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설국열차>와 르네 지라르: 희생 제의에 대한 담론

        박재영 문학과영상학회 2013 문학과영상 Vol.14 No.4

        The movie Snowpiercer directed by Bong Joon-ho has aroused a sensation in Korea in 2013. It has already brought a record-breaking number of viewers into the cinema, exceeding 3 million viewers in five days since the opening. Many a parody of the film has been generated and uploaded on YouTube, and TV (comedy) shows have implemented the movie plot into their programs. Even the sale of sweet jelly bars, which look similar to the protein block in the movie, has been doubled. Despite its remarkable success, the movie is quite violent, and its plot is simple and straightforward. And in many senses, it reverberates René Girard’s scapegoat mechanism. Girard argues that all our desire is engendered by our neighbor. As we look at them and what they have, we desire them. Girard calls it “mimetic desire.” When the mimetic desire is oppressed and hindered, it gets more intense, and the tension and conflict among people worsen. In order to dilute the tension and friction, they need a scapegoat for sacrifice that can replace their anxiety and give them catharsis. Such a sacrifice ritual mechanism dominates the movie as the tail section people move forward section by section, beating up and killing the “oppressors.” The movie visualizes the mechanism by performing an experiment upon the passengers in the train—a very limited space. While watching it, the viewers identify themselves with the tail section people, and with them together, question the significance of the engine section. Once they reach the engine section, however, they fall into dilemma because they realize that taking over the engine section does not solve any problem they have faced in the train. As scrutinizing the main characters and their thought and behavior and analyzing them based on Girard’s theory, this paper attempts to substantiate the psyche of people projected in the movie and to conjecture the reasons of its box-office hit.

