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宇宙問答〉과 柳麟錫의 文明意識

        함영대(Ham, Young-dae)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1 泰東古典硏究 Vol.27 No.-

        이 글은 유인석의 만년사상이 집약되어 있는 〈우주문답〉을 문명의식을 중심으로 검토한 것이다. 검토결과 〈우주문답〉은 ‘있는 세계’에 대한 성찰과 미래에 대한 전망이라기보다는 ‘있어야 하는 세계’에 대한 이상과 동경이 짙게 드리워진 것으로 파악된다. 〈우주문답〉은 조선에서 전근대와 근대가 교차하는 1913년에 저술되었음 에도 불구하고 유교적 상고주의가 짙게 배어 있다. 이는 유인석이 견지한 기본 적인 역사인식과 미래에 대한 전망의 결과이다.우주문답〉의 한 축을 이루고 있는 가상의 질문들은 구체적 현실인식을 반영하고 있다. 그에 반하여 그 답변은 보편적인 이상세계를 지향하고 있다. 〈우주문답〉의 문명의식은 당대 현실에 대한 냉철한 분석을 바탕으로 변화를 주도하는 미래지향적인 것이 되지 못하고 유교 경전의 이상으로 회귀한 것이 다. 이것은 유인석이 시대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현실적인 국면에서 그대응책을 마련하기 보다는 자신이 최상의 가치라고 믿는 이념과 질서에 대한 온전한 구축과 실천을 더욱 가치있는 유자의 삶이라고 믿었기 때문이다. 그는 중화를 중심으로 문명을 재구축하고 유교적 이상인 ‘도’를 실천하려 했다. 문명에 대한 주체의식과 평화적인 방법에 의한 세계문명의 건설, 제국주의가 전파한 자본주의 폐해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의식, 동서양 문명의 조화로운 추구 등은 〈우주문답〉의 문명의식 가운데 주목할 만한 것이다. 분명 유인석은 이전의 화서학파의 인물들에 비해 적극적으로 서양의 발전된 문명을 배우 려고 했다. 그러나 결론적으로 본말론적 문명관을 벗어나지 못했다. 화이관과 신분관, 남녀차별에 대한 의식은 그 가운데서도 특히 강고한 것이다. 유인석의 문명의식은 과연 시의(時宜)를 냉정하고 현실적으로 꿰뚫어 본 것인가? 아쉽게도 유인석의 뇌리 속에는 철저한 유교적 상고주의, 봉건적인 질서의식과 화이관적 세계인식이 여전히 부정할 수 없는 진리로 굳건히 자리잡고 있었다. This article examines Ujumundap densely containing the idea of Yu Inseok’s perpetual theory focusing on the consciousness of civiliza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examination, Ujumundap is not the meditation on ‘the existing world’ and prospect to the future but rather the deep ideal and longing for ‘the must-be-world’. Ujumundap was written in 1913 when both premodern and modern ages existed in Joseon, but it profoundly deals with Confucian Sanggojuui (尙古主義). This is the result of foundational historic consciousness held fast by Yu In Seok and prospect to the future. Virtual questions consisting of the axis of Ujumundap reflect concrete realistic consciousness. In contrast to it, the answers pursue the general ideal world. Ujumundap’s consciousness of civilization could not be a future-oriented thing initiating changes based on reasonable analysis on those times’ reality but returned to the ideal of Confucian scriptures. This could not build measures in realistic aspects with Yuin Seok’s flexible responses to changes of that time, but he believed sound establishment and practice for ideology and order he thinks to be his best value is an even more valuable life of a Confucian scholar. He tried to reestablish civilization based on neutralization and practice ‘Tao (道)’, the Confucian ideal. What are noticeable in Ujumundap’s consciousness of civilization include a sense of sovereignty to civiliz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world civilization by peaceful methods, sharp critical consciousness on the harmful effects of capitalism transmitted by imperialism, and harmonious pursuit of Oriental and Western civilization. Yu In Seok surely wanted to learn the West’s advanced civilization actively compared with previous figures of Hwaseo School (華西學派). However, he could not escape from Bonmal theory (本末論的)’s view of civilization after all. Among them, particularly stable parts are Hwa-eui theory (華 夷論) and the view of the status system, and consciousness of sexual discrimination. Could Yu In Seok’s consciousness of civilization penetrate periodic significance (時宜) rationally and realistically? Regretfully, in Yuin seok’s mind, thorough Confucian Sanggojuui, a sense of feudal public order, and Hwa-eui theory’s world consciousness were still firmly fixed as undeniable truth.

