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라쿠(Raku)소성 데이터 조성의 표준화를 위한 방안 연구

        김 진경,오창윤 한국도자학회 2017 한국도자학연구 Vol.1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ze RaKu firing, which is understood as improvisation in ceramic works with find standardization method of Raku in the future by drawing uniform results. The term RaKu (樂燒) refers to a firing method originating in Japan. It is also known as Rakuaki, which means firing by employing the RaKu method. According to the RaKu method, a vessel is glazed, then put in a kiln, fired at 900℃-1100℃, immediately taken out from the kiln, and quickly cooled down through a process using sawdust and paper. As the origin of the name suggests, a potter’s impromptu action is very important in RaKu. This is because of the randomness found in impromptu actions, such as throwing the vessel in sawdust during the firing process, creates new different works. Even so, should we solely depend on randomness during the process? Do we have no choice but to adhere to the previous studies and be satisfied with the given outcomes? Can we calculate data instead of depending on randomness? The reseacher believes that regarding novelty starts from criticizing the trival points and in order to show the possibility,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such a triviality. Thus, the study suggests systematic standard data by conducting experiments on firing with the same conditions, instead of depending on the traditional RaKu firing’s properties of being impromptu. Also, the study proves is presented by progressing the researcher's work on whether the data of Raku can be standardized. The experiment to form the standard data was conducted as follows: to combine different clay (rough Sancheong clay, Buncheong clay) in individual ratio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pottery mainly consisting of three-dimensional works and board works; and to produce two kinds of samples, a board type and a three-dimensional type. Firing experiments were conducted five times at 870℃, 900℃, 930℃, 950℃, and 970℃. By distinguishing the locations (upper, lower) in the kiln, differences upon location were identified. Also, four kinds of glaze—basic white, white crackle, bronze matte, ambyeok —and two methods of glazing—dipping, brushing—were adopted and changes were observed. After analysis was carried out on the results, the standard data for RaKu firing were drawn and organized by examining the melting status of glazes and colors according to firing temperatures. The results of the five experiments suggested that at 950℃, the quality of sample colors and fusibility were the highest, and the lower location rather than the upper showed better result `1s. These are the effects brought about by different temperatures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kiln and different melting points according to glazes. Although the firing status can influence the firing results, based on glazes used in this study, it was concluded that the best quality of colors and fusibility was produced at 950℃. Whether the RaKu firing standard data, drawn from the experiments, can be applicable as real data or not was proved by firing the researcher’s own works. The outcome of this study is to show possibilities for new expression on ceramics by forming the standard data of RaKu firing, which is considered impromptu and random. 본 연구는 도예작업에서 즉흥성으로 이해되고 있는 라쿠(RaKu)소성을 데이터로 체계화시켜적용함으로서 향후, 도예작업에서 균일한 결과물을 도출하고 라쿠(RaKu)소성의 표준화 방안을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라쿠(RAKU,樂燒)는 일본에서 유래된 소성방법으로 라쿠기법을 이용한 소성이란 뜻의‘라쿠야키’(Rakuyaki,樂燒)로 많이 알려져 있다. 시유한 기물을 가마에 넣어 900-1100℃사이에서소성하다가 즉시 기물을 꺼내 톱밥, 신문 등의 작용과정을 거쳐 빨리 식히는 방법을 말한다. 라쿠의 어원에서 알 수 있듯이 소성자의 즉흥적 행위는 라쿠소성에서 매우 중요시된다. 소성과정에서 톱밥에 던져 넣을 때도 즉흥적 행위에서 발견된 수많은 우연들이 새로운 작품들을탄생시켜 왔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우리는 우연성에만 기대어 작업을 진행해야 하는가! 그 동안의 연구물이 그러했다고 인정하고 흐르는 대로, 나오는 대로 결과에 만족해야 하는가! 우연이 아닌 계산되어지면안 되는 것인가! 연구자는 새로움이란 늘 사소한 비판에서 출발하는 것이라 보고 그 가능성을보여주고자 이와 같은 사소함에서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라쿠소성의 즉흥성이 아닌 동일한 실험 조건으로 소성실험을 진행하여 체계적인 표준데이터를 제시하였다. 또한 도출한 라쿠 소성 데이터가 실제 표준화가 가능한지 연구자의 작품 소성을 진행함으로써 증명하여 제시하였다. 표준 데이터 조성 실험은 입체작업과 판 작업이 주를 이루고 있는 도예작업의 특성을 반영하여 독립적인 비율의 소지(거친 산청토, 분청토)를 조합하고 판형과 입체형 두 가지 종류의시편을 제작하였다. 소성실험은 총 5회로 870℃, 900℃, 930℃, 950℃, 970℃의 온도이며, 가마안에서 재임위치(위층, 아래층)를 구분하여 위치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연구자가 사용하는 4가지 유약(흰색기본유, 흰색균열유, 동매트유, 암벽유)을 2가지 시유법인 담금 시유법과 붓 시유법으로 시유하여 변화를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를 정리·분석하고 소성 온도에 따른 유약의 용융상태와 색채특성을 분석하여 라쿠소성 표준데이터를 도출하고 정리하였다. 5번의 소성실험결과, 시편 색감과 용융도가 가장 좋은 소성은 950℃온도에서의 소성이었고재임 위치는 위에 재임한 것 보다 아래에 재임한 시편에서 좋은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가마상황(화구에 인접)에 따라 나타나는 온도차에 의한 결과이며, 유약별로 용융점이 조금씩 다른이유 때문이다. 소성상황과 환경이 소성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겠으나 본 실험에서 사용한 유약을 기준으로 최적의 색감과 용융도를 보인 소성은 950℃의 온도가 적당하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또한 실험에서 도출한 라쿠 소성 표준 데이터가 실제 테이터로 표준화가 가능한지 연구자의 작품 소성을 진행함으로써 증명하여 제시하였다. 즉흥성과 우연성으로 이해되는 라쿠 소성에서 표준데이터 조성으로 도자 표현에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일본 라쿠고(落語),만자이(漫才)를 통해 본 우리나라 만담의 향후 과제

