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사의 동료장학 운영실태와 요구분석

        조인수,김진기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4 No.1

        이 연구는 정신지체특수학교 교사들의 동료장학의 운영실태와 요구를 밝히는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210명으로 성별, 직위별, 경력별, 연령별로 분석하였으며, 설문지구성은 동료장학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동료장학의 실태, 동료장학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3개 영역 24개 문항으로, 약 3개월에 걸쳐 조사되었다. 연구 결론은 첫째, 정신지체특수학교 교사들은 동료장학에 대해서 잘 이해하고 있고 학교현장에서 꼭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둘째, 현재 가장 많이 실시하는 동료장학의 형태는 연구수업 중심이고, 가장 적절한 형태의 동료장학으로는 동료 간의 협동적 수업연구이다. 셋째, 동료장학이 필요하고 수업개선에 도움이 되는데도 현장에서 활성화되고 있지 못하고 있는데 이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학교의 관료적인 구조로 인한 어려움을 줄이기 위해 자율적인 활동이 가능한 교과별, 과정별, 동 학년별, 동호회별 모임, 티타임을 통한 수업개선에 대한 자유로운 의견교환이 활발하게 이루어져야겠다. 그리고 과중한 업무의 경감과 행·재정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하겠고, 무엇보다도 교사들의 동료장학에 대한 수용태도와 수업개선을 통해 학생들의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꾸준한 자기발전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needs analysis for colleague supervision of teachers for the mentally retarded in special schools by analyzing its realiti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the questionnaire research method as the measurement instrument and made use of SPSS 10.0 program for statistical data processing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First, respondents had a high understanding of colleague supervision of teachers for the mentally retarded in special schools and thought that it was desirable because of its informality and contribution to the learning-teaching method. Second, colleague supervision conducted among special schools for the mentally retarded tended to be formally conducted with an emphasis on school research under the plan of the head of the research department. Third, responding teachers thought that colleague supervision should be conducted around the same school year in terms of the method of conducting colleague supervision. Fourth, the problems of colleague supervision included the lack of research time due to teachers' excessive miscellaneous affairs, the lack of senior teachers to give counselling and advice and the like.

      • KCI등재

        중학교 교사의 동료장학 참여가 수업과정행동 향상에 미치는 영향

        이윤식,강재춘 한국교원교육학회 2005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2 No.2

        이 연구는 중학교 교사들의 동료장학 참여 정도는 어떠한가? 중학교 교사들의 동료장학 참여가 수업과정행동의 향상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등의 연구문제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주요 결론은, 첫째, 교사들의 동료장학에 대한 참여 정도는 전체적으로 보통 수준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보직교사들이 일반교사들보다 동료장학에 더 많이 참여한 것으로, 그리고 교직경력이 많을수록 동료장학에 더 많이 참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협의중심 동료장학에 참여하는 정도가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분석되었고, 연구과제중심 동료장학에 참여하는 정도는 낮은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교사들의 동료장학 참여 정도와 수업과정행동 향상 정도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541, p<.01). 회귀분석 결과, 동료장학 참여 정도가 수업과정행동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32%(R2=.32)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료장학 하위 형태별 세 변수 모두가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어린이집 동료장학의 인식과 실태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차이

