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말라위의 탕가타(Thangata) 의미 변화와 토지권 체계의 연관성에 대한 고찰

        배유진(Yuh Jin Bae) 한국아프리카학회 2021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62 No.-

        식민지 시대 당시 식민지 정부와 유럽 정착민은 아프리카의 자원을 착취했고, 이를 가능하게 했던 가장 중요한 요소가 아프리카인의 (강제)노동력이었다. 특히, 아프리카에 진출한 유럽 농업 정착민은 식민지 정부로부터 토지권을 획득했고, 그들의 사유지에 정착하고 있던 아프리카인을 노동자원으로 사용했다. 이러한 현상은 말라위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데, 식민지 시대 당시 유럽 농업 정착민은 말라위인이 그들에게 제공하는 노동을 탕가타(Thangata)라고 불렀다. 하지만 식민지 시대 이전 말라위인에게 탕가타는 족장과 공동체 사이에서 발생하는 상호적 노동(reciprocal labour)을 의미했고 그 의미가 식민지 시대를 거치면서 ‘억압적 통제’와 ‘노예 제도’ 등으로 변모했다. 본 연구는 식민지 시대를 거치면서 말라위인에게 부정적인 의미로 변한 탕가타의 원인을 규명하는 데 있다. 본 연구 결과 탕가타의 의미 변화의 주원인은 식민지 시대를 거쳐 변화한 말라위의 토지권 체계라고 볼 수 있다. 식민지 시대 이전 말라위 토지는 개인이 아닌 공동체의 소유였다. 그리고 지역 족장은 공동체에 토지를 사용할 수 있는 사용권을 줄 수 있었다. 하지만 식민지 시대에 들어오면서 말라위의 전통적 토지권 체계가 ‘무시’되었다. 특히, 식민지 시대 당시 유럽 농업 정착민은 영국이 제공한 청구권 증명서를 통해 합법적으로 말라위인의 토지를 수탈하고 이를 사유지로 만들었다. 사유지에 살고 있던 말라위인은 ‘세입자’로 간주되었고 유럽 정착민은 그들을 족장을 대신하는 지주(landlord)로서 ‘세입자’에게 탕가타를 요구한 것이다. 탕가타의 의미 변화는 단순히 식민지시대 영향으로 볼 수 없으며 식민지 시대 당시 말라위에 유입되고 적용된 서구의 ‘개인 토지권’ 때문에 일어났다. 최근 말라위는 새로운 토지법을 개정했고, 말라위인 개개인이 자신의 토지를 사유지로 등록할 수 있게 했다. 즉, 말라위 정부는 ‘개인 토지권’ 강화를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사유지 등록 절차를 밟을 수 있는 말라위인은 대부분 부유한 사람들이다. 결국, 일반 말라위인이 부유한 말라위인의 세입자가 될 가능성이 크고, 이는 부정적인 탕가타의 의미가 지속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말라위 정부는 이렇게 불평등한 결과가 초래하지 않도록 더욱더 일반 말라위인의 토지권을 보호하는 체계 구축 방법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During the era of Colonialism, European governments and settlers exploited natural resources and labour in Africa. In particular, European agricultural settlers acquired land rights from colonial governments and used Africans on their property as labour. In the case of Malawi, European agricultural settlers called such labour ‘Thangata’. However, prior to the colonial period, Thangata meant reciprocal labour from community members to their chief. The semantic change of the word, now meaning ‘repressive control’ and ‘slavery system’ occurred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determine the main factor that changed the meaning of Thangata. This study finds that the meaning of Thangata is connected to the changes in the land rights systems during the colonial period. Traditionally, land belonged to Malawian communities, and a local chief could grant usufruct rights to community members. However, with the arrival of European settlers, such traditional land rights system was ‘ignored’. These new agricultural setters received official land rights from the colonial Secretary of State and eventually took over and privatized a vast amount of land. Malawians living on this newly titled private land were considered ‘tenants’ and European settlers demanded Thangata from them as their new landlords. Thus, the semantic change of Thangata was not simply due to ‘colonial influence’, but can be primarily attributed to the ‘land titling system’ imposed by the British. Recently, the Malawi government implemented a policy to strengthen land titling by enacting a new land law that allows individuals to register their land as private land. However, those who can register their land are mostly wealthy Malawians. The majority of poor Malawians -landless or unable to register their land- are likely to become ‘tenants’ of wealthy Malawians. Consequently, this could result in the reinforcement and continuation of the negative connotations of Thangata. In order to prevent such negative consequences, the government of Malawi should prioritize the protection of the poor Malawians’ land rights and prevent them from becoming weak tenants.