        이상우 ( Sang Woo Lee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5 인문사회 21 Vol.6 No.4

        본 고의 목적은 일본의 전통 이야기문화인 ‘라쿠고’와 만자이’의 역사와 공연 현황을 살펴 우리나라 만담의 향후 과제를 모색하려는 데 있다. 한·중·일은 웃음과 관련한 공통의 이야기문화가 있다. 그러나 끊임없는 혁신으로 현대적 전승에 성공한 일본과 달리 우리나라 만담의 초라한 현실은 그 발전적 과제를 고민하게 했다. 일본은 전통 이야기문화인 라쿠고와 만자이는 끊임없는 노력과 마케팅으로 뚜렷한 색깔을 보이며 비디오시대에 확실한 마니아층을 확보하는 데 성공하였다. 반면 우리 만담은 고대로부터 이어지는 이야기문화의 역사와 전통에도 불구하고 현재는 공연예술적으로나, 학문적으로나 그 존재감이 뚜렷하지 못하다. 이렇게 우리 만담의 존재가 희미해진 이유는, 우선 청각적 언어에서 시각 언어로 소통의 수단이 변하는 시대적 흐름에서 오디오를 기반으로 할 수밖에 없어 비쥬얼에 대해 불가항력적 측면이 강했다. 또한 소재와 형식의 진부함을 벗어나지 못했으며 ‘젊음의 웃음코드’를 따라잡지 못해 젊은 세대를 흡수하지 못했다. 마지막으로 재담과 만담의 연관성을 단절시켜 전통문화로서 만담을 보지 않았다. 그렇다면 이제는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첫째, 공연 예술적 혁신과 차별화 전략을 강조한 창조적 발상을 모색해야 한다. 둘째, 만담이 ‘서울의 전통 이야기문화’라는 자기정체성을 확고히 하는 브랜드 가치를 회복하려는 노력을 끊임없이 해야 한다. 셋째, 국가의 전폭적인 지원이다. 넷째, 만담 전용극장과 교육기관의 설립이다. 이같은 연구 결과로부터 우리나라 만담도 새 시대에 맞는 새로운 전략과 국가적 지원 그리고 우리 고유의 장점을 살린 레퍼토리를 개발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국 우리 만담이 한국을 대표하는 문화상품이 될 수 있는 것은 언제 그 자생력을 갖출 수 있느냐에 달려있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look at the history and performance status of traditional talk show culture of Japan ‘rakugo’ and ‘manjai’ is used to explore the future challenges of korean Mandam, South Korea, China and Japan have a common culture related to stories and humor. However, successful modern tradition with constant innovation in Japan, unlike the shabby reality of our Mandam had to worrythat developmental challenges. Rakugo and manjayi, Japan’s traditional talk show culture was successful in securing a solid maniahcheung with unremitting efforts and marketing in video era. While our Mandam is not clear that this presence in performing artistic or academically, despite the history and tradition of the lead story-telling culture from ancient. This is why there has blurred our Mandam. First, Audio for the visual had overwhelming aspect in contemporary flow, means of communication changes in visual language from the auditory language. Also, never leave the banality of the material and form, it did not absorb the young generation can not keep up with the Code of youthful laughter. Finally, We didn’t see the Mandam as a traditional culture cause we black out the link between Jaidam and Mandam. If so, will we do now. First, It should explore creative ideas artistic performances highlighting the innovation and differentiation strategy. Second, It should continue its efforts to restore the brand to consolidate the self-identity of traditional story-telling culture of Seoul. Third, government had to service the full support. Fourth, the establishment of Mandam private theater and a institution. Results from these studies, I recognized that our Mandam should have a new strategies and national support and our unique repertoire that take advantage should spur the development for the new era. After all, our Mandam can be a cultural products representing Korea because it depends on whether and when equip its viability.