      • 崔致遠 사상에서의 보편성과 특수성의 문제 -東人意識과 同文意識을 중심으로-

        최영성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09 동양문화연구 Vol.4 No.-

        신라 말의 석학 고운(孤雲) 최치원(崔致遠 : 857∼?)은 당대를 대표하는 최고 지성인의 한 사람이었으며, ‘나말여초’라는 역사적 전환기의 정치적․사상적 변화를 대변한 시대정신의 산 증인이었다. 또 12세 때 당나라로 유학을 떠나 16년 동안 그곳에 머물면서 국제적 감각을 갖추었던 대표적인 중국통(中國通)이기도 했다. 종래 최치원을 사대모화주의자(事大慕華主義者)라고 본 것은 그의 철저한 동인의식(東人意識)을 간과하였을 뿐만 아니라, 문명세계를 지향하는 동문의식(同文意識)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였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本稿)에서는 최치원 사상에서 중요한 기반을 이루는 민족주체(民族主體) 의식과 문명지향(文明志向) 의식의 상호 관계에 대해서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최치원 철학사상의 중핵(中核)이라 할 수 있는 주체의식과 문명의식은 보편성과 주체성의 차원에서 이해할 수 있는데, 이 보편성과 특수성의 문제는 연구틀로서의 중요한 두 축을 이룬다. 그의 주체적 정신이 특수성 차원에서 논의될 수 있는 것이라면, 문명세계의 지향은 곧 보편성의 차원에서 논의될 수 있는 성질의 것이라 하겠다. 필자는 최치원의 주체의식을 ‘동인의식’으로, 문명지향 의식은 ‘동문의식’으로 명명한 바 있다. 민족적 특수성을 의미하는 ‘인(人)’, 문화적 보편성을 의미하는 ‘문(文)’, 그리고 각각 그것을 수식하는 ‘동(東)’과 ‘동(同)’이 서로 좋은 대조를 이룬다. 최치원의 철학사상은 현실적으로 ‘동인의식’과 ‘동문의식’의 두 축으로 전개되었다. 전자는 민족적 차원에서, 후자는 국제적 차원에서 이해할 수 있는데, 둘 다 최치원의 독창적인 사상이라 할 수는 없고, 당시의 시대사조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최치원에게 있어 민족주체의식과 문명지향의식은 일체양면(一體兩面)으로 피어나는 것이다. 그가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지향하고자 했던 것은 다름이 아니었다. 분열과 갈등과 대립으로 난마(亂麻)처럼 뒤얽힌 당시의 혼란한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 사회통합과 민심을 한 데 모으는 원동력으로서의 민족주체의식을 부각시키는 것이었고, 아울러 우리의 문화적 긍지와 문화 창조의 역량을 최고도로 발휘시켜 국제적인 수준과 대등한 데까지 끌어올리려는 융평사상(隆平思想)의 한 발로로서의 문명의식을 고취시키는 것이었다. 최치원의 ‘주체의식’과 ‘문명의식’은, 신속화․정보화․세계화로 특징 지워지는 이 시대에, 동서문명의 보편성 추구와 세계화 지향을 시대적 과제로 하는 현대인들에게 국제화와 주체의식의 관계를 다시 한 번 깊이 되새기게 하였다. 넓게 열린 마음으로 우리 문화와 전통을 가장 ‘민족적’이고 ‘원형적’으로 잘 살려서 세계에 널리 알리는 것이 바람직한 국제화라고 할 때, ‘뿌리 있는 국제인’이 되기를 염원했던 최치원의 주체적인 사고와 자세는 현대인들에게 어느 것이 바람직한 국제화요 현대화인지 일깨우는바 크다고 할 것이다.

      • KCI등재

        一般論文 : 최치원(崔致遠)사상에서의 보편성과 특수성의 문제 -동인의식(東人意識)과 동문의식(同文意識)을 중심으로-

        최영성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09 동양문화연구 Vol.4 No.-

        신라 말의 석학 고운(孤雲) 최치원(崔致遠: 857∼?)은 당대를 대표하는 최고 지성인의 한 사람이었으며, ``나말여초’라는 역사적 전환기의 정치적·사상적 변화를 대변한 시대정신의 산 증인이었다. 또 12세 때당나라로 유학을 떠나 16년 동안 그곳에 머물면서 국제적 감각을 갖추었던 대표적인 중국통(中國通)이기도 했다. 종래 최치원을 사대모화주의자(事大慕華主義者)라고 본 것은 그의 철저한 동인의식(東人意識)을 간과하였을 뿐만 아니라, 문명세계를 지향하는 동문의식(同文意識)에대한 이해가 부족하였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本稿)에서는 최치원 사상에서 중요한 기반을 이루는 민족주체(民族主體) 의식과 문명지향(文明志向) 의식의 상호 관계에 대해서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최치원 철학사상의 중핵(中核)이라 할 수 있는 주체의식과 문명의식은 보편성과 주체성의 차원에서 이해할 수 있는데, 이 보편성과 특수성의 문제는 연구틀로서의 중요한 두 축을 이룬다. 그의 주체적 정신이 특수성 차원에서 논의될 수 있는 것이라면, 문명세계의 지향은 곧보편성의 차원에서 논의될 수 있는 성질의 것이라 하겠다. 필자는 최치원의 주체의식을 ‘동인의식’으로, 문명지향 의식은 ‘동문의식’으로 명명한 바 있다. 민족적 특수성을 의미하는 ‘인(人)’, 문화적 보편성을 의미하는 ‘문(文)’, 그리고 각각 그것을 수식하는 ‘동(東)’과 ‘동(同)’이서로 좋은 대조를 이룬다. 최치원의 철학사상은 현실적으로 ‘동인의식’과 ‘동문의식’의 두 축으로 전개되었다. 전자는 민족적 차원에서, 후자는 국제적 차원에서 이해할 수 있는데, 둘 다 최치원의 독창적인 사상이라 할 수는 없고, 당시의 시대사조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최치원에게 있어 민족주체의식과 문명지향의식은 일체양면(一體兩面)으로 피어나는 것이다. 그가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지향하고자 했던 것은 다름이 아니었다. 분열과 갈등과 대립으로 난마(亂麻)처럼 뒤얽힌 당시의 혼란한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 사회통합과 민심을 한 데 모으는 원동력으로서의 민족주체의식을 부각시키는 것이었고, 아울러 우리의 문화적 긍지와 문화 창조의 역량을 최고도로 발휘시켜 국제적인 수준과 대등한 데까지 끌어올리려는 융평사상(隆平思想)의 한 발로로서의 문명의식을 고취시키는 것이었다. 최치원의 ``주체의식’과 ``문명의식’은, 신속화·정보화·세계화로 특징 지워지는 이 시대에, 동서문명의 보편성 추구와 세계화 지향을 시대적 과제로 하는 현대인들에게 국제화와 주체의식의 관계를 다시 한번 깊이 되새기게 하였다. 넓게 열린 마음으로 우리 문화와 전통을 가장 ``민족적’이고 ``원형적’으로 잘 살려서 세계에 널리 알리는 것이 바람직한 국제화라고 할 때, ‘뿌리 있는 국제인’이 되기를 염원했던 최치원의 주체적인 사고와 자세는 현대인들에게 어느 것이 바람직한 국제화요 현대화인지 일깨우는바 크다고 할 것이다.

