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미적체험’예술교육이 청소년의 문화예술 향유인식에 미치는 영향 : ‘서울창의예술 중점운영학교’를 중심으로

        하수연 경희대학교 문화예술경영연구소 2012 문화예술경영 Vol.2 No.-

        이 연구는 다양한 분야에서 그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는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의 흐름이 단순한 장르통합의 수준을 넘어, 심미적 사고를 지닌 다차원적 문화예술향유자를 양성하는 방향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참여자의 ‘미적체험(Aesthetic Experience)’을 극대화하는 예술교육과 더불어 그와 연계된 ‘미적체험활동’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은, 문화예술향유를 일상으로 여기고 예술을 옹호하는 적극적인 미래의 문화소비자를 양성하는 목표로 연결된다고 보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관람・교육・활동’이라는 ‘미적체험활동’에 대한 문화예술 향유인식의 관계를 지적, 정서적, 실천적 범주에 따라 살펴보았다. 미적체험예술교육의 효과가 청소년의 문화예술향유 인식확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얻어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 교육효과가 높은 학생의 경우, 문화예술참여 ‘욕구’에 따라 문화예술‘관람’과 ‘예술교육’에 대한 향유인식이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미적체험예술교육에서의 심화된 문화예술 ‘체험’에 대한 향유인식 확대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적 교육효과가 높은 학생의 경우, 문화예술참여 ‘욕구’에 따라 문화예술‘관람’과 더불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문화예술‘체험’활동에 대한 향유인식이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천적 교육효과가 높은 학생의 경우, 문화예술참여 ‘욕구’와 ‘인식’에 따라서 문화예술 ‘관람’ 위주의 문화예술 향유인식이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문화예술참여에 대한 욕구 및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예술교육 각각의 효과를 측정한 것을 기반으로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문화예술향유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미적체험예술교육과 연계시키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그를 위하여 ‘미적체험’예술교육의 효과를 측정하는 루브릭 모델을 활용하여 교육의 효과를 측정하고, 본 연구 결과에서 도출된 각각의 문화예술향유 인식확대 분야를 연계하여, 능동적이고 주도적으로 참여 가능한 미적체험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사회・문화적, 제도적 지원과 관심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began from the recognition of the problem in which the flow of the cultural art education for the adolescent which is recognized for its importance in various fields needs i) to exceed the level of simple integration of genres, and ii) to be converted in the direction of training the multi-dimensional cultural and art enjoyers who have aesthetic thinking. The researcher believed that the art education that maximizes the aesthetic experience of participants and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aesthetic experience’, suggested the direction in terms of regarding the cultural art enjoyment as the daily life as well as training the active cultural consumers of future who support the arts. In this paper, the focus was made on the educational effect of aesthetic experience cultural education that can be distinguished in three categories: intellectual, emotional, and practical, and on the relationships among the cultural art enjoyment about the aesthetic experience activities called ‘cultural art watching-education-activities’. The hypothesis for examining the influence of the aesthetic experience art education on the expansion of recognition of cultural art enjoyment of the adolescen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conclusion that was obtain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urvey and interview data based on the research hypothesis is as follows. First, as for the case of the students with high intellectual educational effects, it was shown that the enjoyment recognition about the cultural ‘education’ that can maximize the cultural art ‘viewing’ and aesthetic experience according to the ‘desire’ of cultural art participation was expanded. Also, it was shown that as the ‘recognition’ increased, the expansion of enjoyment recognition about the intensified cultural art ‘experience’ in aesthetic experience art education was affected as well. Second, in case of the students with high emotional educational effects, it was shown that the enjoyment recognition about the cultural art ‘experience’ activities that allows them to directly participate in along with viewing the cultural arts according to the ‘desire’ of cultural art participation, was being expanded. Third, in case of the students with high practical educational effects, the cultural art ‘viewing’ - oriented cultural art enjoyment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desire’ and ‘recognition’ was being expanded. Eventually,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recognition about the desire and importance of cultural art participation, and develop systematic and phased cultural art enjoyment program based on the measurement of each of the effects of art education, and relate it to aesthetic experience art education. For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measure the educational effects by utilizing the Rubric Model that measures the effects of ‘aesthetic experience’ art education, and to have social, cultural, and systematic supports and interests about the development of aesthetic experience programs that can influence the recognition expansion to be realized.

