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세기 독일대학, 나치시기 독일어권 망명학자 그리고 미국대학의 성장

        손승남(Son, Seung-Nam) 한국비교교육학회 2013 比較敎育硏究 Vol.23 No.3

        본 연구는 세계 수준의 연구중심대학으로 고등교육의 세계적 흐름을 주도하고 있는 미국대학의 성장배경을 19세기 독일대학과 20세기 나치시기 미국 망명 독일학자들의 영향에서 찾아보고자 한 것이다. 빌헬름 폰 훔볼트의 대학이념과 개혁에 힘입어 새롭게 단장한 19세기 독일대학들은 학문적 명성과 과학의 우수성으로 많은 미국지식인들의 선망의 대상이 되었다. 그 당시 독일대학에서 유학한 많은 미국지식인들은 고국으로 돌아와 독일대학의 이념을 미국적인 연구중심대학으로 탈바꿈시켰다. 그 전형이 바로 대학원 중심 연구대학으로 새롭게 문을 연 존스 홉킨스 대학이다. 독일대학의 전성기는 히틀러 등장 이후 막을 내리고, 나치 박해를 피해 미국으로 망명한 독일어권 지식인들이 미국대학과 학문의 발전에 다시금 결정적인 기여를 하게 되었다. 미국대학의 학과에 소속되거나 다양한 연구소를 설립하여 활동을 펼치면서 망명학자들은 물리학, 생물학과 같은 자연과학 분야는 물론 철학, 심리학, 사회학과 같은 인문·사회과학 분야에서도 탁월한 족적을 남겼다. 역사적 아이러니 중의 하나는 19세기 독일대학을 전형으로 미국의 연구중심대학이 탄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21세기 독일연방정부의 대학개혁 화두는 어떻게 미국의 ‘하버드’와 같은‘엘리트 대학’을 창출할 것인가에 관심이 쏠려 있다는 사실이다. This study aims to inquire the growth of American research universities based on the impacts of the German universities in the 19th century and the refugee scholars from Germany in the 20th Nazi dictatorship. After the educational reform initiated by Wilhelm von Humboldt, the academic reputation and scientific excellence of the German universities in the 19th century lured plenty of American students to German universities. Those American intellectuals who studied in Germany launched American research universities affected by the idea of German universities. Johns Hopkins pioneered the concept of the modern research university in the United States and influenced most of leading American research universities such as Harvard, Yale, Cornell and Chicago. Ironically, American universities had another chance to flourish, as German refugee scholars escaping from Nazi oppression emigrated to America and made a profound impact on American science and higher learning. They left a significant mark not only in natural sciences like physics and molecular biology but also in social sciences such as psychology and sociology. Majority of them was appointed to the faculty members of leading universities and they created new research institutes featured by the Institute for Advanced Study, the New School for Social Research and the Institute for Social Research. Although American research universities were originated and shaped from the German model, one of the historical irony is that the current German reform of higher education so called ‘brain up’ policy entirely aims to create ‘elite universities’ like Harvard.

      • KCI등재

        독일의 학교 및 대학스포츠 – 현실과 법

        Klaus Vieweg,임정숙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14 스포츠와 법 Vol.17 No.1