      • KCI등재

        문명(文明)과 무위(武威)의 사이(四夷)-이등동애(伊藤東涯)의 조선관(朝鮮觀)과 문명의식(文明意識)-

        이효원 ( Lee Hyo Won ) 근역한문학회 2017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48 No.-

        근래 前田勉(마에다 쓰토무)는 일본 사상사에 병학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병학이 武威를 합리화하여 일본 유학자의 武國 관념을 형성하는 사상적 근거가 되었다고 하였다. 그렇다면 문명권 내부의 평화를 지향하는 유학자의 정체성과 무위에 기반한 무국 관념은 서로 충돌하는 것이 아닐까? 伊藤東涯의 경우를 보면 종족적, 지리적 화이론에서 탈각하여 문명의 유무에 따라 중국도 ‘夷’가 될 수 있고 일본도 ‘華’가 될 수 있다는 문명적 화이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조선에 대해서는 이러한 화이관이 균열을 보인다. <三韓紀略> 서문에서 東涯는 고대 일본이 한반도를 복속했다는 자국중심적인 인식을 보인다. 여기서는 무위에 의한 우월의식이 간취된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왜구의 침략이나 임진전쟁에 대해서는 무력의 남용으로 양국의 백성이 도탄에 빠졌다고 하며 비판하였다. 그리고 일본이 ‘文’을 통치이념으로 삼는 유교 국가로 거듭날 것을 천명하였다. 이와 같은 東涯의 문명지향성은 荻生?徠와 비교할 때 더 선명하게 드러난다. 일본 유학은 근대에 이르기까지 무위와 문명의 사이를 위태하게 오가면서 나아갔던 것으로 보인다. 유교적 문명성은 무위가 폭주하지 않도록 균형을 잡아준다. 그러나 서구의 침탈에 직면해 균형추는 무위 쪽으로 급격히 기울어갔다. 일본의 사상사 연구는 일본의 주체성, 개별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조선을 ‘방법’으로 삼았을 때 근세 일본의 탈중화적인 면모가 꼭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오지는 않는다는 점이 드러난다. In recent years Maeda Tsutomu(前田勉)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兵學 in Japanese thought history and argued that 兵學 rationalized Bui(武威) and became a philosophical basis for forming concept of Japanese confucianist’s idea of garrison state(武國觀念). However, will not conflict between the identity of confucianist that intends peace inside the civilized area and the idea of garrison state? In the case of Ito Togai(伊藤東涯), he is escape with a race-oriented, geographical Huaikuan(華夷觀), and he think that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civilization, China may become “夷”, and Japan may also become “和”. However, this 華夷觀 shows a crack in case of Korea. In the preface attached to the 三韓紀略, 東涯 shows the country-centered recognition that ancient Korean Peninsula was subject to Japan. A sense of superior consciousness is seen. However, on the other hand, criticized the people of both countries have fallen into the disaster by the abuse of military force on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he insist that Japan will be reborn as a Confucian nation. 東涯‘s civilization directivity appears more clearly when compared with Ogyu Sorai(荻生?徠). Confucianism in Tokugwa Japan seems to have advanced walking up and down between 武威 and civilization(文明) up to the modern era. Confucian civilization is balanced so that 武威 do not run away. However, in the face of the Western invasion, the equilibrium cone tilted suddenly towards 武威. Japan's thought history research has been structured to emphasize Japanese independence and individuality. However, when consider existence of Korea, it turns out that the aspect of pre-sino-centrism in modern Japan does not necessarily bring positive outcome.