      • KCI등재

        말라위의 개인 관습 토지권 강화의 실효성에 대한 고찰

        배유진 한국아프리카학회 2022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67 No.-

        아프리카인의 약 90%는 관습 토지 보유권 체계가 적용되는 관습 토지에 살고 있다. 관습 토지 보유권 체계 아래 토지는 주로 가족, 지역 사회의 공동 소유물로 간주 된다. 그리고 관습 토지 보유권 체계에서 토지를 소유한다는 것은 절대적 소유권이 아닌 사용권을 가진다는 것을 뜻한다. 이러한 관습 토지 보유권 체계는 다수의 아프리카 국가가 독립 후 토지 등기 취득을 통한 개인 토지권 강화에 집중하면서 변화하고 있다. 하지만 개인 토지권 강화는 토지를 공동의 소유물로 바라보는 관습과 상충한다. 이런 이유에서 본 연구는 말라위의 토지법 변화 사례를 중심으로 개인 토지권 강화 진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과 이에 대한 원인을 분석한다. 본 연구 분석 결과, 개인 토지권 강화는 토지 등기 등록 절차 및 취득 후 발생하는 다양한 비용 때문에 일반 말라위 농민에게 적용되기 어렵다. 이는 개인 토지권 강화가 말라위 정치인, 기업인, 외부 투자자 등 부유층에게 적용되는 것으로 전반적인 토지권 불평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말라위의 모계 전통사회와 부계 전통사회에서 남녀가 평등하게 공동명의로 토지 등기를 취득하는 것은 이들의 관습과 상충해서 취득 절차 단계에서부터 심각한 마찰과 문제로 이어질 것이다.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는 원인은 말라위의 토지법이 식민지 시대부터 현재까지 말라위인의 토지권보다 대규모 상업 농업 강화를 통한 국가 성장에 더욱 초점을 맞춰 제정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말라위 토지법이 농업 발전이라는 목표에 장기간 집중하여 제정되었기 때문에 개인 토지권 강화로 발생할 수 있는 관습법과 주법 사이의 문화적 충돌이나 일반 말라위인 토지권 강화의 현실성이 고려되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말라위 정부는 향후 토지법 개정 및 제정 시 농업 발전과 토지권이라는 두 가지 항목을 최대한 분리해야 한다. 그리고 말라위 정부는 ‘관습적’ 시각에 조금 더 중점을 두고 관습 토지권 보호와 개인 토지권 강화라는 두 가지 항목의 연계성을 찾아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후 말라위 토지권에 대한 정의가 재정립된다면 말라위 정부가 농업 발전 및 경제 발전에 있어 더욱 견고한 방법을 만드는 데 일조할 것이다.

      • KCI등재

        아프리카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COVID-19) 시대 속 재생에너지의 중요성: 말라위 사례를 중심으로

        배유진(Bae, Yuh-Jin) 한국아프리카학회 2020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61 No.-

