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사-영유아관계가 또래선호와 또래 괴롭힘에 미치는 영향

        윤수정 ( Soo Jung Yoo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연구 Vol.33 No.1

        본 연구는 교사-영유아관계가 또래선호와 또래 괴롭힘에 미치는 영향력과 관련성에 대해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3세, 4세 남아 55명과 여아 47명을 포함한 총 102명의 영유아와 담임교사 10명이다. 교사는 교사-영유아관계와 영유아의 또래 괴롭힘을 보고하였고, 영유아는 또래의 긍정적 지명과 부정적 지명으로 또래선호를 보고하였다. 연구방법은 교사-영유아관계와 영유아의 또래선호, 그리고 또래 괴롭힘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Pearson의 correlation을 산출하였다. 또한 교사-영유아관계가 영유아의 또래선호와 또래 괴롭힘 피해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AMOS 18.0 Program을 이용하여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교사-영유아관계의 친밀감은 또래선호와 정적상관관계, 또래 괴롭힘과는 부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갈등적인 교사-영유아관계는 또래선호와 부적상관관계, 또래 괴롭힘과는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영유아의 또래선호는 또래 괴롭힘과 부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밀한 교사-영유아관계는 영유아의 또래 괴롭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갈등적인 교사-영유아관계는 또래선호와 또래 괴롭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is study establishes and analyzes the statistical correlations between individual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children`s peer preference and peer victimization. Subjects were 102 children (47 girls and 55 boys), all three and four years of age and attending day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and 10 of their teachers. The teachers completed rating scales to measure their perceptions of teacher-child relationships, peer victimization and the children reported on peer preference through positive and negative peer nomination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three categories. Additionally, the effects of teacher-child relationships on children`s peer preference and peer victimization were analyzed according t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AMOS 18.0 Program. Findings indicate that 1) teacher-child relationships characterized by closeness have positiv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children`s peer preference but have negative correlations with peer victimization; 2) teacher-child relationships characterized by conflict for the child have negative correlations with children`s peer preference but have positive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peer victimization; 3) negative correlations are also found between children`s peer preference and peer victimization. Specifically, the effects on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s of closeness to children`s peer victimization and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s of conflict to children`s peer preference and victimization. In sum, the character of individual teacher-child relationships has an influential role in classroom peer preferences and peer victimization.

      • KCI등재

        중학생의 또래관계 변화신념, 사회적 성취목표, 갈등해결전략, 또래관계 질 및 공격성의 관계

        염혜선(Hyeseon Yeom),이은주(Eunju Lee) 한국교육심리학회 2018 敎育心理硏究 Vol.32 No.2

        본 연구는 사회적 성취목표 중 수행접근목표를 인정중심 수행접근목표와 지위중심 수행접근목표로 세분화하여, 각각의 목표유형이 또래관계 변화신념과 갈등해결전략, 또래관계 질 및 공격성의 관계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중학생 613명(남 297명, 여 316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첫째 사회적 숙달목표는 절충전략 및 또래관계 질을 정적으로 예측하였으며, 사회적 인정중심 수행접근목표는 지배전략과 또래관계 질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사회적 지위중심 수행접근목표는 지배전략과 또래관계 질뿐만 아니라 공격성도 정적으로 예측한 반면, 사회적 수행회피목표는 절충전략과 또래관계 질을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둘째, 또래관계 증진신념은 사회적 숙달목표와 절충전략을 매개로 또래관계 질을 높였으나 또래관계 고정신념은 사회적 수행회피목표와 절충전략을 매개로 또래관계 질을 낮추었다. 셋째, 또래관계 고정신념은 여학생들의 사회적 인정중심 수행접근목표에 정적 효과가 있었으며, 남학생들의 공격성에 유의한 정적 효과가 있었다. 사회적 지위중심 수행접근목표는 남학생들의 공격성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또래관계에 대한 신념에 따라 각기 다른 사회적 성취목표를 지향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갈등해결전략의 선택과 사회적 적응 수준이 달라지며 성차에 따라 그 효과가 다름을 확인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social achievement goals with implicit theories of peer relationships as antecedents and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peer relationship quality and aggression as consequences. The participants were 613 first, second, and third graders(297 males, 316 females) enrolled in six middle schools. The results showed that social mastery goal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peer conflict compromise strategy, whereas social approval-focused performance goal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peer conflict domination strategy, although both goal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peer relationship quality. The social status-focused performance goals were positively associated not only with peer conflict domination strategy and aggression but also with peer relationship quality. Social performance avoidance goals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peer conflict compromise strategy and peer relationship quality. As expected, peer relationship incremental beliefs positively predicted compromise strategies and peer relationship quality via social mastery goals. Peer relationship entity beliefs negatively predicted compromise strategy and peer relationship quality via social performance avoidance goals.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in several paths. The peer relationship entity belief positively predicted the approval-focused performance approach goal only for girls, whereas its positive effect on aggression was significant only for boys. The social status-focused performance approach goal had a positive effect on aggression only for boys. The present findings evidenced several mediating mechanisms through which implicit theories of peer relationships had different effects on social adjustment as well as gender differences in these mechanisms.

