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라쿠(Raku)소성 데이터 조성의 표준화를 위한 방안 연구

        김 진경,오창윤 한국도자학회 2017 한국도자학연구 Vol.1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ze RaKu firing, which is understood as improvisation in ceramic works with find standardization method of Raku in the future by drawing uniform results. The term RaKu (樂燒) refers to a firing method originating in Japan. It is also known as Rakuaki, which means firing by employing the RaKu method. According to the RaKu method, a vessel is glazed, then put in a kiln, fired at 900℃-1100℃, immediately taken out from the kiln, and quickly cooled down through a process using sawdust and paper. As the origin of the name suggests, a potter’s impromptu action is very important in RaKu. This is because of the randomness found in impromptu actions, such as throwing the vessel in sawdust during the firing process, creates new different works. Even so, should we solely depend on randomness during the process? Do we have no choice but to adhere to the previous studies and be satisfied with the given outcomes? Can we calculate data instead of depending on randomness? The reseacher believes that regarding novelty starts from criticizing the trival points and in order to show the possibility,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such a triviality. Thus, the study suggests systematic standard data by conducting experiments on firing with the same conditions, instead of depending on the traditional RaKu firing’s properties of being impromptu. Also, the study proves is presented by progressing the researcher's work on whether the data of Raku can be standardized. The experiment to form the standard data was conducted as follows: to combine different clay (rough Sancheong clay, Buncheong clay) in individual ratio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pottery mainly consisting of three-dimensional works and board works; and to produce two kinds of samples, a board type and a three-dimensional type. Firing experiments were conducted five times at 870℃, 900℃, 930℃, 950℃, and 970℃. By distinguishing the locations (upper, lower) in the kiln, differences upon location were identified. Also, four kinds of glaze—basic white, white crackle, bronze matte, ambyeok —and two methods of glazing—dipping, brushing—were adopted and changes were observed. After analysis was carried out on the results, the standard data for RaKu firing were drawn and organized by examining the melting status of glazes and colors according to firing temperatures. The results of the five experiments suggested that at 950℃, the quality of sample colors and fusibility were the highest, and the lower location rather than the upper showed better result `1s. These are the effects brought about by different temperatures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kiln and different melting points according to glazes. Although the firing status can influence the firing results, based on glazes used in this study, it was concluded that the best quality of colors and fusibility was produced at 950℃. Whether the RaKu firing standard data, drawn from the experiments, can be applicable as real data or not was proved by firing the researcher’s own works. The outcome of this study is to show possibilities for new expression on ceramics by forming the standard data of RaKu firing, which is considered impromptu and random. 본 연구는 도예작업에서 즉흥성으로 이해되고 있는 라쿠(RaKu)소성을 데이터로 체계화시켜적용함으로서 향후, 도예작업에서 균일한 결과물을 도출하고 라쿠(RaKu)소성의 표준화 방안을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라쿠(RAKU,樂燒)는 일본에서 유래된 소성방법으로 라쿠기법을 이용한 소성이란 뜻의‘라쿠야키’(Rakuyaki,樂燒)로 많이 알려져 있다. 시유한 기물을 가마에 넣어 900-1100℃사이에서소성하다가 즉시 기물을 꺼내 톱밥, 신문 등의 작용과정을 거쳐 빨리 식히는 방법을 말한다. 라쿠의 어원에서 알 수 있듯이 소성자의 즉흥적 행위는 라쿠소성에서 매우 중요시된다. 소성과정에서 톱밥에 던져 넣을 때도 즉흥적 행위에서 발견된 수많은 우연들이 새로운 작품들을탄생시켜 왔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우리는 우연성에만 기대어 작업을 진행해야 하는가! 그 동안의 연구물이 그러했다고 인정하고 흐르는 대로, 나오는 대로 결과에 만족해야 하는가! 우연이 아닌 계산되어지면안 되는 것인가! 연구자는 새로움이란 늘 사소한 비판에서 출발하는 것이라 보고 그 가능성을보여주고자 이와 같은 사소함에서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라쿠소성의 즉흥성이 아닌 동일한 실험 조건으로 소성실험을 진행하여 체계적인 표준데이터를 제시하였다. 또한 도출한 라쿠 소성 데이터가 실제 표준화가 가능한지 연구자의 작품 소성을 진행함으로써 증명하여 제시하였다. 표준 데이터 조성 실험은 입체작업과 판 작업이 주를 이루고 있는 도예작업의 특성을 반영하여 독립적인 비율의 소지(거친 산청토, 분청토)를 조합하고 판형과 입체형 두 가지 종류의시편을 제작하였다. 소성실험은 총 5회로 870℃, 900℃, 930℃, 950℃, 970℃의 온도이며, 가마안에서 재임위치(위층, 아래층)를 구분하여 위치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연구자가 사용하는 4가지 유약(흰색기본유, 흰색균열유, 동매트유, 암벽유)을 2가지 시유법인 담금 시유법과 붓 시유법으로 시유하여 변화를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를 정리·분석하고 소성 온도에 따른 유약의 용융상태와 색채특성을 분석하여 라쿠소성 표준데이터를 도출하고 정리하였다. 5번의 소성실험결과, 시편 색감과 용융도가 가장 좋은 소성은 950℃온도에서의 소성이었고재임 위치는 위에 재임한 것 보다 아래에 재임한 시편에서 좋은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가마상황(화구에 인접)에 따라 나타나는 온도차에 의한 결과이며, 유약별로 용융점이 조금씩 다른이유 때문이다. 소성상황과 환경이 소성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겠으나 본 실험에서 사용한 유약을 기준으로 최적의 색감과 용융도를 보인 소성은 950℃의 온도가 적당하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또한 실험에서 도출한 라쿠 소성 표준 데이터가 실제 테이터로 표준화가 가능한지 연구자의 작품 소성을 진행함으로써 증명하여 제시하였다. 즉흥성과 우연성으로 이해되는 라쿠 소성에서 표준데이터 조성으로 도자 표현에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고자 한다.

