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매월당 김시습의 시(詩)에 나타난 다수(茶水)

        김미숙 ( Mi Suk Kim ) 원광대학교 한국예다학연구소 2015 한국예다학 Vol.1 No.-

        본고는 매월당 김시습(梅月堂金時習, 1435-1493)의 다시(茶詩)에 나타난 다수(茶水)에 관해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조선 전기를 산 그는 세조의 왕위찬탈이라는 정치적 어려움을 겪으며 사대부의 길을 접고 출가하여 승려가 된 인물이다. 승속을 자유롭게 넘나든 그는 유교ㆍ불교ㆍ도교에 박통하며, 문학 각 장르에도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업적을 남겼다. 조선전기는 고려시대에 성행했던 차를 마시는 풍속이 잘 전해지고 있었는데, 그는 그 시대를 대표하는 다인이었다.『매월당시집』에 수록된 그의 다시는 67편 73수에 이르는데, 이들 가운데 찻물을 논한 바를 정리하였다. 첫째, 매월당은 차를 기르는 일에서부터 차와 관련된 모든 부분을 섭렵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의 차에 대한 글은 특히 시가 중심이 되는데, 이에는 제다(製茶)ㆍ다구(茶具)ㆍ다석(茶席)ㆍ다우(茶友), 그리고 다수(茶水)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둘째, 매월당의 다시는 특히 『사유록(四遊錄)』에 두드러지게 수록되어 있다는 점이다. 셋째, 그의 찻물에 대한 인식은 산수(山水)ㆍ강수(江水)ㆍ정수(井水)ㆍ설수(雪水)로 구별된다는 점이다. 이는 육우『다경』과 같은 흐름이므로, 찻물에 대해 충분히 인식하고 있었으며, 설수는 매월당이 임기응변으로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examines the Tea Water shown repeatedly in Maewoldang Kim Si-seup``s Tea Poems. In his poems, Kim articulates the characteristics of suffering from preserving his nobility, while facing the usurpation of King Sejo``s throne and so as its consequences entering the Buddhist priesthood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Kim was erudite on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and also achieved literary eminence, regardless of its genres. Drinking tea was very popular during the Koryo dynasty and dasu was common among the public. In Maewoldang poetry, consisting of sixty-seven volumes and seventy-three numbers, Kim describes Tea Water as follows: Firstly, Maewoldang emphasizes the fostering tea along with the related entire processes of tea farming. Most of his poetry writings are focused on tea and explicates metaphors such as Tea Places, Tea Utensils, Tea Water, Tea Friend and the Processing of Tea. Secondly, Maewoldang``s Tea Poems are particularly compiled in the Sayurok and were conspicuous. These poems were compiled in his early twenties when he started his monastic life and travelled in the four regions - Gwnaseo, Gwandong, Honam and Youngnam. However, it reflected a very strong narrative since he experienced indigenous tea culture. Thirdly, his understanding about tea water and tea preparation is based on differentiations of mountain water, river water, well water, and snow water. He appeared to have perceived snow water through the use of vernacular objects because it appropriately perceived the similar views of Lyuu’s Chajing.

