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직 교사를 위한 동작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

        심성경,송화진,변길희 한국교원교육학회 201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현직 교사를 위한 유아 동작교육 프로그램을 고안, 실시하여 교사에게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J시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현직 교사 20명이다. 이들은 교육 경력이 만 2년 이상이며, 현재 만 3, 4, 5세 유아를 담임하고 있는 교사들이다. 연구 도구로는 장은주(2007)의 연구에서 사용했던 음악교육 관련 측정 도구를 동작교육에 맞게 연구자가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현직 교사를 위한 동작교육 프로그램은 동작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를 가치, 신념, 감정 등 모든 하위영역에 걸쳐 향상시켰다. 둘째, 현직 교사를 위한 동작교육 프로그램은 교사의 동작교육에 대한 전문성을 동작의 요소, 동작 교수법, 그리고 활동 속에서의 동작요소 및 활동유형에 따른 교수방법의 통합, 적용 등 모든 하위영역에 걸쳐 증진시켰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effectiveness of in-service education program for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The program was constructed by the researchers based on Eun Ju Jang(2007). And it was corrected by pilot study. The subjects of this study is 20 two-years experienced teachers who were teaching 3-5 years olds in J City at Jeonbuk. The 2 scales made by the researchers based on Eun Ju Jang(2007)'s scales were used. As a result, first, There were positive influences on teachers' attitudes for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in all sub-areas(value/ faith/ feeling). Second, There were positive influences on teachers' professionalism for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in all sub-areas(the elements of movement/ teaching method/ integration & application of teaching methods according to elements of movement and activity type in early childhood movement activities).

      • KCI등재

        동작요소중심의 유아동작교육 프로그램이 기본동작능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백성희(Beck Sunghee),이혜은(Lee Haeeu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1 No.4

        본 연구는 동작요소중심의 유아동작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기본동작능력 및 창의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기 위하여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일반적 동작교육 프로그램과 동작요소중심 동작교육프로그램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동작요소중심의 동작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집단이 일반적 동작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집단보다 기본동작능력 중 이동 동작능력 조작적 동작능력점수가 높았다. 둘째, 동작요소중심의 동장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집단이 일반적 동작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보다 창의성의 향상정도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동작요소와 관련된 교사의 발문이나 제시가 유아에게 동작의 원리를 직관적으로 이해하며 신체를 다양하게 탐색하고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이후 동작교육관련 프로그램 개발 및 교사교육내용에서 동작요소관련 내용이 포함되는 것이 필요하다. 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movement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movement elements for young child's basic motion ability and creativity. This movement education program is focused on movement elements This movement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movement elements is integrated in ten subjects sugges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Each subject has two activities so total twenty movement activities were developed asan annual program. The time required for each activity was less than thirty minutes. We compared the Basic Gesture Ability and Creativity between the movement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movement elements group(experimental group) and normal movement(control group) education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vement elements group has higher score than normal movement group in Basic Gesture Ability. second, the movement elements group's creativity had higher than normal movement group's. Activities focused on movement elements may give children opportunities that children can understand intuitively and investigate their bodys and expres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movement elements is emphasized in developing program and teachers training program for movement education.

      • KCI등재

        유아동작교육에 대한 교사의 전문성과 동작교육태도 및 동작교수효능감과의 관계 연구 : 동작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정애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학논집 Vol.21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professionalism for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movement education attitude and movement teaching efficacy. Also,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movement teaching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professionalism for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and movement education attitud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62 teachers working at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in G city and J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program.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teacher's professionalism for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movement education attitude and movement teaching efficacy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influence of teacher's professionalism for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on movement education attitude, teacher's professionalism for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can be explained as a factor affecting movement education attitude. It was found that the subordinate domain had a high influence in learning the movement elements, improving the teaching method, and applying the actual teaching method. In addition, teacher's movement teaching efficacy can be explained as a factor affecting movement education attitude. It was found that the subordinate domain had a high influence in outcome expectation efficacy, personal efficacy. Third, movement teaching efficac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professionalism for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and movement education attitude. 본 연구는 유아동작교육에 대한 교사의 전문성과 동작교육태도 및 동작교수효능감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와 영향력을 살펴보았으며 유아동작교육에 대한 교사의 전문성과 동작교육태도와의 관계에서 동작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G시와 J도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에 근무 중인 교사 26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유아동작교육에 대한 교사의 전문성과 동작교육태도 및 동작교수효능감의 상관관계를 살펴본결과 변인간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동작교육에 대한 교사의 전문성이 동작교육태도에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유아동작교육에 대한 교사의 전문성은동작교육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하위영역 중 동작요소 습득, 동작교수방법 증진, 실제 동작교수방법 적용 순으로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교사의 동작교수효능감은 동작교육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하위영역 중 결과기대 효능감, 개인효능감 순으로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동작교육에 대한 교사의 전문성과 동작교육태도와의 관계에서 동작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에 의하면, 동작교수효능감은 유아동작교육에 대한 교사의 전문성과 동작교육태도와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유아동작교육 프로그램의 연구동향 분석

