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朝鮮時代 繪畵와 동아시아적 시각

        장진성 동악미술사학회 2017 東岳美術史學 Vol.0 No.21

        최근 인문학 분야 전반에 걸쳐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는 ‘탈국가간(transnational),’ ‘문화상호 간(intercultural)’ 접촉과 교류에 대한 연구를 고려해 볼 때 조선시대 회화를 동아시아 회화 전체의 맥락 속에서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학문적 과제라고 생각된다. 동아시아 회화라는 거시적인 틀에서 조선시대 회화의 성격을 규명하려는 동아시아적 시각은 미술사 연구에서 여전히 논쟁적인 개념인 ‘영향 관계(influences)’에서 벗어나 중국・한국・일본 회화가 지니는 각각의 독자성 및 특수 성을 인정하면서도 삼국 간에 일어난 회화적 교류 양상이 지닌 보편성 및 연동성(連動性)을 적극 적으로 조명하려는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조선시대 회화를 일국사(一國史)적 관점에서 벗어나 동아 시아 회화의 전체적 맥락에서 살펴보아야할 이유는 무엇인가? 조선시대 회화는 동아시아회화사에 서 어떤 의미를 지니는 것일까? 본고에서 필자는 이와 같은 문제의식 속에서 동아시아회화사에서 차지하는 조선시대 회화의 보편성과 특수성 및 조선시대 회화와 중국・일본 회화의 연동성, 상호관 련성(相互關聯性)을 살펴보고자 한다. 조선시대 회화를 동아시아적 시각에서 살펴보려고 할 때 먼저 주목되는 작품은 안견(安堅, 1440-1470년경에 주로 활동)의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1447년)이다. <몽유도원도>는 이곽파(李郭派) 전통의 변용(變容), 도원도(桃源圖)의 새로운 도상(圖像) 형성, 동시대인의 찬시(讚詩)를 통한 서화합벽(書畵合壁)의 완성이라는 점에서 동아시아 회화사에 있어 기념비적인 작품이다. 이 점에서 <몽유도원도>는 동아시아 회화에 있어 이곽파 전통 및 도원도의 발생과 전개를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일본 모리박물관(毛利博物館)에 소장되어 있는 봄, 여름, 가을 경치를 그린 산수화 3점도 주목되는 작품들이다. <사계산수도(四季山水圖)>중 3폭인 이 그림들은 거대하게 솟은 산의 위용(威容), 안개를 통해 형성된 공간적 깊이감, 장대(壯大)한 고원(高遠)의 풍경 등 북송 및 금(金) 대 이곽파 전통의 동아시아적 확산을 잘 보여주는 작품들이다. 일본 무로마치(室町)시대의 수묵화 (水墨畵) 중 대관(大觀) 산수화들은 북송 및 금대 곽희파(郭熙派) 계통의 산수화로부터 영향을 받 았다고 생각된다. 그런데 이러한 무로마치시대의 대관 산수화들은 양식적으로 <사계산수도>와 같 은 조선의 곽희파 또는 안견파(安堅派) 그림들과 친연성을 보여주고 있어 주목된다. 조선시대 회화 중에는 주제 면에서 매우 특이한 그림들이 있다. 이 그림들의 주제를 밝히는데 동아시아적 시각은 매우 유용한 방법론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전(傳) 강희안(姜希顔, 1417-1464) 필 <고사관수도(高士觀水圖)>는 주제가 모호한 그림인데 장로(張路, 약 1490-1563년)의 <장자몽 접도(莊子夢蝶圖)>와 화면 구성이 매우 유사하다. 이 점은 <고사관수도>의 주제가 장자의 ‘호접몽(胡蝶夢)’과 깊게 관련될 가능성을 보여준다. 주제의 모호성이라는 측면에서 주목되는 또 다른 작 품은 김명국(金明國, 1600-1662년 이후)의 <설중귀로도(雪中歸路圖)>이다. 이 그림에 보이는 다리 에서 뒤를 돌아보고 있는 인물은 <설중귀로도>가 ‘원안와설(袁安臥雪)’의 고사를 그린 그림일 가능성을 보여준다. 한편 윤두서(尹斗緖, 1668-1715)와 강세황(姜世晃, 1713-1791)의 자화상은 동 아시아회화사의 전통에서 볼 때 매우 주목할 만한 작품들이다. 동아시아회화사에서 화가의 자화 상은 매우 드물게 제작되었다. 이 점에서 문인화가로서 자신의 자의식을 강하게 드러낸 자화상을 그린 윤두서와 강세황은 동아시아회화사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인상(李麟祥, 1710-1760)의 <설송도(雪松圖)>와 <병국도(病菊圖)> 또한 그의 자의식이 강하게 반영된 그림들로 18세기 동아시아 회화에 있어 문인화의 의미는 무엇인가를 생각해 보게 하는 매우 중요한 작품들 이다. 한편 동아시아적 시각은 조선 후기 회화와 서양화법(西洋畵法)의 상관관계를 이해하는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부감시(俯瞰視)와 명암법이 적극적으로 사용된 강세황의 <<송도기행첩 (松都紀行帖)>> 중 <영통동구(靈通洞口)>는 조선 후기에 유입된 서양 판화를 바탕으로 제작된 그림 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김홍도(金弘道, 1745-1806년 이후)의 <<행려풍속도병(行旅風俗圖屛>> 중<진두대도(津頭待渡)> 또한 조선 후기에 유통된 서양 판화로부터 영향을 받은 작품일 것으로 여겨 진다. 한편 김홍도의 <<해산도병(海山圖屛)>> 중 <시중대(侍中臺)>는 거대한 원형(圓形) 구도를 보여 주는데 이러한 구도는 마루야마 오쿄(円山応挙, 1733-1795)가 그린 메가네에(眼鏡繪)에 나타나 고 있어 한일(韓日) 간 회화 교류의 흥미로운 양상을 알려준다. 조선시대 그림들 중에는 주제와 화 풍을 조선시대회화사 자체 내에서 이해하기 어려운 작품들이 존재한다. 결국 이 그림들은 조선시대 회화를 이해하는데 동아시아적 시각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점을 알려준다. In recent years, ‘transnationalism’ has become a key analytical concept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s a result, transnationalism, interculturalism, and globalism have been at the heart of recent art historical discourse. The ever-expanding network of cultural exchange has brought to our attention the significance of border-crossings in interpreting works of art. Keeping this in mind, I will reexamine