      • KCI등재

        한국 한시 속에 담긴 역사의식과 문명의식

        변종현 ( Byun Jong-hyun ) 배달말학회 2018 배달말 Vol.62 No.-

        한국 한시에는 시인 자신의 정감을 표현한 작품이 많지만, 때로는 역사적 현실 속에서 자신의 역사의식이나 문명의식을 시로 표출하기도 하였다. 특히 우리 역사에서 고려 후기와 조선 후기는 국제정세의 소용돌이 속에서 지배계층에 속했던 인물들의 주체적인 결단이 필요하던 시기였다. 고려후기는 원·명교체기로 역사와 문명에 대한 갈등이 치열했던 시기였다. 이 시기에 이제현은 고문운동(古文運動)을 통하여 사대부문학이 나아갈길을 제시하였고, 영사시(詠史詩)를 통하여 역사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역사의식이 담긴 시를 통해 우리가 본 받아야할 인물들과 반성해야 할 인물들을 잘 제시해 주었다. 이곡은 원의 수도인 대도(大都)에서 유학하며 아들인 이색에게도 대도에서 벼슬해야함을 권면하였다. 이색은원에서 유학을 한 뒤 원나라에서 벼슬을 하였지만 고려로 귀국한 뒤 친원(親元)과 친명(親明) 사이의 갈등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원나라로 사행을 가며 쓴 시로 보이는 <즉사(卽事)>에 나타난 의식으로 보아 목은은 명나라의 역사와 문화에 더 호감을 가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겠다. 목은은 이후 성균관 대사성(大司成)이 되어 김구용·정몽주·이숭인 등을 학관으로 채용하여 유교문화를 심화시키기 위해 노력하였다. 고려 후기에 형성된 이러한 학문적 분위기는 사대부들의 가치관으로 자리잡게 되어서, 이후 사대부계층들은 역사전환기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게 되었다. 조선 후기에는 영조와 정조를 거치면서 많은 변화가 일어났고, 특히 청일전쟁과 러일전쟁은 조선을 장악하기 위해 일어났던 전쟁이었다. 조선 후기에는 이러한 역사 흐름 속에서 조선 문인들은 한시를 통하여 농민들의 참혹한 실상을 고발하기도 하고, 외세의 침탈에 강력하게 저항하기도 하였다. 정조 때 유득공은 <이십일도회고시(二十一都懷古詩> 43수를 지어 민족의 주체성을 살리려고 노력하였다. 이 시에서 유득공은 우리 역사의 지나간 모습, 즉 민족적 삶의 총체적 양상을 각국의 왕도(王都)를 통하여 제시함으로써 우리 것을 새롭게 인식하려고 하였다. 그리고 전봉준은 <절명시>에서 동학농민군을 이끌고 외세를 배격하고 새로운 나라를 건설하기 위해 혼신의 힘을 기울였지만 이루지못한 한을 잘 나타내었다. 구한말 황현은 서양세력이 조선으로 밀려들어오는 것에 위기감을 가지고 있었다. 1884년에 지은 <이충무공귀선가>에서는 서양세력의 침탈을 호랑이가 양 마을에 드는 형세라 하였고, 음독하기 전에 쓴 <절명시>에서는 국치일에 죽음으로 선비정신을 실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고려 후기에 진화와 정몽주의 시에서 문명에 대한 주체의식이 뚜렷함을 보여주었고, 조선 후기에는 역관 신분이었던 이언진의 시와 박수의 사상에서 문명에 대한 새로운 자각을 잘 보여주고 있다. 진화는 금나라에 사신으로 가면서 문명의 주체가 고려임을 나타내었고, 정몽주는 한시를 통하여 중화적(中華的) 세계 질서 속에 있는 고려 민족의 자부심을 드러내었다. 즉, 고려 후기에 국제관계가 중국 명나라를 중심으로 하는 세계 질서를 인정하고, 그 질서 속에서 문화적 동질성을 확보하고 살아가는 자부심을 시로 표현하였다. 조선 후기에는 역관이었던 이언진의 시에서 자신의 신분과 사상에 대한 깊은 성찰이 나타나있다. 이언진의 시집에는 시인 자신이 겪은 고통과 분노의 언어로 채워져 있으면서, 유교 국가 너머 다양한 사상이 인정되고, 신분과 혈통이 아니라 능력으로 인정받는 세계를 꿈꾸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구한말 박수는 존화양이(尊華攘夷)의 진정한 의미를 논하면서 “주 나라가 이룬 제도와 문화를 갖추어 예를 지키고 인륜을 유지하여야 중화”라 하였다. 이러한 선인들의 시와 사상을 통해 볼 수 있는 역사의식과 문명의식은 오늘날 우리에게 새로운 문화 콘텐츠로 자리를 잡아, 앞으로 보다 바람직한 역사를 이룩해 나가고 새로운 문명을 창출해 가는 원동력이 되리라 여겨진다. What is the driving force which induces the cultural power of Korea which all over the world people get interested in. The force of the source can be found out from the cultural heritages which our ancestors have left to us. This paper focuses on humanistic imagination involved in Korean Chinese Poetry, based on historical and civilizational consciousness. In most of Korean Chinese Poetry, poets expressed their own emotions but sometimes they presented their historical or civilizational consciousness. Historically, some poets among writers in the late Koryeo and in the late Chosun Dynasty showed distinctly such a consciousness. This consciousness can be examined in Yi Jehyeon' Youngsasi(詠史詩), which was written in the late Koryeo, in Yu Deukgong's < Yishipildohoegosi(二十一都懷古詩) > and Jeon Bongjun's and Whang Hyeon's < Jeolmyoungsi(絶命詩) >, which were written in the late Chosun Dynasty. In the late Koryeo, Yi Jehyeon reinterpreted and criticized Chinese historical figures by writing Youngsasi. Through the poems of historical figures, he presented what ones should emulate and reflect on. Besides, Yu Deukgong composed 43 poems, < Yishipildohoegosi(二十一都懷古詩) > to establish the national identity even though he had lived in poverty. Reading these poems, we can appreciate how our ancestors revealed their view of world and awareness of reality in their poetry, struggling against arrogance of the world. And in the late Koryeo, Jin Wha's and Jeong Mongju's poems showed obvious opinions for the subject of civilization. In the late Chosun Dynasty, Yi Eonjin, who was an interpreter, and Park Soo displayed clearly new view of civilization in their thoughts. Jin Wha dispatched to Jin as an envoy expressed that the subject of civilization was Koryeo. Jeong Mongju revealed the pride of Koryeo people even in Chinese world order of the time. In his poems, he expressed a pride that he lived ensuring cultural homogeneity in Ming-centric world order even though the world in the late Koryeo accepted such a world order in the international relations. Yi Eonjin, an interpreter in the late Chosun Dynasty, described keen reflection on his status and thought in his poetry. His anthology was filled with the words of agonies and rages which he had experienced. He was dreaming of the world that various thoughts would be accepted and people's abilities should be given priority over their status or blood even though he lived in a confucian country. In the late Chosun Dynasty, Park Soo said, "Jungwha(the form of viewing China as the most advanced civilization in the world) is that courtesy should be observed and humanity should be kept, equipped with system and culture which Zhou Dynasty had established", disputing about what the real Jonwhayangi(Hua-yi distinction) was. It is considered that today the ancestors' consciousness of history and civilization shown in their poems and thoughts will be the motive to build new cultural contents, to make desirable history and to create new civilization in future.

