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린이집 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과 셀프리더십이 문제행동 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윤숙 한국보육학회 2019 한국보육학회지 Vol.19 No.4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acher’s problem behavior guidance efficacy and self-leadership on problem behavior management ability. Methods: Participants were 194 day care center teachers.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the questionnaire about behavioral efficacy, self-leadership, and problem behavioral management.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was conduct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influence of the two independent variables on the overall problem behavior management ability of the day care center was different. Problem behavior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effect on self-efficacy, but self-leadership had a significant effect. Second, the influence of the two variables differed according to sub-factors of problem behavior management ability. In other words, the effect of problem behavioral efficacy and self-leadership were different in the ability of problem behavior type recognition, problem behavior cause recognition, and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y. Self-leadership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ll three subfactors, but problem behavior guidance efficacy differed according to subfactors. There was no significant influence on problem behavior type recognition ability, and significant influence on problem behavior cause recognition and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y. However, it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influence on the recognition of the cause of problem behavior an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y. Conclusion/Implications: After all, self-leadership had a positive influence on all dependent variables, but the problem behavioral efficacy had a difference in the presence or direction of influence depending on the subfactors of the dependent variables. 본 연구는 어린이집 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과 셀프리더십이 문제행동 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 대상은 어린이집 교사 194명 이었다. 이들에게는 문제행동지도 효능감(김민숙, 2010), 셀프리더십(김민정, 2007), 문제행동 관리능력 설문지(양수영, 2014)가 실시되었으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교사의 문제행동 관리능력 전체에 미치는 두 독립변인의 영향력은 차이가 있었다.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셀프리더십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제행동 관리능력 하위 요인에 따라 두 변인이 미치는 영향력은 차이가 있었다. 즉, 문제행동 관리능력의 하위 요인인 문제행동 유형인식 능력과, 문제행동 원인인식능력, 그리고 문제행동 지도전략 사용능력에 있어 문제행동 효능감과 셀프리더십이 미치는 영향력이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셀프리더십은 세 가지 하위 요인 모두에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은 하위요인에 따라 다른 결과가 나타났다. 문제행동 유형인식 능력에는 유의미한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문제행동 원인인식과 문제행동 지도전략에는 유의미한 영향력이 나타났다. 그러나 문제행동 원인인식에는 부정적인 영향력을 보였으며, 문제행동 지도전략에는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셀프리더십은 모든 종속변인에 긍정적인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은 종속변인의 하위 요인에 따라 영향력의 유무와 방향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에 따른 유아의 문제행동 및 사회적 능력

        염수진(Sujin Yeom),이희영(Heeyeong Lee),최태진(Taejin Choi)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3 No.3

        유아교육현장의 교사들은 유아 문제행동 개선을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현장의 많은 교사들이 유아 문제행동 지도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이라는 새로운 개념이 소개되어 주목을 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에 따른 유아의 문제행동 및 사회적 능력의 차이와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구체적인 유아의 문제행동과 사회적 능력과 관련된 행동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하여 부산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268명과 유아 1072명(교사 268명× 4명) 을 대상으로 우편발송, 직접 방문, 구글 폼 설문지, 이메일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먼저 예비분석 절차로 기술통계량을 산출하였으며, 이들 변인 간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다음으로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 수준에 따라 3가지 집단으로 분류하고, 이들 3개 집단 간 유아의 문제행동과, 사회적 능력 하위 변인 점수에 대하여 일원분산분석을 수행한 후 Scheffe 사후분석과 개별문항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가 가진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의 수준에 따라서 유아의 문제행동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 수준에 따라서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개별 문항 탐색을 통하여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 수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구체적인 문제행동과 사회적 능력과 관련된 행동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간과했던 유아교사가 지닌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의 수준에 따른 유아의 문제행동과 사회적 능력 관련 행동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 생활지도와 관련 교사 교육의 소중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lthough teacher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are making continuous efforts to improve the problem behaviors of young children, many teachers in the field today are having a lot of difficulty in guiding the problem behaviors of young children. In relation to this issue, a new concept which is called as problem behavior guidance efficacy has been recently introduced and attracted attention.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d the difference in problem behavior and social ability of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roblem behavior guidance efficacy and the specific problem behavior and social ability-related behavior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showing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problem behavior guidance efficacy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Data were collected from 268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teachers and 1,072 infants (268 teachers × 4)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through postal mail, direct visit, Google Form questionnaire, and e-mai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 the following manner. First,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alculated using a preliminary analysis procedure, and the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se variables were calculated. Next, the problem behavior guida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 of efficacy, and one-way ANOVA was performed on the problem behaviors of young children between these three groups and the scores of the social ability sub-variables, followed by Scheffe post-hoc analysis and individual questions. analyses were perform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roblem behavior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ccording to the level of efficacy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social ability of children according to the level of efficacy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roblem behavior guidance. In addition, this study identified specific problem behaviors and behaviors related to social abilities tha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level of effective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roblem behavior guidance by searching each item.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erms of confirming problem behaviors and social ability-related behaviors of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 level of efficacy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hich has been overlooked in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valuable basic data for early childhood guidance and related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에 따른 유아의 문제행동 및 사회적 능력

