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이나믹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발 연구

        송지성(Song, Ji Sung),이원복(Lee, Won Bok)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6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2 No.4

        스마트 모바일 시대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성장으로 오늘날의 미디어 환경은 사람들의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바꿔놓았다. 기업에 입장에서는 소비자와의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재수립하는 과정이 필요해졌고, 기업 아이덴티티를 위한 디자인 시스템에도 변화가 생겼다. 고정적이고 일방적인 방법으로 사람들에게 보여주던 기존의 스태틱 아이덴티티 디자인 시스템이 일반적인 시스템이었지만, 기술과 매체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유연하고, 다이나믹한 아이덴티티 디자인시스템이 등장하였다. 그러나 그동안 국내 기업들의 아이덴티티 디자인은 이런 변화된 시스템을 활용하는 사례가 해외사례에 상대적으로 소극적이거나 제한적 활용에만 그치고 있다. 이런 현상에 주목하여 본 연구자는 국내기업이 현 사회 트렌드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한 국내 맞춤형 다이나믹 아이덴티티 디자인 시스템개발의 필요성을 인지하였다. 실질적 디자인 방향제시를 위해 시기적절해 보이는 국내 기업 한 곳을 선정하여 실험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범위로 국내 가구 및 인테리어 시장의 유행을 선도하는 ‘H’사로 선정하고 다이나믹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발에 필요한 이론적 자료 및 해당기업의 디자인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범위는 2장에서 아이덴티티 디자인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유연한 아이덴티티 관련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아이덴티티 디자인 시스템 사이의 관계를 도식화를 한다. 다이나믹 아이덴티티에 대한 본 연구자의 정의와 선행이론을 바탕으로 이에 합당한 분류방법과, 표현요소를 정리하였다. 3장에서는 다이나믹 아이덴티티가 활용된 해외 및 국내의 리뉴얼 사례로 각각 다섯 기업을 선정하고, 표현요소에 사용 빈도에 따라 사례 분석을 하였다. 4장에서는 기업 ‘H’사의 아이덴티티, 과거와 현재의 아이덴티티 디자인 요소 및 관련된 기업 및 사회 트렌드 조사를 바탕으로 3장의 사례분석결과와의 개연성을 따져 5장에서 실질적 적용이 가능한 디자인을 추출하는 연구를 진행 하였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한 구체적 연구 방법으로 다이나믹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표현요소를 내적, 시각적, 상호작용적 요소로 세분화하였다. ‘H’사의 디자인 개발순서는 첫째, ‘H’사의 내적 요소 분석을 통한 키워드 추출을 한다. 둘째, 3장의 사례 분석의 사용 빈도 결과에 따라 빈도가 낮은 표현 요소에 대해 상대적 사용비중을 높게 둔다. 셋째, 시각적 표현 요소에 대한 디자인 리뉴얼 개발을 진행 하였다. 넷째, 상호작용적 표현 요소에 대한 디자인 리뉴얼 개발을 진행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H’사의 아이덴티티 디자인 방향제시에서 내적 표현 요소를 시각적 표현으로 전환 할 때의 유연성을 기본 요소로 겹겹이 쌓아 올리는 레이어 방식을 활용하여 곡선과 직선의 조화, 규칙성과 유연성 사이의 조화, 서양과 동양의 조화를 표현하였다. 운동성(모션)과 일관성의 파괴를 사용하여 역동성, 도전정신을 표현하고, 상호작용적 표현 요소를 통해 소비자와의 소통하는 기업의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본 연구의 디자인 방향제시를 기반으로 본 연구자는 앞으로 한국적 다이나믹 아이덴티티 적용에 대한 다양한 시각화 혹은 상호작용적 표현에 관한 좀 더 구체적인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With the advent of the Smart Mobile era and the growth of Social Network Service (SNS), today’s media environment has changed the way that people communicate. Thus, for companies, a process of re-establishing a communication strategy with consumers has become necessary, and the design system for the corporate identity changed. While a static identity design system that shows the corporate identity to consumers in a fixed and general way has been a common system, a flexible and dynamic identity design system through interactions between technology and media has emerged. However, thus far, identity designs of domestic companies have been relatively passive or limited in utilizing such a changed system compared to overseas cases. Noting this phenomenon, we recognized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domestically specific dynamic identity design system for domestic companies to respond properly to the current social trends. Thus, an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by selecting a domestic company, which seemed timely in order to suggest a substantive design direction. As for the research scope, selecting ‘H’ Company that is leading the trends in the domestic furniture and interior markets,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oretical data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a dynamic identity design and to propose a design for the company. As for the research scope, Chapter 2 schematizes the relationship between identity design systems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identity design and the preceding studies related to flexible identity. Based on the researcher’s definition of dynamic identity and the preceding theories, this study summarized the method of classification and the elements of expression, appropriate for this. Chapter 3 selected five enterprises, respectively as cases of domestic and foreign renewal and conducted a case analysi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use of the elements of expression. Chapter 4 verified the probability as compared to the result of the case analysis in Chapter 3 based on the identity of ‘H’Company, identity design elements in the past and present, the related enterprises and social trend, and Chapter 5 conducted a study for extracting a design that could be actually applied. As a concrete research method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is study subdivided the elements of the expression of dynamic identity design into internal, visual and interactive elements. The order of the development of the design for ‘H’ Company is as follows: First, key words were extracted through an analysis of internal elements.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frequency of use in the case analysis, relatively higher weight of use was given to the elements of expression with a lower frequency. Third, the development of design renewal of visual elements of expression was made. Fourth, the development of design renewal of interactive elements of expression was made. As a result of this study, this study expressed the harmonies between curve and straight line, between regularity and flexibility, and between the West and the East, utilizing the layer method of laying one upon another with flexibility in the conversion of internal elements of expression to visual elements of expression in the presentation of a direction of ‘H’ Company’s identity design as the basic element. This study expressed the dynamics and challenging spirit using the destruction of mobility (motion) and consistency and expressed the image of the enterprise that communicates with consumers through interactive elements of expression. Based on the presentation of the direction of design in this study, this researcher will conduct a more concrete study of various visualizations or interactive expressions concerning the application of Korean dynamic identity.