        손복영(Sohn, Bok 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1

        본 연구는 국내 유아동작교육 프로그램의 유형, 동작교육의 내용, 유아동작교육 프로그램의 적용효과 및 연구방법 등의 연구동향을 분석함으로써 유아동작교육 관련 연구를 재조명하고 유아를 위한 동작교육의 발전적인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981년부터 2019년 3월까지 발간된 유아동작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석 ㆍ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논문 173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동작교육 프로그램의 유형은 교수방법에 기초한 프로그램 연구, 타 교과와의 통합 프로그램 순으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둘째, 유아동작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은 기본동작, 창의적 표현동작, 기본요소, 리듬동작, 동작감상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동작교육 프로그램의 적용효과는 유아 변인에 대한 연구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창의적 신체표현력, 기본운동능력, 사회성․친사회적행동, 창의성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동작교육 프로그램의 연구방법은 양적연구에 편중되었으며, 연구대상은 만5세 유아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previous researches on early childhood activity education program and give insights into the appropriate direction by analyzing types, contents, implementation effect, research methods of early childhood activity education programs in Korea. To do so, master and doctoral theses related to the subject of early childhood activity education program that were issued from 1981 to March 2019, along with a total of 173 academic articles, were selected and review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ost frequently researched early childhood activity education program type was “instruction based program” type, followed by “integrated program with other subjects” type. Second, basic movement, creative expression, basic principle, rhythmic movement, appreciation of movement were the most studied contents in the said order. Third, researches on the implementation effect of early childhood activity education programs mostly focused on the childhood variable, followed by creative body expression, basic activity capacity, social and prosocial behavior, and creativity. Forth, the study showed that most of the researches used th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with the subject of five-year-old children.

      • 유치원과 초등학교 저학년 교육과정의 동작관련 활동 연계성에 관한 연구

        이지안 ( Ji An Lee ),이순례 ( Soon Rye Lee ) 한국유아체육학회 2010 한국유아체육학회지 Vol.11 No.1

        본 연구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사용「유치원 지도서」와「초등학교 지도서」의 동작교육 내용분석을 통해 유치원과 초등학교 저학년 동작교육의 연계를 위한 방향설정에 도움을 줄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기본적으로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하였으며, 조사대상은 교육과학기술부에서 2009년에 발행 한「유치원 지도서」와「초등학교 지도서」에 수록 된 동작활동 중 ‘동작의 제시어’를 포함한 내용, ‘유치원해설’, ‘초등학교해설’, 이순례(1996)와 이영(2008)의 문헌이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빈도와 백분율이 산출되었다. 주요결과로는, 첫째, ‘동작교육’과 ‘건강·표현생활’, ‘즐거운 생활’영역에서 유치원과 초등학교 동작교육 목표의 연계가 있었다. 둘째, 유치원과 초등학교 저학년 동작교육의 계속성 측면의 연계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치원과 초등학교 저학년 동작교육의 계열성 측면의 연계 또한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포괄적 측면의 연계를 위해서 신체 발달측면의 ‘동작과’와 통합교과를 통한 ‘예술적 동작과’의 분과로 각각 추구하는 발달을 도모하도록 해야 하며 이 모두를 조직하여 초등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를 도모할『동작교육과정』의 마련에 대한 포괄적 연계방안이 요구된다. 결론적으로 유치원과 초등학교와의 연계는 교육내용과 관계된 모든 것을 포괄적으로 조직하는 교육과정을 통해 가능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mplications about movement-related education by investigating the connections between national curriculum for kindergarten and primary grades in elementary school.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purposes of movement education for kindergarten and primary school were commonly pursuing improving various and creative methods for expression, appreciation and aesthetic appreciation with sound body. Thus, the purposes seem to being connected with each other. Second, there was no continuity of movement education between kindergarten and primary grade. Third, there was no sequence in terms of difficulties of activities. Accordingly, curriculum developers for kindergarten and primary grade need to improve continuity of and sequence of difficulties in movement education through comprehensive perspectives.