        아프리카 국가를 포함한 다수의 국가는 COVID-19 확산을 감소하기 위해 이동 제재 및 사회적 거리 유지를 주요 방법으로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동 제재와 사회적 거리 유지가 성공적으로 COVID-19 확산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해당 국가의 인구에게 신뢰할 수 있는 에너지 접근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이는 에너지 접근성이 낮은 다수의 아프리카 국가에 이동 제재와 사회적 거리가 COVID-19 확산 감소를 위한 가장 현실적인 방법이 아닐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말라위의 의료기관 전력 접근성과 각 가구의 실내오염 사례 분석을 통해 에너지 접근성 향상이 아프리카의 성공적인 COVID-19 대응에 중심축 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말라위 내 의료기관의 약 69%가 전력선과 연결되어 있지만,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의료기관의 수가 적다. 이는 COVID-19 검사, 치료 및 긴급 상황 대처를 원활하지 못하게 하고 COVID-19 확진자와 사망자 수가 급증할 가능성을 높인다. 또한, 대부분의 말라위 가구가 조리와 조명에 사용하는 에너지원이 연소를 통해 공기 오염을 발생하는 목재 및 바이오매스라는 점은 COVID-19 확진율과 사망률을 높일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말라위의 에너지 접근성과 실내 오염 문제를 해결하고, COVID-19 피해를 감소할 수 있는 최적의 방안은 재생에너지 사용 확장이다. 그리고 말라위의 낮은 전력선 연결성과 높은 일조 강도의 조합을 볼 때 독립형 태양광 기술 사용 확장이 가장 현실적으로 COVID-19에 대응하는 방안이다. 독립형 태양광 기술 사용 확장은 말라위 내 다양한 의료기관의 원활한 임무 수행을 가능하게 하여 COVID-19 대응에 기여할 것이다. 연소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되는 전기 조리(예: PV-eCook) 방법 사용도 각각의 말라위 가구 내에서 발생하는 실내오염을 감소하여 COVID-19 확진이나 관련 사망률을 낮추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에너지 접근성 증대는 노동력 증진, 새로운 일자리 창출로 이어져 COVID-19로 인해 침체한 경제를 회복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이유에서 말라위는 독립형 태양광 기술 사용 확산에 속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 In order for lockdown and social distancing to successfully reduce COVID-19 proliferation, a country’s population must have ensured access to reliable energy sources. This suggests that both lockdown and social distancing may not be the most realistic ways to reduce COVID-19 proliferation in many African countries with poor energy accessibility. Through the analysis of Malawi’s medical institutions’ power accessibility and indoor pollution in each household, this study argues that improving energy accessibility should play a central role in Africa’s successful COVID-19 responses. About 69% of medical institutions in Malawi are connected to power grid. However, the number of medical institutions that receive stable electricity is small. Accordingly, performing proper COVID-19 testing, treatment and emergency responses is difficult. Moreover, as Malawi households are overwhelmingly dependent on biomass fuels (e.g. fuelwood and charcoal) for cooking and lighting which result in dangerous levels of household air pollution, this has the potential to increase COVID-19 related mortality rates. Accordingly, the expansion of renewable energy is a way to reduce COVID-19 proliferation and casualties by improving Malawi’s energy accessibility and reducing household air pollution level. Given the combination of low grid connectivity and high solar irradiation in Malawi, expanding the use of stand-alone photovoltaic (PV) technology is the most realistic way to respond to COVID-19. The use of stand-alone PV technology has the potential to contribute to successful COVID-19 response by enabling the smooth performance of various medical institutions in Malawi. Also, replacing biomass usage with clean renewable energy will help reduce indoor pollution, thus lowering COVID-19 associated mortality rates. In addition, increased energy accessibility is likely to contribute to the recovery of the sluggish economy caused by COVID-19 as it can boost labour force into the market and promote new job creation. Accordingly, the increased usage of solar energy is essential for Malawi’s COVID-19 responses and economic recovery.