      • KCI등재

        디자인 표현의 논리체계에 관한 연구

        고재성(Jae Sung Koh)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3

        기억에 의해 재현된 이미지는 대상의 표현이다. 그런 표현이 의도적일 때 디자인 표현이 된다. 즉 기억에 의한 표현과 디자인 표현은 동일한 체계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억에 의해 재현된 표현과 디자인 표현의 논리체계가 동일한 것임을 사례를 통해 확인함을 목적으로 하며 방법은 다음과 같다. 임의로 선택한 대상에서 상기된 이미지가 중복될 수 있음을 확인한후 중복된 이미지는 객관적 표현으로 중복되지 않은 이미지는 주관적 표현으로 범주화하여 표현의 논리체계를 분석한다. 그런 논리체계가 디자인 표현의 논리체계와 동일한 것임을 디자인 표현의 대표적 사례인대한민국디자인전람회 시각디자인부문 수상작품을 통해 확인하는 방법으로 구성한다. 방법을 통해 도출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표현의 매개는 주관과 객관이다. 주관을 매개로 현상되면 대상은 주관적 이미지가 함축된 객관적 이미지로 상징되어 표현된다. 객관을 매개로 현상되면 대상은 주관적 이미지로 규정된 후 규정에 부합되는 이미지를 통해 알레고리로 표현된다. 상징과 알레고리로 표현되는 디자인은 기억에 의해 재현된 표현의 논리체계에 의한 것으로 디자인 표현과 기억에 의한 표현은 동일한 체계임을 확인하였다. The image revived by a memory is an expression of an object. In case such expression is intentional, it becomes design expression. That is, the expression made by a memory and design expression are of the same system.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confirm that the expression revived by a memory shares the same logic system with design expression through relevant cases, and the methods used are as follows. After confirming that the image recalled by a randomly selected object may be overlapped, the study categorized overlapping images as objective expression and non-overlapping images as subjective expression. Then the study analyzed the logic system of expression. The study composed the fact that such a logic system is the same as that of design expression by confirming though the work of prize winner in the visual design field at the Korean Design Exhibition, which is the representative case of design expression. The contents deduced from the method are as follows. The medium of expression is subjectivity and objectivity. When an object is represented as a shape by a medium of subjectivity, the object is expressed by being symbolized as an objective image in which a subjective image is implied. When an object is represented as a shape by a medium of objectivity, the object is defined as an objective image and then, it is expressed as an allegory through an image matching the definition. Design expressed as a symbol and an allegory is made by the logic system of expression revived by a memory. Accordingly the study confirmed that design expression and the expression made by a memory are of the same system.