        염수진,이희영,최태진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3 No.3

        유아교육현장의 교사들은 유아 문제행동 개선을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현장의 많은 교사들이 유아 문제행동 지도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이라는 새로운 개념이 소개되어 주목을 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에 따른 유아의 문제행동 및 사회적 능력의 차이와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구체적인 유아의 문제행동과 사회적 능력과 관련된 행동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하여 부산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268명과 유아 1072명(교사 268명× 4명) 을 대상으로 우편발송, 직접 방문, 구글 폼 설문지, 이메일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먼저 예비분석 절차로 기술통계량을 산출하였으며, 이들 변인 간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다음으로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 수준에 따라 3가지 집단으로 분류하고, 이들 3개 집단 간 유아의 문제행동과, 사회적 능력 하위 변인 점수에 대하여 일원분산분석을 수행한 후 Scheffe 사후분석과 개별문항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가 가진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의 수준에 따라서 유아의 문제행동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 수준에 따라서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개별 문항 탐색을 통하여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 수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구체적인 문제행동과 사회적 능력과 관련된 행동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간과했던 유아교사가 지닌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의 수준에 따른 유아의 문제행동과 사회적 능력 관련 행동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 생활지도와 관련 교사 교육의 소중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lthough teacher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are making continuous efforts to improve the problem behaviors of young children, many teachers in the field today are having a lot of difficulty in guiding the problem behaviors of young children. In relation to this issue, a new concept which is called as problem behavior guidance efficacy has been recently introduced and attracted attention.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d the difference in problem behavior and social ability of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roblem behavior guidance efficacy and the specific problem behavior and social ability-related behavior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showing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problem behavior guidance efficacy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Data were collected from 268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teachers and 1,072 infants (268 teachers × 4)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through postal mail, direct visit, Google Form questionnaire, and e-mai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 the following manner. First,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alculated using a preliminary analysis procedure, and the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se variables were calculated. Next, the problem behavior guida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 of efficacy, and one-way ANOVA was performed on the problem behaviors of young children between these three groups and the scores of the social ability sub-variables, followed by Scheffe post-hoc analysis and individual questions. analyses were perform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roblem behavior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ccording to the level of efficacy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social ability of children according to the level of efficacy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roblem behavior guidance. In addition, this study identified specific problem behaviors and behaviors related to social abilities tha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level of effective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roblem behavior guidance by searching each item.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erms of confirming problem behaviors and social ability-related behaviors of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 level of efficacy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hich has been overlooked in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valuable basic data for early childhood guidance and related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효능감이 다문화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 문제행동지도전략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최형성(Choe, Hyung S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7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효능감과 문제행동지도전략이 다문화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어떠한 과정을 통해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어린이집 또는 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 중 현재 다문화 유아를 지도하고 있으며 연구 참여에 동의한 담임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2017년 11월과 12월에 조사한 본 연구의 결과를 종속변인인 다문화 유아의 사회적 능력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다문화 유아의 사회적 능력은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효능감 및 문제행동지도전략과 유의한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방정식 분석결과,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효능감은 문제행동지도전략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문제행동지도전략은 다문화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효능감이 다문화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문제행동지도전략이 매개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제행동지도전략의 하위영역인 사회정서전략은 사회적 능력의 하위영역인 사회적 규범 이해에 정적인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세 변인 간 관계에 대한 이해를 돕고 더 나아가 다문화 유아의 사회적 능력 신장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 between infant teacher efficacy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y for guiding problem behavior, and multicultural infant social competence,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strategy for guiding problrm behavior. The participants were 300 infant room teachers who teach multicultural infant in Korea. The results showed that multicultural infant social competence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to infant teacher efficacy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and strategy for guiding problem behavior. The results of structural analysis were that teacher efficacy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was significantly positive related to strategy for guiding problem behavior and infant teacher’s strategy for guiding problem behavior was significantly positive related to multicultural infant social competence. Also, infant teacher’s strategy for guiding problem behavior had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infant teacher efficacy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and multicultural infant social competence. Also, strategy for social and emotional skill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to comprehension of social norm.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understand the relation between teacher efficacy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y for guiding problem behavior, and multicultural infant social competence. In addition,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develop multicultural infant social competence intervention programs in Korea.

