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안중근(安重根)과 최재형(崔在亨)

        반병률(Ban, Byung-yool)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9 역사문화연구 Vol.33 No.-

        1908년 여름 함경도 두만강 국경지역의 일본군수비대를 공격했던 연해주의병 운동의 중심조직은 동의회였다. 최재형은 동의회의 총장으로서, 안중근은 평의원으로 선임되었으며, 국내로 진공한 동의회 의병부대 조직에서 안중근은 우영장으 로 활동했다. 하르빈 의거의 동지 우덕순 역시 동의회 회원이었다. 동의회의 중심세력은 안중근과 그의 의형제인 엄인섭, 김기룡을 중심으로 한 ‘87형제파’의청년들이었다.최재형은 1893년이후 연추면의 도헌(都憲)으로서 1908년 당시 한인사회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한인사회의 지도자였다. 최재형이 동의회의 최고지도자가 될 수 있었던 것은 러시아군대를 상대로 하는 청부업과 상업 활동을 통해 축적한 경제력과 러시아지방당국자들과 한인농민들 사이에서의 두터운 신망을 바탕으로한 한인사회에서의 영향력이었다. 국내로부터 망명해오는 대부분의 애국지사들이 연추 마을과 노보키예프스키(1905년이후)에 위치했던 최재형의 집에서 식객으로 머물렀고 안중근도 예외가 아니었다.동의회가 최재형파와 이범윤파로 분열 대립되었을 때, 안중근은 최재형파에 속했다. 안중근은 이범윤측이 지목한 최재형파 핵심인물 9명 가운데 한 사람이었다. 안중근은 이범윤의 권위주의적이며 봉건적인 태도를 달가워하지 않았으며,후일 하르빈사건 심문과정에서도 “이범윤과는 의견이 맞지 않아 행동을 같이한적이 없다”고 말했던 것이다. 이에 반하여 유인석이 최재형에게 보낸 편지에서평가한 바, 안중근은 최재형과 동지적 관계에 있었다. 즉, 유인석은 안중근이 “일찌기 도헌[都憲-최재형] 휘하의 병사가 되어 도헌의 집에 머물면서 늘 다시 거의(擧義)하여 원수를 갚고 나라를 되찾을 것을 의논하였”다고 했던 것이다. 1932년에 쓴 책에서 최호림이 동의회를 좌우 2파로 나누고, 안중근을 엄인섭, 장봉한, 최병준, 황병길과 함께 ‘동의회 좌파’인 최재형파 인물로 분류했던 것도 이와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1908년 국내진입 의병운동에서 패퇴한 후 안중근은 연해주와 흑룡주(아무르주)의 한인거주지들을 순방하였는데, 북으로는 멀리 아무르강가의 러시아와 중 국의 국경지대에 위치한 사만리(블라고슬로벤노예)마을에까지 찾아갔다. 수청지방에서는 일진회 회원들에게 잡혀 목숨을 잃어버릴뻔 했다. 1908년 이후 의병운동이 쇠퇴하게 된 데는 러시아당국의 의병활동 금지정책이 가장 큰 원인이었지 만, 이에 못지 않게 한인사회의 의병활동에 대한 부정적 입장, 특히 의병운동의 최대후원자였던 최재형 자신이 의병운동과 거리를 두게 된 것이 가장 큰 원인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재형은 1909년 봄 안중근 등 수청파가 중심이 된 한 인일심회를 적극 협조하였다. 이후 하르빈의거에 이르기까지 안중근은 각지를 순방하며 교육에 힘쓰고 국민 단합을 고취하였는데, 노보키예프스키에서는 최재형의 집에 머물면서 도움을 받았다.1908년 여름의 국내진공작전이후 침체된 상황에서 안중근이 중심이 되어 연추에서 결성한 단지동맹, 동의단지회는 “일심단체(一心團體)로 나라를 위해 몸을 바쳐 기어이 목적으로 달성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안중근 등 12명이 결성한 동의단지회와의 관련성을 확인할 수 없으나 “최재형이라는 사람이 있어 우리 일을 만히 돌보아 주었”다는 우덕순의 회고를 보건대, 최재형이 안중근이 회장이었던 동의단지회 등의 활동을 여러 가지로 지원하였을 것으로 짐작된다.현재로서 안중근이 하르빈으로 떠나가기 전에 최재형과 자신의 의중을 밝혔는지, 밝혔다면 어느 정도로 구체적으로 이토오 히로부미 처단계획을 협의했는가는 확인할 수 없다. 그러나 안중근이 하르빈으로 떠나기 전까지 노보키예프스키의 최재형 집에 기식하면서 후원과 보호를 받고 있었던 사실은 확인할 수 있다. 하르빈 의거 직후 일본당국이 최재형을 하얼빈 의거의 연루혐의자로 지목한 37명 가운데 첫 번째 인물로 지목한 것은 우연이 아니다. 안중근이 하르빈 의거 공판투쟁에서 방어하고 숨기고자 했던 여러 사실 가운데 최재형과의 관계가 그 하나였다. 안중근은 우덕순과의 공모사실이나 1908년 여름 동의회 의병의 국내진공 참여 사실, 그리고 단지동맹의 결성 사실 등은 일본당국자들의 집요한 추적에 밀려 방어하는데 실패했지만, 대동공보 관계자들의 관여사실(유진율, 이강의 자금, 총기 제공문제)이나 최재형과의 관계를 숨기는데 성공하였다.안중근이 1910년 2월 7일에 열린 제1회 공개 공판정에 ‘팔도(八道) 의병총독(總督)’으로서 김두성이란 인물을 내세운 것 역시 한편으로는 자신의 공판투쟁 전략에 따른 것이었다. 이와 아울러 이 전략은 최재형을 보호하고 그와 관련된 사실들을 숨기고자 했던 것이라 판단된다. The Dongeuihoe(同義會, Association of Comrades) was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infiltration of the euibyeong(義兵, Righteous Army) into the border area of Korea in the summer of 1908. Choe Jae-hyeong and An Jung-geun were elected respectively as the president and council member of the Dongeuihoe. An Jung-geun led the right half of the euibyeong troops which attacked the northern border area across the Duman River. An's comrade, U Deok-sun was also a member of the the Dongeuihoe. The core force of the the Dongeuihoe was composed of young people of “the eighty seven group”whose key leaders were An Jung-geun, Eom In-seop and Gim