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문식성 교육을 위한 학습자 프로파일 구성 요소 탐색

        서수현 ( Soo Hyun Seo ),옥현진 ( Hyoun Jin Ok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4 청람어문교육 Vol.52 No.-

        매체 환경과 사회경제 구조가 급변하면서 문식성 교육의 내용과 방식에도 변화가 필요해졌다. 변화의 요구를 반영하여 그동안 학계에서도 문식성 개념과 문식성 교육 내용을 재정립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해 왔으나, 상대적으로 그 방법에 대한 연구는 부족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문식성교육 방법에 대한 논의의 출발점으로서 문식성 학습자에 대한 인식 변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하고, 문식성 학습자를 보다 총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문식성 학습자 프로파일이라는 개념을 제안하였다. 디지털 문식성 교육을 전제로 하여 제안한 이 문식성 프로파일은 크게학습자의 학습심리적 요소와 디지털 문식성 학습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문싟어 후원자 요소로 구성된다. 디지털 문식성 학습자 프로파일은 문식성 교육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데 있어서 필수적으로 참고해야 할 학습자에 관한 일체의 정보를 의미한다. 이 연구에서 제안한 학습자 프로파일이 개별화된 문식성 교육을 실행하고 학습자의 주체성을 신장하는 데 일차적인 자료로 기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s media environments and socioeconomic structure changes rapidly, so does contents and methods of literacy education. Responding to the needs, researchers have suggested how literacy can be reconceptualized and how the contents of literacy education can be reorganized. But few research has focused on how new literacy can be taught. So this study, as a starting point of the question toward how to teach new literacy, suggested the concept of ‘literacy learner profile’ as a set of core information about a literacy learner, which would promote individualized education and help learners grow as active participants in literacy practices. This study tried to suggest an idea about how the profile can be composed and, as a part of it, specify learner’s attitude as a component of the profile.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have been made at the end such as studies on the components of the profile, tools for survey, and application of the profile to daily literacy learning.

      • KCI등재

        초등 고학년 학생들의 디지털 문식 활동에 대한 가치 인식과 참여 양상의 관계

        옥현진,서수현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5 한국초등국어교육 Vol.59 No.-

        As an effort to provide a meaningful information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this study aimed to explore upper elementary students’ value of and participation in digital literacy practic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lue and the participation. 789 elementary students across the country at 5-6 grade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y showed a middle or lower level of value to digital media and digital literacy practices; their willingness to digital literacy participation was also much less active than expected; finally only 15.3% of the participation was explained by the value. Implication from the study is, firstly, the concept of ‘digital natives’ needs to be re-examined based on empirical data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elementary digital literacy learners; secondly, diverse digital literacy practices needs to be introduced in the class considering some of the digital literacy practices were neglected; thirdly, other components to facilitate digital literacy practices need to be explored considering limited explanation of the value.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학습자들의 디지털 문식 활동에 대한 가치 인식과 참여양상, 그리고 이들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보다 학습자 친화적인 디지털 문식 교육 실행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전국 789 명의 초등학교 5-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5-6학년 학생들은 디지털 문식 활동에 있어 보통 수준 또는 그 이하의 가치를 부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디지털 문식 활동에 대해서도 다소 소극적인 참여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문식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이와 같은가치 인식은 실제 참여 빈도의 15.3% 정도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디지털 원주민’이라는 개념이 막연한 수준에서 당연한 것으로받아들여지기보다는 실증적 분석을 통해 보다 구체화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점, 디지털 문식 활동 간에도 참여 양상이 다르게 나타나는 만큼 학생들의 참여가부진한 문식 활동에 대한 교육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는 점, 디지털 문식 활동에 대해 가치를 강조하는 것만으로는 학생들의 문식 활동을 담보하기 어려운 만큼실제 디지털 문식 활동을 유도할 수 있고 행동으로 이끌 수 있는 요인들에 대한실증적 연구가 요구된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문식성 변화와 디지털 읽기·쓰기 수업의 방향

        방상호 ( Pang Sangho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7 한국어문교육 Vol.23 No.-