        독일의 스포츠 조직은 중앙으로 일원화된 단일스포츠체제로서 피라미드 구조와 사법상의 조직형태로서 독점적 구조를 보이고 있다. 스포츠 협회 및 단체설립에 대한 자율성은 결사.동맹의 자유를 규정하고 있는 독일 헌법 제9조에 의해 보장되고 있다. 국가는 연방정부차원과 지방정부차원으로 나뉘어 스포츠 단체에 대해 보조자의 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법적으로 각 단체의 권리보호를 보장하고, 엘리트 스포츠학교 등에 대해 특별한 지원을 담당한다. 또한 최근 수십 년간 독일스포츠는 프로화, 상업화, 대중매체화의 경향을 강하게 드러내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여러 다양한 운동종목에서 모두 나타나고 있다. 독일은 연방공화국이기 때문에 학교 및 대학스포츠에 대한 구상은 헌법상 권한으로서 각개의 연방주의 권한에서 출발한다. 청소년을 위한 학교스포츠는 독일 국민들의 육체적, 정서적, 사회적 역량개발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그러나 학교에서의 스포츠 수업은 독일스포츠연맹(DOSB)이 요구하고 있는 주당 3시간의 수업도 잘 지켜지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어서 경쟁스포츠의 달성에는 커다란 무리가 따른다. 특화된 엘리트스포츠학교 혹은 스포츠 대회 등을 통한 지원은 이러한 취약점의 보완의 일환일 뿐만 아니라, 커다란 성과를 거두고 있다. 특히 독일스포츠후원재단의 후원을 받는 장학생들에게는 „스포츠후원 선서(Sporthilfe-Eid)“를 바탕으로 한 윤리적 기준원칙이 엄격히 적용된다. 독일의 모든 대학은 학생들의 자발적 참여를 위해 광범위한 스포츠 및 피트니스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있다. 시합에 참가할 정도의 스포츠 능력을 갖춘 학생은 누구든지 독일 대학 선수권대회에 참가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 그러나 독일의 대학스포츠는 프로화 되어 있지는 않다. 대학스포츠는 독일스포츠연맹에 의해 프로선수들을 대상으로 지원되는 스포츠나 연방군과 연방경찰에 의한 우수육상선수 지원프로그램 등과 비교한다면 그 역할은 부차적인 조역에 불과하다. 독일대학스포츠와 관련하여 가장 환영할 만한 장점은 일부 대학들이 스포츠협회들과 계약을 체결하여 학생들이 스포츠와 학과 공부를 동시에 실현해 낼 수 있는 이중경력(duale Karriere)시스템의 지원이라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대학엘리트 선수들은 스포츠와 전공의 이중 경력을 겸비하게 되고, 미래직업에 대한 가능성을 확보하게 된다. 스포츠 분야의 특수한 테마로서 스포츠 당사자들의 책임문제가 대두되는데, 독일의 운동선수, 트레이너, 학교 및 대학교 체육교원의 책임은 우선적으로 모두 일반책임법인 민법의 지배를 받는다. 마지막으로 독일의 학교 및 대학스포츠의 가장 특이한 점은 첫째로 의무화된 위에 방금 거론한 스포츠 당사자들에 대한 법정상해보험에의 가입이며 둘째로는 학교 및 대학스포츠의 평화로운 경영을 보장해주기 위해 스포츠 당사자들의 책임의 부담을 고의의 경우로 철저히 제한하는 데에 있다 할 것이다.

      • KCI등재

        독일 대학법의 개혁에 관한 연구

        이시우(Lee See Woo) 한국헌법학회 2008 憲法學硏究 Vol.14 No.3

