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뇌전증 환자의 불안 특성과 무용동작치료

        주자경(Ja-kyung CHOO) 한국무용동작심리치료학회 2020 무용동작심리치료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뇌전증 환자의 불안 특성과 무용동작치료”이다. 본 연구는 뇌전증 환자의 불안 특성을 심층 면담을 통해 살펴본 후 실제 사례를 통해 무용동작치료로 불안 감소에 어떠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문제를 분석하기 위해서 6명의 자발적인 연구 참여자들을 모집하여 심층 면담을 통한 질적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삼각 측정법(triangulation)을 이용하여(Patton, 1980), 6명의 연구 참여자가 언급한 빈도수를 확인하고, 2명 이상이 언급한 내용 중 동일한 의미 단위로 요약하여 하위 구성 요소를 추출하였다. 뇌전증 환자의 불안 특성 결과는 4개의 구성 요소와 12개의 하위 구성 요소로 분류되었다. 뇌전증은 몸과 마음을 분리하는 질병이며(박미숙, 2010), 무용동작치료는 몸과 마음을 통합을 목표로 하고 있다(류분순, 2000). 연구자는 무용동작치료가 뇌전증 환자들의 불안 감소에 어떠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지 관찰하기 위하여 연구자와 내담자 G의 사례를 분석하여 무용동작치료가 뇌전증 환자들에게 어떠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뇌전증 환자들은 예측불가능한 발작의 불안으로 신체와 감정을 억압하여 Wilhelm Reich는 신체 갑옷을 경험하게 된다. 신체 갑옷으로 억압된 감정은 성격으로 고착된다. 무용동작치료는 움직임의 개입으로 안전한 환경에서 신체, 정서적 감정을 알아차리고 움직임과 소리 내어 표현하므로 불안을 해소하고 감소한다. 이 같은 경험은 대인관계도 원활하게 도와주며 사회성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는 뇌전증과 무용동작치료를 연결한 국내 첫 번째 연구로서, 전 세계에서 5천만 명에게 나타나는 대표적인 만성 신경질환인 뇌전증 환자 불안 감소에 무용동작치료가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데 의의가 크다. 또한 현재까지 진행된 타 연구와는 다르게, 본 연구는 예측 불가능한 발작으로 신체적 어려움뿐 아니라 심리적, 사회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뇌전증 환자들의 삶의 기본적인 문제 해결에 다가갔다고 생각한다. 더불어 뇌전증을 경험한 당사자가 직접적으로 사회에서 소외되면서 가졌던 고민을 담은 연구로서 그 의미가 크다. 연구자는 본 연구의 시작으로 보다 다양한 신경계 질환에도 무용동작치료에 관한 연구가 가능함을 시사하였다고 생각한다. Epilepsy is a leading chronic neurological disorder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9) that appears in about 50 million people in the world s population, and estimated 300,000 to 400,000 patients in Korea are suffering from cerebral infarction. This is a common disease that anyone can develop, but the reality is that only a limited number of people are treated properly, and that the number of studies has been underrated for a long time due to misconceptions. To analyze the research problem, six voluntary study participants were recruited to conduct qualitative research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method used triangulation (Patton, 1980) to identify the frequency mentioned by six study participants and to extract subcomponents by summarizing them in the same units of meaning among the contents mentioned by two or more. Results of anxiety traits of patients with epilepsy are sorted four components <Anxiety of daily life>, <Anxiety about symptoms>, <Anxiety within social relationships>, <Anxiety about emotional expression>, 12 subcomponents of anxiety, ① Emptiness of difficult daily life, ②Anticipatory anxiety due to seizure, ③Lack of confidence in all things, ④Anxiety derived from physical symptoms, ⑤Lack of self-control for physical symptoms, ⑥Representment towards epilepsy, ⑦Emotional anxiety due to physical symptoms. ⑧Difficulties within social relation, ⑨Negative environment changed by epilepsy, ⑩Suppression of emotional expression, ⑪Settlement by my own way, ⑫Sense of alienation from world Epilepsy is a disease that separates the body from the mind (Park Mi-sook, 2010), and dance movement therapy aims to integrate the body and mind (Flow fraction, 2000). The researcher analyzed the cases of researcher and client G to see how dance movement therapy has a positive effects on patients with epilepsy, in order to observe how it has positive effects on them. As a result, epilepsy patients experience body armor, slowing down by suppressing the body and emotions with the anxiety of unpredictable seizures. Emotions suppressed by body armor cling to character. Dance movement therapy eliminates and reduces anxiety recognizing emotional feelings and expressing with movement and sounds in a safe environment with movement intervention. This experience will help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moothly and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improving social skills. This study is the first in Korea to link epilepsy to dance movement therapy, and it is significant that dance movement therapy ha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reduction of anxiety in patients with epilepsy, a leading chronic neurological disorder seen in 50 million people around the world. Also, unlike other studies conducted so far, I believe that this study has approached the basic problem life of patients with mental and social difficulties as well as physical difficulties due to unpredictable seizures. Futhermore this research in significant as I, the researcher had experienced epilepsy and alienated directly from society with many difficulties. This researcher carries my own anxiety. I believe and wish that dance movement therapy could be effective and possible or more various neurological disorders strting from this study.