Gi-ryong Choe Jae-hyeong had worked as the magistrate(doheyeon, 都憲) of the Ianchikhe(煙秋) prefecture locate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Russian Maritime Province since 1893 and eventually became the most influential person among Koreans in Russia. It was his economic power and high reputation among local Russian authorities and Korean people which led to his presidency of the Dongeuihoe. Most of the political exiles who crossed the border to Russia sought asylum at Choe Jae-hyeong's residence in Ianchikhe village and Novokievskii(after 1905). An Jung-geun was among them. When the Dongeuihoe was divided between supporters of Choe Jae-hyeong and Yi Beom-yun, An Jung-geun sided with Choe and was one of nine key members of the Choe's group. An Jung-geun was unfavorable toward Yi Beom-yun's authoritative and feudalistic behavior. An Jung-geun once explained to a Japanese oliceman that he disagreed with Yi Beom-yun and accordingly had never worked together with Yi. Yu In-seok had commented in his letter to Choe Jae-hyeong that An Jung-geun and Choe were close comrades. Yu wrote, “An Jung-geun served as a soldier to Doheon(Choe Jae-hyeong) and always discussed with Choe about ways to initiate a movement for revenge upon the enemies and restoring the independence of Korea.” In his book, Choe Ho-rim grouped the members of the Dongeuihoe into two factions, right wing and left wing, and classified An Jung-geun into Choe' Jae-hyeong's left wing along with Eom In-seop, Jang Bong-han, Choe Byeong-jun and Hwang Byeong-gil. After the failure of the euibyeong army's attack on the Japanese border guard in the summer 1908, An Jung-geun visited Korean villages in the Russian Maritime Province and Amur Province. An Jung-geun visited a Korean village called Blagoslovennoe(Samanni in Korean) which was located by the Amur River in the Amur Province. In Suchan, An Jung-geun was captured and almost killed by the members of the Ilchinhoe(Advancement Society). Together with the Russian policy of prohibiting the military activities of the euibyeong army, unfavorable opinions toward the euibyeong army among Koreans and Choe Jae-yeong's efforts to distance himself from the euibyeong group were contributing factors to the decline of the euibyeong activities since the Fall of 1908. evertheless, Choe Jae-hyeong supported the activities of the Ilsimhoe which An Jung-geun and his Sucha group organized in the early 1909. Since that time, An Jung-geun visited Korean villages and stressed the importance of education and the unity of Korean people. When An Jung-geun went to Novokievskii, he stayed at Choe Jae-heyong's residence. In spring of 1909, An Jung-geun cut off a ring finger together with eleven comrades organizing a secret society whose members were to “have one-mind and unity and devote themselves towards the independence of their nation.” U Deok-sun noted that Choe Jae-hyeong supported their activities in many ways and that Choe Jae-hyeong' must have supported the activities of the Danji Dongmaeng (Society of Cut Fingers). We do not know whether An Jung-geun revealed his plan to assassinate Ito Hirobumi to Choe Jae-hyeong and if so, the extent to which he discussed with Choe about his plan.