      • KCI등재

        말라위의 유전자변형 작물 (Genetically Modified Crops) 상업화 타당성에 대한 고찰

        배유진 한국아프리카학회 2018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55 No.-

        Malawi has been promoting the commercialization of Genetically Modified Crops (GM crops), such as BT cotton, BT cowpea and VR banana, all of which are considered important food and cash crops. In recent years, the production of these crops have decreased due to various reasons such as drought, flood and climate change. By looking at the importance of these crops and their recent productivity, the commercialization of GM crops can be justified as it can improve Malawi’s food security. Further, as Malawi has strong biosafety laws and regulation GM crops could potentially be used with minimum negative risks. However, the significance and important usages of these specific GM crops, and biotechnology in general, are often not specified and explained in the country’s key national policies and strategies such as the Malawi Growth and Development Strategy (MGDS) and National Agriculture Policy (NAP). In other words, despite the rapid commercialization of GM crops, it is unclear whether the government fully understand the role of such crops. This is a serious matter as the commercialization of GM crops will have a direct impact on the productivity of the agricultural sector which is the central pillar of Malawi’s food security and economic growth.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clear role of GM crops to be defined in national policies. This process is more likely to help farmers to understand the needs of the commercialization of GM crops which will bring about GM crop’s full potential benefit to Malawi’s agricultural sector and overall economic development. 최근 말라위는 유전자변형 작물 (GM 작물) 상업화를 위해 다양한 현장 실험을 진행 중이다. 말라위가 상업화를 위해 지정한 작물은 동부콩, 목화, 바나나이다. 이 작물들은 말라위 내에서 식량자원 및 환금작물로써 각각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나 최근 5년간 해충과 바이러스 등의 영향으로 생산성이 하락하고 있다. 농업 부문은 말라위의 식량안보 및 수출수익에 있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기에 동부콩, 목화, 바나나를 포함한 주요 작물들의 생산성 하락은 경제적으로 타격을 줄 수밖에 없다. 이런 상황에서 GM 작물 상업화를 통한 생산성은 향상은 식량안보 뿐 아니라 환경안보 향상에 기여할 수 있기에 합당해 보인다. GM 작물 상업화를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며, 특히 정책적인 측면에서 GM 작물 상업화가 경제, 농업 부문 발전에 어떻게 기여할 것이며 사용될 것인지 명확하게 나타나야 한다. 안타깝게도, 말라위의 농가 보조금 지급 프로그램 (FISP), 말라위 성장과 개발 계획 (MGDS), 국가 농업 정책 (NAP)을 분석해 본 결과, GM 작물에 대한 다양한 현장실험이 진행 중임에도 불구하고 지정작물의 중요성이나 역할이 명료하게 명시되어 있지 않다. 뿐만 아니라 지정 작물을 GM 작물로써 상업화하게 된 사유를 밝혀주는 공식적인 문서 또한 찾아 볼 수 없다. 이는 상업화의 경제적 타당성과 정책 사이에 큰 격차가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상업화의 성공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말라위의 BT 목화 상업화는 내년부터 시행될 전망이다. 아직까지 상업화가 시작되지 않은 시점에서 현실적으로 가장 시급한 부분은 GM 작물의 역할을 관련 정책에 반영함으로써 상업화의 타당성 및 정부의 역할을 명료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BT 목화 상업화 시작점과 다른 작물 (예: BT 동부콩) 상업화 시작점 사이에 적당한 기간을 두면서 BT 목화 상업화 과정에서 나타난 장 ‧ 단점을 파악할 시간을 확보함으로써, 현장 실험이 아닌 상업화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경제적 문제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해야 한다. 이런 절차가 이루어졌을 시 농민들이 GM 작물과 상업화의 필요성을 인식할 수 있고, 나아가 정부와 지역사회 사이의 책무성을 강화함으로써 향후 말라위의 장기적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말라위 경제성장이 이주송금에 미치는 영향

        레나타 치번두 ( Renata Chivundu ),로버트 수피안 ( Robert Suphian ),김성수 ( Sungsoo Kim ) 한국세계지역학회 2017 世界地域硏究論叢 Vol.35 No.4

        본 연구는 아프리카 국가에서 이주송금이 모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구성되었다. 아프리카 국가 중 하나인 “말라위의 경제성장에서 이주송금은 긍정적일 것이다.”라는 가설을 증명하고자 한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말라위 정부로부터 받은 1985년과 2015년 사이의 이주송금 자료를 바탕으로 ARDL과 BT 통계방법을 사용하여 말라위 경제에 이주송금이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였다. 통계분석결과 이주송금은 말라위 경제에 긍정적이며 중요한 자원임을 증명할 수 있었다. 그 외로 ODA 역시 말라위 경제성장에 긍정적이었지만 일반적으로 인구증가는 경제성장에 중요한 요소여서 말라위 사례에서는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론적으로 말라위정부는 이주 노동자들의 모국송금을 독려하기 위하여 이중국적, 송금의 간소화 등 제도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Diasporas’ remittance on economic growth in Malawi by using an auto regressive distributed lag (ARDL) model or Bound Testing approach. The study employed time series data for Malawi from 1985 to 2015. The outcome of the study revealed that, the impact of Diasporas’ remittances during the study period is positive and significant. Besides this, the other growth determinant factor which was found positive and has significant effect on economic growth of Malawi was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while population growth was significant but negatively affected growth. The effect of other determinant factors on economic growth of Malawi happened to be insignificant. This study therefore recommends that the government of Malawi should work on policies which would encourage the Malawians in the Diaspora to remit more to their country. This includes easing the receiving processes of remittances, introducing dual citizenship, and engaging Diaspora in the development plan of Malawi.

