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세기 프랑스어권 동아시아학의 지형학 ― <해외 동아시아학 연구 성과(문헌) DB 구축프로젝트>의 자료를 중심으로 ―

        박성진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7 東洋學 Vol.68 No.-

        그동안 국내 학계는 2차 대전 이후의 프랑스어권 동아시아학 연구사에 관해 별로 주목하지 않았으나, <해외 동아시아학 연구 성과(문헌) DB 구축: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프로젝트는 프랑스어권 동아시아학 연구현황을 살펴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주었다. 이 논문은 프로젝트를 통해서 구축된 문사철 및 전통 예술에관한 약 2천 건의 DB를 기반으로 프랑스어권 동아시아학 연구 동향을 계량적 방법을 통해서 평가하고자 했다. 먼저 필자는 <프로젝트>를 통해서 구축된 DB가 얼마만큼 20세기 프랑스어권 동아시아학의 동향을 반영하고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최근 구글에서 개발한 빅데이터 기반의 북스 엔그램뷰어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만일 소규모 DB인 <프로젝트> DB의 시계열적 변화패턴이 빅데이터 기반의 대조군의 시계열적 변화 패턴과 유사하다면 전자가 시대적 흐름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설에 입각해서몇 가지 도표를 비교해 본 결과, <프로젝트> DB와 빅데이터 DB의 시계열적 변화에 따른 패턴은 완전히 일치하는 것은 아니지만 대체로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이는 곧 <프로젝트> DB가 어느 정도 신뢰할 만 하다는것을 의미한다. 한편 이 논문에서는 <프로젝트> DB를 통해 얻은 프랑스 학술계의 지형 변화와 시기에 따른학술생산물의 산출량의 변화를 근거로 20세기 프랑스 동아시아학 연구사를 5분기로 시기 구분해 보았다. 본격적으로 <프로젝트>의 프랑스권 DB를 분석해 본 결과, 중국학이 차지하는 비중이 일본학이나 한국학에비해 압도적으로 우세하였다. 한편 프랑스어권의 동아시아학은 전반적으로 동시대 연구에 가장 관심이 높았으며 고대로 갈수록 연구 성과물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연구할 대상도 풍부하고 동시에 현안과 직결되는분야에 많은 관심을 갖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다. 한 가지 흥미로운 것은 중국학과 한국학에서는 현대와대비되는 가까운 전근대 사회에 관심이 많은 반면에 일본학에서는 근대 사회에 관심이 많다는 점이다. 아마도주변 국가들에 비해 ‘성공적으로’ 근대화를 이룬 일본의 근대화 과정에 대한 학계의 관심이 이와 같은 결과를초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각 분야 별로 살펴보면 먼저 철학 및 종교에서 인류학의 범주에 속한 연구가 풍부하다는 점이 특징적인데, 이는 프랑스어권 동아시아학의 전통이다. 한편 종교 연구에서는 전반적으로 불교 연구가 가장 많지만 연구 대상 지역에 따라 중점적으로 연구되는 종교가 다르다는 점이 주목된다. 중국학의 경우, 도교가 특히 많이 연구되었으며 한국학은 무속신앙이, 일본학에서는 불교가 가장 많이 연구되었다. 유교의경우, 철학적 내용에 관한 연구보다는 국가 이데올로기로서의 기능에 관한 연구가 많았다. 문학과 언어학에 관한 연구들에서는 전반적으로 문학에 관한 연구가 언어학에 관한 연구보다 풍부하였다. 그러나 동아시아 언어학을 전문으로 하는 『동아시아 언어학회지』에 대한 DB구축이 아직 끝나지 않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실제 동아시아 언어학에 관한 연구의 비중은 더 클 것이다. 문학 작품에 관한 연구 중에는 소설에 관한 연구가 많았는데, 중국 문학에서는 송대를 기점으로 운문에서 산문으로 연구 주제가 옮겨가는 경향이 뚜렷했다. 한편 소설에관한 연구가 중국학에서 우세한 반면 시는 일본학에서 강세를 보였다. 역사학에서는 사상문화사에 ... Korean scholars have not paid much attention to French school on the East Asian Studies after the World War II. But <East Asian Studies in Overseas Studies (DB) Project> gave us an opportunity to investigate the academic materials on East Asian Studies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This paper evaluates the research trends of French speaker on the East Asian studies through quantitative method based on about 2,000 DBs. First, I used a big data-based book engram viewer program recently developed by Google to verify how much of the DB built through the <project> reflects the trend of 20th-century French-speaking East Asian studies. This is because if the time-varying pattern of the small DB project is similar to that of the control data set of the big data-based control, it is determined that the former fully reflects the current trend. Based on this hypothesis, it is found that the patterns of the <project> DB and the big data DB in terms of time-series changes are not exactly the same, but they are similar to each other. It means trustworthy. On the other hand, in this paper, based on the changes of the academic geography and the output of academic products during 20 century, I tried to classify the periods in the history of french research on East Asian Studies since 1900.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rench database of <Project>, the Chinese studies was overwhelmingly superior to that of Japanese studies or Korean studies. On the other hand, the study of East Asian Studies in the French language was most interested in contemporary research in general, and it tended to decrease in research on more ancient periods. It is natural to have more interest in research subjects related with contemporary age. Interestingly, Chinese studies and Korean Studies are interested in a near pre-modern society as opposed to contemporary age, while Japanese studies are interested in modern society. Perhaps the interest of French scholars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of Japan, which has “successfully” modernized compared to neighboring countries, is presumed to have resulted in this. It is characteristic of the fact that there are abundant studies in the category of anthropology in philosophy and religion, which is a tradition of French East Asian studies. Whereas it is noteworthy that the religion researches have the most Buddhist studies as a whole, but the religions that are mainly studied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study area. In the case of Chinese studies, Taoism has been especially studied, but shamanism in Korean studies and Buddhism in Japanese studies. In the case of Confucianism, research on the function of the national ideology was the mainstream rather than the study of the philosophical contents. In literature and linguistics studies, literature studies are more abundant than linguistics studies in general. But we must not forget that the DB on East Asian linguistics has not yet been completed. In the field of literature, a study of novels is more abundant than a study of poetry. In the case of Chinese studies, there was a tendency that research topics were shifted from verse to prose, starting from the Song dynasty. Meanwhile locally, the study of novels was dominant in Chinese studies, but the poetry was strong in Japanese studies. In the field of history, there are abundant researches on the intellectual or cultural history rather than politico-diplomatic history and socio-economic history. On the other hand, it is noteworthy that Japan’s history of modern history is so high that modern studies tend to be more than half of studies on history of Japon. It is presumed that this result could have been derived from the interest in the power that successfully led to modernization and the interest in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of traditional culture by influx of new culture. In the field of art, research on traditional paintings took the majority, and all of the studies in the period of the last pre-modern soc...