          1970년대를 거쳐 1990년대 초까지의 독일 대학법의 기본 틀은 소위 ‘정교수대학(Ordinarienuniversit?t)’에서부터 소위 ‘집단관리대학(Gruppenuniversit?t)’으로의 형태였다고 할 것이다. 그런데 1990년대 말부터는 유럽연합이라고 하는 유럽통합의 과정과 대학교육의 효율성 및 국제경쟁력 제고라고 하는 대내외적 요인들로 인하여 대학참사회(Hochschulrat) 내지는 대학재단이사회(Stiftungsrat) 중심의 소위 ‘이(참)사회대학(R?teuniversit?t)’으로의 변화와 대학개혁으로 이어졌다. 1990년 대말부터 현재까지 이러한 독일 대학개혁의 법제적 중심에는 독일 대학기본법(Hochschulrahmengesetz)과 독일 각주의 대학법(Hochschulgesetz)들이 있다. 그리고 이런 주의 대학법 중에서 특히 Niedersachsen주의 대학법이 특별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BR>  최근 10년간 독일대학법 개정의 두드러진 특징은, 첫째, 대학기본법상의 규제철폐와 각 주의 자율적 입법형성권이 확대되어졌다. 둘째, 대학의 법적 지위에 관한 규정 개정으로 기존의 공법상 사단이자 국가 시설물로서의 법적 지위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단법인과 같은 특수한 형태로 국립대학들이 전환될 수 있게 되었다. 셋째, 유럽통합과 함께 “Bachelor”와 “Master” 학위제 및 대학평가제도 도입과 같은 국제적 기준에 맞는 대학영역에서의 제도적 통일 노력이 대학법에 반영되고 있다. 넷째, 2006년 독일 연방제도 개혁으로 인하여 대학기본법의 폐지가 예견됨으로써 이전보다 주의 대학 영역에서의 기능강화와 대학자율성 확대가 예상된다.   In Germany responsibility for the education system is determined by the federal structure of the state. Under the Basic Law (Grundgesetz) the exercise of governmental powers and the fulfillment of governmental responsibility is incumbent upon the individual states(L?nder) as far as the Basic Law does not provide for or allow for any other arrangement.<BR>  In the German Higher Education Law system, fundamental changes are currently being implemented under which special importance is attached to the various efforts for more autonomy and quality assurance. In the higher education area, extensive reforms have also been introduced in Germany for modernization, globalization and quality assurance in the last few years. It requires consideration about the provisions of the german statutes about the legal status of university and the governance of university.<BR>  The German Federal Reform in 2006 transferred frame legislative powers in higher education from the Federation to the States. Is the German university going on Boards-university from Professors-university via Groups-university? For the answer we should watch the evolution of the German higher education laws.