      • KCI등재

        르네 지라르 모방이론과 새로운 심리학

        김진식 ( Jin Chic Kim ) 한국불어불문학회 2016 불어불문학연구 Vol.0 No.107

        르네 지라르는 오늘날 가장 많이 거론되는 영향력 있는 사상가 중의 한 사람이다. 기독교로의 개종이 풍문을 일으키긴 했지만 그렇다고 그의 사상이 신학의 테두리에만 갇혀 있는 것은 결코 아니다. 2005년 프랑스 학술원 회원 선임, 모방이론을 자연과학적으로 입증한 신경과학계의 거울뉴런 발견, 종교와 테러와의 관계에 대한 폭발적인 관심 등으로 모방이론은 때늦은 호황을 누리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모방 이론의 연구와 전파에 주력하는 기존의 세계학회뿐 아니라 모방이론과 실험과학의 일치현상을 조망하는 국제학술대회와 지라르에 관한 에른 총서의 발간, 이 모든 사실들은 인간 현실을 설명하는 모방이론의 능력과 다산성뿐 아니라 그 활력을 말해주고 있다. 르네 지라르의 모방이론의 의의와 현황을 간명하게 설명하는 트레보 메르빌의 이 지적처럼 르네 지라르의 모방이론은 다방면에 걸쳐서 인간 현실에 대한 설명능력을 인정받고 있다. 소설 주인공의 욕망 구조를 분석한 『낭만적 거짓과 소설적 진실』에서부터 르네 지라르는 인간 욕망이 모방에서 출발한다는 것을 밝혀낸다. 르네 지라르는 타인의 지위를 차지하려는 욕망을 ‘모방적 욕망’이라 부른다. 다른 아이가 갖고 있는 인형을 원하다가도 일단 자기 손에 들어오면 내평개치는 어린 아이처럼, 많은 재화는 그것 자체로는 가치가 없고 단지 그것이 타인에 의해 소유되고 있을 때에만 가치가 있다. 지라르에 의하면 바로 이 모방적 욕망 때문에 우리 사회의 본질적 문제인 폭력이 나온다. 모방적 욕망이 인간사회의 갈등과 폭력의 원인이 되는 과정은, 모방이론을 통해서 항구적인 평화를 모색하는 라벤 재단(Raven Foudation)에서 요약한 모방이론을 중심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리 욕망은 모두 모방에 의해 생겨난다. 우리 욕망은 모두 삼각형적이기 때문에 갈등으로 이어진다. 통념과는 달리 대상에는 본질적으로 타고난 가치가 없고 우리 욕망도 우리 안에서 자연발생적으로 생겨나는 것이 아니다. 어떤 대상에도 묶여있지 않은 우리 욕망은 우리에게 어떤 대상을 가리켜주는 어떤 모델에 의지해 있다. 달리 말하면, 우리와 우리 욕망의 대상 사이에 직접적인 연결선은 없다. 우리 욕망은 모델이나 중개자를 모방하여 그의 욕망 대상이 우리 욕망 대상이 된다. 그러나 그가 욕망하거나 소유하고 있다고 생각되는 똑 같은 것을 우리가 욕망한다면 우리가 모방하는 모델은 경쟁자가 될 수 있다. 또는 같은 모델을 모방하는 다른 모방자들은 같은 대상을 두고 우리와 경쟁을 할 수도 있다. 경쟁자인 모델이 대상을 더 많이 욕망할수록 나의 욕망도 더 커진다. 이런 모방적 상황 속에서 질투와 선망이 생겨나는 것은 필연적이다. 자신의 자율성과 자기 욕망의 자율성을 믿기를 좋아하는 우리는 우리의 경쟁자가 우리의 모델이라는 것을 인정하지 않으려 한다. 경쟁자는 사악하게도 내 욕망의 만족을 방해하기로 작정한 적으로만 보이고, 그래서 그 경쟁자에 대한 나의 증오와 선망은 온전히 합당한 것으로 보인다. 우리가 욕망의 차원에서 얼마나 서로 닮았는지를 인정하기보다는 우리 자신의 헛된 우월감을 충족시켜주는 억울한 마음을 키우고 있다.2)이처럼 르네 지라르의 ‘모방이론 Theorie mimetique’은 인간 생존의 가장 큰 위협인 인간의 폭력에 대해 분명하고도 정직하게 생각할 수 있게 해주고 있어 갈수록 그 중요성과 의미가 널리 인정받고 있다. 모방이론이 인간 사이의 갈등과 폭력의 전염현상 그리고 개인과 집단에 만연해 있는 희생양 만들기에 대한 가장 뛰어난 분석도구가 되기 때문이다. 모방이론이 가진 의의에는 물론, 폭력이라는 인류의 전염병을 어떻게 종식시키고 지속적인 평화를 어떻게 세울 수 있는지에 대한 길잡이 역할에도 있겠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모방적 욕망이라는 단순해 보이는 사실에서 파생되는 인간의 내면세계에 대한 새로운 이해의 길잡이 역할에도 있다. 인간 욕망의 발생구조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열어준 모방이론은 인간 내면에 대한 인식태도에 영향을 주었을 것이고 이 영향은 또한 인간내면에 대한 새로운 이해의 길을 열어주었을 것이다. 모방이론은 인간내면의 이해, 즉 심리학에 끼친 영향은 과연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을까? 인간이해를 위한 길이 그러하듯이 완벽하게 완성된 길은 없을 것이다. 새롭게 밝혀진 사실로 인해 언제든지 수정, 보완되는 것이 인간이해의 태도여야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인간 욕망의 근원이 모방에 있다고 보는 르네 지라르의 모방이론으로 수정된 인간내면 이해는 심리학 연구방법에 어떤 변화를 일으켰을까? 르네 지라르의 모방이론이 심리학, 특히 프랑스의 심리학에 미친 영향과 함께 새롭게 주창되는 ‘새로운 심리학’의 내용을 장-미셸 우구를리엥을 중심으로 살펴보자. Cet article vise a envisager l`influence de la theorie mimetique de Rene Girard et ses consequences sur la psychologie francaise. Une nouvelle comprehension de l`interieur de l`humain grace a la theorie mimetique de Rene Girard montrant que notre desir est forme a travers imitation du desir d`autui a naturellement influence la psychologie. Nous avons examine des changements de la psychologie francaise par notamment les travaux de Jean-Michel Oughourlian. L`influence de la theorie mimetique sur la psychologie est radicale. Le freudisme traditionnel insiste sur le caractere fondamentalement biologique et l`objet-oriente du desir, ainsi que sur les themes ‘instinct sexcuel’ ou ‘libido’. Mais Rene Girard a observe une contradiction de la logique du complexe d``OEdipe de Freud “Il y a deja un conflit latent, dans la pensee de Freud, entre cette mimesis de l`identification paternelle et objectal du desir, l`autonomie du penchant libidinal pour la mere.” (VS, 251) Freud insistait sur l`autonomie de l`individu de chaque desir, cependant Girard insistait sur l`influence d`autui sur notre desir. Le changement de vue a travers la theorie mimetique entraine une revolution copernicienne sur le domaine psychologique. Rene Girard a donc propose une nouvelle psychanalyse : “Il faut renoncer, certainement, a l`expression <complexe d`Oedipe>, source inepuisable d’erreurs et de malentendus. Il faut regrouper autour de la mimesis conflictuelle, les phenomenes reels que la psychanalyse rapporte a ce complexe; ils y gagnent en coherence; il devient possible, d`autre part, d’inserer ces memes phenomenes dans un schema diachronique, de les situer historiquement, non seulement eux-memes mais les theories qui surgissent pour les expliquer et au premier chef, bien entendu, la psycholalayse.” Oughourlian, coauteur de Des choses cachees depuis la fondation du monde et pshychiatre propose une nouvelle psychologie nommee <la psychologie interdividuelle>. Il pense que notre moi n`est pas un sujet monadique mais un fonction de la relation interdividuelle. Oughourlian affirme que la logique de la perspective mimetique doit rejeter les ‘psychologie du sujet’ et ‘subjectivisme’ comme le freudisme traditionnel. Il dit que de poser l`origine du mouvement psychologique a l`interieur d`un sujet monadique est une illusion mythique. Promoteur de la nouvelle psychologie, Oughourlian propose de fonder la psychologie uniquement sur des faits psychologiques. La processus arrivant a la psychologie interdividuelle est le suivant: Oughourlian a toujours pense que ce que l`on est convenu d`appeler le moi en psychologie etait une structure changeante, instable. Il a pense aussi que le desir est mouvement, seul il lui semble capable d`animer ce moi, de le produire. Il a postule le desir qui engendre le moi et qui par son mouvement l`amene a l`existence. Sa deuxieme hypothese est que le desir est mimetique. Ce postulat, avance par Rene Girard des 1961, lui parait capable de fonder une psychologie nouvelle, une psychologie pure, c`est-a-dire debarrassee de tout biologisme et que les coauteurs de Des choses cachees depuis la fondation du monde ont appele ‘psychologie interdividuelle’. Donc le fait psychologique doit etre repere entre les individus. Et alors le moi est une entite <moi-entre> en anglais <self-between>. Et alors une question curieuse surgit : par hasard le moi n`existe pas?