      • KCI등재

        崔溥의 《漂海錄》에 나타난 敍事樣相과 文明意識

        李九義(Lee, ku-eui) 동아인문학회 2019 동아인문학 Vol.47 No.-

        필자는 금남(錦南) 최부(崔溥)가 지은 《표해록》에 나타난 서사양상(敍事樣相)과 문명의식(文明意識)을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본고를 집필하였다. 《표해록》의 서사 양상은, 첫째 일기체(日記體)의 전개방식이다. 곧 보고문의 양식이다. 둘째 이 《표해록》의 서술 방식 가운데 또 하나의 특징은 시간적 순차에 따른 사건 중심의 서술 방식이다. 셋째 이 《표해록》은 간접 대화방식을 택하였다. 넷째 간결체의 결구방식(結句方式)이다. 《표해록》에 나타난 문명의식(文明意識)은, 첫째 아체타용(我體他用)의 동인의식(東人意識)이다. 금남은 주체의식을 가지고 중국 사람과 교류하였다. 둘째 학자(學者)로서의 선민의식(選民意識)이다. 그가 선민의식을 가지게 된 배경에는 그의 학문이 해박한 데 있었다. 셋째 관리(官吏)로서 정명의식(正名意識)이다. 그가 관리로서 자신의 책무를 다하려고 노력하였다. 《표해록》이 가지는 문학・역사・철학・지리・경제・사회사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금남(錦南)의 《표해록》은 우리나라 표류기(漂流記)의 처음이라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둘째 금남의 《표해록》을 통하여 나라와 나라 사이 문명의 소통을 이해할 수 있다. 셋째 이 《표해록》은 이보다 180년 뒤에 나온 하멜의 《표류기》에 나타나는 정신과 행동 면에서 대조적이다. 넷째 이를 통하여 당대의 학자와 관리들의 위계질서를 알 수 있다. 다섯째 최부(崔溥)라는 한 사람의 행적을 통하여 당대 학자 또는 관리들의 관심사(關心事)와 지향점(志向點)이 무엇인가를 이해할 수 있다. This thesis examines how the A Record of Drifting across the Sea, which is written by GeumNam(錦南) ChoiBu"s(崔溥: 1454~1504) is linked with his life. The characteristics of this work can be summarized into several features. The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styles of this work are, firstly it’s discovery has a diary style. Secondly, it’s built up centering around the occurrence. Thirdly, it has a style of indirect communication. Lastly, it is written in a concise and clear language. The realms of civilians of this work’s asserted or involved have several features. Those are; Firstly, it is the national identity which named a consciousness of the East People. Secondly, the culture back then in the Chosen Dynasty was cultivated by Confucian school of thoughts, which influenced the civilians in that era including Choi-Bu. He speculated his thesis based on extensive knowledge on this work. Finally, his moral justifications which contributed to shape his consciousness. The work of ChoiBu has noticeable features with regards to literal, historical, philosophical, economic and social perspectives. Firstly, his work was the first piece of A Record of drifting across the sea in the Korean peninsula. Secondly, with this work, it allows us to grasp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China and Chosen properly. Thirdly, this work has several distinguishing features compared to Hamel’s view on his work. Finally, through this article, it is able to acknowledge the concerns or interests of scholars in that time.

      • KCI등재

        「西游錄」 所在 漢詩에 나타난 韓溪 李承熙의 文明意識

        송지현 영주어문학회 2023 영주어문 Vol.53 No.-

        This study is to figure out Lee Seung-hui’s Civilization Consciousness(文明意識) in the poem of 「Seoyurok(西游錄)」. Lee seung hui is a korean independence activist during the colonial period. In 1909, He established a base of independence movement which is called ‘Han heung dong(韓興洞)’ in Mishan of Jilin province, but he m oved a base of independence movement to Andong of Fengtan province. He found out Gonggyo Movement(孔敎運動) in Andong, so he established Korean Organization of Confucius Religion in Manchuria(東三省 韓人孔敎會). His branch was officially approved by Gonggyohoe (孔敎會) where there is a main branch in Beijing, which made him visit Qufu. 「Seoyurok」 is the record of journey in Beijing and Qufu. It is the travel essay, and he expressed his feeling about his journey in the poem . We found out Lee Seung-hui’s Civilization Consciousness in the poem of 「Seoyurok」. When he moved from Andong to Beijing, he mentioned Dangun and Gija. He said that Dangun founded the country and Gija is the person who transmitted civilization and gave edification. In addition, it showed that Consciousness of Native Land(故土意識) which recalls previous territory that was part of Korea through Dangunand a sense of self-esteem(自尊意識) that Korea is the only one country with authenticity of confucian culture through Gija. He had a pride of Confucian culture through Dangun and Gija. When he experienced westernized china and western culture, he worried about the future, but at the same time he accepted westerniz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inocentrism. Lee Seung hui tried to keep korean history and tradition, even though he was in difficult situation. A lot of his works he had performed in China could be highly appreciated as a kind of independence movement that dreamed of new beginning and revival of our nation. 이 연구는 한계 이승희의 「서유록」 소재 한시에 나타난 문명의식을 찾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승희는 우리나라가 일제의 통치를 받게 되자, 중국으로 망명했던 인물이다. 그는 1909년 길림성 밀산부에 ‘한흥동’이라는 정착촌을 건설하였으나, 사정이 여의치 않아 1913년 봉천성 안동현으로 이동하였다. 안동현에서 중국의 공교 운동에대해 알게 된 이승희는 동삼성한인공교회를 설립하였다. 그리고는 곧장 북경으로 가서 공교회의 지부로 승인을 받았으며, 이를 계기로 하여 곡부도 다녀오게 되었다. 안동현을 떠나 북경과 곡부를 둘러본 여정을 담은 기록이 바로 「서유록」이다. 「서유록」 은 이동 경로와, 각 공간에서 느낀 바를 쓴 한시를 수록한 일기체 기행문이다. 「서유록」의 한시를 통해 이승희의 문명의식을 확인할 수 있다. 안동현에서 북경으로 이동할 때 단군과 기자가 종종 언급되었다. 기본적으로 단군은 나라를 세운 국조로, 기자는 문명을 전달하고 교화를 펼친 인물로 인식하였다. 단군을 통해 고대의 영토를 떠올리는 고토의식이 주로 드러났으며, 기자를 통해 우리나라가 유교 문화의 정통성을 가진 유일한 나라라는 자존의식이 나타났다. 이승희는 단군과 기자를 통해서우리나라의 오랜 역사를 잊지 않고 유교 문화에 대해 자긍심을 갖는 태도를 보였다. 또한 이승희는 서구화된 중국의 현실을 맞닥뜨리고 서양인을 직접 접하면서, 서구화에 대한 우려와 안타까움을 표출하였다. 동시에, 중화의식의 기준에서는 서구를 인정하는 유연한 태도도 보였다. 서구에 대한 낯섦과 거부감을 중화의식으로 극복하며, 우려와 기대가 공존하는 의식을 드러냈다. 이승희는 암울했던 시대적 상황과 험난한 타국에서의 현실 속에 우리나라의 역사와 전통 의식을 지키려 노력했던 인물이다. 그가 우리 민족의 새로운 시작과 부흥을꿈꾸며 펼쳤던 중국에서의 다양한 활동들은 높이 평가할 만하다.