      • KCI등재

        라쿠고(落語)의 한국문단 유입과 변용과정 연구 - 윤백남 작 두 개의 「몽금(夢金)」을 중심으로 -

        노혜경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4 일본학연구 Vol.43 No.-

        This paper studied a special case that Rakugo 「Sibahama」 was adapted to Korea by Baeknam Yun in Japanese colonial era and accepted in two different forms, a short story 「Monggeum」 and a historical romance 『Monggeum』. When comparing between Rakugo 「Sibahama」 and a short story 「Monggeum」, a significant difference is that the subject has been changed through character modeling and changes in temporal background. 「Sibahama」 is Ninjyobanasi(人情噺) that shows conjugal affection after coming over family crisis by a wise wife’s wit and it tries to impress the audience. Ninjyobanasi 「Sibahama」 is reborn to a short story 「Monggeum」 with lessons which emphasize the virtues of thrift and hard work through adaptation process. In a historical romance 『Monggeum』, influence of Rakugo when it comes to contents and techniques can be found.

      • KCI등재

        제국 텍스트의 번안과 계몽의 식민성

        김주리(Kim Jue-lee) 한국현대문학회 2011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5

        본고에서는 일본 고전 라쿠고(落語) 텍스트 가운데 하나인 「시바하마(芝浜)」를 번안한 안국선의 「인력거꾼」과 윤백남의 「몽금」을 대상으로 '제국의 원전 공연물'이 '식민지의 번안 기록물'로 각색되는 과정에서 생겨나는 변화와 그 의미에 대해 분석하려 한다. 세 텍스트는 가난한 노동자와 그의 아내, 음주와 나태에 대한 경계, 갑작스런 행운을 둘러싼 소동, 주인공의 개심과 성공이라는 이야기구조를 공유한다. 하지만 제국의 연행 텍스트를 식민지의 기록 텍스트로 번안 각색하는 과정에서 「몽금」과 「인력거꾼」은 원전의 해학적인 분위기를 일정한 정도로 비극적이거나 엄숙한 분위기로 바꾸고 있다. 그들은 가난한 노동자의 우연한 행운을 노동에 입각한 자산 획득의 과정에 편입시킴으로써 교훈적이고 계몽적인 깨우침을 주는 데 치중하고 있다. 생계조차 힘든 상황을 타개하는 과정에서 「시바하마」는 성실의 가치와 함께 장사꾼으로서의 수완을 강조한다. 전반부의 비극성과 후반부의 해학성으로 구성되는 「몽금」에서는 상황 타계과정에서 구체적인 해법을 제시하지 않고 생선장수에서 3년 만에 유기전 주인으로 급격하게 변신하는 비현실적 결말을 제시한다. 결말에서 가정의 화락함을 강조하는 두 텍스트와 달리 「인력거꾼」에서는 금주와 성실을 지켜가는 남편의 모습을 강조한다. 양반 출신으로 자본가로 전신하기보다 육체노동자 되기를 고집하는 피식민인의 모습을 보여주는 「인력거꾼」은 제국의 서민 공연물을 식민지의 계몽적 읽을거리로 번안하는 과정에 개입하는 식민성의 문제를 환기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nges from an Imperial original play to a Colonial adaptational document and the meaning about Japanese Rakugo text Sibahama and two adaptation texts of it, An, Guk-seon's A rickshaw man and Yun, Baek-nam's Gold in a dream. These three texts own the same story factor like a pool laborer and his wife, warning of drinking and laziness, happening of a chance good luck, the hero's reform and success etc.. But in the courses of adaptation from an Imperial play text to a Colonial document text, Gold in a dream and A rickshaw man has changed comic mood that the original text has to tragic or solemn mood in some degree. They attach importance to giving moral and enlightening instructions with emphasizing not a chance good luck but legal course of having fortunes. In the courses of having fortunes, Sibahama emphasizes both the value of sincerity and a trader's ability. Otherwise, Gold in a dream composed the tragic factor at the first half and the comic factor at the second half, it does not show definite courses of change and so presents the end lacks reality, that the hero had succeeded suddenly. Apart from other two texts that emphasize the peace of a home at the end, A rickshaw man emphasizes the hero's sincere and non drinking pose at the end. This work shows a colonial man who sticked to not become a bourgeois but stay a laborer and so it awakes the problem of colonialism in the courses of adaptation from an Imperial common play to a Colonial enlightening document.