      • KCI등재

        화재 외상 피해자의 무용/동작치료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태산,조정숙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6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무용/동작치료를 경험한 화재 외상 피해 대학생들의 신체적, 정서적, 인지적 변화 및 일상 적응과정을 심층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화재사고를 함께 경험한 대학생 3명을 대상으로 주 1회, 120분, 총 12회기에 걸쳐 무용/동작치료를 실시하였고 회기별 자기보고서 작성 및 무용/동작치료 경험 후 변화에 관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합의적 질적 분석 방법(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무용/동작치료의 경험은 5개의 중심개념으로 무용/동작치료 참여 동기, 무용/동작치료 전 상태, 무용/동작치료 과정 중 상태변화, 무용/동작치료 후 상태변화, 상태변화에 대한 촉진적인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5개의 중심개념에 걸쳐 14개의 영역과 52개의 범주가 형성되었다. 무용/동작치료는 화재 외상 피해자의 신체자각 증가, 정서표현능력 향상, 긍정적인 신체상과 자아상에 대한 변화 등을 통해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들을 완화하거나 감소시켜 일상으로 회복하는데 효과적임이 밝혀졌다. 본 연구 결과는 추후 다양한 외상에 대한 치료나 심리적 개입을 할 때 무용/동작치료의 활용과 이에 대한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hysical, emotional, cognitive changes a dance/movement therapy brings to fire-accident trauma victims suffering from aftermath trauma, and efforts to delve deeper into the victims’ everyday life adaptation processes during and after the program.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3 college students who had gone through a fire accident. A dance/movement therapy program comprised of 12 sessions in total, two hours per session, once a week. The data for analysis were collected from self-reports during the program and in-depth interviews conducted after the program.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CQR)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experiences of dance/movement therapy fell into 5 main categories: participation motive, conditions before the program, change of conditions during the program, change of conditions after the program, and promoting factors of condition-change. These 5 categories were classified into 14 sub-categories and 52 factors. This study show that dance/movement therapy effectively helps victims to adjust back to normal life as the program alleviates PTSD symptoms through body-awareness, enhanced emotional expressiveness, positive body and self im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Body-based dance/movement therapy need to be applied as a psychotherapeutic intervention for victims of trauma. And it is expected to provide baseline data for future development of body-based dance/movement therapy program for PTSD.