      • KCI등재

        한시의 보편적 가치와 조선후기 중국 문인과의 시문 교류

        이종묵 ( Jonh Mook Lee ) 한국시가학회 2011 韓國 詩歌硏究 Vol.30 No.-

        동아시아에서 한시는 同文意識을 바탕으로 한 보편적 가치를 가졌기에 한시의 제작 능력이 문명의 지표로 인식되었다. 이에 따라 明에서 온 사신과 朝鮮문인이 서로 만나 漢詩를 제작하는 것은 단순한 유흥이 아니라 文明의 고하를 두고 벌인 대결이라 할 만하다. 한편 조선으로 온 중국의 문사들이 조선의 시를 채집하여 중국에 가져가고 또 중국에서는 역대 중국의 한시를 정리하면서 조선의 시를 채집하여 포함하고자 하였는데, 이는 조선의 시를 國風의 하나로 인식하여 中華文明의 성대함을 장식하고자 한 제국의 의도라 할 수 있다. 특히 康熙帝는 청이 中華文明의 중심에 있음을 공표하려는 의도에서 한시와 관련한 방대한 類書類를 편찬하여 조선에 선물로 보내었고, 조선의 문화적 역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조선의 시를 채집하고자 하였다. 이에 대하여 17세기 조선의 문인들은 문명의 중심에 조선이 있다는 小中華의식을 바탕으로 조선의 시문을 청에 보내는 것을 꺼렸지만, 金春澤등 일부의 문인들은 조선 문명의 우수성을 과시하기 위하여 청에 적극적으로 조선의 우수한 작품을 보내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시문 교류는 중국이나 조선에서 모두 문명의 대결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雍正帝와 乾隆帝를 거치면서 淸이 더욱 강성해진 현실을 받아들인 18세기 무렵부터 조선의 문인들은 漢族출신의 지식인들과 교유하면서 오랑캐의 나라가 아닌 한족의 중화문명을 교류의 대상으로 삼았다. 조선의 문인과 한족의 문인들은 만주족에 대한 문화적 우월감을 특히 한시를 통하여 해소하면서 天涯知己의 우정이 성립될 수 있었다. 동아시아에서 보편적 가치를 지닌 한시가 국가 대 국가의 공적인 교류에서는 문명의 대결이 되었던 것과 달리 사적인 교류에서는 소통의 수단으로 변화하게 되었다. In Eastern Asia, Classical Chinese Poetry had a universal value based upon the common literary consciousness, and producing a fine work of poetry was thus recognized as a indicator of civilization. Hence, exchanging classical Chinese poems between Ming`s envoys and Joseon`s literati was more a kind of competition over the level of civilization than a mere recreation. Meanwhile, the attempts of Chinese literati to take record of Joseon`s classical Chinese poems and to include them in the compilation of Chinese poetry were a kind of imperial design to seize Joseon`s poetry as one of their airs of states(guofeng), consequentially as a decoration of the marvellous Chinese civilization. Importantly Kangxi Emperor published and sent to Joseon enormous encyclopedic works on poetry to prove Qing`s cultural centricity, and also demanded to tribute Joseon`s poetry works to check their cultural level. To this demand literati of 17th century Joseon usually objected to send the poetic works as they regarded themselves already possessing the cultural centricity based on Semi-Sinocentrism(Sojunghwasasang). Kim Chuntaek, however, argued that Joseon`s fine works of poetry should be sent to Qing positively, in order to boast Joseon`s cultural superiority. But by the age of 18th century, the era of Yongzheng Emperor and Qianlong Empeor, as Joseon accepted Qing`s actual dominance in power, literati of Joseon made companionship with intelligentia of Han Chinese, avoiding relationships with barbarious Qing and approving the Sinocentric culture of Han Chinese. By expressing their cultural pride over Manchu people in classical Chinese poetry, they could build up a strong bond of friendship beyond the national boundaries. Contary to its public role as a confrontation of civilization, classical Chinese poetry appeared to serve as a medium of communication in private relationships.