the history of Joseon painting within the larger context of East Asian painting. Joseon Korea had close contacts with China and Japan. In art, there was active interaction among the three countries. Thus, Joseon painting is not separable from the developments of Chinese and Japanese painting. Joseon painting has long been studied within the indigenous context. As a result, the role of artistic stimuli from the outside has not received proper attention. This paper looks into how Joseon painting expanded its thematic and stylistic range while interacting with Chinese and Japanese painting. It also aims to highlight the active role of Joseon painting in enhancing our understanding of East Asian painting as a whole. Dream Journey to the Peach Blossom Land (1447, Tenri University Library) by An Gyeon (act. ca. 1440-70) is indebted to the pictorial idioms of the Northern Song painter Guo Xi (act. ca. 1001-1090) and his followers. But, this painting shows a unique composition in which a large peach blossom land with no human presence is seen, allowing us to rethink the origins of “Peach Blossom Spring” pictures. Landscapes of Four Seasons in the Mori Art Museum in Japan presents many-layered, fantastic mountains. The towering mountains and twisting and turning rocks recall the stylistic hallmarks of Northern Song and Jin dynasty monumental landscapes done in the Li-Guo manner. Landscapes of the Four Seasons is of great importance in understanding how the Li-Guo manner was transmitted to Korea and Korean painters transformed, reinterpreted, and transmitted it again to Japan. The subject matter of Lofty Scholar Contemplating Water by Kang Huian (1419-1464) is enigmatic. Given that there is no such subject as “Lofty Scholar Contemplating Water” in East Asian painting, it depicts another theme. Zhuangzi’s Butterfly Dream by Zhang Lu in the Hashimoto Collection, in composition, bears a striking similarity to Lofty Scholar. This suggests that the subject matter of Lofty Scholar could be Zhuangzi’s butterfly dream. The subject matter of Travel Through Deep Mountains by Kim Myeongguk (1600-after 1662) is also mysterious. Snowscape by Dai Jin (1388-1462) in the Freer Gallery of Art presenting the story of Yuan An sleeping through the snow enables us to think that Travel Through Deep Mountains depicts the same theme. In traditional East Asia, painters rarely painted their self-portraits. In this regard, self-portraits by the Korean literati painters Yun Duseo (1668-1715) and Kang Sehwang (1713- 1791) are of great significance, illuminating how they fashioned their self and identity in visual terms. Yi Insang (1710-1760) painted some autobiographical pictures such as Dying Chrysanthemums. His works reveal how he attempted to invent his psychological selfhood that is essential to literati painting in East Asia. Korea’s interaction with the West i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phenomena in late Joseon painting. Approach to Yeongtongdong by Kang Sehwang could have been largely based on European prints that were introduced to Korea by 1750. Kim Hongdo’s (1745-after 1806) genre paintings and landscapes reveal the figures’ gestures and postures and aerial perspective that appear to have been inspired by European prints imported from China or paintings in the Western pictorial manner such as Maruyama Okyō’s (1733- 1795) megane-e.