      • KCI등재

        러시아에서의 안중근의 항일독립운동에 대한 재해석

        반병률(Ban Byung-yool)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연구소 2009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34

        An Jung-geun had stayed in Russia almost for three years from the end of November, 1907 to Octover, 1909. An Jung-geun summarized his activities in Russia briefly as follows: the education of Korean compatriots and righteous army activities(euibyeong, 義兵). The activity which An Jung-geun called the ‘education of Korean compatriots’ in Russia was mainly intended to mobilize young volunteers for the righteous army and to collect military fund for weapons and supplies. An Jung-geun travelled around Korean villages in the Russian Far East and delivered speeches to Korean compatriots, firstly in the winter of 1907~1908 and secondly in the winter 1908~1908. In this sense, An Jung-geun’s educational activities in Russia were not based on the strategy of “wanjin undong(gradual advancement)”, but on the strategy of “keupchin undong(immediate advancemnt).” In Russia, An Jung-geun had advocated and sided with the supporters of the ‘keupchin faction.’ When An Jung-geun went to the Russian Maritime Province, he attempted to organize a righteous army troop with the leadership of Yi Beom-yun. When An Jung-geun came to Russia, he wanted to make Yi Beom-yun’ military force advance to the border area where a well-known righteous amry leader, Hong Beom-do was fighting against the Japanese. An Jung-geun hoped that Yi’s and Hong’s righteous army troops would eventually advance deeply into the Korean peninsula and join the righteous army troop whose leader was Min Geung-ho. However, Yi’s refusal of An Jung-geun’s proposal made An Jung-geun find his own way of mobilizing and organizing a righteous army troop with his sworn brothers, Eom In-seop and Gim Gi-ryong. An Jung-geun and his comrades succeeded in gathering eighty-seven young Koreans who volunteered to join the righteous army. The organization of the Dongeuihoe (同義會, Association of Comrades) was the result of the efforts of An Jung-geun and his comrades. The military attack on border areas where the Japanese military troops were defending was not possible without material and spiritual supports of the Korean compatriots in the Russian Far East. Nevertheless, the military attack on the Russo-Korean border area in the summer of 1908 was a complete failure which left a very negative effects on the Korean communities in Russia and following anti-Japanese national movement in the Russian Far East. It was natural that An Jung-geun could not achieve his goal of gathering righteous soldiers and collecting military funds for the second military attack on the Japanese in Korea. Several factors such as the prohibitive and suppressive policies of the Russian government, the internal factional struggle among Korean euibyeong leaders such as Choe Jae-hyeong and Yi Beom-yun, and Choe Jae-hyeong’s refusal to join the righteous army. It was in the unfavorable atmosphere that An Jung-geun decided to organize the Dongeui Danjihoe(Society of Cut Finger). Although the purpose of the two organizations was to mobilize and organize the righterous army, the sitruation around the organizations were quite different. An Jung-geun’s activities left long-lasting influences on anti-Japanese Korean national activities in the Russian Maritime Province and Manchuria.

      • KCI등재

        沿海州 韓人社會의 갈등과 鄭淳萬의 피살

        박걸순(Park Geol-Soon)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연구소 2009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34