      • KCI등재

        은기 제품 디자인에 나타난 금속공예 표현 특성 분석 연구 : 중국 공예미술 대가 작품을 중심으로

        묘욱,이해만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3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75 No.-

        오늘날의 소비자들은 표준화되고 획일된 디자인의 제품이 아니라 자신의 감성을 풀어주는 독특하고 개성적인 디자인을 선 호한다. 이에 본 연구는 금속기술을 이용하여 형태 표현, 상징 표현과 재질 표현의 특징, 은 재료를 표현 매개체로 하는 무 한한 전문성과 그 특징을 탐구하였다. 3명의 중국 공예미술 대가의 은기 제품 디자인 대표작을 분석하고 기술적 표현의 측 면에서 작품 속의 형상, 색채, 상징, 분포와 비례 등의 요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은기 제품의 디자인과 생산 은 주로 재료와 스타일로 구성되는데 금속공예의 기술적 표현은 장식성과 예술성을 나타내기 위한 것일 뿐만 아니라 대상 의 기능적 요구 능력과 실용성을 만족시키기 위한 것이다. 촌발표(寸发标), 모병림(母炳林), 백정의(白静宜) 세 작가의 작 품은 모두 창작적인 농후한 개인 예술 풍격을 가지고 있다. 촌발표(寸发标)와 모병림(母炳林)의 작품은 조각기법을 주요 표현형식으로 하고 실용 가치의 구현을 중시한다. 그중 모병림(母炳林)의 작품은 조각 기법을 바탕으로 하여 입사와 도금 기법을 결합하여 색채 요소에서 더욱 표현력이 돋보인다. 백정이(白静宜)는 누금기법을 위주로 하고 입사과 칠보기법을 보 조로 하여 예술 가치의 구현을 더욱 중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은기 제품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더 많 은 미학과 감성 디자인 요소, 그리고 각종 공예 표현 기술로 독립적인 디자인의 가능성을 일깨워야 한다. 전통공예 표현요 소는 현대 디자인 이념으로 재해석하고 소비자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해야 한다. 전통적인 금속공 예기술을 바탕으로 형태 표현, 상징 표현, 재료 표현 등의 특징에 대한 연구와 응용을 강화하는 것은 현대 은기 제품 디자 인에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Today's consumers prefer unique, personalized, and emotionally releasing designs rather than standardized, uniformly products. This study examines the morphological, symbolic, and material expressions of metal technology, focusing on the unique attributes of silver as a medium. It analyzes representative silver product designs by three Chinese arts and crafts masters, considering factors like image, color, symbol, distribution, and proportion in technical expression.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 design and production of silver products are mainly composed of materials and styles. The technical performance of metal crafts must not only express decorativeness and artistry, but also meet the functional requirements and practicality of the items. Carefully analyzing the works of Cunfa Biao, Mao Binglin, and Bai Jingyi reveals their rich and distinct artistic styles. The works of Cunfa Biao and Mao Binglin are mainly expressed in carving techniques, emphasizing the embodiment of practical value. Among them, Mao Binglin's works are better at combining incident and gilding techniques on the basis of carving techniques, making their works more expressive in color elements. Bai Jingyi focuses on quilting techniques, supplemented by incident and paint repair techniques, and pays more attention to the embodiment of artistic value. To address product design challenges, incorporate additional aesthetic and emotional elements, along with diverse process expression techniques, to encourage independent design possibilities. Reinterpreting traditional craftsmanship with modern design concepts meets diverse consumer needs. Strengthening research and applying features like formal, symbol, and material expression based on traditional metal technology is crucial for contemporary silver product design.