      • KCI등재

        동아시아적 시각에서 다시 읽는 <최척전>,<김영철전>

        김경미 ( Kyung Mi Kim ) 한국고전문학회 2013 古典文學硏究 Vol.43 No.-

        이 글은 동아시아적 시각에서 <최척전>과 <김영철전>을 재해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동아시아의 개념, 동아시아적 거점과 시각의 내용을 정리하였다. 지금 인문학에서 이야기하고 있는 동아시아는 지리적 개념이 아니라 하나의 인식단위 혹은 방법론이다. 이 글에서도 동아시아를 인식단위, 방법론으로 보고, 그렇게 볼 수 있는 근거로 이중언어, 유교, 유교가부장제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동아시아를 하나의 인식단위, 방법론으로 놓게 될 때 동아시아를 서구에 대립하는 또 하나의 중심으로 만드는 것을 우려하여 주변적 시각을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다음으로 한국 고소설 가운데 동아시아로 공간과 인물을 확장한 <최척전>과 <김영철전>을 동아시아적 시각에서 재해석 하였다. 포로가 되거나 전란 중에 가족과 헤어진 국가 경계를 넘어 교류하는 인물들의 경험을 담고 있는 이 두 작품은 타자의 연대나 보편적 인간애가 펼쳐진 것으로 해석되어왔다. 그러나 두 작품이 보여준 인적 교류는 제한적이며, 따라서 타자의 연대나 보편적 인간애로만 보기 어렵다. 오히려 이 두 작품은 국가 경계를 넘어선 주변인들의 교류를 통해 국가 정체성을 강하게 주장하지 않을 때 새로운 관계가 열릴 가능성이 있는 것을 보여준다. In this essay, I try to reinterpret Choicheok-jeon, Kimyoungcheol-jeon from the East Asian view. Here I see East Asia not as a geographical concept, but a unit of recognition or a methodology, as is discussed in humanities of Korea. In order to support this view, I consider diglossia, Confucianism, and Confucian patriarchy as the basic conception of the East Asian View. Another important consideration of this essay is the possibility of the danger of centrism we can fall into if we regard the East Asian view as one unit of recognition or a methodology. So the importance of the view of the marginal is stressed here. Choicheok-jeon and Kimyoungcheol-jeon are good to be analysed from the East Asian view in that their characters and their environments are enlarged to the East Asia. Their characters were shown to separate from their family and cross the national border because of wars. These works have been interpreted to show the solidarity with others and the universal love for human beings. But from my point of view, the personal exchanges between characters are limited, and it is hard to read the solidarity with others and the universal feeling for human beings from this work. On the contrary, these novel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show new relationship can be possible when the marginal characters exchange across the border without insisting their own national identity.