      • KCI등재

        매월당 김시습 ≪山居集句≫의 집구 양상과 특징

        이재경 동아인문학회 2022 동아인문학 Vol.59 No.-

        Maewoldang Kim Si-Seup(1435~1493) lived under Geumosan Mountain in the winter of 1468 (the 14th year of King Sejo's reign) when he was 34 years old and composed 100 poems. ‘Jipgu’ poem is a method of composing poem by taking one phrase from each poem of the deceased and matching the meaning with the words. ‘Jipgu’ poem of Maewoldang contains about 400 poems collected from 200 Chinese Tang-Song era poets. The form of poetry is quatrain with five characters to a line and most of poetries are about landscape nature. In this thesis, by analyzing the pattern of ≪SangeoJipgu≫, the names of the poets and the cumulative number of ‘Jipgu’ were summarized in a table, and the characteristics that appeared in the ‘Jipgu’ were examined. In many cases, the poet's name was written as a pen name than his real name, and in some cases, as an unknown because he relied only on memory to collect poetries. The number of poems of Yukyu(also known as Bangong) of the Song Dynasty(1125~1210) was cumulatively the largest with 33, and the number of poets who were quoted once was about 120. There was a characteristic that only appeared in Maewoldang's ≪SangeoJipgu≫, and the first thing that affects the appreciation of ‘Jipgu’ is that readers can appreciate it much more actively by reading the original work of poets who were quoted. Next, the 200 poets mobilized for the ‘Jipgu’ are “Outsider” poets who resist the absurd world like Maewoldang. Lastly, the reason that many poems written by Bangong were collected, which Maewoldang especially preferred, is that Maewoldang admired Bangong's life and had many temperamentally similarities. Maewoldang's ≪SangeoJipgu≫ is a literary material that allows you to examine the vast academic background of Maewoldang, his life orientation, and even the poets whom Maewoldang admired. 매월당 김시습은 1468년(세조 14) 겨울, 그의 나이 34세 때 금오산에 기거하면서 ≪산거집구≫시 100수를 지었다. 집구시는 옛 고인들의 시에서 1구씩 취하여 말과 뜻을 맞춘 후 한 편의 시를 완성하는 것이다. 매월당의 집구시에는 205명의 중국 당송시대 시인들과 그들 시에서 집구한 400구의 시구가 실려 있다. 시의 형식은 7언절구이며 대부분 산수자연에 관한 시이다. 본고에서는 ≪산거집구≫의 집구 양상과 집구시에 나타난 특징을 살펴보았다. 먼저, 집구 양상을 고찰하여 표로 정리・제시했다. 고찰 결과, 시인의 이름은 ‘호’나 ‘자’ 또는 본명으로 기재되었으며, 무명으로 남긴 경우도 있었다. 누적 수로는 송나라 방옹 육유의 시구가 33구로 최다 집구되었고, 1구의 집구 시인들도 127명이나 되었다. 다음으로, 매월당 집구시에 나타난 특징으로는 原詩의 시인과 작품을 숙지하고 있을 때 비로소 능동적으로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는 것, 집구시에 등장하는 대부분의 시인들이 매월당처럼 불우한 처지에서 세상의 불의와 부조리에 저항하는 ‘방외형’ 시인들이라는 것, 매월당의 생애에 방옹 육유의 영향이 컸다는 사실을 산거집구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는 것 등이다. 본고는 매월당 ≪산거집구≫의 집구 양상과 관련하여 原詩의 작가를 밝히고, 작가별 집구수를 제시했으며, 작가별 생애적 궤적을 고찰했다. 아울러 ≪산거집구≫의 특징적 단면을 原詩와 대비적으로 살폈다. 그리하여 매월당 ≪산거집구≫를 본격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기반을 새롭게 마련하고, 매월당 시 세계의 특징을 구명할 수 있는 중요한 거점의 하나를 제시했다는 데 나름의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일본 내각문고 소장 寫本 『梅月堂集』의 문헌적 성격과 위상

        차충환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3 民族文化硏究 Vol.99 No.-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literary character and status of the manuscript Maewoldangjip 梅月堂集, one of the collections of Japanese Naikaku Library 內閣文庫. Naikaku Library version Maewoldangjip is a complete collection of poems, prose collections, special collections, and travelogues. Judging from the seal stamped on the book, it is estimated that the Maewoldangjip entered Shoheizaka Academy 昌平坂學問所 in Japan in the late 18th or early 19th century. Naikaku Library version Maewoldangjip is a copy of Eulhaeja 乙亥字 version Maewoldangjip. And Gyungjinja 庚辰字 version Maewoldangjip is based on Naikaku Library version Maewoldangjip. Naikaku Library version Maewoldangjip lets us know the composition and contents of Eulhaeja 乙亥字 version, of which only a part remains. The Yurok (遊錄, travelogue) included in Naikaku Library version Maewoldangjip is very important in that it shows the appearance of the early works. The Yurok contain many works presumed to be original and created by the poet. Gamheung poetry 感興詩 was originally 13 works, not 11 works. The editors excluded 2 works when making Gyungjinja version Maewoldangjip. The original 13 works well show Kim Si-seup's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reality consciousness at the time of 1465. At that time, Kim Si-seup acknowledged the reality of the reign of King Sejo. However, he showed a strong sense of hostility toward the servants close to King Sejo. Naikaku Library version Maewoldangjip contain works that record the life of a buddhist nun. In addition, Imcheongahwa 林泉佳話, which had been recorded only in the list, is also inserted. These are things that have been excluded from Kim Si-seup’s research. As such, the works newly identified in Naikaku Library version Maewoldangjip are important data for a new understanding of Kim Si-seup in relation to Buddhism. 본고에서는 일본 국립공문서관 내각문고에 소장된 사본 『매월당집』의 문헌적 성격과 위상을 고찰하였다. 검토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내각문고본 『매월당집』은 詩藁와 文藁, 別集, 遊錄 등 각각 독립성을 지닌 별책이 하나의 전집으로 묶인 것이다. 책에 찍혀 있는 인장을 통해 볼 때, 18세기 말이나 19세기 초에 일본 창평판학문소에 귀속된 것으로 추정된다. 둘째, 내각문고본 시고와 문고를 을해자본 『매월당집』, 경진자본『매월당집』 등과 비교해 보면, 내각문고본은 을해자본을 수용⋅증보한 사본이고, 경진자본은 내각문고본 계열 사본의 정고본을 바탕으로 간행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내각문고본은 殘片만 남아 있는 을해자본의 실제 구성과 내용을 추정하고 경진자본의 성립 과정을 알려주는 자료라는 점에서 중요성을 지닌다. 셋째, 내각문고본의 ‘유록’도 원고본 단계의 성격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여기에는 김시습의 자필 유고본에 실려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작품이 다수 수록되어 있다. 넷째, ‘감흥시’의 원작은 11수가 아니라 13수였다. 11수로 된 것은 경진자본을 간행하면서 두 수를 제외했기 때문이다. 원작 13수는 1465년 무렵 김시습의 역사의식과 현실인식을 잘 보여준다. 그 당시 김시습은 세조가 지배하던 당시의 현실은 인정하되, 세조 측근의 신하들에 대해서는 강한 적대 의식을 표출했다. 내각문고본 『매월당집』에는 새 작품으로서 비구니의 생애를 기록한 글이 있고, 그동안 서명만 알려졌던 임천가화 도 별집으로 삽입되어 있다. 이들은 불교와 관련된 김시습의 생평을 새로운 시각으로 조명하거나 좀 더 포괄적으로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 KCI등재

