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태도시 개념이 적용된 중동 그린시티의 도시특성 연구

        정지호,윤재은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인간의 활동으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로 지구 온난화가 발생하고, 극단기후의 빈번한 출현으로 환경문제는 오늘날 세계적인 관심사가 되었다. 생태도시는 도시 환경 문제를 해결하고 인간과 자연환경의 공생을 실현하기 위한 이론으로 점점 더 많은 관심과 주목을 받고 있지만, 기존 연구는 여전히 미흡한 편이다. 아직 생태도시가 무엇인지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없을뿐더러, 생태도시를 평가하거나 디자인하는 방법에 대한 통일된 계획 지표 기준도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에 대한 고찰을 통해 생태도시의 개념적 정의를 명확히 하고, 생태도시 계획 지표를 제시하며, 생태도시의 특성을 요약하고, 생태도시의 분석모델을 설정하고, 나아가 생태도시의 관점에서 중동 지역의 대표적인 그린시티 사례에 대한 추가 연구를 하고, 넓은 의미의 생태도시 프로젝트 개발을 위한 제안을 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문헌 연구와 사례 비교 분석 방법을 채택하였다. 관련 연구 문헌을 분류 및 분석하여 사례분석 모델을 정한 다음 4개의 중동 그린시티 Msheireb Downtown, Masdar City, Neom Theline 및 Neom Oxagon의 사례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결론을 도출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분석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Neom The Line과 Neom Oxagon은 기본적으로 생태도시 계획요소 지표의 요건을 충족하기에 생태도시로 간주될 수 있다. 둘째, 4개의 사례는 전반적으로 체계적이고 순환적인 특성이 두드러진다. (결론) 본 논문은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첫째, 생태도시의 정의를 명확히 했다. 둘째, 생태도시의 계획지표를 재구성하였다. 셋째, 생태도시의 4가지 특성, 즉 체계성, 공생성, 순환성, 조화성을 추출하였다. 넷째, 비교분석을 통해 중동의 그린시티가 체계적이고 순환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후속 생태도시 건설을 위한 세 가지 제안을 하였다. 첫째, 생태도시 건설은 생태도시의 구축은 도시의 탄소배출량의 감축을 중시해야 할 뿐만 아니라, 도시의 여러 방면의 지속가능한 발전도 중요시해야 한다. 둘째, 생태도시는 정해진 기준이 없다. 도시계획 디자인 면에서 각기 다른 지리적 위치와 환경 및 기후를 고려하여 현지 자연환경에 적합한 해결방안을 모색해야만 한다. 셋째, 생태도시 건설을 통해 도시의 그린 경제를 발전시켜야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Due to global warming caused by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human activities, the frequent occurrence of extreme weather has made environmental problems an important global concern. Eco-city, as a theory to solve urban environmental problems to achieve the symbiosis of the human and natural environment, is gaining attention. However, the existing research has several shortcomings. For example, there is no clear definition of an eco-city. There is no unified planning element index standard on how to assess or design an eco-cit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onceptual definition of eco-city through theoretical sorting, propose eco-city planning element indicators, summarize the characteristics of an eco-city, establish an analytical model of an eco-city, conduct further demonstration research on representative green city cases in the Middle East from the perspective of eco-city, and put forward proposals for eco-city project development of wide significance. (Method) This study adopts the methods of literature research and comparative case analysis. By analyzing relevant research literature, a case study model was developed, followed b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four green city case studies of Msheireb Downtown, Masdar City, Neom The Line, and Neom Oxagon. (Results) The following analyses are derived from this study. First, Neom The Line and Neom Oxagon meet the requirements of the Eco-city Planning Element Indicator Table, and both can be considered eco-cities. Second, the four cases have more prominent systemic and cyclic characteristics. (Conclusions) This study draws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ly, the conceptual definition of eco-city is clarified. Second, the analysis table of eco-city planning element indicators is reconstructed. Third, the four characteristics of eco-city – systemic, symbiotic, cyclic, and harmonious – are summarized. Fourth, a comparative analysis concludes that green cities in the Middle East have more prominent systemic and cyclic characteristics. This study provides three suggestions for the construction of eco-cities. First, the construction of an ecological city should focus on reducing the city’s carbon emissions and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various aspects of the city. Second, ecological cities have no set standards. In terms of urban planning desig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different geographical locations, environments, and climates, and find solutions that are suitable for the local environment. Third, eco-cities should be built to develop the city’s green economy.