      • KCI등재

        라이샤워(Edwin O. Reischauer), 동아시아, ‘권력/지식’의 테크놀로지-전후 미국의 지역연구와 한국학의 배치-

        장세진 상허학회 2012 상허학보 Vol.3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for Korean Studies in the U.S. and its characteristics after World War II (WWII). Korean Studies in the U.S. must be described within the scheme of East Asian Studies, although East Asian Studies had been based on Orientalism before the war while keeping the principle of global narration of the Cold War. The narration of colonialism and the Cold War in East Asian Studies has its basis in the “U.S.-Japan Transpacific Complicity” after WWII. I focused on the studies done by Edwin O. Reischauer, a professor of Japanese and East Asian history and culture who laid the groundwork for Korean Studies at Harvard University. I analyzed the entire portion on Korean history in East Asia: The Great Tradition (1960) and East Asia: The Great Transformation (1965), which he and his colleagues wrote. My analysis shows that in his approach to East Asian Studies after WWII, he adopts the Japanese Studies perspective. East Asian Studies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question of how Japan became the only Asian country to succeed in modernization, and East Asia answers that question. According to the study, Japanese history achieved gradual yet accelerated separation from Chinese influence, making Japan the only Asian country to do so. From the beginning, its history has had to be explained in terms of sharp contrasts between the failed systems of communism in modern China and the success of modern Japan. In East Asia, Korea is explained as a ‘variation of China.’ It is a noteworthy that Korean history in East Asia is covered extensively in the History of Chosun (朝鮮史, 1951) by Hatada Dakashi , a Japanese historian who was born in Masan, Korea, during the colonial period. Hatada’s work is a great effort to reflect on Japanese colonialism after losing WWII. However it stressed that there was historic ‘progress,’ citing the ancient Japanese rule in Korea(ImnaGara theory) and the partisan characteristics of the Yi Dynasty. The transpacific U.S.-Japanese net twork symbolized by Reischauer-Hatada is not only a reciprocal reference, but also a human network formation which includes Edward Wagner, Dakahashi Tohoru and LeeByung-do. In short, with the History of Chosun as a mediator, the overall reasoning paradigm of the Japanese-Asian-historian group before the war and the discourses on Korea within the group made a soft-landing on East Asian/Korean academic studies across the Pacific Ocean in the U.S after the war. 이 논문은 전후 미국에서 한국학이 제도적으로 성립되어 가는 과정을 기술하고 그 핵심적인 특징들을 밝히고자 했다. 미국 내 한국학은 상위 범주인 동아시아학과의 관련 속에서 설명되어야 하는데, 동아시아학은 전후의 전지구적 냉전 서사를 기본 원리로 하면서도 전전의 오리엔탈리즘이라는 부(負)의 유산을 많은 부분 간직한 채 시작되었다. 식민주의와 냉전 서사의 결합을 단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은 전후 동아시아학이 “미-일의 트랜스퍼시픽한 공범성”을 토대로 성립되었다는 사실이다. 이 논문에서는 하버드 대학 동아시아학과 일본사 교수이자 하버드 내 한국학 과정의 제도적 기틀을 마련했던 에드윈 라이샤워에 주목하고, 그가 동아시아학과 동료들과 함께 주도적으로 집필한 동양사 교재 『동양문화사』의 한국 편을 전체 서사와의 관련 속에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드러난 것은 전후 동아시아학이 특히 일본학을 서사의 구심점으로 삼고 있었다는 점이다. 동아시아학은 “아시아 국가 중에서 일본은 왜, 그리고 어떻게 유일하게 근대화에 성공했는가”라는 질문 위에 성립되었고, 『동양문화사』라는 바로 이 질문에 답하는 형식이었다. 이 서사에 따르면, 일본의 역사는 간략히 말해 중국형으로부터의 점진적이고도 가속적인 분리를 밟아 온, 매우 성공적이면서도 아시아 국가로서는 유일무이한, 마치 기적과도 같은 예외적 유형이었다. 공산화된 현대 중국의 실패와 일본의 성공은 이처럼 애초부터 날카로운 대조의 틀로 설명되어야 하는 서사 구도 속에 설정되었다. 이때, 『동양문화사』에서 한국(학)이 차지하는 위상은 ‘중국의 변이형’으로 설정되었는데, 특히, 주목할 것은 『동양문화사』 안의 한국 편이 식민지 마산에서 출생한 일본인 사학자 하타다 다카시[旗田巍]의 문제작 『朝鮮史』(1951)의 대대적인 참조 위에 덧쓰였다는 점이다. 하타다의 작업은 패전 이후 일본의 식민주의를 반성하려는 기획 위에서 생산된 반성적인 텍스트이기도 하지만, 한편으로 임나가라론으로 대표되는 고대 일본의 한반도 지배설, 이조 왕조의 당파성 등등을 전전 사학의 ‘성과’라는 입장에서 강조하고 있다. 라이샤워-하타다로 상징되는 트랜스퍼시픽한 미-일 네트워크는 단지 텍스트 상의 상호참조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에드워드 와그너, 다카하시 도오루, 이병도와 같은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하기도 한다. 요컨대, 하타다의 『조선사』를 매개로 전전 일본 동양사학자 그룹의 전반적인 사유 패러다임과 그 안에서 개진된 한국에 관한 통시적 담론들이 전후 태평양을 가로질러 미국의 동아시아 / 한국학의 학적 체계 안으로 연착륙하게 된다.

      • KCI등재

        서구 동양학의 계보와 동양인식

        정현백(Chung Hyun-back)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2 아시아문화연구 Vol.26 No.-