        정순만(1876~1911)은 한말부터 망국에 이르는 시기에 국내는 물론 연해주에서 국권회복운동을 전개한 중요한 인물이다. 1906년 그는 이상설, 이동녕 등과 함께 망명하여 북간도에서 민족교육의 요람인 서전서숙을 건립하여 운영하다가, 헤이그 특사 파견 지원을 위해 블라디보스토크로 온 이래 사거할 때까지 연해주의 독립운동을 주도하였다. 그는 자금 모금을 통해 헤이그 특사 사행을 지원하였고, 海潮新聞을 창간하여 주간·주필·총무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그는 논설을 통해 냉혹한 사회진화론적 국제질서를 이겨나가기 위해 교육의 중요성을 역설하였다. 그러나 국내에서 초빙해 온 장지연과 극심한 불화 관계가 조성된 것은 안타까운 일이었다. 그는 공립협회에도 참여하여 국민회 지회장에 피선되는 등 미주 동포사회와 연계를 맺으며 민족운동을 전개하였으며, 뒤 이어 창간된 大東共報에도 주필로 참여하였다. 당시 정순만은 同義會라는 비밀결사에 안중근과 함께 참여하였는데, 이를 배경으로 안중근의거를 계획하고, 의거후에도 안중근의 변호에 힘을 쏟았다. 이는 그가 민족운동을 위해서는 대립되는 계몽운동과 무장투쟁을 병행할 수 있다는 독립운동 이념의 포용성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연해주 한인사회의 분파와 파쟁은 조국 독립을 위한 그의 꿈을 접게 만들고 말았다. 그는 연해주에서 ‘정순만파’나 기호파(경성파)의 수장으로 성장하였으나, 자신이 연해주 한인사회로부터 신망을 잃었다고 여긴데다 민회에서 서북파에게 밀린 나머지 격정을 이기지 못하고 1910년 1월 23일 양성춘을 사살하는 ‘양성춘 사건’을 일으켰다. 이 사건은 우발적 상황에서 오발에 의해 발생한 사고였으나, 이를 둘러싸고 제기된 각종의 설은 복잡다기한 한인 사회의 상황을 반영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그 여파는 양성춘의 형 양덕춘과 미망인의 개인적 복수 참극을 일으켰고, 결국 출옥 후 의병투쟁 등 재기를 도모하던 정순만은 1911년 6월 21일 처참한 최후를 맞이하고 말았다. 정순만의 36년 일생은 민족운동 시기의 양면성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즉, 국권회복을 다방면으로 모색한 모범적 측면과 아울러, 지역적 파쟁과 개인의 격정을 관용하지 못한 편협성은 반성하여 마땅한 것이다. 그는 민족운동 시기의 지역적 분파와 파쟁이 가져온 가해자요 피해자였다. 그러나 그의 죽음은 결국 연해주 한인사회의 반성과 단합을 촉구하여 권업회를 창립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적지 않다. Jeong Soon-Man(1876~1911) is an important figure who led a movement to restore Korea’s national sovereignty in Primorie, Russia as well as Korea from the end of the Korean Empire till national ruin. He went into exile into North Jiandao together with Sang-Seol Lee, Dong-Nyeong Lee and others in 1906, and established and managed Seojeonseossok(a school to educate Koreans abroad for the restoration of national sovereignty), and then led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Primorie till the last since he came to Vladivostok to support dispatching a special envoy to The Hague. He supported dispatching a special envoy to The Hague through fund raising and began publication of “Haejoshinmun(Haejo Newspaper)” and did his part as its chief manager, chief editor and manager. In his editorials h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ducation to overcome the grim international order, however, unfortunately a bitter feud with Ji-Yeon Jang who was invited to Vladivostok was bred. As he took part in Gongriphyeobhoi(a body established in San Francisco in 1905 for Korea’s independence movement) and was elected branch chairman of Gookminhoi(Grand Korean’s National Assembly), he establishedties with the Korean communities in America and participated in the racial movement. After that, he worked for Daedonggongbo(a newspaper published by Korean National Assembly in Vladivostok) as the chief editor, too. As Soon-Man Jeong participated in a secret society “Dongeuihoi” together with An Jung-geun at that time, he planned the noble undertaking of An Jung-geun and did his best to defend him after the undertaking on this background. This shows us that his ideology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embraced the two conflicting movements, that is, enlightenment movement and armed struggle for the racial movement. But the factional strife in Korean society in Primorie, Russia collapsed his dream for the independence of his fatherland. He grew into the head of Jeong Soon-Man faction or Geeho faction(or Gyeongseong faction), however, as he considered that he lost his confidence and popularity in Korean society in Primorie and he couldn’t restrain his passion driven by being overpowered by Seobook faction(Northwest faction), he caused the case of murdering Seong-Choon Yang on 23rd of January, 1910. Though the case was caused by an accidental shooting in an accidental situation, various views raised on his murder reflected the complicated situation of Korean society, however, in the aftermath of the incident, as Deok-Choon Yang, Seong-Choon Yang’s brother, and his widow avenged his death, Soon-Man Jeong who attempted to make a comeback after his coming out of prison met with a violent end on 21st of June, 1911. His 36 year life clearly shows the double-sideness of the time of the racial movement, that is, there was a model side seeking the recovery of national sovereignty in various fields, however, a factional strife based on the region and bigotry which didn’t tolerate a private passion should be reconsidered. He was the harmer as well as victim of the factional strife based on the region. But what is important is, as his death demanded the reflection and unity of Korean society in Primorie, it served as a momentum to establish Kwoneobhoi(a body for Korea’s independence movement).