      • KCI등재

        독일 고등직업교육의 확대와 대학 이원화 및 삼원화 직업교육제도

        김춘식 한국독일사학회 2023 독일연구 Vol.- No.54

        현재 독일은 성공적인 모델로 정착된 대학 이원화 교육을 통해 대학에서의 이론과 기업체에서의 실습이 연계된 고등직업인력을 양성해 오고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전문 고등직업인력의 감소 및 산업의 고도화로 고등직업교육제도에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그중 가장 주목할 만한 변화는 첫째로 산업인력을 양성해 오고 있는 고등직업교육기관이 일반 직업학교(Berufsschule)과 연계해 4년 동안에 아우스빌둥 자격(Ausbildung)과 학사학위(Bachelor)를 함께 취득할 수 있는 대학 이원화교육을 시행하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로 소위 대학 삼원화교육(Triales Studium)으로 기존 일반 직업교육인 아우스빌둥과 대학의 학사과정을 연계해 학사학위 취득, 나아가 마이스(Meister) 자격도 취득할 수 있다. 대학 삼원화교육제도는 주로 수공업, 건축, 기계 및 전기 분야에서 마이스터자격(Meisterbrief)을 취득할 수 있는 대략 18개의 직업영역이 주를 이루고 있다. 현재 대학 삼원화교육은 독일의 일부 고등직업학교(Berufskolleg)과 대학 이원화 교육기관에서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독일의 고등직업교육대학들 사이에서 이 제도에 대한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기에 향후 확장성이 매우 높다. 독일에서 대학 이원화 교육제도와 삼원화 교육제도를 시행하는 대표적인 고등직업교육기관으로는 한국에서는 강소기업대학 혹은 중소기업대학을 잘 알려진 독일 빌레펠트에 본부를 두고 있는 ‘미텔슈탄트대학교(Fachhoschule des Mittelstands, FHM)’와 공립 ‘함부르크 고등직업교육대학교(Berufliche Hochschule Hamburg, BHH)’를 들 수 있다. 특히 FHM은 몇 년 째 독일의 최우수 고등직업교육대학교로서의 명성을 유지하고 있다. 잘 알려져 있듯이 독일의 고등직업교육제도는 인구감소와 산업수요의 변화에 따라 항상 진화해 오고 있다. 특히 고등직업교육기관이 일반 직업학교와 연계해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이론과 실습이 연계된 독일의 고등직업교육제도의 교육과정은 현재 확대일로에 있는 한국의 ‘고교학점제’와 같은 고교-대학 연계교육과정에 매우 중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나아가 상대적으로 짧은 교육기간인 4년 반에 아우스빌둥과 학사학위, 그리고 자격 취득 후 해당 분야에서 독립적으로 일하거나 자신의 작업장을 개설하는 등의 경제적 자유를 누릴 수 있는 마이스터자격까지 취득할 수 있는 통합 고등직업교육과정인 독일의 대학 삼원화 교육제도는 현재 지역 특성화를 포함해 고등교육의 구조개편 등 변화일로에 서 있는 한국의 고등(직업)교육기관에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Currently, Germany has a successful model of dual study, which combines theory at universities with practical training in companies to create a highly skilled workforce. However, in recent years, the country has been trying to change the system of higher vocational education due to population decline and industrial progress. The most notable changes are, on the one hand, the introduction of the "dual study program", which allows students to earn both an apprenticeship and a bachelor's degree in four years in conjunction with vocational school, and on the other hand, the so-called "trial study program", which allows students to earn a bachelor's degree and even a master's degree by combining existing general vocational training with a university bachelor's degree program. The Triales Studium consists of around 18 vocational areas in which students can obtain a master craftsman's certificate, mainly in the fields of crafts, construction, mechanics and electricity. Currently, the Triales Studium is being implemented in some of Germany's upper secondary vocational colleges and dual education institutions. However, the interest of German vocational schools and universities in this system is growing, so there is great potential for further expansion. Two of the best-known vocational universities of applied sciences in Germany that offer dual and trial studies are the 'Fachhoschule des Mittelstands(FHM)' based in Bielefeld, which is known in Korea as a university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nd the state-run 'Berufliche Hochschule Hamburg(BHH)'. The FHM in particular has enjoyed a reputation for many years as the best German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 for vocational training. It is well known that the German VET system is constantly evolving to respond to demographic changes and industry demands. In particular, the curriculum of the German VET system, which is developed by VET institutions in cooperation with general education schools and combines theory and practice, has important policy implications for higher education systems such as the Korean "High School Credit System", which is currently being expanded. In addition, the German vocational higher education system, which is an integrated trial vocational education program that allows students to obtain an apprenticeship, a bachelor's degree and a master's certificate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four and a half years, and enjoy economic freedoms such as working independently in the field or opening their own business,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Korea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which are currently undergoing changes such as regional specialization and structural reform of higher education.