      • KCI등재

        『일선골계화(日鮮滑稽話)』연구 – 원전의 발굴 소개와 변용(變容)의 의미 탐구–

        노혜경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5 東洋學 Vol.61 No.-

        This research newly discovered Ilseoneo(日鮮語) novel Ilseon-golgyehwa(「Seungjumundap」), determined the original text was Japanese Lakugo 「Gonyakmundap」, and considered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the work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Gonyakmundap」 and 「Seungjumundap」. Ilseoneo novel was a special type novel that existed only during the colonial era, the biggest characteristic thereof was to write the same sentence in Cheosun language and Japanese language in parallel. 「Seungjumundap」 was based on the basic story of the original work 「Gonyakmundap」, however it showed difference in composition, content, and the basis of work, etc. While going through the translation process, 「Seungjumundap」 was weakened with its characteristic as narrate art, which prepared a shape close to a novel on the whole. In the aspect of content, while the humor of the original text was largely deleted, however it was changed to somewhat educational work by adding the content that emphasizes repaying grace. Such change of work is closely related to the unique record method and system of the book, work 「Seungjumundap」, which was Japanese-Korean version. Notes of 「Seungjumundap」 show various aspects as the explanation of sentence sign, etc. including detailed explanation on Japanese expression and terms. Also, regarding the aspect of writing, it translated into two ways of more natural expressions along with direct translation on the same Japanese expression, etc. which was the attempt to consider the linguistic educational effect. Based on the analysis of these characteristics, this research could determine that 「Seungjumundap」 was translated and adapted focusing on Japanese language education. This research could verify the necessity of multiple views considering the educational aspect besides literary history context, in order to exactly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 and the essence of Ilseoneo novel. 본 논문에서는 일선어소설 계열인 일선골계화(「승주문답」)를 새로 발굴하여 그 원전이 일본의 라쿠고 「곤약문답」이라는 것을 밝히고, 「곤약문답」과 「승주문답」의 비교를 통해 작품의 가치와 의미를 고찰하였다. 일선어소설은 식민지 시기에만 존재하던 특수한 형태의 소설로 동일한 문장을 조선어와 일본어로 병기한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승주문답」은 원작 「곤약문답」의 기본 줄거리를 골자로 하면서도 구성, 내용 및 작품의 기조(基調) 등에 있어서 차이를 보인다. 번역 과정을 거치면서 「승주문답」은 구연 예능으로서의 특징이 약화되고 전체적으로 보면 소설에 가까운 형태를 갖추게 된다. 내용면에서는 원작의 유머가 대폭 삭제된 반면 보은(報恩)을 강조하는내용이 추가됨으로써 다소 교육적인 작품으로 변모하였다. 이러한 작품의 변모는 일한대역이라는 「승주문답」의 독특한 표기방식 및 책의 체제(體裁)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승주문답」의 주석은 일본어 표현 및 용어에 대한 자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문장 부호에 관한 설명등 다양한 양상을 보여준다. 또한 표기면에서도 하나의 일본어 표현을 직역과 보다 자연스러운 표현 두 가지로 번역해 놓는 등 언어 교육적 효과를 고려한 시도를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특징들의 분석을 통해「승주문답」이 일본어 교육에 중점을 두고 번역, 번안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선어소설의 특성 및 본질을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문학사적인 맥락뿐만 아니라 교육적 측면을 고려한 다중적인 시각이 필요함을본 연구를 통해서 검증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판소리와 라쿠고(落語)의 인명(人名) 열거 방법 한일 비교