      • KCI등재

        빛의 시공간적 표현 특성을 활용한 패션디자인 개발

        이인영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5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5 No.1

        본 논문은 빛의 시공간적 표현을 연구하고 이를 접목한 패션디자인 개발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위하여 빛의 개념 및 물리적 특성, 시공간에 관련된 서적 및 선행 연구를 문헌 연구하였으며, 예술 분야의 문헌 연구를 통해 그 표현사례를 연구하고 이를 적용한 시공간적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예술 분야에 활용된 빛의 시공간성은 ‘시간 흐름’의 표현과 ‘공간 확장’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첫째, 빛에 의한 ‘시간 흐름’의 표현은 빛의 조도ㆍ색상ㆍ점멸ㆍ움직임 등에 의한 변화로 나타나며, 광원의 직접변화와 광원을 둘러싼 환경에 의한 발광 효과의 변화에 의해 표현되고 있다. 둘째, 빛에 의한 시공간적 ‘공간 확장’은 빛의 투과로 인한 투명성에 의한 공간의 중첩, 빛의 그림자에 의한 공간의 연장, 빛의 광적에 의한 가상공간으로 표현된다. 빛의 시공간성을 활용한 디자인 개발은 헤드피스를 아이템으로 하여 빛의 효과를 최대한 살리기 위해 무채색을 사용하여 기획하였다. 디자인Ⅰ은 빛의 점멸을 통한 ‘시간 흐름’을 적용하였으며, 디자인 Ⅱ는 외부광원에 의한 그림자를 활용하여 공간의 연장이 나타나는 ‘공간 확장’을 적용하였다. 디자인 Ⅲ은 광원의 색상변화와 점멸 효과 및 빛에 의한 가상공간을 이용하여 ‘시간 흐름’과 ‘공간 확장’ 모두를 적용한 시공간적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빛의 시공간성을 활용한 디자인 개발은 빛을 패션 아이템에 접목하고 활용하여 디자인 소재의 폭을 넓혀 보았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dissertation aims at researching spatio-temporal expressions of light and developing a fashion design that grafts these characteristics. For the research, documentary research was conducted on books and precedent studies related to the concept and physical traits of light, space-time characteristics. Also, research was done for the cases of expression by conducting a documentary research on the field of art, and it was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a spatio-temporal design. The space-time characteristics of light used in the field of art can be divided into the expression of “time” and “extension of space.” First, the expression of “time” by light appears as change influenced by the illumination, color, flickering, and movement and is expressed by the direct change of a light source and change of a luminous effect created by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 light source. Secondly, spatio-temporal “space extension” by light is expressed as the overlapping of space created by the transparency of light, the expansion of space created by the shadows of light, and as the virtual space created by light. The development of design using the space-time characteristics of light was created by using achromatic colors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 of light, setting the headpiece as an item. “Time” created through the flickering of light was applied to design I and for design II, “space extension,” where space extension appears by using the shadow created by the external light source, was applied. For design III, both “time” and “space extension” were applied using the change in color and flickering effect of the light source and the virtual space created by light to develop a spatio-temporal design. Such a design development using the space-temporality of light has significance in that it diversified design materials by grafting the light on fashion items.

      • KCI등재

        2000년 이후 패션컬렉션에 나타난 실험적 디자이너의 표현특성

        김은정,박옥련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2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2000년 이후 패션컬렉션에 나타난 실험적 디자이너의 표현특성을 분석하여, 디자이너들 간의 실험적인 작품의 공통성과 차이성을 비교 연구하고,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디자인의 표현에 응용할 수 있는 디자인 자료를 얻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이론적 고찰과 패션컬렉션 사진을 바탕으로 사례 분석하였다. 연구범위는 2000년부터 2012년까지 창의적이고 실험적인 정신이 강하게 나타난 디자이너 빅터 앤 롤프, 후세인 샬라얀, 알렉산더 맥퀸으로 한정하였다. 연구결과 빅터 앤 롤프의 작품에 나타난 표현특성은 기발한 아이디어에 완벽한 쿠튀르적 테크닉을 접목시킨 독창적인 디자인, 위트와 유머가 있는 역설적인 표현, 과장·왜곡·초현실주의적인 표현, 파격적인 퍼포먼스 등으로 분석되었다. 후세인 샬라얀의 작품에 나타난 표현특성은 개념적인 것을 시각화시킨 디자인, 디자인의 변형과정 전개의 디자인화, 뉴 테크놀로지와의 접목, 혁신적인 퍼포먼스 등으로 분석되었다. 알렉산더 맥퀸의 작품에 나타난 표현특성은 구조적 테일러링과 혁신적인 커팅의 파격적인 디자인, 상반된 요소의 공존과 혼합의 하이브리드, 낭만적 그로테스크, 서사적인 퍼포먼스로 분석되었다. 이들은 서로 다른 표현방식을 사용하지만 고정관념을 탈피한 디자인, 다양한 실험적인 조형기법, 다른 영역과의 하이브리드 시도, 환경적·문화적 요소의 접목, 아트 프로젝트나 혁신적인 퍼포먼스 패션쇼 등의 공통되는 표현 특성을 갖고 있었다. 이처럼 2000년 이후 패션컬렉션에 나타난 실험적 디자이너의 표현특성은 획일적이지 않은 혁신적인 시도와 다각적인 접근을 통해 다양한 의미를 전달하고 있으며, 패션의 한계점을 벗어나 영역을 확장시키고 있으며, 다른 디자이너들에게 많은 영감을 미치고 있어 현대패션을 더욱 발전시키고 있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