        김시습(金時習) 이해의 시선과 그 의미

        전성운(Chun, Sung-woon) 우리문학회 2013 우리文學硏究 Vol.0 No.40

        김시습의 삶을 이해할 수 있는 자료는 다음과 같은 세 군을 형성하고 있다. 첫째, 김시습 자신이 쓴 것으로 <자사진찬(自寫眞贊)>, <동봉육가(東峰六歌)>, <상유양양진정서(上柳襄陽陳情書)> 등이며, 둘째, 홍유손(洪裕孫)의 <제김열경시습문(祭金悅卿時習文)>, 윤춘년(尹春年)의 <매월당서(梅月堂序)> 등. 셋째, 이자(李.)의 <매월당집서(梅月堂集序)>, 이산해(李山海)의 <매월당집서(梅月堂集序)>, 이이의 <김시습전> 등이 그것이다. 이들 자료는 김시습 관련 서로 다른 이해의 시선을 보여준다. 김시습은 낙백(落魄)한 소광한 은자로 자신을 규정한다. 낙백의 원인은 젊은 시절의 좌절과 어긋남 때문이다. 개인적 비극인 박명과 불우, 선(善)의 좌절과 이교(異敎)의 번성이라는 사회적 불합리와 모순 때문이다. 그리고 그런 것이 누적되며 자신은 영원히 화합할 수 없이 어그러졌다고 보았다. 다음으로 홍유손을 비롯한 이들은 김시습을 생이지지(生而知之)한 성인, 자유자재한 대인(大人) 혹은 부처로 이해했다. 이들은 김시습을 천부적 자질을 지닌 초월적 인물로 규정하려 했다. 물론 김시습을 미친 사람이라고 하거나, 색은행괴의 무리에 불과하다고 본 경우도 있다. 이이나 이산해의 김시습 이해는 천부적인 문장가이자 절의를 표방하고 윤기를 붙든 백세의 스승이라는 시선에 바탕한다. 또한 이들은 김시습이 한 때 세상을 등진 것은 비분강개하는 기질 상 어쩔 수 없는 것이라고 보았다. 김시습을 성리학적 의리관으로 분식(粉飾)하여 이해했다. 이런 이해는 하나의 전범(典範)이 되어, 이후 연구자들에게 많은 영향을 끼쳤다. There are three kinds of materials concerning Kim, Si-sup"s life. The first kind of materials are written by Kim Si-sup himself, for examples Jasajinchan(自寫眞贊), Dongbongyukga(東峰六歌), Sangyuyangyangjinjeong-Seo(上柳襄陽陳情書) etc. Second are JeKimyeolgyeongsiup-mun(祭金悅卿時習文) by Hong, Yuson, Maewuoldang-seo(梅月堂序) by Yun, Chun-nyeon etc. Third are Maewuoldangjip-Seo(梅月堂集序) by Lee, Ja, Maewuoldangjip-Seo(梅月堂集序) by Lee, San-Hae and Kimsisup-Jeon(金時習傳) by Lee, Yi etc. These materials shows different aspects of comprehend Kim, Si-sup. Kim prescribed himself as a dejected hermit. Reasons of dejection are a misfortune and sad fate, a frustration caused by social contradictions etc. He experienced these difficulties continuously, and tuned his back on the world at last. He explained himself as a sad and frustrated hermit. The next group of people regarded Kim as a genius like Kong Zi(孔子), a great man(大人) with perfect freedom, and a living Buddha. The Confucian thought Kim as a reborn of Kong Zi, and the Taoist regard him as a freely upright man, and of course, the Buddhist respected him as a spiritually awakened man, a living Buddha. These people tried to comprehend Kim as a mythic person with a transcendent abilities. Of course, there is a group of people who thought Kim as a madness with a odd and strange behaviour. The third group of people, especially Lee, Yi or Lee, San-Hae, understood Kim as a quite and genuine writter and a model man. They gave him a honorible name for adhering Confucian principles. They thought the fact that Kim tuned his back on the world as a inevitable fate because of his righteous wrath. These people"s understanding became a model. The next generations generally comprehend Kim on the basis of this understanding.