        김현정,황혜정 한국보육학회 2019 한국보육학회지 Vol.19 No.3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any differences in teacher efficacy according to the perception and practices of the peers’ supervision in day care centers, and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eachers and the quality educare. Methods:The subjects were 301 teachers at daycare centers in Gyeonggi Province who are working at public, private, workplace and home daycare centers. The instruments used were questionnaire concerning the perceptions and practices of peers’ supervision in day care centers, and the teacher efficacy instrument. Results: The differences in teacher efficacy according to the perception of peers’ supervision were significant, depending on the level of perception, willingness to participate, need and satisfaction, and sub-area of the main view. And, the differences in teacher efficacy according to the practices of peers’ supervision were significant, depending on the numbers received, gave and implementated, the implementators, and the type of peers’ supervision. Conclusion/Implications: This can be a clear benefit for stimulating peer’s supervision. This study can greatly benefit the quality of day care service and improve teacher’s professionalism. 본 연구는 어린이집 동료장학의 인식과 실태에 따라 교사효능감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직중인 교사 301명이며, 연구도구는 어린이집 동료장학의 인식과 실태를 물어보는 설문지와 교수효능감 척도이다. 동료장학의 인식과 실태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SPSS 23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과 사후검증으로 Scheffe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교사의 동료장학 인식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차이를 보면, 동료장학에 대해 매우 잘 알고 적극적으로 참여하고자 하며 매우 필요하고 효과적인 도움을 준다고 생각하는 교사와 동료장학의 주된 관점을 교수 및 학습방법에 두는 교사가 일반효능감이 높았다. 어린이집의 동료장학 실태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차이를 보면, 동료장학을 받은 횟수와 해준 횟수가 높은 교사와 동료장학을 2주에 1회 정도 실시할 때, 주로 원감에 의해서 실시될 때, 일대일 중심보다 연구과제중심 동료장학이 많이 실시될 때 교사의 개인효능감이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동료장학 활성화를 통한 교사효능감 향상과 어린이집의 질적 개선에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동료장학과 자기장학이 교사학습공동체를 매개로 교사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오은석 ( Oh Eunseok ) 인천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0 사회과학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지식과 정보가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사회 변화의 속도가 빠르게 진행되는 현대사회에 대응하기 위해 교사전문성 함양이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여, 교사전문성 함양을 위한 방법으로 동료장학과 자기장학, 교사학습공동체가 교사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경기도 소재의 40개 중학교 805명의 설문지 응답 자료를 상관관계 분석, 중다회귀분석,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료장학, 자기장학, 교사학습공동체, 교사전문성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두 정적인 상관이 있었고, 둘째, 동료장학, 자기장학, 교사학습공동체는 교사전문성에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구조적 관계 분석 결과 동료장학과 자기장학이 교사학습공동체를 매개로 교사전문성에 미치는 직·간접 효과가 있었으며, 교사학습공동체는 동료장학, 자기장학과 교사전문성 사이에서 매개 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의 전문성을 높이기 방안으로는 저 경력 교사와 일반교사가 동료장학과 자기장학, 교사학급공동체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적절한 교육지원과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교사가 혼자 수행하는 자기 장학 활동을 교사학습공동체 안에서 동료 교사와 공유하고 협력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교사학습공동체의 운영 목적이나 주제가 교사전문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발전해 나가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middle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peer supervision, self-supervision, teacher learning community, and teacher professionalism and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m. To carry out this research, a questionnaire was sent to 1,000 teachers in 40 middle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which resulted in 845 (84.5%) responses. We used 805 (80.5%) of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excluding 40 responses with missing or incorrect answers.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influence of peer supervision, self-supervision, and teacher learning community on teacher professionalism, all the variabl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regarding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peer supervision, self-supervision, teacher’s learning community, and teacher professionalism, all the variabl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mediated a relationship of peer supervision and self- supervision to teacher professionalism.

      • KCI등재

        체육교사의 동료장학에 영향을 미치는 "동료문화" 탐색

        권민정(Min Jung Kwon),김경숙(Kyung Sook Kim)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08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15 No.2