      • KCI등재

        직장 내 사회적 지지와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이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최윤진(Choi Yunjin),이희영(Lee Heeyeong)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3 No.1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직장 내 사회적 지지와 회복탄력성이 문제행동지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31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을 알아보기 위해 김성현과 이종향(2019)의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고, 직장 내 사회적 지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박지원(1985)이 개발하고 임진형(2000)이 수정・보완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회복탄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신우열 등(2009)이 개발한 측정도구를 류슬기(2020)가 유치원교사를 대상으로 수정・보완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Window용 SPSS 25.0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유아교사의 사회적지지, 회복탄력성,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의 일반적 경향성은 평균과 표준편차를 통하여 살펴보았고, 변인 간의 관계는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다중회귀분석 방법 중에서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직장 내 사회적 지지와 회복탄력성은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교사의 직장 내 사회적 지지의 하위변인이 문제행동지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사회적 지지의 하위변인 중 물질적 지지만이 문제행동지도효능감에 영향을 미쳤고 , 영향력은 7%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회복탄력성이 문제행동지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회복탄력성의 하위변인 중 자기조절능력은 23%, 긍정성은 2%로 나타나 자기조절력의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직장 내 사회적 지지와 회복탄력성 , 특히 물질적 지지와 자기조절능력을 증진시켜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roblem behavior guidance by examining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in the workpla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problem behavior guidance effectivenes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317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Busan Metropolitan City a Gyeongsangnam-do., a measurement tool developed by Park Ji-won (1985) and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Im Jin-hyeong (2000) was used to examine social support in the workplace. Lastly, in order to examine resilience, the measuring tool developed by Shin Woo-yeol et al. (2009)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Ryu Seul-gi (2020) targeting kindergarten teachers.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for Windows. First, the general tendenci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ocial support, resilience, and problem behavior guidance efficacy were examined through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as analyzed by Pearson s moment correlation analysis. In addition,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amo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thod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t work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effectiveness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a sub-variable of teachers workplace social support on problem behavior guidance efficacy, only material support among the sub-variables of social support had an effect on problem behavior guidance efficacy, and the influence was 7%.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teachers resilience on problem behavior guidance effectiveness, among the sub-variables of resilience, self-regulation ability was 23% and positivity was 2%, indicating that the influence of self-regulation was greater. Thes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roblem behavior guidance, it is necessary to enhance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at work, especially material support and self-regulation ability.