      • 르네 지라르의 미메시스(모방) 이론에 비판적 소고

        유경동(Kyoung-dong Yoo) 감리교신학대학교 2021 신학과세계 Vol.- No.100

        르네 지라르(René Girard)의 ‘모방(미메시스, mimesis)’이론은 신학계에도 많은 반향을 일으켰다. 특히 지라르의 ‘희생양(scapegoat)’ 개념은 구약 성경의 제사 제도에 대한 통찰력으로서 인간의 모방 욕망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역사를 통하여 구축된 인간 문명의 허구에 대하여 고발하고 있으며, 유대-기독교의 평화주의 가능성에 대하여서도 모색하고 있다. 필자는 본 논문에서 지라르의 ‘미메시스’ 이론에 대한 영어권 학자들의 분석과 비판적 이론을 통하여 ‘미메시스’ 이론이 가진 한계에 대하여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필자는 지라르의 미메시스 이론에 관한 연구를 크게 세가지 측면에서 접근하는데, 첫째, 지라르의 ‘미메시스’ 이론에 대한 핵심적인 내용을 간략하고, 이어 다양한 관점을 서구학자들의 이론을 통하여 검토하며, 둘째, 지라르의 관점에 대한 비판을 검토하고, 그리고 셋째, 지라르의 이론에 대한 신학적 의의를 간략하게 정리하도록 하겠다. 한국 학계에 소개된 지라르에 대한 선행연구는 주로 그의 ‘희생양’ 연구에 대한 고찰과 비판이 소수 있으며, 그의 ‘미메시스’ 이론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는 아직 없다. 따라서 이 논문은 신학적 관점에서 지라르 철학의 전반적 평가와 한계에 대한 서구권의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지라르 연구를 위한 철학과 신학의 간 학문적 대화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참고로 이 논문의 한계는 지라르의 미메시스 이론을 중심으로 서구권 학자들의 관점을 정리하는데 주안점을 두었기에 지라르 이론 전반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임을 밝히며, 후속으로 신학적 관점에서 구체적인 연구가 이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The theory of Rene Girard on the correlation of religion and violence created ripples in the theological circles. Significantly, Girard’s concept of ‘scapegoat’ is the philosophical insight regarding the Old Testament’s sacrificial system that commented on the issue of the mimetic desire of humans and indicts the fabrications of the human civilization constructed throughout history and explores the possibility of Judeo-Christan pacifism. The researcher proposes to examine the limits of the ‘mimesis’ theory through the English speaking scholars’ analysis and the critical theories on it in this paper. The researcher will approach the study of mimesis theory from three perspectives. First, an overview of the ‘mimesis’ theory of Girard will be made, and secondly, the viewpoints and the limits of his ‘mimesis’ theory will be examined through the ideas of the western scholars. Thirdly, the alternative to Girard’s view will be briefly proposed from the theological perspective. Most of the few precedent kinds of research concerning Girard in the Korean Academia are mostly centered on the reflections and the critique of his ‘scapegoat’ research, and there is no specific research on his ’mimesis’ theory yet. Therefore, this paper is expected to assist the interdisciplinary dialogue between philosophy and religion in the study of Girard’s theories by examining the precedent researches of the limits of Girard’s philosophy in the west from a theological perspective.

      • KCI등재

        눅 24장, 지라리안(Girardian), 성서영성 : 모방 폭력의 위기에서 변화를 경험케 하는 내러티브의 힘

        이경희 한국실천신학회 2022 신학과 실천 Vol.- No.78

        이 논문은 인문학, 조직신학, 성서학 그리고 기독교영성학 간의 학제간 대화를 제 안한다. 필자는 르네 지라르(René Girard)의 전통적 모방욕망(mimetic desire) 이론의 한계를 언급하면서 수정된 르네 지라르의 이론으로 성경을 읽는 것이 어떻게 독자들 에게 영향(변화)을 줄 수 있는지 논하고 있다. 먼저, 필자는 조직신학 중 속죄론의 근 간을 이룬 안셀름(Anselm)의 만족설(The theory of Satisfaction)의 한계를 지적한다. 왜냐하면 안셀름의 만족설은 인간구원의 주도권을 사단에게서 하나님에게로 옮겨온 공헌은 있지만, 예수님의 죽음의 의미를 지라르가 언급한 모방폭력적, 희생양적 죽음 으로 왜곡시킨 비판을 피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지라르에게 영향을 받은 후속 학자들(지라리안 Girardian)은 안셀름의 이런 접근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며 안셀름이 하나님 의 공의와 만족에 집중한 나머지 예수님의 자발적 죽음의 참여를 간과했다고 주장한 다. 지라르의 연구는 인문학의 아이디어(인문학: 모방욕망 이론)로 성경(성서학: 누가 복음)을 볼 수 있도록 열어주는 소중한 도구가 된다. 그런데 필자는 한 걸음 더 나아가 지라르의 전통적 이론(모방폭력과 희생양 시스 템은 세례요한과 예수님처럼 무고한 희생양의 죽음이 있어야 하며 또한 이런 희생자 들의 죽음을 통해서만 더 이상 복수가 일어나지 않는다는 주장)에 문제를 제기한다. 물론 지라르의 이런 주장은 폭력과 증오의 사슬은 끊을 수 있겠지만 누군가의 피흘림 이 있어야 한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필자는 누가복음 24장의 예를 통해 성경의 내러 티브가 어떻게 피 흘림이 없이 모방폭력을 끊었는지를 보여주면서 지라르 이론을 보 완하고자 한다. 이것은 성서학을 넘어서 성경 내러티브를 통한 독자의 변화에 더 관 심을 갖는 영성학(성서영성학)의 가치라 하겠다. 필자는 이 소논문을 통해 누가복음 24장에 언급된 예수님의 내러티브가 어떻게 제자들이 모방폭력의 굴레 안에 있었는 지, 그리고 피 흘림 없이 모방욕망과 희생양 메커니즘의 저주를 끊어내었는지를 살펴 볼 것이다. 이런 연구를 통해 필자는 기독교영성학이 심리적, 내면적 영역이 아닌 관 계적, 사회적 영역까지 포괄할 수 있는 학문임을 보여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article shows how the study of René Girard can dialogue with the study of Humanities, Systematic Theology, Biblical Studies, and Christian Spirituality as an interdisciplinary study. First, I will argue the Anselm’s theory of Satisfaction under the lens of the Girard’s theory and criticize how the theory of Anselm distorts Jesus’ suffering and death. Girardians (Scholars of Girard’s study) such as Mark Heim and James Alison raise an issue that Anselm’s Satisfaction theory would lead the reader to a wrong way to understand Jesus’ cross as not a voluntarily death but a scapegoating death. A study of Girardian’s theory is a useful tool to communicate with among Humanities(Girard’s theory), Biblical Studies(Luke 24), and Systematic Theology(Anselm’s theory). Furthermore, I criticize that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 of Girard’s theory (The system of scapegoating mechanism can be broken through the death of innocent victim such as Jesus and John the Baptist who will not revenge to the attacker). Even though the system of the mechanism would be challenged through the death of the innocent victim, the innocent victim would have no choice but to bleed under the mimetic violence which Girard argues. It is a limitation of the traditional theory of Girard. Therefore, I will demonstrate that the narrative of Luke 24 will show how the narrative will help the disciples to be aware of the scapegoating system without bloodshedding and to transform themselves by going back to Jerusalem where the mimetic violence and the lynch system is filled with. This article will show what the Biblical Spirituality is, rather than what the Biblical Studies is based on the narrative of Jesus in Luke 24 which helps the disciples to avoid the cycle of mimetic violence and break the curse chain of scapegoating mechanism. This article will suggest that Christian Spirituality deals with not only about the psychological and inner part sphere, but also relative and social area.