      • KCI등재후보

        위드 코로나(With Corona) 시대의 무용동작치료의 방향 탐색 : 국내·외 사례를 중심으로

        정재임(Jae-Im CHUNG) 한국무용동작심리치료학회 2021 무용동작심리치료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코로나19 발생 이후, 비대면으로 수행된 국내·외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 사례 및 교육지침을 조사함으로써 위드 코로나 시대의 언택트 무용동작치료의 방향과 가능성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국내의 연구 사례로는 2020년 한국댄스테라피협회(KDTA)가 수행한 대면/비대면 혼합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과 한국무용동작심리치료학회(KDMPA) 학술대회에서 발표된 언택트 무용동작치료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국외 연구 사례로는 미국 매사추세츠의 치료기반학교에서 수행한 비대면 무용동작치료 사례와 미국무용치료협회(ADTA)가 제시한 코로나19 무용동작치료 교육지침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문헌연구로서 국내·외 학위논문, 학술지 논문, 학술대회 자료집, 뉴스 및 웹사이트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른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팬데믹 시대에 지속적인 무용동작치료사 양성을 위해서 치료사를 위한 재교육 및 심리·정서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하며 치료사 간 네트워크를 통한 소통이 필요하다. 둘째, 비대면 무용동작치료 진행방식에 다양성을 추구해야 한다. 내담자에게 정서적으로 안전한 환경을 제공함과 동시에 다양한 언택트 플랫폼과 시청각 디지털 기능을 활용해야 한다. 셋째, 위드 코로나 시대의 흐름에 따라 무용동작치료의 대면/비대면 병행 운영을 준비해야 한다. 변화된 패러다임에 적응하면서도 무용동작치료의 본래 목적에 부합하기 위해서 치료사들의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가 비대면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사용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준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and possibility of untact dance/movement therapy(DMT) in the era of With Corona by examining domestic and overseas DMT program cases and educational guidelines in the era of Covid-19. The method of this study is a literature study, domestic and overseas thesis, journal thesis, conference documents, news and websit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discus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is as follows. First, re-education and psychological/emotional support for therapists should be provided for continuous training of therapists in the era of the pandemic,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rapists is required through a network. Second, diversity should be pursued in online DMT programs. A variety of online platforms and audiovisual digital functions should be utilized while providing an emotionally safe environment for clients. Third,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With Corona era, it is necessary to prepare for the online/offline parallel operation of DMT. In order to adapt to the changed paradigm and meet the original purpose of DMT, research and efforts of therapists are required.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online DMT programs and prepare for the post-corona era.

      • KCI등재후보

        무용동작치료가 자폐성향 지적장애인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배소정 한국무용동작심리치료학회 2020 무용동작심리치료연구 Vol.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ance/movement therapy on verbal and non-verbal interactions of autistic intellectually disabled people. The study targeted a total of 7 people residing at the H Welfare Foundation in U City with autism-prone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which a combination of intellectual and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a total of 14 times, 50 minutes once a week from October 2019 to March 2020. The dance/movement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in a total of 4 stages: the stage of forming a sense of trust → the stage of the environment to protect and hug → the stage of the facilitating environment to play → the stage of coordination and relationship for social interaction. In order to examine the changes in linguistic and non-verbal interactions through social interaction scales (Jung, 1988) the scores of verbal and non-verbal interaction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comparison. In order to see the change of non-verbal interaction through motion observation, Samuel and Chaiklin's motion observation scale (Ryn, 2019), was used. Among the elements of LMA, the images of the body, effort, shape, and space were analyzed, and the movement changes of the subjects were observed.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average scores of the pre- and post-scale verbal interactions of autistic pati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performed the dance/ movement therapy program, the scores of the verbal interaction scales were improved. Secon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average scores of the non-verbal interactions of the autistic pati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performed the dance/movement therapy program, the scores of the non-verbal interaction scales were improved. Third, the degree of non-verbal interaction was improved when the movement was observed and analyzed in the video analysis of the autistic-minded with a disability who conducted the dance/movement therapy program. Summarizing the conclusions, dance/movement therapy influenced verbal and non-verbal interactions of the autistic disabilities intellectual disabled.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development and research of dance/movement therapy programs for a long period of time, rather than short periods for groups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본 연구는 무용동작치료가 자폐성향 지적장애인의 언어적·비언어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지적장애와 자폐스펙트럼장애가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자폐성향 지적장애인 총 7명을 대상으로 주 1회 50분씩 총 14회에 걸쳐 신뢰감을 형성하는 단계 → 지켜주고 안아주는 환경의 단계 → 놀이하는 촉진적 환경의 단계 →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한 조율 및 관계성 단계 총 4단계로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언어적·비언어적 상호작용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사회적 상호작용 척도(정정순, 1998)와 움직임 관찰을 통한 비언어적 상호작용의 변화를 보기 위해 Samuels & Chaiklin의 동작관찰척도지(류분순, 2019)를 대상자들의 움직임 변화를 관찰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한 자폐성향 지적장애인의 언어적 상호작용을 사전·사후 척도 평균점수를 비교해본 결과 언어적 상호작용 척도의 점수가 향상되었음이 나타났다. 둘째,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한 자폐성향 지적장애인의 비언어적 상호작용을 사전·사후 척도 평균점수를 비교해본 결과 비언어적 상호작용 척도의 점수가 향상되었음이 나타났다. 셋째,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한 자폐성향 지적장애인의 영상분석에서 움직임을 관찰하여 분석하였을 때, 비언어적 상호작용의 정도가 향상되었다. 이상과 같은 결론을 종합하면, 무용동작치료가 자폐성향 지적장애인의 언어적·비언어적 상호작용에 영향을 주었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이 후 자폐성향 지적장애인의 그룹을 대상으로 단기간이 아닌 장기간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의 개발과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지면 좋을 것으로 보여지는 바이다.