      • KCI등재

        선불교의 연기론적 관점에서 이해하는 캐서린 라쿠냐의 상호내재적 삼위일체

        김이석 한국조직신학회 2025 한국조직신학논총 Vol.78 No.-

        현대 기독교는 신앙의 역동성과 변혁적 능력을 상실하고 있다. 복음과 교회는 정치 ․ 문화적 세계와의 접점을 잃고, 신앙은 개인적인 결단과 내 면적 구원에 국한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원인에 대해 캐서린 라쿠 냐(Catherine LaCugna)는 전통적인 삼위일체 신학이 신과 세계를 분리 한 결과라고 지적한다. 서구 신학 전통에서 삼위일체는 어느 순간 가장 불필요한 신학 이론이 되어 갔다. 그 이유는 내재적 삼위일체(Immanent Trinity)와 경세적 삼위일체(Economic Trinity)로 큰 크레바스가 생기기 시작했고, 그로 인해 신학이 실천적 영역과 괴리되는 결과를 초래했다 고 본다. 라쿠냐는 삼위일체의 역동성을 회복하기 위해 페리코레시스 (Perichoresis)의 개념을 중심으로 삼위일체를 새롭게 이해하며, 이를 통 해 신과 세계의 관계성을 재구성하고자 했다. 본 논문은 라쿠냐의 페리코레시스, 즉 상호내주적 삼위일체 이해를 불교, 특히 선불교(Zen Buddhism)의 ‘상호 의존적 발생’(Interdependent Arising) 개념과 종교학적 비교를 한다. 라쿠냐의 삼위일체론은 신과 세 계가 본질적으로 분리된 것이 아니라 상호 관계적 존재임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불교의 연기(緣起) 사상과 흥미로운 공통점을 가진다. 불교에서 연기론은 서구 철학의 존재론과 다른 존재론 혹은 체용론을 이해하고 선불교 사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시작이 되는 사상이다. 연기론적 관 점에서 개별 존재로,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은 없다. 모두가 상호 의존 적인 관계 속에서 형성되고 사라지는 것이다. 이는 라쿠냐의 삼위일체 론이 제시하는 관계적 상호내재적 존재 이해와 맥을 같이한다. 라쿠냐 가 하려는 내재적 삼위일체와 경세적 삼위일체의 이해를 선의 연기론에 서 보게 되면, 더욱 유기적으로 역동적인 페리코레시스의 존재론적 움 직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깨닫게 된다. 더불어 신학 이론적 지점에서 갖는 유사성뿐만 아니라 실천적 차원에서 도 유사성이 크다. 라쿠냐의 삼위일체와 선의 연기론적 존재론은 우리 가 잃어버린 신앙의 힘을 다시 발견하게 하는 데 큰 관심이 있음을 발견 하게 된다. 이는 현대 기독교가 직면한 신앙과 실천의 단절 문제를 해결 하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Modern Christianity has lost the dynamism and transformative power of faith. The gospel and the church have lost their points of contact with the political and cultural world, and faith tends to be confined to personal decisions and inner salvation. Regarding this issue, Catherine LaCugna points out that traditional Trinitarian theology has resulted in a separation between God and the world. In the Western theological tradition, the doctrine of the Trinity gradually became one of the most unnecessary theological theories. This was due to the widening crevasse between the Immanent Trinity and the Economic Trinity, which led to theology becoming detached from practical life. To restore the dynamism of the Trinity, LaCugna re- interprets it through the concept of perichoresis, seeking to re- construct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the world. This paper compares LaCugna’s perichoretic, mutually indwelling un- derstanding of the Trinity with the Buddhist concept of Interdependent Arising, particularly in Zen Buddhism. LaCugna’s Trinitarian theology emphasizes that God and the world are not essentially separate but ex- ist in mutual relationship, which shares intriguing commonalities with the Buddhist doctrine of dependent origination. In Buddhism, the theo- ry of dependent origination is a crucial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Zen thought and represents an ontology distinct from that of Western philosophy. From this perspective, no being exists independently; all things arise and cease within interdependent relationships. This reso- nates with LaCugna’s Trinitarian theology, which posits existence as in- herently relational and mutually indwelling. Viewing LaCugna’s under- standing of the Immanent and Economic Trinity through the lens of dependent origination allows for a more organic and dynamic onto- logical dance of perichoresis. Furthermore, this comparison reveals not only theoretical similarities but also significant practical implications. Both LaCugna’s Trinitarian theology and Zen Buddhism’s ontology of dependent origination seek to rediscover the lost power of faith. They offer profound in- sights into addressing the modern Christian crisis of disconnection between faith and practice, contributing significantly to bridging this gap.