      • 청소년의 또래관계 질에 미치는공감과 정서표현성의 영향에 대한 고찰

        강유선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3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Vol.13 No.1

        본 연구는 청소년의 또래관계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공감과 정서표현성에 대한 고찰을 하고자 한다. 청소년기의 또래로부터의 수용과 인정을 통한 관계형성은 자아감 발전과 건전한 학교생활 적응에 매우 중요한 요소인 동시에 정신건강에도 영향을 미친다. 반면 또래관계가 제대로 형성되지 못하면 대립과 갈등, 부정적인 상호작용과 같은 적응의 어려움을 겪게 된다. 더욱이 청소년기에 경험하는 또래관계는 성인 이후의 대인관계에까지 영향을 미치므로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다. 이에 여러 영역에서 또래의 영향력이 인식되면서 최근에는 또래관계의 질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래관계가 질적으로 높다는 것은 또래 간에 사회적 기술을 향상시키고, 사회․정서적 지원을 받아 자기개념을 발달시키도록 영향을 주는 친밀한 관계를 의미한다. 이 같은 또래관계 질을 촉진시켜주는 요인들 가운데 공감과 정서표현성이 있으며, 이들의 양상에 따라 또래관계 질이 달라질 수 있겠다. 또한 공감과 또래관계 질을 매개할 수 있는 변인으로 정서표현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공감이 대인관계와 정서인식 및 표현능력 향상에 영향을 줄뿐만 아니라, 자신의 정서를 정확하게 표현하는 것은 원만한 대인관계의 핵심이 된다고 보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감, 또래관계 질, 정서표현성의 관계와 공감이 정서표현성을 매개로 또래관계 질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전체적인 조망을 하고자 한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study the influence of empathy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on adolescents' qality of peer relationship. In addition, this study verified the mediation effects of emotional expressiveness between empathy and qality of peer relationship. By examining the variables between the empathy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we tried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people who are suffering from negative peer relationship. Therefore in this study, by considering the variables between empathy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and by organizing it systematically, we tried to understand the whole outlook on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 KCI등재