      • 초등학교 여아의 공격행동 감소를 위한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의 효과검증

        여운정;김나영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04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Vol.4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Dance/movement therapy program for reducing a elementary school girl’s aggressive behavior. Subject is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girl who belongs to a free after school study group in Sanggye-dong. This study uses pre-post research design. K-CBCL is used in assessment of the aggressive behavior of the subject’s pre- post assessment. In addition, aggressive behavior scale which contains five items of physical aggressiveness behaviors and aggressive behaviors with verbal is used aggressive behavior of the subject’s pre- post assessment. The result of the study indicates that pre -post assessment with K-CBCL, subject’s aggressive behavior was reduced from 92 to 71. At the aggressive behavior scale, item Ⅰ and item V show significant reducing of aggressive behavior. Also, both physical aggressive behaviors and aggressive behaviors with verbal show significant reducing at the pre-psot aggressive behavior scale.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상정적 주제의 움직임 표현이 강조된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공격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시 상계동에 위치한 〈무료 방과 후 공부방〉에 소속된 공격적인 문제행동증후를 가진 13세의 초등학교 6학년 여아이다 본 연구는 A-B-A ’실험설계 (Cooper, Heron & Heward, 1987)를 적용하여 대상자가 나타내는 공격성 행동의 변화는 사전검사(A),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 (B), 그리고 사후검사(A ’)를 통해 측정되었다. 측정 도구는 K-CBCL와 공격행동 관찰표에 의해 측정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K-CBCL올 통한 사전, 사후 검사 결과를 비교해보면 무용/동작치료프로그램을 시행한 이후 공격성이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격행동 관찰표에 의해 관찰된 공격행동은 각항목별로 비교 해볼 때 공격행동의 횟수는 항목1 ‘남에게 잔인한 짓을 하거나 괴롭히고 못살게 군다’ 에서 가장 현저한 감소를 보였고 항목5 ‘말과 행동으로 위협한다’ 에서 감소하였다. 둘째 신체적 공격행동을 관찰하는 항목 1, 2, 3에서 즉 ‘남에게 잔인한 짓을 하거나 괴롭히고 못살게 군다’, ‘자기나 타인의 물건을 부순다’, ‘세션 내에서 치료자의 지시를 따르지 않는다’의 항목에서 아동의 신체적 공격행동은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 시행 후 감소하였다. 셋째 언어를 수반한 공격행동을 관찰하는 항목4, 5 에서 즉 ‘고함을 지른다’, 와 ‘말과 행동으로 위협한다’에서 아동의 언어를 수반한 공격행동은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 시행 후 감소하였다.