      • KCI등재후보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er Efficacy, Perception of Problematic Behavior in Young Children, and Guidance Strategies

        김별희(Kim Byeol Hee),이경화(Lee Kyung hwa)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18 Global Creative Leader Vol.8 No.3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유아문제행동 인식 및 지도전략 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기관 유형, 근무 경력, 연령, 학력)에 따라 교사효능감, 유아문제행동 인식,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 간에 차이가 있는지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교사 19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는 교사효능감(이분려, 1998), 유아문제행동 인식(김경숙, 2008) 및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김연하, 2007) 등이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유아문제행동 인식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교사효능감과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 간에는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문제행동 인식과 지도전략 간에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몇 가지 배경변인에 따라 교사효능감, 유아문제행동 인식,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 간에는 차이가 있었다. 즉, 유아교사의 근무기관 유형을 제외한 모든 배경변인에 따라 교사효능감에는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유아교사들은 문제행동에 대해서는 유사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나, 유아문제행동 지도전략에서는 차이가 있었다. 이와 같은 변인간의 관련성 및 차이를 분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유아들의 문제행동을 지도할 수 있는 교사교육 시스템 마련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teacher efficacy, perception of problematic behavior in young children, and guidance strategies.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se variables according to the teacher’s background (institution type, work experience, age, education).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190 teachers working at day care center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Seoul, Gyeonggi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24.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efficacy and perception of problematic behavior, but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eacher efficacy and teaching strategies. Second,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re were partial differences in teachers efficacy, perception of problematic behavior and teaching strategies for problematic behavior in young children. In teacher efficacy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there was a difference in all variables except for working type.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f problematic behavior in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the difference in teaching strategies for problematic behavior was significa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it will be helpful to establish a teacher education system that can guide the problem behavior of young children.

      • KCI등재

        교사의 놀이성과 놀이신념, 놀이교수효능감이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

        권혜진 한국보육지원학회 2013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9 No.1

        이 연구는 놀이가 영유아의 발달과 학습에서 차지하는 의미와 중요성에 비추어볼 때 교사의 문제행동지도를 놀이지도와의 관련성속에서 탐색해보는 것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기초하여 교사의 놀이성, 놀이신념, 놀이교수효능감과 문제행동지도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와 충청남도에 근무하는 어린이집 교사 151명을 대상으로 교사의 놀이성과 문제행동지도전략, 놀이신념과 문제행동지도전략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들관계에 놀이교수효능감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았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놀이성은 예방적 문제행동지도전략과 긍정적 반응 문제행동지도전략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놀이신념은 예방적 문제행동지도전략과 긍정적 반응 문제행동지도전략에 정적 영향을 미쳤고, 부정적 문제행동지도전략에는 부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교사의 놀이성과 놀이신념은 매개변인인 놀이교수효능감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은 놀이성과 예방적 문제행동지도전략 간의 관계, 놀이성과 긍정적 반응 문제행동지도전략 간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 KCI등재

        다문화 유아의 문제행동 예방 및 지도를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최형성(Choe, Hyung S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7

        본 연구는 다문화 유아의 문제행동 예방 및 지도를 위한 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현재 다문화 유아를 지도하고 있는 유아교사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유아교사 30명(실험집단 14명, 비교집단 16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오리엔테이션 1주 교육프로그램 4주 총 5주 프로그램으로 개발된 프로그램(2019년 1월 10일부터 2월 14일까지 실시)의 효과검증을 위하여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효능감과 다문화효능감 그리고 다문화 유아의 문제행동에 관한 사전-사후검사 점수의 차이를 공분산분석(ANCOVA)하였으며,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에 관한 만족도를 살펴보았다.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효능감과 다문화효능감이 비교집단 교사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높아졌으며, 다문화 유아의 문제행동은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낮아진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이 다문화 유아의 문제행동 감소와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효능감 및 다문화효능감 신장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험집단 교사들은 본 프로그램이 만족스럽고 효과적이라는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 유아의 문제행동 예방 및 지도를 위한 지원방안 마련의 기초자료 제공에 기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eacher education program to guide conduct problem of multicultural infant and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in Korea. The experimental group containing 14 infant teachers and control group containing 16 infant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was already trained in positive teaching behavior with 5 guidance training sessions. Pre and post tests were conducted for two groups and evaluation test was conducted for only experimental group to test the effects of this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enhanced teacher efficacy of guiding infant conduct problems, improved multicultural efficacy of teachers, and reduced the infant conduct problems. Also the experimental group was satisfied with this program.