        기질이 형제 관계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을 중심으로

        박혜원,김은지 한국인간발달학회 1997 人間發達硏究 Vol.- No.4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형제관계와 또래관계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기질이 형제관계와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참여 학생은 형제가 1명인 초등학교 6학년(213명), 중학교 2학년(192명), 고등학교 2학년(229명)으로 형제관계 검사, 선행연구를 참조로 제작한 또래관계측정검사, 그러고 기질측정검사(EASI: Emotionality, activity, sociability, & Impulsivity)를 받았다. 각 검사의 측정의 내적 합치도 Cronbach's alpha는 형제관계검사의 경우 .67, 또래관계검사의 경우 .77, 그러고 기질검사의 경우 .72로 나타났다. 먼저 연령, 성별, 그리고 출생순위 및 연령터울에 따라 청소년의 기질, 형제관계 그러고 또래관계의 특성을 변량분석을 통해 분석하여 기술하였다. 기질, 형제관계 그러고 또래관계간의 상관을 살펴보기 위해 각각의 검사수행을 요인분석을 통해 도출한 차원으로 정리하여 각 차원간의 상관을 Pearson상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또래 형제관계와 또래관계 각각에 대해 기질, 성별 및 형제지위변인, 그러고 또래관계(또는 형제관계)의 각 차원별 점수를 넣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상대적인 영향을 비교한 결과 기질이 두 사회적 관계모두에 가장 중요한 요인임이 밝혀졌다. 무엇보다도 기질은 형제관계보다 또래관계에 더욱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래 관계가 형제관계에 비해 비록 발달과정상 더 나중에 나타나는 것이지만 선천적인 기저를 지닌 기질의 영향이 더욱 분명한 것은 형제관계에는 부모의 관여에 의한 중재가 관여하지만 또래관계에는 오히려 부모의 관여와 별도로 아동이 동등한 사회관계속에서 기질의 영향이 잘 반영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후속연구에서 2명 이상의 형제를 둔 아동의 역동적 형제관계와 또래관계간의 상관과 이에 미치는 기질의 영향의 분석을 통해 본 연구결과의 일반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중도입국 청소년의 또래관계 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주영아,김현주,윤경주 재외한인학회 2014 在外韓人硏究 Vol.3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pport migrant youths, who came back to their home country after spending some time abroad. The study mainly strives to delve into their peer relationship experience in order to support the adaptation period the migrant youth must face with in order to readapt to Korean society. The research questions are ‘What do the migrant youth experience in the peer relationship?’, ‘What are the helpful factors in the peer relationship?’, ‘What are the risk factors in the peer relationship?’, and ‘What do you need in the peer relationship?’.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6 migrant youths who joined the adolescent program provided by Foundation for Youth with Migrant Background Education Center. One researcher from this study and one doctoral student who is interested in this study conducted the focus group interview. The interviews were all recorded, have transcribed and the researchers categorized the data according to the semantical contents and analyzed the content according to their meanings. Data analysis resulted in 4 main themes, 13 semantic categories, and 25 subcategories. The 4 main themes are the peer experiences in the immigrant process, the helpful factors of the peer relationship after immigration, the risk factors of the peer relationship after immigration, and the needs of immigrant youth in the peer relationship. The helpful factors are the open points of view that accept the differences and personal efforts for making friends. The risk factors are the negative perspective of Koreans, the lack of opportunity to meet Korean friends, the language barrier, and the closed attitudes. The needs are the opportunities to meet Korean friends and the supports of the previous immigrant youth. To conclude, this study revealed the core contents of counseling service for migrant youths to aid their peer relationship. Furthermore, the study provided fundamental data for supporting immigrant youth to adapt into the new cultur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ovided. 본 연구는 청소년기에 중도입국 하는 이주배경 청소년의 또래관계 경험에 대하여 알아봄으로써, 건강한 또래관계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요구를 탐색하여 긍정적인 문화적응 과정을 조력할 수 있는 상담 조력체제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중도입국 청소년의 이주과정에서 또래관계 경험내용은 무엇인가?’, ‘또래관계에서 도움이 되는 점은 무엇인가?’, ‘또래관계에서 어려운 점은 무엇인가?’, ‘또래관계에서 바라는 점은 무엇인가?’ 이다. 연구대상은 이주배경 청소년 지원 기관과 중도입국 청소년 교육 기관에서 제공하는 이주배경 청소년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도입국 청소년 16명이었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진의 연구자 1명과 주제에 관심이 있는 박사과정생 1명이 포커스 그룹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 내용은 모두 녹음하여 전사한 후, 연구자들이 이 자료를 의미범주로 분류하였고 의미범주에 해당하는 하위 내용들을 분석, 분류하였다. 분석결과 4개의 주제와 13개의 의미범주와 25개의 하위내용이 추출되었다. 4개의 주제는 이주과정에서의 또래관계 경험내용, 이주 후 또래관계 형성의 도움요인, 이주 후 또래관계 형성의 위험요인, 또래관계에서 바라는 점이며, 이에 따른 의미범주와 하위범주내용은 또래관계 형성에 도움이 되는 요인으로는 주로 다양성과 차이점을 수용하는 개방적 시각, 또래관계 형성을 위한 개인적 노력 등이며 또래관계 위험요인의 하위범주내용은 한국인의 부정적 시각 인식, 또래와의 지속적 만남 어려움, 언어적 제약, 폐쇄적 태도로 나타났다. 이외 또래관계에서 바라는 점으로는 다양한 또래관계 경험을 원하고, 먼저 이주경험한 선배의 도움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중도입국 청소년의 또래관계 측면에서 필요로 하는 상담조력 서비스 내용을 밝히고, 중도입국 청소년의 사회문화적 적응을 지원하는 다문화상담의 기초자료를 제시하였으며, 제한점과 앞으로의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유아의 공격성, 지배력과 또래관계와의 관련성: 성별을 중심으로