        체육교사들은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동료장학을 실천하고 있다. 그러나 동료장학에 대한 이론적 정의와 실천적 정의에 다소 차이가 나타나 체육교사들의 실천적 정의를 ``동료문화``로 재개념화 한 후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재개념화를 토대로 본 연구는 체육교사의 동료장학에 영향을 미치는 ``동료문화``의 형성과 그 의미를 탐색하고, 교사 재교육적 관점에서 체육교사들이 체계적이고 의미 있는 동료장학을 실천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참여자로 경기·인천 지역 소재의 중·고등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체육교사를 경력교사와 초임교사로 구분하여 유목적적 표집법으로 4명씩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심층면담, 집단토론, 자극회상질문법, 이메일, 전화 통화 등을 실시하였으며, 자료분석을 위해 영역분석, 분류분석, 성분분석 방법을 사용하고, 연구참여자들간 검토 및 삼각검증을 통해 진실성을 확보하였다. 체육교사의 동료장학에 영향을 미치는``동료문화``로는 경력교사와 초임교사간 ``노코멘트`` 문화, ``따로 따로`` 문화, ``갈망``문화, ``나눔`` 문화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노코멘트`` 문화에서는 비언어적인 ``지켜보기``와 ``몰래보기``의 방법이 활용되었고, 서로를 수용하지 않는 ``따로 따로`` 문화에서는 실망과 상처로 동료 관계를 악화시켜 두 가지 문화 모두 동료장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갈망`` 문화에서는 서로에 대해 탐색하고 기다리는 형국을 보여 동료간 협조적인 관계 형성의 가능성을 보였으며, ``나눔`` 문화에서는 소통과 배움을 통해 협동적인 동료장학을 실천하려는 모습을 보여 동료장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For this study, the authors divided physical education teachers from middle and high schools in Gyeonggido and Incheon metropolitan area into two groups, the experienced teacher group and the beginning teacher group, and selected 4 participants from each group by purposeful sampling. For data collection, in-depth interview, group discussion, self-reflective question, e-mail and telephone contact were used. For data analysis, domain analysis, taxonomic analysis and componential analysis were conducted.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data analysis were obtained from review and triangulation with the participants. The researchers found that there were four types of ``peer culture`` of the participants that influenced their peer supervision: ``no comment`` culture, ``separate`` culture, ``longing`` culture and ``sharing`` culture between two groups.

      • KCI등재

        중학교 가정과 교사의 교과 관련 교내 자율장학에 대한 인식과 실태

        고미영,채정현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at middle school Home Economics(HE) teachers perceive, practice and need for self-supervision at school related to HE. Questionnaires were sent by E-mail and 150 were collected. Descriptive statistics including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ANOVA analysis were reported using SPSS/win 10.1.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First, middle school HE teachers perceived that self-supervision at school was essential since it promoted self reflection of teachers themselves and improved professional skills. Furthermore, peer-coaching was highly preferred. Second,negative responses to the supervision of principal, vice-principal, and peer teachers overwhelmed positive answers. Information exchange among peer teachers was frequent, yet, approximately 22.6% of middle school HE teachers were still avoiding sharing information process for several reasons. About half of the teachers answered that all teachers needed to participate in this process. Third, they pointed out that self-supervision at school was not implemented well because of the lack of time due to the heavy work load, negative and passive attitude for the improvement of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dministration-centered supervision that did not reflect teachers' opinion, and shortage of economical, and environmental support.. HE teachers perceived that peer teachers who were doing good practices were most helpful for the supervision. Also, they preferred self-evaluation at the end of the self-supervision at school. Forth, to improve self-supervision at school, there were very high demands for reduction of administrative work, additional time, fundamental philosophy toward HE education. Fifth,the purpose and detailed plans of self-supervision were recognized as the results that were democratically derived by the HE teachers. Sixth, class inspection and informal inspection were operated once in a year, and self-training was rarely operated. Peer coaching and self-coaching were operated occasionally. Self-coaching and peer coaching were reported as the most helpful types of supervision. In addition, HE teachers answered that supervision was helpful to teaching method followed by contents, evaluation, and philosophy of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가정과 교사들의 가정교과관련 교내 자율장학에 관한 인식 및 수행실태를 알아봄으로써 가정과 교사의 가정교과관련 전문성 신장 활동을 지원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전국의 가정과교사를 대상으로 이메일을 통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회수된 질문지 150부는 SPSS/Win(Ver 10.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ANOVA, T-test로 분석되었다. 중학교 가정과 교사를 대상으로 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같다. 첫째, 가정교과관련 교내 자율장학 인식에 대해서 대부분(88.0%)의 가정과 교사는 이 장학이 자기반성과 전문성 향상에도움이 되므로 매우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선호하는 장학은 동료장학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교과 교내 자율장학의 목표 선정 및 구체적인 계획 수립에 대해서 반 정도(50.7%)의 가정과 교사들은 이 장학의 목표 선정 및 계획 수립 과정이 가정교과협의회를 거쳐서 민주적으로 결정된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교내장학의 유형별 실시 횟수의 경우, 수업장학과 약식장학은 1년에 1회 정도이었고, 자체연수는 실시되지 않는편이였다. 동료장학과 자기장학은 수시로 이루어졌다. 장학의 유형별 도움의 정도는 자기장학과 동료장학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학에 도움을 얻는 분야는 장학유형에 상관없이 가정과교수방법이 가장 높게 나왔으며, 다음으로는 교과내용, 교육평가, 교육철학 순이었다. 넷째, 교장이나 교감과 동료교사의 장학에 대한 실제적 도움 정도에 대해서는 별로 도움을 받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료교사와의 다양한 정보공유는 열심히 하는 편이나 아직도 22.6%에 달하는 중학교 가정과 교사들이 정보공유를 기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 정도(43.3%)의 가정과 교사는 교수-학습개선을 위한 수업공개자로 ‘모든 교사’를 꼽았다. 다섯째, 대부분(70.7%)의 가정과 교사는 가정교과관련 교내 자율장학이 잘 실행되지 않는 이유로 과중한 업무 부담으로인한 시간 부족, 교수-학습 개선활동에 대한 부정적, 소극적 태도, 교사의 의견이 반영되지 못하는 행정위주의 장학형태,경제적, 환경적 여건부족을 꼽았다. 대부분의 가정과 교사들은 항상 열심히 교수-학습개선을 위해 노력하는 동료교사를 장학담당자로 가장 선호하며, 교내 자율장학의 수행 후 평가방법으로는 교사 스스로 평가하는 자기 평가를 가장 선호하였다. 여섯째, 교내 자율장학 활성화를 위해서 잡무경감 및 시간적 여유, 가정교육학에 대한 확실한 철학,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적용된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의 인지,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 제공, 도서, 자료, 도구, 장소 등 물리적 지원, 교내가정과 동료교사가 없는 경우 관내에서 가정과 교사들과 연계, 장학담당자(교장, 교감)의 장학에 대한 적극적 지원을 요구하였다.