      • KCI등재

        르네 지라르(Rene Girard)의 단일 희생양 구조(single victim mechanism)의 빛 아래서 고찰하는 한국 기독교 저널리즘의 명암과 앞으로의 방향성 연구

        박재은 ( Jaeeun Park ) 한국개혁신학회 2020 한국개혁신학 Vol.65 No.-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기독교 저널리즘이 현상적으로 가지고 있는 명암(明暗)의 이유를 프랑스 인류 철학자 르네 지라르(Rene Girard, 1923-2015)의 단일 희생자 구조(single victim mechanism)의 빛 아래서 분석하고 앞으로 한국의 기독교 저널리즘이 나아가야할 건설적인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작금의 한국 기독교 언론은 미메시스(mimesis) 모방 욕구를 통해 세속 언론의 가치를 모방하고 있으며, 이는 결국 언론의 폭력이라는 이름으로 기독교계에 전방위적으로 투사되고 있다는 사실이 지라르의 이론을 바탕으로 논증될 것이다. 사실 기독교 언론 속에 감추어진 이런 모방, 폭력, 희생자 구조는 타파되어야 할 성질의 것들이다. 모순과 역설로 가득찬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사건이 드러났을 때 비로소 구속의 역사가 열린 것처럼, 모방과 폭력과 희생양으로 가득 찬 한국 기독교 언론의 민낯이 드러날 때 비로소 시대의 등불로서의 기독교 저널리즘 본연의 가치를 되찾게 될 것이라는 사실이 본 연구를 통해 논증될 것이다. 연구의 순서는 (1) 한국 기독교 저널리즘의 명암과 상황적 현상을 분석한 후, (2) 이런 분석 내용을 지라르의 미메시스 모방 욕구, 폭력의 사이클, 단일 희생자 구조의 빛 아래서 살펴 본 다음, (3) 이를 토대로 건전하고 건설적인 기독교 언론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는 순서를 취할 것이다. 이를 통해 한국 기독교 저널리즘의 명암과 앞으로의 건설적인 방향성이 르네 지라르의 사상적 빛 아래서 모색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 phenomenical light and shadow of Korean Christian journalism and to present a constructive direction which Korean Christian journalism needs to step forward in the basis of Rene Girard’s single victim mechanism and its implication. This study, based on Girard’s theories such as a mimesis desire, disclosure of violence, and single victim mechanism, demonstrates that Korean Christian journalism imitates the secular value of non-Christian journalism and as a result, journalistic violence is projected to a single victim in all directions. The meaningfulness of Christ’s redemptive history, according to Girard, reveals when a contradiction or paradox of Christ’s cross and death are disclosed in detail. Just like this, when the phenomenical light and shadow of Korean Christian journalism, which is filled with a mimesis desire, violence, single victim, are fully revealed, the true meaning and value of Korean Christian journalism will appear. The study will process that (1) after examining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Christian journalism, (2) the situation will be analyzed in light of Girard’s theories. (3) After this, a constructive direction, which Korean Christian journalism needs to proceed, will be searched in the basis of the analysis.

      • KCI등재

        모방 욕망, 소수자 재생산과 그 극복의 동력 르네 지라르의 폭력 이론을 중심으로

        이찬수 ( Yi Chan Su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6 통일과 평화 Vol.8 No.2