      • KCI등재

        유아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과 가정의 유아 문화예술교육 실천에 대한 연구

        안혜령,류미향 한국문화교육학회 2022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7 No.4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401 mothers with children in early childhood in Busan. It aimed to examine the mothers'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e family's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 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use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awareness and practice.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using SPSS 25.0. First, the mother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culture and arts education very highly and considered the development of cultural and artistic sensibilities and emotional stability, cultivation of creativity, and enhancement of expressiveness as reasons for its importance. Second, the mothers' satisfaction with early childhood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vided by kindergarten or daycare centers and with the contents of local cultural facilities were generally high. Third, the frequency of the family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 was occasionally, and the representative cultural facilities visited were in the order of historical sites, museums, and art galleries. Forth, the families with children in early childhood used early childhood culture and arts education for children, and the number of times was slightly less than one, the average. The most preferred type of program was art, and the use of a private academy was the most favored. Fifth, the higher the mother perceived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e more she tended to experience family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and to use early childhood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Based on this result, we discussed the need for parent education on culture and arts and early childhood culture and arts education. We also suggested improving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rough mutual cooperation among families, institutions, and local communities. 본 연구는 유아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가정의 문화예술교육 실천에 대해 살펴보고 인식과 실천 간의 관계를 탐색해보고자 부산시 유아 어머니 4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SPSS 25.0을 활용한 통계분석을 통해 다음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어머니는 유아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을 매우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감성 발달 및 정서적 안정, 창의성 함양과 표현력 신장 등을 중요성의 이유로 여겼다. 둘째, 유아교육기관의 유아 문화예술교육과 지역문화시설 콘텐츠 각각에 대한 어머니의 만족도는 대체로 높았다. 셋째, 가족 문화예술 경험 빈도는 가끔 하는 수준이었으며, 방문한 대표적인 문화시설은 역사유적지, 박물관, 미술관 순이었다. 넷째, 유아가정에서는 평균 1개보다 약간 적은 수준으로 유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그 유형으로는 미술이, 진행방식으로는 사설학원 이용이 가장 선호되었다. 다섯째, 어머니가 유아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을 높게 인식할수록 가족 문화예술 경험과 가정 내 유아 문화예술교육 이용을 각각 더 많이 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문화예술 및 유아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부모교육의 필요성을 논의하였으며, 가정-유아교육기관-지역사회 등의 상호협력을 통한 유아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제고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경남 거주민의 문화예술시설 이용실태에 관한 조사