      • KCI등재

        경진자본 『梅月堂集(매월당집)』간행 과정과 校訂本(교정본)

        양승민 ( Seung Min Yang ) 한국한문학회 2013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52

        이 글은 경진자(재주갑인자)본 『매월당집』의 간행 과정과 여러 傳本에 나타난 특징을 고찰한 논문이다. 아울러 『매월당집』의 유통 및 전승 과정을 파악하고자 했다. 논의 결과를 간추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매월당집』 경진자본은 을해자본 이후에 출간된 重刊本으로, 10행18자본과 10행17자본 두 종이 간행되었다. 18자본은 1583년~1585년 3월 사이에 간행되었고, 17자본은 임란 직후에 재간된 것으로 추정된다. 둘째, 18자본은 다시 교정본과 미교정본 두 계열이 존재하는데, 교정본에는 총목이 빠져 있고 미교정본에는 총목이 수록돼 있다. 이는 18자본을 인출하고 나서 오식이 발견되자 일부 교정본을 별도로 만들어 배포하는 가운데 총목이 빠진 결과로 보인다. 17자본은 18자본 중 하필 미교정본을 계승했다. 셋째, 교정본은 글자 오식을 찾아 같은 경진자 활자로 하나하나 다시 인출해 오려서 붙인 ‘교정인본’을 말한다. 이렇게 교정한 곳이 29군데 이상 찾아진다. 미세한 차이만 나기에 그냥 두어도 무방한 글자들이 있지만, 오류가 교정된 글자도 적지 않다. 대개의 경우 교정본의 글자를 택하는 것이 좋다. 넷째, 『매월당집』은 경진자 간본이 유통되는 가운데 이후 지속적인 묵서 교정이 이루어졌고, 재간행에 대한 세인들의 열망도 컸다. 정조 20년(1796) 왕명에 의해 규장각에서 다시 간행할 움직임이 나타났으나 끝내 이루어지지 못했다. 현재 서울대 규장각에는 10행18자 교정본 계열을 계승한 洪善養 구장본으로 정조 때 이문원(규장각) 장서가 된 필사본이 남아 있다. 다섯째, 『매월당집』은 오직 일본 봉좌문고본만이 중시돼 왔으나 이는 미교정본이다. 교정본으로서 국내 傳本을 대표하는 後彫堂本이 기본 연구텍스트로 널리 활용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researched the publishing process of Gyungjinja(庚辰字) version(Jaejugapinja, 再鑄甲寅字) 『Maewoldangjip』(梅月堂集) and characteristics appeared in various books that were handed down from the past. In addition, this study intended to understand the distribution and transmission process of 『Maewoldangjip』. The summarized discussio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aewoldangjip』 Gyungjinja version is a republished edition that was published after the Eulhaeja(乙亥字) version, and the two types of 10 lines 18 letters and 10 lines 17 letters were published. It is predicted that the 18 letters version was published from 1583 to March 1585, and the 17 letters version right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壬辰倭亂). Secondly, the 18 letters version exists in two different types of recension and non recension. This seems like the result of drawing out the 18 letters version, then separately creating the recension when misspelled words were found. The 17 letters version that was invented right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has inherited the ``non recension.`` Thirdly, continuous revisions of 『Maewoldangjip』 were made in Chinese ink handwritings when Gyungjinja printed book was being distributed, and people had great desire for republication as well. There was a movement of publishing the book again in Gyujanggak(奎章閣) by the royal command of King Jungjo(正祖), but never made it to the end. Currently, the Hong Sun-yang(洪善養) manuscrip version that inherited the 10 lines 18 letters recension is remained in Gyujanggak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Fourthly, for 『Maewoldangjip』, just the version owned by the Hosa Library, City of Nagoya was considered important, but this is a non recension. It is necessary for the Hoojodang(後彫堂) version that represents the nationally handed down version as a recension to be used widely as the basic research text.