      • KCI등재후보

        교내장학의 문제점에 관한 교사의 인식 분석

        이민희(Min Hee Lee),이국진(Kuk Jin Lee),신재철(Jae Cheol Shin)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0 교육연구 Vol.33 No.-

        이 연구의 목적은 교내장학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하여 중등교원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살펴봄으로써 교육의 질 향상과 교수-학습 방법 개선이라는 교내장학의 본질적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내장학의 유형과 영역은 무엇인가? 둘째, 교내장학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하여 교사들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교내장학의 유형(형태)은 추로 수업장학, 동료장학, 자기장학, 약식장학, 자체연수로 분류된다. 그리고 교내장학이 주로 다루는 영역은 크게 교사의 전문적 발달 영역, 교사의 개인적 발달영역, 학교의 조직적 발달의 세 가지로 구분된다. 다음으로, 교내장학의 문제점은 형식적이고 보여주기 위한 장학, 교내장학에 관해 교사들의 거부감, 수업과 업무의 부담, 일방적인 장학계획수립, 교사들의 소극적 참여, 평가위주의 권위적인 장학, 시설과 기자재 및 장학활동을 위한 자료 부족 등이다. 교내장학의 개선방안은 교내장학이 다루는 세 가지 영역의 조화 실시, 교사들의 필요와 요구 및 발달단계에 따른 다양한 운영, 교사의 자율성과 참여 유도, 시설과 기자재 및 자료 구비, 교사들의 업무경감, 장학담당자의 역량 강화와 역할 제고, 학교의 개방 풍토 조성 등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let teachers to achieve professional abi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skills and to enhance the quality of education by analyzing middle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school based autonomous supervision. To achieve the goals, following three questions were set. First, what are the types and domains of school based autonomous supervision? Second, how do teachers perceive problems and improvements on school based autonomous supervi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re are five types of school based supervision: classroom supervision, collegial supervision, self supervision, informal supervision, and self training and that there are three different domains such as professional developmental domain, personal developmental domain, and organizational developmental domain. Moreover, these propose that the factors of problem of school based autonomous supervision are formal and token supervision, repulsion of teachers on supervision, burden for class and paper work, top down planning of supervision, passive participant of teachers, authoritative supervision by evaluation, and lack of facilities and materials for supervision. The study also suggests ways of improving school based autonomous supervision as follows: harmonizing three domains, various management based on teachers` needs and developmental stages, motivation for autonomy and participant, equipped facilities and materials, reduction of paper work, strengthened supervisors capacity and reconsideration about their roles, and setting an open school climates.