        르네 지라르에 의하면, 인간은 `모방하는 인간(Homo Mimeticus)`이다. 모방의 근간은 타인과 같아지거나 그 이상이 되려는 욕망이다. 이 욕망은 멋진 식당에서 식사를 하는 어떤 `모델`(매개자)을 보면서, 과히 배고프지 않은데도 그 식당에 가고 싶다는 느낌이 들게 하거나, 실제로 가게 만드는 동력과 같다. 자본주의 사회도 자본 자체에 대한 욕망이 아닌, 자본의 소유자를 욕망의 대상으로 삼으면서 형성되고 증폭된다. 지라르에 의하면, 욕망의 주체와 대상 사이에는 매개자가 있다. 그래서 욕망은 늘 매개적 욕망이다. 이 논문에서는 지라르가 말하는 매개적 욕망 이론으로, 우리 사회에서 소수자가 여전히 존재할 뿐더러, 더 강력하게 재생산되고 있는 그 기초를 살펴보고자 한다. 소수자는 매개적 욕망이 중첩되어 형성되는 사회적 흐름에서 밀려났거나 주변부에 있는 부류다. 역으로 매개적 욕망의 시스템에 적응해온 주류는 그 시스템을 유지하고 강화시켜서, 그 시스템 속으로 들어오지 못할 소수자를 재생산시키는 데 일조한다. 이 논문에서는 인간의 매개적 욕망을 기반으로 하는 지라르의 사유체계의 핵심, 즉 `희생양 메카니즘`, `성스러운 폭력` 등의 개념을 정리하면서, 희생양 메커니즘이 자유 경쟁을 추동하는 신자유주의적 사회를 어떻게 고착화시키고, 폭력을 구조화시키는지 살펴볼 것이다. 그의 희생양 이론에서 종교적, 사회적 의미를 주로 찾던 기존의 연구 경향을 확장시켜, 오늘날 구조화된 폭력이 소수자를 낳고 배제시키는 논리의 근간을 먼저 살펴보고, 소수자를 사회적 희생물로서만이 아니라, 사회의 폭력적 구조 및 중심 권력의 실상을 드러내는 근간으로 읽도록 해줄 기초도 찾아볼 것이다. 이를 위해 아감벤, 스피박, 한병철 등의 입장을 보조적으로 살피면서, 복잡한 현대 사회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일정한 한계를 지니고 있는 지라르 폭력 이론의 아쉬운 점도 비판적으로 계승하고자 한다. 아울러 다소 기독교 편향적으로 전개되는 지라르 사상의 현주소에 대해서도 짚어볼 것이다. 이상의 정리를 토대로, 구조화하고 내면화한 폭력을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벤야민과 우치다 타츠루에게서 아이디어를 얻으면서 논문을 마무리하고자 한다. Rene Girard states that humans are Homo Mimeticus, which means humans imitate one another. The foundation of imitation stems from humans` desire to become equal to, or better than, one another. This desire is, for example, the same as someone`s impulse that could be strong enough to cause him/her to enter a restaurant when he/she witnesses `a model`(a mediation) eating inside the fine-dining, not necessarily because he/she is hungry. Capitalistic society is formed and grown not by the plain desire for capital, but by making whoever owns the capital as a target desire. Girard claims that a mediation exists between the subject and the target of desire. Thus desire is always mimetic. With regard to Girard`s Theory of Mimetic Desire, this paper will not only look into how the minority in our society still exists, but also review the basics that reproduces the minority even more powerfully. The minorities are the ones staying on the edges and the ones left out from the mainstream of society of overlapping mimetic desires. Inversely, the majority who have adapted to the system of mimetic desires keep and strengthen the system to reproductively block the minority from entering into the system. This paper will review the core of Girard`s thoughts based upon humans` mimetic desires, such as `the scapegoat mechanism` and `the sacred violence`, to examine how scapegoat mechanism solidifies neo-liberal society that stimulates free competition and structuralizes violence. Rather than viewing the minority as social victims, this paper will determine the logic which the structuralized violence could produce and exclude the minority, and come up with the basics that could be used to visualize society`s violent structures and the reality of the power-focused system. To do so, this paper will supportively incorporate Giorgio Agamben, Gayatri Chakravorty Spivak, and Han Byung-Chul`s ideas while critically adopting Girard`s theory of violence, which may be skewed toward the idea of Christianity to a certain extent. The paper will conclude by seeking possibility to overcome structuralized and internalized violence by getting some ideas from Walter Benjamin and Uchida Tatsuru.

      • KCI등재

        김현의 지라르 이론 수용과 폭력 비판

        한래희 ( Lae Hee Han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5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6