      • KCI등재

        매월당 김시습의 장자관 : ‘인간세’의 맥락에서 본 현실비판 인식과 방외인의 철학

        이종성 대동철학회 2022 大同哲學 Vol.100 No.-

        Maewoldang Kim Si-seop, a scholar representing the Joseon Dynasty, is one of the Six Loyal Subjects who saw the injustice of Grand Prince Suyang’s usurpation of the throne and chose a life of seclusion and wandering in protest against the reality of the time. This article is intended to examine his academic view by focusing on Taoism among Maewoldang’s three thought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In particular, the goal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basic position of the view of Chuang Tzu seen by Maewoldang. Maeoldang stipulates that his age is the same as the Human World mentioned by Chuang Tzu. The Human World basically refers to the world in which humans live. However, Chuang Tzu defines the Human World as the hard world caused by the political turmoil. Maewoldang inherits this thought of Chuang Tzu, defines its own era as the Human World, points out various ills that are unfolding there, and urges reflection on it. What is suggested here as an alternative is the Taoist heavenly world representing the natural world meant by Chuang Tzu, and dreaming of the possibility of change into Taoist Hermit. As a way of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the Human World, Maewoldang takes a negative attitude toward extraneous things, which can be called the value virtues of the Human World. Maewoldang emphasizes the need to pay attention to Chuang Tzu’s Sitting to Empty the Mind in order to keep distance from extraneous things and to keep the state of mind of Nonthought, or Non-thinking. In this context, Maewoldang criticizes the limitations of the lives of insiders and at the same time pays attention to the philosophical significance of the lives of outsiders. It tells us that the traces of Maewoldang’s life were the lives of outsiders, closely related to the philosophy of Chuang Tzu, such as showing crazy behavior difficult for insiders to understand, being consistent in his lifelong attitude toward unpretentious life, and living in a world while valuing himself as a person like a deformed person. 매월당 김시습은 조선조를 대표하는 학자로서 수양대군의 왕위찬탈 사건의 불의함을 보고 당시의 현실에 항거하여 은둔과 유랑의 삶을 선택한 생육신 가운데 한 명이다. 이 글은매월당의 유불도 삼가사상 가운데 도가사상에 초점을 맞춰 그의 학문관을 살펴보고자 한것이다. 이 글은 특히 매월당이 본 장자관의 기본입장이 무엇인지 살펴보는 것이 목표이다. 매월당은 자신의 시대가 장자가 언급한 인간세와 같다고 규정한다. 인간세란 기본적으로 인간이 살아가는 세상을 가리킨다. 그러나 장자는 특히 정치적 혼란의 상황으로 야기된난세를 지칭하여 인간세라고 규정한다. 매월당은 이러한 장자의 사상을 계승하여 자신의시대를 인간세라고 규정한 후 그 위에서 펼쳐지는 갖가지 병폐들을 지적하면서 이에 대한반성을 촉구한다. 여기서 대안으로 제시되는 것이 장자적 의미의 자연세계를 대변하는 도교적 천상의 세계이며, 신선에로의 변화 가능성을 꿈꾸어보는 것이었다. 매월당은 인간세의 한계를 극복하는 방편으로써 인간세의 가치 덕목이라 할 수 있는 외물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와 이를 통한 거리두기의 입장을 취한다. 매월당은 외물에 대한거리두기 차원에서 장자의 좌망에 주목하고 무사, 무려와 같은 무심의 마음상태를 간직해야 함을 강조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매월당은 방내인의 삶의 한계를 비판함과 동시에 방외인의 삶이 가지고 있는 철학적 의의에 대해 주목하기도 한다. 그가 방내인이 이해하기에곤란한 미친 행동을 보인 것이라던가, 평생 졸박한 삶의 태도로 일관한 것, 그리고 자기자신을 가리켜 기형아와 같은 사람이라고 평가하면서 한 세상을 살아간 것은 매월당의 삶의 자취가 장자철학과 밀접하게 연관된 방외인의 삶 그 자체였음을 알려준다.

