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박서연(Park, Seo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5

        본 연구는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만5세 유아 312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2019년 7월 15일부터 7월 19일까지 1주 간에 걸쳐 유아의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설문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또래놀이 상호작용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유아 간 정서적,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의 부분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의 또래유능성을 향상시키는데 있어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교사-유아 간 정서적,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의 적절한 개입이 함께 이루어질 때 그 효과는 더욱더 증가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유치원 현장에서 또래놀이 활동에서 교사-유아 간 정서적,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을 활발하게 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teacher-child interaction on the effects of peer play interaction on the peer competence. After selecting total 312 children in five-year old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s the research subjects, a survey was performed targeting their homeroom teachers for a week from July 15th to July 19th 2019. The collected survey data was analyzed by using the SPSS Program,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rawn as follows. First, the peer play interaction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peer competence of children. Secon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s of teacher-child emotional, linguistic, and behavioral interactions on the effects of peer play interaction on the peer competence were significant. It implies that the peer play interac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improvement of peer competence of children, and especially, the effects could be increased more when the proper intervention of teacher-child emotional, linguistic, and behavioral interactions is applied together.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to actively review the measures for vitalizing the teacher-child emotional, linguistic, and behavioral interactions for peer play activities in the field of kindergarten.

      • KCI등재

        어머니-유아 상호작용, 교사-유아 상호작용,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유아의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

        김민희,이소현 한국코칭학회 2021 코칭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어머니-유아 상호작용, 교사-유아 상호작용,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유아의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2014년도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PSKC) 7차에 참여한 유아 및 그의 어머니와 교사이며, 그 중에서 본 연구의 변인과 관련된 조사에 성실하게 참여한 1,090 명이다. 본 연구는 SPSS 18.0과 JAMOVI 1.1.9.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또래놀이 상호작용은 유아 인지발달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확인되었으나, 어머니-유아 상호작용은 유아 인지발달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또래놀이 상호작용은 유아 인지발달을 23% 설명하는 강력한 예측변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추가되었을 때 설명력이 1%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유아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아의 인지발달에 관한 기초연구로서 유아의 인지발달에 있어서 어머니-유아의 상호 작용보다 또래놀이 상호작용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mother-child interaction,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peer play interaction on cihldren’s cognitive development. The research targets were children and their mothers and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even wave data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 Children (PSKC) of the Korea Institution Child Care and Education in 2014. 1,090 children, mother, and teachers faithfully participated in the investigation related to the variables of this study.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SPSS 18.0 and JAMOVI 1.1.9.0.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peer play interac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in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but mother-child interaction did not show significant correlations in the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Second, peer play interactions were shown to be a strong predictor of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by 23%, and when teacher-child interaction was added, the explanatory power increased by 1%. Third, in the effect of peer play interaction on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teacher-child interaction had a partial mediated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 importance of peer play interaction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in the cognitive development of children was confirmed as a basic study on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 KCI등재

        초등학생의 또래 상호작용과 사회적 조망수용능력의 학년에 따른 차이

        서보윤(Bo-Yun Seo) 한국교육심리학회 2021 敎育心理硏究 Vol.35 No.1

        초등학교 시기 어떤 학년에서 또래 상호작용이나 사회적 조망수용능력이 크게 증가하는지 안다는 것은 학년의 아동 특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또래 상호작용과 사회적 조망수용능력의 학년에 따른 차이를 실증적으로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사 대상은 경북에 소재하는 2개 초등학교 2∼6학년 561명(남자 274명, 여자 28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측정 도구는 기존의 또래 상호작용 척도와 사회적 조망수용능력 척도를 신뢰도와 타당도를 재검증한 후 사용하였다. 또래 상호작용 척도의 요인분석 결과 정서적 상호작용, 도구적 상호작용, 동반적 상호작용과 같은 세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사회적 조망수용능력은 1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 네 가지로 요약할 수 있었다. 첫째, 초등학교 시기에는 또래 상호작용 빈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한다는 것이다. 특히, 초등학교 4, 5학년 시기에 또래 상호작용 빈도가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둘째, 초등학생의 사회적 조망수용능력은 5학년 때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셋째, 여자가 남자보다 정서적 상호작용과 사회적 조망수용능력의 점수에서 더 높았다. 넷째, 또래 상호작용과 사회적 조망수용능력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특히, 정서적 상호작용과 사회적 조망수용능력은 높은 정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정서적 상호작용은 사회적 조망수용능력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초등학생의 학년별 발달 특성이나 친구관계를 이해하는 연구에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Recognizing grades in elementary school have significant increases in peer interaction and social perspective-taking can be beneficial i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in these grades. Therefore, the study aims to empirically examine the differences in peer interaction and social perspective-taking according to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561 students (Male: 274, Female: 287) in the 2th to 6th grades of two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Gyeongsangbuk-do. The scale was used after re-verify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existing peer interaction scale and social perspective capacity scale. As a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of the peer interaction scale, three factors were extracted: affective interaction, instrumental interaction, and companion interaction, and one factor was extracted for social perspective-tak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into the following. First, in elementary school, the frequency of peer interactions continuously increases. Particularly, the frequency of peer interactions tended to increase significantly in the 4th and 5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econd, the social perspective-tak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ends to increase in the fifth grade. Third, women had higher scores in affective interactions and social perspective-taking than men. Fourth, peer interaction and social perspective-taking show a positive correlation. Specifically, affective interaction and social perspective-taking showed a high correlation, and affective interaction affects social perspective-tak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studies such as the friendship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development of social skills programs.