      • KCI등재후보

        요산 소설의 지역성과 동아시아적 시각

        하상일 ( Ha Sang Il ) 영주어문학회 2016 영주어문 Vol.34 No.-

        본 논문은 요산 김정한 소설의 지역성을 동아시아적 시각에서 쟁점화하여 요산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넓혀나가고자 하는 데 있다. 요산은 식민지 근대가 만든 왜곡된 보편주의에 대한 비판과 해방 이후 국가주의의 폭압적 제도화에 대한 거부를 통해, 특정 권력에 의해 포섭된 왜곡된 역사가 암묵적으로 조장해온 근대의 허구성을 넘어서는 것이야말로 진정으로 소설이 나아가야 할 방향이라고 보았다. 그는 평생을 살아온 터전인 낙동강을 중심으로 한 부산과 경남을 배경으로 소설 창작을 지속적으로 했지만, 그에게 이러한 지역적 기표는 특정한 장소나 공간으로서의 소재적 차원을 넘어서 왜곡된 추상성과 식민화된 보편성을 확장함으로써 동시대적 ‘세계성’을 공유하려는 역사적 문제의식에 바탕을 두고 있었다. 2차 세계대전 이후 식민지 상태를 벗어나 독립을 이루었던 아시아 국가 대부분이 전후 극복이라는 명분을 내세워 경제개발과 근대화 정책으로 민중들을 억압하고 통제함으로써 국가적 폭력을 정당화 했다는 데서, 특정 국가의 일국적 단위를 넘어선 국제주의적 민중 연대의 가능성을 발견하고자 했던 것이 요산 소설의 ‘세계성’의 방향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요산 소설에서 지역성은 단순히 자신이 평생을 살았던 실재적 장소의 구체화라는 의미를 넘어서 동아시아적으로 사유하고 인식해야 할 소설적 거점으로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따라서 그의 소설을 민족주의적으로 읽고 지역적으로 사유해온 그동안의 논의들은 일정 부분 타당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요산의 소설 지평을 특정 시공간에 가두는 동어반복을 답습한 한계를 지닌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요산의 소설은 제국과 식민의 기억, 자본과 국가의 근대적 폭력을 견뎌온 민중들의 이야기에 집중되어 있다. 이러한 서사적 과제는 동시대의 유사한 역사적 상처와 고통을 겪어온 아시아 민중들에 대한 연대의식과 전혀 무관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고는 요산 소설의 지역성을 ‘동아시아적’ 주제를 실천하는 지역적 장소성의 확대로 바라봄으로써, 동시대의 역사를 공유한 아시아 민중들의 국제주의적 연대와 실천이라는 가능성의 관점에서 쟁점화해보고자 했다. This study has as an objective to make an issue of regionality of novels by Yosan Kim Jeong-han(요산 김정한) through East Asian viewpoints and to broaden the new horizon of research on Yosan. The novelist Yosan saw that, through criticism on universalism created by the colonial modern times and resistance against institutionalization violently oppressed by nationalism in the post-liberation times, the true direction of novels lied in overcoming fallacies of the modern times silently instigated through the warped history embraced by specific powers. Though he continued to create novels with Busan and Gyeongsang provinces surrounding the Nakdong River as backdrops where he built his entire life, the geographical symbols went beyond specific locations or spaces as the subject, expanding distorted abstractness and colonized universality, as his novels based on the historically critical mind of sharing contemporary “globalism.” Under the pretext of post-war restoration, the majority of Asian nations that liberated from colonialism after the second World War oppressed people with economic development and modernization policies, justifying national-level violence, and it can be said that the direction of “globalism” of Yosan’s novels was to discover the possibility of international people’s solidarity, which surpassed the boundary of a specific nation. In this regard, regionality of Yosan’s novels went beyond the mere materialized meaning of the realistic location where he lived all his life and offered an important meaning as the novelistic footing, which should be contemplated and recognized by all East Asians. Thus, arguments of the past that his novels were regarded as ethnological and regional were only partly valid, and at the same time it can be viewed that the horizon of Yosan’s novels was limited to imitations of tautology confining them in a specific time and space. Yosan’s novels focused on stories of people who endured the memories of the empire and colonialism, capitalism and nation’s modern violence. Such an epic homework cannot be irrelevant to the awareness of unity concerning Asian people who experienced historically similar scars and pains of the contemporary. Based on such critical minds, by viewing the regionality of Yosan’s novels as expansion of the region and the location that realized “East Asian” themes, this study aims to highlight viewpoints of possibilities through which Asian people sharing the contemporary history realized international solidarity and practice.

