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의 또래놀이 접근 및 수용 행동과 감정조망수용능력 간의 관계

        성인순,이승연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4 교육과학연구 Vol.4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또래놀이 접근 및 수용 행동과 감정조망수용능력의 양상을 알아보고, 이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 지역의 유치원에 다니는 만 4세반 유아 102명이었으며, 연구방법으로는 여러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재구성한 관찰범주를 통해 또래놀이 접근 및 수용 행동을 관찰하였고, Denham과 Couchoud(1990a)의 도구를 수정.보완하여 감정조망수용능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들은 또래놀이접근 시 진입 요청하기를, 또래놀이수용 시 적극적 수용을 가장 많이 하였으며, 또래놀이 접근행동과 수용행동 간에는 유아들의 적극적.소극적인 성향에 따라 부분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개별 유아마다 자주 사용하는 1~2개의 상용적인접근 혹은 수용행동이 있었다. 둘째, 또래놀이 접근행동 중에서는 제안하기만이 감정조망수용능력과 정적상관이 있었으며, 또래놀이 수용행동 중 적극적 수용 및 조건부 수용은 감정조망수용능력과 정적상관이, 소극적 수용 및 무시는 감정조망수용능력과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general trends in young children’s peer play access/acceptance behaviors and affective perspective taking ability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them. The subjects were 102 four-year-old children from two kindergartens in Seoul, Korea, and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bservations of peer play access/acceptance behaviors and tests of a modified ‘Ability to Identify Emotion in Equivocal Situations’ developed by Denham and Couchoud (1990a).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our-year-old children showed ‘entry request’ most when accessing peer play and displayed ‘active acceptance’ most when accepting peers in play; partial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access behaviors and acceptance behaviors, reflecting the child’s active or passive disposition. In addition, it seems that each child had one or two special access/acceptance behaviors in his/her habitual use. Second, among peer play access behaviors, only ‘suggesting’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ffective perspective taking ability. Among peer play acceptance behaviors, ‘active acceptance’ and ‘conditional acceptance’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affective perspective taking ability, while ‘passive acceptance’ and ‘ignoring’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it.

      • KCI등재

        유아 또래놀이 상호작용과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간의 상호관계에서 유아 외현화 문제행동의 종단적 매개효과 검증

        최지은 ( Choi Jieu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연구 Vol.41 No.4

        본 연구는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활용하여 유아 또래놀이 상호작용과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간의 상호관계에서 유아 외현화 문제행동의 종단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조사 5차년도(2012년)부터 7차년도(2014년)까지의 총 3차 년도 종단자료를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이전 시점의 유아 또래놀이 상호작용, 외현화 문제행동,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각각은 이후 시점에 지속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또래놀이 상호작용과 외현화 문제행동, 그리고 유아 외현화 문제행동과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간에 직접적인 상호관계가 유의하게 나타난 반면, 유아 또래 놀이 상호작용과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간에는 직접적인 상호관계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이전 시점의 유아 또래놀이 상호작용과 이후 시점의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그리고 이전 시점의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이후 시점의 유아 또래놀이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유아 외현화 문제행동은 유의한 종단매개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 또래놀이 상호작용, 외현화 문제행동,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간의 시간에 따른 상호관계를 구체적으로 탐구함으로써 교사의 지원방향 및 방법과 구체적인 부모교육에 대한 유용한 기초정보를 제공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ongitudinal mediating effect of children’s externalizing behavi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play interactions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The data were drawn from the fifth to seventh waves of longitudinal data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by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Results from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demonstrated the following. First, peer play interactions, children’s externalizing behaviors,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at an earlier point significantly predicted peer play interactions, children’s externalizing behaviors,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at a later point respectively. Second, evidence for reciprocity in the peer play interaction-externalizing behaviors relationship, and children’s externalizing behaviors-maternal parenting stress relationship was established, while the evidence for reciprocity in the peer play interaction-maternal parenting stress relationship was not found. Third, cross-age associations among the variables were observed: negative peer play interactions at an earlier point significantly predicted higher maternal parenting stress at a later point, and vice-versa with the moderation effect of children’s externalizing behavi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help to facilitate supportive parent education in preschool settings to enhance peer competence, protect against externalizing behaviors, and reduce maternal parenting stress.