        이승하(Lee, Seungh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0

        본 연구는 유아들의 공격성, 지배력, 또래관계가 맺는 관계를 성별에 따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적, 언어적, 관계적 공격성 및 지배력은 성별에 따라 어떻게 다른가? 둘째, 신체적, 언어적, 관계적 공격성, 지배력, 또래관계와의 상관관계는 성별에 따라 어떠한가? 셋째, 신체적, 언어적, 관계적 공격성, 지배력은 성별에 따라 또래관계를 어떻게 예측하는가? 자료수집은 2015 년 12월 - 2016년 1월에 이루어졌으며, P시의 만4-5세 유아 139명과 그들의 담임교사 11명이 참여하였다. 유아들의 공격성과 지배력은 교사용 설문지를 통해 측정하였고 또래관계(또래수용, 또래거부)는 유아와의 1:1 면담을 통해 측정하였다. 자료수집 이후, 분석은 SPSS 23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루어졌다. 또래관계는 각 유아가 받은 호명횟수를 각 학급별로 코딩한 후 표준화 하였으며, 공격성, 지배력은 원점수를 기록하였다. 각 연구문제에 대한 검증을 위하여, t검정, pearson 상관관계, 단계적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들의 신체적 공격성은 남아에서, 관계적 공격성은 여아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모든 성별에서 신체적 공격성, 관계적 공격성, 언어적 공격성은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고, 지배력과 또래수용, 또래선호와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공격성과 또래관계는 남아에서만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또래수용과 또래선호를 예측하는 변인은 남아의 경우 신체적 공격성, 관계적 공격성, 지배력이었으며, 여아는 지배력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또래를 수용/거부하는데 있어 성별에 따라 서로 다른 행동이 요구됨을 반영한다. 지배력과 공격성을 고려한 교사의 또래관계 지도방안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associations among young children’s aggressive behaviors, dominance, and peer relationships by sex. It has three aims, 1) how do physical, verbal, relational aggression and dominance differ by gender? 2) how are physical, verbal, relational aggression and dominance correlated to peer relationships by gender? 3) how do physical, verbal, relational aggression and dominance predict peer relationships by gender?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2015 to January 2016. One hundred and thirty - nine of 4-5 year old children and their teachers participated. Aggressive behaviors and dominance were measured by their teachers using Teacher Checklist. Peer relationships were measure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 using sociometric measure. The data was analysed by SPSS 23 program. Peer relationships were calculated by the number of nomination which an individual child was nominated by their classmates in peer acceptance and - rejection, and standardized by each class. The raw numbers were used to analyse for aggressive behavior and dominance. To examine each research question, t-test,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regressions were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that 1) boys displayed more physical aggression than girls while girls displayed more relational aggression than boys, 2) physical, relational, and verbal aggression were correlated each other in both sexes. Dominanc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eer acceptance and -preference in both sexes. Aggression was correlated with peer acceptance, - rejection, and - preference only in boys, 3) Peer acceptance and -preference were predicted by physical, relational aggression and dominance in boys, and by dominance in girls. The findings showed that different social behaviors required to obtain peer status between boys and girls. Teachers should be aware of the sex differences of behavioral correlates in children’s peer relationships when guiding them.