      • KCI등재

        梅月堂의 漢詩에 나타난 方外생활의 美의식

        신두환 우리한문학회 2008 漢文學報 Vol.18 No.-

        This thesis is the study on the Aesthetics of literature for "The Outside(方外)" was exposed to a outsider's poetry The MAEUEOLDANG kim si seub (梅月堂 金時習: 1435~1493) in The Choseon(朝鮮) Dynasty period. The aesthetic consciousness in the Aesthetics of literature is The Honest poverty(淸貧) and The artless art and good nature(拙樸) and The strong emotion(狂氣) to gained through the outsider's life. How to enjoyment art and culture of the outsider in The Choseon Dynasty period. This term derives from ancient chinese a outsider's philosophy. Be concerned in an Aesthetics of The Honest poverty and The artless art and good nature and The strong emotion of outsider's of MAEUEOLDANG in The Choseon Dynasty period. The Honest poverty and The artless art and good nature and The strong emotion of outsider's of MAEUEOLDANG is the subject aesthetics point of view to literary works evenly among all was widely distributed to the Choseon(朝鮮) Dynasty period. A combination of Confucian scholar and pastoral was moral culture of mind utility to natural beauty find to mountains and waters in the Choseon Dynasty period. The interior of The Honest poverty and The artless art and good nature and The strong emotion of outsider's was comprised in moral culture of mind utility of The discussion of the Moral philosophy and an Aesthetics. The aesthetics of The Honest poverty and The artless art and good nature and The strong emotion of outsider's is an ideology of arts point of view to A combination of Confucian scholar and pastoral. 조선전기를 살았던 매월당 김시습(1435~1493)은 자기시대의 임금이었던 세조의 불의에 항거하며 방외의 삶을 살았던 인물이다. 이 논문은 매월당 김시습이 방외의 생활을 통하여 국토산하를 주유하며 그 생활을 형상화한 한시에 나타난 미의식에 관해서 탐색한 논문이다. 그는 2,200여 수의 방대한 한시를 남기고 있으며 그 대부분의 시는 방외의 생활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그의 시는 아웃사이더의 삶을 살았던 굴원, 완적 등 선현들의 남긴 정신을 본받으려고 하였으며 그의 방외 생활을 통해 지어진 시에서 발견되는 미의식 중에는 淸과 拙과 狂의 미의식을 추구하고자 한 흔적이 발견된다. 본 논문은 이 淸과 拙과 狂을 중심으로 그의 작품을 분석하고 감상하여 그의 미의식을 도출한 것이다. 매월당은 시국을 아파하며 조정을 떠나서 거의 평생을 방외의 아웃사이더로 살았으며 그의 처절한 생활은 온통 시로써 점철되어 그 비장미를 드리우고 있다. 청과 졸과 광은 그 시의 한 줄기 미의식이었다.