        본고는 1980년대 김현의 르네 지라르 이론 수용 양상을 살피고 이를 토대로 김현이 폭력의 문제에 접근하는 방식의 특징과 김현의 폭력 비판이 지닌 의미와 시사점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는 1980년대 말 김현의 글에서 빈번하게 발견되는 죽음의 이미지와 모순어법이 김현 폭력 비판의 필연적 귀결이라는 문제의식을 토대로 이의 귀명을 위해 김현의 지라르 이론수용에 나타난 특징은 무엇인가, 김현의 폭력 비판은 어떠한 양상으로 전개되는가 김현의 폭력 비판이 모순어법의 세계로 귀결된 이유는 무엇인가라는 의문을 중심으로 분석을 전개하였다. 2장에서는 욕망의 성격, 폭력에 대한 가치판단, 폭력을 제거하는 방법의 세 가지 점을 중심으로 지라르 이론 수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우선 지라르의 경우 인간의 욕망은 모두 모방욕망이고 모방욕망으로 야기된 갈등의 해결이 주요한 과제로 등장한다. 이에 비해 김현에게는 모방욕망보다 제어 불가능한 과잉의 방식으로 존재하는 ``욕망의 욕망``이 폭력의 근원이라는 점이 중요하다. 다음으로 지라르는 ``좋은`` 폭력과 ``나쁜`` 폭력의 구분을 통해 전자를 통한 후자의 극복을 통해 질서의 성립을 설명하지만 김현은 억압적 기성문화에 대해 폭력으로 대응하는 대항문화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질서 정립적 폭력뿐만 아니라 저항의 방법으로서의 폭력 역시 거부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폭력을 제거하거나 줄이는 방법에서도 차이를 보이는데 지라르는 희생제의라는 만장일치적 폭력에 의해 폭력의 악순환을 극복할 수 있다고 보는 반면 김현은 자신의 폭력성에 대한 자기성찰과 사랑의 윤리를 통한 폭력 감싸기를 대안으로 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3장에서는 김현의 폭력 비판이 그의 실제 비평에서 어떤 방식으로 전개되는가에 대해 탐구하였다. 김현은 「증오와 폭력」이라는 글에서 일인에 대한 만인의 폭력이 나타나는 양상을 분석하는데 여기서 그는 지라르와는 달리 모방욕망이 아니라 개인의 이기적 욕망이 폭력의 뿌리라는 점을 강조한다. 이에 따라 폭력의 극복 방안 또한 자신의 이기성을 감추려는 위선적 태도에 대한 자기감시와 욕망의 폭력성에 대한 성찰이 제시된다. 이와 더불어 「폭력과 왜곡」이란 글의 분석을 통해 김현의 폭력 비판이 지닌 특정과 그가 처하게 된 딜레마를 살펴보았다. 김현의 관점에 따르면 욕망은 억압의 기원이자 억압을 부정할 수 있는 기제라는 양면성을 지니고 폭력적 세계와 유토피아적 세계의 공통의 뿌리가 된다. 그러나 욕망을 유토피아 세계의 근원으로 간주할 경우 유토피아는 폭력과 억압이 사라진 완전한 세계일 수 없게 된다. 김현에게 욕망은 언제나 과잉의 형태로 존재하는 무조건적 만족추구의 충동이고 이것이 유토피아의 기원이라면 유토피아의 세계 또한 욕망의 영향력에서 벗어날 수 없다. 욕망의 양면성으로 인해 유토피아에 대한 갈망은 갈등이 사라진 상태에 안주하고자 하는 욕망으로 뒤바뀔 수도 있다. 위의 논의를 토대로 4장은 김현의 폭력 비판이 모순어법으로 귀결될 이유와 그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1980년대 김현은 평생에 걸쳐 옹호한 ``개인``을 구성하는 핵심적 요소로서의 ``욕망``을 포기하지 않으면서 ``자유``의 이름으로 폭력을 비판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일까라는 물음과 대면한다. 광주에서의 폭력이란 극악무도한 범죄 앞에서 인간이 취할 수 있는 태도를 복수와 용서, 원한과 망각이라고 할 때 원한을 해소하기 위한 복수는 불가능하고 종교적 관점에 기반 한 용서는 더더욱 생각할 수 없는 상황에서 저항의 주체가 택할 수 있는 길은 망각의 거부밖에는 없다. 그러나 그를 둘러싸고 있는 현실은 죽음이고 부끄러움에서 나온 자기부정의 유혹이다. 이런 상황에서 죽음은 구원이자 태어남이라는 모순어법의 세계는 허무주의나 자기부정의 유혹을 극복하고 문학인으로서의 책임을 포기하지 않을 수 있는 방법으로 등장한다. 즉 유토피아를 향한 욕망이 억압으로 변질되는 것을 피하면서, 그리고 부재로서의 유토피아 혹은 억압 없는 자유를 향한 추구가 실패 할 운명이라는 점에 좌절하지 않으면서 문학적 실천을 지속할 수 있는 방법이 모순어법의 세계라 할 수 있다. 고통이 각인된 몸의 기억은 그러한 모순어법의 세계를 지탱한 동력을 제공한다. 결론적으로 본고에서는 욕망 분석을 통해 폭력 비판을 수행하려고 했던 김현이 결국 모순어법의 세계와 몸의 기억에 호소할 수밖에 없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폭력에 대한 긴 탐색을 통해 그가 자신의 궁극적 지향점이라 할 수 있는 자유란 것이 불가능하고 실현되어서는 안되지만 포기할 수도 없는 역설적 상태라는 인식을 갖게 되었음을 보았다. 1980년대 김현이 보여준 폭력 비판은 욕망의 탐색을 통해 개인의 자유를 추구하려 했던 자유주의의 가능성과 이런 식의 자유주의가 감당할 수 밖에 없는 역설을 동시에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This thesis is to discuss how critic Kim Hyun accept Rene Girard and the meaning of criticism of violence in Kim Hyun``s writing. The following three question is main issue of this thesis: What is the characteristic of Kim Hyun``s acceptance of R. Girard``s theory? What is the main point of Kim Hyun``s criticism of violence? what``s the reason Kim Hyun``s criticism of violence concluded in oxymoron? In chapter 2, the characteristic of desire, value judgement fof violence, the method of eliminating violence is the three point of studying how Kim Hyun accepts R. Girard``s theory. R. Girard thinks that desire is imitative, and desire of imitation is the cause of conflict and disorder. In contrast, Kim Hyun thinks that desire is innate, and desire of desire is the root of violence. R. Girard distinguish good violence and bad violence, and believe that the former can overcome the latter. However, Kim Hyun deny all kinds of violence. R. Girard thinks that sacrifice rites is the remedy for vicious cycle of violence, but Kim Hyun believes that introspection of our violent nature and ethics like love is the way to overcome violence. In chapter 3, the main issue is that how Kim Hyun``s criticism of violence has been developed. In ``Hatred and Violence``, Kim Hyun emphasizes that egoistic desire, not desire of imitation, is the cause of violence by analyzing some novels and myths. The article ``Violence and distortion`` show the characteristic and dilemma of Kim Hyun``s criticism of violence. Desire has duplicity ; the cause of repression and the mechanism of denying suppression. repressive reality and utopia has same root, that is, desire. If we consider desire as the cause of utopia, we can``t help reach that conclusion that utopia can never be the world without repression, because utopia can``t escape the power of violent desire. Kim Hyun``s criticism of violence becomes the fight for desire of agreement or complacency, but this fight is destined to lose and fall into temptation of self-denial. In chapter 4, the main topic is to discover why Kim Hyun can``t help resort to oxymoron and the memory of body. Revenge, forgiveness, resentment, and oblivion is the four attitude man can take in front of brutal violence and death. Denial of oblivion is the only option. However, all he can find in his reality is death and nihilism. The oxymoron can be efficient alternative in this difficult situation. That paradoxical idea that death is life could be a method to overcome nihilism and to give literary person power to continue his wiring. The suffering imprinted in body could power to maintain the world oxymoron. Desire is the cause of violence in Kim Hyun``s thinking. Kim Hyun don``t give up the belief in desire``s power to deny the repressive reality, but desire can be the obstacle to free world. Kim Hyun``s criticism of violence shows the possibility and paradox that liberalism could encounter.