      • KCI등재

        여말선초 箕子 중심의 역사계승의식과 조선적 문명론

        최봉준(CHOI Bong Jun) 한국사학사학회 2015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31

        이 글은 여말선초 이색과 정도전, 권근 등 3명의 인물의 역사계승의식과 문명론의 변화, 분기를 통하여 성리학이 내면화 하는 과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고려말의 이색과 정도전은 성리학자로서 箕子를 중심으로 하는 역사계승의식을 추구한다는 점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이색은 단군을 國祖로 인정한 반면, 정도전은 조선건국의 당위성을 주장하면서 단군조선의 의미를 크게 축소하였다. 이는 문명론에서 고려왕조는 물론 전통문화를 時勢로 보고 인정하려는 이색과, 전통은 물론 고려왕조까지 부정하고 새로운 왕조건설로 전면적인 유교화를 추구하는 정도전의 차이를 만들었다. 이색은 점진적 문명론을 정도전은 도학적 문명론을 추구했다고 정리할 수 있으며, 이는 지향점은 같으나, 방법론에서 나타난 차이였다. 고려말의 문명론의 분화는 조선초기 권근의 단계에 와서 융합되는 양상을 보였다. 권근은 역사이론에서 성리학의 원론적인 측면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정도전의 학문과 연결되지만, 멸망한 남송 출신의 유학자로 정치에 참여하지 않고 은거하였던 吳澄을 비판하는 모습에서 權道와 時勢論을 추구한 이색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왕조의 교체에도 불구하고 현실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면 유교적 가치의 실현이 가능하다는 권근의 낙관적 전망을 담고 있다. 더욱이 권근은 기자 중심의 역사계승의식을 추구하는 가운데서도 이색에 비하여 단군을 강화하였으며, 중국과 조선을 구분하고 小中華로서의 위치를 분명하게 견지하고자 하였다. 그는 보편문화를 지향해야 한다는 당위성이 있으나, 조선은 중국과 문화적 배경이 다르기 때문에, 고유한 문화적 전통도 유지해야 한다는 조선적 문명론을 지향해나갔던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how Neo-Confucianism was internalized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period focusing on the change and differentiation in the discourse on history and civilization of the three scholar-officials, Lee Saek, Jeong Dojeon, and Kwon Geun. There was little disagreement between Lee Saek and Jeong Dojeon, both Neo-Confucianists, in defining Goryeo as the historical successor of Gija who symbolized the introduction of Chinese civilization into Korea. However, whereas Lee admitted Dangun as the father of nation, Jeong reduced the importance of Dangun's Joseon advocating the legitimacy of founding a new state, Joseon. This led to a divergence in the discourse on civilization. From the situational perspective, Lee embraced not just Goryeo Dynasty but also traditional culture; Jeong, on the other hand, discredited tradition and even the present dynasty and sought out a complete Confucianization by the means of constructing a new dynasty. In sum, in terms of civilization discourse, Lee was a gradualist, Jeong a radicalist. They had the same goal, but different methods. The differentiation in the discourse of civilization in the late Goryeo later merged in the thoughts of Kwon Geun in the early Joseon period. Like Jeong Dojeon, on the one hand, Kwon aimed to emphasize the principles of Neo-Confucianism in his analysis of history. On the other hand, however, he followed Lee Saek's situational approach to Tao in that he criticized Wu Cheng, the Chinese Confucian scholar from the lost dynasty, South Song, who had not participated in politics and secluded himself during the non-Han dynasty, the Yuan. It showed Kwon's positive perspective that despite the change of dynasty Confucian values could be achieved by active participation in politics. Moreover, while supporting the idea of historical succession that put Gija at the center, Kwon reinforced Dangun more than Lee had done. Although Kwon took the pursue of Confucian universalism for granted, he also aspired to the preservation of unique cultural tradition because he saw that China and Joseon had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which constituted his vision of Joseon's civilization. At the same time, he tried to concretely affirm latter's place as "Little China" in the Sino-centric world.