        양진연 ( Yang Jin Youn ) 경남대학교 가라문화연구소 2022 加羅文化 Vol.31 No.-

        본 조사는 경상남도 거주민(창원시 포함)의 문화예술시설 이용실태를 바탕으로 이용인식 수준, 참여동기, 관광매력성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사방법은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조사대상은 경상남도(창원시포함) 거주민으로 설정하였다. 표본추출방법은 편의표본추출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자기기입식 설문방법을 채택하였다. 설문조사는 2022년 8월부터 2022년 9월까지 약 1개월에 걸쳐 조사하였으며 설문지는 150부를 배포하여 정제과정을 거쳐 최종 122부를 분석 자료로 자료화하였다. SPSS ver. 20.0 program 분석결과 첫째, 경남지역 거주민의 문화예술시설 이용실태조사 결과 예술의전당(성산아트홀, 315아트센터)을 제외하고 주로 이용하는 시설은 항목별로 차이가 없이 고른 분포를 보였다. 그러나 선호하는 문화예술시설은 공연장이나 콘서트장, 전시관으로 확인되었고 향후 이용하고 싶은 유형은 공연장, 콘서트장, 미술관으로 확인되었다. 동반유형은 친구와 가족(친척)과 함께 방문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정보는 지인과 인터넷, SNS의 영향이 가장 컸다. 이용시기는 계절과 관계없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동거리는 2시간 내의 거리에서 주로 문화예술시설을 이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접근성의 중요성이 확인되었다. 이동수단은 자가용 이용이 50%를 넘었고 다음은 일반버스를 이용하였다. 둘째, 카이검정분석을 통한 차이검증결과 경남의 문화예술시설의 이용실태에서 성별과 연령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였다.셋째, 문화예술시설 인식수준은 국가와 지역(경남)을 비교한 결과 비슷한 인식수준을 보였고 예술의 전당(성산아트홀, 315아트센터)의 인식수준은 높았으나 박물관은 인식수준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참고로 예술의 전당(성산아트홀, 315아트센터)은 주로 이용하는 문화예술시설에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넷째, 경남의 문화예술시설의 참여동기는 재미와 새로운 경험으로 확인되었고 다섯째, 경남의 문화예술시설의 관광매력성은 예술성과 세련됨으로 확인되었다. 본 조사를 통하여 인식수준이 낮은 문화예술시설 유형은 인식수준을 높일 수 있는 전략 수립이 필요하며 참여자들의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재미위주의 프로그램과 새로움을 느낄 수 있는 환경조성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문화예술시설의 예술성을 극대화하고 프로그램과 환경 등이 세렴됨을 유지 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문화예술시설 관계자 및 전문가는 경남의 문화예술 발전을 위하여 시설환경에 대한 지속적인 환경분석을 통하여 과학적인 이해의 자세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he purpose of this survey is to confirm the level of awareness of use,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and attractiveness of tourism based on the actual use of cultural and artistic facilities by residents of Gyeongnam.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for the survey method, and the survey subjects were set as residents of Gyeongnam(including Changwon city). As for the sampling method, a convenient sampling method was used, and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method was adopted. The survey took about one month from August 2022 to September 2022, and 15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refined, and finally 122 copies were used as analysis data. SPSS ver. 20.0 program analysis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the use of cultural and art facilities by residents in the Gyeongsangnam-do, the facilities mainly used except for the Arts Center (Seongsan Art Hall, 315 Art Center) showed an even distribution without any difference by category. However, the preferred culture and arts facilities were identified as performance halls, concert halls, and exhibition halls, and the types of facilities they would like to use in the future were identified as performance halls, concert halls, and art galleries. Accompanying type was confirmed to visit with friends and family(relatives), and the influence of acquaintances, the Internet and SNS was the greatest for inform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use period was not related to the season, and the importance of accessibility was confirmed as it was confirmed that the travel distance was mainly used for cultural and artistic facilities within a distance of 2 hours. As for the means of transportation, private cars accounted for more than 50%, followed by regular buses. Second, in the difference verification through chi-test analysis,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nd age were confirmed in the use of cultural and artistic facilities in Gyeongsangnam-do. Third, as a result of comparing countries and regions (Gyeongnam), the recognition level of cultural and artistic facilities was similar, and the recognition level of the Arts Center (Seongsan Art Hall, 315 Art Center) was high, but the recognition level of the same type as the museum was found to be low. Confirmed. For reference, the Arts Center (Seongsan Art Hall, 315 Art Center) showed the lowest value among the most used cultural and art facilities. Fourth,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ng in cultural and artistic facilities in Gyeongsangnam-do was confirmed as fun and new experiences. Fifth, the tourism appeal of cultural and artistic facilities in Gyeongsangnam-do was confirmed by their artistry and sophistication. Through this surve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trategy to raise the level of awareness for the types of cultural and artistic facilities with a low level of awareness.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fun-oriented programs that can satisfy the needs of the participants and to create an environment where they can feel novelty. In addition, efforts should be made to maximize the artistry of cultural and artistic facilities and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rograms and environments. Lastly, cultural and arts facility officials and experts suggest that a scientific understanding is needed through continuous environmental analysis of the facility environment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e and arts in Gyeongsangnam-do.