        섬유제품디자인에 나타난 섬유공예표현기법 분석

        이수철(Soo Cheol Rhee),권혜진(Hye Jin Kw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3

        본 연구는 기계는 가질 수 없는 인간의 정서와 감정의 자연스러운 효과를 공예적 표현기법에서 나타나고 있는 예술적 감각과 손을 이용한 수작업, 오래전부터 이어져 내려오고 있는 섬유공예표현기법을 기계와 연동하여 좀 더 정확한 결과물인 섬유제품디자인 개발을 위한 이론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현대의 섬유제품디자인에 어떠한 공예적 표현기법을 응용하고 있는지 디자인 사례를 조사하기 위해 국내외 단행본과 선행 연구논문, 작품논문 등의 학술 연구 자료와 인터넷, 각종 전문서적을 중심으로 고찰, 조사되었다. 먼저 섬유공예표현기법에는 어떠한 종류가 있는지 조사하였으며 현대 섬유제품디자인의 경향과 소재를 파악한 후, 제품들에 나타난 실제 섬유공예표현기법의 사례분석을 통해 고찰하였다. 사례분석은 염색, 위빙, 자수, 퀼트, 펠트기법, 퓨전의 6가지로 크게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범위 및 방법은 섬유공예표현기법의 이론적 고찰, 현대의 섬유제품디자인의 경향을 조사하고 이를 통한 사례 분석으로 내려진 결론을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 분석될 수 있다. 첫째, 모든 것이 기계적으로 집중되어 있는 현대사회에서 참신하고 다양한 공예표현기법들이 적용된 섬유패션제품디자인은 인공적이지 않고 싫증나지 않는 유연성을 지닌 작품으로 재탄생 하였다. 둘째, 손으로 직접 오랜 시간을 거쳐 정성들여 만든 섬유제품디자인들은 자신만의 고유성을 가지며 기계만을 이용한 상품과는 달리 고부가가치의 상품으로 인식되었다. 셋째, 예부터 전해 내려온 다양한 공예요소들은 각 나라의 문화를 담고 있기 때문에 자신만의 고유한 문화와 혼을 가지고 있다는 고유성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살펴본 다양한 섬유공예표현기법들은 무한한 발전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었으며, 앞으로 우리나라도 섬유제품디자인에 있어서 더욱더 독자적인 우리만의 고유 개성이 점차 중요시 되고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vide a theoretic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he textile goods design combining the machine work with the long- traditioned textile expression technique using artistic and hand craft to express the human emotion and natural effect that machines were not able to express before. The research was performed by literature analysis such as academic data including domestic and foreign books, previous research papers and work papers, Internet, and various professional publications in order to search modern texture product designs and to investigate what kind of handcraft expressive techniques are contained. First of all, types of textile craft techniques of expression were searched; trends and materials of modern textile products design were identified; and finally actual case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textile handcraft expression techniques demonstrated in the textile goods. Case analysis was conducted divided into five types of dyeing, weaving, embroidery, quilts and felt techniques. The main range and contents include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extile craft techniques of expression, the trend survey of modern textile design, and the conclusion from the case analysis through these.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ly, the textile fashion product design, to which novel and diverse craft expression techniques were applied in modern society where everything is concentrated mechanically, was reborn as flexible goods not artificial and boring. Secondly, the textile product designs made by hand through a long and elaborate care have been recognized as high value-added products. Thirdly, the long-traditioned various craft elements contain each nation`s culture, so it may well be said that they contain their own unique culture and soul.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various textile craft techniques of expression imply the possibility of infinite development, and that their own unique personalities get increasingly important far more in textile goods design in Korea too.