      • KCI등재

        일본 라쿠고(落語),만자이(漫才)를 통해 본 우리나라 만담의 향후 과제

        이상우 ( Sang Woo Lee ) 인문사회 21 2015 인문사회 21 Vol.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look at the history and performance status of traditional talk show culture of Japan ‘rakugo’ and ‘manjai’ is used to explore the future challenges of korean Mandam, South Korea, China and Japan have a common culture related to stories and humor. However, successful modern tradition with constant innovation in Japan, unlike the shabby reality of our Mandam had to worrythat developmental challenges. Rakugo and manjayi, Japan’s traditional talk show culture was successful in securing a solid maniahcheung with unremitting efforts and marketing in video era. While our Mandam is not clear that this presence in performing artistic or academically, despite the history and tradition of the lead story-telling culture from ancient. This is why there has blurred our Mandam. First, Audio for the visual had overwhelming aspect in contemporary flow, means of communication changes in visual language from the auditory language. Also, never leave the banality of the material and form, it did not absorb the young generation can not keep up with the Code of youthful laughter. Finally, We didn’t see the Mandam as a traditional culture cause we black out the link between Jaidam and Mandam. If so, will we do now. First, It should explore creative ideas artistic performances highlighting the innovation and differentiation strategy. Second, It should continue its efforts to restore the brand to consolidate the self-identity of traditional story-telling culture of Seoul. Third, government had to service the full support. Fourth, the establishment of Mandam private theater and a institution. Results from these studies, I recognized that our Mandam should have a new strategies and national support and our unique repertoire that take advantage should spur the development for the new era. After all, our Mandam can be a cultural products representing Korea because it depends on whether and when equip its viability.