      • KCI등재

        유아의 사회적 기술, 또래놀이 상호작용과 사회적 놀이 행동 간의 관계

        신은수 ( Eun Soo Shin ),권미경 ( Mi Kyung Kwon ),정현빈 ( Hyun Been Jeong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0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7 No.4

        본 연구는 유아의 사회적 기술, 또래놀이 상호작용과 사회적 놀이 행동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I 광역시 공립유치원 4기관에 재원하는 만 5세 유아 82명을 연구대상으로 사회적 기술,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대한 교사 평가를 실시하고, 유아의 사회적 놀이를 자유선택활동시간에 관찰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상관 계수와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사회적 기술과 사회적 놀이 행동의 하위요인에서 의미 있는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혼자놀이는 자기통제, 대인관계 기술, 언어적 주장과 부적 상관이, 내재적 문제행동과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협동놀이는 언어적 주장과 부적 상관이 나타났고, 학구적 행동은 외현적 문제 행동과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또한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과 사회적 놀이 행동의 하위요인에서 의미 있는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혼자 놀이는 놀이 상호작용과는 부적 상관, 놀이 단절과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고, 협동 놀이는 놀이 상호작용과 정적 상관, 놀이 단절과는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학구적 행동은 놀이 방해, 놀이 단절과 모두 부적 상관이 나타났고, 비놀이 행동은 놀이 상호작용과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기술과 사회적 놀이 행동의 관계에서는 언어적 주장이 혼자놀이를 부적으로, 협동놀이를 정적으로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또래놀이 상호작용과 사회적 놀이 행동의 관계에서는 놀이 단절이 혼자놀이를 정적으로 예측하는 변인으로, 놀이 방해가 학구적 행동을 부적으로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skills, peer play interactions and social play behaviors. The subjects were 82 public kindergarten children in I city. The social skills and peer interactions was rated by their teachers using the SSRS(Social Skills Rating System) of Fantuzzo, Manz, et al. and PIPPS(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 of Fantuzzo, Coolahan, et al. Children`s social play behaviors were observed during free play time and coded by criteria of Robinson et al. and Parten. The collected date were analyzed by Pearson r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skills and social play behaviors, and between peer play interactions and social play behaviors. Second, verbal assertion was negative factor in predicting solitary play and positive factor in predicting collaborative play. Third, play connection was positive factor in predicting solitary play and play disruption was negative factor in predicting academic behaviors.

      • KCI등재

        부모공동양육이 유아의 가정 및 기관에서의 문제행동성향과 또래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종훈(Kim, Jong Hoon),이효림(Lee, Hyo Rim),이희연(Yi, Hee 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2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만 3, 4, 5세 유아와 그들의 어머니 및 교사를 대상으로 어머니가 인식하는 부모공동양육 유형이 가정 내 유아에게 어떠한 문제 행동으로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가정 내에서 관찰되는 유아의 문제행동 유형이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문제행동과 어떠한 관련이 있으며 최종적으로 유아의 또래놀이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자료수집은 예비조사 후 2017년 4월에 실시하였으며, 연구대상은 유아교육기관 교사 87명과 유아 및 어머니 468명이다. 연구결과는 첫째, 부부공동양육 유형 중 비난은 가정 내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에 긍정적 영향, 일치는 외현화 문제행동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가정 내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은 기관에서도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에 각각 영향을 미쳤다. 셋째, 교실에서의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은 유아의 놀이방해에 긍정적인 영향, 외현화 문제행동은 놀이방해, 놀이단절에 긍정적인 영향, 놀이상호작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부모공동양육 유형 중 비난은 유아의 또래놀이 관계 중 놀이 상호작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놀이단절에는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순차적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behavior problems the preschoolers according to the co-parenting’s type, the preschoolers’ behavior problems observed at home is related with behavior problem in preschool, and effect the behavior problem have on peer play behavior. This study analyzed the response results received from 87 teachers of the preschoolers aged 3~5 in preschooler, 468 preschoolers and their mother. First, among the co-parenting’s type, reproach had positive effect on the preschoolers’ behavior problem at home while conformity negative effect on the preschoolers’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 Second, Preschoolers’ behavior problems at homes also effect on behavior problems in preschool. Third, Preschoolers’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in classrooms a positive effect on play disturbance behavior,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 a positive effect on play disturbance and play disconnection but a negative effect on play interaction. Fourth, the results of sequential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showed that the reproach, among the co-parenting’s types, a negative effect on the play interaction among the preschoolers’ interactive peer play relationship but play a positive role in the preschoolers’ play disconne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able to be use as a theoretical basis for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for co-parenting for adaptation of preschoolers to educational institutes and reduction of their behavior problems.