      • KCI등재

        중일전쟁시기 상하이 흥아건국운동의 주장과 문학(1939~1941) - 동아시아적 시각에서 중국 점령지 문학 다시 읽기를 위한 시론

        송가배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2 동방학지 Vol.200 No.-

        From the East Asian perspective by He Zhaotian, this paper re-read literature in Shanghai under Japanese occupation. This paper tried to produce an alternative history of literature which was written by collaborators, or Hanjian, during 1939~1941 in Shanghai; at the same time, it tried to understand the difficulties which Chinese academia and society was facing. The movement for Asiatic regeneration and national reconstruction, or Xingya Jianguo, headquarter (1939~1941) has been excluded from the history of modern Chinese literature because it was regarded as a national betrayer. However, its arguments and literature are important materials that allow us to grasp the thought and feelings of the occupied Shanghai intellectuals. According to Yuan Shu, the ideology of the movement is centered on peace, anti-Communism, and Sino-Japan cooperation. He emphasizes the ultimate goal of the movement is to achieve independence and liberation of the Chinese people. Zhang Ziping criticized Japan-centeredism in the Sino-Japanese cultural collaborative works and argued that the Chinese should lead cultural projects in line with the very reality and demand of China. 본고는 허자오톈의 동아시아적 시각 하에 상하이 점령지 문학을 다시 읽는 작업으로, 중국대륙학계의 문제의식과 난제를 이해하면서도 비판적으로 대안적인 점령지 문학사를 재구성하고자 시도하였다. 흥아건국운동본부(1939~1941)는 ‘친일’ 대중운동기관으로, 평화, 반공, 중일합작의 기치 아래 일군의 대중매체를 출간하였다. 하지만 중국현대문학사에서는 ‘문화한간’이라는 이유로 배척당해왔다. 본고는 이들 역시 점령지의 문화주체라고 보고, 그 주장과 문학에서 점령하 상하이 지식인의 문제의식과 내면을 읽어내고자 하였다. 대표 위안수는 친일의 궁극적인 궁극적인 목표가 중화민족의 독립과 해방임을 천명하였다. 문화위원회 주석 장즈핑은 중일문화합작에서 일본중심주의를 비판하며, 중국인이 중국의 현실과 수요에 맞추어 문화 사업을 주도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흥건운동본부의 문학은 정부의 이데올로기를 선전하면서 동시에 비판하는 공간이었다. 기관지 『흥건』 게재 소설은 철저히 평화운동의 선전에 복무하여, 항전의 비극을 성토하고, 중국에 침입한 서구 제국주의를 비판하였다. 반면 장즈핑의 연애소설은 점령지 협력자의 내면 세계와 점령지 현실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드러냈다.

      • KCI등재

        가람 이병기 문학에 나타난 세계인식과 동아시아적 시각

        이경애 국어문학회 2023 국어문학 Vol.82 No.-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world perception and East Asian perspective that appeared in the literature of Garam Lee Byung-ki(李秉岐, ), a representative Korean scholar in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 This is because Garam's literature can be expanded to a multi-layered aspect through acceptance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literature and wide human exchanges. Garam, who studied traditional East Asian studies, grew up in a Confucian family tradition. He took over the line of Yi Hang-ro, represented the spirit of protecting our culture against the West and the Joseon Chinese Consciousness, but read Liang Qichao(梁啓超)'s the EUMBINGSILMUNJIP(飮氷室文集) and entered theological literature and chose his path as an educator. Entering theology, he practiced the Hangeul movement with the perception that the use of Korean and Korean language is necessary for the nation's prosperity, and that words and writings should be polished to shine, using his theory as a lifelong indicator. Garam, who focused on literature rather than language, accepted theories such as Liang Qichao(梁啓超), Hojeok(胡適), and Shimamura Hogetsu, and through this, he innovated our traditional poetry genre, Sijo, which was created as a new East Asian literature comparable to Chinese poetry, Japanese Danga, and haiku. In addition, he independently accepted and critically readjusted their theories through the study and face-to-face confrontation of the colonial Japanese, thereby developing insight into national studies and establishing their theories and systems. These achievements showed Garam's way of accepting Western modernity and accepting modernization as a historical request amid the invasion of modern imperialism, but seeking an integrated logic that can be combined with his own traditional order. Through this, it is meaningful in that it is possible to examine the plans and wisdom to be established for communication and solidarity in East Asia. 본 연구는 근·현대 한국의 대표적인 국학자인 가람 이병기(1891~1968)의 문학에 나타난 세계인식과 동아시아적 시각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는 가람의 문학이 한・중・일 문학의 수용과 폭넓은 인적 교류를 통한 다층적 양상으로 확장하여 고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동아시아의 전통적 유학을 수학한 가람은 유교적 가풍 속에서 성장하였다. 그는 위정척사와 조선중화의식으로 대변되는 이항로의 도맥을 이어받기도 하였으나 양계초(梁啓超)의 『음빙실문집(飮氷室文集)』을 읽고 근대의식을 갖게 되고, 신학문에 입문하여 교육자로서의 길을 선택하였다. 신학문에 입문한 그는 주시경의 제자로 그의 이론을 평생의 지표로 삼아 국가의 흥성을 위해서는 국어와 국문의 사용이 필요하며, 언(言)과 문(文)을 갈고 닦아 빛내야 한다는 자국어 인식을 갖고 한글운동을 실천하였다. 언(言)보다 문(文)에 힘을 기울인 가람은 양계초(梁啓超), 호적(胡適), 도촌용태랑[島村瀧太郞] 등의 이론을 수용하였고, 이를 통하여 우리의 전통 시가 장르인 시조를 혁신하여 중국의 한시나 일본의 단가, 하이쿠와 버금가는 새로운 동아시아 문학으로 창출하였다. 또한 그는 식민지배하의 재조선 일본인들의 연구와 대면을 통해 그들의 이론을 주체적으로 받아들이고 비판적으로 재조정하여, ‘한국어문학’이라고 하는 가장 기본적이고 근본적인 가치를 토대로 하여 국학에 대한 통찰력을 키우고 그 이론과 체계들을 세우게 되었다. 이러한 성과들은 가람이 서구의 근대를 수용하고 근대제국주의의 침략 속에서 전통의 붕괴와 심리적 충격을 경험하면서도 근대화를 시대사적 요청으로 받아들이되 자국의 전통질서와 결합할 수 있는 통합적인 논리를 독자적으로 구하는 방식을 보여주었다. 이를 통하여 이후 동아시아의 소통과 연대를 위해 구축해나가야 할 방안이나 지혜를 살필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지닌다.