        이 논문에서는 디지털 테크놀로지로 인하여 문식성 개념 및 관습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그 구체적 양상을 살펴보았다. 특히 디지털 텍스트의 네 가지 고유 속성으로 인해 유도되고 있는 새로운 문식성 개념(복합문식성, 초월문식성, 신문식성 관점, 구성적·반응적 읽기, 증강 읽기, 소셜문식성)의 출현이 전통적인 읽기·쓰기 개념 및 관습과 어떻게 관련되는지 검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디지털 읽기·쓰기 수업에 혁신적인 교육목표와 교수·학습 방법을 도입하기보다는, 전통적인 목표와 교수·학습 방법을 중심으로 새로운 문식성 개념 및 관습을 통합하는 쪽으로 방향을 설정해나가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바람직한 디지털 읽기·쓰기 수업 사례를 하나 소개하고, 현행 국어과 교육과정에 디지털 문식성을 반영하자고 제안하였다. This article looks at specific aspects regarding how literacy concepts and practices have changed due to digital technology. In particular, it examines how the emergence of new literacy concepts and practices (e.g., multi-literacies, trans-literacies, new literacies perspective, constructively-responsive reading, augmented reading, and social literacy) driven by four unique attributes of digital text (multimodality, hyper-textuality, manipulatability, and collaborativity) are related to traditional literacy concepts and practices. Based on this, I argue that we should integrate new concepts and practices into traditional goals and methods rather than introduce innovative instructional goals and methods in digital literacy lessons. This article also introduces an example of desirable digital literacy instruction and suggests that digital literacy should be reflected in South Korea’s current national curriculum of literacy education.

      • KCI등재

        초등학생의 디지털 기반 활동에 대한 문식성 후원자의 작용 양상 : 초등학생의 인식 조사를 중심으로

        서수현 ( Seo Soo-hyun ),조병영 ( Cho Byeong-young ) 한국독서학회 2017 독서연구 Vol.0 No.43

        이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생들이 부모, 교사, 친구, 누리꾼과 같은 문식성 후원자들이 자신들의 디지털 기반 활동과 관련하여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인식하는지 탐구하였다. 이 연구는 전국의 초등 3~6학년 학생 10,111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 연구로, 문식성 후원자들의 `가치 부여`, `모델링`, `통제`에 관한 인식을 묻는 문항과 디지털 기반 활동 참여 시간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된 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생들은 자신의 디지털 기반 활동에 부모의 통제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등학생들은 디지털 기반 활동이 일어나는 공간인 인터넷에 대한 친구들의 가치 부여를 중요한 문식성 후원 양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경향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전통적 부모와 교사라는 전통적 문식성 후원자 이외에 또래 집단에서 공유되는 디지털 문식 경험에 대한 가치 부여가 초등학생들의 디지털 문식성 인식과 활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문식성 후원자가 초등학생의 디지털 기반 활동 참여 시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영향의 정도는 미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초등학생의 디지털 기반 활동을 설명할 수 있는 또 다른 변인이 존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resent study explores how different literacy sponsors such as parents, teachers, peers, and internet users would influence elementary-school students` digital literacy practice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Grades 3~6 students (n=10,111) in Korea, using the items about literacy sponsor activities (i.e., valuing, modeling, control) and the amount of time that the students spend for digital literacy activities. The results indicated three patterns. First, the elementary students in this study perceived that parental control is the most influential in their digital literacy activities. However, parental control did not predict the amount of time spent for digital literacy activities by the students. Second, the respondents reported that peer value was the second most important factor that affects their digital literacy activities. This perception tended to increase as they go up to higher school grades. Last, the respondents perceived that anonymous online user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ir digital literacy activities and that the online user factor did not predict the amount of time spent for digital literacy activities by the respondents. The results imply that in addition to traditional literacy sponsors such as parents and peer groups their value system should be considered in understanding students` digital literacy activities.