      • KCI등재

        『일선골계화(日鮮滑稽話)』연구 – 원전의 발굴 소개와 변용(變容)의 의미 탐구–

        노혜경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5 동양학 Vol.61 No.-

        This research newly discovered Ilseoneo(日鮮語) novel Ilseon-golgyehwa(「Seungjumundap」), determined the original text was Japanese Lakugo 「Gonyakmundap」, and considered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the work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Gonyakmundap」 and 「Seungjumundap」. Ilseoneo novel was a special type novel that existed only during the colonial era, the biggest characteristic thereof was to write the same sentence in Cheosun language and Japanese language in parallel. 「Seungjumundap」 was based on the basic story of the original work 「Gonyakmundap」, however it showed difference in composition, content, and the basis of work, etc. While going through the translation process, 「Seungjumundap」 was weakened with its characteristic as narrate art, which prepared a shape close to a novel on the whole. In the aspect of content, while the humor of the original text was largely deleted, however it was changed to somewhat educational work by adding the content that emphasizes repaying grace. Such change of work is closely related to the unique record method and system of the book, work 「Seungjumundap」, which was Japanese-Korean version. Notes of 「Seungjumundap」 show various aspects as the explanation of sentence sign, etc. including detailed explanation on Japanese expression and terms. Also, regarding the aspect of writing, it translated into two ways of more natural expressions along with direct translation on the same Japanese expression, etc. which was the attempt to consider the linguistic educational effect. Based on the analysis of these characteristics, this research could determine that 「Seungjumundap」 was translated and adapted focusing on Japanese language education. This research could verify the necessity of multiple views considering the educational aspect besides literary history context, in order to exactly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 and the essence of Ilseoneo novel. 본 논문에서는 일선어소설 계열인 일선골계화(「승주문답」)를 새로 발굴하여 그 원전이 일본의 라쿠고 「곤약문답」이라는 것을 밝히고, 「곤약문답」과 「승주문답」의 비교를 통해 작품의 가치와 의미를 고찰하였다. 일선어소설은 식민지 시기에만 존재하던 특수한 형태의 소설로 동일한 문장을 조선어와 일본어로 병기한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승주문답」은 원작 「곤약문답」의 기본 줄거리를 골자로 하면서도 구성, 내용 및 작품의 기조(基調) 등에 있어서 차이를 보인다. 번역 과정을 거치면서 「승주문답」은 구연 예능으로서의 특징이 약화되고 전체적으로 보면 소설에 가까운 형태를 갖추게 된다. 내용면에서는 원작의 유머가 대폭 삭제된 반면 보은(報恩)을 강조하는내용이 추가됨으로써 다소 교육적인 작품으로 변모하였다. 이러한 작품의 변모는 일한대역이라는 「승주문답」의 독특한 표기방식 및 책의 체제(體裁)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승주문답」의 주석은 일본어 표현 및 용어에 대한 자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문장 부호에 관한 설명등 다양한 양상을 보여준다. 또한 표기면에서도 하나의 일본어 표현을 직역과 보다 자연스러운 표현 두 가지로 번역해 놓는 등 언어 교육적 효과를 고려한 시도를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특징들의 분석을 통해「승주문답」이 일본어 교육에 중점을 두고 번역, 번안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선어소설의 특성 및 본질을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문학사적인 맥락뿐만 아니라 교육적 측면을 고려한 다중적인 시각이 필요함을본 연구를 통해서 검증할 수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

        제국 텍스트의 번안과 계몽의 식민성

        김주리(Kim Jue-lee) 한국현대문학회 2011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5