        이 글은 제국주의 시대의 독일에서 동아시아학의 제도적인 정착과 그 학자들이 만들어간 동아시아관을 분석하였다. 무엇보다도 식민지 경쟁에 지각하였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가의 위신과 명예를 위해 식민지를 갈구하였던 독일에서는 지속적이고 일관성 있는 제국주의 정책이 나오기 어려웠다. 이런 조건 하에서 동양학이 제대로 뿌리 내리기 쉽지 않았다. 거기에다가 동양학 내에서, 이슬람학이나 인도학에 비해, 동아시아학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빈약하였다. 게다가 초기에는 그 연구가 전문 학자가 아닌 외교관, 선교사, 여행가 등에 의존하였다. 이런 현실 속에서 ‘아마추어 연구’라는 비하를 감수하면서, 동아시아학은 실용학문과 순수학문 사이에서 방황하였다. 동아시아학에 관련된 지식인들과 그 언술을 분석해볼 때, 그들은 제국주의적 정책에 참여하거나 직접적으로 동조하지는 않았다. 또한 그들 중 상당수가 중국이나 일본에 대한 왜곡과 폄하에 맞서서, 동아시아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사회적으로 확산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였다. 그러나 학자들은 독일제국의 식민화정책에 저항하지는 않았다. 더불어 스스로의 활동을 순수학문의 범주로 제한하는 한에 있어서, 그들은 직접적으로 행동하지 않고도 제국주의적 프로젝트에 기여할 수 있는, 사이드가 정의하는 오리엔탈리즘의 범주에 해당한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그들의 동아시아에 대한 우호적인 해석은 너무 추상적이어서, 관료나 군부 혹은 일반 대중에게는 잘 전달되지 않았다. 특히 대중적인 서적이나 잡지를 통하여 전달되는 식민지 환상에 대중이 매료되었던 당시 독일 사회의 분위기 속에서는 더욱 더 그러하였다. 동양학자들과 제국주의 정책결정자 사이에서 중국을 바라보는 관점에서 차이가 있었고, 그래서 하부단위에서 어떤 갈등이 있었을지라도, 동아시아학 학자들과 독일 제국주의 정책 사이에 실질적으로 협업관계가 형성되었고, 이를 우리는 “간접적 식민주의(indirect colonialism)”라 결론 내릴 수 있다. This article tries to analyse the institutional establishment of East Asian studies and the perspective of its scholars in the era of German imperialism. Germany joined the colonialistic competitions later on, and yet were eager to acquire colonies for prestige and reputation. So it was difficult to take a consistent and an effective colonial policy. Under this condition it was not easy for its East Asian studies to take roots properly. Among the studies of the Orient, interest in East Asian studies were relatively smaller compared to Indology and Islam studies. In the beginning, researches were done by diplomats, travellers, missionaries and translaters, not professional scholars. Due to such reality, East Asian studies were continuously blamed for amateurism and had wandered between practical studies and pure academism. Most of the German intellectuals in East Asian studies did not directly participate in or agree with the imperialistic policies. And many East Asian scholars made efforts to spread the right understanding of East Asia by confronting its social distortion and abasement in Germany. But the truth is, although they did not directly participate, they also did not resist the colonial policies of the German empire. Insofar as they limited their own activities to pure academic works, it was possible for them to be helpful in imperialistic projects without directly acting. We can conclude that the scholars who studied East Asia in the era of German imperialism formed cooperative relations with imperialistic politics. This we can define as ‘indirect colonialism’.

      • KCI등재

        빅 데이터와 디지털 동아시아학의 가능성 ― `동아시아 지식과 지식인 지도`를 중심으로

        진재교 ( Jin Jae-kyo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7 大東文化硏究 Vol.98 No.-

        디지털 동아시아학의 추구는 기왕의 학문 단위를 대체하여 새로운 학문 단위를 주장하는 데 방향성을 둔 것은 아니다. 이는 디지털을 산업화나 경제논리로 접근하기보다 “디지털”이라는 새로운 도구를 활용하여 인문학 내지 동아시학의 연구방법론의 창신과 새로운 지평의 모색이다. 빅 데이터와 디지털을 활용하여 지식의 생산과 유통이 지니는 역사적 맥락을 더욱 심도 있게 탐구하는 데 있다. 이 점에서 동아시아 지식과 지식인 지도는 빅 데이터와 디지털 기술을 접속함으로써 동아시아학의 연구를 심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예컨대 방대한 고전 자료를 디지털과 결합함으로써 기존의 연구가 꿈꾸지 못한 자료의 가공과 입력을 완수한다면 개인 연구자나 집단 연구가 불가능하였던 새로운 연구의 가능성을 발견할 수도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빅 데이터와 디지털의 만남은 진정한 의미에서의 융·복합 연구의 새로운 분야의 개척 가능성도 있다는 점에서 기존 인문학과 동아시아학의 創新에도 기여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사례로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에서 구축하고 있는 `동아시아 지식과 지식인 지도`를 제시함으로써 디지털 동아시아학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 것이다. The pursuit of the digitalization of East Asian studies is not directed at establishing a new area of scholarship. Rather, it represents the search for a new horizon and creation of a research methodology for East Asian Studies in particular and the humanities in general, not by appropriating the digital in an industrialized way or in accordance with an economic logic, but by using the "digital" as an innovative tool. It entails conducting research into a historical context in which more knowledge is produced and circulated more broadly through the use of big data and digitalization. A map of East Asian scholars and intellectuals serves this purpose by having as its end the deepening of East Asian Studies by connecting these two digital tools. If materials that existing studies have not been able to consider are made available through the digitalization and collection of the vast corpus of classical works, than scholars, on their own or as individuals, will be able to conduct studies that would have been impossible previously. Moreover, the encounter between big data and digitalization can offer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new fields of study in accordance with the true meaning of interdisciplinary and multidisciplinary research. In this regard, their meeting can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new fields in the established humanities and East Asian Studies. This paper explores the possibility of a digital East Asian Studies through the example of "The Map of East Asian Knowledge and Intellectuals" being constructed in the Academy of East Asian Studies at Sungkyunkwan University.