      • 안중근의 동의단지회(同義斷指會) 연구

        박민영 육군군사연구소 2010 군사연구 Vol.- No.129

        Jung Geun Ahn was a militia leader operating in Yunhae Province of Russia, who punished the mastermind of Japanese Invasion of Korea, Ito Hirobumi, in Harbin on October 26, 1909. He advanced to Hambook Province with his 200 militiamen to engage in violent battles against the Japanese force. Then he cut the left ring finger with 11 fellow comrades and organized Donguidanjihoe on February 26, 1909. The organization was established to strive for national independence and Asian peace through solidarity of public support succeeding purports and spirits of Society of Shared Will (DongEuiHwaei) even in the circumstances unfavorable to continuation of the struggle. Donguidanjihoe was organized by Ahn as head and his 11 comrades. Of the 12 members stated by leader Ahn, 8 figures were identified with the real name, including Gyu Sam Baek, Gi Ryung Kim, Soon Gi Kang, Yeung Soon Cho, Byung Gil Hwang, Chang Doo Kang, and Hwa Chun Gal; it is currently difficult to confirm real names of the rest 4 members, Won Joo Jeong, Bong Seok Park, Chi Hong Yoo, and Baek Choon Kim. Ahn organized the society in order to present corroborative evidence for solidarity and unity he had advocated while visiting Korean communities in Yunhae Province and furthermore to demonstrate proof of his devotion to cause of Korean Independence. Donguidanjihoe was therefore a society established to declare adamant determination to achieve national independence,not to carry out vehement struggles against Japan. It can be evaluated that self-sacrificial volition demonstrated in the organization of Dongeuidanjeehwae functioned as motivation to perform the Assassination in Harbin. 1909년 10월 26일 하얼빈에서 대한침략의 원흉 이등박문을 처단한 안중근은러시아 연해주에서 활약한 의병 지도자였다. 그는 1908년 휘하 의병 200명을이끌고 함북지방으로 진출하여 일본군과 수십 차례 혈투를 벌였다. 이어 그는1909년 2월 26일 동지 11명과 함께 왼손 무명지를 끊고 동의단지회를 결성하였다. 이 결사는 투쟁여건이 어려워진 상황에서 의병결사인 동의회의 취지와 정신을계승하여 인심단합을 통해 조국독립과 동양평화에 더욱 매진할 목적으로 결성한단체였다. 동의단지회는 맹주 안중근이 나머지 11명의 동지들과 함께 결성한 것이다. 안중근이 진술한 동의단지회 12명 회원 가운데 실명으로 확인되는 인물로는 맹주안중근을 비롯하여 백규삼(白圭三)․김기룡(金起龍)․강순기(姜舜璣)․조응순(趙應順)․황병길(黃炳吉)․강창두(姜昌斗)․갈화천(葛化天) 등 8명이며, 나머지정원주(鄭元柱[周])․박봉석(朴鳳錫)․유치홍(柳致弘)․김백춘(金伯[海]春) 등 4명은현재로서는 실명을 확단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안중근이 동의단지회를 결성한 것은 연해주 한인사회를 순방하면서 자신이역설한 단결과 화합의 증좌(證左)를 제시하기 위해, 나아가 한국독립을 이룩하는데 헌신한다는 빙거(憑據)를 보이기 위한 것이었다. 곧 동의단지회는 의열투쟁을결행할 목적하에서 결성된 단체가 아니라, 조국독립을 이룩하기 위한 굳은 결심을나타내기 위해 결성한 단체였다고 할 수 있다. 결국, 동의단지회에서 보여준 자기희생적 실천의지는 곧 하얼빈의거를 결행할 수 있게 한 동력으로 작용하게 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러시아지역 한인민족운동과 유진률