      • KCI등재

        신규문화예술교육사의 제도 활용 및 인식에 관한 연구

        김누리(Nu-Ri Kim),권은경(Eun-kyoung Kwon),박정양(Jeong-Yang Par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1

        목적 본 연구는 신규문화예술교육사를 대상으로 현장에서 경험한 문화예술교육사 제도의 활용과 인식에 대한 다양한 측면의 이야기를 그들의 목소리를 통해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방법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을 취득한 지 1~3년 된 신규문화예술교육사 5명을 대상으로 2021년 7월부터 2021년 10월까지 약 3개월 동안 총 10회기에 걸친 인터뷰 형식으로 진행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개인적인 특성,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취득과정 경험,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에 대한 인식, 신규문화예술교육사로서의 경험에 관하여 반 구조화된 질문 형식으로 진행하였다.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첫째, 예술가의 길이 아닌 다양한 진로를 선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둘째, 문화예술교육사 제도가 취업에 유효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다른 분야의 문화예술교육사들과 소통할 수 있는 커뮤니티가 형성되길 바라고 있었다. 넷째, 프리랜서로 활동하는 신규문화예술교육사는 경제적 불안감을 가지고 두 가지 이상의 일을 병행하며,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만으로 문화예술교육사로서 활동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이는 문화예술교육사 제도의 활용이 안정적인 일자리 창출을 위한 방안 및 제고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신규문화예술교육사가 더 나은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의 방향성을 발견하고 모색하는 연구의 출발점이 된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문화예술교육사의 제도 활용 경험과 인식에 관한 이야기를 신규 문화예술교육사의 관점에서 문화예술교육사 제도 활용과 개선방안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향후 본 연구가 신규문화예술교육사들이 현장에서 느끼는 문화예술교육사 제도 활용과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로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가 올바른 방향으로 개선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길 바란다. Objectives This study sought to find meaning through their voices in various aspects of the use and perception of the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system experienced in the field by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Methods Five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who have obtained certificates of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from July 2021 to October 2021 were interviewed in a total of 10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a semi- structured form. Results The participants showed positive attitude in that they could choose various paths, not the path of an artist. Second, we were able to confirm that the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system is effective for employment. Third, he hoped to create a community where he could communicate with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companies in other fields. Fourth, the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who works as a freelancer, has shown that there is a limit to working as a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only with the qualification of a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This can be seen as meaningful, and it is found that the utilization of the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system requires measures and improvements to create stable jobs. Conclusions In this study, the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the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system were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We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serve as a basis for improving the qualification system of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in the right direction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on the utilization and recognition of the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system.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유아기 문화경험과 문화자본이 문화참여에 미치는 영향

        유재경(You Jae-Kyung),권정숙(Kwon Jung-Sook),조혜영(Jo Hye-Young)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5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유아기 문화경험과 문화자본이 문화참여에 미치는 영향에서 문화예술 인식 및 문화예술 활동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남부지역 소재지 유아교육과와 보육과에 재학 중인 762명을 대상으로 유아기 문화경험, 문화자본, 문화참여, 문화예술인식 및 문화예술 활동 만족도 척도를 사용하여 SPSS 18.0과 AMOS 1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기 문화경험, 문화자본, 문화예술 인식 및 문화예술 활동 만족도는 문화참여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문화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모두 고려하여 분석한 결과,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의 적합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기 문화경험과 문화참여간의 관계는 문화예술 인식과 문화예술 활동 만족도에 의해 완전 매개되었다. 문화자본과 문화참여간의 관계는 문화예술 인식과 문화예술 활동 만족도에 의해 부분 매개되었다. 문화예술 인식과 문화참여 간의 관계는 문화예술 활동 만족도에 의해 완전 매개되었다. 결론적으로 예비유아교사의 문화예술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도모하여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인프라 조성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ultural experience in early age and cultural capital affected on their cultural participation with analysing mediate effects of their perception of culture and arts and satisfaction of culture and arts activiti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762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at colleges located in the Gyeonggi-do. Collected data were put to SPSS 18.0 and AMOS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cultural experience in early age, cultural capital, perception of culture and arts and satisfaction of culture and arts activities were correlated with cultural participation.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all variables affecting culture participation, the goodness-of-fit tests of measurement model and structure model were fine. The relation between cultural experience in early age and cultural participation was wholly mediated by perception of culture and arts and satisfaction of culture and arts activities. The relation between cultural capital and cultural participation wa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perception of cultue and arts and cultural participation was wholly mediated by satisfaction of culture and arts activities. This study implied that cultural infrastructure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o improve satisfaction of culture and arts activities.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사 양성과정에 대한 음악대학 학생들의 인식연구

        박영주(YoungJoo Park)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8 음악교육공학 Vol.- No.35