      • KCI등재후보

        Blanche Evan과 Liljan Espenak의 DMT 연구 : 아들러 심리학 기반

        옥채영(Chae-Yeong OCK) 한국무용동작심리치료학회 2020 무용동작심리치료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Alfred Adler의 심리학 이론이 Blanche Evan과 Liljan Espenak의 무용동작치료에 어떻게 나타났는지 5가지 핵심 개념 관점(전체성, 공격충동, 열등감, 사회적 감정, 생활양식)에서 연구하였다. Blanche Evan과 Liljan Espenak의 무용동작치료 문헌들을 분석하여, 아들러 심리학의 핵심 개념이 어떻게 무용동작치료에 나타났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 연구로, 선정된 문헌들을 토대로 Alfred Adler의 핵심 개념들과 연관 있는 문헌들을 발견하여 이를 비교하는 과정을 통해 연구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아들러의 전체성, 공격충동, 열등감, 사회적 정서, 생활방식은 각자 Blanch Evan과 Liljan Espenak의 무용동작치료 전반에 통합되어 치료철학과 기법에 많은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두 선구자는 현대의 기계화, 언어화된 사회에서는 공격충동의 건강한 표현은 어려우며 이를 억압함으로 인해 신체의 근 긴장으로 나타난다고 주장하였다. 두 선구자는 움직임을 통해 공격 충동을 건강하게 방출하고, 창의성과 삶의 활력으로 전환할 수 있다고 보았다. 셋째, 열등감에서 Evan은 내재하는 열등감으로 인한 우울감, 공격성, 분노를 창의적 즉흥 무용을 통해 안전하게 표현할 것을 주장하였다. Espenak은 지적장애 아이들과의 작업에서 신체를 강화하고 자신감을 향상하기 위해 구조화된 움직임을 활용하였다. 넷째, Espenak은 자신의 치료에서 최종 단계는 집단치료에 있으며 사회적 감정을 위해 필요한 부분들에 치료적으로 접근하였다. 두 선구자는 모두 ‘리듬의 공유’를 주장하며, 함께 춤을 추는 것이 사회적 감정을 촉진하기 위한 좋은 활동임을 시사하였다. 다섯째, 두 무용동작치료 선구자에게 있어 개인이 선택한 생활양식은 신체를 통해 발견할 수 있었으며 ‘신체를 어떻게 사용하는가’에 대한 내담자의 인식 변화를 주는 것은 생활양식에 변화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무용동작치료에 대해 시사할 점이 많은 아들러의 심리학을 무용치료적인 관점으로 연구할 수 있었다. 문헌들을 통해 연구한 내용은 두 무용동작치료 선구자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양권의 무용동작치료사이다. 따라서 국내에서 실제로 프로그램에 반영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후속 연구를 통해 구체적인 프로그램의 개발하고 및 임상을 통한 실제적인 측면의 반영이 함께 되기를 제언한다. This study studied how Alfred Adler s psychological theory appeared in the treatment of dance movements by Blanche Evan and Liljan Espenak from five key conceptual perspectives (Totality, Aggression, Inferiority, Social Feeling, Life style). By analyzing the literature of dance movement therapy by Blanche Evan and Liljan Espenak, I tried to find out how the core concepts of Adler’s psychology emerged in dance movement therapy. As a research method, it was possible to derive the research results through the process of discovering and comparing documents related to the core concepts of Alfred Adler based on selected documents. First, it was found that Adler s Totality, Aggression, Inferiority, Social Feelings, and life style were each integrated into the overall dance movement therapy of Blanch Evan and Liljan Espenak, which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therapeutic philosophy and techniques. Second, the two pioneers argued that in modern mechanized and verbalized societies, the healthy expression of the aggression is difficult, and that it appears as a muscle tension in the body by suppressing it. The two pioneers saw that through movement, individuals could release the aggression healthy and turn it into creativity and vitality of life. Third, in the sense of inferiority, Evan insisted on safely expressing the feelings of depression, aggression, and anger caused by the inherent inferiority through creative improvisation. Espenak used structured movements to strengthen the body and improve self-confidence in working with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urth, Espenak s final step in her treatment was group therapy, and she approached the parts necessary for social feelins. Both pioneers insisted on ‘sharing rhythms’, suggesting that dancing together is a good way to promote social feelings. Fifth, for the two dance movement therapy pioneers, the lifestyle selected by the individual could be found through the body, and giving the client a change in the perception of ‘how to use the body meant providing a change in lifestyle. Through this study, I was able to study Adler s psychology with a lot of implications for dance movement therapy from a dance therapy perspective. The contents studied through the literature consist of the contents of two dance movement therapy pioneers and are Western dance movement therapis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program by actually reflecting it in the program in Korea. It is suggested that follow-up studies will develop specific programs and reflect practical aspects through clinical trials.