      • KCI등재후보

        어머니의 놀이신념 및 양육행동과 유아의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와의 관계

        이진화(Lee Jin Wha)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2009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어머니의 놀이신념, 양육행동과 유아의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유아의 사회적 능력을 증진시키는 데 있어서 중요한 환경인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에서의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양육행동이 갖는 중요성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유치원 세 곳의 만 4세 유아 146명의 어머니와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보면, 어머니의 놀이지지신념은 양육행동의 과보호․허용행동을 제외한 세 개의 하위 영역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끼치는 변인이었다. 또한 어머니의 놀이지지신념은 상호작용적 또래놀이 중 긍정적 형태인 상호적 또래놀이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다. 어머니의 놀이신념 및 양육행동이 유아의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어머니의 놀이지지신념만이 상호적 또래놀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나서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유아의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긍정적인 유아의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의 증진을 위해 어머니의 놀이지지신념을 형성과 실제 놀이지지신념이 양육행동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지원 방안이 논의되었다. The current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belief of play and child rearing and the interactive peer play of their children in early childhood. Self-report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146 children's mothers and 7 teachers, from which some implications were concluded through the data analysis. The mothers’ beliefs of play, in particular play support beliefs, showed both positive and negative co-relation with their child rearing behavior except over-protection and passive permission. Their play support beliefs were also shown to tak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ype of interactive peer play, however, the mothers’ child rearing behavior, by contrast,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effect on it. Finally, a need was identified and discussed to develop parent education and involvement programs, through which mothers can build their play support belief and reflect it in their child rearing behavior.

      • KCI등재

        질적 메타분석을 통한 또래놀이 맥락에 따른 영아의 사회적 행동

        천희영(Hui Young Chun),이미란(Mi Ran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3

        목적 본 연구는 영아의 놀이를 질적으로 분석하고 있는 연구를 대상으로 한 질적 메타분석을 통해 또래놀이 상황에서의 영아의 사회적 행동을 고찰하여 또래놀이에서의 영아의 사회적 행동의 내용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목적을 이루기 위해 영아의 놀이를 질적 접근방법으로 다루고 있는 연구 중 2010년부터 2020년 사이에 전문학술지에 게재된 9편의 연구를 추출하여 Noblit와 Hare(1988)가 제시한 질적 메타분석 7단계 절차에 따라 개별 연구의 내용을 분석하여 또래놀이에서의 영아의 사회적 행동을 개념화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또래놀이 맥락에 따른 영아의 사회적 행동이라는 주제 아래, 또래놀이의 시작, 또래놀이의 유지 및 확장, 또래놀이의 방해 및 중단의 또래놀이 맥락의 세 범주가 도출되었다. 이 범주는 관심보이기, 놀이합류, 모방, 공유, 돕기, 놀이확장, 놀이합류 거부, 또래갈등 경험, 또래갈등 해결 등의 9개의 핵심개념과 28개의 하위개념으로 구분하였다. 결론 영아는 또래관계 형성에 기초한 또래놀이의 시작, 또래놀이의 유지 및 확장, 또래놀이의 방해 및 중단 등의 또래놀이 맥락에 따라 다양한 사회적 행동을 한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intended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contents of infant s social behavior in peer play by examining the social behavior of infants in peer play through qualitative meta-analysis of studies that qualitatively analyze infant play. Methods Among the studies dealing with infant play qualitatively, 9 studies published in professional journals between 2010 and 2020 were extracted and the contents of individual studi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seven-step procedure of qualitative meta-analysis suggested by Noblit and Hare (1988). By analyzing it, the social behavior of infants in peer play was conceptualized. Results According to the social behavior in the context of peer play, three categories were derived: initiation of peer play, maintenance and extension of peer play, and disturbing and interruption of peer play. This category was divided into 9 core concepts and 28 sub-concepts, such as showing interest, joining play, imitation, sharing, helping, expanding play, refusing to join play, experiencing peer conflict, and resolving peer conflict. Conclusions Infants engage in various social behaviors according to the context of the start of peer play based on the formation of peer relationships, maintenance and expansion of peer play, and disturbing and interruption of peer play.