      • KCI등재

        대학법인화와 대학경쟁력 ― 독일의 재단형대학과 사단형대학을 중심으로 ―

        이기우 한국공법학회 2011 공법연구 Vol.40 No.2

        Seit 90er Jahre gibt es in Korea eine heftige Auseinandersetzung über die Einführung der Rechtspersönlichkeit an der Universität. Die Regierung bemühen sich die Rechtspersönlichkeit der Universität einzuführen. um die Wettberwerbsfähigkeit der Universität stark zu machen. Meisten der Hochschullehler und Studenten der nationalen Universitäten sind dagegen. Am Ende der 1980er Jahre hat diese Diskussion begonnen in Korea als Reformvorhaben der Universität. Mit der Globalisierung und Finanzkrise haben die Regierung und Politiker der Regierungspartei versuchen diese Reformsvorhaben zu realisieren seit 2000. Die Gegner dieses Reformvorhabens haben Angst vor finanzieller Schwirigkeit als Folge der Reform aufgrund der negativen Erfahrung von Japan. Es gibt einige Abhandlungen und Berichten über die japanische Universitätsreform durch die Einf ührung der Rechtspersönlichkeit. In Deutschland gab es auch wichtige Hochschulreformen seit 90er Jahren. Insbesondere die Einführung von verschiedener Rechtsformen der Universität beispielsweise Stiftungsuniversität in Niedersachen u.a. und Körperschftsuniversität in Nordrhein-Westfalen. Deutsche Erfahrungen können bieten uns eine Gelegenheit unsere Lösungen zu finden. In dieser Abhandlung sind die Hintergründe der Hochschulreform dargestellt. Die Einführung der Rechtspersönlichkeit der Universität ist ein Mittel der Stärkung der Wettbewersfähigkeit der Universität in Deutschland durch die Selbständigkeit und Dezentralisierung, Entstaatlichung, Deregulierung. Verschiedene Rechtsformen der deutschen Universität ist dagestellt. Nach der deutschen Erfahrung die Rechtsformen der Universität ist zwar wichtig aber die konkrete Gestaltung von Verhältnisse zwischen Staat und Universität ist noch wichtiger. 국립대학 법인화를 둘러싼 찬반의 대립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정부를 중심으로 국립대학법인화를 추진하려는 측과 국립대학의 교원과 학생들을 중심으로 하는 반대측이 팽팽하게 대립하고 있다. 한국에서 국립대학법인화문제는 이미 1980년대 말에 시작되었으나 세계화와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2000년대에 들어 본격적으로 주장되고 추진되기 시작했다. 학설에 따라서는 일본의 국립대학 법인화사례를 분석하여 그 부정적인 면을 강조하면서 반대의 논거로 삼고 있다. 이에 대해서 찬성하는 측에서는 대학의 법인화는 세계적인 추세이고 시대적인 요구라는 점을 들어 이를 추진하려고 한다. 대학의 경쟁력강화를 위한 대학자치의 강화, 분권화, 탈규제화, 자기책임성의 강화는 불가피한 시대적인 요구라는 점을 부정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이에 국내에서 추진되고 있는 국립대학법인화의 구체적인 내용과 평가를 하기에 앞서 다른 나라에서 추진되고 있는 대학개혁의 흐름과 주요쟁점을 이해하는 것이 우리의 시행착오를 줄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일본의 국립대학법인화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있었으나 독일의 법인화사례에 대한 소개는 많지 않은 편이다. 이에 먼저 독일에서 대학경쟁력에 대한 정책이 추진된 배경과 주요 요소를 알아본다. 다음으로 독일에서 추진되고 있는 법인화로서 재단형대학을 먼저 알아보고, 이어서 사단형대학에 대해서 알아본다. 이어서 국내에서 진행되고 있는 법인화의 주요내용을 개관하고, 마지막으로 독일의 대학법인화와 한국의 대학법인화를 비교하면서 시사점을 찾아보기로 한다. 대학을 법인화하든지 아니든지 대학에 대한 법적규율의 내용이 중요하다. 대학과 국가와 관계에서 탈규제와 분권화, 탈관료화가 되어야 하며 내부관계에서 민주적이고 효율적인 의사결정이 가능하도록 하여야 한다. 대학이 법인화한다고 하여 특혜를 베풀거나, 대학을 법인화하지 않는다고 하여 법률상 사실상의 불이익을 결부시키려는 발상자체가 대학의 탈국가화, 분권화, 탈규제화, 탈관료화, 자기책임성 증대를 통한 경쟁력을 강화하려는 목적에 반한다.