      • KCI등재후보

        교내 장학담당자들의 자율장학 실제 인식을 터한 교육행정 기관의 장학 지원 개선책 탐구

        김병모 한국교육정치학회 2010 敎育政治學硏究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clear Supervisory Support Remedy of supervisory administrative Agency based on the recognition of autonomous supervisory practice of the person in charge of supervision through case study of school autonomous supervision in High School. For this purpose, I run parallel with written data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 The interview was carried out informal interview three times with informers standing on the non-structuralized descriptive questionnaire from April 20, 2008 to January 20, 2009.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although they responded differently to instructional supervision according to school respectively, Because Teachers may be stressed and feel burdened over instructional supervision, Beginning teachers and teachers transferred another school would take this supervision into their own hands. Secondly, Self-directed development supervision will be suitable for competent teachers,but on the other hand, it is no trouble to do. Third, Cooperative professional development is valued highly to improve teachers' curricular lesson according to preceding research, but teachers were unwilling to be observed their teaching from co-teachers if they weren't in good rapport. Lastly, I analyzed that Administrative monitoring was imposed on the teachers but may be positive side so that teachers concentrated on teaching course through it. With current point, It is very important to have principal in mind so that in-school supervisory activity is now recognized as a precious course to expansion of teachers' expertise.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계 고등학교에서 학교별로 실행되고 있는 교내 자율장학 실제에 대한 장학담당자들의 인식을 질적 연구 방법으로 밝혀 교육행정 기관의 장학 지원 개선 방안을 탐구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서자료 분석과 연구 대상자들과의 심층면접을 병행하였다. 심층면접은 연구 대상자들을 중심으로 2008년 4월에서 2009년 1월 중순까지 각 3회씩비 구조화된 서술형 설문을 바탕으로 비공식적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수업장학은학교 내 기존 교사들이 부담스러워하는 장학으로 학교문화에 익숙하지 못한 전입교사나 신임교사들에게 맡겼다. 둘째, 자기장학은 유능한 교사에게 적합한 장학이지만, 대충 넘어가는 장학형태로인식되고 있다. 장학행정의 개선 방안으로 첫째, 교육과학기술부는 단위학교에 수석교사를 두어 교과의 수업 질 개선을 위해 실질적인 권한 부여를 해야 한다. 둘째, 시․도교육청 장학구조가 일반업무를 담당하는 장학사와 교사 수업 질 개선을 전담하는 장학요원으로 이원화되어야 한다. 셋째,교내 자율장학 방법의 다양화를 위한 행․재정적 지원을 해야 한다.