      • KCI등재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또래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지적능력의 매개효과

        최정윤(Choi, Jung-Yoon),김혜순(Kim, Hye-Soon) 한독교육학회 2015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2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또래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지적능력이 나타내는 매개효과가 어떠한지를 규명하여 유아들의 또래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이해하고, 이들 영향요인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상북도 G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병설 유치원 2곳의 만 4,5세 유아 101명이었다. 유아 자기조절력은 유치원 교사가 유아의 평소 유치원 생활을 관찰한 것을 토대로 평정되었으며, 유아 또래상호작용은 본 연구자와 보조연구자에 의해 현장기관에서 관찰되었으며, 유아 지적능력은 본 연구자에 의해 K-WPPSI 검사로 개인적으로 평가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7.0 통계 프로그램으로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이 실행되어졌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첫째,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지적능력에서 정적상관이 나타났고, 자기조절력과 긍정적 상호작용과 의존적 상호작용은 각각 정적상관이, 자기조절력과 부정적 상호작용은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지적능력과 긍정적 상호작용과 의존적 상호작용은 각각 정적상관이, 지적능력과 부정적 상호작용은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긍정적 상호작용의 관계에서는 지적능력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고,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의존적 상호작용 및 부정적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는 각각 지적능력의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유아의 긍정적 또래상호작용에서는 유아 자신의 자기조절력 발달이 더욱 중요하나, 의존적이거나 부정적 또래 상호작용에서는 유아 자신의 지적능력이 더욱 중요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또래상호작용 유형별로 이들 영향요인들을 좀 더 발달시킬 다각도의 교육적 지원이 좀 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필요성이 시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young children s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self regulation and peer interaction.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01 young children at the 2 kindergartens in Gyeongsang province. The teachers filled out the questionnaires on their children s abilities of self regulation based on teachers observation about their children s behaviors at the kindergarten. The young children s peer interactions were assessed in the classrooms by the research team members who were trained for this study and their intelligences were assessed using K-WPPSI by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individually in private places in the kindergarten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rough SPSS Windows 17.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e young children s peer interaction, self regulations and intelligences. Moreover, there were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f the young children s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self regulation and peer interaction directly or indirectly. In conclusion, as far as this study understands, when it comes to the young child’s positive peer interaction, development of the young child’s own self regulation is indeed emphasized but in regard to dependent or negative peer interaction, significance of the young child’s intelligence is considered even more importantly. In the light of that, the study suggests that educational support from various angles to make improvements in those influential factors of each type of the peer interaction should be more efficiently offered.

      • KCI등재

        만 5세 남녀 유아의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와 부모의 언어통제유형간 관계

        문혜련,엄정애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9 교육과학연구 Vol.4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와 부모의 언어통제유형이 어떠하며, 특히 유아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 유아의 성별에 따라 두 변인의 관계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부모 160쌍과 그들의 자녀 160명이었으며, 연구도구는 교사가 평정하는 상호작용적 또래놀이 척도와 설문지를 통한 부모의 자기보고 형식으로 이루어진 언어통제유형 측정도구가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상호작용적 또래놀이 양상에서 놀이 상호작용이 가장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성별에 따른 차이는 놀이 상호작용과 놀이 방해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2)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지위적 통제를 가장 많이사용하고 명령적 통제를 가장 적게 사용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부모간 평균 비교결과 어머니가 아버지에 비해 인성적 통제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성별에 따른 차이는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3) 어머니가 명령적 언어통제유형을 사용하는 것과 남아의 놀이 상호작용, 어머니가 지위적 언어통제유형을 사용하는 것과 여아의 놀이 상호작용에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그러나 아버지가 사용하는 언어통제유형과 자녀의 상호작용적 또래놀이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전체적인 놀이상황에서의 유아들의 행동과 부모의 언어통제유형간 관계를 살펴볼 수 있었고, 특히 유아와 함께 시간을 많이 보내는 성인의 영향력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interactive peer play of male and female children, and parents’ verbal control style. 160 children and their parents were selected as subjects in this study. The verbal control style was confirmed by analyzing the parents' questionnaires developed by Do (1997). The interactive peer play was measured by using 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 The obtained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Play interaction was most frequently shown among the interactive peer play, and the play interaction and the play disruption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gender dependent; 2) Mothers and fathers have mostly used position-oriented verbal control and have used imperative verbal control least. Comparison of verbal control style of mothers and father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son-oriented verbal control, but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and 3) Nega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mothers’ imperative verbal control and male children's play interaction. Similar results were found between mothers’ position-oriented verbal control and female children's play interaction. But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fathers’ verbal control and children's interactive peer play.