      • KCI등재

        독일 시민대학 100년 발달사 및 성인교육에의 시사점

        박성희,권양이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1

        Since French Revolution, citizen university(VHS) in Germany has developed in various forms during the period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de velopment in terms of enlightenment for the purpose of building free and equal society. In the 1919 Weimar Constitution, citizen universities aimed at general adult education was specified, and in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the Association of Handicrafts Education and other organizations were organized. which led to the vitalization of the vocational education of the work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VHS, the leading adult education institution in Germany, and to suggest some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citizen university and adult education in Kore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ment process of German citizens' universities are that they have developed variously in accordance with the laws of each province, with the highest priority in resolving the problems of the citizens by the collaboration of the public and civic. Second, the adult education law that supports the citizen university is autonomously enacted by each provincial government, while the structure of the citizen university supports the vocational education, the labor education, the political education, and the general education as well as developing programs on the basis of learner-centered principle. Third, i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citizen universities between Korea and Germany, the lifelong education law in Korea is different from Germany, that is, top-down type lifelong education like Sangmyunghabok which has been so far developed rather than enlightenment aiming at self-realization, freedom and equality of All. The implications of the significance of the German citizen university to citizen universities in Korea are as follows. In order for adult education to grow as an autonomous citizen of liberal equal society and to guarantee the quality of life, it is necessary to ensure the rights of workers to learn, to build collaboration with the governmental bodies and civic participation for promotion of adult education. In addition to that, freedom, equality, and development of capacity as a democratic citizen living in a community society should be actualized. 독일 시민대학은 프랑스 혁명 이후 자유·평등사회의 건설을 목적으로 역사 문화적 과정 속에서 현재의 모습으로 발달해 왔다. 19세기 중반에는 수공업자협회 등이 조직되어 근로자를 위한 직업교육 등이 활성화되었고, 1919년 바이마르 헌법에는 일반 성인의 교육을 담당하는 시민대학이 국가의 진흥을 받으며 성인교육기관으로 자리 잡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100주년을 맞는 독일의 대표 성인교육기관인 시민대학(VHS)의 발달 과정을 고찰하고 한국의 시민대학이 나아가야 할 성인교육에의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일 시민대학 발달과정의 특징은 각 주정부 법률에 의거하여 자치적으로 시민의 문제 해결에 최우선순위를 두고 다양하게 발전한 것, 관민의 협동을 원칙으로 재정을 부담, 운영하는 것이다. 둘째, 시민대학을 지원하는 성인교육법은 각 주정부가 자율적으로 제정하며, 시민대학의 구조는 학습자중심의 교육을 원칙으로 관련법과의 연계 속에서 직업교육, 근로자교육, 정치교육, 일반교양교육을 지원하고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에 있다. 셋째, 한·독 간 시민대학 비교 분석에서는 한국의 평생교육법은 독일과는 달리 근로자들의 자발성이나 자유 및 평등을 지향하려는 계몽이라기보다는 상명하복과 같은 top-down식의 관 주도로 전개되고 있다. 이에 독일 시민대학의 의의가 한국 성인교육 현장에 주는 시사점을 제언해 보면 다음과 같다. 정부가 성인교육이 모두가 자유 평등사회의 자율적 시민으로 성장하여 삶의 질을 보장받는 주체가 되도록 근로자의 학습권 보장 및 성인교육 진흥을 위한 관민의 참여와 공조체제 구축 및 법 체제 재정비에 앞장서고, 시민대학 프로그램은 자유·평등을 지향하고 공동체 사회를 살아가는 민주시민으로서의 역량 개발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을 제언한다.

      • KCI등재

        대학에서의 독일어 교육 - 문제점과 개선 방안

        신형욱 ( Shin Hyung-uk ) 한국독일어교육학회 2021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Vol.49 No.-