      • KCI등재

        디지털 문식성의 정의적 특성 탐색을 위한 정의적 영역 평가도구 구인 간의 관계성 분석

        김종윤,서수현,옥현진 한국국어교육학회 2016 새국어교육 Vol.0 No.107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digital literacy in the futur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feature of affective aspects of digital literacy as a way to stimulate the education of digital literacy. Five assessment tools which were related to affective aspects of digital literacy, including Digital Literacy Attitude assessment(DLA), were chosen and correlation among them was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Digital Literacy Attitude and Print Literacy Attitude(PLA)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not highly correlated. It indicates a separate educational content focusing on digital literacy attitude need to be developed for the preparation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The results also showed no correlation between DLA and the Internet addiction. It indicates Digital Literacy Attitude is a different construct from a negative affective aspects of digital literacy such as addiction, plagiarism, violation of privacy and so on and it can work as a basis of the education of affective aspects of digital literacy. Finally, further research on the affective aspects of digital literacy was suggested. 이 연구에서는 디지털 문식성의 정의적 특성을 분석하여 디지털 문식성 교육 내용을 구체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식성의 정의적 특성과 관련이 있는 다섯 가지 평가도구를 선별하고, 그중 하나인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 평가’를 중심으로 각 도구의 구인 간의 관계성을 분석해 보았다. 연구 결과, 우선 인쇄매체 문식성의 정의적 특성과 디지털 문식성의 정의적 특성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으나 그 상관관계가 높지는 않았다. 이 결과는 디지털 문식성 교육을 위해서는 기존 국어과 교육과정의 ‘태도’ 범주에서 다루어 온 교육 내용과 구별된 새로운 교육 내용 요소를 추출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 디지털 문식성과 관련하여 교육의 내용으로 다루고자 하는 정의적 특성은 교육적으로 바람직한 태도를 가리키며, 이는 인터넷 중독과 같은 부정적 특성과는 관련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문식성의 정의적 특성 간에 논리적인 관련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지속적인 후속 연구를 통해 디지털 문식성에 대한 교육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기를 촉구하였다.

      • KCI등재

        디지털 시대의 청소년 독자와 비판적 읽기

        이순영 한국독서학회 2010 독서연구 Vol.0 No.24

        The 21st century is often called as the age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technology-based information. Recently, school and education has been chang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social needs. This study, in these social and educational contexts, aimed to provide a theoretical framework to understand adolescent readers among various categories of members of the digital century. For this purpose, the reasons and meanings for focusing on adolescent readers in the digital age were first discussed in Chapter II, based on recent research regarding literacy reconceptualization. In Chapter III, various concepts and research questions organized into the areas of ‘space, subject, media/text, performance/purpose, relations, participation,situation/context’ to understand current adolescent readers. Finally, Chapter IV argued that there were four different dimensions and perspectives of discussions related to issues of ‘adolescent readers and critical reading’, especially clarifying the differences of critical reading and critical literacy. The concepts and questions presented in this study would serve as a theoretical framework to prompt further research in this area as well as an analysis framework to deepen ours understandings of the complex adolescent readers in the rapidly changing digital century. 21세기를 과학 기술을 바탕으로 한 정보의 생산과 소비의 시대라 한다. 학교와 교육도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 맞추어 변화하고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이러한 디지털 시대를 살아가는 구성원 중에서도 특히 ‘청소년독자들’을 이해하기 위한 이론적인 틀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논문의 제II장에서는 디지털 시대의 청소년 독자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와 의미를 문식성 재개념화 논의들(매체 환경의 변화, 학교 밖 문식 활동의 강화, 청소년 문식성의 부각)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그리고 제III장에서 디지털 시대의 청소년 독자들이 갖는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개념과 질문들을 ‘공간, 주체, 매체・텍스트, 수행・목적, 관계, 참여, 상황・맥락’의 영역으로 구조화하여 제시하였다. 끝으로 제IV장에서는디지털 시대의 청소년 독자와 ‘비판적 읽기’, 또는 최근의 문식성 연구에서 특히 강조되는 ‘비판적 문식성’ 관련 논의들이 여러 층위(디지털 시대의 청소년 독자를 ‘주체’로 파악하는 경우, 디지털 시대의 청소년 독자와비판적 읽기의 관계를 모색하는 경우, 청소년 독자들에게 비판적 읽기를교육 내용으로 지도하는 경우, 청소년 독자와 그들을 둘러싼 상황 맥락자체를 비판적 읽기의 대상으로 삼는 경우)에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지적하고 교육적 함의를 고찰해 보았다.