        금영진 ( Keum Young-jin ) 한국일어일문학회 2023 日語日文學硏究 Vol.124 No.0

        本稿では韓国のパンソリと日本の落語に見られる人名尽くしを中心に、両国の口演芸能における人名列挙の方法の特徴を検討してみた。まず、パンソリでは字尽くしや物尽くしが複合的に利用された人名列挙とともに、名前の対の構造ならびに分節的な連結性が見受けられる。すなわち、挙げられた人物同士の序列関係とか優劣、その人物たちの生きた時代の先後関係が列挙の順番に何らかの影響を及ぼすことももちろんあるが、そのような条件に関わらない分節的な構造の中で人名と人名との対が見られるのである。そしてこれは中国の漢詩などに見受けられる方法とも類似するものである。 一方、落語ではまるで尻取り遊びのように全体的な連結性を常に念頭に置きながら同音を意識した言語遊戯が名前と名前とを繋ぐ方法として発達しており、冒頭に出た名前にまた戻るという循環性の構造が見受けられる。そしてこれは落語の結末に最初に出た内容を落ちとしてもう一度出してまとめるという落語ならではの特異性に起因するものともいえる。そしてこうした全体的な連結性および音楽の音階のような乗降の循環性は日本で特に発達した連歌などに見る典型的な方法とも似ていると言えよう。 This paper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thod of enumerating people’s names in Korean Pansori(판소리) and Japanese Rakugo(落語). First, the symmetrical structure and segmental connectivity between names can be seen in the method of enumerating names in Pansori. Of course, the order of the enumeration may be influenced in some way by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or relative superiority of the listed characters, or the precedence and succession of the era in which the characters lived. However, without being conscious of such conditions, we can also see symmetry between human names and names in a segmental structure that is far from a connectivity with overall consistency. And this is similar to the structure of Chinese poetry. On the other hand, in rakugo, linguistic play that is conscious of homophonic sounds while always keeping in mind the overall connectivity, like word chain game, has developed as a method of connecting people's names. A cyclical structure can be seen in which the name that appears once at the beginning appears again at the end. And this can be said to be due to the unique characteristic of rakugo, in which the content that first appeared at the end of rakugo is put out again as a punch line. And it can be said that this overall connectivity and circulation is similar to the typical method seen in renga(連歌), which was developed in Japan.