      • KCI등재

        구미 동아시아학의 발전과 그 수용을 위한한국판 DB 구축

        심재훈 ( Jae Hoon Shim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4 大東文化硏究 Vol.87 No.-

        40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닌 구미의 동아시아학은 양적 질적으로 풍부한 성과를산출하고 있다. 1960년대 이후부터나 태동한 근대적 의미의 한국 동아시아학도 짧은 역사 속에서 상당한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의 동아시아학이 과연 국제적으로 주변부의 위치에서 벗어나고 있는지 아쉬움도 존재한다. 이러한 아쉬움의 주요 원인 중 하나를 구미학계 연구 성과와의 소통 부족에서 찾고있는 필자는 그 성과의 한국적 수용을 위한 DB 구축을 한국연구재단의 토대연구지원사업으로 진행하고 있다. 20세기 초반 이래 구미에서는 동아시아학의 유용한 참고자료들이 다양한 형태로 인쇄본으로 존재했고, 1990년대 이후부터는 이를 양적으로 확대한 DB들이 구축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다양한 참고자료나 DB 양식들 중해제목록(annotated bibliography)의 방식에 착안한 본 토대연구는 영문, 불문, 독문으로 출간된 주요 단행본 약 3,000권과 논문 약 8,000편을 비교적 상세히 소개하는 DB로 탄생할 것이다. 다양한 검색 기능을 갖춘 본 DB가 한국 동아시아학의 소통 확대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e East Asian studies in the West have a long history of more than 400years, producing remarkable achievements both in quality and quantity. Despite the short history since 1960s, the studies in Korea in the modernsense have been developed in their own way. Nevertheless, it is regrettable to recognize how well the scholarships in Korea have been acknowledged in the international academia. Noting the insufficient communications with the Western scholarships as one of the main reasons for the regretfulness, I have got a Ground Research Grant from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for establishing a database of English-, French-, and German-Language studies on East Asia. Various references for the studies on East Asia have been produced in the West since the early 20th century, and they are eventually developing into huge databases from the 1990s. Inspired by the annotated bibliographies among others of the West, my research project will establish a Korean database that introduces about 3,000 monographs and 8,000 articles of the above three western languages. I expect the database will contribute to expand the Korean communications with the Western scholarships.

      • KCI등재

        주쳰즈의 생명주의형 문화학에 관한 소고 - 동아시아 지역연구의 문화학적 재창안 -

        전홍석 한국양명학회 2022 陽明學 Vol.- No.64

        본 연구는 종래 구미형이나 이를 복사한 일본형의 제국주의적인 발상에 대항하는 새로운 의미망의 동아시아학, 즉 지역공동체, 지역연대, 지역정체성 등의 활성화를 위한 문화학(Culturology)적 이론모델을 안출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그것은 동아시아에 대한 서구와 일제의 근대적 발명주의가 개입된 지역학(Area Studies, 지역연구)적 시각을 극복하고 이 지역을 재발명주의적 공생ㆍ공영ㆍ공감의 삶터로 혁신하는 동아시아학의 문화학적 지평 확대를 모색하는 것이다. 그 실체는 제1의 기계시대(산업문명)의 이항대립, 격차, 속박 대신에 제2의 기계시대(공감문명)의 상호작용, 풍요, 자유를 수렴하는 ‘생명(삶)공감(Empathy For Life)형 지식네트워크’ 구성으로 선명화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그 연구모델을 20세기 전반 중국 문화학의 생성지형, 곧 주쳰즈(朱謙之, 1899~1972)의 문화학 이론을 통해 시도해보았다. 주쳰즈가 1930~40년대 중국문화, 동아시아문화의 파산을 목격하면서 입론한 기품 있는 ‘예술(생명)문화주의’는 제2의 기계시대의 문화학적 지역구상과 생명(삶)공감형 동아시아학 정립에 귀중한 지적 좌표를 제시준다. 요컨대 ‘참정(眞情)—참생명’을 본질로 하는 주쳰즈의 ‘생명주의형 문화학’은 오늘날 동아시아학의 문화학적 지식토대 마련에 유의미한 인문자산이다. 더욱이 교육문화의 ‘사랑(愛)’과 예술문화의 ‘아름다움(美)’이 직조하는 창조적 사유로서의 문화학 이론은 태생상 파머콘적 특성을 지닌 동아시아학으로 볼 때 과거 그것의 지역연구로서의 독성(역기능)을 제거하고 지역공동체 구성을 위한 지성적ㆍ도덕적 정체성을 확보하는 데 순기능적인 영감을 제공한다.