        본고에서는 일본 고전 라쿠고(落語) 텍스트 가운데 하나인 「시바하마(芝浜)」를 번안한 안국선의 「인력거꾼」과 윤백남의 「몽금」을 대상으로 '제국의 원전 공연물'이 '식민지의 번안 기록물'로 각색되는 과정에서 생겨나는 변화와 그 의미에 대해 분석하려 한다. 세 텍스트는 가난한 노동자와 그의 아내, 음주와 나태에 대한 경계, 갑작스런 행운을 둘러싼 소동, 주인공의 개심과 성공이라는 이야기구조를 공유한다. 하지만 제국의 연행 텍스트를 식민지의 기록 텍스트로 번안 각색하는 과정에서 「몽금」과 「인력거꾼」은 원전의 해학적인 분위기를 일정한 정도로 비극적이거나 엄숙한 분위기로 바꾸고 있다. 그들은 가난한 노동자의 우연한 행운을 노동에 입각한 자산 획득의 과정에 편입시킴으로써 교훈적이고 계몽적인 깨우침을 주는 데 치중하고 있다. 생계조차 힘든 상황을 타개하는 과정에서 「시바하마」는 성실의 가치와 함께 장사꾼으로서의 수완을 강조한다. 전반부의 비극성과 후반부의 해학성으로 구성되는 「몽금」에서는 상황 타계과정에서 구체적인 해법을 제시하지 않고 생선장수에서 3년 만에 유기전 주인으로 급격하게 변신하는 비현실적 결말을 제시한다. 결말에서 가정의 화락함을 강조하는 두 텍스트와 달리 「인력거꾼」에서는 금주와 성실을 지켜가는 남편의 모습을 강조한다. 양반 출신으로 자본가로 전신하기보다 육체노동자 되기를 고집하는 피식민인의 모습을 보여주는 「인력거꾼」은 제국의 서민 공연물을 식민지의 계몽적 읽을거리로 번안하는 과정에 개입하는 식민성의 문제를 환기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nges from an Imperial original play to a Colonial adaptational document and the meaning about Japanese Rakugo text Sibahama and two adaptation texts of it, An, Guk-seon's A rickshaw man and Yun, Baek-nam's Gold in a dream. These three texts own the same story factor like a pool laborer and his wife, warning of drinking and laziness, happening of a chance good luck, the hero's reform and success etc.. But in the courses of adaptation from an Imperial play text to a Colonial document text, Gold in a dream and A rickshaw man has changed comic mood that the original text has to tragic or solemn mood in some degree. They attach importance to giving moral and enlightening instructions with emphasizing not a chance good luck but legal course of having fortunes. In the courses of having fortunes, Sibahama emphasizes both the value of sincerity and a trader's ability. Otherwise, Gold in a dream composed the tragic factor at the first half and the comic factor at the second half, it does not show definite courses of change and so presents the end lacks reality, that the hero had succeeded suddenly. Apart from other two texts that emphasize the peace of a home at the end, A rickshaw man emphasizes the hero's sincere and non drinking pose at the end. This work shows a colonial man who sticked to not become a bourgeois but stay a laborer and so it awakes the problem of colonialism in the courses of adaptation from an Imperial common play to a Colonial enlightening document.

      • KCI등재

        판소리와 라쿠고(落語)의 인명(人名) 열거 방법 한일 비교

        금영진 ( Keum Young-jin ) 한국일어일문학회 2023 일어일문학연구 Vol.124 No.-

        This paper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thod of enumerating people’s names in Korean Pansori(판소리) and Japanese Rakugo(落語). First, the symmetrical structure and segmental connectivity between names can be seen in the method of enumerating names in Pansori. Of course, the order of the enumeration may be influenced in some way by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or relative superiority of the listed characters, or the precedence and succession of the era in which the characters lived. However, without being conscious of such conditions, we can also see symmetry between human names and names in a segmental structure that is far from a connectivity with overall consistency. And this is similar to the structure of Chinese poetry. On the other hand, in rakugo, linguistic play that is conscious of homophonic sounds while always keeping in mind the overall connectivity, like word chain game, has developed as a method of connecting people's names. A cyclical structure can be seen in which the name that appears once at the beginning appears again at the end. And this can be said to be due to the unique characteristic of rakugo, in which the content that first appeared at the end of rakugo is put out again as a punch line. And it can be said that this overall connectivity and circulation is similar to the typical method seen in renga(連歌), which was developed in Japan.