      • KCI등재

        가족관계를 위한 목회신학적 제안: 캐서린 라쿠나의 삼위일체 신학을 중심으로

        정연득 한국목회상담학회 2019 목회와 상담 Vol.32 No.-

        This study is designed to provide a pastoral theological basis for pastoral care for family relationships through the trinitarian theology of Catherine Mowry LaCugna. To achieve this goal, I begin by presenting the story of a Christian who is suffering from family conflicts. With the questions raised in this story, I dive into LaCugan's trinitarian theology. Based on LaCugna's trinitarian theology, I present a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God for us. I continue to show, how we are created in the image of God, and how our lives and relationships should be. For this end, first, I examine LaCugna's critique of trinitarian theology so far, which had developed in the direction of being isolated from Christian life, and her attempts to overcome this separation. I also look at the significance of the concept of person in trinitarian theology, and its implications for family relations. Then, I attempt to envisage LaCugna's relational ontology, and its implications for today's family relationships, especially for family conflicts. Finally, with the wisdom gained in the process of research, I go back to the previous case and suggest a pastoral theological reflection. Based on the insights gained through inquiry of relational ontology, I also examine the spiritual meaning of the practice of pastoral counseling and family relationships, and suggest the spiritual meaning of the Call to relationship. 이 연구는 캐서린 라쿠나(Catherine Mowry LaCugna)의 삼위일체 신학을 통해서 가족관계를 위한 목회신학적 기초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가족관계에서 발생한 문제로 고통당하는 한 신앙인의 이야기를 제시하면서 글을 시작한다. 이 이야기에서 제기된 문제의식을 가지고 라쿠나의 삼위일체 신학으로 들어간다. 라쿠나의 삼위일체 신학을 통해 우리를 위해 다가오시는 하나님에 대한 신학적 이해를 살펴보고,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 받은 우리의 삶과 관계의 모습은 어떠해야 하는지 살펴보았다. 먼저 기독교인의 삶과 괴리된 방향으로 발전되어 갔던 삼위일체 신학에 대한 라쿠나의 비판을 살펴본 다음, 이를 극복하기 위해 시도한 라쿠나의 신학적 시도를 다루었다. 이 과정에서 삼위일체 신학에서 인격(person)에 대한 관심이 가지는 중요성과 가족 관계를 위한 함의도 살펴보았다. 이어서 ‘관계적 존재론’이라는 이름으로 라쿠나가 시도한 삼위일체적 존재론과 이 존재론이 현대 가족 관계를 위해 가지는 신학적 의미를 모색해보았다. 마지막으로, 논의의 과정에서 얻은 지혜를 가지고 앞에서 제시한 사례로 다시 돌아가서 사례에 대한 목회신학적 성찰을 시도했다. 연구를 마무리하며, 관계적 존재론의 탐구를 통해 얻은 통찰을 토대로 목회상담 실천과 가족관계의 영적 의미를 성찰해 보았고, 관계로의 부르심이라는 소명의 영적 의미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A Philosophy of Subjectivity for our Globalized Era

        존 J. 마티스(John J. Martis)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1 생명연구 Vol.22 No.-

        전통적으로 인간의 능동성과 연결되었던 주체성은 세계화 시대를 맞이하여 위협받고 있다. 사건들내의 원인들은 때로 기술화되고 다면화되고 분산된 채, 그 인과적 결과로부터 멀어진 상태로 나타난다. 이들은 인간의 인과적 능동성, 특히 개인의 능동성에 저항한다. “누가 행위했는가? 누구에게 책임이 있는가?”라는 질문은 대답하기 어려워지며 이는 “주체” 또는 “행위자로서의 자아”에 대한 지각의 상실을 초래한다. 이러한 주체의 상실은 화해되지 않을 것 같아 보이는 주체에 관한 두 시각, 즉, 세계화되어 “상실된 주체”와 전통적인 자아-주체 사이의 딜레마 또는 교착상태를 여실히 보여준다. 그러나 나는 이와 상응하는 불일치, 즉, 세속적인 접근과 믿음에 근거한 접근 사이의 불일치가 대륙 철학 내에서 해결되었다고 보며, 이러한 방식에 따라 나는 주체에 관한 두 시각 사이의 화해도 가능하다는 것을 주장한다. 화해는 “상실속의 주체”에 의해 가능한데, 나는 이 개념을 우리 시대에 요구되는 주체성의 철학을 표명한 필리페 라쿠-라바테의 글에서 발견한다. Under globalization, the subjectivity linked to human agency is threatened. Causal elements within events often present as technologized, multiplied, scattered, and remote from their effects. They resist attribution in terms of human causal agency, and particularly, individual agency. There can result a perceived loss of the “subject” or “self as agent”, and an associated vacuum of moral agency, encapsulated by a difficulty in answering the questions, “Who acts? Who is responsible?” This absence of the subject exhibits itself most clearly as a dilemma or impasse between two seemingly irreconcilable perspectives on subjectivity: the globalized “lost subject” and the traditional self-subject. My paper argues that a reconciliation between these perspectives is however possible, following a pattern in which an equivalent disagreement might be resolved within continental philosophy, between secular and faith-cognisant approaches. The resolution is in terms of a “subject-in-loss” -a notion I find latent in the writings of Philippe Lacoue-Labarthe, and which presents a philosophy of subjectivity apt for our time.