      • KCI등재

        초기 청소년들이 지각하는 부모-자녀관계가 또래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 성차를 중심으로

        양영화,정주리 한국청소년학회 2017 청소년학연구 Vol.24 No.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gender differences in early adolescents’perception of their relationship with father and mother,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and to investigate whether their relationship with father and mother predicts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A total of 697 fifth- and sixth-grade students (334 male students and 363 female students) participated in a survey. The results of one-way ANOVA indicated that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in positive peer relationship, negative peer relationship, parents’excessive expectations for the child, and mother’s tolerance towards the child. The results of linear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for male students, emotional closeness with father, and authoritarian parental control significantly predicted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For female students, emotional closeness with mother, mother’s tolerance towards the daughter, and authoritarian parental control predicted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and the suggestions to improve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by intervening in parent-child relationships were provided. 본 연구는 초기 청소년들이 지각하는 부와의 관계, 모와의 관계, 또래관계 질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고, 각 성별집단에서 부와의 관계, 모와의 관계 하위요인들이 자녀의 긍정적 및 부정적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 6학년 남녀학생 총 69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긍정적 또래관계, 부정적 또래관계, 부 과잉기대, 모 과잉기대, 모 허용지원에서 자녀의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남녀학생 모두 공통적으로 부모 친밀지지, 부모 간 관계, 부모 허용지원은 긍정적 또래관계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부정적 또래관계와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부모 권위통제, 부모 과잉기대는 긍정적 또래관계와 유의한 부적상관을, 부정적 또래관계와 정적상관을 나타났다. 셋째, 남학생의 경우, 부 친밀지지, 모 권위통제가 긍정적 또래관계를 예측하였고, 부 친밀지지, 부모 권위통제가 부정적 또래관계를 예측하였다. 여학생의 경우, 모 친밀지지와 모 허용지원이 긍정적 또래관계를, 부모 권위통제가 부정적 또래관계를 예측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부모-자녀관계를 개선함으로써 초기 청소년들의 또래관계 질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동기와 또래관계 기술과의 관계 연구