      • KCI등재

        디지털 시대 청소년 학습자의 미디어 서사 문식성 함양을 위한 문학교육 방안 연구

        오윤주(Oh Yun J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3

        이 연구는 디지털 미디어 시대로의 변화 속에서 미디어 서사 문식성을 중심으로 하여 학습자의 주체적 문학 향유 역량을 기르는 문학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미디어 서사 문식성은 서사 장르의 변화 양상을 민감하게 포착하고 향유할 수 있는 역량으로, 미디어 전반에 대한 활용 능력 및 비판적 성찰 능력을 아우르는 미디어 문식성과 함께, 미디어 서사에 대해 심미적 경험을 할 수 있는 심미적 문식성을 융합적으로 이르는 개념이다. 이 연구에서는 먼저 미디어 서사를 적극적으로 향유하는 이들을 ‘미디어 서사 향유자’로 선정하고, 이들의 향유 양상을 ‘미디어 서사 장르 역량의 적극적 획득’, ‘심미적 수용 역량 및 심미적 재구성·창조 역량의 융합’, ‘사회적 활용 가능성의 극대화’, ‘미디어 서사를 둘러싼 비판적·윤리적 차원의 작동’으로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고등학교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수업을 구안, 실천한 후 ‘생비자로서의 가능성과 한계’, ‘향유와 성찰 사이의 거리 두기’를 문제 지점으로 포착하고, 미디어 서사 문식성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new horizons of literary education to cultivate subjective literary enjoyment in learners, focusing on media narrative literacy in the transition to the digital media era. Media narrative literacy can be considered as the ability to sensitively capture and enjoy changes inside the narrative genre. This is a concept that combines media literacy and encompasses the ability to use media and critical reflection, along with aesthetic literacy that enables an aesthetic experience of the media narrative. In this study, those who actively enjoy media narratives were categorized as “media narrative enjoyers.” Their typical characteristics were determined to be “acquisition of media narrative genre competency”; “fusion of aesthetic acceptance capacity, aesthetic reconstruction, and creation competency”; “maximization of social applicability”; and “critical and ethical perspectives on media narrative.” Based on these factors, the study designed and implemented a class for high school learners. Through this class, the study recognized Possibility and Limitation as a Prosumer and the Gap between Enjoyment and Reflection as problem points and suggested educational methods for making these factors the main subject of the digital media era.

      • KCI등재

        디지털 문식성 교육을 위한 국어 수업 설계의 원리와 방향

        신윤경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3 敎員敎育 Vol.39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2022 개정 초등 국어과 교육과정이 고시된 상황에서 국어과의 핵심 역량 함양 차원의디지털 문식성 교육을 위한 국어 수업 설계의 원리와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2022 개정 초등 국어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매체’ 영역을 중심으로 내용 체계 분석,국어 수업의 특성, 해외 교육과정의 ‘디지털 문식성’ 기능 교수⋅학습의 사례 및 호주의 자국어 교육과정디지털 문식성 교육 내용 요소 분석, 국어 수업의 핵심 가치 및 국어 수업 과정에 대한 연구 검토, 디지털문식성 교육 관련 국내외 선행 연구의 ‘수업 설계’ 관련 시사점을 추출하였다. 연구결과 그 결과, 초등 국어 수업의 디지털 문식성 교육을 위한 수업 설계 방향을 제안할 수 있었다. 거시적⋅미시적 관점에서 본 수업 설계 원리와 국어 수업의 핵심 가치 아래, 디지털 문식성 교육이 지향해야할 수업 설계의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었다. 결론 2022 개정 초등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디지털 공간 등 학습자의 다양한소통 공간에서 매체로 표현된 텍스트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을 기르도록 지향하고있다. ‘매체’ 영역의 신설과 디지털 전환의 매체 환경의 변화 속에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수업을 설계하고 운영할 때, 고려해야 할 주요 방향들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디지털 배지와 문식성 교육의 통합