      • KCI등재후보

        ‘군중은 비진리다’: 르네 지라르와 키에르케고어 그리고 무신론적 신존주 의 철학에 대한 비판적 성찰

        정일권(Chung Ilkwaen) 한국기독교철학회 2020 기독교철학 Vol.30 No.-

        이 논문은 “군중은 비진리다”라고 주장한 실존주의 철학의 아버지 키에르케고어의 기독교 실존주의 철학과 그 이후의 독일 하이데거와 프랑스의 샤르트르와 시몬 드 보부아르에게서 발견되는 무신론적이고 신이교주의적인 실존주의 철학의 차이를 이해하려고 한다. 이러한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우선 ‘군중은 비진리다’라는 화두로 키에르케고어와 르네 지라르 사유의 유사성을 비교연구한 이후, 니체와 하이데거 등에 대한 지라르의 연구에 기초해서 무신론적 실존주의 철학에 대해서 비판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니체와 하이데거의 철학을 허무주의적 실존주의로 파악해서 현대의 새로운 영지주의로 분석한 한스 요나스의 연구도 이 비판적 성찰을 위해서 소개될 것이다. 키에르케고어가 말한 신 앞에서의 단독자와 니체와 하이데거가 자신들의 디오니소스적 메시야주의 속에서 선택한 군중의 신 디오니소스는 대조된다. 키에르케고어는 ‘신 앞에서 선 단독자’ 개념을 통해서 군중은 비진리라고 주장한다. 키에르케고어에게 있어 기독교는 개인이고, 여기에 있는 단독자이다.” 하지만 키에르케고어 이후의 실존주의 철학은 집단주의로서의 사회주의적 실존주의로 기울게 된다. 키에르케고어의 경우처럼 하나님 앞에서의 단독자가 실존주의 철학의 중심이 아니라, 니체와 하이데거의 허무주의적 실존주의 철학에서는 군중의 신인 디오니소스가 중심에 자리잡게 된다. 키에르케고어와 칼 야스퍼스와 같이 실존주의 철학을 기독교적인 사유 틀 안에서 전개한 철학자들과는 달리 독일의 마틴 하이데거와 그 이후의 프랑스의 사르트르와 시몬 드 보부아르와 같은 반항적이고 무신론적 실존주의 철학자들이 좌우 사회주의 사상으로 기울어진 것을 철학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하이데거의 실존주의 철학에는 기독교적 실존주의 철학을 대변했던 키에르케고어와는 달리 허무주의적, 사회주의적, 영지주의적 그리고 신이교적 차원이 존재함을 소개할 것이다. 우선 르네 지라르에 대한 짧은 학문적 소개와 함께 그의 프랑스 미학적 실존주의에 대한 비판적 입장부터 논하고자 한다. This paper provides critical reflection of the socialist and gnostic dimension of nihilistic existentialism of Nietzsche and Heidegger. For Kierkegaard and Girard, The Crowd Is Untruth. For Girard, Dionysos is crowd and mob. For Kierkegaard, Christianity is a matter of the single individual s unique relation to Christ. In The Single Individual he repeatedly asserts that the crowd is untruth . He begins with the subject of politics. This is especially significant because politics emphasizes the whole, while Christianity, as proffered by Kierkegaard, emphasizes the individual before God. Rene Girard s concept that human psychology begins with a sense of lack or personal deficiency is compared with Kierkegaard s notion of the incompleteness of the self. Mimetic desire, as it is described by Girard, is a phenomenon that Kierkegaard was keenly aware of. Both authors show that mimetic desire leads to a situation captured by the phrase ”the crowd is untruth.” The synthesis of Kierkegaard and Girard produces a very powerful Christian interpretation of the psychology of violence. Kierkegaard s phrase the crowd is untruth perfectly summarizes Girard s social theory. This paper also examines critically the so-called dionysian dimension of nihilistic existentialism of Nietzche and Heidegger. The most prominent and comprehensive critic of philosophical postmodernism is Jürgen Habermas. In The Philosophical Discourse of Modernity , he criticizes Nietzsche s Dionysianism as a compensatory gesture toward the loss of unity in Western culture that, in pre-modern times, was provided by religion. Nietzsche s sense of a new Dionysus in modern art, moreover, is based upon an aesthetic modernism in which art acquires its experimental power by separating itself from the values of science and morality, a separation accomplished by the modern Enlightenment, resulting in the loss of organic unity Nietzsche seeks to restore via art itself. Habermas sees Heidegger and Derrida as heirs to this “Dionysian messianism.” René Girard is an anthropologist, who has proposed an original hypothesis about the scapegoat mechanism and the relation between violence and religion. Girard approaches the work of F. Nietzsche showing the two faces he finds out in the thinker: his intuition about the hidden truth of violence; and his rejection of this truth, to return to the violent origins of culture. Nietzsche sees Dionysus as the opposite of the mob, the individual, whereas it is obvious from Euripides and from everything we know, and the most elementary common sense, that Dionysus is the mob, is that mania, that homicidal fury of the lynch mob that the tragedy portrays.