        박환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16 군사 Vol.- No.100

        Yoo Jin-ryoul, whose Russian name is Yugai Nikolai Petrovich, attracts attention as a publisher of Daedong-Kongbo and Daeyang-Bo, which represent Korean press in the Maritime Province in Russia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Yoo Jin-ryoul was born in Gyeongheung in North Hamgyeong Province, Korea, in 1875. He moved to Russia and lived in Agimi, which is a border area. According to remaining records in Korea, Yoo Jin-ryoul seems to have worked as a Russian interpreter in Joseon from the early stage. It is interesting that Yoo Jin-ryoul submitted several times to The Independent, published by the Independence Club, in Vladivostok. You can see the status of Yoo Jin-ryoul back then from lots of writings of his that were published seven times on the front page of The Indenpendence. As well, he is also estimated to have been a figure deeply interested in enlightenment, autonomy, civil rights, etc. pursued by the Independence Club. It is estimated that Yoo Jin-ryoul came to be involved in Daedong-Kongbo because of closeness to Choi Jai-hyung as Haejo Shinmun was discontinued and Choi Jai-hyung acquired Daedong-Kongbo. When Haejo Shinmun was discontinued, Yoo Jin-ryoul initiated with 35 others including Cha Seok-bo and Mun Chang-beom to develop fundraising for reissuance of the newspaper. He held a general meeting of stockholders at Daedong-Kongbo Company, and was elected a publisher when executives were selected. Daedong-Kongbo, for which Yoo Jin-ryoul was a pubilsher, is known to be related to the movement of Ahn Jung-keun in a certain way. Ahn Jung-keun developed activities of an army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in Russia, and was a member of Dong-eui-hoe whose chairman was Choi Jai-hyung, the president at Daedong-Kongbo Company. The group for assassination of Ito Hiro-bumi was organized on 10 October 1909 when Yoo Jin-ryoul, Jung Jae-kwan, Lee Kang, Yoon Il-byung, Jeong Soon-man, Woo Duk-soon, etc. gathered in the office of Daedong-Kongbo Company. In conclusion, Yoo Jin-ryoul was a Korean with the nationality of Russia and the thought for enlightenment. He is estimated to have recognized that education was important for Joseon to be enlightened and civilized and to have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press in Russia as a part of that. That is, he can be viewed as a Korean modern racial movement activist with the nationality of Russia who have recognized that the enlightening movement for the Joseon people was desperately necessary more than anything else. 유진률, 러시아이름 유가이 니콜라이 페트로비치는 구한말 러시아 연해주 지역 한인언론을 대표하는 『대동공보』와 『대양보』의 발행인으로서 주목된다. 유진률은 1875년 함경북도 경흥에서 출생하였다. 그는 러시아로 이주하여 국경지대인 아지미에 살고 있었다. 한국측 기록에 보면, 유진률은 일찍부터 조선에서 러시아어 통역관으로 일한 것으로 보인다. 유진률은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독립협회에서 간행한 독립신문에 여러 번 글을 투고하고 있어흥미롭다. 그의 글들이 독립신문 1면에 7차례 많은 분량이 실리는 것으로 보아, 당시 유진률이 차지하는 위상을 살펴볼 수 있다. 아울러 독립협회가 추구하고 있던 개화, 자주, 민권 등에 깊은 관심을 갖고 있던 인물이 아닌가 추정된다유진률은 『해조신문』이 폐간되고 최재형이 『대동공보』를 인수하면서 그와의 친분으로 대동공보에 관여하게 된 것이 아닌가 한다. 유진률은 『해조신문』이 폐간되자, 차석보, 문창범 등 35인과 함께 발기하여 신문 재간을 위하여 자금 모금 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는 대동공보사에서 주주총회를 열고, 임원을 선정할 때 발행인으로 선출되었다. 유진률이 발행인이었던 『대동공보』는 안중근의거와 일정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안중근은 러시아 지역에서 의병활동을 전개한 인물로서 대동공보사 사장 최재형이 회장인 동의회의 구성원이었다. 1909년 10월 10일 대동공보사의 사무실에서 대동공보사의 유진률, 정재관, 이강, 윤일병, 정순만, 우덕순 등이 모인 가운데 이등박문의 암살을 위한 조직이 이루어졌다. 결론적으로 보면, 유진률은 러시아국적의 한인으로 개화사상을 갖은 인물이었다. 그는 조선이 개화하고 문명화되기 위해서는 교육이 중요하다고 인식하였고, 그 일환으로서 러시아지역 한인언론의 발전에 기여한 인물이 아닌가 한다, 즉 그는 조선인에 대한 계몽운동이 무엇보다도 절실하고 필요하다고 인식한 러시아국적의 한인으로서 근대적인 민족운동가였다고 볼 수 있겠다.

      • KCI등재후보

        헤이그특사가 국외 독립운동에 미친 영향

        이명화(Myeong-Hwa Lee)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연구소 2007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29