      • KCI등재

        프랑스어권 동아시아학의 여정, 그리고 대안적 세계화 –이해와 공존을 향한 오디세이아–

        박성진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6 東洋學 Vol.64 No.-

        Far before the establishment of a formal diplomatic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France, Catholic missionaries were only Europeans living in the peninsula. They introduced the Korean culture in the 19th century European societies. The missionaries inherited the Jesuits’ intellectual tradition of the inculturation from the 16th century; but facing with culture shock toward the Korean society, they within the mutual contradictory perspectives couldn’t overcome Orientalism that dominated the 19th century. However, as a formal diplomatic pavilion between Korea and France was set in 1886, the French perspective on Korea came to face a new phase. This was the end of the Korean missionary center and the beginning of the new Korean studies without religious purposes. After Korea’s downfall into the Japanese occupation during the early 20th century, Korean studies in France, despite the dedicated efforts of several researchers, fell into the downturn until the 1990s. The analysis of the French academic works via <DB Project> shows that Korean studies in France for the 20th century have been significantly underdeveloped compared with Chinese Studies, and even with Japanese Studies. The academic and governmental provisions are urgently required for it. While Korean recherches on Japanese Studies in French academia are few, those on Chinese Studies are comparatively many. In particular, the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ucianism and the Enlightenment thinkers of the 18th century including Voltaire who were friendly to Confucianism was the most common in Korean academia. Nonetheless I, as some Korean researchers have claimed, am skeptical about whether Confucianism had profoundly influenced on the 18th-century European society, and presents basis in this paper. What surprised me the most in performing this study was the fact that the Korean academia’s attention toward the French East Asian studies has been fixed in the 19th century for Korea and in the 18th-century Enlightenment era for China. If such bias in the Korean academia was intended due to its ethnocentric perspective, the situation is seriously problematic. Although Orientalism and Occidentalism set a binary oppositional relationship, both are substantially the same from the perspective that they make us be unable to see the objective reality as it is. A concave mirror or a convex mirror has us unable to see ourselves properly. What we need now is only an even mirror which can reflect us as we are. 정식외교가 수립되기 훨씬 이전부터 프랑스의 가톨릭 선교사들은 유럽인으로서는 유일하게 한반도에 거주하면서 한국문화를 유럽사회에 지속적으로 알렸다. 이들은 16세기부터 이어져 온 예수회의 지적 전통인 ‘본지화(本地化)’ 정신을 계승하였으나, 19세기를 지배했던 오리엔탈리즘을 극복하지 못하였고 양립 불가능한 가치관의 충돌 속에서 한국사회를 상호 모순적 시각 속에서 바라봐야만 했다. 그러나 1886년에 한국과 프랑스 간에 정식으로 국교를 맺으면서 한국관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된다. 이로써 선교사중심의 한국학이 끝나고종교적 목적을 배제한 학술적 한국학이 시작된 것이다. 하지만 20세기 초반 일제의 식민지로 전락한 이후, 한국학은 몇몇 연구자들의 헌신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1990년대까지 침체기를 맞게 된다. <영어, 불어, 독어권동아시아학 주요 성과 DB구축 프로젝트>를 통해 구축된 프랑스어권 DB를 분석한 결과, 20세기 동안 한국학은 중국학은 물론 일본학에 비해서도 상당히 낙후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한 학계와 정부의 대책마련이시급하다. 프랑스학계의 일본학 연구는 국내 학계에서 거의 전무하지만 중국학의 경우, 비교적 많이 소개된 편이다. 특히 18세기 유교에 우호적이었던 볼테르를 비롯한 계몽주의 사상가들과 유교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국내학계에서 가장 많았다. 하지만 필자는 국내 일부 연구자들이 주장하듯이, 유교가 18세기 유럽사회에 지대한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으로 본문에서 그 근거를 밝혔다. 현재 프랑스어로 발간되는 동아시아학 관련 학술지는 모두 13종으로 파악되었는데, 대부분 인터넷을 통해서 무상으로 열람할 수 있다. 이처럼 인문·사회과학연구 성과물들을 무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것은 프랑스의 기초학문에 대한 국가의 보호정책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하였다. 프랑스의 지식무상보급정책은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의 여파로 ‘지식의 비용’이 급격히증가하고 언어의 다양성이 죽어가는 오늘날의 학술생태계를 개선하려는 ‘대안적 세계화’라는 성격이 있다. 이번 연구를 수행하면서 필자가 가장 놀랐던 점은 국내 학계가 프랑스어권의 동아시아학 연구를 바라보는 시선이 한국은 19세기, 중국은 18세기 계몽주의시대로 거의 고정되어 있다는 점이었다. 이러한 국내 학계의 편향성이 혹시 자민족 중심적 사고에서 의도된 것이라면 문제는 심각하다. 오리엔탈리즘과 옥시덴탈리즘은 이항대립적 관계를 형성하지만 결국 객관적 실체를 ‘있는 그대로’ 보지 못하게 한다는 점에서 본질적으로 같다. 오목거울이나 볼록거울로는 자신의 모습을 제대로 볼 수 없는 것이다. 현재 우리에게 요구되는 것은 우리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비출 수 있는 판판한 거울뿐이다.