      • KCI등재

        가족 상호작용과 아동의 또래상호작용 및 사회적 힘이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강병재 ( Byeong Jae Kang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0 아동교육 Vol.19 No.4

        본 연구는 가족 상호작용과 아동의 또래상호작용 및 아동의 사회적 힘이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보기 위하여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371명의 아동과 어머니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아동의 문제행동과 가족 상호작용, 또래상호작용 및 사회적 힘 간의 상관을 산출하였으며,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가족 상호작용과 또래상호작용 그리고 사회적 힘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첫째, 아동의 문제행동은 가족 상호작용, 또래상호작용 및 사회적 힘과는 상관이 있었다. 둘째, 가족 상호작용과 긍정적 또래상호작용 그리고 친사회적 리더십이 높은 경우 아동의 문제행동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정적 또래상호작용과 사회적 지배가 높을수록 아동의 문제행동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dentify the effect of family interaction, children`s peer interaction, and children`s social force on the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 To achieve this goal, the study aimed at 371 children and their mothers. The study calculated a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 and family interaction, peer interaction, and social force. Then, in order to confirm the effect of family interaction, children`s peer interaction, and social force on the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 the study carried out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included the following. First,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 and family interaction, peer interaction, and social force. Second, when family interaction, positive peer interaction, and pro-social leadership were high,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 appeared to be low. Third, the higher the negative peer interaction and the social dominance were, the higher was the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

      • KCI등재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 유형 집단 간 유아의 성별과 기질, 어머니의 심리특성, 가정 내·외적 지원 차이연구

        임현주(Hyun Ju Lim)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또래상호작용 유형 집단 간 유아의 성별과 기질, 어머니의 심리특성, 가정 내.외적 지원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 4차년도(2011)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36개월이상의 유아와 어머니 1,718쌍을 연구대상으로 한다. 데이터를 군집분석하여 유아의 또래상호작용 집단을 구분하였다. 또래상호작용 유형 집단 간 유아의 성별과 기질,어머니의 심리특성, 가정 내.외적 지원은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과 t-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여아는 긍정적 또래와의 상호작용 집단에 해당하는 경우가, 남아는 부정적 또래상호작용 집단에 해당하는 경우가 많았다. 활동성과 사회성의 기질은 긍정적 또래와의 상호작용집단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부정적 기질은 부정적 또래와의 상호작용집단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는 긍정적 또래와의 상호작용집단에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우울, 양육스트레스, 부부갈등은 부정적 또래와의 상호작용집단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남편의 양육참여와 사회적 지원은 유아의 긍정적 또래 상호작용집단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The study investigates differences in child’s sex, temperament, mothe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internal and external support of the home as a function of types of child’s peer interactions. The data of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1718 children, and from their par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2011 by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The study uses the analysis method of descriptive statistics, cluster analysis, and chi-square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girls were often involved in positive peer interaction groups and boys were often involved in negative peer interaction groups. Temperament(activity, sociality) showed higher scores in positive peer interaction groups, Temperament(emotional) showed higher scores in negative peer interactions group.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was high in positive peer interaction groups. Depression, parenting stress and marital conflict showed higher scores in negative peer interaction groups. The husband’s participation and social support were in positive peer interaction groups.