      • KCI등재

        가족관계를 위한 목회신학적 제안: 캐서린 라쿠나의 삼위일체 신학을 중심으로

        정연득 한국목회상담학회 2019 목회와 상담 Vol.32 No.-

        This study is designed to provide a pastoral theological basis for pastoral care for family relationships through the trinitarian theology of Catherine Mowry LaCugna. To achieve this goal, I begin by presenting the story of a Christian who is suffering from family conflicts. With the questions raised in this story, I dive into LaCugan's trinitarian theology. Based on LaCugna's trinitarian theology, I present a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God for us. I continue to show, how we are created in the image of God, and how our lives and relationships should be. For this end, first, I examine LaCugna's critique of trinitarian theology so far, which had developed in the direction of being isolated from Christian life, and her attempts to overcome this separation. I also look at the significance of the concept of person in trinitarian theology, and its implications for family relations. Then, I attempt to envisage LaCugna's relational ontology, and its implications for today's family relationships, especially for family conflicts. Finally, with the wisdom gained in the process of research, I go back to the previous case and suggest a pastoral theological reflection. Based on the insights gained through inquiry of relational ontology, I also examine the spiritual meaning of the practice of pastoral counseling and family relationships, and suggest the spiritual meaning of the Call to relationship. 이 연구는 캐서린 라쿠나(Catherine Mowry LaCugna)의 삼위일체 신학을 통해서 가족관계를 위한 목회신학적 기초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가족관계에서 발생한 문제로 고통당하는 한 신앙인의 이야기를 제시하면서 글을 시작한다. 이 이야기에서 제기된 문제의식을 가지고 라쿠나의 삼위일체 신학으로 들어간다. 라쿠나의 삼위일체 신학을 통해 우리를 위해 다가오시는 하나님에 대한 신학적 이해를 살펴보고,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 받은 우리의 삶과 관계의 모습은 어떠해야 하는지 살펴보았다. 먼저 기독교인의 삶과 괴리된 방향으로 발전되어 갔던 삼위일체 신학에 대한 라쿠나의 비판을 살펴본 다음, 이를 극복하기 위해 시도한 라쿠나의 신학적 시도를 다루었다. 이 과정에서 삼위일체 신학에서 인격(person)에 대한 관심이 가지는 중요성과 가족 관계를 위한 함의도 살펴보았다. 이어서 ‘관계적 존재론’이라는 이름으로 라쿠나가 시도한 삼위일체적 존재론과 이 존재론이 현대 가족 관계를 위해 가지는 신학적 의미를 모색해보았다. 마지막으로, 논의의 과정에서 얻은 지혜를 가지고 앞에서 제시한 사례로 다시 돌아가서 사례에 대한 목회신학적 성찰을 시도했다. 연구를 마무리하며, 관계적 존재론의 탐구를 통해 얻은 통찰을 토대로 목회상담 실천과 가족관계의 영적 의미를 성찰해 보았고, 관계로의 부르심이라는 소명의 영적 의미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A Philosophy of Subjectivity for our Globalized Era

        존 J. 마티스(John J. Martis)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1 생명연구 Vol.22 No.-

        전통적으로 인간의 능동성과 연결되었던 주체성은 세계화 시대를 맞이하여 위협받고 있다. 사건들내의 원인들은 때로 기술화되고 다면화되고 분산된 채, 그 인과적 결과로부터 멀어진 상태로 나타난다. 이들은 인간의 인과적 능동성, 특히 개인의 능동성에 저항한다. “누가 행위했는가? 누구에게 책임이 있는가?”라는 질문은 대답하기 어려워지며 이는 “주체” 또는 “행위자로서의 자아”에 대한 지각의 상실을 초래한다. 이러한 주체의 상실은 화해되지 않을 것 같아 보이는 주체에 관한 두 시각, 즉, 세계화되어 “상실된 주체”와 전통적인 자아-주체 사이의 딜레마 또는 교착상태를 여실히 보여준다. 그러나 나는 이와 상응하는 불일치, 즉, 세속적인 접근과 믿음에 근거한 접근 사이의 불일치가 대륙 철학 내에서 해결되었다고 보며, 이러한 방식에 따라 나는 주체에 관한 두 시각 사이의 화해도 가능하다는 것을 주장한다. 화해는 “상실속의 주체”에 의해 가능한데, 나는 이 개념을 우리 시대에 요구되는 주체성의 철학을 표명한 필리페 라쿠-라바테의 글에서 발견한다. Under globalization, the subjectivity linked to human agency is threatened. Causal elements within events often present as technologized, multiplied, scattered, and remote from their effects. They resist attribution in terms of human causal agency, and particularly, individual agency. There can result a perceived loss of the “subject” or “self as agent”, and an associated vacuum of moral agency, encapsulated by a difficulty in answering the questions, “Who acts? Who is responsible?” This absence of the subject exhibits itself most clearly as a dilemma or impasse between two seemingly irreconcilable perspectives on subjectivity: the globalized “lost subject” and the traditional self-subject. My paper argues that a reconciliation between these perspectives is however possible, following a pattern in which an equivalent disagreement might be resolved within continental philosophy, between secular and faith-cognisant approaches. The resolution is in terms of a “subject-in-loss” -a notion I find latent in the writings of Philippe Lacoue-Labarthe, and which presents a philosophy of subjectivity apt for our time.