      • KCI등재

        유아동작교육수업에서 사례기반학습 적용 및 효과 분석 연구: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정진화,윤지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8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Case-based learning, as a teaching method, to some movement education classes for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The study also explored its effects on their teaching efficacy and expertise in movement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six week study were 164 second year pre-service teachers at a two year college. Half of them joined the experimental group that used Case-based learning, and the other half was the comparison group that used a traditional method of lecture and workshops. For the collected data, the subjects’ teaching efficacy, belief, and professionalism regarding movement education and t-test were used in the analysis. Post-test scores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Specifically, the scores for teaching efficacy, belief, and professionalism of the pre-service teac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comparison group. We conclude that Case-based learning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methods for teaching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movement education, and it is expected to make a substantial contribution to the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field. 본 연구는 유아교사양성과정의 유아동작교육수업에서 사례기반학습을 적용하여 예비유아교사의 유아동작교육 교수효능감과 유아동작교육 전문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서울 소재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2학년 학생 164명(실험집단 82명, 비교집단 82명)이었다. 무선으로 선정된 두 집단 중 실험집단에는 사례기반학습을 적용하였으며, 비교집단에는 강의식수업과 워크숍을 6주에 걸쳐 적용하였다. 연구자료는 ‘동작교육 교수효능감 도구’, ‘동작교육 전문성 도구’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t검정을 통해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의 예비유아교사가 비교집단의 예비유아교사보다 유아동작교육 교수효능감, 유아동작교육 전문성의 사후검사 점수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유아동작교육에서 예비유아교사의 동작교육 실천능력을 증진시키는데 사례기반학습이 효과적인 방안이라고 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실제 교육현장에서 유아동작교육 내실화의 도모를 기대할 수 있다.

      • KCI등재

        TBL 현장중심 유아동작 교과의 효과성 연구: 예비유아교사의 유아동작교육 인식 및 수준, 동작교수효능감, 협력적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조혜영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5

        목적 본 연구는 TBL 현장중심 유아동작 교과의 효과성을 유아동작교육 인식 및 수준, 동작교수효능감, 협력적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SPSS 25.0을 이용하여 충청도 소재지 A대학교 유아교육과 재학생 중 TBL을 활용한 현장중심 유아동작교육을수강한 45명을 대상으로 연구변인의 사전 평균점수와 사후 평균점수 간의 통계적인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변인별 짝지어진 표본의 데이터를 비교⋅분석하는 대응표본 T-검정을 95% 신뢰구간에서 확인하였다. 결과 주요결과를 보면, 첫째, 동작교육 인식, 동작교수효능감, 협력적 자기효능감 측정변인별 기술통계치는 중위값 이상으로 높게나타난 반면, 동작교육 수준의 사후점수는 3점대 이지만, 사전점수는 1점대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정규성은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BL 현장중심 유아동작교육 수업 전과 후의 연구변인들의 평균점수 차이는 최소 .16점부터 2.15점까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동작교육의 중요성, 필요성, 계획 실행성 사전⋅사후 점수 차이검증 결과 사후 평균점수가 사전 평균점수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TBL 현장중심 유아동작 교과가 유아동작교육인식 및 수준, 동작교수효능감, 협력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TBL 현장중심 혁신교수법 적용 유아동작 교과의 효과성이 검증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예비유아교사가 유아교육현장에 동작교육을 적용함에 있어서 자신감을 함양하는데 도움이 되었고, 유아동작교육에 대한 전문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음을 확인 한 결과이다. 이를 통해 TBL 현장중심 혁신교수법을 유아교육 교과에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대학(교)에서의 동작교육 수강 만족도와 유아동작교육에 대한 인식 및 개선방안