      • 어머니 훈육방식과 유아 또래놀이 상호작용 및 문제행동 간의 관계

        홍혜진,김경숙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7 No.-

        본 연구는 어머니의 훈육방식과 유아 또래놀이 상호작용 및 문제행동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G시의 유치원에 다니는 만 4, 5세 유아 296명과 그 유아들의 어머니 296명이었다. 본 연구를 위해 어머니의 훈육방식 척도,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 척도, 유아의 문제행동 척도가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PC+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놀이방해와 놀이단절 점수는 만 4세아가 만 5세아 보다, 놀이 상호작용 점수는 만 5세아가 만4세아 보다 높았으며 놀이상호작용에서는 여아가 남아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얻었다. 둘째, 만 5세 유아보다만 4세 유아의 적대공격성, 걱정불안, 과잉행동산만 점수가 더 높았으며 남아가 여아보다 적대공격성 및 과잉행동산만 점수는 높았다. 셋째, 어머니의 강압적 체벌은 유아의 놀이방해 및 놀이단절과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놀이상호작용과는 부적 상관관계에 있었다. 넷째, 어머니의 논리적 설명은 유아의 놀이방해와 부적 상관을 보였고, 어머니의 방임은 유아의 놀이단절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놀이상호작용과는 부적상관관계가 있었다. 어머니의 강압적 체벌은 유아의 적대공격성 및 과잉행동산만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방임은 과잉행동산만과 유의미한 정적상관관계에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과 문제행동의 개선을 위해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유아의 수줍음 기질에 따라 놀이시간에 나타난 의사소통 양상과 또래놀이 가입행동 간의 관계

        김언경(Kim, Eon-kyung),박신영(Park, Seen-Young)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1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유아의 수줍음 기질 성향에 따라 놀이 시간 동안 나타난 의사소통 양상과 또래놀이 가입행동간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만 4세 유아 52명이며, 담임교사에게 대상 유아의 수줍음 기질을조사한 후 놀이 상황에서 대상 유아의 의사소통 기술과 또래놀이 가입행동을 관찰하여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수줍음에 따라 언어, 비언어 시도와 대상에게 표현하는 전달의 명료성에서 집단 간차이를 보였다. 둘째, 수줍음이 많은 유아가 상대적으로 교사와 함께 놀이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배회하기시도를 많이 하고, 참여 시도에 대한 비유관, 무반응을 받았다. 반면 수줍음이 적은 유아는 놀이 전향이나공격적 시도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의사소통 양상과 또래놀이 가입행동 간의 관계에는수줍음의 정도와 상관없이 부적절한 언어 시도와 무시나 거부와 같은 반응을 얻어낸 결과가 일부 유사하게나타났으나 사용하는 의사소통 전략, 또래놀이 가입행동 유형은 다른 관련성을 보였다. 기질적으로 수줍은유아의 의사소통 양상과 또래놀이 참여 시도에 대한 이해를 통해 사회적 의사소통 기술을 지도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communication patterns and their entry behaviors into a play group during free-play time according to their shynes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52 4-year-old children. Data was collected on the children by observing their communication patterns and entry behavior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firstly that based on shyness, children exhibited different levels of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skills and the clarity of their expressions. Secondly, shy children tended to play with the teacher or wandered without much interaction with others; attempts to participate in group activities often resulted in no actual reactions or responses to other children. In contrast, children who were less shy attempted to change the play they were engaged in directly or were more aggressive to their peers. Thirdly, based on these behaviors, it can be observ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patterns and entry behaviors showed that they often had similar results, such as the use of inappropriate language in attempts to communicate or neglect and rejection from their peers. However, the communication strategies used and the type of peer-play participation behavior that they displayed differed. The understanding of young children’s communication patterns and their attempts to participate in play with their peers based on their shyness will help teachers guide young children’s communication skills.