      • KCI등재

        김시습과 무량사의 관계 몇 가지 - 문헌 고증을 중심으로

        최영성 (사)율곡학회 2019 율곡학연구 Vol.39 No.-

        Kim Siseup entered Muryangsa Temple(無量寺) in Hongsan(鴻山), Chungcheong Province around August 1492(23rd year of King Seongjong) and then passed away on March 13th next year. Though his stay was only 7-month long, the relation between Kim Siseup and Muryangsa Temple is profound. Kim Siseup had been related with Muryangsa Temple even before his retirement, on which it is assumed that the Buddhist priest Jihee(智熙) at Muryangsa Temple would have played a role as a bridge between Kim Siseup and the temple. After entering Muryangsa Temple, Kim Siseup stayed at Maewoldang(梅月堂) and left the final two pieces of article at the request of Jihee before leaving this world, which are Beophwagyeongyohae(法華經要解) and epilogue on Suneungeomgyeong(首楞嚴經). Kim Siseup thought of ending his life at Muryangsa Temple before entering Muryangsa Temple. After he entered the temple, he lived a life of a Buddhist, focusing on Zen meditation(參禪) and left a will for things to be done after his passing. It was told that there was a grave of Choi Chiwon around Muryangsa Temple, which proves Kim Siseup was to trace back to the origin of his thoughts. As his stupa was formed within Muryangsa Temple area, it made Muryangsa Temple a shrine of integrity ideology(節義思想). The fame of Kim Siseup and the status of Muryangsa Temple has become inseparable. This study first clarifies that the name of room where Kim Siseup stayed was Maewoldang. It is proved that his residence was all named Maewoldang regardless of Suraksan Mountain, Geumosan Mountain or Mansusan Mountain. In addition, the stupa field [浮屠田] where that of Kim Siseup is laid also has stupas of Buddhist priests related to Muryangsa Temple. Personal information about them cannot be described in detail as of now. It can only be assumed that they would have belonged to Cheongheodang(淸虛堂) Hyujeong (休靜). The Buddhist priest Neungheodang(凌虛堂) Cheoyeong(處英) is a different person with the same name with the Buddhist priest Noemukdang(雷默堂) Cheoyeong. 김시습은 1492년(성종 23) 8월 무렵에 충청도 홍산(鴻山) 무량사(無量寺)에 들어와 이듬해 3월 13일에 세상을 떠났다. 머문 기간은 약 7개월 정도에 불과하다. 그렇지만 김시습과 무량사의 관계는 간단하지 않다. 김시습은 은거 이전부터 무량사와 관계를 맺고 있었다. 무량사에 주석하던 지희(智熙)라는 승려가 교량 역할을 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김시습은 무량사에 들어온 뒤 매월당(梅月堂)에서 거처하였으며, 지희의 부탁으로 세상을 떠나기 전에 최후의 글 두 편을 썼다. 『법화경요해(法華經要解)』, 『수능엄경(首楞嚴經)』에 붙인 발문이 그것이다. 김시습은 무량사에 들어오기 전부터 무량사에서 삶을 마칠 생각을 하였다. 들어온 뒤에는 참선(參禪)을 중심으로 한 불교인의 삶을 살았으며, 죽은 뒤의 일처리를 유언하였다. 무량사 부근에는 최치원의 무덤이 있다고 전해왔다. 결국 김시습은 자신의 사상적 연원(淵源)을 찾아온 것이라 할 수 있다. 무량사 역내(域內)에 김시습의 부도(浮屠)가 조성됨으로써, 무량사는 절의사상(節義思想)의 성지가 되었다. 김시습의 명성과 무량사의 위상이 상호 불가분의 관계가 되었다. 김시습이 거처했던 당실(堂室)이 매월당이었음은 본고에서 처음으로 밝혔다. 김시습의 거처는 수락산, 금오산, 만수산 할 것 없이 매월당이었음이 증명되었다. 한편 김시습의 부도가 있는 부도밭[浮屠田]에는 무량사와 관련 있는 승려들의 부도가 함께 있다. 현 단계에서는 그들의 인적 사항을 자세히 밝힐 수는 없다. 다만 청허당(淸虛堂) 휴정(休靜) 계열이었음은 추측할 수 있겠다. 능허당(凌虛堂) 처영(處英) 스님은 뇌묵당(雷默堂) 처영 스님과 동명이인(同名異人)이다.

      • KCI등재

        일반논문 : 매월당 김시습의 우언시(寓言詩)고찰

        이연정 ( Yeon Jung Lee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2 동양문화연구 Vol.9 No.-