      • KCI등재

        ‘입체주의’ 회화의 표현방식을 활용한 텍스타일디자인 개발연구

        하일천,양성원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22 조형디자인연구 Vol.25 No.4

        현대 텍스타일디자인은 21세기를 맞이하여 더욱 창의적이고 고부가가치의 혁신적인 발전을 꾀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에 부합하고자 본 연구자는 현대미술의 한 표현방식인 ‘입체주의’를 활용하여 창의적인 텍스타일디자인 개발을 시도하게 되었다. 20세기 서양미술사에서 중요한 미술운동인 ‘입체주의’ 회화는 새로운 조형의식과 표현방식을 창조하며, 현대미술을 발전시켰다. 이를 연구자는 텍스타일디자인에 접목시켜 독창적인 디자인으로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입체주의’ 회화의 표현방식 특징을 ‘다시점(多視點)’, ‘재구성(再構成)’, ‘콜라주(collage)’라고 하는 3가지 큰 측면으로 분석해 보았으며, 독창적인 텍스타일디자인으로 재해석하였다. 본 연구의 진행을 위하여 우선 ‘입체주의’의 개념과 ‘입체주의’ 회화의 표현방식을 고찰하였고 ‘입체주의’ 회화의 표현방식을 활용한 현대 텍스타일디자인 사례를 조사하였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자의 텍스타일디자인 주제인 ‘연꽃’의 형태를 중심으로 ‘입체주의’의 표현방식인 ‘재구성’과 ‘콜라주’를 중심으로 디자인을 전개하여 텍스타일 작품 4점을 제작하였다. 아울러 패션 텍스타일 제품 아이템에 시뮬레이션 적용방안도 함께 제시하였다. 이번 연구를 통해 ‘입체주의’ 회화의 표현방식을 활용한 텍스타일디자인 개발은 심미성 제고와 보다 다양한 텍스타일디자인의 표현 확대에 매우 효과적이라고 결론 내려 보았다. 향후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토대로 지속적인 연구와 연구자만의 독창적인 새로운 텍스타일디자인을 창작하고자 하며, 또한 텍스타일디자인과 다른 현대미술의 표현방식의 접목을 시도하여 예술지향의 텍스타일디자인을 연구하도록 하겠다.