        채경선,정윤주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15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4 No.1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가 보편화되면서 SNS의 무분별 한 사용은 청소년들의 또래관계 기술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청소년의 SNS 이용실태와 SNS 이용동기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 역시 커지는 시점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현황을 파악하고, 청소년들 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동기와 또래관계 기술 사이의 관련 양상을 조사하였다. 이 를 통해 청소년들의 무분별하고 중독적인 SNS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을 미리 예방하는 데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중 고등학생들 2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소셜 네트워크 이용동기 척도와 또래관계 기술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통계 적 분석방법은 먼저 조사 대상자의 성별, 학년, 그리고 소셜 네트워크 이용동기를 알아 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소셜 네트워크 이용동기와 또래관계 기술과 어 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또래관계 기술에 영향을 미치는 이용동기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과 관련하여 여학생, 남학생 모두는 먼저 이용 상의 편의와 기분전환을 위해 SNS를 사용하고 있다. 다음으로는 정보전달·정보획득을 위 해, 그리고 의사소통·상호작용을 위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둘째, 청소년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동기와 또래관계 기술의 하위영역별 상관 관계를 살펴보면, 청소년의 SNS 이용동기 중 ‘현실탈피·가상적 자아형성’ 동기가 높을 수록 또래관계 기술이 낮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청소년의 SNS 이용동기 중 ‘정보전 달·정보획득’ 동기, ‘인맥형성·관계 유지’, ‘사회적 의사소통·상호작용’, ‘이용편리’에 대한 동기의 높고 낮음이 또래관계 기술인 주도성과 협동, 공감 능력과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 목표가 사람들 간의 관계 형성이라는 점을 전제한다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이 사회적 의사소통과 상호작용과 같은 또래관계 기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당연한 결과일 것이다. 그러나 현실탈피를 위한 동기에서 사용하는 것은 오히려 또래관계 기술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이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의 주된 목적을 해치는 이유가 될 수 있다. As the social network service becomes universal, the indiscreet use is likely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peer relations skill of adolescents. And also the necessity of the study on the SNS excessive use or the use motive of SNS is becoming large. Hereupon in this study the relation between peers among the relationship skill, the basic meaning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 and the use motive of the adolescent social network was examined.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d the social network use status of adolescents and examined what relationship existed between the social network use motive of adolescents and the peer relation skill. It would be a guideline to prevent the side effect by the indiscreet and addictive use of the social network by adolescents, which is rapidly increasing. For this study, we conducted a survey of 230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In the process, social network service incentive measurement and peer relation technical measurement are used. Statistical analysis method for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of all we find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and also research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network service incentive measurement and peer relation technical measurement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were using the social network service for a change because it was convenient. They were using the social network for the information delivery, information acquisition,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Second, to look at the correlation by sub-domains of the adolescent social network use motive and peer relationship skill, as the motive of ‘reality departure, virtual ego-formation’ was high among adolescent social network use motives among the adolescent social network use motives was high, the peer relationship skill was low. As the motive on the ‘information delivery/ information acquisition’, ‘personal connection formation/ relationship maintenance’, ‘social communication/ interaction’, and ‘use convenience’ was high among adolescent social network use motives, it was related to the initiative, cooperation, and sympathy which were the peer relationship skill. Although it is a natural result that the social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eer relationship skill among the use motives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 when the use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 is the relationship formation among people. But when it is used as a motive for escaping from the reality, the youths rather experience the low peer relationship skill, which can be a reason for impairing the primary purpose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

      • KCI등재후보

        생활도우미활동이 장애학생에 대한 일반학생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강성구 국립특수교육원 2005 특수교육연구 Vol.12 No.2

        이 연구는 일반중학교에서 장애학생의 학급생활을 돕기 우해 활용되어지고 있는 생활도우미 활동이 장애 학생에 대한 일반학생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통합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일반중학교 1개교(208명)를 대상으로 학급배치요인(장애학생과 같은 반/다른 반)과 또래관계개입요인(개입 유/무)을 기준으로 집단을 구분하고, 또래관계 질문지를 통해 또래관계를 전체 점수와 하위 점수(공유활동, 친사회적행동, 친밀감, 애착ㆍ자존심ㆍ고양, 신의, 갈등)로 환산하여 각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1. 학급배치요인(physical proximity)은 일반학생과 장애학생의 친밀감을 감소시키지만 갈등도 감소시켰다. 그 효과는 미미하다. 2. 또래관계개입요인(peer-relationship intervention)은 일반학생과 장애학생의 또래관계에서 갈등을 제외한 대부분 영역에서 또래관계 점수를 높여주었다. 3. 또래관계점수는 학년에 영향을 받았고, 상호작용효과는 학년과 학급배치요인 간에 두드러졌다. 그러나 또래관계 점수는 성별에는 영향 받지 않았다. 따라서 통합교육환경에서 단순히 학급배치만을 고려하는 것은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또래관계개선에 큰 도움이 되지 못했다. 그렇지만 생활도우미활동을 실시했을 때 또래관계개입을 함께 고려하면 또래관계를 개선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The objects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ffects of Peer helper activity which are related with the non-disable student's peer relationship with disable student. I took sampling 208 students who went to N School which progress peer-helper activity, surveying and analyzing it according to proximity, peer relationship intervention, grade, sex. The peer-helper activity effects remarkably on non-disable student's peer relationship with disable student. However, there is some question in building up the in creasing non-disable student's peer relationship with disable student which is only peer-relationship intervention. The remarkably peer-helper activity's effects is peer-relationship intervention and a chance which interact with disable students. and The grade interacts significantly with Physical proximity and has main effects but, The sex does not interact significantly with any ones and does not have main effects. Come to the Conclusion that activity which is only refer to proximity is not helpful to non-disable student's peer relationship with disable student but that activity which is refer to both Physical proximity and peer-relationship intervention is helpful to non-disable student's peer relationship with disable student.