      • KCI등재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른 양육태도, 모-자녀상호작용,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 및 문제행동 간의 관계

        최혜란(Hea-Ran Choi),유지아(Ji-A Yoo),김선미(Seon-Mi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3

        연구는 육아정책연구소에서 제공하는 한국아동패널 6차년도(2013)데이터를 사용하여 유아기 자녀를 둔 1614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취업여부에 따른 양육태도, 모-자녀상호작용,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관계없이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태도가 높을수록,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높을수록 유아의 내재화, 외현화 문제행동이 모두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취업모의 경우 모-자녀상호작용이 유아의 내재화, 외현화 문제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비취업모의 경우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쳐 자녀와 상호작용이 많을수록 유아의 내재화, 외현화 문제행동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유아의 다양한 문제행동을 예방하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이나 아동․가족 상담현장에 실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tried to look into influences to parenting style, mother-child interaction, child interactive peer play, and problem behaviors according to employment status by objecting 1,614 mothers having young child and also using Korea Child Panel 6th Year data (2013) having been provided from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Regarding collected dat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by using SPSS 18.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much as warmth parenting style of mothers and child peer play interaction were high regardless of mothers’ employment status, child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appeared to be decreased.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employed mothers and unemployed ones because mother-child interaction did not affect significant influences to child internalizing,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in case of employed mothers, but child internalizing,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were turned up to be increased as much as mother-child interaction was larger by affecting significant influences in case of unemployed mothers. Based on above finding, this study has a meaning in that it provides a basic data which could be actually utilized to parent education program in order to prevent various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or child & family counseling field.

      • KCI등재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놀이방해 행동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

        박소영(Park, So-Young),임여정(Lim, Yoe-Jeo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20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유아의 또래 유능성과 자기조절력이 놀이방해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유아의 놀이방해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서울·경기 소재 유아교육기관에 재원중인 유아 510명을 대상으로 교사용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처리는 SPSS 22.0을 이용하여 상관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및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의 또래 유능성, 자기조절력, 놀이방해 행동 간에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또래 유능성이 놀이방해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조절력의 하위요인인 자기통제력, 충동성 억제, 주의집중력 모두에서 완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유아의 또래 유능성이 자기조절력의 매개적 역할로 놀이방해 행동을 완화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중시하는 유아교육현장에서 또래 유능성이나 사회적 기술에 대한 지원과 더불어 개별 유아의 자기조절력을 높이는 노력을 통해 놀이방해 행동을 완화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regulation on the relation between peer competence and play disturbance behavior. The subjects were 510 3-5 year-olds attending preschool in Seoul and Gyeonggi,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ir teachers. Pearson’s correlation, hierarchical regression, Sobel Test were used for the analysis with SPSS 22.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eer competenc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hildren’s self-regulation, while peer competenc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lay disturbance behavior. Self-regula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lay disturbance behavior. Second, self-regulation. have fully mediated effect on relationship between the peer competence and play disturbance behavior. This results is significant in that it was confirmed that it is possible to alleviate play disturbance behavior through efforts to increase self-regulation of children as well as support for peer competency and social skil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