      • KCI등재

        파사드 디자인의 브랜드 이미지 표현에 관한 연구 : 청담 패션 브랜드 플래그십 스토어를 중심으로

        석재원,한태권,김주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1

        (Background and Purpose) The facade of the flagship store is an important tool that gives each brand a representation and embodies the image of various brands. This study analyzes the expression of brand image projected on the facade design of commercial buildings, finds out the best expressions for flagship stores, and suggests the brand image’s expressive characteristics that can be referred to in the facade design. For analysis, the facade design is divided into three types. Brand image is divided into five expression characteristics and set up as analysis elements. (Method) This study adopted case analysis based on literature review, one of the qualitative analysis methods. It collected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books, academic journals, and dissertations(thesis), attempting theoretical considerations on flagship store and facade design. It analyzed according to the analysis elements and the designed analysis framework was derived by redefining the characteristics of brand image based on previous research. This case study is limited to fashion brand flagship stores renewed or newly built with unique surfaces in Cheongdam-dong, Gangnam-gu, which provide a glimpse of Korea's widest range of architectural and exterior designs.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among the three types of facade design, the type that best express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brand image is the facade type by pattern and in addition, “originality,” “repeatability,” and “attractiveness” were most expressed as specific brand image characteristics. In the facade type by form, the characteristics of the brand image, “attractiveness” was high and in the facade type by material, “symbolism” was most highlighted. (Conclusion)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flagship stores in each of the six cases were intended to express the brand image in the facade design. This means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facade design and the expression of the brand image. This study finally proposed the ideal design of fashion brand flagship stores’ facade as follows: first, it must be patterned using the brand identity and then expressing it on the facade. Second, differentiated original brand images that do not imitate other brands should be expressed on the facade. Third, the form, shape, etc. that can feel the rhythm must be repeatedly expressed on the facade. Fourth, attractiveness should be expressed on the facade, which harmonizes the special decorative elements that can represent the brand, form, and color.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design of the brand image on the flagship store facade emphasizes the message that needs to be delivered and enhances communication with the customer. (연구배경 및 목적) 플래그십 스토어의 파사드는 브랜드마다의 대표성을 부여하고 다양한 브랜드의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중요한 도구이다. 본 연구는 플래그십 스토어를 대상으로 상업 건축물의 파사드 디자인에 투영된 브랜드 이미지의 표현성을 분석하고 가장 잘 발현된 사례를 발굴하여 파사드 디자인에 참고 될 수 있는 브랜드 이미지 표현특성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을 위해 파사드 디자인을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고 브랜드 이미지를 다섯 가지의 표현특성으로 구분하여 분석요소로 설정하고 사례 대상인 플래그십 스토어에 이를 적용하여 결과를 제시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질적 분석 방법 중 하나인 문헌 고찰에 따른 사례분석을 수행한다. 국내·외 문헌 자료와 단행본, 학술지 및 학위 논문을 수집하여 플래그십 스토어 및 파사드 디자인에 관한 이론적인 고찰을 시도하고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브랜드 이미지의 특성을 재정립하여 도출한 분석요소와 설계된 분석틀에 따라 분석을 수행한다. 사례분석 대상은 국내에서 가장 다양한 건축 및 파사드 디자인을 엿볼 수 있고 최근 리뉴얼 혹은 신축되어 독특한 표피를 가진 강남구 청담동 패션 브랜드 플래그십 스토어들로 범위를 제한한다. (결과) 연구의 결과로는 파사드 디자인의 세 가지 유형 가운데 브랜드 이미지의 특성이 가장 잘 표현된 유형은 패턴에 의한 파사드 유형이며 구체적인 브랜드 이미지 특성으로‘독창성’,‘반복성’,‘주목성’이 가장 많이 발현되었다. 형태에 의한 파사드 유형에서 브랜드 이미지의 특성은‘주목성’이 가장 높았고, 재료에 의한 파사드 유형에서는‘상징성’이 가장 부각되었다. (결론) 분석 결과에서 6개 사례대상 플래그십 스토어마다 파사드 디자인에 해당 브랜드 이미지를 표현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었음을 엿볼 수 있었다. 이것은 파사드 디자인과 브랜드 이미지의 표현성 간의 상관관계가 형성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연구는 패션 브랜드 플래그십 스토어 파사드의 이상적인 디자인을 아래와 같이 제안한다. 첫째,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패턴화하여 파사드에 연출한다. 둘째, 모방하지 않은 차별화된 독창적인 브랜드 이미지를 파사드에 표현한다. 셋째, 리듬감이 느껴질 수 있는 형태나 모양, 형상 등을 파사드에 반복적으로 표현한다, 넷째, 브랜드를 나타낼 수 있는 특별한 장식적 요소들과 형태, 색상 등을 조화한 주목성을 파사드에 표현한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플래그십 스토어 파사드에 브랜드 이미지가 잘 표현된 디자인은 해당 브랜드의 메시지 전달력과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증대시킨다는 것을 제시한다.