      • KCI등재

        중세학과 동아시아학의 만남 : 행복한 결합일 수 있는가?

        윤비 한국서양중세사학회 2019 西洋中世史硏究 Vol.0 No.43

        본 연구는 문화 간 전이 및 비교사에 대해 오늘날 심화되고 있는 관심을 해부하는 가운데, 중세학의 시야와 범위를 확장할 가능성을 모색한다. 본 연구는 중세학의 내외에서 기존 서구의 전통적 공간관에 대해 가해지고 있는 비판에 주목한다. 그러한 고찰에 이어 전근대 동아시아 사회와의 비교사적 연구를 통해 중세학의 외연을 넓히는 한편 이를 통해 기존의 유럽 중심주의를 극복할 필요를 제기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서구중세사회와 전근대 동아시아 사회 간에 보이는 유사점과 차이점을 이해함으로써 중세학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가능성을 모색한다. 이를 통해 오늘날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는 세계사 내지 지구사적 연구흐름에도 중세학이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중세학과 전근대 동아시아학과의 비교연구의 한 예로서 중세정치사상과 전근대기 동아시아 정치사상의 비교고찰을 스케치함으로써 끝을 맺는다. This essay discusses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scope of medieval studies by an in-depth analysis of the new research interests in cultural transfer studies and comparative history. It begins with considering the rising demand inside and outside the medieval studies to revise the traditional spatial concept of the West that has been criticized for being Eurocentric. On the basis, this study draws attention to the pre-modern East Asian studies and a possibility of comparative study, which will be sensitive to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Western medieval and the pre-modern East Asian societies, affirming the need to continue the endeavor in the field of cultural transfer studies. Such a comparative approach may eventually vitalize medieval studies by providing a new perspective and insight. It will also contribute to the ongoing discussions on the possibility of world/global history. This essay ends with sketching a comparative study of medieval political thought and the pre-modern East Asian political thought as an example of such a comparative endeavor.

      • KCI등재

        한국학 연구와 문집정리의 필요성

        정창원 ( Jung Chang-wo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2 한국학연구 Vol.0 No.26