        헤이그 평화회의에 특사 파견 결과는 국내 · 외 독립운동에 큰 영향을 끼쳤다. 그것은 이후에 국내외에서 전개된 한국 근대역사의 전개가 말해주고 있다. 이른바 ‘헤이그사건’이 일어난 후 고종황제가 강제로 퇴위당한데 이어, 정미7조약이 늑결되었으며 한국군대는 해산당하여 대한제국은 실질적인 주권을 상실해 갔다. 이로 인해 국내외에서는 전면적 의병항쟁과 의열투쟁이 거세게 일어나게 되었다. 헤이그 평화회의 개최 이전, 일본은 諸國 열강들과 조약 및 협정을 체결하면서 이를 통해 끊임없이 한국의 황실 보존과 주권 독립을 약속하면서 이면에서는 철저히 한국침략을 준비하며 국제사회에서의 입지를 구축해나갔다. 고종황제의 3특사는 일본의 불법행위와 사기적 기만을 비판하고 국제사회에 평화와 정의를 호소했지만, 그 어떤 나라도 공식적으로 한국에 동정을 표하고 일본의 한국 침략을 비판한 나라는 없었다. 결국 헤이그특사의 파견은 결과적으로는 실패한 운동이었던 것이다. 그럼에도 헤이그특사가 국내외 독립운동에 미친 영향을 매우 크다. 그것은 한국근대역사의 커다란 전환점을 가져다주었기 때문이다. 이후 한국민들은 국제사회에 매달려 독립을 구걸하는 황실에 더 이상 기대할 것이 없고 민족 대중의 힘이 아니면 독립을 이룰 수 없다는 냉험한 현실을 깨닫게 된다. 미주를 거쳐 러시아에 거점을 마련한 이상설 · 이위종을 중심으로 한 항일 세력은 1910년대 전후로, 제1차 세계대전이 일어나기까지 미국 · 만주 · 러시아 연해주 등지에서 전개된 독립운동의 동력이 되었다. 특히 헤이그 특사를 축으로 한국내외에서 형성된 항일운동의 인적 네트워크는 한국근대 독립운동의 중요한 계보로 발전했으며 이 역시 독립운동에 큰 영향을 주었던 것이다. 또한 이준의 순국이 국내외 동포사회에 전달되면서 한인들의 항일의식은 크게 고조되었다. 이준의 죽음은 한국민의 독립의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준 사건으로, 황실이나 몇몇 지사의 저항차원이 아닌, 한인 공동의 저항적 민족의식에 불을 부쳐 국외 한인사회에 연대적 독립투쟁을 가능하게 하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그리고 그의 죽음을 둘러싸고 끊임없이 전수된 이야기는 한인들의 애국적 감성을 자극하고 의열투쟁의 영감을 줌으로써 독립운동의 정신적 기반이 되어주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The result of the dispatch of the special envoy to The Hague Peace Conference had a serious effect on the independence movement home and abroad. This appears on the surface of the Korea’s modern history developed home and abroad since then. After the event in The Hague the Emperor Gojong was deposed by force, and then the third Korean-Japanese Agreement was concluded compulsively. As a result of the Agreement Korean troops were dismissed and the Korean Empire was losing its actual sovereignty. Hereupon the full scale struggle of the army in the cause of justice and the fight for justice broke out strongly. While Japan concluded treaties and agreements with the World Powers before the Hague Peace Conference and through them promised to protect the Korean Imperial Household and sovereignty, in the background she thoroughly prepared for the invasion of Korea and built up her foundation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ree envoys of the Emperor Gojong criticized Japanese illegal act and fraudulent deception, and appealed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for peace and justice, however, any country didn’t express sympathy for Korea’s situation officially and didn’t criticize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After all, the dispatch of the special envoy to The Hague ended in failure finally. Nevertheless the event of the special envoy to The Hague had a serious effect on the independence movement home and abroad because it served as an epochal turning point in the Korean modern history. Since then the Korean people realized the hard realities that there was nothing to expect from the Imperial House entreating the international community for Korea’s independence and it was impossible to achieve independence without the power of the mass of people. Anti-Japanese forces centering around Sang-Seol Lee and Wi-Jong Lee who established a base in Russia after the establishment of a base in America became the driving force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developed in America, Manchuria, Primorie in Russia before or after 1910s before World War I. Particularly, as the composition of the members formed home and abroad with as the center of the special envoy to The Hague developed into the important lineage of the Korea’s modern independence movement, the envoy to The Hague had a serious effect on the independence movement. As Jun Lee’s death was known to the general public home and abroad, Koreans’ anti-Japanese consciousness rose to the climax. His death as the symbolic case showing Koreans’ independence volition laid the ground for the joint struggle for Korea’s independence in the Korean society abroad as it ignited the Koreans’ common national consciousness of resistance not on the level of the Imperial household or several patriots’ resistance. As the story of his death which was continuously handed down to posterity stimulated Koreans’ patriotic emotion and inspired them with heroic and noble struggle, his death got to be the spiritual basis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This is the significant meaning of his death.

      • KCI등재

        안중근 상관 金斗星의 실체를 둘러싼 諸說의 비판적 검토

        오영섭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5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85