      • KCI등재

        소년원학교 청소년의 무용동작치료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추언아,남현우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9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and explore dancemovement therapy experience among youths in juvenile training schools. In this study, five male youths aged 16 to 19 who participated in 15 sessions of dance movement therapy from May 2017 to December 2017 were interviewed in depth twice.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30th, 2018 to April 16th, 2018. Interview was conducted and analyzed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 proposed by Stake (2000). The analysis of the data related to dance movement therapy experience among youths in juvenile training school identified 18 themes. Seven essential themes (Prejudice between group members; lack of awareness of dance therapy; emotional stability; expansion of self-awareness; improvement of social skills; development of self-control; and change here and now) were then found. Findings of this study identify such positive as well as negative aspects relating to dance movement therapy and can provide basic data for implementing it in juvenile training schools. 본 연구는 소년원학교 청소년이 무용동작치료를 통해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이해하고 탐구하여, 무용동작치료의 치료적 변화를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17년 5월부터 12월까지 총 15회기 동안 무용동작치료에 참여한 16~19세의 소년원학교 남자 청소년 다섯 명이다. 본 연구는 소년원학교 남자 청소년들의 무용동작치료 경험을 개방형 인터뷰와 반 구조화된 면접을 통해 두 차례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8년 1월 30일부터 4월 16일이다. 수집된 면접 자료는 Stake(2000)의 질적 연구 분석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소년원학교 청소년의 무용동작치료 경험의 의미를 질적 연구방법으로 접근하여 자료를 분석한 결과, 18개의 하위범주와 7개의 범주가 도출되어 1) 그룹원간 편견, 2) 무용동작치료에 대한 인식부족, 3) 정서적 안정감, 4) 자기 인식의 확장, 5) 사회적 관계능력의 향상, 6) 자기통제력 생성, 7) 지금, 여기에서의 변화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무용동작치료의 부정적 또는 긍정적인 요인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는 소년원학교 현장에서 무용동작치료 실행에 대한 기초자료로써 제공되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무용전공 대학원생의 무용동작치료 수업 경험에 관한 연구

        윤혜선 ( Hye-sun Yoon ) 한국무용과학회 2021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8 No.4

