물관리지침의 도입으로 2006년 물법 개정을 통해 6개 대유역을 13개 유역으로 재편성하였고 유역감독관 제도를 신설하여 중앙의 감독을 강화하였으며 유역관리청과 유역위원회는 더욱 강화된 거버넌스를 기반으로 효율적인 물관리를 시행하고 있다. 프랑스 사례는 한국의 유역물관리제도 수립과 운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준다. 첫째, 4대강 유역물관리위원회는 대중의 유역물관리 정보 접근성을 개선하여 모든 이해당사자가 참여하는 민주적인 물관리 정책 수립과 운영 체계를 수립해야 한다. 둘째, 거버넌스 기반 물관리 정책 수립과 이행에서 각 이해당사자의 책임 범위와 한계를 명확히 논의하고 적시해야 한다. 이러한 요소의 부재 시 각종 현안을 논의할 때 혼란과 갈등을 초래할 수 있다. 셋째, 유역 조직의 독립적 재정확보이다. 프랑스의 경우, 6개 유역관리공사가 징수하는 취수세와 오염세을 통한 보조금과 대출금, 중앙 및 광역자치단체의 보조금 덕분에 물관리 사업에 대한 튼튼한 재정을 확보할 수 있었고 이를 바탕으로 모범적인 유역물관리 체제를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