      • KCI등재후보

        일본의 대표적 현대 그래픽디자이너의 표현 특성과 미의식의 재조명

        주혜영,윤민희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예술디자인연구원 2022 예술· 디자인학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1960년대부터 오늘날까지 전 세계 디자인계의 주목을 받는 일본의 대표적 그래픽디자이너인 카메쿠라 유사쿠, 다나카 잇코, 후쿠다 시게오, 요코 타다노리, 켄야 하라의 작품 표현특성 및 미의식을 현대적 시각에서 재조명하였다. 특히 2차 세계대전 이후의 1세대 디자이 너인 카메쿠라 유사쿠는 1964년 도쿄올림픽포스터에서 일장기의 떠오르는 태양을 단순한 원형으로 표현하여 세계적 주목을 받았으며, 다나카 잇코는 니혼부요에서 전통적 주제를 단순하고 명료하게 표현하였다. 카메쿠라 유사 쿠, 다나카 잇코의 포스터는 전통 주제를 현대적 시각으로 단순명료하게 표현하였다면, 후쿠다 시게오의 포스터는 착시의 효과를 극대화한 현대적 표현 경향이 두드러 지게 나타났다. 요코 타다노리는 포스터디자인에서 일본의 전통 소재를 사용하면서 동시에 서구 모더니즘 양식 에서 일탈한 팝아트, 사이키델릭한 표현을 하였다. 마지 막으로 켄야 하라는 비움의 미학으로 여백의 디자인을 활발하게 실현하고 있다. 이러한 일본 현대 그래픽디자인의 원천은 사상적으로 불교(佛敎)의 공(空)과 선(禪)사상, 와비·사비(侘·寂), 슈타쿠(手澤), 축소주의를 꼽을 수 있으며 양식적 측면에서 우키요에, 린파 그리고 서양의 모더니즘의 영향을 받았다. 간략한 형태, 추상적 형상, 단순한 색채 등이 주류를 형성 하는 일본 현대 그래픽디자인은 고유한 문화성 정체성과 세계적 보편성의 조화와 균형을 꾀하면서 디자이너들은 자신만의 조형언어를 작업에 반영하였다. 모더니즘 표현 경향 속에서 일본의 전통문화와 서구 모더니즘을 융합하 려는 일본 디자이너들의 화혼양재 표현 경향이라 할 수있다. 이러한 양상은 경제대국이자 동시에 문화대국으로 서의 일본의 모던 이미지를 시각화하려는 디자인계의 인식이 반영된 것이라 볼 수 있다. 특히 5인의 포스터에서 문화적 전통과 미의식을 반영하면서 동시에 보편적 디자 인을 지향하는 일본 현대 그래픽디자인의 글로컬(glocal) 한 화혼양재를 재조명하였다. 특히 알파벳 문화권 디자인이 주류인 그래픽디자인 영역에서 일본 디자인은 한자, 히라카나, 가타카나를 사용하면서 세계적으로 인지도가 높은 고유한 일본 양식의 그래픽 디자인 토대를 형성하고 있다. 일본 현대그래픽디자인의 표현 특성과 미의식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한국‧중국‧일본의 철학과 미학에 내재한 보편성과 차이점을 고찰하는 계기와 함께 K-Design의 대외적 인지도 확산을 위하여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광고디자인에 나타난 표현체의 역할에 관한 연구 - 역할수행이론을 중심으로 -

        한호 ( Han Ho ),목진요 ( Mok Jin-yo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8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4 No.-

        본 연구는 목적지향적인 광고디자인에서 표현되고 있는 표현체가 어떠한 방식으로 표출되고 있는지 파악하여 현대인들에게 어떤 커뮤니케이션으로 작용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문헌과 사례를 분석 조사하였다. 분석은 2000년 이후에 제작된 광고디자인 794편의 광고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Janis와 King(1954)이 주장한 역할수행(Role-playing)이론에 의하면 역할 상황정도 중에서 태도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유형은 ‘의도적 상황→즉흥적 상황→만족적 상황’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정의되고 있으나, 2000년 이후의 광고디자인에서는 ‘만족적 상황→즉흥적 상황→의도적 상황’으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둘째, 2000년 이후의 광고디자인에서 사용된 헤드라인은 말하는 이가 자기 생각을 평범하게 말하는 일반적인 설명 형식인 평서문의 쓰임이 두드러져, 커뮤니케이션 형식이 의미전달의 간접적 표현을 주된 표현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광고디자인에 사용된 표현체의 표현종류가 주로 유명인과 상품으로 표현되는 것으로 나타나 특정 표현체에 대하여 몰입을 강조한 방식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기존 이론과 1900년대의 광고디자인과는 다른 양상으로 표현체를 통한 몰입을 강조한 디자인이 주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발신자와 수신자의 차이에 대한 세밀한 분석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wanted to see how the representment is expressed in the commercial design of advertisements. So we analyzed how modern people communicate through literature and case studies. The target of the analysis was to analyze 794 commercial designs produced after 2000.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Janis & King(1954) claim to the role playing theory that the most influential type of role degree is defined by the order of ‘deliberate situation→impromptu situation→ Satisfactory situation’ to influence the change in attitude. However, after 2000, advertising designs tend to be followed by ‘Satisfactory situation→ impromptu situation→ deliberate situation’. Second, the speaker had many uses for the general format of explanations, the common form of which is a casual speaker. Thus, indirect expression is the main form of communication for semantic delivery. Third, it was found that the type of representation was primarily expressed as a celebrity and a product, emphasizing flow in a particular subject.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showed that the main focus was on the design, which emphasized immersion in the display system, in a way that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theory and advertising design in the 1900s. It also implies the need for a detailed analysis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sender and receiv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