      • KCI등재

        < 별에서 온 그대 >(My Love from the Star)에 나타난 욕망의 형이상학 -르네 지라르(Rene Girard)의 욕망이론을 중심으로

        김모세 ( Mo-se Kim ),서종석 ( Jong-seok Soh ) 한국기호학회 2016 기호학연구 Vol.46 No.-

        본 연구의 목적은 욕망의 담론을 타자와 공동체의 관계 속에서 분석했던 르네 지라르의 이론을 토대로 드라마 < 별에서 온 그대 >를 분석하는 데 있다. 아울러 우리는 이드라마의 표층적 이야기 이면에 흐르고 있는 메타 담론을 살펴보고, 자본주의적 욕망의 여러 현상과 문제들, 그리고 그 욕망의 장이 되는 공동체의 문제와 그 본질적 해결책도 함께 논의한다. < 별그대 > 속 인물들은 겉으로 보이는 나와 벌거벗은 존재로서의 나 사이에서 갈등한다. 이처럼 이중적이고 서로 만날 수 없을 것 같은 두 가지 지향점이 공존하는 것이 < 별그대 >의 중요한 매력이다. 다시 말해 이 드라마는 현실의 시간(크로노스)과 내면의시간(카이로스)을 적절히 오가며 현대인의 내적갈등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 별그대 >에서 중요한 것은 바로 이 ‘카이로스’의 시간, 사물과 존재의 본질이 드러나는 시간이다. 천송이나 도민준이 서로 다양한 시간을 살아오면서 만들어낸 역사의 조각들이 한 순간 완벽하게 결합되는 시간, 파편화된 현대인의 생활 속에서 삶의 의미가 하나로 조합되는 시간, 그 ‘카이로스’의 시간을 추구하는 것이 < 별그대 >의 중요한 의미작용이다. < 별그대 >에는 욕망의 주체와 대상을 초월하는 차원, 르네 지라르가 말한 ‘모방욕망’을 초월하는 차원의 담론이 존재한다. 겉으로 드러나는 스토리라인 이면에 흐르고 있는 또 하나의 메타스토리가 존재하는 것이다. 초월적 메타스토리가 눈에 보이는 모든관계의 갈등과 존재의 고독을 부드럽게 감싸고 있다. 이 지점에서 드라마는 마치 성서속 이야기와도 같은 아가페적 사랑이라는 주제와 만나며, 이것이 바로 우리가 본 논문의 결론을 대신하여 제시하고자 하는 드라마 속 궁극적인 메타담론의 모습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rama My Love from the Star based on the theory of mimetic desire by Rene Girard. Specifically, the desire of possession within relationships in a socio-philosophical way. In addition, the metadiscourse behind the superficial story of the drama will be considered. The various phenomena and problems associated with capitalist desire and its problems within a community, the field of this desire and its fundamental solutions will also be discussed. The characters in this drama have a conflict between the self shown to others and the self as a naked existence. This type of coexistence of dual objectives, revolving around the potential that the two could not meet, is the direct appeal. In other words, this drama reveals inner conflict ion of modern people by alternating between the time of reality(Cronus) and that of inner healing(Kairos). The important aspect in the drama is ‘Kairos time’, i.e. the time where the true nature of objects and existence are revealed. An other signification of the drama includes the pursuit of ‘Kairos time’ : the moment where the past lives of Cheon Song-i and Do Min-jun are perfectly combined ; the time where the meaning of life is incorporated within the fragmented daily lives of modern people. My Love from the Star contains a discourse beyond the subject and the object of desire, rising above the level of ‘mimetic desire’ said by Rene Girard. Aside from the obvious storyline, there flows another hidden meta-story. The transcending meta-story tenderly wraps the conflicts of visible and non-visible relationships as well as the loneliness of existence. At this point the drama meets the subject of ‘Agape love’, as in the Bible, the ultimate aspect of metadiscourse in the drama that we intend to propose as the conclusion of this thesis.

      • KCI등재

        모세적 구별과 희생양

        이관표(Kan Pyo Lee)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8 선교와 신학 Vol.45 No.-

        본 연구는 유대-기독교적 유일신교에 대한 현대의 종교사학적 분석과 그것에 대한 비판을 살펴보고, 그럼으로써 이러한 논의들이 발생할 수밖에 없었던 기본적인 상황들을 찾아보고자 한다. 특별히 여기서 언급하는 현대 종교사학적 분석과 그것에 대한 비판은 크게 기억사를 통해 유일신론을 비판하는 얀 아스만의 논의와 희생양 개념을 통해 다신론을 비판하는 르네 지라르 사이를 대립시키는 시도이다. 모세의 유일신론, 즉 모세적 구별이 발생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다신교적 문화 안에 존립해있던 폭력적인 시스템을 극복하려는 노력 때문이었다. 그 극복의 주체는 고대 역사로부터 희생양으로 고통을 당해야만 했던 히브리인들이었으며, 이 희생양들을 폭력적 시스템으로부터 구원한 자는 바로 모세 유일신교의 하나님 야웨이다. 그럼으로써 이제 우리가 분명하게 인식하게 된 것은 히브리인들의 유일신론과 그것의 강력한 실천이 희생양의 고통스런 운명을 극복하려는 자기 각성으로부터 출발했다는 사실이었다. 자기 각성을 통해 히브리인들은 다신교적 희생양 시스템을 벗어날 수 있었던 출애굽사건을 자신들의 정체성으로 삼았으며, 그 위에서 독특한 이스라엘만의 종교, 정치, 문화를 발전시켜 오게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