      • KCI등재

        19세기 말~20세기 초 서양인을 통해 본전문 이야기꾼의 연행 전통 연구-일본 이야기꾼[噺家]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민희 한국문학언어학회 2024 어문론총 Vol.99 No.-

        본 논문은 19세기 말~20세기 초 서양인들이 한국과 일본에서 목격한 이야기 연행 장면을 소개, 또는 기록한 내용을 토대로 전근대 한국 이야기꾼의 연행 실상을 조망한 것이다. 샤를 달레, 퍼시벌 로웰, 에비슨, 그리피스, 헐버트, 에밀 부르다레, 아손 그렙스트 등이 기록한 한국에서의 이야기 연행 장면은 국내 이야기 연행 전통을 이해하는 중요한 사료이다. 또한 본고에서는 일본의 대표적인 이야기 연행물인 ‘라쿠고[落語]’와 전문 이야기꾼인 ‘하나시카[噺家](=라쿠고가[落語家])’를 소개한 프랑스인 쥴 아담의 일본의 이야기꾼 (1899)를 국내에 처음 소개하고, 이런 외국인 기록물과의 비교를 통해 한국의 전문 이야기꾼의 특성과 연행 전통을 살피고자 했다. 서양인들은 일반인의 낭송식 이야기 연행과 달리, 소리와 감정 연기, 몸동작과 얼굴표정, 손동작을 절묘히 사용해 이야기를 연행하던 전문 이야기꾼에 큰 관심을 보였다. 화술과 극적 연기력, 서사 완급 조절 능력, 그리고 적절한 요전법 구사 능력을 지닌 전문 이야기꾼의 이야기 공연을 극예술의 일종으로 인식했다. 이러한 전문 이야기꾼은 판소리 연행자, 전기수, 그리고 소학지희(笑謔之戱)를 즐겨 행하던 우인(優人) 광대들이다. 이는 도제식 수련을 받고, 각종 얼굴표정과 몸짓, 손동작, 그리고 부채와 수건을 이용해 반전과 웃음이 있는 짧은 이야기[落語]를 들려주던 일본의 전문 이야기꾼 하나시카[噺家]와 상통한다. 한국의 전문 이야기꾼은 어느 조직에 속하지 않고 프리랜서처럼 활동했다. 또한 한국의 이야기꾼은 넓은 야외 공간이나 실내 가리지 않고 주어진 연행 환경에 맞게 이야기 공연을 행했다. 서양인의 기록을 통해 한국의 이야기 연행 방식이 불교의 설법 방식에서 기인한 사실과 전문 이야기꾼이 대로변의 가가(假家)를 간이 무대 삼아 이야기 공연을 한 사실도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reality of storytelling by pre-modern Korean storytellers based on the introduction or recording of storytelling scenes witnessed by Westerners in Korea and Japan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Scenes of storytelling performance in Korea recorded by C. Charles Dallet, Percival L. Lowell, Oliver R. Avison, William E. Griffis, Homer B. Hulbert, Émile Bourdare, and A:son Grebst are important sources for understanding the Korean tradition of story performance. In this paper, Frenchman Jules Adam's Japanese Storytellers (1899), which introduced 'Rakugo', a representative Japanese storytelling performance, and 'Hanasika[噺家](=Rakugoga[落語家])', a professional storyteller. was introduced to Korea for the first time, and attempt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traditions of Korea's professional storytellers through comparison with foreign records. Westerners showed great interest in professional storytellers who, unlike ordinary people's recitative storytelling, used sounds, emotional acting, body movements, facial expressions, and hand movements exquisitely to tell stories. The performance of a story by a professional storyteller with speaking skills, dramatic acting skills, ability to control the pace of the narrative, and the ability to use stalling & solicitation[邀錢法] was recognized as a type of dramatic art. These professional storytellers are closer to pansori performers, Novel Storytellers[傳奇叟], or Woo-in(優人) who enjoyed performing Sohak-ji-hui(笑謔之戱). This is similar to Hanashika, a Japanese professional storyteller who received apprenticeship training and told short stories with twists and laughter using various facial expressions, gestures, hand movements, and fans and hand towels. Professional storytellers in Korea did not belong to any organization and worked as freelancers. In addition, Korean storytellers performed stories according to the given performance environment, regardless of whether it was a large outdoor space or indoors. Through Western records, it confirms that Korea's storytelling method originated from the Buddhist sermon method, and that professional storytellers performed stories using a house on the main street as a makeshift st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