        매월당은 불의한 현실에서 자신의 뜻을 펴지 못하고 지배체제 밖의 삶을 살다간 방외인이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에서도 그는 현실을 회피하거나 방관하지 않고 당대 지식인으로서 불의한 현실의 부조리와 모순에 대해 비판적 발언과 자유분방한 행동으로 대처했던 인물이다. 그의현실비판 의식은 우언시를 통해서 가장 잘 드러난다. 우언은 시대에 따라 그 특징을 달리하며 발달하였다. 중국의 우언은 선진시대의 철리우언, 양한시대의 권계우언, 당송시대의 풍자우언, 원명청시대의 골계우언으로 나눌 수 있다. 매월당은 풍자의 기능을 이용하여 당시 불의한 현실을 비판하였다. 그의 우언시들은 현실을 정확하고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있으며 이러한 현실을 매월당은 우언이라는 문학장르를 통하여 적극적인 태도로 비판하였다. 이를 통하여 우언이 작가자신의 정치 주장을 나타내는데 사용될 뿐만 아니라 그것을 실천에 옮기는 데에도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의 우언시는 당대 정치현실 비판과 관료 사회 비판으로 나눌 수 있었다. 이러한 주제의식은 애민의식이 바탕이 되어 불의한 현실을 비판하기 위해서였다. 그의 우언시에는 『시경』에서 그 제목이나 구조, 소재의 이미지를 차용하여 창작한 작품들이 있었는데 이는 시의 형식적인 면만을 빌린 것이었다. 우의를 가탁한 소재의 특징들은 매월당의 세심한 관찰력에서 비롯된 것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Maeweoldang was an outsider who lived outside the system unable to achieve his dreams in the injustice reality. However, he was an intellectual of his times who fought against the unreasonable and unjustifiable realities of the society through critical remarks and freewheeling behaviors, neither avoiding nor ignoring the reality. The fable poetry that he wrote revealed his mindset that was critical of the society at that time. He criticized social injustice in his times using the function of satire. His fable poetry is depicting the reality in an accurate and realistic manner, severely criticizing it. This implies that allegories can be used for a writer not only to reveal his political opinion but also to put that into practice. The subject of the fable poetry he wrote can be categorized into two areas: those that criticized the political system and bureaucratic officials. The spirit of love of the people was based on such works that criticized the injustice society. Some of his fable poems adopted the titles, structures or images of objects of the works from the Book of Odes; however such borrowing was limited to the formal aspect of poems. Many of his works prove that the parable features of subject matters were created from his own thorough observation.

      • KCI등재

        여말선초 사대부의 불교 인식

        정규식(Chung, ku-sik) 포은학회 2014 포은학연구 Vol.13 No.-

        본 연구의 목적은 여말선초라는 사상적 혼종기를 대표하는 지식인,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와 매월당(梅月堂) 김시습(金時習)을 중심으로 나말여초 사대부의 불교에 대한 인식을 고찰하는 것이다. 기존 논의에서 이 시기 사대부들의 유불(儒佛) 인식에 대해 교섭(交涉), 융화(融和), 조화(調和), 심유적불(心儒跡佛) 등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관점은 여말 선초가 상당히 긴 시기이고 각각의 시기마다 개별적인 존재 방식이 다름에도 이를 고려하지 않고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가라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이러한 용어들은 유불을 대립과 갈등의 방식이 아니라 조화롭게 수용하려는 외연적 현상을 조망하는 데는 도움이 되지만 그 이면에 내재한 혼란스럽고 복잡한 사상적 전환의 역동성을 읽어내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필자는 이러한 문제를 효율적으로 극복하기 위해 여말선초 지식인의 유불에 대한 사상적 특성을 '혼종성(混種性, hybridity)'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관점으로 논의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이르렀다. 포은 정몽주의 사상적 혼종성은 불교가 저물어가는 시점에서 새로운 사상인 성리학이 고려에 연착륙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에서 발생하였다. 이에 반해, 매월당김시습의 사상적 혼종성은 세조에 의해 불교가 복권되려는 시점에서 건국이념인 성리학이 성숙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에서 발생하였다. 이러한 점이 두 사람의 사상적 혼종성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포은 정몽주와 매월당 김시습은 각각 여말과 선초라는 전환기에서 새로운 사상으로의 변화라는 시대적 요구를 유불에 대한 주체적인 선택을 통하여 온 몸으로 감당한 실천적 지식인이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ideological intellectuals representing the hybrid group of the period of late Koryo and early Chosun by Jeong Mong-ju and Kim Si-seup awareness of their Buddhist subjects to be investigated. Prior research has recognized that The literary noblemen's conception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in this time on combination with the gentry were analyzed. However, this view is the period of late Koryo and early Chosun considerably long time, and each time it is different for each individual existence without considering how the same can not be applied to a problem. In addition, the terms are to Confucianism and Buddhism as a way of confrontation and conflict, harmony you want to accept the view that development takes explicit help, but that is inherent in the dynamics of chaotic and complex ideological transition there is a limit to be read out. Therefore, I have to overcome this problem effectively the period of late Koryo and early Chosun for intellectual and ide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sought to understand hybridity. Confucianism are enshrined in the new ideas were generated in the process. On the other hand, Kim Si-seup's the ideological hybridity is becoming a lottery at the time of the founding of the Buddhist philosophy of Confucianism is to allow the process of maturation occurred. It features two people can be called ideological hybridity. In this regard, Jeong Mong-ju and Kim Si-seup respectively the period of late Koryo and early Chosun changes in the transition to the new ideas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on contemporary needs through independent choice to deal with the whole body of practical can be called intellectu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