        본 연구는 음악대학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사 양성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음악대학 중 문화예술교육사 양성과정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10곳의 음악대학 재학생들에게 설문이 링크된 모바일 문자와 SNS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총 611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불성실한 36명의 응답을 제외한 575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음악대학 내에 문화예술교육사 양성과정이 설치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수의 학생들이(N=209, 36.35%) 문화예술교육사에 대해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다. 둘째, 학생들은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취득을 위한 직무역량 다섯 과목 수가 적당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학생들은 문화예술교육사 양성과정 프로그램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의 필요성에 대해 매우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M=3.888, SD=0.837), 자격증 이수 의지에 대해서는 다소 낮은 긍정적 인식을 나타내었다(M=3.137, SD=1.019). 또한 성별, 전공, 학년, 이수 과목 수에 따라 전공실기 발달에 도움, 자격증의 필요성, 자격증 이수 의지, 졸업 후 취직 연관성, 문화예술교육사 교과목 추천에 대하여 유의미한 인식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음악대학 내 문화예술교육사 양성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연구한 기초 자료로서 그 의의를 둔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s of university music majors about the Korean government’s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ACEI) certification program designed to expand opportunities for future professional musicians as well as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A link to access the study’s survey online through Google Form was distributed to music majors through music departments at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do that had been approved to provide the courses for ACEI certification. Surveys were completed from June through August 2017. There were 611 participants in this study; 36 were eliminated due to incomplete responses, so that the responses of 575 participants were analyzed.

      • KCI등재

        문화예술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가치인식과 추구혜택에 관한 질적 연구

        이영선,신은주 한국마케팅학회 2011 ASIA MARKETING JOURNAL Vol.12 No.4

        This research attempted to present the efficiency of culture marketing to the organizations producing culture-art products and to the companies utilizing art and suggest the practical viewpoints to the culture and art policy agencies. The methodology used was to take an in-depth look at the consumer value cognition and benefits of culture-art products in contemporary consumption culture from a social context by conducting a total of 12 Focus Group Interviews, consisting of 58 males and females in their 10s~50s who can represent culture-art product consumers. The culture-art products refer to the artist's spiritual, actual act of creating or to the end products with economic exchange value. They are also sense goods and merit goods that affect the mental state of consumers. By looking at culture-art products as consumer merit goods, this research examined consumer value cognition of culture-art product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culture-art products. As a result, this research determined that consumers view culture-art products largely as ‘aesthetic and sensuous merit goods’, ‘actual and individual merit goods’, and ‘social public property’. As ‘aesthetic and sensuous merit goods’, culture-art products are considered as the products of an artist’s creative activities; as ‘social public property’, culture-art products have a public value in terms of ownership; and as ‘actual and individual merit goods’, culture-art products act on the spirit and reality of a consumer in terms of consump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benefits of culture-art products based on the above-mentioned consumer value cognition, it was observed that the benefits of culture-art-product consumption are chiefly divided into ‘aesthetic character-oriented’, ‘social relationships-oriented’, and ‘individual benefits-oriented’ depending on how consumers see culture-art products. A 3-conceptional structures model was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value cognition of culture-art products and the benefits. This research revealed that consumers who pursue the aesthetic value or sense of beauty as the central reason experience culture-art products themselves, enjoy intellectual quests, and pursue their satisfaction by expressing affection for and interests in culture-art products. On the other hand, consumers who pursue social value as the central reason as a means of communication by perceiving culture-art products as a public property of society, pursue sympathy with people close to them through the symbolic power of culture-art product consumption or the joy of self-display. Consumers who perceive art products as spiritual and actual merit goods and pursue consumer value as a central reason want to express their own personality, develop themselves, and differentiate themselves or identify themselves with others in the context of social relations for the ultimate goal of living a happy and satisfied life while pursuing to satisfy imminent and actual necessities as emotional stability and rest. The fact that culture-art product benefits could vary according to how a consumer perceives them implies that consumer value cognition of culture-art products and their benefits significant affect consumers' decision in choosing and consuming various culture-art products. It turned out that such benefits from the consumption of culture-art products reflect the complex contemporary consumption culture of rational consumption, symbolic consumption, experiential consumption, and social reflective consumption. This research identified conceptional structures of consumer value cognition on culture-art products and benefits that can be used for studying and understanding culture-art products consumers who pursue a variety of consumption values. They can also be used by private companies in utilizing art, as well as by national agencies in enhancing the population’s quality of life. However, since this... 본 연구는 문화예술상품 소비자 연구를 위한 개념적 구조를 마련하고, 문화예술상품 생산기관 및 문화예술정책기관과 문화예술을 활용하는 기업의 문화마케팅의 효율성을 위하여 문화예술정책기관에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현대소비문화 속에서 문화예술상품 소비자의 가치인식과 추구혜택을 사회적 맥락에서 심층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문화예술상품 소비자를 대표할 수 있는 10대부터 50대까지의 남녀 58명을 12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총 12회에 걸친 표적집단면접(FGI)를 실시하였다. 문화예술상품은 예술가의 정신적․관념적 창작행위나 그 결과물인 작품에 경제적 교환가치가 부여되어 소비되는 상품이다. 문화예술상품의 특성을 바탕으로 문화예술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가치인식의 개념구조를 알아본 결과 ‘실제적․개인적 가치재’, ‘사회적 공공재’, ‘미학적․감각적 경험재’로 나타났으며, 경험적 소비재의 관점에서 문화예술상품 소비 추구혜택의 개념구조를 알아본 결과 ‘예술적 특성지향’, ‘사회적 관계지향’, ‘개인적 유익지향’의 방향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예술상품 소비에 대한 이와 같은 소비자의 가치인식과 추구혜택의 개념구조는 합리적 소비, 기호 상징적 소비, 경험적 소비, 반성적 소비라는 복합적인 현대소비문화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문화예술상품에 대한 소비자 가치인식과 추구혜택의 관계를 개념적으로 분석한 결과 문화예술상품 소비자의 가치인식에 따라 추구혜택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문화예술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가치인식이 추구혜택의 특성을 형성하며, 소비를 결정하고 문화예술상품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로 나타난 가치인식과 추구혜택의 개념구조는 문화예술상품 소비자 연구의 측정도구 개발에 사용될 수 있으며, 기업의 효율적인 문화예술마케팅 전략 및 소비자 중심의 문화예술상품 생산과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국가기관의 정책 수립에 필요한 소비자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시대의 유아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사회적 인식