        Kim Doo Sung, who referred to as his superior at the court, is a mysterious figure in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history. Kim was the hidden authority that bestowed Ahn the title of "Chief of Staff" or "Commander of the Independence Army in China and Russia." The scholars have provided different arguments regarding the identity of Kim. These arguments can be categorized into two contrasting perspectives: whether Kim Doo Sung is a pseudonym for an existing person or is a name of an actual person. There has been ceaseless controversy over Kim's identity, mainly due to lack of the related historical records. Two main theories, Fictitious Character Theory and Actual Person Theory, have been in opposition to each other regarding Kim's identity. The two most convincing theories, Yoo In Suk Theory and King Kojong's Nearby Person Theory, each display its own strengths and weaknesses. However, the questions presented by these theories cannot be answered at this moment simply because there is not enough sources. Hopefully, as more records are discovered in the future, the scholars will be able to come to a resolution on Kim's identity. Nevertheless, whether Kim was an actual person or Yoo In Suk, he was indubitably an influential figure who served as the "Governor-General of Independence Army in 8 Provinces." For Kim to give Ahn the title of "Chief of Staff or "Commander of the Independence Army," he needed the approval of King Kojong or his people. In other words, he needed King Kojong's approval letter that confirms the commander position of the Independence Army, either given directly from the king or his peopl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Kim must have granted Ahn the position as "Commander of Independence Army" or "Chief of Staff," under King Kojong's authority. In short, whether Kim was an actual person or a pseudonym of another person, he was the personnel in charge of the Independence Army in Maritime Province. Not only that, he was the Govornor-General, the undercover controller of the Independence Army. It can be concluded that he had been given a special authority to control the area by King Kojong in Seoul or people close to the king. 안중근을 연구할 때 가장 중요한 1차 자료인 『안응칠역사』와 재판기록에 나오는 김두성은 안중근의 상관이었다. 그는 ‘8도의병의 총독’의 자격으로 안중근에게 참모중장과 의병사령관이란 직함을 주어 의병운동을 추진하게 하였다. 안중근은 김두성이 내려준 직함들에 힘입어 연해주와 중ㆍ러 국경지대에서 의병운동을 전개했다. 또 나중에는 대한의군 특파독립대의 일원으로서 하얼빈 역두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포살하는 역사적 위업을 이룩했다. 이로 인해 김두성이 누구인가 하는 문제는 일찍부터 한국근대사 연구자들에게 반드시 해결해야 하는 과제 가운데 하나로 남아 있었다. 그런데 안중근이 재판정에서 자신의 ‘상관’이라고 말한 김두성은 한말 의병운동사나 연해주 독립운동사에서 그 존재가 확인되지 않는 미지의 인물이다. 현재 연구자들은 김두성의 실체에 대해 유인석설, 김두성설, 최재형설, 고종황제설, 고종황제 주변 인물설 등 각기 다른 주장들을 내놓고 있다. 이런 주장들은 김두성을 실존인물의 가명으로 보느냐(유인석설, 최재형설, 고종황제설), 아니면 실존인물로 보느냐(김두성설, 고종황제 주변 인물설)로 다시 크게 구분된다. 이처럼 김두성의 실체를 둘러싸고 논란이 분분한 근본 이유는 김두성 관련사료가 충분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김두성은 안중근에게 ‘참모중장’ ‘청국과 러시아 인근의 의병사령관’이란 직함을 내려준 연해주의병의 막후실세였다. 김두성의 실체에 대해서는 가공인물설과 실존인물설이란 주장이 대립하고 있는데, 이중 가장 유력한 주장이라고 생각되는 유인석설과 고종황제 주변 인물설은 각기 그 나름의 분명한 장점과 약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현단계에서는 관련자료의 부족으로 말미암아 이 문제에 대한 명쾌한 해답을 헤시할 수 없는 실정이다. 이 문제는 향후 김두성에 관한 새로운 자료가 발굴됨에 따라 해결될 것으로 기대되지만, 현재 남아있는 영성한 자료에 기대어 말한다면 김두성은 실존인물일 수도 있고, 유인석을 가리키는 것일 수도 있다. 나아가 이도저도 아니라면 최재형ㆍ이범진ㆍ이위종ㆍ김인수ㆍ기타 고종 밀지 소지자일 수도 있다. 김두성의 실체 파악과 관련하여 간과할 수 없는 중요 사실은 김두성이 실존인물이든지 유인석이든지 간에 ‘8도의병의 총독’이라는 막중한 의병총독의 자격을 지닌 인사였다는 점이다. 그런데 김두성이 안중근에게 ‘의병사령관’이나 ‘참모중장’이란 타이틀을 주려면, 한말 당시의 역사상황에서 전국 의병의 총책자임을 허여하는 고종의 밀지나 밀지에 준하는 신물(마패 등)이나 구두성 당부를 고종황제나 그의 측근들로부터 받고 동시에 대한의병의 총사령관에 해당하는 총독의 자격을 인정받아야만 했다. 따라서 김두성은 자신이 고종세력에게서 받은 고종황제의 권위를 등에 업고 안중근에게 ‘의병사령관’이나 ‘참모중장’이란 타이틀을 내려준 것임을 유의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요컨대 김두성이란 인물은 가명 인물이든 실재 인물이든지 간에 연해주의병을 이면에서 총괄한 의병총독에 해당하는 인물로서, 서울의 고종세력으로부터 연해주 의병운동을 총괄할 수 있는 특별한 권위를 부여받은 인사였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