        문집은 개인의 기록이면서도 그 시대적 상황과 사건들이 고스란히 남아있는 문학적ㆍ역사학적ㆍ문헌학적으로 귀중한 가치를 담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므로 문집은 한국인의 사회ㆍ생활ㆍ역사ㆍ문학ㆍ철학 등의 의식이 잘 드러난 생생한 자료라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이 문집들을 종합적으로 수집하고 정리한 사업은 충분하지 못하다. 최근 동아시아 연구에 주력하는 동아시아 각국의 대학 및 연구기관들은 동아시아학 연구를 위한 주요 자료로써 한국에서 출간되어진 漢籍자료에 깊은 관심을 보이고 있고, 일부 대학의 경우 이들 자료의 정리작업에 직접 뛰어들고 있다. 문집에 대한 색인작업ㆍ목록작업ㆍ해제작업ㆍ영인작업ㆍ국역작업 등은 한국학의 정체성을 재정립시킬 수 있게 할 것이다. 이러한 작업의 시도가 선행되지 않는다면 한국학의 올바른 정립은 요원한 일이다. 따라서 문집류에 대한 분류작업과 색인화 작업은 한국학 연구뿐만 아니라 한국의 세계화를 이룩하는데도 필수적이다. 『雜著記說類記事索引』은 모든 문집을 저자명, 서명, 연대순 등에 의해 편리하게 찾아볼 수 있게 되어 있고, 후반부의 색인은 각 문집에 수록된 기사를 주제 또는 사항명, 인명, 지명 등 어느 것에 의해서나 찾아볼 수 있다. 이는 국학분야의 연구자로 하여금 자료의 수집이나 검색에 소요되는 막대한 시간과 경비를 절감하고 효과적인 연구를 수행하게 함으로써 학술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학과 동아시아학의 학문적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문집의 색인과 원문을 D/B로 구축하여 이용자들에게 정보검색의 효용성을 극대화 시켜줄 필요가 있다. Publishing has been rapidly developed since Ch'aeryun(蔡倫) invented paper in Han(漢) period. In Korea, metal type printed book, Chikchisimche-yojŏl(直指心體要節, 直指心經), annals of Chosŏn dynasty kings, Chosŏnwangjo-sillok(朝鮮王朝實錄), Confucian scriptures, Nonŏ(論語), Maengja(孟子) including Mugu chŏnggwang tae daranigyŏng(無垢淨光大陀羅尼經), the oldest publication currently remains,and numerous miscellanies have been published. Photographic edition books which have been published in Korea so far are listed as belows. The publication of photographic edition books in Korea was separated by private and by officials. The formal, the national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and classical translation center(the national cultural promoting committee), mainly published official historiography such as annals of Chosŏn dynasty kings, Chosŏnwangjo-sillok(朝鮮王朝實錄), daily records of the royal secretariat, Sŭngjŏngwŏnilgi(承政院日記) and records of the border defense council, Pibyŏnsa tŭngnok(備邊司謄錄). The latter photo-printed and published the anthology as the name of 'Complete Photo-printed Issues of Korean Works'. So far, 'Complete Photo-printed Issues of Korean Works' 440 books(350books, 90 continuation books) have been published, 539 books have been also published as general classic translation. The national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and classical translation center are providing full data searching service of the published books by constructing data-base through their home-page. In addition, Andong Korean studies advancement center(安東國學振興院). Also, Andong national university affiliated T'oegye(退溪)'s school principle research lab, as an academic institution, have published 105 miscellanies related T'oegye(退溪)'s school principle over 11th. In the private publishing, there are two institutions-Asea publishing company and Kyungin publishing company. Asea mainly published data related Japanese colonial period, however, scarcely publish currently. Kyungin have published focusing on the collection of works written by ancient sages. These collections have been published so far are three thousands books as the name of 'Complete series of collected books of Korean in history'. It contains the works written by 3,450 scholars. Yoon Namhan's lifelong concern and project is arrange the classics entirely. Professor Yoon think that the fundamental research and study have to be preceded to promote stand of study of history in 1960's. He set the object of “① Investigate all of the existing anthologies, ② collect all