        방상호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8 리터러시 연구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digital badges and discuss the research findings on how digital badges play a transformative role in the educational system. This study also explores the possibility of integrating digital badges into literacy instruction by emulating a few leading practices. First, the functions of traditional and digital badges are compared and discussed. Although traditional badges have been used for various purposes, the use of digital badges is expanding and evolving, especially for educational purposes. Second, I discuss digital badges' potential to work as an innovative technology that can improve the current situation in terms of four educational functions: motivation, assessment, documentation and credentials. Finally, I argue that we need to improve the current state of literacy education by integrating digital badges as actively and effectively as possible. 이 글을 쓴 목적은 디지털 배지를 소개하고, 그것이 동기부여, 평가, 기록, 인증이라는 네 가지 교육 기능을 어떻게 담당하는지 관련 연구와 논의를 검토하며, 이를 바탕으로 디지털 배지를 읽기・쓰기 즉 문식성 교육과 어떻게 통합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실제 사례를 통해 탐색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전통적 배지와 디지털 배지의 기능을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전통적 배지도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지만, 디지털 배지의 쓰임새는 각종 테크놀로지의 도움으로 전통적 배지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확장・진화하고 있음을설명하였다. 또한 디지털 배지가 동기부여, 평가, 기록 및 인증, 이 네 가지교육 기능 측면에서 전통적인 시스템을 무너뜨릴 수 있는 와해성 혁신으로작동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배지를 문식성 교육 즉 읽기・쓰기 교육과 어떻게 통합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관련 논의와 실제 사례를 통해 탐색해 보았다.

      • KCI등재

        문식성 연구의 국제 동향 ―Literacy Research Association(LRA)의 2016 - 2018 학술대회를 중심으로

        박소희 ( Park Sohee ),김주환 ( Kim Joohwan ) 국어교육학회 2019 國語敎育學硏究 Vol.54 No.4

        이 연구에서는 미국 LRA에서 주최하는 최근 3년(2016 - 2018)간의 학술대회에서 발표된 연구 제목들의 키워드 기반 내용 분석을 통해 문식성 연구의 국제적 동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최근의 LRA 학술대회는 비판적 문식성을 매우 강조했다. 비판적 문식성에 기반한 다양한 접근법들을 토대로 흑인이나 다중언어 화자, 소외된 학생들의 문식활동에 대한 연구들을 중요시하고 있었다. 둘째, 읽기 연구보다는 쓰기 연구들에 더 관심을 가졌다. 예비교사 및 현직교사에 대한 쓰기 교육, 학교 현장에서의 쓰기 교수와 학습 실태, 학생들의 학교 안팎에서의 글쓰기에도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었다. 셋째, 문식 행위가 어떻게 공동체의 번영과 사회 변환을 장려하면서도 서로 다른 언어와 문화를 가진 다양한 인종, 성별, 민족들 사이의 갈등을 해결할 수 있을지에 관심을 가졌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국어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비판적 문식성, 다양성, 쓰기 교육의 세 가지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international trends in literacy research by conducting a keyword-based content analysis of research titles that were presented at the annual conferences of the Literacy Research Association (LRA) during the last three years (2016-2018). The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it was found that recent LRA conferences heavily emphasized critical literacy. They mainly focused on studies of the literacy practices of black people, multilingual speakers, and marginalized students using a variety of critical literacy approaches. Second, the conferences covered more writing research than reading research. For example, a great deal of attention was given to writing education for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teaching and learning writing in K-12 contexts, and students’ writing practices in- and out-of-school. Finally, recent LRA conferences highlighted how literacy could resolve conflicts between various racial, gender, and ethnic groups with different languages and cultures while promoting the prosperity of the community and social transform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literacy research in Korea. First, it is necessary to shift the focus of literacy research and education in Korea from functional literacy to critical literacy. Second, researchers need to focus on diversity issues as well as excellence related to literacy education in Korea. Last but not least, educators, researchers, and policy makers should make every endeavor to promote writing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