        김근혜 ( Kim Geun-hye ) 한국예술교육학회 2021 예술교육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시대의 유아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사회적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B시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3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빅데이터 분석프로그램인 Textom 사이트를 통해‘4차 산업혁명시대 +유아 문화예술 교육’을 검색어로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 문화예술교육은 유아의 감성발달 및 정서적 안정을 위해 중요하며, 주제를 중심으로 통합되어 교사와 문화예술 전문 강사가 함께 진행되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유아교사는 유아에게 적합한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교재 및 교구와 문화예술 강사 지원이 필요하고, 연수 내용으로 프로그램 사례소개 및 문화예술 체험을 요구하였다. 셋째, 빅데이터 분석 결과 4차 산업혁명시대 유아 문화예술교육은 미래사회 유아 예술교육으로 분석 되었으며, 학급담임을 위한 지원과 인공지능 기술 적용이라는 사회적 인식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 문화예술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과 유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perceptio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early childhood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find out social perceptions through big data analysi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51 pre-kindergarten teachers who working in kindergarten and day care centers located in B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the Textom site, a big data analysis program.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it is important for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stability of young children, and teachers and instructors specializing in culture and arts should be integrated around he subject. Second, they needed to develop and distribute programs suitable for young children, support textbooks, teaching aids, and culture and arts instructors, and required introduction of program cases and cultural arts experiences as training content. Third, in the era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was recognized as art education for children in the future society, and there was a social perception of support for class managers and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his study provides a plan for revitalization and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culture and arts education.