      • KCI등재

        형제자매 괴롭힘 경험과 내면화 문제간의 관계에서 친구관계의 질에 의해 조절된 또래 괴롭힘 경험의 매개효과-일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김진구,김은하 한국상담학회 2017 상담학연구 Vol.18 No.2

        Given siblings play an important role on the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and sibling interactions are often carried into peer contexts, this study examined sibling bullying and peer bullying. More specifically,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role of peer bullying experience (perpetration and victimization) in underl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ibling bullying experience (perpetration and victimization) and internalizing problems among Korean children. In addition, the role of friendship quality to serve as a moderator between sibling bullying experience and peer bullying experience was investigated. Among a sample of 536 Korean children in grades 3∼6, mediated moderation analyses using SPSS Macro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peer bullying perpetra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ibling bullying perpetration and internalizing problems, friendship qualit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ibling bullying perpetration and peer bullying perpetration, and the interaction of sibling bullying perpetration and friendship quality influenced internalizing problems through peer bullying perpetration, which supported the mediated moderation Such findings indicate that those children who perceived their friendship quality to be low are vulnerable to internalizing problems because they are likely to bully their peers if they bullied their siblings, whereas those children with high friendship quality are not vulnerable to internalizing problems because they tend not to bully their peers even if they bullied their siblings. Second, peer bullying victimiza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ibling bullying victimization and internalizing problems. However, friendship quality did not moderate the association between sibling bullying victimization and peer bullying victimization, suggesting that children who were bullied by their siblings are at a great risk for peer bulling victimization regardless of their friendship quality. This is the first empirical study that suggests that sibling bullying influences internalizing problems through peer bullying and that friendship quality can prevent children who experienced sbiling bullying from experiencing peer bullying and internalizing problems.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사회발달에 있어 형제가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 그리고 형제자매간의 상호작용이 또래와의 상호작용으로 이어진다는 점을 고려하여 가정 내와 학교에서 발생하는 형제자매 괴롭힘과 또래 괴롭힘을 함께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초등학생이 인식한 형제자매 괴롭힘 경험(가해, 피해)과 또래가 인식한 내면화 문제간의 관계에서 친구관계의 질을 통한 또래 괴롭힘 경험(가해, 피해)의 매개된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536명의 초등학교 3∼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형제자매 괴롭힘 경험, 친구관계의 질, 또래 괴롭힘 경험, 내면화 문제를 측정하였고, SPSS Macro를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 괴롭힘 가해 경험이 형제자매 괴롭힘 가해 경험과 내면화 문제간의 관계를 매개하고, 친구관계의 질이 형제자매 괴롭힘 가해 경험과 또래 괴롭힘 가해 경험간의 관계를 조절하며, 형제자매 괴롭힘 가해 경험이 내면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친구관계의 질에 의해 조절된 또래 괴롭힘 가해 경험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친구관계의 질이 낮은 아동은 형제자매를 괴롭힌 경험이 있으면 또래를 괴롭힐 가능성이 높아 내면화 문제에 취약하지만, 친구관계의 질이 높은 아동은 형제자매를 괴롭힌 경험이 있어도 또래를 괴롭힐 가능성이 낮아 내면화 문제에 덜 취약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또래 괴롭힘 피해 경험은 형제자매 괴롭힘 피해 경험과 내면화 문제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친구관계의 질은 형제자매 괴롭힘 피해 경험과 또래 괴롭힘 피해 경험을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형제자매에게 괴롭힘을 당한 아동은 친구관계의 질이 높아도 또래에게 괴롭힘을 당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형제자매 괴롭힘이 또래 괴롭힘을 매개로 내면화 문제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증명했다는 점 그리고, 친구관계의 질이 형제자매 괴롭힘을 경험한 아동의 또래 괴롭힘과 내면화 문제를 예방하는데 효과가 있다는 점을 밝혔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