      • 일본문학 속 신경병의 계보 일본 전통예능에서 표출되는 신경병 양상을 중심으로

        편용우 ( Pyun Yong-woo ),류정훈 ( Ryu Jeong-hoon )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20 일본연구 Vol.34 No.0

        본 논문에서는 이상의 신경병 언설이 에도 말기에서 메이지 초기에 걸쳐 전통예능 작품을 중심으로 어떻게 표출되었는지를 검토한다. 우선 정신병의 일종으로 이해 가능한 수준의 광기가 가부키 작품에서 주요 소재로 빈번하게 사용되었다는 점을 확인하고 신경병이라는 용어가 정신병을 지칭하는 의미로 처음 사용된 작품 『소메타즈나 다케노 하루고마(染繮竹春駒)』를 통해 신경병과 난학의 관계에 대해 고찰한다. 나아가 메이지 이후 근대화 과정 속에서 신경병이 전근대를 대체하는 단어로 확장되는 현상을 『신케 가사네가후치(真景累ヶ淵)』라는 라쿠고 작품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신경병의 계보를 에도 후기부터 메이지라는 시기에 걸쳐 검토하는 과정을 통해 신경병의 계보를 에도 시대까지 역추적하여 괴이를 신경병으로 대체했던 메이지 시기의 특징적 언설을 다방면에서 파악한다. 일본 고전문학에서 복수는 빼놓을 수 없는 주제이다. 고난 끝에 부모, 형제, 남편의 원수를 갚는 복수는 소설과 연극에서 끊임없이 재생산되었다. 복수는 무력을 동반하기 마련인데, 여성이나 유소년과 같이 힘이 약한 인물들은 무력이 있는 사람을 끌어들여 복수의 도움을 받았다. 이를 스케다치(助太刀)라고 하는데, 분라쿠(文楽) 작품 『이가고에 도추 스고로쿠(伊賀越道中双六)』(1783년 초연)로도 유명한 이가고에의 복수(伊賀越の仇討ち) 역시 검술에 미숙했던 복수자를 위해 주위의 도움을 받아 복수를 이룬 경우이다. 한편 살해 등의 억울한 이유로 죽음에 이른 유령은 자신이 피해자를 찾아가 괴롭히면서 복수를 한다는 특징이 있다. 복수를 스스로 한다는 의미인데, 생전에 약자였기 때문에 자신을 지키지 못했고, 죽고 나서야 복수를 한다는 점에서 복수극의 연장이라고 할 수 있다. 본문에서 살펴본 근세 후기 소설이나 가부키 극에서 나타나는 유령은 맹인, 병든 여성이라는 사회적 약자였다. 이들이 원한을 갚을 수 있는 수단이 ‘유령’이라는 장치였다. 물론 유령이 직접적으로 가해자의 목숨을 앗아가는 이야기도 있지만, 가부키 극이나 그와 관련된 소설에서는 가해자가 자신의 지인들을 피해자로 오인하는 착시가 주로 이용되었다. 저주가 정신병의 원인 중의 하나로 여겨지던 당시의 상황도 ‘정신착란-착시-유령의 저주’라는 연결고리를 만들어냈을 것이다. 지금도 ‘정신’과 비슷한 의미로 쓰이는 ‘신경’은 난학의 영향으로 만들어진 신조어로, 에도 사회의 난학 유행과 더불어 대중에게 알려지게 되었다. 하지만 에도시대 후기의 문예작품에서 확인한 ‘신경’이란 말은 단순히 신문물의 의미에 불과했다. ‘신경’이 ‘정신’과 밀접한 관계를 맺는 것은 근대 이후에 이르러서였다. 「신케이카사네가후치」 등의 작품에서 살펴본 것처럼 근대 의학의 정착과 함께 ‘신경병’이 유행처럼 괴담의 소재로 쓰이게 된 것이다. 전근대에 장애인과 여성처럼 사회적 약자가 유령이 되어 가해자에게 정신착란을 일으키게 하여 복수를 했던 일련의 과정들이 근대이후 ‘신경병’이라는 병명을 얻게 된 것이다. In this paper, we examine how neuropathological speech patterns took shape in traditional cultural works from the late Edo to the early Meiji period. First of all, this paper argues that a certain level of madness was frequently used as a major component in Kabuki drama, and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neurological disease and difficulty in Sometazutakenoharugoma, in which mental illness is referred to. Furthermore, it focuses on Rakugo’s work Shinkei Kasanegahuchi, which illustrates the modalities of neurological diseases in the post-Meiji process of modernization. Through the process of tracing the genealogy of neuropathy from the late Edo to the Meiji period, we attempt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 speech patterns of the Meiji period, which replaced previous neuropathological usages in many ways. Revenge is an indispensable subject in Japanese classical literature. The avenging of parents, brothers and husbands after the endurance of brutal hardship was constantly reproduced in novels and plays. Revenge is inevitably accompanied by the use of force, and in these works more vulnerable figures such as women and young men attract strong people and receive help from them in exacting revenge. This is seen in Skedachi, or Igago Dochu Sugoroku, a Bunraku work, and in Igagoe‘s revenge, whose first performance in 1783 is famous. Here, vengeance is achieved with the help of others who are experienced in swordsmanship. Meanwhile, characters who die unjustly, through murder for example, become ghosts and visit the perpetrators and take revenge. The post-mortem taking of revenge on one's own account is a trope of the revenge play in that a character has failed to protect himself because he is weak during his life, and becomes capable of strength only after he dies. The ghosts that appear in recent post-fiction novels or Kabuki plays, which we see in Sometazutakenoharugoma, are social underdogs, typical examples being the blind, and sick women. The device of the ghost is a means for them to execute their grudge. Of course, there are stories of ghosts directly taking the life of their assailant, but in Kabuki plays and related novels, assaults on assailants on the basis of mistaken identity are frequently seen. The situation at that time, when curses were considered one of the causes of mental illness, created a link between insanity, optical illusion and the curses of ghosts. Shinkei, which was used in a similar sense to 'spirit', was a newly-coined term that came into use as a result of social difficulties in Edo society. However, the term nervousness, which is found in the literary works of the late Edo period, was merely generated by newspapers. It was not until later that the neurological came to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spirit'. As seen in works such as Shinkei Kasanegahuchi, the establishment of modern medicine and neurology have become a subject of many ghost stories. In the pre-modern period, a series of processes in which the socially disadvantaged, such as the disabled and women, became ghosts who caused mental disorder in assailants were prevalent, and later were seen as neuropathological symptoms.