      • KCI등재

        자유주의 문명의 밖에서 - 간디에서 이토를 넘어 롤즈까지 -

        허우성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15 일본사상 Vol.0 No.29

        문명이란 개념은 역사, 언어, 문화, 전통, 그리고 종교까지 포괄하므로 특정 분야의 전공자가 쉽게 논의할 수 있는 주제는 아니다. 하지만 이 개념은 세계 곳곳에서 다양하게 사용되어 왔다. 19세기 이후 일부 동양인들은 서양문명 세력이 동점해오자 ‘문명의식’을 갖게 되고, 생존을 위해서 커다란 변화의 필요성을 절감하게 되었다. 이런 소논문이 19세기 이후 동양에서 일어난 문명론들을 전부 다룰 수는 없으므로, 필자는 주로 근대 한국의 역사적 정치적 환경과 비교적 깊이 관련되어 있는 몇몇 문명론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다. 덧붙여서 대부분의 현대 한국인의 문명론이 되어버린 헌팅턴과 퍼거슨의 서양문명론을 검토했다. 불교도의 문명론을 논의한 것은 그것이 간디의 문명론과 유사하면서 한국의 문화 전통의 일부이기 때문이고, 쿠트브라는 이슬람교도의 신랄한 현대문명 비판을 소개한 것은 이 글의 불완전함에 대한 부담감을 줄이기 위해서였다. 끝으로 필자는 간디와 롤즈를 제한적으로 비교 검토하고 하나의 중심 주제를 제시하여, 거대 담론인 문명론을 진지하고 구체적인 연구로 바꾸려고 시도했다. 그런 의미에서 이 글은 역사적 연구이면서도 현재적 연구이다. 이 글은 비서양권의 문명론자들이 서양문명에서 찾은 것은 주로 자국의 자유와 부강을 주는 특성이었음을 확인했다. 이는 이토와 한용운 모두에 해당된다. 서양문명을 비판한 간디는 나라와 촌락의 자치, 그리고 정치적 경제적 자립을 중시했다. 일본은 2차 세계 대전에서의 참담한 패배 이후, 그리고 한국은 해방 이후 서양의 자유주의 문명을 거의 전면적으로 수용해왔다. 그 결과 퍼거슨이 말한 여섯 가지 비장의 무기가 대체로 우리의 것이 되었고, 후쿠자와가 한 때 서양문명에만 있다고 한 ‘개인의 자유’ 이념은, 자유주의, 민주주의, 시장경제와 함께 일본과 한국에서 상당 부분 실현되었다. 20세기 중반 이후 국제관계에서 국익 앞에 보편 윤리를 희생시키자고 주장했던 이토와 같은 제국주의자는 거의 없어졌다. 문명의 향상과 함께 한 민족의 자유와 독립은 다른 민족들로부터 존중받는 시대가 왔기 때문이다. 간디의 완전한 스와라즈는 한 민족이나 한 마을의 정치적 경제적 자주권, 개인의 정치적 자유, 혼의 힘의 충분한 발휘를 요구했다. 이런 자치를 염두에 두고 앞으로 우리가 전개할 문명론의 중심 주제를 자유의 성격과 불평등의 문제에 두어야 한다고 결론지었다. 간디의 입장에서 보면 헌팅턴이나 퍼거슨, 롤즈까지 모두 서양의 자유주의 문명에 속한다. 헌팅턴과 퍼거슨이 그 중앙에 자리 잡고 있고, 롤즈는 가장자리에 치우쳐 있다. 자유주의 문명의 밖에서 간디와 틱낫한이 제기한 비판은 이 문명의 특성과 한계를 보여주면서 이 문명을 역사적인 산물로 보이게 한다. 평등한 기본적인 자유들을 보존하고 후손에게 물려주는 것은 아주 중요하다. 하지만 이질 문명을 인지하는 데서 오는 문명의식과 함께 저 중심 주제를 다루지 않는다면, 그리고 정의와 선(善), 윤리와 시장의 관계를 어떻게 조정해야하는가를 묻지 않는다면, 문명론은 장차 구체성을 상실하여 한담에 빠질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이런 중심 주제를 놓치지 않는 것은 자유주의 문명 향상의 의무를 수행하기 위한 첫걸음이기도 하다. The concept of civilization is so comprehensive that it includes history, language, culture, tradition and even religion, thus a scholar working in a specialized field cannot easily discuss it. But this concept has been used in various contexts everywhere in the world. Since the 19th century some thinkers of the East were being forced to face the Western civilization and developed what Samuel Huntington described as civilization consciousness, and they felt the necessity of a dramatic cultural sea change for survival. Since this short paper cannot deal with all theories of civilization which have been presented after the 19th century in Asia, the author could not but choose several theories of civilization which were deeply related to the historical and political environment of modern Korea. Besides he discussed two contemporary Western theories of civilization powerfully stated by Huntington and Ferguson, which he believes have been adopted by most of contemporary South Koreans. The article has shown two Buddhist critiques of modern civilization, not only for their similarity to the Gandhian idea of civilization but also being a significant part of modern Korean culture. The author has also brought in a bitter critique from an Islamic perspective asserted by Qutb of Western civilization to allay the burden of being incomplete of this article. And then this article will compare Gandhi and Rawls, in order to give an example of a sincere and concrete topic for a theory of civilization, a grand narrative, and to go beyond a simple historical study. This study has found the fact that most of previous non-Western theories of civilization treasured the notion of liberty and the features of Western civilization which resulted in wealth and power. This has been advocated not only by Itō and Han. Although Gandhi was sharply critical of Western civilization, he put stress on liberty and political and economic independence from the village up to the nation. Japan after its catastrophic defeat in World War II and Korea after its independence have succeeded in adopting the liberal civilization from the West. As a result, both countries finally employed Ferguson's ‘six killer applications’ that the West once monopolized. Moreover, Fukuzawa’s idea of a free and independent person, together with liberalism, democracy, and market economy has been to a significant extent realized. After the mid- 20th century, an imperialist like Itō who loudly preferred national interests over universal ethics almost disappeared in international relations, because peoples, with the advance of civilization, have seemed to arrive at the era wherein each nation and each individual’s freedom and independence are to be respected by all. The Gandhian complete self-rule includes political and economic sovereignty of a people, personal political freedom, and full exercise of soul force. Considering this complete self-rule, this study has concluded that the central topic of our study of future civilization should be on features of liberty and the problem of inequality. From Gandhi’s perspective, Huntington, Ferguson and Rawls all stand in the realm of Western liberal civilization, the first two standing proudly at its center and Rawls at its periphery. Gandhi’s and Thich’s criticism of Western civilization has shed light on its specific features and limits, finally making it a historical product. The author has argued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preserve and bequeath equal basic liberties to our posterity, and concluded that unless we deal with the central topic with a sharply enhanced sense of civilization consciousness coming from our awareness of different civilizations, and when we do not ask the question as to how justice and ethics should be related to the good and market, our discussion of civilizations may fall into an idle talk, even though it may sound great. It is because of this that the author feels dealing with this central topic ab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