      • KCI등재

        Rethinking China-Centered Culturalism and the Tribute System from an East Asian Perspective

        Joo Hyun ho(주현호)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서강인문논총 Vol.0 No.45

        중국중심적 문화주의는 이민족들과의 지속적인 접촉과 대립을 통해 형성된 중국 지배층의 세계관이라고 할 수 있다. 북방의 유목민, 남방의 소수민족 등에 둘러싸인 중원에 기반을 둔 중국의 초기 왕조 지배층은 자신들이 주위 이민족들보다 근본적으로 우월하고, 자신들의 우월함은 한족문화와 문명의 우수성에 기인한다는 믿음을 발전시켰다. 그들은 자신들 문화의 우수성에 대한 자신감을 바탕으로 중국을 세계의 중심으로 여기는 동시에 주위 이민족들을 문화주의의 권역 안으로 포섭해 나가며 공존을 모색했다. 중국과 동아시아 각국의 국제관계에 있어 큰 역할을 담당했던 조공제도는 이러한 중국중심적 문화주의에 기반을 두고 있었다. 조선은 17세기부터 19세기에 걸친 200년이 넘는 기간 동안 청의 주요 번속 중의 하나로 청을 중심으로 한 문화주의적 동아시아 세계관 구축에 큰 역할을 담당했다. 본 논문은 서구중심적 및 중국중심적 시각을 비판하는 동시에 국가의 경계를 넘어서는 초국적 시각 및 접근법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중국중심적 시각에서 주로 논의되어 왔던 문화주의와 조공제도를 중한관계를 바탕으로 한 동아시아적 시각을 통해 새롭게 분석한다. Sino-centric culturalism has been regarded as a traditional Chinese worldview that evolved from China’s long history of contact and struggle with its so-called barbarian neighbors. In particular, being confronted by northern nomads and southern aborigines, the Chinese ruling elites developed the idea that they were superior to the surrounding barbarians and that their superiority was primarily based on their advanced culture and civilization. Based on culturalist confidence, they deemed China to be the center of the world and claimed to live in great harmony with the so-called surrounding barbarians, imparting themselves the mission to convert the uncivilized peoples to civilization by educating them through Confucian principles. In its foreign relations, China’s advocacy of the culturalist worldview was reflected in the tribute system. The Chinese dynasties had designed the tribute system over time to embrace foreign countries, particularly in the East Asian region, into the framework of China-centered culturalism. Chosŏn Korea was the most consistent and loyal tribute-paying country to Qing China for more than two hundred years, until the Sino-Japanese War of 1894-95 ended the Sino-Korean tributary relationship. This paper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aking an East Asian, trans-national perspective, and challenges China-centered understanding of culturalism and the tribute system by placing the late Qing Chinese history within the broader context of Sino-Korean inter-state relations.