        김은심(Kim Eunshim),최혜진(Choi Hyeji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0 No.3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대학(교)에서의 동작교육 교과 수강 후 만족도와 현재 유아동작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해 보고, 유아동작교육에 대한 문제점 그리고 효과적 동작교육을 위한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부산광역시와 울산광역시에 소재한 공ㆍ사립 유치원 교사 27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대학(교)에서의 동작교육 교과 수강 후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학력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경력에 따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력이 적을수록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유아동작교육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학력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경력이 적을수록 인식이 높게 나타나는 내용영역들이 있었다. 셋째, 동작교육 지도 시 어려운 점과 효과적 동작수업을 위해 필요하다고 느끼는 점, 대학(교)에서의 동작교육 교과에 대해 부족한 점과 보충해야할 점에 대한 교사의 의견을 알아본 결과, 동작교육 교재교구 개발과 교사연수에 대한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Seeking to provide a basis for developing sound movement education-curriculum in University and movement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this study explores the kindergarten teachers' satisfaction about movement education-curriculum in university and recognition about movement education. A questionnaire presented to reachers on satisfaction about movement education-curriculum in university and recognition about movement education were analyzed. 300 kindergarten teacher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Busan and Ulsan city. The means and differences were analyzed by ANOVA and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satisfaction about movement education-curriculum in universi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eaching career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cademic degrees. Second, recognition about movement educa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eaching career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cademic degrees. Further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discussed. Third, difficulties of teaching movement-education, requirements of effective movement courses and the satisfaction about movement education-curriculum in university show that needs for development of various teaching materials of movement education and teachers' training courses are high.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유아동작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이정애 ( Lee Jeong Ae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연구논총 Vol.42 No.3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유아동작교육 관련 연구동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990년부터 2020년 12월까지 발행된 유아동작교육관련 등재지 논문 186편을 선정한 뒤 SPSS 프로그램, UCINET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키워드 빈도분석, 키워드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 CONCOR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유아동작교육 관련 학술지 논문의 연도별 연구 빈도 및 주요 키워드 빈도를 분석한 결과 다양한 사회적 요구로 인해 유아동작교육관련 연구는 2010년 이후 급격하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영유아들을 대상으로 한 동작교육 교수학습 방법의 효과 검증을 다룬 연구, 동작교육과 관련된 교사변인 연구, 동작교육을 통해 증진될 수 있는 유아의 발달영역을 다룬 연구가 주요하게 실시되고 있었다. 둘째, 유아동작교육의 전체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결과, 유아교육기관에서 실제적으로 적용가능한 프로그램 등을 포함한 동작교육의 교수학습 방법 개발 및 효과 검증을 다룬 연구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고, 유아의 기초체력이나 운동능력 증진을 위한 동작교육에서 나아가 유아의 자유로운 표현을 강조한 창의적인 동작활동을 위한 방법적 노력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현장에서 동작교육을 실천하기 위한 어려움을 인지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교사변인 관련 연구가 증가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제시한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유아동작교육 방법, 주제, 활용방안 등 유아동작교육 연구방향의 다변화를 추후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research trends in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through a keyword network analysis. To achieve this, 186 articles related to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published between 1990 and December 2020 were examined. Using SPSS and UCINET, a keyword frequency analysis, a keyword network centrality analysis and a CONCOR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 that research related to movemen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has been on the rise since 2010 due to various social needs, with studie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movemen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studies on teacher variables related to movement education, and studies on the developmental areas of young children that can be improved through movement education mainly conducted. Seco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entire keyword network of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show that numerous studies have dealt with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movement educati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cluding programs practically applicabl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lso, it was found that methodological efforts were made for creative movement activities emphasizing children's free expression, going beyond movement education for improving the basic physical strength or the motor ability of young children. Additionally,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number of studies on teacher variables to recognize and overcome the difficulties in practicing movement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likely that the diversification of the research direction of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focusing on methods, topics, application methods, etc., will be explored in the future.

      • KCI등재

        음악활용 동작교육활동 적용과정에 나타난 만 2세 영아의 반응 탐색

        문선영,김은심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9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2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ehavior of 2-year-old toddlers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and applying movement education for toddlers using music which is closely related to movement. To develop ‘the movement education activities using music.’ literature analysis and needs analysis were carried out. Additionally, the researchers also conducted consultations with the movement education specialists and field teachers. Through this process, we developed 20 activity plans. The developed ‘movement education activities using music.’ was applied to 2-year-old toddlers (14 children) for 12 weeks. As a result, the 2-year-old toddlers who experienced various types of basic movements during ‘the movement education activities using music.’ showed that their basic movement ability including non-locomotor movement, locomotor movement and manipulative movement improved. Moreover, the 2-year-old toddlers showed improvement in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including basic emotional, social behavior, self–concept, self-regulation, and social relations in the process of applying ‘the movement education activities using music.’ In conclusion, the movement education activities using music for 2-year-olds developed in this study was effective in improving 2-year-old toddlers' fundamental motor ability and social-emotional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the rationale and implications of movement education activities using music for 2-year-olds to be used as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during infancy. 본 연구는 동작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음악을 활용한 영아 대상의 동작교육활동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는 과정에 나타난 만 2세 영아의 반응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음악활용 동작교육활동을 개발하기 위하여 문헌분석과 요구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동작교육 전문가 및 현장교사와의 협의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20회기의 활동안을 개발하였고 개발된 동작교육활동을 만 2세 영아 14명에게 12주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음악활용 동작교육활동에 참여한 영아들은 음악활용 동작교육활동 적용과정에서 속도, 박, 리듬패턴, 강세의 리듬요소에 맞춰 다양한 유형의 동작활동을 경험함으로써 비이동운동, 이동운동, 조작적 운동을 포함한 기본운동능력이 향상되는 모습이 나타났다. 또한 영아들은 음악활용 동작교육활동 적용과정에서 혼자 그리고 함께 동작활동을 경험함으로써 기본정서 및 사회적 행동, 자아개념, 자기조절, 사회적 관계를 포함한 사회정서영역의 발달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결과는 음악활용 동작교육활동은 영아의 기본운동능력과 사회정서발달을 증진시키는데 적절한 동작교육활동이며, 영아에게 의미 있고 효과적인 동작교육활동으로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