      • KCI등재

        ROLE OF ALISHER NAVOI IN THE DEVELOPMENT OF MODERN LINGUISTICS

        Хolmanova Zulkhumor Turdievna 국제언어문학회 2021 國際言語文學 Vol.- No.49

        이 논문은 투르크학 내에서 알리셰르 나보이의 저서인 “두 언어에 대한 비교(Muhokamat ul-lughatain, 1499)”의 역할에 대해 분석하는데, 특히 우즈베크어의 발전에 있어 알리셰르 나보이의 언어학, 사회언어학, 그리고 문화언어학에 대한 관점을 연구하였다. 나보이의 문화언어학의 개념에 관한 견해는, 그의 터키인과 사르트인에 대한 고정 관념의 관점, 특히 이론의 허점(lacuna)에 대해 연구자로서 기여한 공헌에 초점을 맞췄다. 결론은 투르크어와 사르트(페르시아-타지크)어의 비교를 기반으로 설명하였다. 나보이의 어휘 구사력, 그의 단어 의미에 대한 이해도를 분석하였다. 알리셰르 나보이의 사회언어학과 문화언어학 분야에 대한 관점은 현대언어학 분야에서 최초로 이론적 해석으로서 평가를 받았다. The article analyzes the role of "Muhokamat ul-lughatain" in the science of Turkology, in particular, in the development of the Uzbek language, the views of Alisher Navoi on linguistics, sociolinguistics, and cultural linguistics. Navoi"s views on the concept of cultural linguistics, his views on the stereotypes of the Turkic and Sart peoples, in particular, his services as a researcher of lacuna. The conclusions made on the basis of comparison of the Turkic languages with the Sart (Persian-Tajik) languages are explained. The verbal skill of Navoi, his level of understanding the semantics of the word is analyzed. Alisher Navoi"s views in the field of sociolinguistics and cultural linguistics were assessed as the first theoretical interpretations in modern areas of linguis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