        이 논문에서는 대학독일어 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선 방안을 논의한다. 대학독일어는 그 자체가 학문의 대상은 아니지만, ‘문화 간 소통능력’과 ‘전공 학업 역량’ 배양을 위한 유용한 학습 대상이다. 이 특성을 고려하기 위해서는 대학독일어 교육을 문학, 언어학, 지역학, 문화학 등을 포괄하는 독어독문학과 교육과정의 한 부분으로 볼 것이 아니라, 외국어교육이라는 독자적인 교육과정으로 관찰할 필요가 있다. 대학독일어 교육은 교양과정에서 유럽 공통참조기준의 A1/2 수준을, 전공 연계과정에서 B1/2 수준을 ‘목표’로 삼아야 한다. 또한, 대학 교육의 성격에 맞게 일상생활 언어뿐 아니라 교양 및 학술 언어를 ‘내용’으로 삼고, 언어 사용방식 통합교육, 언어·내용 통합교육, 언어의식 및 학습자 자율성 강화 등의 ‘방법’이 도입되어야 한다. 이러한 ‘내용’과 ‘방법’으로 대학독일어 교육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교육이 수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대학독일어 교육이 전문적인 외국어교육 체제에서 계획·관리되고 수준별 능력 인증제를 도입함으로써 실효성 있는 교육을 시행해야 할 것이다. 또한, 수업을 담당하는 교원의 전문성 확보가 시급하다. 이러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으면 대학독일어 교육은 ‘목적’을 실현할 수 없고, 이를 기반으로 하는 전공교육도 부실해질 수밖에 없다. In diesem Beitrag werden die Probleme des DaF-Unterrichts an der Universität aufgezeigt und diesbezügliche Lösungswege vorgeschlagen. Der DaF-Unterricht ist zwar kein akademischer Gegenstand an sich, aber ein nützlicher Lerngegenstand zur Förderung der „interkulturellen Kommunikationsfähigkeit“ und der „Fachstudienkompetenz“. Um dieser Eigenschaft Rechnung zu tragen, ist der DaF-Unterricht an der Universität im Rahmen des Fremdsprachenunterrichts zu betrachten und nicht im Rahmen des Germanistikcurriculums, zu dem Literaturwissenschaft, Sprachwissenschaft, Landeskunde und heutzutage auch Kulturwissenschaft gehören. Der DaF-Unterricht an der Universität sollte als Zielniveau A1/2 des Gemeinsamen Europäischen Referenzrahmens im Studium Generale anstreben, in Verbindung mit dem Hauptfachstudium sollte B1/2 erreicht werden. Der DaF-Unterricht im Rahmen des Hochschulstudiums sollte jedoch nicht nur Alltagssprache, sondern auch Bildungs- und Wissenschaftssprache als „Inhalte“ enthalten. Zudem sollten „Methoden“ wie Fertigkeiten-übergreifender Unterricht, Sprache und Inhalt (Kultur) verbindender Unterricht sowie Förderung von Sprachbewusstheit und Lernerautonomie zur Anwendung kommen. Um das Ziel des DaF-Unterrichts an der Universität zu verwirklichen, muss der Unterricht systematisch und effizient aufgebaut und durchgeführt werden. Dafür sollte der DaF-Unterricht unter Führung einer auf Fremdsprachendidaktik spezialisierten Einrichtung konzipiert und durchgeführt werden. Ein effektiver Deutschunterricht kann auf Basis eines Zertifikatssystems gewährleistet werden. Darüber hinaus ist die Sicherstellung der professionellen didaktischen Kompetenz der DaF-Lehrkräfte notwendig. Ohne solche Verbesserungen sind Zweck und Ziel des DaF-Unterrichts an der Universität nicht zu erreichen, was nur dazu führen kann, dass auch das auf der DaF-Grundlage aufbauende Hauptfachstudium unterhöhlt wird.

      • KCI등재

        대학과 기업 간의 협력에 관한 연구

        안영진(Ahn, Young-Jin) 한국지역지리학회 2018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4 No.1

        최근 많은 대학들은 대학의 전통적 역할인 연구와 교육 이외에도 기업가적 대학 활동의 일환으로 산학협력에 발 벗고 나서고 있어, 이에 대한 학술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독일의 많은 대학들은 산학협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일찍부터 지식 및 기술 이전을 포함한 산학협력을 강화해 오고 있다. 이 연구는 독일 대학의 산학협력의 방향과 추진상황 그리고 산학협력의 주요 특성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특히 슈투트가르트대학, 뮌헨공과대학, 하이델베르크대학 그리고 아헨공과대학을 사례로 하여, 이들 대학의 산학협력 활동을 집중적으로 살펴 보았다. 연구의 결과, 독일 대학들은 공동 및 계약연구 협력의 진흥, 기술이전기관의 운영, 창업센터의 설치를 통한 창업 및 창업교육의 강화 확대 그리고 산학 융합 연구캠퍼스의 구축 등을 통해 산학협력을 활성화시켜 나가고 있음이 밝혀졌다. In recent years, many universities are engaging in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as an activity of entrepreneurial universities in addition to research and education, which is a traditional role of universities. German universitie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industry-university collaboration and have been strengthening the activities of industry-university collaboration early on.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irections, main measur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in German universities. In particular, the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s of four universities such as Stuttgart University, Munich Technical University, Heidelberg University, and Aachen Technical University are intensively focused and surveyed. The results of study show that German universities are actively promoting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through joint researches, operation of technology transfer offices, strengthening of start-ups and start-up education programs through establishment of start-up center, and expansion of industrial-academic convergence campus.