      • KCI등재

        유아교사의 다문화 태도와 문제행동지도효능감이 다문화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최형성(Choe, Hyung S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0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다문화 태도와 문제행동지도효능감이 다문화 유아의 문제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에 동의한 우리나라 어린이집과 유치원 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2017년 11월에서 12월 사이에 조사한 본 연구의 결과를 종속변인인 다문화 유아의 문제행동 중심으로 살펴보면, 다문화 유아의 문제행동은 유아교사의 다문화 태도, 문제행동지도효능감과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변인 산출을 위한 상관분석 결과, 다문화 유아의 성, 다문화 아동의 연령, 교사의 언어에 대한 다문화 유아의 이해 정도, 아동의 언어에 대한 교사의 이해 정도, 교사의 연령을 통제하는 것이 종속변인에 대한 정확한 영향력 파악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변인을 통제한 회귀분석 결과 유아교사의 다문화 태도는 다문화 유아의 문제행동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문제행동지도효능감은 다문화 유아의 문제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세 변인 간 관계에 대한 이해를 돕고 더 나아가 다문화 유아의 문제행동 예방 및 감소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 teacher’s multicultural attitude, infant teacher efficacy of guiding children’s problem behavior, and multicultural infants’ problem behaviors in Korea. The participants were 300 infant teachers in Korea. The results showed that multicultural infants’ problem behavior was negatively correlated to infant teacher’s multicultural attitude and infant teacher efficacy of guiding children’s problem behavior. The results of regression were that infant teacher’s multicultural attitude was negatively related to multicultural infants’ problem behavior, and infant teacher efficacy of guiding children’s problem behavior was no significantly related to multicultural infants’ problem behavior, controlling the control variables.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understand multicultural infants’ problem behavior and the effect of infant teacher’s multicultural attitude and infant teacher efficacy of guiding children’s problem behavior on multicultural infants’ problem behaviors. In addition,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develop imulticultural infants’ problem behavior’s intervention programs in Korea.

      • KCI등재

        유아교사의 문제행동 지도 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김성현(Kim Seong Hyun),이종향(Lee Jong Hya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9 열린교육연구 Vol.2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문제행동 지도 효능감 척도를 개발하고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유아의 문제행동 및 교사 효능감 관련 문헌을 분석하고 유아교사, 전공교수와의 면담을 통해 구성요인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다. 구성 자료를 기반으로 구성요인을 추출하고 최종 문항에 대한 시안을 구성하였다. 최종 문항 시안은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통해 척도로 개발되었다. 연구대상은 유아교사 456명(탐색적 요인분석 173명, 확인적 요인분석 283명)이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유아교사의 문제행동 지도 효능감 척도는 문제행동 지도 및 관리기술(20문항), 개인적 효능감(6문항), 외부 영향요인(11문항)등 3개 요인의 3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요인들의 내적합치도(Cronbach ‘α)는 ,94에서 .98까지나타났으며, 전체 척도의 Cronbach ‘α 값은 .97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유아교사의 문제행동 지도 효능감 척도는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로 검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roblem Behavior Guidance Efficacy Scale. To do this, literature on young children s problem behavior and teacher efficacy was analyzed, and related data on the components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with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major professors. Based on collected data, the constituent factors were extracted, and the final draft was constructed. The final drafts were developed as evaluation scale through verification processes of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477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made assessments[193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284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The early childhood teachers’s Problem Behavior Guidance Efficacy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was composed of 37 questions following 3 primary factors: Problem behavior management and guidance skills (20 questions), Personal Teaching Efficacy (6questions), External influences (11 questions). The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 α) of these factors ranged from .94 to .98, and the total value of Cronbach’ α was found to be .97.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roblem Behavior Guidance Efficacy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is a valid and reliable t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