      • KCI등재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오현미(Hyunmi Oh),이유미(Youme Lee) 인지발달중재학회 2020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1 No.1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아의 사회적 기술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과 유아의 사회적 기술의 관계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데에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육아정책연구소(KICCE)의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2014년)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7차년도 조사에 참여한 유아 1,203명과 그들의 담임교사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과 AMOS 22.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모형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은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과 사회적 기술 간의 관계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이를 토대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질 향상을 위한 교사교육을 제안한다.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 of children’s peer play,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children’s social skill and aimed to learn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child interaction in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 of children’s peer play and their social skill. Methods: Materials of the 7th year Korean Children’s Panel (2014) of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were used in the study. The subjects included 1,203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7th year survey and their homeroom teachers. Collected data underwent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alysis of structural model, and path analysis using SPSS 23.0 and AMOS 22.0. Results: The study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1) interaction of children’s peer pla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social skill; (2) interaction of children’s peer play had a positive effect on teacher-child interaction; (3) teacher-child inter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social skill; and (4) teacher-child interaction partly mediated in the effect of interaction of children’s peer play on their social skill. Conclusions: The study suggested the importance of teacher-child inter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 of children’s peer play and their social skills. Therefore, the authors proposed teacher educa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er-child interaction.

      • KCI등재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아 자기조절력의 구조적 관계 분석

        고정리(Go, Jeong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4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와 유아를 대상으로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아 자기조절력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경남 C시에 소재한 유아 254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2018년 11월 5일부터 9일까지 5일간에 걸쳐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설문 자료는 SPSS와 AMOS 프로그램을 이용 하여 분석하였고,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유아 또래놀이 상호작 용,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아 자기조절력의 구조 모형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 또래놀이 상호작용은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자기조절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 고,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유아 자기조절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둘째, 또래놀이 상호작용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교사-유아 간 정서적,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은 유의한 부분매개변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아들이 자기조절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또래놀이 상호작용과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을 원만하게 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tructural relation of preschooler‘s peer play interaction, teacher-preschooler interaction, preschooler self-regul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question investigation was executed. The subject were 254 kindergarten preschooler at C city in gyeong sang nam do while 5 days. To measure preschooler‘s peer play interaction, teacher-preschooler interaction, preschooler self-regulation, measurement tool was made existing tool. On this basis, research material was collected and analyzed. SPSS and AMOS program for data processing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reschooler‘s peer play interaction, teacher-preschooler interaction, preschooler self-regulation structural model paid attention. Preschooler‘s peer play interaction effected on teacher-preschooler interaction, preschooler self-regulation and teacher-preschooler interaction effected on preschooler self-regulation. Second, teacher-preschooler emotional, linguistic, active interaction had part mediator effect attentively in relation of preschooler‘s peer play interaction and preschooler self-regulation. This study present necessity to examine way to improve preschooler‘s peer play interaction, teacher-preschooler interaction for development of preschooler self-regul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various ways to improve preschooler‘s peer play interaction, teacher-preschooler interaction.

      • KCI등재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과 유아기질, 교사변인에 대한 연구

        최선녀(Choi, Seon-Nyeo),오세경(Oh, Se-Kyoung)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7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07

        본 연구는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 집단에 따른 유아기질, 교사변인의 차이와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군집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 회귀분석을 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는 첫째, 유아의 긍정적 또래 상호작용은 유아기질 중 사회성이 상위․중위집단에서 차이가 있었고, 교사변인은 상위집단, 중위집단, 하위집단 순으로 차이를 나타내었다. 부정적 또래 상호작용 또한 유아기질 중 활동성에서 차이가 나타났고, 교수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하위집단, 중위집단, 상위집단 순서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교실환경은 하위집단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또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긍정적 또래 상호작용은 교실환경과 사회성 기질, 교사-유아 상호작용 순으로 영향을 나타냈고, 부정적 또래 상호작용은 교사-유아 상호작용, 활동성 기질, 교실환경, 정서성 기질 순으로 영향력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은 유아기질과 교사변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교사는 유아의 발달특성을 고려한 교실환경의 구성과 긍정적 상호작용을 위한 다양한 교수자료의 비치로 유아와 질 높은 상호작용을 도모할 수 있도록 교수효능감을 높일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differences in infant temperament and teacher variables and its effects on the infant’s peer interactions according to the infant’s group of peer interaction. The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luster analysis, one-way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2.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fant’s positive peer interaction differed among the groups. Among the infant’s temperament, sociality was significant in the higher and middle groups, and teacher variables was significant in the order of lower, middle, and higher groups. Negative peer interaction also showed a difference among the groups. Activity was significant among the infant’s temperament. Teaching efficacy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was significant in the order of lower, middle, and higher groups. The classroom environment was significant in the lower group. Second, positive peer interactions were influenced most by classroom environment, followed by the temperament of sociality,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s. Negative peer interactions were influenced most by teacher-infant interactions, followed by the temperament of activity, classroom environment, and the temperament of emotionality. In conclusion, we analogized that an infant’s peer interaction does differ according to the infant’s temperament and teacher’s variables. Therefore, teachers should consider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infants when creating a classroom environment and prepare various teaching materials for positive interactions in order to enhance teaching efficacy so that they can interact better with inf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