      • KCI등재

        Bologna 프로세스 이후 독일 대학 평생교육 체제 동향과 시사점

        박성희(Seonghie Park),권양이(Yangyi Kwon)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9 평생학습사회 Vol.15 No.2

        The German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focuses o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nd national competitiveness for the purpose of actualizing higher education for all. The Federal Ministry of Education announced “improving through education: opening the college door” and has been strengthening financial aid and institutionalization for many adults to study in college. Since 2009, the State Education Ministers finalized the “Principles of Opening Universities”, while the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program provided university education opportunities for industrial workers, child-raising women. That is, learners centered program so called adult friendly academic system, which led to flexible learning system. We explored the lifelong education system of German universities which is evolving through the reorganization of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since the Bologna process. As a result, the characteristic of the lifelong education system in German universities is that it focuses on the vocational lifelong education of adult workers while the president is responsible for developing their own unique programs for all. On the basis of this, possible suggestions for the lifelong education system in Korean universities are discussed. 독일 대학 평생교육은 모두의 대학 교육기회 보장을 목적으로 개인의 삶의 질 및 국가경쟁력 향상에 주력하고 있다. 연방교육부는 “대학 문호개방”에 입각하여 성인근로자에게 장학금을 지원함으로써 모두의 대학 교육기회를 보장하는 평생교육 체제를 구축하였다. 2009년 이후 주교육부 장관회는 “대학 문호개방”의 원칙하에 전략적으로 근로자 및 자녀양육기 여성에게 대학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학습자 요구에 기반을 둔 성인친화적 교육과정 개발을 통해 유연한 학습조직을 구축해 왔다. 2019년 우리나라 교 육부도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 기본계획을 통해 4차 산업혁명의 도래와 평균수명 연장으로 성인학습자가 성인 친화적 학사체제하에서 선취업 후진학 및 자기 계발을 하도록 체제 개편을 도모하고 있다. 연구 문제는 Bologna 프로세스 이후 대학 평생교육의 재조직화를 통해 상생적으로 발전하는 독일 대학 평생교육 체제 고찰이며, 연구 목적은 우리나라 성인 친화적 대학 평생교육 체제 구축을 위한 시사점 제언에 있다. 연구 결과, 독일 대학 평생교육 체제의 특징은 근로자의 직업평생교육에 중점을 두고, 대학 중앙본부에서 총장의 책임하에 대학의 특성에 기반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궁극적으로 대학 문호개방을 통해 모든 이의 교육기회를 보장한다는 점이다. 이에 기초하여 우리나라 대학 평생교육에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독일 장애대학생 교육복지 지원 체계 및 동향 탐색

        김기흥(Ki-Heung Kim) 한국발달장애학회 2021 발달장애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독일의 장애대학생을 위한 교육복지 지원체제와 대학사례를 살펴보고, 그 특성을 통하여 우리나라 장애인 고등교육정책의 발전을 위한 의미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먼저 독일의 장애대학생들의 교육복지 지원체제와 관련된 주요 법령들과 주(州)의 교육부장관 회의와 대학총장협의회 등의 각종 권고들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이어서 장애대학생을 위한 교육복지 사례로 쾰른 대학교의 현황을 간단히 소개했다. 본 연구결과에서 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독일의 장애대학생들을 위한 교육복지 체제는 법률적인 측면에서 체계적인 연속적 특성을 보인다는 점이다. 둘째, 독일의 장애대학생 복지정책이나 실천적 과정에서 각각 최고 행정책임자인 문화교육부장관이나 대학교총장들의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관심과 협력적 실천의지를 볼 수 있다. 셋째, 독일의 고등교육정책에서는 장애인뿐만 아니라 만성질환을 가진 대학생들까지 포함하여 대학교육의 무장애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는 점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educational welfare policies and university cas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Germany, and seeks to find out th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higher education policies for the disabled in Korea. This study first examined major laws related to the educational welfare support syste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Germany, and various recommendations from the Minister of Education s Meeting and the University President s Council. Next, the case of educational welfar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examined, centering on the University of Cologne. The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ducational welfar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Germany shows a systematic and continuous characteristic in terms of legal terms. Second, we can see the continuing and active interest and willingness of cooperative practice of the Minister of Culture and Education and the university presidents, who are in charge of higher education in Germany s welfare policy or practical proces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ird, Germany s higher education policy emphasizes the creation of a barrier-free environment for university education, including not only the disabled but also college students with chronic dise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