      • KCI등재

        예비교사의 수업전문성 신장을 위한 동료장학에 대한 사례연구

        이지영(Lee, Jee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3

        This study is a qualitative research that summarizes the meaning of the reflection that pre-service teachers who have completed teaching course at A university. Through the regularized class demonstration, the preliminary teacher discovered a slow but developing figure of ownself and hoped to be a good teacher . And the process of peer supervision for the demonstration video of the class demonstration of oneself and colleagues is a process of starting from a vicious situation and bringing out the emotions , a process in which acceptance by oneself is difficult but objectification to others and acceptance by others is well And as a process of realizing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while experiencing conflict . It is expected that the experience of class demonstration and reflection process through peer supervision will lead to synergy effect of improvement of teaching ability of preliminary teacher. First, it would be meaningful to analyze the process of class demonstration and reflection process of peer supervision more closely and to analyze whether the reflection process is similar in the recognition of the pre - service teacher s improvement in teaching ability. Second, the process of reflection through peer supervision should be accompanied by continuous education and experience in peer feedback activities in order to make sense in improving the teaching ability of the preliminary teacher. 이 연구는 A대학교에서 교직과정을 이수하고 있는 예비교사들이 동료장학 형태의 수업시연을 설계, 실행하는 과정에서 경험한 성찰의 의미를 정리한 질적 연구이다. 정례화된 수업시연을 통해 예비교사는 ‘더디지만 발전되고 있는 자신의 모습’을 발견하고 ‘좋은 교사가 될 수 있기를 소망’하였다. 더불어 자신과 동료의 수업시연 영상에 대한 동료장학 과정은 ‘막막한 상황에서 시작하여 막역한 감정을 이끌어내는과정’, ‘자신에 의한 수용은 어렵지만 타인에 대한 객관화와 타인에 의한 수용은 잘 이루어지는 과정’, ‘갈등을 경험하면서 소통과 협력의 중요성을 깨닫는 과정’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수업시연 경험과 동료장학을 통한 성찰 과정이 예비교사의 수업력 향상에의 상승효과로 이어지기를 기대하며,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수업시연 내용을 동일한 주제나 영역으로 축소하여 예비교사 모두가 수업운영과 피드백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수업시연과정과 동료장학의 성찰 과정을 보다 면밀하게 설계하고, 이후의 성찰 과정이 예비교사의 수업력 향상에 대한 인식에서 유사한 의미로 나타나는지를 분석하는 것도 의의가 있을 것이다. 둘째 동료장학을 통한 성찰 과정이 예비교사의 수업력 향상에 의미를 가지기 위해서는 동료피드백 활동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과 경험이 동반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초임 영유아교사의 영유아-교사 관계 증진을 위한 동료장학 병행 자기점검 체크리스트 활용 경험과 변화 탐색

        마은희(Ma, Eun-Hee),허계형(Heo, Kay-Hyung)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학논집 Vol.2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초임 영유아교사의 영유아-교사 관계 증진을 위한 동료장학 병행 자기 점검 체크리스트의 활용 경험과 변화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의 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경력 1년 미만의 초임 영유아교사 5명이며, 총 9주 동안 18회기에 걸쳐 영유아-교사 관계 증진을 위한 체크리스트를 활용한 자기점검과 3차에 걸친 동료장학을 병행 실행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동료장학에서의 초임 영유아교사의 발언, 장학 종료 후 초점집단면담, 초임 영유아교사의 자기점검 체크리스트이다. 연구결과로 첫째, 초임 영유아교사의 자기점검 체크리스트 활용 경험은 ‘일단 해보기’, ‘실제 활용하기’, ‘내 것으로 만들기’의 단계적 변화가 있었으며, 동료장학 병행이 이런 변화에 중요한 기여하였다. 둘째, 초임 영유아교사의 동료장학 병행 자기점검 체크리스트 활용을 통해 영유아-교사 관계의 긍정적 변화가 있었으며, 영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하여 긍정적 대처와 예방을 위한 노력이라는 변화를 보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초임 영유아교사의 영유아-교사 관계 증진을 위한 동료장학병행 자기점검 체크리스트를 활용한 장학 실천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on the experience and the change of early childhood beginning teachers by using self monitoring checklist with peer coaching on building positive relationship with young children. Participants were five early childhood beginning teachers of a Children’s House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Study was consisted in 18 sessions of using the self-monitoring checklist and 3 times of peer coaching sessions for 9 weeks period. Self-monitoring checklists results, focus group interview materials, and peer coaching discussion data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evelopmental stage of ‘encountering’, ‘familiarization’, and ‘generalization’ was revealed among the participants. In particular, peer coaching played a significant role for the change. Second, the results showed that using self monitoring checklist with peer coaching encouraged early childhood beginning teachers to build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and on th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skills of dealing with challenging behaviors. Practical strategies using self monitoring checklist with peer coaching were suggested for promoting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beginning teachers and young children. Study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additionally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