        이 연구는 무용전공 대학원생들이 무용동작치료 수업에서 의미 있게 인식한 경험의 본질을 심층적으로 탐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연구대상은 무용동작치료를 처음 경험하고, 무용경력 10년 이상, 무용교육 및 공연예술활동을 지속하고 있는 대학원생 10명을 선정하였고, 개별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접된 자료는 Moustakas의 현상학적 분석 절차를 참고하여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무용전공 대학원생들의 무용동작치료 경험에 관해 35개의 의미 단위, 8개의 주제와 4개의 본질적 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에서 드러난 4개의 본질적 주제는‘몸과 마음의 치유’,‘무용가치관의 변화’.‘무용지도자로서 성찰과 통찰’,‘무용작품 활동에서 무용동작치료의 활용’으로 나타났다. 무용동작치료수업 경험에 관한 본질과 그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전공 대학원생들은 무용동작치료 수업을 통해 몸과 마음의 관계를 이해하고 자기수용과 내적 치유를 경험함으로써 무용수행 뿐만 아니라 건강한 삶을 영위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둘째, 무용전공 대학원생들은 무용동작치료 수업을 통해 무용에 대한 고정관념에 대해 통찰하고, 춤의 치유적인 원리와 가치를 새롭게 인식함으로써 무용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를 경험하였다. 셋째, 무용전공 대학원생들은 무용동작치료 수업이 무용교육현장에서 무용지도자의 역할과 소통방법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경험하였다. 넷째, 무용전공 대학원생들은 무용동작치료 수업을 통해 무용수의 관점에서 춤의 긍정적인 변화를 촉진하고, 무용창작역량함양에도 도움을 줌으로써 무용작품 활동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경험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향후 무용인들에게 특화된 무용동작치료의 효과적인 활용방안과 무용동작치료의 활성화를 논의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해줄 것이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ssence of the experience of Dance Major Graduate Students in Dance Movement Therapy class in-depth. To this end, 10 graduat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dance movement therapy for the first time and continued dance education and performance activities for more than 10 years were set as participants and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Moustakas' Phenomenological analysis procedure was referred to and conducted. As a result of analysis, we drew 35 meaning units, 8 themes and 4 essential themes regarding the Dance Movement Therapy experience of Dance Major Graduate Students. It was discovered that the 4 essential themes revealed in the study include 'Healing of Body and Mind', 'Change in Dance Value', 'Reflection and Insight as a Dance Instructor‘, and ‘Utilization of Dance Movement Therapy in Dance Work Activities'. The essence and meaning of Dance Movement Therapy class are as follows. First, Dance Major Graduate Students recognized that Dance Movement Therapy allows them to understand the relation of body and mind and to help them in enjoying a healthy life as well as dance performance by experiencing the self-acceptance and inner healing. Second, Dance Major Graduate Students experienced a change in value regarding dance by having insight on the stereotypes of dance and newly recognizing the healing principle of value of dance through Dance Movement Therapy class. Third, Dance Major Graduate Students experienced that Dance Movement Therapy class helps to improve the role and communication method of dance instructors at the dance education site. Fourth, Dance Major Graduate Students experienced that Dance Movement Therapy allows them to promote a positive change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dancer and help enhance dance creation ability, resulting in the useful utilization in dance work activity.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implications in discussing the effective utilization plan of Dance Movement Therapy specialized for dance artists and the activation of Dance Movement Therapy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동작 동시성 분석(SMP)과 동작 범위 측정(MRS) 분석을 통한 무용/동작치료 요인 비교