      • KCI등재

        세르다의 도시활력 개념을 적용한 바르셀로나 도시계획 특성에 관한 연구

        부이뀌쩡장,송대호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5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7 No.2

        본 연구는 바르셀로나 도시계획에서 사회적 측면에서 제시된 세르다의 “도시활력 개념”에 따른 물리적 계획요소의 적용과 도시계획의 방향에 대하여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즉, 급격한 역사-사회변화 과정에서 나타난 도시구성 속에서 도시의 활력, 도시의 생명체를 살리고자 하였던 세르다의 사상적 원칙에 대해 알아보고 또한, 도시를 여러 측면에서 해석하여 다양한 인문-사회-경제적 요소와 도시공간 형태의 유기적 연관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The main of this study is finding about the urban planning of Barcelona which to approach from the social aspect. Based on the “Urban Vitality” Cerda proposed to apply “Physical Component” and urban planning orientation. Thereby to understand about metabolism of physical and social to make “Physical Component” developing to see the thought of Cerda as: exploitation, Urban Vitality flexibility and City life. This thought derives to make a urban planning of Barcelona becoming original and only. This study characterized learn about space and urban component. Based on that foundation to hope many ideas can be apply to the urban planning of many city in domestic on the future. After analysis of Cerda’s “Urban Vitality” concept the methods applied of “Physical component” in Barcelona’s urban planning and the network of space of “Physical component”, the author proposed many implication as follow: Firstly, Cerda proposed “Block –patio” model which has been considerably enlarged compared with width. Secondly, the transport network planning of Cerda which was simplify and unification maximum about the purpose of the human and the vehicle can be circulate equally uniform. Thirdly, the square form was formed by block's conversion and the combination method of “block-streets”. So that, the center point of Cerda’s urban planning is combination four physical component: Block-Patio-Street-Plaza. It is similar with life which is a link organically. Thereby that is orientation for urban life which take place with a linkage and strict order.

      • KCI등재

        유기적 특성을 활용한 워터프론트 디자인 요소에 관한 연구

        조용수(Yong-Soo Cho),김기수(Ki-Soo Kim),이정재(Jurng-Jae Yee),도근영(Geun-Young Doe) 한국항해항만학회 2004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28 No.1

        본 연구는 수변공간의 친환경적 개발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근대의 기계론적 가치관에 대하여, 최근 과학 분야에서 새로운 발전 또는 친환경적 패러다임으로 등장한 유기적 세계관의 특징에 주목하여 워터프론트의 개발 방향성을 총체성ㆍ복합성ㆍ역동성ㆍ상보성 등 4가지로 설정하였다. 한편 구체적인 워터프론트 디자인 요소를 도시ㆍ건축의 장소적, 의장적, 시각적 특성을 통하여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친환경적 수변공간의 유기적 개발 방향성과 구체적 디자인 요소간의 상관관계 및 사례 제시를 통하여 유기적 특성을 활용한 워터프론트 디자인 요소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aiming at examining the possibilities to develop eco-friendly waterfront, and discusses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c worldview which has been emerged as new development or eco-friendly paradigm in recent science against the mechanical worldview of modem times. The orientation of waterfront development is characterized as unity, diversity, dynamics and mutuality. In addition, I examined the factors for waterfront design according to the locational, decorativeand visual properties of urbanㆍarchitecture to find out concrete factors of its design. This study suggests the factors for waterfront design making use of organic properties, by examining the orientation for organic development of eco-friendly waterside environment and showing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of specific design, and their example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공간적 자기상관성과 도시특성 요소를 고려한 자연재해 피해 분석