      • KCI등재
      • KCI등재

        김정한 소설의 소수자 의식과 동아시아 민중 연대

        하상일 ( Ha¸ Sang-il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21 탐라문화 Vol.- No.67

        본고는 김정한의 소설에 나타난 소수자 의식과 동아시아 민중 연대의 가능성을 해방 이전과 이후의 역사적 모순의 연속성이라는 관점에서 논의한 것이다. 첫째, 김정한의 소설에서 중심 권력으로부터 소외된 위치에 있는 소수자들의 행동과 의식에 주목했다. 이는 농민 혹은 민중으로 대변되어 온 식민지 계급구조의 희생자들이 1960년대 이후 근대화의 이면에 은폐된 국가 권력의 지배 구조 안에서 어떻게 그 희생을 영속화할 수밖에 없었는지를 밝히고자 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작가의 소수자 의식이 특정 국가와 민족에 대한 혐오와 비판에 목표가 있는 것이 아니라, 인간으로서 누려야 할 최소한의 가치와 행복을 공유해야 한다는 아주 근본적인 세계관에 바탕을 두고 있음을 명확히 확인하고자 했다. 둘째, 이러한 점에서 그의 소설에서 로컬리티의 실현을 국가나 민족의 차원을 넘어서 인간 해방과 평화의 장소성으로 접근함으로써, 민족주의를 넘어 한일 관계의 새로운 지점으로 읽어내고자 했다. 이는 김정한의 소설을 지역 주의적이고 민족주의적으로 분석해온 그동안의 일반적인 평가가 지닌 한계를 넘어서, 지역과 민족을 거점으로 한 보편적 세계성의 실현에 궁극적인 방향성이 있었음을 주목한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은 1960년대 중반 한일협정과 베트남 파병이라는 충격적인 사건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데, 그 결과 오키나와를 매개로 식민지 시대 위안부와 강제징용의 역사를 다시 불러왔고, 대동아공영권에 사로잡힌 제국의 시선에 희생되었던 아시아 식민지 공동체 문제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던 것이다. 이런 점에서 김정한의 소수자 의식을 국가와 민족의 경계를 넘어선 민중 연대의 차원에서 동아시아적 시각으로 확대해서 논의하였다. 이는 앞으로 김정한 소설 연구가 지역적 로컬리티의 차원을 넘어서 보편적 세계성을 확보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문제제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is aimed to discuss minority consciousness and the possibility of solidarity among East Asian people found in Kim Jeong-han’s novels in the perspective of continued historic irony before and after the emancipation. First, this author pays attention to the behavior and consciousness of minorities alienated from the central authority in Kim Jeong-han’s novels. It is intended to understand how the farmers or victims of the hierarchal structure in the colony represented as the people had no other way but to continue their sacrifice in the 1960's within the ruling structure of the national power concealed behind the modernization. Also, this researcher intends to make it clear that the writer’s minority consciousness is not for hatred or criticism towards a particular country or race but grounded on a very basic view of the world that we should share the least value and happiness men have to enjoy as a human being. Second, in this sense, his novels approach the realization of locality not just in the dimension of a nation or race but through human emancipation and the placeness of peace, and this researcher intends to read them not from nationalism but as a new point in Korea-Japan relationship. This is to go beyond the limitations of general evaluation that has been made about Kim Jeong-han’s novels saying they are regionalistic and nationalistic and to focus on the fact that they are ultimately oriented to realizing universal globality taking the region and race as a foothold. This critical mind is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Korean-Japanese Agreement and the shocking incident of dispatching to Vietnam in the mid-1960's, and this is why he recalled the history of forced draft and comfort women in the era of colonization taking Okinawa as a medium and also people began to pay attention to the matter of a colonized community in Asia sacrificed by the eye of the empire captured by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Therefore, Kim Jeong-han’s minority consciousness is discussed here by extending the viewpoint up to East Asia in the perspective of solidarity among the people beyond the country and the people. It is expected that research on Kim Jeong-han’s novels will make a crucial presentation of a matter afterwards to secure universal globality beyond the dimension of regional locality.