      • KCI등재

        말라위 초등교사의 사회정서학습에 대한 인식조사 연구

        박환보(Hwan bo Park) 한국비교교육학회 2017 比較敎育硏究 Vol.27 No.4

        본 연구는 아프리카 말라위에서 초등학교 교사가 사회정서학습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말라위 농촌 지역에 소재한 9개 초등학교의 교사 7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집단별 평균비교,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말라위 초등교사의 사회정서학습에 대한 인식은 안정감 4.10, 참여의지 4.59, 학교풍토 3.78로 나타났다. 둘째, 말라위 초등교사의 개인 특성 중에서 연령, 교직경력, 사회정서학습 관련 연수 경험에 따라 사회정서학습의 참여의지와 학교풍토에 대한 인식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말라위 초등교사의 사회정서학습 실천 정도는 4.01이고, 개인 특성 중에서 교직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존재했다. 넷째, 사회정서학습에 대한 인식의 하위 요인 중에서 안정감은 사회정서학습의 실천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말라위 초등학교에서 교사들이 사회정서학습을 실천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이유가 자신의 역량 부족뿐만 아니라, 그것에 대해 불편함을 갖고 있기 때문임을 시사한다. 따라서 말라위 초등학교에서 교사들이 사회정서학습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교사가 이러한 활동에 대해 심리적으로 자신감과 편안함을 갖도록 지원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rimary teachers’ perception of social emotional learning (SEL) in Malawi. To achieve this purpose, total 78 questionnaires were gathered from 9 primary schools in rural area. The data was analyzed with independent-samples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s. First, the sub-factors of the Malawian primary teachers’ perception of SEL shows that Comfort is 4.10, Commitment is 4.59, and Culture is 3.78.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alawian primary teachers’ perception by age, years of teaching, and participation to in-service training about SEL among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ird, the Malawian primary teachers’ degree of implementation of SEL in school was 4.01,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y years of teaching. Forth, among the sub-factors of teachers’ perception of SEL, Comfor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degree of implementation of SEL. This result implied that the reason why Malawian primary teachers had difficulty in implementing SEL in the school might be not a lack of individual competence but feel uncomfortable with implementation. Therefore, in order to implement SEL in the Malawi school, it is necessary to support teachers so they have confidence and comfort psychologically.

      • KCI등재

        국제개발협력의 소득증대사업 효과성 분석 연구: 굿네이버스 말라위 옥수수 창고 사업을 중심으로

        손혁상,정희율,김영완 한국세계지역학회 2018 世界地域硏究論叢 Vol.36 No.1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the effectiveness of income generating projects of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focusing on income generating project of Good Neighbors in Malawi. Income generating project in Malawi consists of warehouse construction for storing maze, revolving fund for fertilizer and seed, and educational training. It aims to increase the income of communities and production of maze for the establishment of independent economic capability. By conducting the focus group interview and survey with local villager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ject is analyzed. In result, income generating project of Good Neighbors in Malawi has a positive impact in terms of increased income and maze production with community development. 본 연구는 굿네이버스가 수행한 말라위 옥수수 소득증대사업을 중심으로 비정부기구(NGOs)의 소득증대사업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말라위의 옥수수 소득증대사업은 옥수수 수매 및 유통을 위한 창고건축, 회전기금 대출을 통한 비료 및 종자 확보, 교육 훈련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한 옥수수 생산량 증가 및 지역 공동체의 소득 증가 등의 경제적 자립 역량 향상을 목표로 하였다. 본 연구는 현지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및 인터뷰, 초점집단 면접의 결과를 교차분석 함으로써 사업의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굿네이버스의 소득 증대 사업은 말라위 지역 내 옥수수 생산량 및 농민 소득 증가, 지역 공동체 기여 측면에서 측정 가능한 긍정적인 성과를 나타내었다.

      • KCI등재

        2019~22년 말라위, 잠비아, 케냐 대선에 나타난 선거 전략 분석: 선거지역주의를 중심으로

        김은경 한국아프리카학회 2022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67 No.-

        최근 말라위(2019~2020년), 잠비아(2021년), 케냐(2022년)에서 치러진 대통령선거는 아프리카 민주주의의 이례적인 사례로 주목을 받았다. 1990년대 대다수 아프리카 국가는 일당제를 종료하고 다당제를 재도입했음에도 불구하고 여당의 현직효과(incumbency advantage)와 야당의 약한 조직력으로 인해 정권교체는 쉽게 이뤄지지 않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말라위와 잠비아에서의 야당 승리는 아프리카 민주주의에 대한 기대를 높이는 중요한 분기점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는 지역주의 관점에서 대선 전략의 국가 단위 비교분석을 시도한다. 각국 지역주의 선거의 근본 원인은 무엇인지 고찰하고, 최근 선거에서 각 대선후보와 정당은 지역주의 특성을 어떻게 활용하였는지 분석한다. 산업 측면과 종족 측면 요인에 의한 교차균열(cross-cutting cleavage)이 아프리카 지역주의 지형을 형성함을 밝히고, 이와 관련해 최근 선거에 나타난 변화 및 전략적 특징을 논하고자 한다. 아프리카 지역주의에 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하나의 선거 전략 해석방법 혹은 선거 전략 수립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역대 선거 승패의 원인 분석과 성공적 선거 전략 기획에 도움을 줄 것이다.