        서만훈,이재송,최열 대한토목학회 2016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6 No.4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urban characteristics on the amount of damage caused by natural disasters. It is focused on the areas of a municipal level in Korea. Also, it takes into account the spatial autocorrelation of the damage caused by natural disasters. Moran’s I statistics was estimated to examine the spatial autocorrelation in the damage from the study area. Subsequent to evaluating the suitability for spatial regression models and the OLS regression model, the spatial lag model was employed as an empirical analysis for the study. It showed that the increase in residential area leads to the decrease in the amount of natural disaster damage. On the other hand, the increase in green area and river basin is associated with the increase in the damage.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appropriate policy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about the damage-adding factors is needed in order to reduce the amount of damage in the future. 본 연구는 도시특성 요소가 자연재해 피해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자연재해 피해액에 대한 공간적 자기상관성을 분석하고, 이를 고려한 공간회귀모형을 통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지는 울릉군, 제주시, 서귀포시를 제외한 전국의 227개 지방자치단체로 설정하였고, 수집할 수 있는 가장 최근의 자료가 2013년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분석 시점을 2013년으로 설정하였다. 여기서 울릉군, 제주시, 서귀포시를 제외한 것은 해당 지역들이 육지와 원거리에 있어 공간적 자기상관성 분석에서의 오차 내지는 오류가 발생할 소지가 있기 때문이다. 공간적 자기상관성 분석 결과, 2013년의 전국 지자체에서 발생한 자연재해 피해액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공간적 자기상관성이 존재하는것으로 도출되었다. 따라서 공간회귀모형을 활용하여 공간적 자기상관성을 통제할 필요가 있었고, 공간회귀모형과 OLS회귀모형의 비교를 통하여 공간회귀모형 중 공간시차모형이 최적합 모형인 것을 확인하였다. 공간회귀모형의 추정 결과를 살펴보면, 주거지역 면적이 증가할수록 자연재해 피해액이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반면에 녹지지역 및 하천 면적은 증가할수록 자연재해 피해액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추정되었고, 통제변수로 활용된 연 강수량과 강우강도도 자연재해 피해액의 증가 요인으로 추정되었다.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향후 자연재해 피해액 저감을 위하여 피해액 증가 요인에 대한 적절한 정책의 수립과 시행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유한요소해석을 통한 도시철도차량 궤도의 구조특성 분석

        김현식 한국기계기술학회 2022 한국기계기술학회지 Vol.24 No.6

        In this study, a finite element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stress state and vibration characteristics generated by continuous contact between wheels and rails when driving urban railway vehicles. The rails applied to the analysis were divided into straight and curved shapes, and three-dimensional modeling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changes in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wheels and rails when driving on straight and curved rail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tress characteristics were up to 6.5 MPa on a straight rail and 9.81 MPa on a curved rail, and it is believed that this increase in stress will increase noise due to an increase in friction at the interface. The vib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wheels and rails showed similar behavior from the 3rd mode to the 9th mode of the rail to the intrinsic vibration characteristics from the 4th mode to the 6th mode of the wheel.

      • 도시의 물리적 변화에 따른 지역특성적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충청지역 도시를 중심으로

        반상철 서원대학교 미래창조연구소 2004 과학과 문화 Vol.1 No.1

        This study on the effects of regional characteristics on Urban growth in Urbanization Era. In 21th century, Cities have been the center of national growth and the field of the local and global realization. Growth of local cities make a leading premise of national development. In this study, through the understanding our cities in historical flow and the finding urban potentiality according to the change of urban and regional physical elements, intend to grope the regional identity. So this paper suggests that regional characteristics are prerequisite condition for regional regeneration or revita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