      • KCI등재

        중국에서의 임진전쟁 연구 현황과 제언

        손해룡,공미희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0 한국학연구 Vol.0 No.57

        16세기 말에 동아시아 지역에서 발발한 임진전쟁은 한중일 삼국과 깊이 연동된 국제전이자 동아시아 정국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역사적 대사건이었다. 중국 학계에서 임진전쟁에 대한 관심은 일찍이 20세기 초반부터 생겨났으며,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후 이에 대한 연구도 점차 본격화되었다. 지금까지 중국의 임진전쟁 연구는 주로 역사학, 문학과 문헌학 등 세 학문 분야에서 진행되어 왔으며, 또한 비교적 풍부한 연구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많은 연구 성과를 거두었음에도 불구하고 관련 연구들은 여전히 적지 않은 문제점도 안고 있다. 예컨대, 기존 연구마다 자민족적 경향이 강하고 각 연구 분야와 연구 주제 간 편차가 존재한다는 것, 각 학문 분야 간 소통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그리고 연구 사료 확보가 부족하며, 전 국면을 총체적으로 바라보면서도 동시에 미시적인 안목을 가진 연구가 부족하다는 것을 문제로도 지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들이 중국에서의 임진전쟁 연구의 발전을 크게 제약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이유 때문에 중국에서의 임진전쟁 연구를 보다 잘 수행하기 위해 자민족적 시각 대신 동아시아적인 시각을 도입하고 세부적 연구 및 학제 간의 연구와 소통을 강화시키는 동시에 한중일 삼국 학자 간의 공동연구와 협력도 진일보로 강화시켜 나가야 된다. 16世纪末发生于朝鲜半岛的壬辰战争, 不仅是一场关涉中日韩三国的国际战,也是一个对东亚局势产生了深远影响的历史大事件. 中国学界对壬辰战争的关注最早始于20世纪初叶, 新中国成立后相关研究逐渐步上正轨. 迄今为止, 中国学界主要从“历史学”, “文学”与“文献学”三个方面出发对壬辰战争做出了广泛而深入的考察, 取得了较为丰富的成果. 尽管成果堪称丰硕, 但同时也存在着不少的问题与短板. 譬如, 研究视角自我中心, 学科壁垒深厚, 研究主题冷热不均, 以及着眼全局的细节研究不足与史料占有不够等诸多问题的存在严重制约着中国学界对壬辰战争研究的深化与发展. 为了能够更全面, 系统地呈现壬辰战争立体多元的丰富面貌, 亟需引入东亚视角, 推进细节研究, 同时也需要进一步加强不同学科与不同国籍学者之间的交流与合作.

      • KCI등재

        21세기 현실에서 한국문학 연구의 방향 재론

        임형택(Lim Hyung-taek) 한국어문학회 2008 語文學 Vol.0 No.102

        이 논문은 21세기 글로벌한 환경, 문명적 변화가 일어나는 상황에서 한국문학의 연구는 어떤 방향으로 나가야 할 것인가를 모색하는 내용이다. 기본적 과제로 제시한 주장은 두 가지인데 하나는 일국주의를 극복 하는 방향에서 동아시아적 시각으로 세계적 지평에 도달하자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근대극복의 문제인데 근대적 학문관과 문학관의 틀을 넘어서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한국문학학이 21세기의 사회현실에서 존재 의미를 상실하지 않고 참다운 학문으로 살아남기 위한 방안으로 세가지 과제를 제시하였다. 1) 지금 한국 현실에서 '선진화 사회'로 가는데 한국문학의 몫이 긴요하며, 2) 학문의 생명은 소통에 있는바, 시대와의 소통, 독자대중과의 소통, 학문경계의 소통을 제기했고, 3) 지구화시대에 당면해 주체의 문젤르 강조하였다. The subject matter of thjs essay js to offer suggestions for the methodology of Korean literature studies under the global civilization-changing circumstance in the 21st century. Two tasks are mainly argued; the one is to attain global horizon and East Asian perspectives beyond national border, and the other is to transcend the fixed ideas of modem science and literature, finally, modernity itself. In this argument, three suggestions below are offered to give Korean literature study some meanings for the world in the 21st century. 1) to understand the important role of Korean literature study in order to realize the 'advanced society' in Korea 2) to understand the peculiarities of present age and communicate with the masses of readers and the intellectuals of the other fields of study 3) to highlight the problem of the subject in this era of globa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