      • KCI우수등재

        아프리카에서의 분할투표: 말라위 사례를 중심으로

        김은경(Eun Kyung Kim) 한국국제정치학회 2020 國際政治論叢 Vol.60 No.4

        종족투표 경향이 강한 아프리카 민주주의국가에서 누가, 왜 분할투표를 하는가? 종족 일체감에 따라 일관투표를 할 것인가, 아니면 개인적 이익이나 투표효과 극대화를 위해 분할투표할 것인가? 대부분의 아프리카 선거와 투표행태 연구는 대통령선거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다른 선출직-예를 들어 국회의원-을 뽑는 선거에서도 대통령선거에서와 같은 메커니즘을 통해 투표선택으로 이어지는가에 대해서는 별로 알려진 바가 없다. 본 연구는 2014년 말라위에서 수집한 여론조사 자료를 이용해 유권자가 국회의원선거에서 대통령선거와 비교했을 때 어떠한 투표행태를 보이는가를 경험적으로 분석한다. 불안정한 정당체제로 인해 당적 이탈 · 변경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아프리카의 정치적 맥락에서 유권자는 어떤 투표행태를 보이는지 로지스틱 다층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한다. 분석을 통해 강한 종족투표 성향에도 불구하고 불안정한 정당체제를 극복하고 투표의 효용을 높이기 위해 선거마다 다르게 투표하는 분할투표 현상이 나타나고 있음을 발견했다. 즉, 종족투표를 하지 않는 유권자는 대선과 총선에서 각각 개인의 경제적 이익을 극대화 시켜줄 후보자를 분할해서 선택하거나 각 선거에서 당선 가능성이 높은 후보를 선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선거경합도가 높고 종족 다양성이 높은 지역에서 분할투표 가능성이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Who splits the vote in Africa? While ethnic voting is strong in Africa, would a voter defect to a party of non-co-ethnics? The literature on Africans’ voting behavior mainly focuses on presidential elections, and does not help us understand how the voters choose in parliamentary elections or how their behavior in one election is related to the other type of election. Using the 2014 Afrobarometer survey data in Malawi, the research examines how the voters make choices in both presidential and parliamentary elections. An analysis using 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models is conducted to estimate individual and constituency-level variables of the data. The results show that strategic voters and clientelistic voters are more likely to split the tickets than those who vote along ethnic lines. Additionally, voters in electorally competitive or ethnically diverse districts appear to be likely vote-splitters.

      • KCI등재

        ‘아프리카 말라위’ 지역 어린이집의 바깥놀이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어울림의 교육 공동체

        한지애,김태경,조희숙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6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5 No.3

        This study reconstructed researcher’s experience of running community learning centre located in a small village of Zomba in Malawi, Africa from August 2013 to January 2016, focusing on outdoor play of Naphini Nursery which is one of the programs run during the morning hours at the centre. This study mainly looks into the children’s experiences when they play outside of clas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 for which the researcher prepared journals, took pictures, recorded videos and made interviews with teache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Outdoor plays made children enjoy the feelings of freedom and delight. Those feelings were then extended to their relationships with peers and teachers and ultimately with neighbors and the entire village. These findings showed that ‘outdoor' is a ‘space' which represents children's cultural identity on the continuum of their lives and a medium of education for children. In conclusion, outdoor play may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in relation to the realities and cultural contexts of education. 본 연구는 연구자가 아프리카 말라위에서 2013년 8월부터 2016년 1월까지 한 마을 내 학습센터를 운영해온 경험을 바깥 놀이를 중심으로 재구성하였으며, 연구일지, 사진, 동영상 자료, 그리고 교사와의 면담자료 등의 참여 관찰을 통해서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바깥 놀이를 통해서 유아들은 자유와 즐거움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경험은 유아 개인에서 또래, 교사와의 관계로 확장이 되며, 궁극적으로 이웃 주민, 그리고 마을 전체로 확장해 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바깥’이라는 공간은 아이들의 일상과 삶의 연장선 속에서 그들의 문화적 정체성을 대변해주는 ‘공간적 장소’이자 ‘교육의 매개체’ 그 자체로서 의미를 갖는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종합적으로 오늘날 우리의 교육 현실에서 작은 문화의 맥락에서 바깥 놀이는 의미있는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