      • KCI등재

        일반논문 : 2014교사 협력사업에 참여한 초등교사의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적 연구

        김창아 ( Changah Kim ),김미순 ( Misoon Kim ),아이고자에바아이게림 ( Aigozhayeva Aigerim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교육문화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I문화예술지원센터에서 추진한 2014교사 협력사업에 참여한 초등교사의 문화예술교육 경험에 대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사업에 참여한 초등교사 3인의 경험을 통하여 이들이 2014교사 협력사업 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며, 그 경험은 문화예술교육의 학교 활성화라는 측면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를 탐색하였다. 연구 기간은 2014년 7월부터 2015년 1월까지이며,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초등교사들은 자발적 참여를 통해 학교 현장에서 문화예술교육을 확대하고 실천하고자 노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참여자들의 경험 과정을 통해 그 의미를 나타내었다. 참여자들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경험은 ``문화예술교육 시작하기``, ``문화예술교육 지원 받기``, ``학교에서 문화예술교육 하기``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에게 문화예술교육은 실존적 인간으로서의 공감을 바탕으로 하는 ``나도 사람이니까``하는 행위였다. I문화예술지원센터의 사업 참여는 ``부담스럽지만 해보고 싶은 일``이었다. 그러나 학교 안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실행하는 것은 ``시간과의 싸움``일 수밖에 없었다. 본 연구는 이들의 경험에 대해 다시 이야기하기를 통하여 문화예술교육이 교육 현장에서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의 변화, I문화예술지원센터의 안정적인 계획과 지원, 학교문화 개선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This is a narrative study on culture and art education experimen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2014 teacher cooperation project. This study examined the experiences of 3 elementary school teachers during 2014 teacher cooperation project and also examined the meaning of their experience in terms of school vitalization of cultur and art education. The research period is from July 2014 to January 2015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endeavored to expand and practice culture and art education at school threw voluntary participation. The study shows meaning by the experience process of participants. The experienc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by participants is shown in starting culture and art education, receiving the support for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doing culture and art education at school. Culture and art education to participants is an act of recognizing ``I am also a human being`` based on a sympathy as an existential human. The project participation of Incheon culture and art support center was ``a burdensome but desirable one.`` But it was ``a battle with time`` when they practiced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at schools. By retelling experiences, this study proposed changing teachers` awareness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stable plans and supports of Incheon culture and art support center and improvement of school culture to vitalize culture and art education at educational field.

      • KCI등재

        코로나19 이후 문화예술경험에 따른 문화예술 소비성향 분석 : 문화예술 인식에 따른 차이분석

        소은혜(So, Eun Hye) 한국예술경영학회 2021 예술경영연구 Vol.- No.60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 인식에 따른 문화예술 경험이 문화예술 소비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함이다. 이에 문화예술 소비자의 경험을 통해 나타나는 소비성향은 문화예술 마케팅 전략을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으며, 문화예술을 향유하는 소비자의 행동을 측정하였다.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문화예술 소비자의 경험과 소비성향을 설문조사하였으며, 연구자료는 판단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사회적 거리두기로인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행동, 감성, 관계요인이 쾌락적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행동, 감성, 감각, 관계 요인이 과시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고, 행동, 감성적 요인은 계획적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를 통한 시사점은 첫째, 관계요인이 전반적인 소비성향에 부(-)의 영향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문화예술을 향유할 때 소비자의 불안감이표출되었음을 시사한다. 둘째, 문화예술을 제공하는 아티스트에게 양질의 컨텐츠를제작할 수 있도록 기업 및 소비자로부터 후원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에는문화예술을 향유하는 소비자 뿐 아니라, 문화예술을 제공하는 공급자, 아티스트간의 관계를 고려하여 연구한다면 문화예술 생태계를 보다 심도 깊게 이해할 수 있을것이라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art and culture experience according to art and culture perception on art and culture consumption. Accordingly, the perception expressed through the experiences of consumers was defined as the delivery of art and culture marketing strategies, and the behavior of consumers enjoying art and culture was measured. The research data were analyzed through an online surve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ense, rel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hedonistic factor, and the act, sense, emotion and rel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other’s consciousness, and the behavioral and emotional facto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al factors. The implication from the experience of relationships with others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all factors, which means to be the result of consumers’ anxiety in enjoying art due to the pandemic.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online business model for consumers who naturally avoid it, and to narrow the gap between online and offline art and culture. Second, it is thought that sponsorship from companies is necessary so that artists who provide art and culture can produce high-quality contents. In the future, if it was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not only consumers who enjoy art and culture, but also suppliers and artists who provide art and culture, it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 culture in-dep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