        이지현 한국무용기록학회 2006 무용역사기록학 Vol.11 No.-

        무용/동작치료는 치료의 매개인 춤 움직임이 순간적으로 사라져 버리고, 언어화되기 어려운 특성으로 인하여 기록과 보존의 측면뿐 아니라 관찰과 분석의 측면에서도 춤을 대상으로 하는 다른 학문과 마찬가지의 난점을 갖는다. 이는 무용치료의 임상에서 무용치료사들이 다양한 대상들의 다양한 심리적 문제들을 구체적으로 해결하였으나 내담자들에게 일어난 변화를 양적 개념화하고 수치적으로 구체화하여 효과를 객관적으로 실증하는 데는 많은 어려움을 갖게 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무용치료 임상에서 사용되어 온 동작분석 도구 중 코스토니스가 개발한 동시적 동작 분석(SMP)과 동작 범위 측정(MRS)을 선택하여 탄생배경과 구성개념을 살펴보고 측정방법과 측정양식을 비교분석하였다. 이 도구들이 무용치료사였던 코스토니스가 자폐아에 대한 무용치료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직접 만들고 사용하였다는 특징을 고려하여 도구에서 제시된 치료요인을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그 결과 SMP는 치료사와 내담자간 동시에 발생한 신체부위별 동작의 각도를 비교하는 방법을 사용하였고 MRS는 신체부위와 동작의 경로를 수치화하여 기록함으로써 시간의 흐름에 따른 동작 범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SMP를 통해 측정된 동시성 정도는 치료사와 내담자의 공감에 근거한 '관계성 증진'을 중요한 치료요인으로 놓고 있다는 것을 반영하며, MRS는 자폐아의 폐쇄적 공간에 머물러 있는 상동행동을 변화시켜 '움직임 목록의 확대'가 자폐문제 해결의 중요한 치료요인으로 보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두 가지 동작분석 도구는 자폐아를 위하여 '움직임을 통한 정서적 공감'을 공통적인 치료요인으로 하면서도 SMP에서보다 MRS에서는 주변 환경에 대한 다양한 반응양식이나 대처능력 향상을 위한 '움직임 목록의 확대'를 측정의 대상으로 삼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런 도구에 대한 분석연구는 치료사들의 묘사적이고 형용적인 관찰기법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동작분석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내담자들에게 일어난 동작의 변화를 과학적으로 실증할 수 있는 동작분석 도구의 개발 연구로 이어져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Dance/movement therapy have not sufficiently been databased into literature partly because their intermediaries or dance movements are ephemeral and partly because they can hardly be translated into language, and hence, it is deemed difficult to research into dance/movement therapy in a scientific way. Meanwhile, dance therapists seem to have successfully provided for the specific solutions to a variety of patients' psychological problems, but they have faced various difficulties in quantitative conceptualization, numerical specification and objective substanti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atively analyze methodology and therapeutic factors by using Costonis's SMP (Synchronous Movement Profile) and MRS (Movement Range Sampler) among various scales developed by dance therapist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SMP was useful for comparison of movement degrees of each body part between therapist and patients to determine the synchronous movement references, while MRS was effective in numerical recording of body parts and movement paths to measure the changes of movement over time. The most plausible dance therapeutic factor found from the SMP analysis was 'improvement of relationship', while that found from MRS measurement was 'extention of movement repertoire'. These Costonis's two movement analysis tools were found to have the common therapeutic factor of 'emotional sympathy through movement', but MRS was found to focus more on 'extention of movement repertoire' for identification of diverse response styles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r improvement of coping ability. Last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followed by future studies which will surmount the limits of the descriptive and qualifying observation techniques as well as develop some movement analysis scales substantiating changes of patients' movements in a scientific way, research the therapeutic factors of dance therapy objectively.

      • KCI등재

        무용/동작 치료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인숙,이경희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1 예술심리치료연구 Vol.7 No.4

        본 연구는 무용/동작치료가 다문화 가정 아동들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대전광역시 4개 초등학교 일반학급에 재학중인 다문화 가정 아동 24명과 일반가정 아동 18명을 무작위 무선 표집하여 실험군과 통제군으로 선정하였으며, 12주간 주2회에 걸쳐 총 24회의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내재화 문제 조사는 소년 자기행동 평가척도(Korean Youth Self Report, K-YSR), 학교생활적응은 학교적응 검사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4.0을 사용하였으며, 독립표본 t 검정과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심리사회적 변인 중 내재화 문제의 하위변인인 위축과 우울, 불안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p<.05), 무용/동작 프로그램을 통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p<.01). 학교생활적응에서 학업관계, 교우관계가 일반가정 아동들보다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05), 무용/동작 프로그램을 통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p<.001). 결과적으로 다문화 가정 아동들은 내재화 문제와 학교생활 적응에 부정적으로 노출되어 있으며,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은 내재화 문제와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 변화를 가져온 것으로 사료 되는 바 향후 다문화 가정 아동들의 교육프로그램으로 유용하게 시도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effect of Dance/Movement Therapy(DMT) on internalization and adjustment to school life of multi-cultural children. For the study, 24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18 ones from non-multi-cultural families who are attending to general classes were randomly selected and categorized into test group and control group. They participated in DMT twice a week and a total of 24 sessions for 12 weeks. For the internalization, the study used Korean Youth Self Report(K-YSR) and for adjustment to school life, an adaptation sheet was used. For a data analysis, SPSS 14.0 was used and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paired -samples t-test were carried. As a result,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hrinking, depression and anxiety between the two groups (p<.05) Second,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through the therapy. (p<.05).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tudying and friendship between the two groups (p<.05). Fourth, The studying and friendship were significantly improved through the therapy(p<.05). In conclusion, as multi-cultural children were negatively exposed to problems such as internalization and school adjustment and it was discovered that DMT brought positive changes to internalization and school adjustment through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DMT can be effectively used as an education program for multi-cultural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