of the index of anthologies, ③ index this classified by particulars, figure, and the place name”. He expect that he can be lugging up the stand of the domestic study and can accelerate study. He believe that if that is published, that can offer not only materials but also its source to researcher. Doing in this way, touched works is arranging the anthologies which is occupying the most part of the our the classic. In summer, 1963, he started this work individually. The real situation of those days was not getting hold of the real state of the anthologies exactly. At the result of surveying the possessed anthologies each libraries for around 20 years, from 1962 to 1979, that researching cards of anthology reach to 100thousands page and one million items. He passed away while he had been gone on his work after had made the plan that indexing the contents which were contained in the anthologies, and then publishing the 10 books, 20 thousands of page in version of A4, through this. Through arrangement of his posthumous work, 80 thousands of indexed work cards―which was completed by 80% of the object―for the classical foundation of Korean is published as the 『雜著記說類記事索引』 which is one of the 10 books and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give aid to supplementing and editing and publishing it. Even by one of this book which is over than A4 size, and no more than 10% of the object, the 140 pieces of ancestors' texts is looked up like looking up dictionary. 250 texts about education and 150 texts of Confucian scholars Yi Yi are analyzed out. ‘雜著記說類記事索引’'s first half, that is, included collection of literary and general inspection which is classified by author, title of books, ages and 著者別雜著記說類記事綜覽 can be seen as the list of anthologies, 雜著記說類, an index of the item leaves, an index of the personal name leaves , an index of the geographic name leaves which are the latter half of that is 內容記事索引 which is contained in each anthology.

      • KCI등재

        동아시아학술원의 연구·교육의 통합 모델과 그 성과

        陳在敎 ( Jin¸ Jae-kyo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0 大東文化硏究 Vol.112 No.-

        동아시아학술원은 2000년 개원과 함께 연구를 교육과 결합하는 방식을 기획하며, 이를 실천해 왔다. 대학의 연구기관에서 교육 기능을 함께 운영하는 것은 드물다. 그만큼 지난 20여 년간의 동아시아학술원의 대학원 교육과 그 성과는 현재 진행형이다. 분과학문이 굳건한 대학의 학문 생태계에서 연구기관이 연구와 교육을 결합하는 모델을 실천하는 방식은 여전히 유효하다. 동아시아학술원은 이러한 방향성을 지속해 나가야 한다. 연구 성과를 교육에 환원하는 이른바 연구 성과가 시차 없이 교육으로 이월되고, 여기에 디지털 동아시아학의 성과가 결합하는 방식은 한국인문학의 創新에 충분히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The Academy of East Asian Studies, with its opening in 2000, has been planning and practicing ways to combine research with education. It is rare for a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to run educational functions together. As such, the graduate education and performance of the Academy of East Asian Studies over the past two decades are currently ongoing. How research institutions practice the model of combining research and education in the academic ecosystem of universities where the separated academic discipline is solid is still valid. The Academy of East Asian Studies should continue this direction. This is because the so-called research results, which return research results to education, are carried forward to education without time lag, and how the achievements of digital East Asian studies are combined can contribute fully to the new development of the domain of Korean humanities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